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251B1 -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251B1
KR102320251B1 KR1020200040126A KR20200040126A KR102320251B1 KR 102320251 B1 KR102320251 B1 KR 102320251B1 KR 1020200040126 A KR1020200040126 A KR 1020200040126A KR 20200040126 A KR20200040126 A KR 20200040126A KR 102320251 B1 KR102320251 B1 KR 10232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tin
mugwort
quantitative analysis
solutio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996A (ko
Inventor
황경아
황유진
최정숙
송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4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36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saccharides

Abstract

본 발명은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는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동맥경화, 고혈압, 뇌출혈 등의 심장계 질환 예방 및 당뇨병, 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인 루틴(Rutin)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분석법을 확립하였는 바, 본 발명의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경시안전성 증진 및 원재료의 효율적인 기준규격 관리가 가능하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를 표준화함으로써 양질의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Rutin as an Index Component from Aster yomena Extracts}
본 발명은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부쟁이(Aster Yomena)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한국, 중국, 일본 및 시베리아 등지에 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산야지 약간 습기있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높이는 1 내지 1.5m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며 처음에 싹이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지만 자라면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빛이 돈다. 이러한 쑥부쟁이는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여 풍을 제거하고, 해열, 해독하며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과 풍열로 인한 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 정창, 종독, 뱀에 물린 상처, 벌한테 쏘인 상처를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쑥부쟁이에는 asteryomenin, esculetin, 4-O-b-D-glucopyranoside-3-hydroxy methyl benzoate, caffeic acid, rutin, isoquercitrin, isorhamnetin-3-O- glucoside, apigenin 등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요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혈전, 산화스트레스 억제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쑥부쟁이의 성분 중 하나인 루틴은 플라보노이드계 프라보놀 배당체(글리시드)의 일종으로 쿼세틴에 루티노오소(rutinose)가 결합한 배당체 구조이다. 루틴은 비타민P 또는 비타민 C2 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비타민C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루틴의 주요 효능은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동맥경화, 고혈압, 뇌출혈 등의 심장계 질환 예방 및 당뇨병, 비만 등에 효과가 보고되어있고 또한 녹내장, 암과 치근막염, 잇몸출혈, 구취제거 및 위장질환, 간질환, 신장질환을 예방하며 특히 루틴은 쿼세틴과 유사한 성질로 항암, 항염증,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효능에 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쑥부쟁이를 비롯한 천연물의 경우 재배조건 등 외부환경에 따라서 생육 및 이들의 유효성분 및 지표성분의 함량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기능성원료의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법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쑥부쟁이의 구성성분의 분석과 연관된 선행기술로는 HPLC-UV를 이용한 섬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문헌이 있으나(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1), 1610~1616(2016)), 쑥부쟁이에서의 중요한 지표성분인 루틴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기능성원료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쑥부쟁이 추출물을 제조할 때 루틴 함량이 높은 에탄올 농도 조건을 확립하고, HPLC를 사용하여 루틴을 분석하여 함량을 결정하였으며, 진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 평가를 통하여 분석법 검증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1) 쑥부쟁이(Aster yomena) 시료를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된 쑥부쟁이 추출물을 여과보조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필터 프레스로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에 메탄올을 혼합하여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시료용액을 표준용액과 혼합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Rutin)의 정량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면은
