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93B1 -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93B1
KR101760293B1 KR1020150088672A KR20150088672A KR101760293B1 KR 101760293 B1 KR101760293 B1 KR 101760293B1 KR 1020150088672 A KR1020150088672 A KR 1020150088672A KR 20150088672 A KR20150088672 A KR 20150088672A KR 101760293 B1 KR101760293 B1 KR 10176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uide
road
unit
guid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32A (ko
Inventor
박강령
조형오
방재원
홍형길
호앙민토안
보히도브후산
강진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라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라인테크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는 도색 장치의 본체인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로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와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문자의 스케일을 서로 일치시키고, 상기 가이드 문자를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서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가 오버랩되면,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을 따라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한 도색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CHARACTER PAINTING APPARATUS FOR ROA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훼손된 문자(숫자나 기호 등)를 보수하는 도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몇 가지 규칙에 따라서 황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진 차선이 1줄이나 2줄의 실선과 점선으로 각각 표시되고 있으며, 차선 이외에도 유턴 표시 및 좌회전 표시와 같은 기호, 목적지 및 안내문 등의 글자 및 주행 속도 제한 등의 숫자를 포함하는 문자가 필요에 따라 도색된다.
현재 국내 도로의 모든 차선과 문자의 표시는 작업자가 분필로 도로상에 밑그림을 스케치하고 롤러 또는 도색 장치를 이용해서 수동으로 도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도로의 문자가 훼손되어 재도색이 필요한 경우 역시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 방식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같은 도로 내에서도 도색한 문자의 사이즈나 찌그러짐 정도 등 도색의 품질이 다를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에서도 큰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3731호(2006. 04. 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로의 훼손된 문자를 재도색 시 작업자가 일일이 밑그림을 스케치하고 롤러나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도색 품질과 작업 속도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는 도색 장치의 본체인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로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와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문자의 스케일을 서로 일치시키고, 상기 가이드 문자를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서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가 오버랩되면,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을 따라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한 도색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가 도로용 문자를 도색하는 방법은 (a) 상기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로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문자에 대한 검색과 선택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가이드 문자를 상기 촬영된 영상과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가 상기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면,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을 따라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한 도색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훼손된 문자를 재도색 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도색 품질과 작업 속도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재도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재도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이하, '도색 장치'라 칭함)(100)는 프레임(110), 이동체(120), x축 이송부(130), y축 이송부(140), 노즐 어셈블리(150), 촬영부(160), 영상 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도색 장치(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10)은 도색 장치(100)의 몸체로서 노면으로부터 도색 장치(100)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11)과, 지지 프레임(111)의 상단에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수평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도색 장치(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향 손잡이(1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11)의 각 하부에는 이동 휠(114)이 설치되어 도색 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휠(114)은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이동체(120)는 수평 프레임(112)의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x축 볼 스크류(131)가 설치되어 x축 구동 모터(132)에 의해 노즐 어셈블리(15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볼 스크류(131)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131a)과 나사축(131a)을 따라 이동하는 너트 하우징(13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x축 구동 모터(132)의 회전력을 나사축(131a)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x축 구동 모터(132)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133)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나사축(131a)에는 구동 기어(133)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기어(134)가 설치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x축 구동 모터(132)의 회전축과 나사축(131a)은 동일 축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구동 기어(133)와 종동 기어(134)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y축 이송부(140)는 이동체(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112)의 y축 프레임 하부에는 각각 로드(141)가 설치되며, 가이더(142)에 의해서 각 로드(141)와 이동체(120)의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y축 이송부(140)는 y축 볼 스크류(143)을 포함할 수 있는데, y축 볼 스크류(143)는 수평 프레임(112)의 y축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y축 구동 모터(144)에 의해 이동체(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y축 볼 스크류(143)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143a)과 나사축(143a)을 따라 이동하는 너트 하우징(143b)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 하우징(143b)은 