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25B1 -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 Google Patents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25B1
KR102320125B1 KR1020190142672A KR20190142672A KR102320125B1 KR 102320125 B1 KR102320125 B1 KR 102320125B1 KR 1020190142672 A KR1020190142672 A KR 1020190142672A KR 20190142672 A KR20190142672 A KR 20190142672A KR 102320125 B1 KR102320125 B1 KR 10232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nting
boundary stone
support frame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057A (ko
Inventor
마상훈
Original Assignee
(유)프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프리라인 filed Critical (유)프리라인
Priority to KR102019014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노면에 도료, 융착액 또는 비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의하면, 노면의 차선 도색, 가드레일에 대한 도색 및 경계석에 대한 도색에 있어서의 인력소모를 경감하고, 도색의 정밀도를 담보하면서 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되고, 노면, 가드레일 및 경계석의 표면 상태나 형상에 무관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균일한 도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어떠한 차량에든지 쉽게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값비싼 도색 차량을 대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MULTI-FUNCTIONAL 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도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하여 노면, 가드레일, 경계석 등에 차선, 방지선 등의 도료 및/또는 융착액 분사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도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선은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간격 등을 식별하기 위하여 띠 모양으로 표시하도록 노면에 도색되는 것으로 규정에 따라 황색 및 백색, 청색 등 다양한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실선 또는 점선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되도록 도색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심선 상에 2중 황색실선으로 도색 표시(중앙선)하고, 주행차량에 대한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되 차로간에 진로변경의 방향이 제한되는 구간을 백색실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일반주행차선)하거나, 차로간에 진로변경과 진입이 허용되는 구간을 백색점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추월차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주정차 영역을 표시하거나, 소방차 주차 공간, 속도 제한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노면에 숫나자 문자가 도색되기도 한다.
종래의 차선 도색 방식은 대부분 수동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차선의 방향을 그리는 작업자가 정확한 위치에 차선을 그리고 있는지 외부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했고, 소형의 도색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선 도색을 위한 페인트 분사를 일일이 컨트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색 방식은 불균일한 차선 도색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위험까지 안고 있었으며, 많은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차량의 하면(전륜 및 후륜 사이)에 페인트 분사 수단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노면을 직선으로 운전하면서 페인트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일부 자동화가 이루어졌으나, 페인트 분사 수단이 전륜과 후륜 사이에서 차량의 하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색이 이루어져야 할 위치에 정확한 도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그 경우에도 작업자가 일일이 분사 타이밍을 컨트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로 상에 이루어지는 표식은 노면뿐만 아니라 노면에 설치된 가드레일, 경계석 등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먼저, 가드레일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교통표지와 더불어 충돌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안전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안전시설물 중 가드레일은 차로를 방향별로 분리하고, 측방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 중앙부에 설치되며 차가 반대 차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차도보다 높게 만들어진다. 가드레일은 주로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마주 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로의 종류나 지역여건 등에 따라 화단형이나 철제펜스형 또는 블록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드레일에는 야간 운전자의 운전 편의를 위하여 반사판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반사판만으로는 야간 주행 중 가드레일을 식별하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반사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에 빛 반사능이 우수한 도료를 도색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 도색 작업은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작업 시간이 길고 도색 품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75호(발명의 명칭: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이나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을 분리하는 가드레일 등과 같은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료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거나 단차가 있으면 분사기와 방호책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균일한 도색을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과 도색장치 사이에 많은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라인 및 각종 선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수작업에 불편을 초래하며, 운전자의 부주의로 도색차량이 도색장치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충돌 또는 인명사고까지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경계석과 관련하여,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혹은 자전거 도로)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하는 도로 시설물로, 차도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높게 설치되어 인도를 이용하는 사람, 자전거 이용자를 차도를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경계석은 장방형 직육면체 블록을 인접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경계석은 소정의 틈새를 두고 정렬되며, 줄눈몰탈이나 시멘트 등의 충진재를 틈새에 메워넣어 인접한 경계석을 부착시키고 틈새를 메우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되는 경계석은 인도나 도로의 색상과 크게 다르지 않아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기능만을 수행해왔다. 따라서, 우천시나 야간 운전시에 시력이 좋지 않은 운전자가 경계석을 침범하여 인도로 차량이 돌진하거나 차량이 전복되는 등의 사고가 빈번했다.
따라서, 도로와 인도의 구분이라는 경계석의 기본적인 기능에서 나아가 시인성을 확보하거나 운전자에게 속도감을 감지시키기 위하여 경계석을 도색하거나 특정 신호 패턴을 표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고, 도색이 이루어지거나 패턴이 형성된 경계석을 이용하면 운전자 및 보행자 보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도로 시설물의 도색은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경계석에 대한 도색 역시 기타 도로 시설물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수동 작업 방식을 이용한다면 전국 각지에 설치된 경계석에 대한 도색 작업 비용이 천문학적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면의 차선 도색, 가드레일에 대한 도색 및 경계석에 대한 도색은 인력이 많이 소모되고, 도색의 정밀도를 담보하기 어려우며, 자동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종래의 도색 차량은 차량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어 차량 자체의 가격이 매우 높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도로 안전 향상을 위해서는 제도적 차원에서의 연구 및 정책적 지원은 물론이고, 작업의 안전 및 간소화를 위하여 도색의 자동화를 실현하면서 노면, 가드레일 및 경계석의 표면 상태나 형상에 무관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균일한 도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한 도색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4451호 (2011.04.29. 공고)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75호 (2011.04.29. 공고) 선행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726호 (2012.07.03. 공개) 선행문헌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7379호 (2012.02.0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요구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의 차선 도색, 가드레일에 대한 도색 및 경계석에 대한 도색에 있어서의 인력소모를 경감하고, 도색의 정밀도를 담보하면서 자동화를 이룰 수 있는 다기능 도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 가드레일 및 경계석의 표면 상태나 형상에 무관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균일한 도색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도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값비싼 도색 차량을 대체하여 어떠한 차량에든지 쉽게 탈부착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기능 도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노면에 도료, 융착액 또는 비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분사유닛 장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 장착부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 장착부는, 타단에 배치되고 노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휠; 및 상기 노면에 도료, 비드 또는 융착액을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휠에 연결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에 의하여 측정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노면에 도료 또는 융착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유닛; 및 상기 노면에 분사된 도료 또는 융착액 위에 비드를 분사하는 제2 분사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일단과 상기 제2 베이스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에 구비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구비된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가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베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차량 전측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베이스가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위치조정부를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노면 상태, 노면에 표시된 차선 또는 표식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가드레일에 대하여 도색을 수행하기 위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 또는 경계석에 대하여 도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계석 도색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 도색유닛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은, 골과 마루가 교번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회전 샤프트를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며, 상기 가드레일에 밀착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유도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 캐스터는, 상기 가드레일의 마루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중심 밀착부; 상기 중심 밀착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되고, 상기 마루 영역에서 상기 골 영역으로 이어지는 경사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측면 밀착부; 및 인접하는 유도 캐스터의 측면 밀착부를 결합하는 취부볼트 회피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은,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경계석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롤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 롤러;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경계석에 대하여 도료 또는 비드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의하면, 노면의 차선 도색, 가드레일에 대한 도색 및 경계석에 대한 도색에 있어서의 인력소모를 경감하고, 도색의 정밀도를 담보하면서 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면, 가드레일 및 경계석의 표면 상태나 형상에 무관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균일한 도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의하면, 어떠한 차량에든지 쉽게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값비싼 도색 차량을 대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1단 접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의 2단 접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유도 캐스터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유도 캐스터가 가드레일 상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유도 캐스터가 가드레일 상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텐션 스프링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세척휠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17c는 본 발명의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 내지 20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에 의하여 형성된 패턴의 실시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 중인 도면과 그와 관련된 설명의 내용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는 도로, 경계석, 가드레일 등 도로 시설물에 자유롭게 표시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라인 플레이어(line player) 기본 프레임과 이에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라인 플레이어 결합유닛(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경계석 도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구성별로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1. 