1) 쑥부쟁이(Aster yomena) 시료를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된 쑥부쟁이 추출물을 여과보조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필터 프레스로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에 메탄올 수용액을 혼합하여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시료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루틴을 포함하는 루틴 표준품으로 제조한 표준용액과 혼합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Rutin)의 정량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는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동맥경화, 고혈압, 뇌출혈 등의 심장계 질환 예방 및 당뇨병, 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인 루틴(Rutin)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분석법을 확립하였는 바, 본 발명의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경시안전성 증진 및 원재료의 효율적인 기준규격 관리가 가능하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를 표준화함으로써 양질의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 공정으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함유한 시험용액 및 표준품 중 루틴의 크로마토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 공정으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함유한 시험용액 및 표준품 중 루틴의 PDA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 공정으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 내 루틴의 직선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검량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 공정으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 내 루틴의 직선성 반복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1) 쑥부쟁이(Aster yomena) 시료를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된 쑥부쟁이 추출물을 여과보조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필터 프레스로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에 메탄올 수용액을 혼합하여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시료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루틴을 포함하는 루틴 표준품으로 제조한 표준용액과 혼합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Rutin)의 정량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권영초·왜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쑥부쟁이에는 우리나라에서 야생하는 갯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등의 Kalimeris 속 식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루틴(Rutin)은 플라보노이드계 프라보놀 배당체(글리시드)의 일종으로 쿼세틴에 루티노오소(rutinose)가 결합한 배당체 구조를 가지는 성분을 말한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단계에 있어서, 시료는 건조된 시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는 40% 내지 60%일 수 있고, 45% 내지 5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추출은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단계에 있어서, 1차 추출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1 내지 4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5 내지 3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10 내지 2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13 내지 17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단계에 있어서, 2차 추출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1 내지 3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2 내지 25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3 내지 2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추출에 사용되는 쑥부쟁이의 중량 1g 당 5 내지 1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 방법은 침지, 열수추출, 진탕추출, 속실렛(Soxhlet) 추출, 환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여과 보조제는 2% 퍼라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교반은 50 내지 100 rpm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 후의 농축액의 농도가 25 Brix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4)의 시료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는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50 내지 90%일 수 있고, 60 내지 8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4)의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방냉 과정 후 정용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4)의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5)의 표준용액은 루틴 트리하이드레이트(Rutin trihydrate) 표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5)의 시료용액과 표준용액을 1:5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1:4으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1:3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1:2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충전제로 C14 내지 C20 기능기를 갖는 실리카를 사용한 것일 수 있고, C18 기능기를 갖는 실리카를 사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이동상으로 A는 0.01 ~ 0.5 % 아세트산 수용액 80 ~ 90 부피% 및 B는 아세토나이트릴 10 ~ 20 부피%로 16 분까지 검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분석은 14 - 18분에서 20 - 24분까지는 이동상 B가 아세토나이트릴 100 부피%로 검출하고, 20 - 24분에서 28 - 32분까지는 이동상 A는 0.01 ~ 0.5 % 아세트산 수용액 80 ~ 90 부피% 및 B는 아세토나이트릴 10 ~ 20 부피%로 검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품질관리방법은
