KR102322315B1 -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15B1
KR102322315B1 KR1020210085303A KR20210085303A KR102322315B1 KR 102322315 B1 KR102322315 B1 KR 102322315B1 KR 1020210085303 A KR1020210085303 A KR 1020210085303A KR 20210085303 A KR20210085303 A KR 20210085303A KR 102322315 B1 KR102322315 B1 KR 10232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lowermost
block
lowermost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석
황성필
김우석
우용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부를 구축하고 그 위에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할 때 센서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이 설계 내용에 맞추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기초부 위의 시공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연직하중을 가하여 기초부를 통해 그 아래의 지반에 선(先)하중을 재하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동안에 또는 구축이 완료된 후에 실제로 가해지는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지반에 발생할 수 있는 침하를 사전에 미리 발생하게 만들므로써 보강토 옹벽의 침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Lowest Block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서 기초부의 바로 위에 놓이는 옹벽블록("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이때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부를 구축하고 그 위에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할 때 센서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의 자세와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이 설계 내용에 맞추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기초부 위의 시공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최하부 옹벽블록에 연직하중을 가하여 기초부를 통해 그 아래의 지반에 선(先)하중이 재하되도록 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동안에 또는 구축이 완료된 후에 실제로 가해지는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지반에 발생할 수 있는 침하를 사전에 미리 발생하게 만들므로써 지반 침하에 대한 보강토 옹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종래 기술의 일예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221호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지반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부를 설치하고, 기초부 위에 최하부의 옹벽블록("최하부 옹벽블록")을 배치한 후, 그 위에 벽체를 이루게 되는 옹벽블록을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초부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최하부 옹벽블록 역시 수평을 이루면서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하부 옹벽블록의 큰 크기와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을 들어 올려서 설치 위치로 이송하고 다시 하강시켜서 기초부 위에 놓는 일련의 설치작업을 수행하는데에 상당한 애로 사항이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의 수작업이나 원시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의 인양, 이송 및 하강에 의한 최하부 옹벽블록의 설치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실제 현장에서는 최하부 옹벽블록이 정해진 설계 내용에 맞추어서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보강토 옹벽은 지반다짐이 충분히 이루어진 견고한 지반에 시공하는 것이 원칙인데, 실제 현장에서는 지반이 무른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부가 급하게 시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최하부 옹벽블록이 설치된 후, 또는 그 위에 다른 옹벽블록들이 적층되었거나 적층되는 과정에서 지반에 불균일 침하 등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최하부 옹벽블록과 그 위의 옹벽블록들이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하부 옹벽블록이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설치되지 않게 되면, 그 위에 적층되는 옹벽블록 역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없고, 옹벽블록 사이의 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불균등한 집중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을 포함한 옹벽블록의 곳곳에서 블록 파괴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커진다. 특히, 옹벽블록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 이러한 틈을 통해서 지표수가 배면토사로 침투하게 되어 배면토압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고, 옹벽블록 사이의 틈으로 세립분이 유출로 되어 보강토 옹벽 전체의 강성과 지지력이 저하되어 심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의 붕괴를 유발될 수도 있다.