라인 플레이어 기본 프레임: 다기능 도색장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가 차량(M)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차량 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계되며,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300) 및 경계석 도색유닛(400,500)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0) 및 위치조정부(120)를 기본 구조로 갖는다. 지지프레임(110)은 차량(M)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의 형태를 가지며, 위치조정부(120)는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이하에서는 좌우 방향은 차량(M)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좌우 방향으로, 상하 방향은 차량(M)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상하 방향으로, 전후 방향은 차량(M)의 진입 혹은 후진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정부(120)에 구비된 개구에 지지프레임(110)이 삽입되며,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제1 베이스(171)가 위치한다. 즉, 위치조정부(120)는 지지프레임(110)을 양단에서 고정하는 좌우측의 제1 베이스(17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지지프레임(110)은 단면이 원형인 원형바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단면(사각, 삼각, 육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지지프레임(110)이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혹은 3개 이상의 지지프레임(110)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위치조정부(120)는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위치조정부(120)에 개구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이 해당 개구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었으나, 이와 다른 구조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위치조정부(1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되고, 해당 구성을 통하여 위치조정부(120)가 연결된 뒤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는 지지프레임(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프레임(110)의 단면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110) 상에서의 위치조정부(120)의 좌우 이동은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는, 위치조정부(120)를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기어, 모터, 벨트, 스크류 등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부(미도시)를 통하여 위치조정부(120)는 지지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위치조정부(110)에는 분사유닛(133,134)이 구비된다. 위치조정부(110)가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분사유닛(133,134)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위치조정부(11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재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부(110)는 연결부(121) 및 분사유닛 장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연결부(121)의 일 영역은 분사유닛 장착부(122)의 일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연결부(121)의 일단과 분사유닛 장착부(122)의 일단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연결 영역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분사유닛 장착부(122)가 연결부(1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분사유닛 장착부(122)의 타단, 즉, 연결부(121)와 연결되지 않은 반대측에는 휠(123)이 구비되며, 휠(123)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회전한다. 이때, 연결부(121)에 대한 분사유닛 장착부(122)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 조절부(125)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연결부(121)와 분사유닛 장착부(12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휠(123)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노면에 대한 도색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각도 조절부(125)가 휠(123)을 지면에 닿도록 연결부(121)와 분사유닛 장착부(122) 사이의 각도를 올리고, 차량(M)이 이동할 때에는 각도 조절부(125)가 휠(123)을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연결부(121)와 분사유닛 장착부(122) 사이의 각도를 줄인다.
분사유닛 장착부(122)는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 및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를 포함한다.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는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일단이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2)에 연결된다.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에 의하여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에는 제1 분사유닛(133)과 제2 분사유닛(134)이 장착된다. 제1 분사유닛(133)은 노면에 도료 또는 융착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구조를 가지며, 제2 분사유닛(134)은 노면에 분사된 도료 또는 융착액에 대하여 비드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분사유닛(133)과 제2 분사유닛(134)은 길이 방향의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3)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제1 분사유닛(133)과 제2 분사유닛(134)이 서로 다른 분사유닛 위치조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1 분사유닛(133)을 통해 도료 또는 융착액을 먼저 분사하고, 바로 이어 제2 분사유닛(134)을 통해 비드를 분사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3)로 구성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1 분사유닛(133)과 제2 분사유닛(134)은 지지프레임(11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조정부(120)를 통해 일차적으로 위치조절된 후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3)에 의하여 다시 정밀하게 위치조절될 수 있다.
한편, 휠(123)의 회전반경 및 회전수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엔코더(124)에 의하여 측정된 이동 거리를 통하여 표시라인, 글자, 숫자 등을 노면상에 정밀히 도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면 상태, 노면에 표시된 차선 또는 표식(숫자, 글자, 도형 등)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미도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통하여 기존의 도색 영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재도색이 필요한 곳에서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기존 도색 영역에 도료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엔코더(124)에 의하여 측정된 이동 거리 및/또는 이미지센서(미도시)에서 획득된 노면 상태, 표식, 차선, 글자 등에 기초하여 분사유닛(133,134)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미도시)는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위치조정부(120)를 지지프레임(110) 상에서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미도시)는 각도 조절부(125)를 제어하여 연결부(121)와 분사유닛 장착부(12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미도시)는 분사유닛 위치조절부(132)와 분사유닛 높이조절부(131)를 제어하여, 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제1 분사유닛(133)과 제2 분사유닛(134)의 좌우 위치 및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부(미도시)에 기저장된 방식에 따라 노면에 자동으로 라인(실선, 점선 등), 숫자(제한속도 등), 글자(주차영역 표시문 등)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정부(12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 즉, 차량(M)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0)는 차량(M)을 운전 중인 작업자가 도색 방향이나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140)는 차량(M)의 진행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조절 가이드(141)와, 길이조절 가이드(14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142)를 포함하며, 수평 가이드(142)에는 다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세부 가이드(143)가 배치된다. 복수의 세부 가이드(14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가이드(140)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메인 가이드(140)는 위치조정부(120)로부터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메인 가이드(140)의 신축은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어나 볼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메인 가이드(140)가 신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150) 및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300)은 차량(M) 및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결되어 가드레일에 표시라인을 도색해야 하므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의 일구성과 수평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가드레인 표시라인 도색유닛(200,300)의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바(155)가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15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다른 구조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2개의 연결바(155)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300)을 연결할 수도 있으나, 이보다 적은 수 혹은 많은 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150)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3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예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150)가 길이 방향의 홈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경계석 도색유닛(400,500)은 노면에 낮게 설치된 경계석에 대한 도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160)는 2개의 길이 방향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ㅅ'자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160)는 길이 방향의 제1 부재(161) 및 제2 부재(162)로 이루어지며, 제1 부재(161)에는 경계석 도색유닛(400,500)의 일 구성이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후술하겠지만, 경계석(S)에 대하여 경계석 도색 유닛(400,500)을 가압하는 길이 방향의 가압부가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160)의 제1 부재(16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부재(161)의 일단과 제2 부재(162)의 일단은 축연결되어 있어, 길이 방향의 양 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1 부재(161)의 타단은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일측에 축연결되어 있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부재(162)의 타단은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타측(상기 일측에 대하여 마주보는 측면)에 축연결되어 있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위치한 제1 베이스(171)와 연결되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 베이스(172) 각각에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타단이 각각 축연결된다.