1) 제1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적정 품질의 루틴 함량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2) 제1항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품질검사대상 쑥부쟁이 원재료의 루틴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3) 단계 1)에서 설정한 루틴 함량의 범위와 단계 2)에서 측정한 루틴 함량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품질관리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적정 품질의 루틴 함량 범위는 3.000mg/g 내지 4.500mg/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품질관리방법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측정한 루틴 함량이 단계 2)에서 설정한 루틴 함량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품질이 좋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쑥부쟁이의 유효 지표성분인 루틴의 추출조건은 추출물 내 유효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통하여 우수한 효능의 추출물을 확보하고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쑥부쟁이의 성분 중 하나인 루틴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통한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배조건에 따른 루틴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이 최대가 되는 재배조건을 확립, 경시안전성 증진, 원재료의 효율적인 기준규격 관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표준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쑥부쟁이 50% 에탄올 추출분말의 제조
구례군(농가)에서 입수한 쑥부쟁이 150kg에 50% 에탄올을 쑥부쟁이 원재료의 15배인 2250mL를 가한 후 1차로 80℃에서 4시간동안 열수추출하고, 2차로 1차추출액에 쑥부쟁이 원재료의 7배인 1050ml의 5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4시간동안 열수추출을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여과 보조제인 2% 퍼라이트를 첨가하고 50 내지 100 rpm에서 교반하여 필터 프레스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25 brix 이상의 농축물을 얻은 다음 주입구(inlet) 180℃, 배출구(outlet) 85℃로 분무건조하여 쑥부쟁이 50% 에탄올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쑥부쟁이 30% 에탄올 추출분말의 제조
쑥부쟁이 원재료에 30% 에탄올을 사용하여 열수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쑥주쟁이 30% 에탄올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분말의 제조
쑥부쟁이 원재료에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열수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쑥주쟁이 70% 에탄올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에탄올 농도에 따른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 확인
에탄올 농도에 따른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쑥부쟁이 50% 에탄올 추출분말, 쑥부쟁이 30% 에탄올 추출분말 및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분말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쑥부쟁이 50% 에탄올 추출분말의 경우 22%의 수율을 나타내어 18%의 수율을 보인 쑥부쟁이 30% 에탄올 추출분말과 15%의 수율을 나타낸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분말에 비해 가장 높은 추출 효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에탄올 농도에 따른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루틴 함량 확인
에탄올 농도에 따른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루틴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루틴(Rutin trihydrate) 표준품 10 mg을 50 mL 갈색용량플라스크에 취하고 70% 메탄올 35 mL를 넣고 초음파 처리한 후 표선까지 정용한 것을 표준원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한 것을 표준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의 방법으로 제조한 각각의 50%, 30% 및 70% 에탄올로 추출한 쑥부쟁이 추출분말 약 500 mg을 50 mL 갈색용량플라스크에 취한 후(10 mg/mL) 70% 메탄올 35 mL를 가한다. 그런 다음 일정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방냉 후, 70% 메탄올로 표선까지 정용한다. 상기 용액을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시험용액에 함유된 루틴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Waters-alliance, PDA를 이용하여 표 1의 분석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루틴의 함량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Rutin 함량(mg/g)
= 검량선농도(μg/mL)×최종부피(mL) /시료채취량(mg)×표준품순도×희석배수×환산계수
* 환산계수 : Rutin 분자량/Rutin trihydrate 분자량 = 0.92
항목 분석 조건
검출파장 360 nm
시료주입량 10ul
컬럼 Agilent Eclipse Plus C18 (250mm x 4.6mm, 5um) 또는 이와 동등한 것
이동상 A : 0.1% Acetic acid in D.W., B : Acetonitrile
Gradient Time(min) 이동상 A(%) 이동상 B(%)
0 84 16
16 84 16
18 0 100
22 0 100
25 84 16
30 84 16
유 속 1.0ml/min
