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696B1 -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 Google Patents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696B1
KR102321696B1 KR1020167028035A KR20167028035A KR102321696B1 KR 102321696 B1 KR102321696 B1 KR 102321696B1 KR 1020167028035 A KR1020167028035 A KR 1020167028035A KR 20167028035 A KR20167028035 A KR 20167028035A KR 102321696 B1 KR102321696 B1 KR 10232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cemented
cem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571A (ko
Inventor
주마나 야민
엘로디 부니
에두아르 오베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이조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이조베르 filed Critical 쌩-고벵 이조베르
Publication of KR2016014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6Mineral fibres, e.g. slag wool, mineral wool, rock woo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65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 C03C25/47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particles, fibres or flakes, e.g.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00Preparing the batches
    • C03B1/02Compacting the glass batches, e.g. pellet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5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32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32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3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melamines, amides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2Coating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2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8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xtures of the silica-lim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10Compositions or ingredien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very low content of a specific material
    • C04B2111/1037Cement free compositions, e.g. hydraulically hardening mixtures based on waste materials, not containing cement as su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당을 포함하는 사이징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 울과 별개의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울과 별개의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 및 물이 도입된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형상화된 복합체, 특히 브리켓으로 형상화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담체가 물과 함께 광물 결합제를 형성하고, 이 광물 결합제가 혼합물에 함유된 고체 입자 주위에서 서서히 고화하는 것인, 형상화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형상화된 복합체가 유리화가능한 배치(batch)로서 용융 챔버, 예컨대 쿠폴라 퍼니스에 도입되는 것인 용융된 물질을 제조하고 용융된 물질을 인발 장치에 의해 광물 울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광물 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COMPOSITE COMPRISING A MINERAL WOOL COMPRISING A SUGAR}
본 발명은 광물 울, 특히 암석 울 또는 유리 울을 기재로 하는 폐기물의 가치 증진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통, 광물 울 제조로부터의 폐기물은 광물 울의 제조 방법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브리켓" (본질적으로, 형상화된 복합체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서 다른 명칭이 이용가능함)이라는 용어로 빈번히 나타내는 형상화된 복합체 형태로 집괴화된다. 특히 브리켓 형태의 이 형상화된 복합체는 용융 퍼니스 안에 도입될 수 있고, 용융 퍼니스 그 자체가 섬유화 장치에 공급한다. 이 기술은 미립자 물질을 강한 기체 이동이 우세한 퍼니스 안에 재도입하는 것이 요망될 때 특히 유용하다.
이러해서, 또한, 본 발명은 광물 울 제조 분야에 관한 것이다. 외부 원심분리라고 알려진 한 방법에 따르면, 광물 울은 회전하는 회전자의 어셈블리 상에 부은 용융하는 광물 물질로부터 얻는데, 용융된 물질이 회전자의 주변부로부터 분출되어 인발 기체 스트림에 의해 취해지고 이렇게 해서 섬유로 전환된다. 그 다음, 울은 사이징 조성물로 함침된다. 섬유가 형성될 때 섬유 위에 사이징 조성물이 분사되고, 그 다음, 사이징된 섬유의 물질이 수용 부재 상에 수집되어 광물 울 펠트의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 운반된다. 사이즈(size)는 경화 및 가교 후 섬유 사이에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울에 그의 응집성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이 방법은 한편으로는 섬유화 동안에, 및 다른 한편으로는 펠트의 가장자리를 교정하도록 의도된 또는 제품을 올바른 크기에 이르게 하도록 의도된 형상으로의 절단의 결과로서 펠트 형성 후에, 미미하지 않은 양의 폐기물을 생성하고, 상기 섬유화 동안에는 폐기물이 고화된 광물 물질 및 사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된 광물 물질은 일반적으로 섬유 및 쇼트(shot)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공교롭게도, 이 제조는 예상된 품질을 제공하지 않으며, 일부 배치(batch)는 폐기된다.
내부 원심분리라고 불리는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이번에는 용융된 물질이 주변부에 천공된 원반 형태의 섬유화 부재를 통해 섬유화되는데, 물질이 원반의 천공된 벽을 통해 필라멘트 형태로 분출되고, 필라멘트가 인발 기체 스트림에 의해 인발된다. 이 기술은 외부 원심분리 기술의 섬유화 수율보다 훨씬 더 큰 섬유화 수율을 야기하고, 쇼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폐물을 절단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 광물-기재 폐기물은 광물 울 제조를 위한 회로에서, 특히 용융 퍼니스에 공급하는 출발 물질과 함께 재용융함으로써 가치가 증진될 수 있다. 이 재활용은 일반적으로 이 폐기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광물 울 폐기물과 일반적으로 시멘트를 포함하는 광물 결합제의 혼합물의 형상화, 특히 성형, 그 다음, 결합제의 응고를 제공하는 처리에 의해 제조된다. 브리켓 형태로 두는 것은 이 폐기물을 쉽게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의 재이용, 특히 용융 퍼니스에의 재도입 방법을 용이하게 한다.