한편, 제2 부재(162)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계되고, 제2 부재(162)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된다. 도면(도 3 참조)에서는, 제2 부재(162)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된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고, 2개의 유닛의 결합 위치가 조절되면서 제2 부재(16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스크류 등의 구성으로 구현되어 제2 부재(162)의 신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경계석 도색유닛(400,500)의 연장 각도가 결정된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1단 접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제1 베이스(171), 제2 베이스(172) 및 힌지부(173)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7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을 고정한다. 제2 베이스(172)는 제1 베이스(17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차량(M)의 전측에 결합된다.
제1 베이스(171)와 제2 베이스(172)는 힌지부(173)에 의하여 힌지 결합이 이루어진다.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베이스(171)는 제2 베이스(17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베이스(171)에 구비된 제1 고정부(171p)와 제2 베이스에 구비된 제2 고정부(172p)는 제2 베이스(172)에 대하여 제1 베이스(171)가 회전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고정부(171p)와 제2 고정부(172p)가 걸림 구조로 되어 있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고정부(171p)와 제2 고정부(172p)의 상호 결합구조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1단 접힘 구조는 작업 중 단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다기능 도색장치(100)를 고정시키는 데 유용하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2단 접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제1 베이스(171), 제2 베이스(172) 및 힌지부(173)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7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을 고정한다. 제2 베이스(172)는 제1 베이스(17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차량(M)의 전측에 결합된다.
제2 베이스(172)는 차량(M)의 전측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계된다. 다시 말해, 제2 베이스(172)는 힌지 구조를 통하여 차량(M)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결합 유닛이 차량(M)에 장착되고, 해당 결합 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2 베이스(172)가 차량(M)에 회전 가능하게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베이스(172)가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부(미도시)의 고정 방식은 종래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베이스(172)가 회전한 상태에서는 제1 베이스(171)는 회전하여 접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2단 접힘 구조는 작업 중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다기능 도색장치(100)를 고정시키는 데 유용하다.
2. 라인 플레이어 결합 유닛: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은 레일(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색차량(100)이 전진하게 되면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이 도료를 분사하여 가드레일(10)의 표면에 표시라인이 도색된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10)은 마루와 골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는 요철 구조를 가지며, 중앙 분리대에 이용되는 경우 3골 가드레일이 주로 이용되고, 도로변에는 2골 가드레일이 주로 이용된다. 가드레일(10)의 설치는, 지면에 지주를 고정시킨 후 취부볼트에 의하여 가드레일(10)이 지주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종래에는 여러 사람이 도색장치를 지지하며 가드레일(10) 위에 밀착시킨 뒤 인력에 의하여 도색장치가 이동하면서 도색이 이루어졌다. 이때, 가드레일(10) 표면에 돌출된 취부볼트에 의하여 도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도색장치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생겼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에 의하면 가드레일 도색을 자동화할 수 있고, 가드레일의 굴곡면에 적합한 캐스터 구조를 가지며, 특히, 가드레일의 표면에 존재하는 취부볼트 등에 관계없이 원활한 도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드레일은 아연 도금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료 분사만으로는 도색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는 (1)세척휠을 통한 이물질 청소 (2)프라이머 하도 도색 (3)수용성 도료 분사 (4)반사성 비드(유리알) 분사의 4단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종래의 수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빠르고 간편하게 가드레일 도색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야간 시인성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사시도이고, 도 13a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측면도이고, 도 13b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정면도이고, 도 13c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상면도이고, 도 13d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저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a 내지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은 고정 브라켓(210), 높이 조절 패널(217), 관절부(220), 텐션 가이드부(230), 바디 프레임(240), 분사노즐(250), 유도 캐스터(270), 전후방 이미지 센서(280f,280r), 세척휠(291) 및 거리측정 엔코더(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고,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고정 브라켓(210)은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이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영역으로, 패널 구조의 부재이다.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와 고정 브라켓(210)은 연결바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10)의 표면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의 위치 조정 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조정 나사는 고정 브라켓(210)의 양 측면에 일렬로 정렬된다.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관절부(220)는 고정 브라켓(210)에 바로 결합 및 고정되어도 무방하지만 후술할 높이 조절 패널을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높이 조절 패널은 관절부(220)에 직접 연결되고, 높이 조절 패널과 고정 브라켓(210)의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의 관절부(220)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고정 브라켓(2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패널일 수 있지만 이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고정 브라켓(210)은 금속성 재질을 가질 수 있지만,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다면 어떤 소재를 선택해도 무방하다.
관절부(220)는 케이싱(221), 이동 관절(222) 및 회전축(223)으로 구성된다. 케이싱(221)은 위에서 설명한 고정 브라켓(210)에 위치 조정 나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 패널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고정 브라켓(210)이 아닌 높이 조절 패널에 결합 고정된 뒤, 높이 조절 패널이 고정 브라켓(21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케이싱(221)과 고정 브라켓(210)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축(223)은 케이싱(221) 내에 수용되며, 이동 관절(223)의 일단이 결합 고정된다. 회전축(223)은 케이싱(22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일단이 부착된 이동 관절(223)은 회전축(223)의 회전에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텐션 가이드부(230)는 관절부(220)와 바디 프레임(240) 사이에 구비된다. 즉, 텐션 가이드부(230)의 일단은 바디 프레임(240)에 연결되고, 텐션 가이드부(230)의 타단은 관절부(220)의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관절부(220)의 이동 관절(222)은 속이 빈 수용홈을 구비하고, 텐션 가이드부(230)의 타단은 관절부(220)의 수용홈 안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관절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수용홈 안에서 텐션 가이드부(230)와 이동 관절(222)은 완전히 결합된다.
