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221U -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221U
KR20090007221U KR2020080000516U KR20080000516U KR20090007221U KR 20090007221 U KR20090007221 U KR 20090007221U KR 2020080000516 U KR2020080000516 U KR 2020080000516U KR 20080000516 U KR20080000516 U KR 20080000516U KR 20090007221 U KR20090007221 U KR 200900072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to KR2020080000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221U/ko
Publication of KR20090007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 벽체를 이루는 블록에 빗물을 유도하는 배수홈과 강성 보강재의 단부를 정착할 수 있는 걸이홈을 형성하여 강성 보강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럭이나 쇄석 등을 뒷채움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옹벽 블록은 적층되어 벽체를 이루게 되는 블록으로서, 벽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강성 보강재가 상기 블록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강성 보강재의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2020080000516
보강토 옹벽 블록, 벽체, 버럭, 걸이홈, 배수홈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보강토 옹벽 벽체를 이루는 블록에 빗물을 유도하는 배수홈과 강성 보강재의 단부를 정착할 수 있는 걸이홈을 형성하여 강성 보강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럭이나 쇄석 등을 뒷채움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벽체의 일종으로서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은, 옹벽의 벽체(200)를 형성하는 블록(201)의 배면으로 그리드(202)를 배치하고, 토사를 채운 후 층별로 다짐하여 시공하게 된다.
한편, 사면 절토 현장이나 터널 시공 현장 등에서는 터널 시공 과정에서 버럭이나 쇄석 등의 부산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장에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버럭, 쇄석 등의 부산물을 배면 토사로 활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경우, 그리드(202)가 합성수지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 져 있는데 비하여, 버럭, 쇄석 등의 굴착 부산물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거칠게 되어 있으므로, 벽체(200) 배면에 버럭 등의 굴착 부산물을 뒷채움재로 사용하게 되면 연성 그리드(202)에 손상을 주게 되고, 결국 그리드(202)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벽체(200)의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럭 등의 굴착 부산물이 발생하는 현장에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라도, 굴착 부산물을 별도 처분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하여야 하고, 보강토 옹벽 배면의 뒷채움재로 사용하기 위한 토사를 별도로 조달하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경우, 블록의 전면으로 우수가 흐르게 되어 있어, 벽체 전면에 이물질 등이 침착되는 형상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옹벽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버럭 또는 쇄석 등의 굴착 부산물을 이용하여 옹벽 벽체의 뒷채움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면 굴착이나 터널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굴착 부산물을 옹벽의 뒷채움 재료로서 활용하여 굴착 부산물의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 벽체 배면의 채움재를 용이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하여 배면 토사의 확보와 공급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우수가 벽체의 전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벽체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벽체의 전면을 마감처리하여, 벽체의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적층되어 벽체를 이루게 되는 블록으로서, 벽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강성 보강재가 상기 블록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강성 보강재의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전면판 상면에는 우수의 이동 및 낙하를 유도하기 위한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연성 보강재가 포설될 수 있도록 단차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블록의 전면판에는 폴리머와 규사 및 색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벽체로서, 상기 블록은, 벽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홈에는 강성 보강재의 단부가 걸려서 상기 블록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강성 보강재의 타단은 블록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블록의 배면 측으로는 상기 강성 보강재 위로 굴착 부산물로 이루어진 뒷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전면판 상면에는 우수의 이동 및 낙하를 유도하기 위한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어, 우수가 상기 배수홈을 따라 벽체의 측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단차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 위로는 연성 보강재가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블록의 전면판에는 폴리머와 규사 및 색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면 굴착이나 터널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버럭 또는 쇄석 등의 굴착 부산물을 벽체의 뒷채움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벽체의 뒷채움 재료를 쉽게 조달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 단축과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 온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블록에 강성 보강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우수를 유도할 수 있어, 우수가 벽체의 전면으로 흘러내림으로 인하여 벽체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서는 벽체의 전면을 마감처리하여, 벽체의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1)는 블록(10)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블록(10)에는 강성 보강재(20)가 연결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0(도 5a 참고)은 연성 보강재(30)로서, 후술하는 것처럼, 본 고안에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연성 보강재(3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고안의 