암석 울의 경우, 이 퍼니스는 특히 쿠폴라(cupola) 퍼니스 유형일 수 있고, 여기서는 천연 암석의 블록으로 형성된 고체 출발 물질의 투입물이 번갈아 존재하는 층으로 고체 연료 (코크)의 블록과 함께 자기-지지 컬럼을 형성하고, 이 컬럼을 통해 연소 기체가 빠져 나간다. 용융이 컬럼의 하부 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컬럼에 상부를 통해 연료 및 암석이 재투입된다. 이 퍼니스는 수직 컬럼에서 안정한 고체 물질 층을 형성하는 요구되는 능력을 나타내지 않는 분말 또는 가벼운 입자로서 출발 물질의 도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형상화된 복합체, 예컨대 브리켓으로의 전환은 이 능력을 부여한다. 목표는 브리켓이 그것이 형성된 후 좋은 기계적 강도를 상당히 신속하게 발달시키는 것 및 브리켓이 그의 취급 및 그의 수송 동안에 붕괴하지 않는 것이다.
최근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재생가능한 자원, 특히 당으로부터 기인하는 출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 사이즈를 갖는 광물 울을 제조하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 그러나, 광물 울을 결합하는 데 당을 포함하는 사이즈의 이용은 그다지 견고하지 않은 브리켓을 초래하여, 그것을 제조하고/제조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사이즈에 존재하는 당이 시멘트와 불리하게 상호작용하여, 시멘트의 고화에 지장을 주고 심지어 시멘트의 고화를 막는다는 발견에 부분적으로 근거한다. 비록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시멘트의 이용이 배제되지는 않지만, 시멘트의 비율을 낮추고 시멘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실은 심지어 완전히 광물 결합제로 대체하는 것이 권장되고,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당을 포함하는 사이즈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 및 물이 도입된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형상화된 복합체, 예컨대 브리켓으로 형상화하는 것 포함하고, 상기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가 물과 함께 광물 결합제를 형성하고, 이 광물 결합제가 혼합물에 존재하는 고체 입자 주위에서 서서히 고화하는 것인, 형상화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상화는 일반적으로 성형을 포함한다.
"광물 울의 단편"이라는 표현은 여기서는 쇼트 또는 비섬유화된 물질 형태로 고화된 또는 고체 비산 물질 형태로 회수된 광물 물질, 또는 다양한 수용 또는 운반 표면 상에서 (세척 작업에 의해) 회수된 섬유의 패킷, 및 또한, 절단된 광물 울 펠트를 포함해서 광물 울의 제조로부터 기인하는 모든 폐기물을 나타낸다.
"비-시멘트"라는 표현은 이 표현이 붙는 화합물은 시멘트가 아님을 나타낸다. 시멘트는 결정질 규산칼슘 또는 결정질 알루민산칼슘을 포함하는 분말로 제조된 무수 물질이다. 시멘트는 수경성 광물 화합물이며, 그 때문에 물 존재 하에서 수화된 규산칼슘 또는 수화된 알루민산칼슘의 형성을 초래한다. 시멘트는 본질적으로 결정질이고, 10 중량% 미만의 무정형 물질을 포함한다. 시멘트에서, 규산칼슘 또는 알루민산칼슘은 결정질 상이다. 포틀랜드 시멘트, 백색 시멘트, 고-알루미나 시멘트, 술포알루미네이트 시멘트 및 프롬(prompt) 천연 시멘트가 알려져 있다. 관련 분야 기술자들은 슬래그 및 알칼리 금속 규산염을 시멘트로 간주하지 않는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물 존재 하에서 실리케이트 이온을 형성하는 수경성 특성을 갖는 물질을 목표로 삼는다. 임의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그것이 물에서 쉽게 용해하는 경우 결정질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규산나트륨의 경우에 해당되고, 규산나트륨은 특히 수용액 형태로 혼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슬래그가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슬래그가 80 중량% 초과가,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초과가 무정형이고, 슬래그가 적어도 1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고, 슬래그가 미세한 입자 크기, 특히 그의 D50이 10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인 미세한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권할만하다. 그러한 슬래그는 철강 산업의 부산물로서 얻을 수 있다. 그러한 슬래그는 수집 후 그에 가하는 수냉각 처리로부터 그의 유리질 구조, 다시 말해서 그의 본질적으로 무정형 성질을 얻고, 이것은 슬래그에 잠재적 수경성 특성을 부여한다. 그것이 건조할 때,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완전 또는 부분 무정형 고체 광물 화합물이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초과가,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초과가 무정형이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적어도 10 중량%의 실리카 (SiO2),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한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임의로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철 산화물,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술피드 또는 티타늄 산화물을 감소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되기에 충분하게 미세하다. 이러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D50이 10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다. 유리 제조 응용에서, 이 실리카 담체는 최종 유리에서 SiO2의 원천이다.
실리카 담체는 특히 다음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1
알칼리 금속 규산염;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2
하소 또는 천연 점토,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또는 몬트모릴로나이트;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3
하소 카올린 또는 탈수 카올린, 예컨대 카올리나이트 결정을 포함할 수 있는 주로 무정형인 메타카올린;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4
실리카 흄;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5
플라이 애쉬(fly ash) (C 등급, F 등급);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6
바이오매스 애쉬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7
용광로 슬래그;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8
제강소 슬래그;
Figure 112016097577848-pct00009
쌀겨재(rice husk ash), 왕겨재(rice chaff ash);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0
하소 합성 또는 천연 포졸라나;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1
천연 또는 하소 화산재;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2
디아토마이트.