텐션 가이드부(230)는 가드레일(10)과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며, 바디 프레임(240)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텐션 가이드부(230)는 탄성 소재(예: 자바라, 스프링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 가이드부(230)는 관절부(220)의 이동 관절(220)과 바디 프레임(240)에 연결되어 유도 캐스터(270)가 가드레일(10)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유도 캐스터(270)가 가드레일(10)의 표면에 밀착되려면 다기능 도색장치(100)가 가드레일(10)쪽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차량(M)이 앞으로 전진해야 한다.
텐션 가이드부(230)는 가드레일(10) 쪽으로 압력을 가해도 해당 압력에 의하여 가드레일(10)에 손상이 가거나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유도 캐스터(270)가 가드레일(10) 표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바디 프레임(240)은 가드레일(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유도 캐스터(270) 및 분사노즐(250)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바디 프레임(240)의 일단에 구비된 바디가로바(260)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직선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바디가로바(260)는 11자 형상으로 평행한 직선형 부재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바디가로바(260) 사이를 가로지르는 직선형 부재가 연결되어 각종 구성이 안착, 고정, 결합된다. 유도 캐스터(270)는 별도의 연결 구조(캐스터 고정부, 회전 샤프트 등)를 통하여 바디가로바(260)와 연결된다. 바디가로바(2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측 및 후측에 구비된 유도 캐스터(270)에 의하여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200)는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분사노즐(250)은 바디 프레임(240)에 연결된다. 이때, 분사노즐(250)을 고정시키기 위한 분사노즐 위치 고정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 위치 고정기의 일단은 바디 프레임(2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도 캐스터(270)와 텐션 가이드부(2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단에 분사노즐(250)이 고정되어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분사노즐(250)은 바디 프레임(240)과 바디가로바(260)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바디 프레임(240)과 바디가로바(260) 사이의 간격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도 캐스터(270)가 접촉하고 있는 가드레일(10)의 표면에 대한 분사노즐(250)의 위치는 불변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텐션 가이드부(230)의 신장 수축 운동에 무관하게 분사노즐(250)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분사노즐(250)로부터 분사되는 도료가 가드레일(10)에 고르게 마킹될 수 있다. 차량(M)에는 분사노즐(250)로부터 분사될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료 저장 탱크에 저장된 도료는 도료 공급 라인을 통하여 분사노즐(250)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250)은 제1 분사부(250a) 및 제2 분사부(2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분사부(250a)는 가드레일(10) 위에 도료를 분사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2 분사부(250b)는 도료 위에 비드와 같은 반사성 분말을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1 분사부(250a)는,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분사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면,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한번 이동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2 분사부(250b)도 제1 분사부(250a)와 마찬가지로 소정 간격(제1 분사부(250a)의 두 유닛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함)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분사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분사 유닛은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길이 방향(전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 캐스터(270)는 가드레일(10)에 밀착되어 분사노즐(25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한다. 11자 형상의 바디가로바(260)에는 각각 캐스터 고정부(263)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마주보는 캐스터 고정부(263) 사이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64)에 복수의 유도 캐스터(270)가 연결된다.
유도 캐스터(270)는 롤러나 바퀴 구조로 이루어져 도색차량(100)의 전진에 따라 회전 샤프트(264)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한다. 이때, 바디 프레임(240)과 유도 캐스터(270) 사이에서 위치 고정된 분사노즐(250)은 유도 캐스터(27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도료를 분사하며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유도 캐스터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4b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유도 캐스터가 가드레일 상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c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유도 캐스터가 가드레일 상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10)은 골(10v)과 마루(10p)가 교번하여 이루어진 요철 형상 구조를 가진다.
11자 형상의 바디가로바(260)에 수직으로 연결된 캐스터 고정부(263) 사이에는 회전 샤프트(264)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264)를 따라 복수의 유도 캐스터(270)가 나란히 정렬된다.
유도 캐스터(270)는 가드레일(10)의 마루 영역(10p)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중심 밀착부(271c,273c,275c), 중심 밀착부(271c,273c,275c)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되고, 마루 영역(10p)에서 골 영역(10v)으로 이어지는 경사 영역(10s)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측면 밀착부(271d,273d,275d)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 밀착부(271d,273d,275d)는 취부볼트 회피부(272,274)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유도 캐스터(270)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중심 밀착부(271c,273c,275c)와 이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된 측면 밀착부(271d,273d,275d)를 하나의 유도 캐스터(270)로 보고, 해당 유도 캐스터(270)가 취부볼트 회피부(272,274)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중심 밀착부(271c,273c,275c), 측면 밀착부(271d,273d,275d) 및 취부볼트 회피부(272,274)를 각각의 단위로 본다면 각 구성이 회전 샤프트(264) 상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일체형 유도 캐스터(270)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심 밀착부(271c,273c,275c), 측면 밀착부(271d,273d,275d) 및 취부볼트 회피부(272,27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미도시)가 회전 샤프트(264)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스톱퍼(미도시)에 의하여 중심 밀착부(271c,273c,275c)와 측면 밀착부(271d,273d,275d) 사이의 간격, 측면 밀착부(271d,273d,275d)와 취부볼트 회피부(272,27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톱퍼(미도시)는 중심 밀착부(271c,273c,275c)와 측면 밀착부(271d,273d,275d) 사이나 측면 밀착부(271d,273d,275d)와 취부볼트 회피부(272,274)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부볼트 회피부(272,274)는 가드레일(10)의 골 영역(10v)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측면 밀착부(271d,273d,275d)에 결합됨으로써 유도 캐스터(270)의 회전시 골 영역(10v)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심 밀착부(271c,273c,275c)는 중심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중심부가 오목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측면 밀착부(271d,273d,275d)는 중심 밀착부(271c,273c,275c)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취부볼트 회피부(272,274)는 측면 밀착부(271d,273d,275d)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면 밀착부(271d,273d,275d)가 골 영역(10v)에 접촉한 상태에서 굴러가도 취부볼트 회피부(272,274)는 골 영역(10v)에 접촉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가드레일(10)의 표면에 취부볼트(B)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도 캐스터(27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취부볼트(B)에 대한 충돌에 의하여 분사가 불균일해지거나 라인이 어긋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텐션 스프링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직선형 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바디가로바(260) 및 바디가로바(260)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캐스터 고정부(263) 사이에는 가드레일(10)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264)의 유동을 허용하는 텐션 스프링(263e)이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텐션 스프링(263e)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텐션 스프링(263e)에 의하면 후술할 텐션 가이드부와는 별개로 유도 캐스터(270)의 완충 요소로 작용하며, 가드레일(10)의 표면이 불균일하거나 장해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도 캐스터(27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도모하고, 유도 캐스터(270)를 비롯한 그의 연결구성(바디가로바(260), 캐스터 고정부(263), 회전 샤프트(264) 등)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세척휠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휠(291)은 회전축(291A)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 대경휠(291k) 및 소경휠(291j)로 구성된다. 대경휠(291k) 및 소경휠(291j)은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섬유 재질, 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브러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경휠(291k)은 소경휠(291j)에 비하여 지름이 커서 가드레일(10)의 골 영역(10v)에 접촉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소경휠(291j)은 가드레일(10)의 마루 영역(10p)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20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세척휠(291)도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소경휠(291j)이 회전하면서 가드레일(10)의 마루 영역(10p)의 표면을 세척하고, 대경휠(291k)이 회전하면서 가드레일(10)의 골 영역(10v)의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세척휠(291)은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대향하는 직선형 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바디가로바(260)를 가로지르도록 세척휠 고정부(291t)가 결합되고, 세척휠 고정부(291t)의 양단을 연결하는 회전축(291A)에 세척휠(29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세척휠 고정부(291t)와 회전축(291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세척휠 고정부(291t)에는 워시액 공급 라인(291w)과 연결되는 워시액 공급 노즐(291n)이 설치되어, 세척휠(291)을 향해 워시액을 분사한다. 한편, 세척휠(29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291p)가 회전축(291A)에 연결될 수 있다. 워시액은 물이나 세척제, 혹은 그의 혼합액일 수 있다.