블록(10)에 강성 보강재(20)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블록(10)은, 벽체(1)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1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10)에는 상면(18)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a에 도시된 블록(10)의 형상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의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블록(10)의 형상은 상기 블록(10)을 형성하는 각 면 및 중공부(11)의 크기나 배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11)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에 있어서, 전면판(17)의 상면(18)에는 배수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12)은 우수의 이동 및 낙하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향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전면판(17) 상면(18)에서 블록(10)의 양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수홈(12)을 형성하게 되면, 블록(10)을 적층하여 벽체(1)가 완성되었을 때, 우수가 상기 벽체(1)의 양 측면으로 상기 배수홈(12)을 따라 흘러 벽체(1)의 양측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벽체(1)의 전면으로 우수가 흐르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벽체(1) 전면의 오염 현상, 예를 들면 벽체(1) 전면에 형성된 요철부 등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적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홈(12)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블록(10)의 내측 즉, 배면 토사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수홈(12)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블록(10)의 지지를 위해서 강성 보강재(20)를 이용한다. 강성 보강재(20)로는 강재 철근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록(10)의 상면(18)에는 걸이홈(13)이 형성되어 있어, 강성 보강재(20)의 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걸이홈(13)에 걸어 상기 강성 보강재(20)를 상기 블록(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강성 보강재(20)로서 강재 철근 이외에 길게 연장된 판 부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강성 보강재(20)의 형상과 종류가 달라지면 그에 맞추어 상기 걸이홈(13)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블록(10)에 걸이홈(13)을 형성하여 철근, 판부재 등의 강성 보강재(20)의 단부가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성 보강재(20)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면에는 오목홈(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이홈(13)에 단부가 결합된 강성 보강재(20)가 상기 오목홈(14) 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강성 보강재(2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강성 보강재(20)의 두께로 인하여 블록(10)의 적층에 불편함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블록(10)이 적층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10)에 일단이 고정된 강성 보강재(20)의 타단은 배면 토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이 연장된 강성 보강재(20)의 위쪽 즉, 블록(10)의 배면으로는 뒷채움재(40)가 채워진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에는 위와 같이 철근 등의 강성 보강재(20)를 설치하게 되므로, 뒷채움재(40)로서 현장에 서 발생하게 되는 쇄석이나 버럭 등의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경우,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 등의 연성 보강재를 사용하므로, 만일 쇄석이나 버럭 등을 뒷채움재로 이용하게 되면 뒷채움 과정에서 쇄석 등에 의해 연성 보강재가 손상되고, 심지어 연성 보강재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서는 쇄석이나 버럭 등의 표면이 거친 재료를 뒷채움재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강재 보강재(20)를 결합하기에 매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10)을 이용하여 벽체(1)를 시공하게 되고, 강재 보강재(20)는 이러한 거친 표면을 가진 쇄석이나 버럭 등의 굴착 부산물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벽체(1)의 배면을 뒷채움하는 재료로서 쇄석이나 버럭 등의 굴착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면 굴착이나 터널 시공시 발생하는 쇄석, 버럭 등의 부산물을 뒷채움재(40)로서 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이고 이들 부산물 처리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벽체(1) 배면의 뒷채움재료의 공급도 용이하게 되어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약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쇄석이나 버럭 등의 뒷채움재(40)는 배수성이 우수하므로 벽체(1)로 유입되는 우수 등을 용이하게 배수하게 되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도 5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1)에서 추가적으로 연성 그리드(30)를 더 구비한 변형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는 연성 그리드(30)를 더 배치하여 벽체(1)를 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 성 그리그(30)를 배치하는 경우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에 있어서, 상면(18)에는 단차를 부여함으로써 오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목부(15)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오목부(15) 상에 연성 보강재(30)가 포설될 때, 상기 연성 보강재(30)의 두께로 인하여 상·하층 블록(1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록(10)의 전면판(17)을 마감처리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블록(10)의 전면판(17)을 마감처리함에 있어서, 벽체(1) 표면 즉, 블록(10)의 전면판(17)에 마모저항성, 방균, 방청 등의 성능을 가지는 폴리머와 규사, 색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재를 도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벽체(1) 표면에 코팅재를 도포하여 마감처리할 경우, 벽체(1) 표면의 녹, 균열,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색소가 사용되면 벽체(1)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블록 및 상기 블록에 강성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블록이 적층되고, 배면에 뒷채움 물질이 채워진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체 전면에 코팅재가 도포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체 10 블록 11 중공부