이동체(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강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너트 하우징(143b)의 이동에 따라서 그 내부에 구비된 강구가 나사축(143a)과 접촉하여 이동체(12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y축 볼 스크류(143)의 나사축(143a)을 회전시켜 너트 하우징(143b)을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서 y축 구동 모터(14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y축 구동 모터(144)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1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나사축(143a)에는 구동 기어(145)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기어(146)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y축 구동 모터(144)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143a)이 회전하게 되고, 나사축(143a)의 회전에 의해서 너트 하우징(143b)이 나사축(143a)을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므로, 너트 하우징(143b)과 결함된 이동체(120)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y축 구동 모터(144)의 회전축과 나사축(143a)은 동일 축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구동 기어(145)와 종동 기어(146)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노즐 어셈블리(150)는 x축 이송부(130)인 x축 볼 스크류(131)의 나사축(131a)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바(135)와 가이드바(135)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36), 슬라이더(136)와 x축 볼 스크류(131)의 너트 하우징(131b)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 노즐 회전 모터(151)가 설치되는 브래킷(152) 및 노즐 회전 모터(151)에 의해 회전되며 그 하부에 도료 분사 노즐(153)과 비드 분사 노즐(154)이 설치되는 회전판(15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152)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브래킷(152)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도료 분사 노즐(153)의 선단에서부터 노면과의 거리가 가변됨으로써 도색하는 문자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도료 분사 노즐(153)의 선단에서부터 노면과의 거리가 이격될수록 재도색되는 문자의 폭이 넓어지면서 흐려지며, 반대로 도료 분사 노즐(153)의 선단에서부터 노면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재도색되는 문자의 폭이 좁아지면서 짙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색 장치(100)의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재도색 대상 문자를 촬영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블록도로 해당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였다.
촬영부(160)는 도로면에 그려진 재도색 대상 문자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예를 들어 CCD 또는 COM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60)는 프레임(110)의 조향 손잡이(113)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지지대(115)에 의해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 또는 프레임(110)의 상부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70)는 촬영부(160)에서 획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는 영상의 스케일 조정, 가이드 문자와의 오버랩 보정 및 역-원근 변환(inverse perspective transfor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의 스케일 조정은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선택되는 가이드 문자의 크기와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의 크기가 서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로면에 도색되는 문자의 폭과 높이는 도로교통법 시행 규칙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선택되어 출력되는 '가이드 문자'는 재도색 대상 문자를 실제로 도로면에 재도색할 때 최종 도색 결과의 외곽선 라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재도색 대상 문자가 직진 화살표라면 가이드 문자는 직진 화살표의 외곽선 라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로면에 도색되는 다양한 문자(숫자, 기호, 한글, 영문 등)의 실제 사이즈를 특정 스케일(축소된 스케일)로 조정한 가이드 문자가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재도색 대상 문자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가이드 문자는 해당 문자의 외곽선 라인에 따른 도색 경로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70)는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의 오버랩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작업자는 도색 장치(100)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위에 위치하도록 도색 장치(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서 재도색 대상 문자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도색 장치(100)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재도색 대상 문자를 검색하고 선택하면, 선택된 가이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되는 가이드 문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촬영 영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도색 장치(100)를 적절히 이동시켜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를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히 일치 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영상 처리부(170)는 오버랩된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일치시키는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70)는 재도색 대상 문자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징점 추출에 관해서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70)가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의 오버랩을 보정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작업자는 도색 장치(100)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위에 위치하도록 도색 장치(100)를 이동시키되 반드시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도색 장치(100)의 작업 범위 내, 즉,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범위 내에만 위치하도록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재도색 대상 문자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가이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되면,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를 통하여 가이드 문자를 재도색 대상 문자로 오버랩 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70)는 원근 효과를 가지는 촬영 영상에 대하여 역-원근 변환(inverse perspective transform)을 수행함으로써 원근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촬영부(160)가 도색 장치(100)의 프레임(110) 중앙이 아닌 조향 손잡이(113) 또는 프레임(110)의 일단이나 타단에 위치하는 경우, 촬영부(1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원근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원근 효과를 가지는 영상은 도색 장치(100)에 대한 재도색 대상 문자의 위치가 직관적으로 파악되기 어렵고,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를 서로 오버랩시키 곤란한 상황을 만들게 된다.