다시 도 12 및 1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은 거리측정 엔코더(292)를 더 포함한다. 거리측정 엔코더(292)는 가드레일(10)의 표면을 따라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거리측정 엔코더(292)는 가드레일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292g) 및 회전부(292)를 가드레일(10)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292f)로 구성된다. 거리측정 엔코더(292)는 워킹 미터와 같이 회전부(292g)의 회전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제로 이동한 직선 이동 거리를 획득하는데 이용된다. 거리측정 엔코더(292)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200)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송된다. 컨트롤러(미도시)는 거리측정 엔코더(292)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노즐(25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1미터 간격의 점선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거리측정 엔코더(292)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가 1미터가 되는 지점까지 분사노즐(250)을 동작시켜 표시라인을 마킹하고, 이후 1미터까지는 분사노즐(250)의 동작을 정지시킨 뒤, 다시 1미터가 되는 시점부터 분사노즐(250)을 동작시켜 표시라인을 마킹하는 방식으로 1미터 간격의 점선을 마킹할 수 있게 된다.
밀착부(292f)는 대향하는 바디가로바(260)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구조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지지부재와 전방 지지바(261)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구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부(292g)가 구비된다. 또,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전방 지지바(261)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가드레일(10)에 대한 상기 회전부(292g)의 밀착을 유지시킨다.
도 17a 내지 17c는 본 발명의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의 정면도이고, 도 1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의 저면도이고, 도 1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의 상면도이다.
도 17a 내지 1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은 고정 브라켓(310), 높이 조절 패널(317), 관절부(320), 텐션 가이드부(330), 바디 프레임(340), 분사노즐(350), 유도 캐스터(370) 및 거리측정 엔코더(392)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310), 높이 조절 패널(317), 관절부(320), 텐션 가이드부(330), 바디 프레임(340), 분사노즐(350), 유도 캐스터(370) 및 거리측정 엔코더(392)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 혹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7a 내지 17c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위에서 설명한 텐션 스프링, 세척휠 등의 구성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a 내지 1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은 2단 캐스터 구조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2골 가드레일이 주로 설치되고, 도 17a 내지 1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300)는 이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도 17a 내지 1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300)의 유도 캐스터(370)는 11자 형상의 바디가로바(360)에 수직으로 연결된 캐스터 고정부(363) 사이에는 회전 샤프트(364)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364)를 따라 2개의 유도 캐스터(370)가 나란히 정렬된다.
유도 캐스터(370)는 가드레일의 마루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중심 밀착부, 중심 밀착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되고, 마루 영역(10p)에서 골 영역으로 이어지는 경사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측면 밀착부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 밀착부는 캐스터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2개의 유도 캐스터(370)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중심 밀착부와 이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된 측면 밀착부를 하나의 유도 캐스터(370)로 보고, 해당 유도 캐스터(370)가 캐스터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중심 밀착부, 측면 밀착부 및 캐스터 결합부를 각각의 단위로 본다면 각 구성이 회전 샤프트(364) 상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일체형 유도 캐스터(370)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심 밀착부, 측면 밀착부 및 캐스터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미도시)가 회전 샤프트(364)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스톱퍼(미도시)에 의하여 중심 밀착부와 측면 밀착부 사이의 간격, 측면 밀착부와 캐스터 결합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톱퍼(미도시)는 중심 밀착부와 측면 밀착부 사이나 측면 밀착부와 캐스터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터 결합부는 도면과 같이 측면 밀착부의 가장 큰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취부볼트에 의한 돌출 영역에 대비하여 취부볼트 회피부와 같이, 가드레일(10)의 골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측면 밀착부에 결합됨으로써 유도 캐스터(370)의 회전시 골 영역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중심 밀착부는 중심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중심부가 오목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측면 밀착부는 중심 밀착부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스터 결합부는 측면 밀착부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가드레일(10)의 표면에 돌출된 취부볼트에도 불구하고 유도 캐스터(37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취부볼트에 대한 충돌에 의하여 분사가 불균일해지거나 라인이 어긋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3. 라인 플레이어 결합 유닛: 경계석 도색유닛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차량(M)에 장착되어 경계석(S)의 표면에 라인(실선, 점선)을 형성하거나 특정 패턴을 형성한다. 경계석 도색유닛(400)을 차량(M)에 직접 부착시킬 때에는 장착부(170)가 구비되지만,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바 형상의 가압부(160)가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는 이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차량(M)과의 연결 수단이나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 내지 20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정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배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확대도이다.
도 18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지지 프레임(410), 상부 롤러(420), 측면 롤러(430), 도료 분사부(441) 및 비드 분사부(4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분사부 고정 유닛(440), 관절부(450) 및 가압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10)은 상부 롤러(420)와 측면 롤러(43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경계석(S)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10)은 경계석(S)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면 프레임(410t), 경계석(S)의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410p), 상면 프레임(410t)과 측면 프레임(410p)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10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프레임(410s)은 상면 프레임(410t)과 측면 프레임(410p)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어 경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410)의 형상은 일 실시예일 뿐이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프레임(410s)을 생략하고 상면 프레임(410t)과 측면 프레임(410p)이 직각 혹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혹은 상면 프레임(410t)과 측면 프레임(410p)이 일체화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부 롤러(420)는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되되 경계석(S)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롤러(420)는 상면 프레임(410t)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총 2개의 상부 롤러(4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상부 롤러(4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상부 롤러(420) 외의 보조 롤러(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경계석(S)의 상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측면 롤러(430)는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되되 경계석(S)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면 롤러(430)는 상면 프레임(410t)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면 롤러(420)와 마찬가지로 측면 롤러(430)도 1개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측면 롤러(430) 외의 보조 롤러(미도시)가 경계석(S)의 측면에 접촉하여 전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경계석(S)의 측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료 분사부(441)는 경계석(S)의 표면에 도료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상부 롤러(420)와 측면 롤러(430)가 경계석(S)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차량(M)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A)으로 진행하게 되며, 해당 방향(A)으로 전진하면서 도료 분사부(441)가 경계석(S)에 대하여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경계석(S)에 대한 도색이 이루어진다.