그 결과, 쑥부쟁이 50% 에탄올 추출분말의 경우 3.68 mg/g의 루틴 함량을 나타내어 1.30 mg/g의 루틴 함량을 보인 쑥부쟁이 30% 에탄올 추출분말과 3.01 mg/g의 루틴 함량을 나타낸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분말에 비해 가장 루틴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쑥부쟁이 지표성분 규격 및 시험방법 확립
실험을 위한 분석장비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Waters-alliance), PDA 검출기(Photo Diode Array Detector) 및 Agilent Eclipse Plus C18(250mm×4.6mm, 5um)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준비하였다. 소모품으로는 갈색용량플라스크(50 mL), HPLC용 유리병, 용매용 일회용 실린지, 여과용 멤브레인필터(PTFE, 0.45 μm), 초음파진탕기, 진탕기(Vortex)를 준비하였다. 표준물질로는 분자식(C27H30O16·3H2O)과 분자량(664.56)을 가지는 루틴(Rutin trihydrate)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시약은 메탄올(Methanol),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초산(Acetic acid),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5> 표준용액의 제조
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표준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루틴(Rutin trihydrate) 표준품 10 mg을 50 mL 갈색용량플라스크에 취하고 70% 메탄올 35 mL를 넣고 초음파 처리한 후 표선까지 정용한 것을 표준원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한 것을 표준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5> 시험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50% 에탄올로 추출한 쑥부쟁이 추출분말 약 500 mg을 50 mL 갈색용량플라스크에 취한 후(10 mg/mL) 70% 메탄올 35 mL를 가한다. 그런 다음 일정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방냉 후, 70% 메탄올로 표선까지 정용한다. 상기 용액을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실험예 4> 시험용액 및 표준용액의 루틴 분석
시험용액에 함유된 루틴이 표준용액의 루틴과 동일한 화합물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Waters-alliance, PDA를 이용하여 표 1의 분석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루틴 분석 과정에서 루틴의 함량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Rutin 함량(mg/g)
= 검량선농도(μg/mL)×최종부피(mL) /시료채취량(mg)×표준품순도×희석배수×환산계수
* 환산계수 : Rutin 분자량/Rutin trihydrate 분자량 = 0.92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시험용액 및 <비교예 5>에서 제조한 표준용액의 루틴 분석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용액 및 표준용액 중 함유된 루틴은 동일하게 약 10.6분대에 검출되었으며, 루틴의 peak가 명확히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용액과 표준용액 PDA 스펙트럼(PDA spectrum) 비교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용액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물질이 동일 물질이며, 루틴(Rutin)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시험용액의 쑥부쟁이 추출분말 내 루틴의 함량 분석
5-1. 루틴의 직선성 분석
루틴(Rutin)의 직선성 확인을 위해 표준용액 농도를 10.15, 20.3, 30.45, 40.6, 50.75, 60.9μg/mL으로 되도록 표준용액과 시험용액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70% 메탄올과 시험용액을 1:1로 희석한 것을 Blank로 하여 10.15~60.9μg/mL 범위에서 직선성을 확인하였다(R2=0.9999).
농도 표준용액+시험용액 면적 시험용액 면적 표준용액 면적
(μg/mL) (Area) (Area) (Area)
0 328832 328832 0
10.15 469287 328832 140455
20.3 616681 328832 287849
30.45 758943 328832 430111
40.6 900674 328832 571842
50.75 1040389 328832 711557
60.9 1177209 328832 848377
직선회귀 방정식 y=ax+b
기울기 13974
y절편 1670.7
그 결과, 표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준용액 농도에 따른 면적 값 및 검량선을 확인하였으며, 분석상관계수 R2는 0.9999을 나타내었다.
표준용액 농도 0μg/mL 일때 표준용액+시험용액의 면적은 328832, 시험용액면적328832이고, 표준용액 농도 10.15μg/mL일때 표준용액+시험용액의 면적은 469287, 시험용액 면적 328832으로서 루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준용액+시험용액의 면적은 증가하나 시험용액의 면적은 328832로 일정하게 나타난 결과를 통해 루틴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각 농도별로 산출된 표준용액의 면적값으로 검량선을 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검량선농도).
따라서, 시험시료의 면적값을 상기 검량선식에 대입하여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루틴의 농도를 구하고, 도출된 검량선 농도는 루틴 함량 계산식에 대입하여 쑥부쟁이 추출분말에 함유된 루틴 함량을 계산할 수 있다.
5-2. 루틴의 직선성 반복실험
루틴(Rutin)의 직선성 반복 실험 확인을 위해 표준용액 농도를 10.665, 21.33, 31.995, 42.66, 53.325, 63.99μg/mL이 되도록 표준용액과 시험용액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70% 메탄올과 시험용액을 1:1로 희석한 것을 Blank로 하여 10.665~63.99μg/mL 범위에서 다음과 같이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농도 표준용액+시험용액 면적 시험용액 면적 표준용액 면적
(μg/mL) (Area) (Area) (Area)
0 330194 330194 0
10.15 480883 330194 150689
20.3 630711 330194 300517
30.45 784445 330194 454251
40.6 929536 330194 599342
50.75 1088178 330194 757984
60.9 1237021 330194 906827
직선회귀 방정식 y=ax+b
기울기 14178
y절편 -830.29
그 결과,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준용액 농도에 따른 면적 값 및 검량선을 확인하였으며, 분석상관계수 R2는 0.9999을 나타내었다.