영상 처리부(170)에 의해 원근 효과가 제거된 영상은 촬영부(160)가 도색 장치(100)의 프레임(110) 중앙에서 촬영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작업자는 원근 효과가 제거된 영상을 통해서 재도색 대상 문자 및 그에 대한 도색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를 용이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도색 장치(100)에 탑재된 터치 스크린, 작업자의 PDA나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이이부(180)를 통해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이드 문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재도색 대상 문자를 검색하고 특정 가이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를 이용하여 가이드 문자를 재도색 대상 문자로 오버랩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영상 처리부(170)에 의해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이 보정되면, 도색 장치(100)에 대한 재도색 대상 문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재도색을 위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재도색을 위해 설정된 기준점과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에 따른 도색 경로에 근거하여 재도색 대상 문자를 도색할 수 있으며, 이때, 실제 도로면에 적용하는 스케일로 변환하여 도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x축 이송부(130)와 y축 이송부(140)를 통해 이동체(12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노즐 어셈블리(150)로 도료 및 비드의 분사 시점과 종료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도료 저장 탱크(10), 히터(20), 연료 탱크(30), 비드 저장 탱크(40) 및 컴프레셔(50)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료 저장 탱크(10)는 도료가 수용되며, 히터(20)는 도료 저장 탱크(10)에 열을 가하여 도료 저장 탱크(10)에 수용된 도료가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30)는 히터(20)에서 가열에 사용되는 연료가 저장되며, 비드 저장 탱크(40)는 글라스 비드가 수용되며, 비드 저장 탱크(40)에 수용된 글라스 비드는 도 1에 도시된 비드 분사 노즐(154)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비드 분사 노즐(154)은 도료 분사 노즐(153)의 진행 방향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도료가 분사되어 도색된 문자의 상부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다.
컴프레셔(5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서 도료 분사 노즐(153) 및 비드 분사 노즐(154)에서 각각 분사되는 도료 및 비드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구동부와 노즐 회전 구동부 및 구동부를 통해서 도료 분사 노즐(153)과 비드 분사 노즐(154), 그리고 x축 구동 모터(132)와 y축 구동 모터(14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재도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서, 도색 장치(100)는 재도색 대상 문자와 동일한 가이드 문자를 검색 및 선택한다(S301).
S301 후, 도색 장치(100)는 S301에서 선택된 가이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한다(S302).
S302 후, 도색 장치(100)는 도로면을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실시간 출력한다(S303).
이때,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참고하여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이동시켜 오버랩시킬 수 있다.
S303 후, 도색 장치(100)는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보정하고, 가이드 문자의 외관 라인을 따라 재도색을 실행한다(S304).
참고로, 도 3에서는 가이드 문자를 먼저 선택한 후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로,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먼저 이동 시킨 후 가이드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문자 재도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서, 도색 장치(100)는 재도색 대상 문자와 동일한 가이드 문자를 검색 및 선택한다(S401).
S401 후, 도색 장치(100)는 S401에서 선택된 가이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한다(S402).
S302 후, 도색 장치(100)는 도로면을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실시간 출력한다(S403).
S403 후, 도색 장치(100)는 작업자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를 통해 가이드 문자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오버랩시킨다(S404).
S404 후, 도색 장치(100)는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보정하고, 가이드 문자의 외관 라인을 따라 재도색을 실행한다(S405).