또한 최하부 옹벽블록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져서 원래 설계된 수평 상태를 이루지 못한 것이 그 위의 옹벽블록을 쌓은 후 또는 쌓는 과정에서 발견되면, 이미 적층하였던 옹벽블록을 제거하고 다시 쌓는 재시공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연직하지 않은 옹벽블록들의 균형을 맞추는 보조수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것은 결국 보강토 옹벽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비용 및 공기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계에 맞추어서 정확히 수평을 이루게 하면서 설치하는 것, 그리고 기초부 아래의 지반 침하에 따른 최하부 옹벽블록의 기울어짐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221호(2009. 07. 17.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초부 위에 최하부 옹벽블록을 배치함에 있어서, 최하부 옹벽블록의 큰 크기와 무거운 중량에도 불구하고, 실제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적치장소로부터 최하부 옹벽블록을 인양하여 설치위치까지 이송한 후 설계된 수평도를 정밀하게 유지하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기초부 위에 설치되도록 하는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하부 옹벽블록의 설치 후에 기초부 아래의 지반이 침하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할 때 미리 기초부를 통해서 지반에 선(先)하중을 재하함으로써 지반의 사전 침하를 유도하면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록 승하강 장치와 이동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동지지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과, 상기 궤도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과,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은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는 밀착지그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의 궤도판은 이동지지 장치의 지지판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기초부와 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가 지지판의 아래에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최하부 옹벽블록이 궤도판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며, 궤도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가 수평이동되어 각각의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이 밀착지그 및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물려서 체결되고; 신축가압부재의 수축에 의해 최하부 옹벽블록이 상승된 상태에서, 궤도판이 지지판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이 기설치 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후,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로 하강시켜서 기설치 블록에 이웃하게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블록 승하강 장치와 이동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동지지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과, 상기 궤도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과,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은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는 밀착지그를 포함하며, 블록 승하강 장치의 궤도판은 이동지지 장치의 지지판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시공장치를 이용하며; 기초부와 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가 지지판의 아래에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최하부 옹벽블록이 궤도판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를 신장시켜서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게 만들고, 궤도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를 수평이동시켜서 각각의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이 밀착지그 및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물려서 체결되게 만드는 단계; 신축가압부재를 수축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설치된 최하부 옹벽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궤도판을 지지판에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신축가압부재를 신장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그 설치위치로 하강시켜서 기초부 위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에서, 위치인식표와, 상기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위치센서가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신축가압부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위치센서가 신축가압부재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며;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이 하강할 때, 위치센서가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여, 신축가압부재의 신장량을 조절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계된 수평상태에 맞추어 하강시켜서 설치하게 되고, 더 나아가 밀착지그는 2개의 연직밀착판과 1개의 수평밀착판을 가지고 있어서 최하부 옹벽블록의 상부쪽 3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3면 모서리의 3개 면에 모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부를 구축하고 그 위에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최하부 옹벽블록을 인양하고 이송한 후 설치 위치에 하강시켜서 설치할 때, 수평센서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의 자세와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이 설계 내용에 맞추어서 수평을 이루면서 기초부 위의 시공 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따라서 최하부 옹벽블록 위에 적층되는 옹벽블록은 설계에 맞추어서 수직하게 안정적으로 적층되고 그에 따라 설계된 보강토 옹벽이 매우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구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에 거치시키면서 연직하중을 가하여 기초부를 통해 그 아래의 지반에 선(先)하중을 재하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서 지반에 발생할 수 있는 침하를 사전에 미리 유도하여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동안에 또는 구축이 완료된 후에 지반에 침하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여러 문제들 즉, 최하부 옹벽블록과 그 위의 옹벽블록들이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각각 블록 승하강 장치만을 발췌하여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신축가압부재의 상단이 궤도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 4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의 모서리를 가압밀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밀착지그의 형상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는 1개의 수평밀착판과 1개의 연직밀착판으로 이루어진 밀착지그의 또다른 실시예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화살표 K-K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지지 장치에서 블록 승하강 장치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블록 승하강 장치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을 들어 올리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의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상태에 후속하여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설치 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위쪽으로 이동 완료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 후속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을 하강시키고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지반에 선하중을 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폭방향 즉, 보강토 옹벽을 이루는 최하부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들이 한 개의 층에서 일렬로 길게 배치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수평하게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서 승,하강시키는 블록 승하강 장치(110)와, 보강토 옹벽의 기초부(300) 위에서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이동지지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지지 장치(120)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6)과, 상기 지지판(6)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7)를 포함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판(6)은 평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대(7)는 지지판(6)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후술하겠지만 이동지지 장치(120)는 마치 책상이 놓여 있는 형태가 되도록 지지대(7)의 하단이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보강토 옹벽의 기초부(300) 위쪽에 설치된다. 즉, 기초부(300)가 지지판(6)의 아래에서 위치하게 되는데, 기초부(300)와 지지판(6)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이동지지 장치(12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블록 승하강 장치(110)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서 위로 들어 올리거나, 설치 위치로 하강시키는 장치로서, 이동지지 장치(120)의 지지판(6)에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블록 승하강 장치(110)만을 발췌하여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에시된 것처럼 블록 승하강 장치(110)는, 평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1)과, 상기 궤도판(1)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2)과, 상단이 궤도판(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3)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3) 하단에 구비되며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을 가압하여 물어주는 밀착지그(4)와, 센서-인식표 설치봉(2) 또는 신축가압부재(3)에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인식표를 인식하여 그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센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궤도판(1)은 평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하면에는 신축가압부재(3)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원하는 위치에 맞추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궤도(10)가 형성되어 있다. 궤도(10)는 평면형상으로 볼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격자에 대각선이 더 존재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는데, 궤도(10)의 평면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등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궤도(10)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6은 필요에 따라 궤도판(1)에 형성될 수 있는 볼트삽입공(16)이다.