상기 목록으로부터, 그다지 비싸지 않은 화합물, 예컨대 슬래그, 플라이 애쉬, 하소 합성 또는 천연 포졸라나, 하소 또는 천연 점토 또는 메타카올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그는 철강 산업으로부터의 부산물이고, 일반적으로 < 1.5의 SiO2/CaO 비 (중량)를 나타내고, 그의 CaO 및 SiO2 함량의 합은 그의 중량의 45% 초과를 나타낸다.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고, 물 존재 하에서 알칼리 금속 이온을 형성한다.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알칼리 금속 (그것은 알칼리 금속 원소, 예컨대 Na 또는 K의 백분율이며, 그의 산화물의 백분율이 아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한다.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다음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3
ROH, R2CO3, RHCO3 또는 R2SO4 (여기서, R은 Na, K 또는 Li로부터 선택됨),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4
무수 규산나트륨 또는 수화된 형태의 규산나트륨 (메타규산염 Na2SiO3, 이규산염 Na2Si2O5, 오르토규산염 Na4SiO4 또는 피로규산염 Na6Si2O7); 알칼리 금속 (칼륨 또는 리튬) 규산염.
바람직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NaOH, Na2CO3, NaHCO3, 트로나 (천연 탄산나트륨) 또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NaOH이 그의 반응성 관점에서 더 바람직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이다. 유리 제조 응용에서, 이 알칼리 금속 담체는 최종 유리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 (특히, Na2O 또는 K2O)의 원천이다. 수산화나트륨의 이용이 물질의 부식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에는, 탄산나트륨이 그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탄산나트륨도 또한 특히 효과적이다.
혼합물은 물을 포함한다. 이 물은 특히 폐기물을 수집하기 위해 다량의 물을 이용하는 섬유화 플랜트로부터 수거된 폐기물의 수분으로부터 대부분 유래할 수 있다. 또한, 물은 좋은 혼합 질 및 좋은 성형, 사실은 심지어 압착 능력 둘 다를 달성하기 위해 혼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를 포함한다.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고, 물 존재 하에서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형성한다.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중량%의 알칼리 토금속 (그것은 알칼리 토금속 원소, 예컨대 Ca 또는 Mg의 %이며, 그의 산화물의 백분율이 아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한다.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다음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5
석회석 또는 초크 (CaCO3),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6
생석회 CaO 또는 소석회 Ca(OH)2, 탄산칼슘마그네슘 또는 돌로마이트 (CaMg(CO3)2).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7
아라고나이트, 바테라이트 또는 다른 CaCO3 다형체.
슬래그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 둘 다일 수 있고, 그의 알칼리 토금속 함량은 일반적으로 30 중량% 초과이다. 바람직한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또는 생석회를 언급할 수 있다.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D50이 100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이도록 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다. 유리 제조 응용에서, 이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최종 유리에서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특히, CaO 또는 MgO)의 원천이다.
복합체의 결합제계에 대해 불활성인 광물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광물 투입물을 혼합물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물 투입물은 형상화된 복합체의 기계적 안정성에 유용한 골재 또는 유리 제조 용융에서 특히 그의 철 함량을 위해 가치 증진 관점에서 유리화가능한 투입물에 유용한 성분일 수 있다. 골재는 일반적으로 200 ㎛ 초과, 특히 1 mm 초과의 D50을 나타낸다. 광물 투입물은 비반응성 슬래그 또는 자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물일 수 있다. 그것은 산업적 부산물 (또는 공동-생성물) 또는 건물 또는 폐기물 처리장의 철거로부터 생기는 부산물 (또는 공동-생성물)의 가치를 증진시키는 산업적 재활용 산업으로부터 유래하는 골재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콘크리트의 분쇄 물질, 벽돌, 철도 도상자갈 재활용, 크러스트(crust) 재활용, 도로포장재 또는 채광 폐기물의 밀링된 생성물의 재활용). 여기서 임의로 이용되는 슬래그는 조대하고, 그것이 물 존재 하에서 특히 실리케이트 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게다가 그의 중량의 20% 초과가 결정질이고 50 ㎛ 초과의 중앙 직경 D50, 예를 들어 200 ㎛ 초과의, 특히 1 mm 초과의 D50을 갖는 높은 입자 크기를 갖기 때문에 위에서 주어진 의미 내의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것은 자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수거 후 냉각 처리 없이 고화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결정화되는, 전환기로부터 생기는 LD 슬래그가 특히 관심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켓의 고화 화학에 참여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불활성인 이 광물 투입물은 브리켓이 용융에 재사용될 때 제조될 광물 섬유의 출발 물질의 원천이다. 이 골재 투입물은 혼합물에 도입되어 성형될 물질을 형성하고, 이렇게 해서, 형상화된 복합체에 5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은 염기성 pH, 일반적으로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의 pH로 제조된다. 그러한 pH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금속 담체, 특히 NaOH에 의해 생성된다. 이 높은 pH는 매질을 다양한 담체에 대해 공격적이게 하고, 그래서 담체가 그의 이온을 용액에 더 쉽게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불활성 광물 투입물 갖든 또는 갖지 않든 신속하게 고화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적 방법과 관련해서는, 그러한 광물 투입물이 존재한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가 광물 결합제의 두 주성분이고, 이들은 용해되지 않은 물질 주위에 분포되어 경화될 것이다. 혼합물에 추가로 알칼리 토금속 담체의 존재가 바람직하다. 혼합물에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또한, 혼합하는 물에서 생성된 알칼리 토금속 이온도 광물 결합제 형성에 참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적당한 혼합물에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규산나트륨 또는 슬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그는 적어도 1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고 그의 중량의 80% 초과가 무정형이고 그의 D50이 100 ㎛ 미만이고,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규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포함하고, 또한, Ca(OH)2 또는 CaCO3을 포함하는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도 상기 혼합물에 존재한다.