경계석(S)에 대한 도색은 실선 라인, 점선 라인 등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경계석(S) 전체에 대한 도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드 분사부(442)는 도료 분사부(441)에 의하여 분사된 도료 위에 반사성 분말인 비드를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간적으로, 도료 분사부(441)의 분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므로, 비드 분사부(442)는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도료 분사부(441)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분사부(441)와 비드 분사부(442)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해당 간격은 분사부 고정 유닛(4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분사부 고정 유닛(440)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400)에 연결되며, 분사부 고정 유닛(440)의 타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도료 분사부(441)와 비드 분사부(442)가 고정되므로, 도료 분사부(441)와 비드 분사부(44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분사부 고정 유닛(440)은 경계석(S)과 각 분사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균일한 도색 및 비드 처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 고정 유닛(440)은 지지 프레임(410)과 직접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길이 조절 라인(440r), 'ㅡ'자 형상의 간격 조절 라인(440t) 및 각 라인(440r,440t)을 연결하는 연결구(440m)로 이루어진다. 길이 조절 라인(440r)은 지지 프레임(4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영역과 이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부러진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제2 영역은 연결구(440m)에 의하여 간격 조절 라인(440t)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영역과 간격 조절 라인(440t)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영역만이 제1 영역과 간격 조절 라인(440t)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사용자는 길이 조절 라인(440r)의 제2 영역 상에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각 분사부(441,442)와 경계석(S)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간격 조절 라인(440t) 상에서의 각 분사부(441,4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도료와 비드의 (시간적, 공간적) 분사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은, 도 18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6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460)는 지지 프레임(410)에 일단이 연결되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다기능 도색장치(100)의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와 연결된다.
가압부(460)의 내부에는 스프링, 쇼크업소버(shock absober)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410)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지지 프레임(410)이 경계석(S)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압부(160)는 차량(M)이 지지 프레임(410)을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410)을 비롯한 각종 구성을 보호하는 한편 경계석(S)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에 의하여 도색되는 경계석(S)은 직선 형상이 아닌 곡선 형상일 수 있으며, 차량(M)이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경계석(S)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절부(450)가 포함될 수 있다.
관절부(450)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압부(46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10)과 관절부(450)의 일단은 축 연결되어 수직 혹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절부(450)의 일단과 지지 프레임(410)이 볼 헤드 브라켓(미도시)으로 연결되어 360°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압부(460)와 관절부(450)의 타단은 축 연결되어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절부(450)의 일단과 가압부(460)가 볼 헤드 브라켓(미도시)으로 연결되어 360°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관절부(450)에 의한 지지 프레임(410)과 가압부(460)의 연결에 의하여 가동 범위가 확장되고, 경계석(S)의 모양, 연장형태, 연장방향, 지형, 도로 상황, 차량(M)의 진행 상태, 진행 방향에 따른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고장이나 손상, 나아가서는 경계석(S)의 파손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 컨트롤러(490), 엔코더(491), 이미지 센서(492), 이미지 분석부(493), 거리 측정 센서(494), 사용자 입력부(495), 저장부(496), 경고부(497) 및 통신부(498)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90)는 각 구성에서 획득된 정보, 기설정된 제어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도료 분사부(441) 및 비드 분사부(442)를 제어할 수 있다.
엔코더(491)는 상부 롤러(420) 및/또는 측면 롤러(430)에 구비되어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코더(491)는 각 롤러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고, 각 롤러의 지름이나 원주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컨트롤러(490)는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도료 분사부(441) 및 비드 분사부(44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를 토대로 도료 분사부(441)를 기설정된 거리에 대응하여 ON/OFF를 반복하는 경우 경계석(S)의 표면에 점선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료 분사부(441)는 색상 형성 분사 노즐(441a), 패턴 형성 분사 노즐(441b), 실선 형성 분사 노즐(441c) 및 점선 형성 분사 노즐(441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분사 노즐(441c)은 도 22에 도시된 분사부 고정 유닛(440)에 적절한 깊이(경계석(S)으로부터의 거리)와 간격(각 분사부 사이의 거리)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ㄱ'자 형상의 길이 조절 라인(440r)에 복수 개의 연결구(440m)가 설치되고, 복수 개의 연결구(440m)마다 'ㅡ'자 형상의 간격 조절 라인(440t)이 연결되고, 다양한 분사 노즐이 적절한 깊이와 간격을 갖고 설치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에 의하여 형성된 패턴의 실시예이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S)에 대하여 특정 색상의 실선 라인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490)는 색상 형성 분사 노즐(441a)을 제어하여 경계석(S) 상에 특정 색상의 라인을 도색할 수 있다. 해당 라인의 길이는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색상 형성 분사 노즐(441a)은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수용하는 색상별 탱크와 연결되어 특정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S)에 대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490)는 패턴 형성 분사 노즐(441b)을 제어하여 경계석(S) 상에 특정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해당 패턴 사이의 간격은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패턴은 '<' 형상의 패턴으로 속도감을 인식시키게 하거나, 커브 구간임을 표시하는 등의 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 형성 분사 노즐(441b) 역시 한 가지 색상의 도료 탱크에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수용하는 색상별 탱크와 연결되어 특정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S)에 대하여 실선과 점선을 동시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490)는 실선 형성 분사 노즐(441c)과 점선 형성 분사 노즐(441d)을 제어하여 경계석(S) 상에 이중 라인(실선과 점선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실선 라인의 길이나 점선 라인의 길이, 혹은 점선의 간격 등은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92)는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되어 경계석(S) 및 노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미지 분석부(493)는 이미지 센서(492)에서 획득된 경계석 및 노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존 도색 영역을 검출해낸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분석부(493)는 이미지 센서(492)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기존 도색 영역)의 시각적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과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객체의 검출 시에 아다부스트(AdaBoost) 또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러닝 머신(learning Machine)을 이용하는 방법과 추출된 특징의 벡터 유사도 등을 이용하는 비학습 방법이 있어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 및 배경의 복잡도에 따라 학습 방법과 비학습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국소적인 특징(local feature)으로 인접한 두 개 이상의 블록 간의 화소(픽셀, pixel) 값의 합의 차, 또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 곱의 합을 이용하는 하알-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을 응용할 수 있다. 하알-유사 특징 추출 시 인접 블록 간의 화소 값의 합의 차를 구하기 위해, 간단한 사각형 특징을 고려한 마스크를 사용한다.