복수개의 센서-인식표 설치봉(2)은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그 상단은 각각 궤도판(1)에 결합되어 있다. 센서-인식표 설치봉(2)은 그 길이가 필요에 따라 신축할 수 있는 신축가능한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인식표 설치봉(2)이 신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최하부 옹벽블록의 연직 높이에 맞추어서 위치센서 또는 위치인식표를 정확한 높이에 위치하게 만들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신축가압부재(3)는 연직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축할 수 있는 부재로서 복수개로 구비되는데, 신축가압부재(3)의 상단은 궤도(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1)에 결합되어 있다. 도 5에는 도면의 실시예에서 신축가압부재(3)의 상단이 궤도(1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 4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화살표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궤도(10)는 오목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신축가압부재(3)의 상단에는 오목홈에 끼워지되 의도하지 않지 상태에서는 연직방향으로는 뽑히지 않는 볼록부(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축가압부재(3)의 상단이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동력수평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신축가압부재(3)의 상단이 궤도(1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신축가압부재(3) 하단에는 밀착지그(4)가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밀착지그(4)가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신축가압부재(3)가 궤도(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밀착지그(4)가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대해 수평 가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밀착지그(4) 및 신축가압부재(3)에 의해 물려 있는 상태로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가 수축하게 되면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신축가압부재(3)가 신장하게 되면 최하부 옹벽블록(200)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기초부(30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가 신장하게 되면 밀착지그(4)를 통해서 연직 가압력이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연직 가압력은 기초부(300)를 통해서 그 아래의 지반에 연직한 선(先)하중으로 가해지게 된다.