당 포함 사이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이즈의 건조 물질의 30 내지 90 중량%의 비율 (건조 사이즈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당의 %)로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용되는 "당"이라는 표현은 모노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를 나타낸다.
당은 환원성 사카라이드, 비환원성 사카라이드 및 수소화된 사카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이다. "환원성 사카라이드"라는 표현은 통상적인 의미로, 즉, 자유 헤미아세탈 OH 기를 담지하는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로 이해해야 하고, 이 자유 헤미아세탈 OH 기는 특히 알칼리성 구리 용액에 대해 환원 작용을 갖는다. 환원성 모노사카라이드의 예로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환원성 사카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알도스를 언급할 수 있고, 유리하게는 알도스는 5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알도스는 천연 알도스 (D 계열에 속함), 특히 헥소스, 예컨대 글루코스, 만노스 및 갈락토스이다.
"비환원성 사카라이드"라는 표현은 통상적인 의미로, 즉, 그것이 헤미아세탈 OH 기를 담지하는 1개의 탄소가 결합에 관여하는 여러 개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진 사카라이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환원성 사카라이드는 알칼리성 구리 용액에 대해 어떠한 환원 작용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한 비환원성 사카라이드의 예로는 디사카라이드, 예컨데 트레할로스, 이소트레할로스, 수크로스 및 이소수크로스; 트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멜레지토스, 겐티아노스, 라피노스, 에를로스 및 움벨리페로스; 테트라사카라이드, 예컨대 스타키요스; 및 펜타사카라이드, 예컨대 베르바스코스를 언급할 수 있다.
"수소화된 사카라이드"라는 용어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일 수 있는 모노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 생성물의 혼합물, 특히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선택되는 사카라이드의 어떠한 방식으로든 환원으로부터 생기는 모든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수소화된 사카라이드의 예로는 에리트리톨, 아라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말티톨, 이소말티톨, 락티톨, 셀로비톨, 팔라티니톨, 말토트리톨, 및 전분 가수분해물의 수소화 생성물을 언급할 수 있다.
당 포함 사이즈는 다른 화합물, 예컨대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고, 가교제는 단량체 또는 중합체 다관능성 유기 산, 특히 시트르산, 일차 또는 이차 아민, 수성 암모니아, 또는 유기 또는 무기 산의 금속 또는 암모늄 염, 특히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금속 술페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당 포함 사이즈는 에틸렌성 불포화 부분을 포함하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반응성 화합물은 특히 말레산 무수물 및 테트라에틸펜타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고, 이 반응 생성물은 비환원성 당과 특히 반응성이다. 또한, 당 포함 사이즈는 첨가제, 예컨대 커플링제로서 실란, 예를 들어 극성 말단 기를 포함하는 실란, 예를 들어 아미노실란, 또는 발수제로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기 위한 사이징 조성물을 서술하는 문헌의 예로는 참고로 포함되는 US2010/0282996, US2012/0263934, WO2012/168619 및 WO2012/168621을 언급할 수 있다.
광물 울의 단편은 심지어 혼합물에 도입되어 (적당한 경우, 광물 울의 단편에 이미 존재하는 소량의 물을 제외한) 혼합물의 다른 성분들과 접촉하기 전에 당 포함 사이즈를 포함한다. 이러해서, 혼합물에 광물 울, 사이즈 및 당의 도입이 동시에 일어나고, 이 세 성분은 혼합물에 도입되기 전에 광물 울의 단편 내에에 조합된다.
광물 울의 단편은 일반적으로 암석 울 또는 유리 울을 포함한다. 광물 울의 단편은 일반적으로 혼합물에 혼합물의 1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도입된다.
당 포함 사이즈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은 암석 울의 제조로부터의 폐기물일 수 있다. 암석 울의 주성분은 다음과 같다:
SiO2: 32 내지 47 중량%
Al2O3: 15 내지 22 중량%
CaO+MgO: 20 내지 40 중량%
철 산화물: 5 내지 15 중량%
당 포함 사이즈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은 통상적인 유리 울의 제조로부터의 폐기물일 수 있다. 이 유리 울의 주성분은 다음과 같다:
SiO2: 50 내지 75 중량%
Al2O3: 0 내지 8 중량%
CaO+MgO: 5 내지 20 중량%
철 산화물: 0 내지 3 중량%
Na2O+K2O: 12 내지 20 중량%
B2O3: 2 내지 10 중량%
당 포함 사이즈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은 알루미나-풍부 유리 울의 제조로부터의 폐기물일 수 있다. 이 알루미나-풍부 유리 울의 주성분은 다음과 같다:
SiO2: 35 내지 50 중량%
Al2O3: 10 내지 30 중량%
CaO+MgO: 12 내지 35 중량%
철 산화물: 2 내지 10 중량%
Na2O+K2O: 0 내지 20 중량%
당 포함 사이즈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은 일반적으로 혼합물에 10 내지 60 중량%의 비율(건조 울의 단편의 백분율임; 상기 단편은 일반적으로 혼합물에 습윤 상태로 도입되는 것으로 이해한다)로 도입된다. 광물 울은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혼합물에 도입되기 전에 임의로 약간 분쇄될 수 있지만, 광물 울은 5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섬유가 육안으로 분명히 구별되기 때문에 그의 섬유 성질을 보유한다.