5-3. 루틴의 반복성 분석
쑥부쟁이추출분말을 250, 500, 750 mg으로 상이하게 50 mL 갈색용량플라스크에 취한 뒤 70% 메탄올 25 mL을 첨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 후 정용하여 시료 중 루틴(Rutin)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반복 시료량(mg)
250 500 750
1 3.897 3.864 3.87
2 3.881 3.855 3.86
3 3.878 3.873 3.841
4 3.879 3.885 3.848
5 3.891 3.857 3.843
시료량 별 함량 평균(mg/g) 3.885 3.867 3.853
RSD(%) 0.21 0.32 0.32
RSD 구간(%) 0.21~0.32
5회 반복 분석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틴(Rutin) 함량은 낮은 농도부터 3.885, 3.867, 3.853mg/g이였으며, RSD 구간은 0.21~0.32%로 나타났다.
5-4. 루틴의 재현성 분석
루틴의 재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험자, 시험일, 시험장비(HPLC)를 달리하여 동일 분석조건으로 5회 반복 분석하였다.
시험자 반복 시험일 시험장비 조건별 함량평균 (mg/g) 전체 RSD
함량평균 (%)
1 2 3 4 5 (mg/g)  
A 3.864 3.855 3.873 3.885 3.857 2018.12.21 Waters 3.867 3.926 2.13
alliance
B 3.982 3.986 3.991 3.989 3.979 2018.12.24 Shimadzu 3.985
5회 반복 분석한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틴(Rutin) 함량 평균 3.926mg/g, RSD 2.13 %였으며, RSD 5% 이하로 분석방법에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5-5. 루틴의 정확성(회수율) 분석
루틴(Rutin)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에 이미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용액을 넣어 회수율을 구함으로써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검출농도를 고려하여 시료 약 500mg을 취한 후 표준용액을 검출 농도 20.3, 40.6, 60.9 μg/mL가 되도록 처리한 후 전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시료 채취량 채취량 대비 계산농도 이론농도 검출농도 회수율 평균 회수율
(mg) (μg/mL) (μg/mL) (μg/mL) (%) (%)
- 쑥부쟁이추출분말 503.4 - - 44.891 - -
- 쑥부쟁이추출분말
- STD 20.3 μg/mL
502.4 44.802 65.102 64.467 99.02 99.01
502.6 44.82 65.12 64.388 98.88
  502.8 44.837 65.137 64.56 99.11
- 쑥부쟁이추출분말
- STD 40.6 μg/mL
 
506.3 45.15 85.75 84.2 98.19 98.53
501 44.677 85.277 84.269 98.82
507.4 45.248 85.848 84.629 98.58
- 쑥부쟁이추출분말
- STD 60.9 μg/mL
 
504.3 44.971 105.871 104.594 98.79 98.74
504.3 44.971 105.871 104.287 98.5
504.9 45.025 105.925 104.799 98.94
전체 평균 회수율(%) 98.76
전체 회수율 RSD(%) 0.24
회수율 구간(%) 98.53 ~ 99.01
표준용액 검출농도 별로 3회 반복 분석한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틴(Rutin)의 평균 회수율은 98.76%, RSD는 0.24%로 나타났다. 100±10% 내의 회수율을 보임으로써 분석방법에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쑥부쟁이(Aster yomena) 시료를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70 내지 90℃에서 3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된 쑥부쟁이 추출물을 여과보조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필터 프레스로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쑥부쟁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쑥부쟁이 추출분말에 메탄올 수용액을 혼합하여 시료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시료용액을 소정의 농도로 루틴을 포함하는 루틴 표준품으로 제조한 표준용액과 혼합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Rutin)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에탄올의 농도는 40 부피% 내지 6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할 때 농축액의 농도가 25Brix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60 내지 8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충전제로 C14 내지 C20 기능기를 갖는 실리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이동상으로 A는 0.01 ~ 0.5 부피% 아세트산 수용액 80 ~ 90 부피% 및 B는 아세토나이트릴 10 ~ 20 부피%로 16분까지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시료용액과 표준용액을 1:1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
제1항의 쑥부쟁이 지표성분인 루틴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
제10항의 품질관리방법에 있어서,
1) 제1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적정 품질의 루틴 함량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2) 제1항의 정량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품질검사대상 쑥부쟁이 원재료의 루틴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3) 단계 1)에서 설정한 루틴 함량의 범위와 단계 2)에서 측정한 루틴 함량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적정 품질의 루틴 함량 범위는 3.000mg/g 내지 4.500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측정한 루틴 함량이 단계 2)에서 설정한 루틴 함량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품질이 좋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부쟁이 원재료의 품질관리방법.