도 7에는 밀착지그(4)가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모서리를 가압밀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밀착지그(4)의 형상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밀착지그(4)는 최하부 옹벽블록의 상면을 포함한 3개의 면이 만나는 "3면 모서리"에 밀착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밀착지그(4)는 최하부 옹벽블록의 상부쪽 "3면 모서리"에서 3개의 면에 모두 밀착될 수 있는 3개의 밀착판(2개의 연직밀착판과 1개의 수평밀착판)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밀착지그(4)가 3개의 밀착판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3면 모서리에서 밀착 설치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가 궤도(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평 가압력이 밀착지그(4)에 존재하는 2개의 연직밀착판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연직한 2개의 면에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매우 견고하게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줄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3개의 밀착판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 밀착지그(4)에서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밀착판도 존재하므로 전술(前述)한 것처럼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기초부(30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가 신장하였을 때, 연직 가압력은 밀착지그(4)의 수평밀착판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가해지게 된다. 최하부 옹벽블록(200)과 직접 밀착하게 되는 밀착지그(4)의 내면을 거친 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최하부 옹벽블록(200)과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밀착지그(4)가 반드시 위에서 예시된 것처럼 3개의 밀착판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는 1개의 수평밀착판과 1개의 연직밀착판으로 이루어진 밀착지그(4)의 또다른 실시예가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밀착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예시된 것처럼 밀착지그(4)는 1개의 연직밀착판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수평 가압력을 가하고, 1개의 수평밀착판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연직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에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수평하게 기초부(300)에 놓이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위치인식표(50)의 위치(연직높이)를 인식하는 위치센서(5)가 구비된다. 위치센서(5)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센서-인식표 설치봉(2)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센서-인식표 설치봉(2) 전부에 각각 위치센서(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센서(5)가 센서-인식표 설치봉(2)에 구비되는 경우, 위치센서(5)가 인식하게 되는 위치인식표(50)는 각각의 센서-인식표 설치봉(2)와 마주하도록 근접한 신축가압부재(3)의 하단부 또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밀착지그(4)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신축가압부재(3)가 신축하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기초부(300) 위에 놓을 때, 위치센서(5)가 위치인식표(50)의 연직 위치를 인식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위치센서(5)와 위치인식표(50)는 모든 지지대(2)에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위치센서(5)와 위치인식표(50)의 설치 구성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상면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설계에서 정한 바에 따라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그리고 매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위치센서(5)와 위치인식표(50)의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한 구성과 반대로 위치센서(5)를 신축가압부재(3)의 하단부 또는 밀착지그(4)에 설치하고, 위치인식표(50)를 이와 마주하도록 근접하여 구비되어 있는 센서-인식표 설치봉(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자는 위와 같이 위치센서(5)와 위치인식표(50)의 설치 구성을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상면 위치 및 수평상태 유지여부를 파악하고, 신축가압부재(3)의 신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매우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평상태로 맞추어 조정하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연직하강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블록 승하강 장치(110)는 이동지지 장치(120)에 결합되고, 이렇게 이동지지 장치(120)에 결합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블록 승하강 장치(110)의 궤도판(1)은 이동지지 장치(120)의 지지판(6)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도 10에는 도 1의 화살표 K-K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판(6)의 하면에는 이동 레일(62)이 설치되어 있으며, 궤도판(1)은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 레일(62)에 체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레일(62)은 ㄴ자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 레일로 이루어져 있고, 궤도판(1)은 절곡 레일의 절곡된 부분과 지지판(6) 사이의 간격에 종방향으로 끼워져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도 11에는 이동지지 장치(120)에서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점선은 종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은 종방향으로 이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블록 승하강 장치(110)의 궤도판(1)은 이동지지 장치(120)의 지지판(6)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궤도판(1)을 종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궤도판(1)은 지지판(6)에 체결된 채로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이동지지 장치(120)에 결합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궤도판(1)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할 수 도 있지만, 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또는 기계식으로 이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궤도판(1)이 지지판(6)에 체결되어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인양하거나 또는 배치를 위하여 하강할 때에는 궤도판(1)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궤도판(1)은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지지판(6)에 체결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궤도판(1)이 이동 레일(62)에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져 있는데, 궤도판(1)의 선택적인 고정/이동을 위하여 지지판(6)에는 볼트관통공(60)이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고, 궤도판(1)에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삽입공(16)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볼트(61)가 볼트관통공(60)과 볼트삽입공(16)에 끼워지면 궤도판(1)의 종방향 이동 즉, 블록 승하강 장치(110)의 종방향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상태가 된다. 물론 궤도판(1)은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이동 레일(62)에 체결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각각 블록 승하강 장치(110)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들어 올리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이동지지 장치(120)의 도시를 생략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110)의 주요 구성 즉, 궤도판(1), 센서-인식표 설치봉(2), 신축가압부재(3), 밀착지그(4), 위치센서(5) 등이 자세히 보일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궤도판(1) 아래에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를 신장시켜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지그(4)가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밀착되게 만들게 된다. 후속하여 궤도(10)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3)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밀착지그(4)가 더욱 강하게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착지그(4)에 의해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수평 가압력이 가해지면 최하부 옹벽블록(200)은 밀착지그(4) 및 신축가압부재(3)에 의해 물려서 체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를 수축시키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들어 올려져서 상승(인상)된다.