광물 울의 단편에 포함되는 사이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건조 울의 단편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의 사이즈 건조 물질의 비율, 더 특히, 0.5 내지 7 중량%의 사이즈 건조 물질의 비율로 존재한다.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의 중량의 합은 혼합물의 5 내지 30 중량%를 나타낼 수 있다. 물론, 화합물이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 둘 다라는 특성을 갖는 경우, 그 화합물은 이 중량 합 결정에서 한 번만 계수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된 실리카의 몰수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된 알칼리 금속의 몰수의 합은 혼합물 kg 당 0.5 몰 초과이다. 이 합은 일반적으로 혼합물 kg 당 0.5 내지 3 몰이다.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된 알칼리 금속의 몰수에 대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된 실리카의 몰수의 비는 0.2 내지 3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1 몰의 실리카, 특히 혼합물 kg 당 3 몰 이하의 실리카,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kg 당 0.1 내지 2 몰의 실리카를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1 몰의 알칼리 금속,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kg 당 0.1 내지 1.5 몰의 알칼리 금속을 도입한다.
알칼리 토금속 담체의 존재가 바람직하다. 그것이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3 몰의 알칼리 토금속, 특히 혼합물 kg 당 3 몰 이하의 알칼리 토금속,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kg 당 0.3 내지 2 몰의 알칼리 토금속을 도입한다.
시멘트가 혼합물에 도입되지 않을 수 있고, 만일 시멘트가 혼합물에 도입되는 경우, 시멘트는 혼합물의 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의 비율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의 중량에 대한 시멘트의 중량의 비는 1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는 적어도 1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한다.
특히 적당한 혼합물에 따르면,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는 하나의 동일한 슬래그를 포함하고 (이것은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 둘 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슬래그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함),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는 탄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시멘트는 혼합물에 혼합물의 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의 비율로 도입되고, 물은 혼합물에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의 중량의 5 내지 30%의 비율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특히 적당한 혼합물에 따르면,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실리카의 몰수의 50% 초과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토금속의 몰수의 50% 초과가 동일한 슬래그에 의해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특히 적당한 혼합물에 따르면,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금속의 몰수의 50% 초과가 탄산나트륨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된다. 시멘트가 혼합물에 도입되는 경우, 시멘트는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의 적어도 0.1 중량%의 비율로 도입된다.
성형될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임의의 적당한 혼합기에서 제조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혼합물에 열을 도입함으로써 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일부 성분,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의 용해 때문에 혼합물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물은 광물 결합제가 성형될 물질 전체에 분포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하지만 형상화된 복합체가, 적당한 경우 압축 후, 금형으로부터 제거될 때 그의 형상을 보유하도록 불충분하게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물은 혼합물에 혼합물의 중량의 5 내지 30%의 비율로 존재한다.
그 다음, 혼합에 의해 얻은 성형될 물질을 성형 및 임의로 압착에 의해 형상화된 복합체, 특히 브리켓으로 전환시킨다. 특히, 성형될 물질을 금형에 넣고, 갇힌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진동시키고, 그 다음, 임의로, 금형의 이동가능한 면 중 하나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착한다. 브리켓은 예를 들어 20 ㎤ 초과, 특히 100 내지 1000 ㎤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형상화된 복합체가 자연적으로 경화한다. 형상화된 복합체를 시간에 따라 건조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그의 물 함량이 저장 시간 동안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의 물 함량은 그의 저장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은 형상화된 복합체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용융된 물질을 제조하고, 용융된 물질을 섬유화 장치에 의해 광물 울로 전환시키는 광물 울의 제조 방법이고, 본 발명에 따라서 얻은 형상화된 복합체가 유리화가능한 투입물로서 용융 챔버, 예컨대 쿠폴라 퍼니스에 도입된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먼저, 실험적 맥락에서 형상화된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 존재 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기본 결합제 제제의 일련의 실시예 (A)를 제시한다. 또 다른 일련의 혼합물 (B)에서는, 제제가 광물 투입물의 골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A1 내지 A17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지시된 양은 건조 물질의 그램으로 중량부이고, 당연히 "총 물" 란은 이 경우에서 제외되고, "총 물" 란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혼합물에 도입된 모든 물을 더한 것이다.
표 1에서, 광물 울의 제조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분진 회수로부터 유래되는 광물 폐기물은 입자 또는 슈도섬유(pseudofiber) 유형의 유리화가능한 물질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광물 폐기물은 결합제 형성에 참여하지 않는 불활성 광물 투입물로 간주된다.
<표 1>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8
광물 울의 단편은 암석 울 섬유 및 당 포함 사이징 조성물을 포함하였다. 이 광물 울의 단편의 함량을 표 1에서는 광물인 것 ("섬유" 란)과 사이징 조성물로 나누었다. 사이즈는 건조 조건 하에서 68 중량%의 수크로스, 12 중량%의 황산암모늄, 0.5 중량%의 실란 및 19.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및 테트라에틸펜타민 유형 첨가제를 포함하였고, 이 마지막 두 화합물은 사이징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기 전에 함께 혼합하였다.
광물 울의 단편은 습윤 상태로 혼합물에 도입하였다. 표 1에서, "섬유" 란은 물 또는 사이징 조성물이 없는 단편의 양을 제공한다. "당 포함 사이즈" 란 및 "페놀계 수지" 란은 암석 울 상에 침착된 사이징 물질의 양을 제공한다. "총 물" 란은 단편에 의해 처음에 도입된 물 및 첨가된 물의 합을 제공한다. 이용된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였다. 활성 슬래그는 용광로 슬래그였고,
SiO2 32.3%,
CaO 38.2% (즉, Ca 27.3%),
MgO 9.2% (즉, Mg 5.54%),
Al2O3 14.9%,
및 또한, 그의 조성을 10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적은 비율의 다른 산화물
을 포함하였다 (%는 중량%임). 슬래그는 90 중량% 초과가 무정형이었다. 이 슬래그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알칼리 토금속 담체 둘 다이다. 슬래그의 D90이 90 ㎛ 미만이고 슬래그의 D50이 30 ㎛이기 때문에, 슬래그의 입자 크기는 미세하였다.