12 배수홈 13 걸이홈 14 오목홈
15 오목부 20 강성 보강재 30 연성 보강재
40 뒷채움재

Claims (8)

  1. 적층되어 벽체(1)를 이루게 되는 블록(10)으로서,
    벽체(1)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1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10)에는 상면(18)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10)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강성 보강재(20)가 상기 블록(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10)의 상면(18)에는 강성 보강재(20)의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걸이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전면판(17) 상면(18)에는 우수의 이동 및 낙하를 유도하기 위한 배수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면(18)에는 연성 보강재(30)가 포설될 수 있도록 단차진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전면판(17)에는 폴리머와 규사 및 색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5. 블록(1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벽체(1)로서,
    상기 블록(10)은, 벽체(1)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1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10)에는 상면(18)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10)의 상면(18)에는 걸이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홈(13)에는 강성 보강재(20)의 단부가 걸려서 상기 블록(1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강성 보강재(20)의 타단은 블록(10)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블록(10)의 배면 측으로는 상기 강성 보강재(20) 위로 굴착 부산물로 이루어진 뒷채움재(4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전면판(17) 상면(18)에는 우수의 이동 및 낙하를 유도하기 위한 배수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우수가 상기 배수홈(12)을 따라 벽체(1)의 측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면(18)에는 단차진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5) 위로는 연성 보강재(30)가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전면판(17)에는 폴리머와 규사 및 색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KR2020080000516U 2008-01-14 2008-01-14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200900072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16U KR20090007221U (ko) 2008-01-14 2008-01-14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16U KR20090007221U (ko) 2008-01-14 2008-01-14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21U true KR20090007221U (ko) 2009-07-17

Family

ID=4365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516U KR20090007221U (ko) 2008-01-14 2008-01-14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22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116B1 (ko) * 2015-10-28 2017-02-13 주식회사 이앤앤이 양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블록식 축조물
KR102234513B1 (ko) *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322315B1 (ko) 2021-06-30 202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KR102350825B1 (ko) 2021-10-28 2022-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탈면을 보강할 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 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장치 및 이에 의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116B1 (ko) * 2015-10-28 2017-02-13 주식회사 이앤앤이 양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블록식 축조물
KR102234513B1 (ko) *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322315B1 (ko) 2021-06-30 202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평제어 및 선하중 재하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최하부 옹벽블록 시공장치
KR102350825B1 (ko) 2021-10-28 2022-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탈면을 보강할 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 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장치 및 이에 의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221U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TW201816231A (zh) 舖覆瀝青之以混凝土為主的強化道路結構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KR20110028726A (ko) 상수도용 수밀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수판
KR200429312Y1 (ko) 보강토옹벽의 보강재 연결구조
KR101374053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럭
KR101348584B1 (ko)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KR20150039406A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20090012897U (ko) 복합형 옹벽 블록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6188386B2 (ja) シェッドの緩衝構造
JP6373163B2 (ja) 張出歩道ブロック
JP2006002435A (ja) 法面補強工法
KR200470870Y1 (ko) 옹벽블록의 상단 마감용 마감블록
KR101341147B1 (ko) 도로-교량간 포장 일체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3475906B2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KR100798219B1 (ko)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101657279B1 (ko)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JP6860311B2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
US7118309B2 (en) Component for spatial grid supporting systems comprising filler material especially for retaining walls or noise-abatement walls, and corresponding structure
KR200332299Y1 (ko) 절토법면 시공용 강화시트
CN205569721U (zh) 体育器材渗水系统
JPH07119151A (ja) 補強土構造
JP5049665B2 (ja) 垂直擁壁および垂直擁壁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