그 외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지면 혹은 경계석에 희미하게 남아 있는 기존 도색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는 이미지 분석부(493)에서 검출된 기존 도색 영역에 대해서만 도색을 수행하도록 도료 분사부(441) 및 비드 분사부(44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분석부(493)에서 검출된 기존 도색 영역에 대해서만 도료 및 비드를 분사하여 도색함으로써 재도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494)는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410)과 경계석(S)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거리 측정 센서(494)는 지지 프레임(410)과 노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494)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고, 발광부에서 생성된 빛이 노면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흡수되는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노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영상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외 거리 측정이 가능한 센서라면 기존의 어떠한 센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거리 측정 센서(494)로부터 측정된 지지 프레임(410)과 경계석(S) 사이의 거리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경계석(S)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경계석 도색유닛(400)이 경계석(S)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엉뚱한 곳에 도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명확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경고부(497)는 거리 측정 센서(494)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나 빛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이탈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494)로부터 측정된 지지 프레임(410)과 노면 사이의 거리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에 결합된 차량(M)이 진입하는 영역에 방지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경계석 도색유닛(400)과 연결된 차량(S) 밑에 방지턱이 있는 경우 경계석(S)이나 노면 상의 도색이 어긋나거나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M) 바퀴가 방지턱을 지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미리 인지함으로써 속도를 늦추거나 해당 구간에서의 도색을 중지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고부(497)는 거리 측정 센서(494)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나 빛을 생성함으로써 차량(M)이 방지턱을 지나게 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방지턱이 아닌 장애물이 노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495)는 경계석 도색과 관련한 사용자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495)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는 키패드, 터치패드, PC, 태블릿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통신부(198)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U)을 통하여 무선 입력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495)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경계석 도색 패턴, 도색 색상 및 도색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도색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95)로부터 입력된 상기 도색 정보는 저장부(496)에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490)는 저장부(196)에 저장된 도색 정보 및 엔코더(491)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도료 분사부(441) 및 비드 분사부(44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지지 프레임(510), 상부 롤러(520), 측면 롤러(미도시), 측면 도료 분사부(541s), 측면 비드 분사부(542s),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 상면 도료 분사부(541u), 상면 비드 분사부(542u),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 및 상단 도색 가이드(545)를 포함한다. 또한,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분사부 고정 유닛(540s,540u), 관절부(550)를 더 포함하며, 위에서 설명한 경계석 도색유닛의 가압부, 장착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는 도 18 내지 23에 도시된 경계석 도색유닛(400)과 차별되는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도색유닛(5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도 18 내지 23에 도시된 경계석 도색유닛(400)과 관련한 설명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상부 롤러(520)와 측면 롤러(미도시)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경계석(S)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510)은 경계석(S)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면 프레임, 경계석(S)의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 상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프레임은 상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어 경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의 형상은 일 실시예일 뿐이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프레임을 생략하고 상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직각 혹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혹은 상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부 롤러(520)는 지지 프레임(510)에 구비되되 경계석(S)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롤러(520)는 상면 프레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총 2개의 상부 롤러(5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상부 롤러(5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6에 도시된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상부 롤러(520) 외의 보조 롤러(5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이 경계석(S)의 상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프레임에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으나, 측면 롤러(미도시)는 지지 프레임(510)에 구비되되 경계석(S)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면 롤러(미도시)는 상면 프레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면 롤러(520)와 마찬가지로 측면 롤러(미도시)도 1개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측면 롤러(530) 외의 보조 롤러(미도시)가 경계석(S)의 측면에 접촉하여 전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이 경계석(S)의 측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8 내지 23에 도시된 경계석 도색유닛(400)과는 달리, 도 26의 경계석 도색 유닛(500)은 경계석(S)의 측면 뿐만 아니라 상면에도 도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면 도료 분사부(541u)와 상면 비드 분사부(542u)가 추가된다.
먼저, 측면 도료 분사부(541s)는 경계석(S)의 측면에 도료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상부 롤러(520)와 측면 롤러(미도시)가 경계석(S)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차량(M)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A)으로 진행하게 되며, 해당 방향(A)으로 전진하면서 측면 도료 분사부(541s)가 경계석(S)에 대하여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경계석(S) 측면에 대한 도색이 이루어진다.
경계석(S)에 대한 도색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라인, 점선 라인 등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경계석(S) 전체에 대한 도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측면 비드 분사부(542s)는 측면 도료 분사부(541s)에 의하여 분사된 도료 위에 반사성 분말인 비드를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간적으로, 측면 도료 분사부(541s)의 분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므로, 측면 비드 분사부(542s)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 도료 분사부(541s)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도료 분사부(541s)와 측면 비드 분사부(542s)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해당 간격은 분사부 고정 유닛(540s)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분사부 고정 유닛(540s)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분사부 고정 유닛(540s)의 타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측면 도료 분사부(541s)와 측면 비드 분사부(542s)가 고정되므로, 측면 도료 분사부(541s)와 측면 비드 분사부(542s)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분사부 고정 유닛(540s)은 경계석(S)과 각 분사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균일한 도색 및 비드 처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측면 도료 분사부(541s)/측면 비드 분사부(542s)와 경계석(S) 사이에는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가 구비된다.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는 판형상의 금속재 혹은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는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사부 고정 유닛(540s)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지지 프레임(51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와 지지 프레임(510)의 연결은 볼트-너트 결합, 슬라이딩 결합, 힌지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편평한 판 형상의 부재로 다양한 모양을 취할 수 있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측면 도료 분사부(541s)/측면 비드 분사부(542s)와 경계석(S)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도료 및/또는 비드에 의한 도색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경계석(S)에 대하여 직선을 그려넣는 경우,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가 직선의 폭을 결정하게 된다. 측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s)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의 수직수평 이동을 통하여 폭을 조절한 뒤 측면 도료 분사부(541s)와 측면 비드 분사부(542s)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색이 이루어질 영역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규칙, 법령이나 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도로 관련 도색 규정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상면 도료 분사부(541u)는 경계석(S)의 측면에 도료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은 상부 롤러(520)와 측면 롤러(미도시)가 경계석(S)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차량(M)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A)으로 진행하게 되며, 해당 방향(A)으로 전진하면서 상면 도료 분사부(541u)가 경계석(S)에 대하여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경계석(S) 측면에 대한 도색이 이루어진다.