사이징 조성물은 건조 상태에서 68 중량%의 수크로스, 12 중량%의 황산암모늄, 0.5 중량%의 실란 및 19.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및 테트라에틸펜타민 유형의 첨가제를 포함하였고, 이 마지막 두 화합물은 사이징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기 전에 함께 혼합하였다. 규산나트륨은 실리카 담체 및 알칼리 금속 담체 둘 다이다. 규산나트륨은 28.3 중량%의 SiO2 및 21.7 중량%의 Na을 포함하였다. 규산나트륨은 80 중량% 초과가 무정형이었다.
진동 하에서 성형한 후 금형으로부터 이형함으로써 4 cm x 4 cm x 16 cm 치수를 갖는 시험 시편을 제조하였다. 2 가지 유형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부는 4 x 4 x 16 ㎤ 시험 시편의 제조를 포함하였고, 이들에 대해 MPa 단위로 측정되는 압축 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불활성 슬래그 또는 자갈 유형의 불활성 유리화가능한 물질이 본 발명에 따른 광물 결합제를 시험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불활성 슬래그 또는 자갈 유형의 불활성 유리화가능한 물질을 혼합물에 첨가하지 않고 표 1의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이 시험의 결과를 표 2의 왼쪽 부분에 "4 x 4 x 16 cm에서 압축 강도 (MPa)" 란에 일수 (3 내지 28일)의 함수로서 보고하였다. 다른 시험에서는,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표 1에서와 동일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이징 물질을 미리 섬유 상에 침착시키지 않고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혼합물의 물질의 경화 동안에 주걱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으로부터 0 (고형성이 없음) 내지 3 (매우 좋은 고형성)의 등급을 줌으로써 혼합물의 물질의 응고 시간을 일수 (1 내지 28일)의 함수로서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의 오른쪽 부분에 "페이스트(섬유를 갖지 않음)의 응고 시간 (0 내지 3)" 란에 보고하였다.
<표 2>
Figure 112016097577848-pct00019
당 포함 사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높은 시멘트 함량을 갖는 실시예가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장 높은 양의 알칼리 토금속 담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A5 및 A10은 압축 강도 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주었다. 특히, 실시예 A4 및 A10의 비교는 알칼리 토금속 담체의 양의 증가가 결과를 크게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실시예 A10의 경우에 소량의 CaCO3가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 두 실시예의 조성물이 동일하다는 것을 표 1에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표 3은 표 1의 실시예의 혼합물에 관해 비-시멘트 실리카,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의 몰수를 제공한다.
<표 3>
Figure 112016097577848-pct00020
표 1에 나타낸 조성물에는 경화 시험을 위한 시험 시편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높은 함량의 불활성 광물 투입물이 없다. 그러나, 실제 이용에서는, 보통, 불활성 광물 투입물, 예컨대 자갈 또는 불활성 조대한 슬래그의 골재가 혼합물에 도입된다. 이 두 투입물은 결정질이고, 큰 입자로 제조되고,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실리카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아니다. 실시예 B1 내지 B17은 더 높은 함량의 불활성 광물 투입물을 갖는 조성물을 예시한다,
실시예 B1 내지 B17
표 4는 표 1의 혼합물에 상응하지만, 14 중량부의 자갈 및 20 중량부의 불활성 조대 슬래그로 이루어진 불활성 광물 투입물의 골재 24 중량부가 첨가된 혼합물의 모든 성분의 중량 백분율을 제공한다. "불활성 광물 투입물" 란은 표 1에 나타낸 광물 폐기물을 포함해서 도입된 모든 불활성 투입물의 백분율의 합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6097577848-pct00021
표 5는 표 4의 실시예의 조성물에 관해서 브리켓 kg 당 상이한 담체의 몰수 및 일부 비를 제공한다.