다음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기초부(300) 위에 배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여 설명한다.
도 15에는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기초부(300) 위의 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 15 및 도 16의 상태에 후속하여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기설치 블록(200a)에 이웃한 위치의 위쪽으로 이동 완료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도 17의 상태에 후속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하강시키고 신축가압부재(3)에 의해 지반에 선하중을 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 부재번호 200a로 표시된 것은 이미 기초부(300) 위에 놓여 있는 기설치 블록(200a)이고, 도 18에서 화살표 F는 연직하향으로 가해지는 선(先)하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설치하려면 우선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는 도 15에 예시된 것처럼 기초부(300)와 지지판(6)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300)가 지지판(6)의 아래에서 지지판(6)을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마치 책상이 놓이는 것처럼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지지대(7)는 그 하단이 지면에 놓이게 되는데, 선(先)하중을 가하기 위해서는 지지대(7)는 지반에 고정되어야 한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지반에 마이크로 파일 등과 같은 앵커 장치를 설치하고, 지지대(7)의 하단을 앵커 장치에 고정하면 된다. 이 때, 최하부 옹벽블록을 종방향으로 설치하면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도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지지대(7)의 하단은 고정되어 있되 필요할 때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가 기초부(300) 위에 설치되고,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의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서 들어 올린 상태에서 도 15 및 도 1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블록 승하강 장치(110)를 기설치 블록(200a)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서 들어 올린 상태의 블록 승하강 장치(11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기설치 블록(200a)의 옆에 위치하게 만드는 것이다.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의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새로 설치할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물어서 들어 올리고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앞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블록 승하강 장치(110)를 기설치 블록(200a)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기설치 블록(200a)에 이웃한 위치 즉, 시공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게 만든 후에는, 블록 승하강 장치(110)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궤도판(1)이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만들기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볼트(61)를 볼트관통공(60)과 볼트삽입공(16)에 끼워서 체결하면 된다.
후속하여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신축가압부재(3)를 신장시켜서 밀착지그(4)에 의해 물려있던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그 설치위치로 하강시켜서 기초부(300) 위에 놓게 된다. 이 때, 위치센서(5)는 위치인식표(50)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며, 작업자는 이를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설계된 수평상태로 기초부(300) 위에 놓이는 지를 파악하게 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자동적인 작동에 의해 신축가압부재(3)의 신축 정도를 조절하여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정확한 높이에서 수평하게 놓이게 만든다. 이 과정에서 기초부(300) 상면의 굴곡이나 최하부 옹벽블록(200) 하면의 굴곡으로 인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놓이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최하부 옹벽블록(200)과 기초부(300) 사이에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를 포설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하면과 기초부(300)의 상면 사이에 빈 공간이 없는 상태로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수평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위에 적층되는 옹벽블록 역시 설계된 대로 연직을 유지하면서 적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보강토 옹벽이 효율적으로 구축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이 기초부(30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3)를 신장시켜서 밀착지그(4)를 통해서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연직 가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직 가압력은 기초부(300)를 통해서 그 아래의 지반에 연직한 선(先)하중으로 가해진다. 도 18에서 영문자 F는 최하부 옹벽블록(200)에 가해지는 연직 가압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최하부 옹벽블록(200)의 설치 과정에서 기초부(300) 아래의 지반에 선하중을 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지반에 발생할 수 있는 침하를 사전에 미리 유도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즉, 지반에 선(先)침하를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동안에 또는 구축이 완료된 후에 지반에 침하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최하부 옹벽블록이 설치된 후 또는 그 위에 다른 옹벽블록들이 적층되었거나 적층되는 과정에서 지반에 불균일 침하 등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최하부 옹벽블록(200)과 그 위의 옹벽블록들이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이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그로 인하여 그 위에 적층되는 옹벽블록도 기울어져서 옹벽블록 사이의 틈이 발생하거나 불균등한 집중하중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최하부 옹벽블록을 포함한 옹벽블록의 곳곳에서 블록 파괴가 발생할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옹벽블록 사이에 틈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방함으로써, 옹벽블록 사이의 틈을 통해서 지표수가 배면토사로 침투하거나 또는 이로 인하여 배면토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옹벽블록 사이의 틈으로 세립분이 유출로 되어 보강토 옹벽 전체의 강성과 지지력이 저하되거나 보강토 옹벽의 붕괴가 유발되는 것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미 적층하였던 옹벽블록을 제거하고 다시 쌓는 재시공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연직하지 