경계석(S)에 대한 도색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라인, 점선 라인 등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경계석(S) 전체에 대한 도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면 비드 분사부(542u)는 상면 도료 분사부(541u)에 의하여 분사된 도료 위에 반사성 분말인 비드를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간적으로, 상면 도료 분사부(541u)의 분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면 비드 분사부(542u)는 경계석 도색유닛(5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면 도료 분사부(541u)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도료 분사부(541u)와 상면 비드 분사부(542u)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해당 간격은 분사부 고정 유닛(540u)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분사부 고정 유닛(540u)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분사부 고정 유닛(540u)의 타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면 도료 분사부(541u)와 상면 비드 분사부(542u)가 고정되므로, 상면 도료 분사부(541u)와 상면 비드 분사부(542u)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분사부 고정 유닛(540u)은 경계석(S)과 각 분사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균일한 도색 및 비드 처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면 도료 분사부(541u)/상면 비드 분사부(542u)와 경계석(S) 사이에는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가 구비된다.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는 판형상의 금속재 혹은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는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사부 고정 유닛(540u)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10)의 일단과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경계석(S)의 모서리에 근접하는 지지 프레임(510)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게 되며,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부가 예각, 수직 혹은 둔각으로 구부러진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경계석(S)의 모서리 부근에서 상하좌우 이동, 회전함에 따라 경계석(S)의 상면 영역에 놓일 수도 있고, 경계석(S)의 측면 영역에 놓일 수도 있게 된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와 지지 프레임(510)의 연결은 볼트-너트 결합, 슬라이딩 결합, 힌지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상면 도료 분사부(541u)/상면 비드 분사부(542u)와 경계석(S)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는 도료 및/또는 비드에 의한 도색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경계석(S)에 대하여 직선을 그려넣는 경우,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가 직선의 폭을 결정하게 된다. 상면부 하단 도색 가이드(543u)와 상단 도색 가이드(545)의 수직수평 이동을 통하여 폭을 조절한 뒤 상면 도료 분사부(541u)와 상면 비드 분사부(542u)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색이 이루어질 영역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도색장치(100)에 결합되는 경계석 도색유닛(400)에 의하면, 경계석 도색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경계석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다기능 도색장치
110 : 지지프레임
120 : 위치조정부
121 : 연결부
122 : 분사유닛 장착부
131 : 분사유닛 높이조절부
132 : 분사유닛 위치조절부
133 : 제1 분사유닛
134 : 제2 분사유닛
140 : 가이드
141 : 길이조절 가이드
142 : 수평 가이드
143 : 세부 가이드
150 :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
155 : 연결바
160 :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
200, 300 :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400, 500 : 경계석 도색유닛

Claims (15)

  1.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차량의 전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노면에 도료, 융착액 또는 비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을 연결하는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 연결부;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계석 도색유닛을 연결하는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도색유닛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차량에 연결되는 상기 경계석 도색유닛은,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경계석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경계석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경계석에 대하여 도료 또는 비드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상부 롤러 또는 상기 측면 롤러에 구비되어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다기능 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분사유닛 장착부; 및
    상기 분사유닛 장착부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일단과 상기 제2 베이스의 일단은 힌지부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다기능 도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유닛은,
    골과 마루가 교번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회전 샤프트를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며, 상기 가드레일에 밀착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유도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 캐스터는,
    상기 가드레일의 마루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중심 밀착부;
    상기 중심 밀착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연장되고, 상기 마루 영역에서 상기 골 영역으로 이어지는 경사 영역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측면 밀착부; 및
    인접하는 유도 캐스터의 측면 밀착부를 결합하는 취부볼트 회피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 밀착부, 상기 측면 밀착부 및 상기 취부볼트 회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 상에 설치된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도색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42672A 2019-11-08 2019-11-08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KR10232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72A KR102320125B1 (ko) 2019-11-08 2019-11-08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72A KR102320125B1 (ko) 2019-11-08 2019-11-08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057A KR20210056057A (ko) 2021-05-18
KR102320125B1 true KR102320125B1 (ko) 2021-11-01

Family

ID=7615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672A KR102320125B1 (ko) 2019-11-08 2019-11-08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216779B1 (ko) * 2011-06-28 2012-12-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실린더형 머니퓰레이터 크랙실링 장치
KR101549354B1 (ko) * 2014-11-28 2015-09-01 이우재 차선 도색장치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760293B1 (ko) * 2015-06-22 2017-07-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51B1 (ko) * 2009-06-16 2012-03-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경계블록 청소장치
KR101031375B1 (ko) 2010-07-21 2011-04-29 금창준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KR20120071726A (ko) 2010-12-23 2012-07-03 이도경 도로용 경계석
KR20120083171A (ko) * 2011-01-17 2012-07-25 건흥건설 (주) 가드레일 표면 도색장치
KR101117379B1 (ko) 2011-04-18 2012-03-05 이승렬 도로용 경계석 및 이를 활용한 정보제공방법
KR101554451B1 (ko) 2015-03-04 2015-09-18 유한회사 코리아건설 소형차선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216779B1 (ko) * 2011-06-28 2012-12-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실린더형 머니퓰레이터 크랙실링 장치
KR101549354B1 (ko) * 2014-11-28 2015-09-01 이우재 차선 도색장치
KR101570708B1 (ko) * 2015-04-06 2015-11-20 (유) 이성안전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760293B1 (ko) * 2015-06-22 2017-07-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057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24B1 (ko)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
US11261571B2 (en) Roadway maintenance striping control system
ES2220431T3 (es) Instalacion de acondicionamiento de vehiculos y procedimiento operacional.
US5746539A (en) Rapid road repair vehicle
KR101975515B1 (ko) 로봇타입의 도로표식을 페인팅 하는 장치
EP3108064B1 (en) Roadway maintenance striping apparatus
CN105096394B (zh) 停车场收费装置
KR102320125B1 (ko)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US20180251946A1 (en) Metallic Striping on Roads for Vehicle Guidance
KR102182714B1 (ko) 경계석 도색 장치
KR101493912B1 (ko)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AU2012101216A4 (en) Cleaning apparatus
KR20190061602A (ko) 차량 통제용 스마트 안내 시스템
EP0021584B1 (en) Motorised vehicle for effecting a spraying operation
US20040037645A1 (en) Striping lay out machine
KR101939730B1 (ko) 중앙 분리대 표시라인 도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색차량
KR200488034Y1 (ko) 도로의 주행 차선(점선)의 역주행 방지용 노면표시
US9522406B2 (en) Portable paint shield
KR20120083171A (ko) 가드레일 표면 도색장치
KR102366694B1 (ko) 무인도색로봇
CN211775602U (zh) 一种可折叠周转的多用途人行马道
KR100713587B1 (ko) 교통안내용 자율이동 로봇 시스템
US8382394B1 (en) Device for applying reflective paint to roadside barriers
CN206941323U (zh) 行人过街安全结构
KR200433471Y1 (ko) 차량탑재용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