<표 5>
Figure 112016097577848-pct00022

Claims (26)

  1. - 당을 포함하는 사이즈(size)를 포함하는 광물 울의 단편,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 및 물이 도입된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 혼합물을 형상화된 복합체로 형상화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물과 함께 광물 결합제를 형성하고, 이 광물 결합제가 혼합물에 존재하는 고체 입자 주위에서 고화하는 것인, 형상화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pH가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울의 단편이 암석 울 또는 유리 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울의 단편을 혼합물에 혼합물의 1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의 중량의 합이 혼합물의 5 내지 3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5 내지 50 중량%의 골재, 또는 200 ㎛ 초과의 D50을 갖는 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실리카의 몰수 및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금속의 몰수의 합이 혼합물 kg 당 0.5 몰 초과, 또는 혼합물 kg 당 0.5 내지 3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징 조성물이 광물 울의 단편에 건조 울의 단편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의 사이즈 건조 물질의 비율로, 또는 0.5 내지 7 중량%의 사이즈 건조 물질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멘트를 혼합물에 도입하지 않거나, 또는 시멘트를 혼합물에 혼합물의 8 중량% 미만, 또는 4 중량% 미만, 또는 3 중량% 미만의 비율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멘트를 혼합물에 도입하지 않거나, 또는 시멘트를 혼합물에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의 중량에 대한 시멘트의 중량의 비가 1 미만, 또는 0.5 미만이도록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금속의 몰수에 대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실리카의 몰수의 비가 0.2 내지 3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를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1 몰의 실리카, 또는 혼합물 kg 당 3 몰 이하의 실리카, 또는 혼합물 kg 당 0.1 내지 2 몰의 실리카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를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1 몰의 알칼리 금속, 또는 혼합물 kg 당 0.1 내지 1.5 몰의 알칼리 금속으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울과 구별되는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혼합물에, 혼합물 kg 당 적어도 0.3 몰의 알칼리 토금속, 또는 혼합물 kg 당 3 몰 이하의 알칼리 토금속, 또는 혼합물 kg 당 0.3 내지 2 몰의 알칼리 토금속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Ca(OH)2 또는 CaC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가 규산나트륨 또는 슬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그는 적어도 1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그의 중량의 80% 초과가 무정형이고 그의 D50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가 수산화나트륨 또는 규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이 혼합물에 혼합물의 5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당이 사이징 조성물에 사이즈의 건조 물질의 30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의 D50이 100 ㎛ 이하, 또는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가 하나의 동일한 슬래그를 포함하고,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가 탄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시멘트가 혼합물에 혼합물의 8 중량% 미만, 또는 4 중량% 미만, 또는 3 중량% 미만의 비율로 도입되고, 물이 혼합물에혼합물의 중량의 5 내지 30%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시멘트가 혼합물에 혼합물의 적어도 0.1 중량%의 비율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실리카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실리카의 몰수의 50% 초과 및 비-시멘트 알칼리 토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토금속의 몰수의 50% 초과가 동일한 슬래그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비-시멘트 알칼리 금속 담체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알칼리 금속의 몰수의 50% 초과가 탄산나트륨에 의해 혼합물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형상화된 복합체가 브리켓이고, 혼합물을 브리켓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성형 및 임의로 압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용융된 물질을 제조하고, 용융된 물질을 섬유화 장치에 의해 광물 울로 전환시키는 광물 울의 제조 방법이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얻은 형상화된 복합체를 유리화가능한 투입물로서 용융 챔버, 또는쿠폴라(cupola) 퍼니스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28035A 2014-04-10 2015-04-09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KR102321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3215 2014-04-10
FR1453215A FR3019816B1 (fr) 2014-04-10 2014-04-10 Composite comprenant une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sucre
PCT/FR2015/050957 WO2015155486A1 (fr) 2014-04-10 2015-04-09 Composite comprenant une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suc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571A KR20160145571A (ko) 2016-12-20
KR102321696B1 true KR102321696B1 (ko) 2021-11-04

Family

ID=5122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035A KR102321696B1 (ko) 2014-04-10 2015-04-09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364183B2 (ko)
EP (1) EP3129331B1 (ko)
JP (1) JP6767965B2 (ko)
KR (1) KR102321696B1 (ko)
CN (1) CN106458750A (ko)
BR (1) BR112016023211B1 (ko)
CA (1) CA2942733C (ko)
CL (1) CL2016002551A1 (ko)
ES (1) ES2966095T3 (ko)
FR (1) FR3019816B1 (ko)
HR (1) HRP20231583T1 (ko)
MX (1) MX2016013115A (ko)
PL (1) PL3129331T3 (ko)
RU (1) RU2690985C2 (ko)
WO (1) WO2015155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5261B (en) * 2017-01-05 2021-05-19 Gent Tim A glass Briquette forming system
GB201801977D0 (en) * 2018-02-07 2018-03-28 Knauf Insulation Doo Skofja Loka Recycling
CN109336415B (zh) * 2018-09-27 2021-06-11 吉林大学 一种以硅炭黑对玄武岩纤维进行纤维表面改性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5553A1 (en) * 2010-07-30 2013-06-27 Jean M.W. Cuypers Compacted body for use as mineral charge in the production of mineral wool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2981A (en) * 1947-12-23 Method of making calcareous-silicious insulating units
US2578110A (en) * 1942-04-13 1951-12-11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Production of glass
US2904444A (en) * 1957-11-26 1959-09-15 Fibreboard Paper Products Corp Method of making calcareous-silicious insulating material
DK302076A (da) * 1976-07-02 1978-01-03 Rockwool Int Fremgangsmade ved fremstilling af produkter ud fra en mineraluldsmelte
FR1557797A (ko) * 1967-12-15 1969-02-21
AT363165B (de) * 1979-10-08 1981-07-10 Hatschek Zementwerke Ag H Bau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S57100970A (en) * 1980-12-16 1982-06-23 Denki Kagaku Kogyo Kk Formed body strength increasing method
US4617075A (en) 1984-10-09 1986-10-14 Dayco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elt
JPH01192743A (ja) * 1988-01-27 1989-08-02 Nippon Steel Chem Co Ltd ブリケット及びロックウールの製造方法
JPH03228831A (ja) 1990-01-31 1991-10-09 Nippon Sheet Glass Co Ltd ブリケットバッチの造粒方法
FI86541C (sv) * 1990-08-29 1992-09-10 Partek Ab Råmaterialbrikett för mineralullstillverkning och förfarande för dess framställning
DE4122334A1 (de) 1991-07-05 1993-01-07 Zementanlagen Und Maschinenbau Verfahren und anlage zum behandeln von mineralwolle-abfaellen