KR1020200040126A 2020-04-02 2020-04-02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KR10232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26A KR102320251B1 (ko) 2020-04-02 2020-04-02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26A KR102320251B1 (ko) 2020-04-02 2020-04-02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996A KR20210122996A (ko) 2021-10-13
KR102320251B1 true KR102320251B1 (ko) 2021-11-01

Family

ID=7815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26A KR102320251B1 (ko) 2020-04-02 2020-04-02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8608B (zh) * 2021-12-09 2024-04-16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青椒采后绿色冷害控制保鲜剂及其使用方法
CN115215913A (zh) * 2022-08-01 2022-10-21 辽宁科技学院 一种玉米须中分离纯化芦丁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81B1 (ko) * 2011-04-04 2012-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량 모니터링을 이용한 천연물의 함량기준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0186B1 (en) * 1998-04-03 2004-04-13 Symyx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search for creating and testing novel catalysts, reactions and 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81B1 (ko) * 2011-04-04 2012-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량 모니터링을 이용한 천연물의 함량기준 설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ris Maria Fonseca 등, quim. Nova, 2010, 33권, 6호, 페이지 1320-1324.(2010.12.31.)*
황경아 등,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2018, 81권, 페이지 102-110.(2018.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996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251B1 (ko) 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인 루틴을 정량분석하는 방법
AU2003295856B2 (en)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s enriched in total phenols
CN102229632A (zh) 矢车菊-3-o-葡萄糖苷的制备方法
CN103923052A (zh) 一种低聚原花青素的制备方法
CN104829486B (zh) 一种从新鲜茶叶中提取高纯度茶氨酸的方法
JP2002267655A (ja) ニシキギ科サラキア属の植物および/またはそれからの抽出物の品質判定方法
KR102115669B1 (ko) 벤조피렌의 생성은 억제되면서 사포닌은 증진되고 플라티코딘 d가 저감되는 흑도라지의 제조방법
CN107721857B (zh) 一种从平卧菊三七中制备高纯度绿原酸的方法
CN110862463A (zh) 具有生物活性的紫花苜蓿根部多糖及其硒化改性多糖的制备
CN114028452A (zh) 一种黄芩苷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4559302B (zh) 一种红花黄色素的提取及精制方法
CN115032287A (zh) 一种四氢大麻酚、大麻二酚的定量分析方法
CN102144683B (zh) 一种澄清绿茶提取液的方法
CN106512018A (zh) 一种适用于蜜丸的炼蜜方法
CN111956679A (zh) 一种炮制淫羊藿的制备方法
US20240100116A1 (en) Eucommia ulmoides oliv. leaf extract capable of protecting health of kidney function, and preparation and detection methods thereof
CN115746157B (zh) 一种美味扇菇多糖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768141B (zh) 一种抗氧化修复灵芝提取物及其制备方法
Dong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s of theabrownin in Pu-erh tea on scavenging DPPH radicals
CN113295789B (zh) 一种王老吉凉茶浓缩汁uplc指纹图谱的建立方法及其检测方法
CN112666302B (zh) 一种大麦苗中活性黄酮成分群鉴定及其快速检测方法
CN116350671A (zh) 一种提高橄榄果总酚含量及多酚类化合物提取率的方法
CN107955014B (zh) 萘并呋喃酮类化合物及制备与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CN115192638A (zh) 一种大花黄牡丹抗氧化活性部位及其制备方法和应用
Hadi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flavonoids content in fruit of okra (Abelmoschus escullentus L. Moench) from Magelang Central Java Indon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