않은 옹벽블록들의 균형을 맞추는 보조수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보강토 옹벽의 비용 증가 및 공기 증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설치 블록(200a)의 옆에 최하부 옹벽블록(200)을 정위치에 연속 배치하게 되면, 그 최하부 옹벽블록은 새로운 기설치 블록에 해당하게 되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새로운 최하부 옹벽블록"을 물어서 들어 올리고, 종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치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종방향으로 옹벽의 폭에 맞추어서 최하부 옹벽블록의 배치를 진행하게 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이동지지 장치(120) 자체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위와 같은 최하부 옹벽블록의 배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복수개의 최하부 옹벽블록을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에는, 이동지지 장치(120)에서 지지대(7)의 지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기초부(300)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지지 장치(120) 전체를 이동시킨 후 다시 지지대(7)를 지반에 고정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최하부 옹벽블록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1: 궤도판
2: 센서-인식표 설치봉
3: 신축가압부재
4: 밀착지그
5: 위치센서
6: 지지판
7: 지지대
10: 궤도
50: 위치인식표
100: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110: 블록 승하강 장치
120: 이동지지 장치
200: 최하부 옹벽블록
300: 기초부

Claims (6)

  1. 블록 승하강 장치와 이동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동지지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과, 상기 궤도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과,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은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는 밀착지그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의 궤도판은 이동지지 장치의 지지판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기초부와 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가 지지판의 아래에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최하부 옹벽블록이 궤도판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며, 궤도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가 수평이동되어 각각의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이 밀착지그 및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물려서 체결되고;
    신축가압부재의 수축에 의해 최하부 옹벽블록이 상승된 상태에서, 궤도판이 지지판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이 기설치 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후,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로 하강시켜서 기설치 블록에 이웃하게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인식표와, 상기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위치센서가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신축가압부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위치센서가 신축가압부재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며;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최하부 옹벽블록이 하강할 때, 위치센서가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여, 신축가압부재의 신장량을 조절함으로써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계된 수평상태에 맞추어 하강시켜서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착지그는, 2개의 연직밀착판과 1개의 수평밀착판을 가지고 있어서 최하부 옹벽블록의 상부쪽 3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3면 모서리의 3개 면에 모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장치.
  4.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초부 위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블록 승하강 장치와 이동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동지지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과, 상기 궤도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과,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은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는 밀착지그를 포함하며, 블록 승하강 장치의 궤도판은 이동지지 장치의 지지판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시공장치를 이용하며;
    기초부와 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가 지지판의 아래에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최하부 옹벽블록이 궤도판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를 신장시켜서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게 만들고, 궤도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를 수평이동시켜서 각각의 밀착지그가 최하부 옹벽블록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이 밀착지그 및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물려서 체결되게 만드는 단계;
    신축가압부재를 수축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기설치된 최하부 옹벽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궤도판을 지지판에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신축가압부재를 신장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그 설치위치로 하강시켜서 기초부 위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장치에는, 위치인식표와, 상기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위치센서가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신축가압부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위치센서가 신축가압부재에 설치되면 위치인식표는 위치센서와 대향되도록 센서-인식표 설치봉에 설치되며;
    신축가압부재를 신장시켜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하강시킬 때, 위치센서로 위치인식표의 연직위치를 인식하여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계된 수평상태에 맞추어 하강시키면서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장치에서, 밀착지그는 2개의 연직밀착판과 1개의 수평밀착판을 가지고 있어서 최하부 옹벽블록의 상부쪽 3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3면 모서리의 3개 면에 모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에서의 최하부 옹벽블록의 시공방법.