JPH0656474A (ja) * 1992-07-31 1994-03-01 Nippon Steel Chem Co Ltd ロックウール製造原料
JPH07286011A (ja) * 1994-04-19 1995-10-31 Nippon Kayaku Co Ltd 新規共重合体、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体
GB9412007D0 (en) 1994-06-15 1994-08-03 Rockwell International A S Production of mineral fibres
US5556457A (en) 1995-04-21 1996-09-17 Usx Corporation Recovery of steel plant revert materials through cementitious agglomeration
US5820668A (en) 1995-12-22 1998-10-13 Ib Technologies Llc Inorganic binder composition, production and uses thereof
WO1997025286A1 (en) * 1996-01-05 1997-07-17 Asset Associate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rock wool
DE19600299A1 (de) 1996-01-05 1997-07-10 Gruenzweig & Hartmann Formling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AU724478B2 (en) 1996-01-10 2000-09-2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Improved storage wrap material
US7833638B2 (en) * 2007-09-13 2010-11-16 Johns Manville Glass mat with inorganic coating
FR2924719B1 (fr) 2007-12-05 2010-09-10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monosaccharide et/ou un polysaccharide et un acide organique polycarboxyliqu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CN101497513B (zh) * 2008-01-31 2012-02-22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轻质矿棉板
FR2935707B1 (fr) * 2008-09-11 2012-07-20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a base de sucre hydrogen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46352B1 (fr) * 2009-06-04 2012-11-09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saccharide, un acide organique polycarboxylique et un silicone reactif,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51189B1 (fr) * 2009-10-13 2011-12-09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sucre reducteur et un sel metallique d'acide inorganiqu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CN102372477A (zh) * 2010-08-27 2012-03-14 马宝建 一种岩棉制品及其制备方法
FR2964099B1 (fr) * 2010-08-30 2012-08-17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sucre non reducteur et un sel metallique d'acide inorganiqu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68008B1 (fr) 2010-11-30 2014-01-31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fibres, notamment minerales, comprenant un sucre non reducteur et un sel d'ammonium d'acide inorganique, et produits resultants.
FR2975689B1 (fr) * 2011-05-25 2014-02-28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exempte de formaldehyde pour fibres, notamment minerales, et produits resultants.
FR2975690B1 (fr) * 2011-05-25 2014-06-13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exempte de formaldehyde pour fibres, notamment minerales, et produits resultants.
US20120315458A1 (en) * 2011-06-10 2012-12-13 Guodong Zheng Fiberglass composite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from phosphorous-contai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R2976582B1 (fr) * 2011-06-17 2014-12-26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a faible emission de composes organiques volatils,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78446B1 (fr) * 2011-07-27 2015-06-05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a base de maltitol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78768B1 (fr) * 2011-08-05 2014-11-28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a base de saccharide reducteur et de saccharide hydrogen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CN104781200A (zh) 2012-11-12 2015-07-15 环境改善与物流有限公司 用于生产岩棉的团块和生产所述团块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5553A1 (en) * 2010-07-30 2013-06-27 Jean M.W. Cuypers Compacted body for use as mineral charge in the production of mineral w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2733A1 (fr) 2015-10-15
FR3019816A1 (fr) 2015-10-16
CL2016002551A1 (es) 2017-04-07
KR20160145571A (ko) 2016-12-20
HRP20231583T1 (hr) 2024-03-29
CN106458750A (zh) 2017-02-22
WO2015155486A1 (fr) 2015-10-15
US20170144912A1 (en) 2017-05-25
RU2016144009A3 (ko) 2018-11-14
EP3129331A1 (fr) 2017-02-15
RU2690985C2 (ru) 2019-06-07
ES2966095T3 (es) 2024-04-18
CA2942733C (fr) 2022-06-07
US10364183B2 (en) 2019-07-30
EP3129331B1 (fr) 2023-11-08
BR112016023211B1 (pt) 2022-06-21
PL3129331T3 (pl) 2024-03-04
RU2016144009A (ru) 2018-05-11
BR112016023211A2 (ko) 2017-08-15
JP6767965B2 (ja) 2020-10-14
MX2016013115A (es) 2017-01-20
EP3129331C0 (fr) 2023-11-08
JP2017520505A (ja) 2017-07-27
FR3019816B1 (fr)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2282B2 (en) Particulate compositions for the formation of geopolymers, their use and methods for forming geopolymers therewith, and geopolymers obtained therefrom
US8609244B2 (en) Engineered low-density heterogeneous microparticles and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producing the microparticles
RU2090525C1 (ru) Брикеты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рикетов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KR20080077002A (ko) 응고성 복합재를 위한 다기능성 조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RU2013132983A (ru) Гео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т для бетона ультравысокого качества
US4405723A (en) Ceramic fibers and wool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KR102321696B1 (ko) 당을 포함하는 광물 울을 포함하는 복합체
RU2374206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PL226104B1 (pl) Tworzywo geopolimerowe oraz sposob wytwarzania tworzywa geopolimerowego
KR100448330B1 (ko) 석탄회를 이용한 인공골재 및 그 제작방법
KR102042779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지반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
WO1985000035A1 (en) Ceramic material
RU2580536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аростойких бетонов
KR102144170B1 (ko) 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JP2005075716A (ja) 赤泥の固化方法
RU2370468C1 (ru)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ая масса
RU2426707C1 (ru)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ая масса
Moukannaa et al. Thermal resistance of alkaline fused phosphate sludge-based geopolymer mortar
RU2520308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JP7041918B2 (ja) 曲げ性能が高いジオポリマー硬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720340C1 (ru) Композиционная керамическая смесь
RU2571780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аростойких бетонов
RU257443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аростойких бетонов
RU2330824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RU2226515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