KR1020210085303A 2021-06-30 2021-06-30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KR10232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03A KR102322315B1 (ko) 2021-06-30 2021-06-30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03A KR102322315B1 (ko) 2021-06-30 2021-06-30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315B1 true KR102322315B1 (ko) 2021-11-09

Family

ID=7861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03A KR102322315B1 (ko) 2021-06-30 2021-06-30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541A (ja) * 1999-02-12 2000-10-24 Okabe Co Ltd 免震装置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用装置
JP2005132331A (ja) * 2003-10-10 2005-05-26 Kaieitechno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運搬車両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90007221U (ko) 2008-01-14 2009-07-17 유한회사 한스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JP4346194B2 (ja) * 2000-03-07 2009-10-21 株式会社フジタ 法面へ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据え付け用の台車および装置
JP2010053513A (ja) * 2008-08-26 2010-03-11 Kajima Corp 壁体設置装置および壁体設置方法
KR20180095264A (ko) * 2017-02-17 2018-08-27 최종선 보강토 블럭 운반장치
KR102218750B1 (ko) * 2020-10-23 2021-02-23 (주)경동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 복구공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541A (ja) * 1999-02-12 2000-10-24 Okabe Co Ltd 免震装置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用装置
JP4346194B2 (ja) * 2000-03-07 2009-10-21 株式会社フジタ 法面へ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据え付け用の台車および装置
JP2005132331A (ja) * 2003-10-10 2005-05-26 Kaieitechno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運搬車両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90007221U (ko) 2008-01-14 2009-07-17 유한회사 한스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JP2010053513A (ja) * 2008-08-26 2010-03-11 Kajima Corp 壁体設置装置および壁体設置方法
KR20180095264A (ko) * 2017-02-17 2018-08-27 최종선 보강토 블럭 운반장치
KR102218750B1 (ko) * 2020-10-23 2021-02-23 (주)경동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 복구공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599B2 (en) Apparatus for lifting heavy structures
US2720017A (en) Method of erecting buildings
KR101849766B1 (ko)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JP2010048054A (ja) 載置工法及び接合構造
KR102322315B1 (ko)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JP2684155B2 (ja) 地下構造物の築造に用いる開削工法
JP3770381B2 (ja) 土台支持体の形成方法
KR101978500B1 (ko)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27499B1 (ko)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 수단이 부가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350825B1 (ko) 비탈면을 보강할 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 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장치 및 이에 의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US3908956A (en) Concrete pouring form panel
JP4257941B2 (ja) 建造物沈下修正工法及び建造物沈下修正用連結装置
KR101282333B1 (ko)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CN112814418B (zh) 一种桩式支撑交替竖向移位装置及方法
JP6009116B1 (ja) 既設構造物の土間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JP3150047U (ja) ジャッキ装置
KR100877596B1 (ko)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CN109989578B (zh) 一种预制叠合板定位吊装支撑系统
JP2018123559A (ja) 不同沈下した建物の傾斜修復方法
JP2011017353A (ja) 免震装置の固定構造、及び免震装置の水平方向変位差を修正する方法
JP6832495B2 (ja) 免震装置の交換方法
CN110629814A (zh) 一种高层剪力墙结构顶升纠偏装置及操作方法
JP6225149B2 (ja) 側溝施工用治具
JP2004332496A (ja) 木造建築物の部分的な沈下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木造建築物の沈下補正用ジャッキホルダ
JP7364105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