참고로, 도 4에서는 가이드 문자를 먼저 선택한 후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로,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로 먼저 이동 시킨 후 가이드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색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가이드 문자와 촬영 영상의 재도색 대상 문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에 표시되는 가이드 문자를 기준으로 도색 장치(100)에서 촬영된 재도색 대상 문자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실시간 출력되는 도로면을 촬영한 영상을 참고하여 도색 장치(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를 오버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문자와 재도색 대상 문자의 오버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색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가이드 문자와 촬영 영상의 재도색 대상 문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위치에 표시되는 재도색 대상 문자를 기준으로 가이드 문자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실시간 출력되는 도로면을 촬영한 영상을 참고하여 도색 장치(100)를 재도색 대상 문자 위에 적절히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가이드 문자를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를 통해 재도색 대상 문자에 오버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색 장치(10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110 : 프레임
160 : 촬영부
170 : 영상 처리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제어부

Claims (11)

  1.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에 있어서,
    도색 장치의 본체인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로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와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문자의 스케일을 서로 일치시키고, 상기 가이드 문자를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 표시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에 원근 효과가 나타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역-원근 변환(inverse perspective transform)을 수행하여 상기 원근 효과를 제거하여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상기 가이드 문자를 오버랩시키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면에 출력된 영상에서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가 오버랩되면, 상기 스케일을 도로면에 적용하는 실제 스케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을 따라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한 도색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 노즐과, 도색 경로 상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된 도료 상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버랩이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보정하되,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의 특정 지점과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특징점을 일치시켜 상기 오버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로용 문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이드 문자와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에 대한 도색 경로를 저장하는 가이드 문자 저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응하는 가이드 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이드 문자 저장부로부터 검색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색 경로에 따라 상기 노즐 어셈블리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x축 이송부 및 y축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도색 폭과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9.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가 도로용 문자를 도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로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재도색 대상 문자의 외곽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문자에 대한 검색과 선택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가이드 문자를 상기 촬영된 영상과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에 원근 효과가 나타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역-원근 변환(inverse perspective transform)을 수행하여 상기 원근 효과를 제거하여 상기재도색 대상 문자와 상기 가이드 문자를 오버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와 가이드 문자가 상기 화면상에서 오버랩되면, 상기 스케일을 도로면에 적용하는 실제 스케일로 변환하여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을 따라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에 대한 도색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 노즐과, 도색 경로 상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된 도료 상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오버랩이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보정하되,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재도색 대상 문자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가이드 문자의 외곽 라인의 특정 지점과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재도색 대상 문자의 특징점을 일치시켜 상기 오버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문자 도색 방법.
  11. 삭제
KR1020150088672A 2015-06-22 2015-06-22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76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72A KR101760293B1 (ko) 2015-06-22 2015-06-22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72A KR101760293B1 (ko) 2015-06-22 2015-06-22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32A KR20160150532A (ko) 2016-12-30
KR101760293B1 true KR101760293B1 (ko) 2017-07-21

Family

ID=5773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672A KR101760293B1 (ko) 2015-06-22 2015-06-22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42B1 (ko) 2020-02-07 2020-07-29 (주)라인테크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노면 문자 자동 도색장치
KR20210056057A (ko) * 2019-11-08 2021-05-18 (유)프리라인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41B1 (ko) * 2020-02-07 2020-08-11 (주)라인테크 비전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선 도색 장치
KR102635699B1 (ko) * 2022-05-13 2024-02-20 주식회사 알피 문자 작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6590A (ja) * 2013-10-31 2015-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路面標示用塗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731B1 (ko) 2003-10-07 2006-04-2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노면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6590A (ja) * 2013-10-31 2015-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路面標示用塗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057A (ko) * 2019-11-08 2021-05-18 (유)프리라인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KR102320125B1 (ko) * 2019-11-08 2021-11-01 (유)프리라인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KR102139342B1 (ko) 2020-02-07 2020-07-29 (주)라인테크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노면 문자 자동 도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32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293B1 (ko)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CN104699104B (zh) 一种自适应agv视觉导航视线调整装置的线迹跟踪方法
US11015308B2 (en) Roadway marker control system
CN104483966B (zh) 一种用于潜伏式agv的双目视觉导航控制方法
US20170259920A1 (en) Automatic painting system with drone, user interface and computer vision
DE102012222972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Trajektorie eines Fahrmanövers
CN104384762B (zh) 一种焊机移动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KR101974602B1 (ko) 도로의 차선을 재도색하는 장치 및 방법
US9774773B2 (en) Marking apparatus and marking method for display panel
KR102143641B1 (ko) 비전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선 도색 장치
DE102012006371A1 (de)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Objekts
US20150186757A1 (en) Arbitrary Surface Printing Device for Untethered Multi-Pass Printing
DE102015220352A1 (de) Messsystem, tragbarer Funk-Sendeempfänger und Nivellierlatte zur Verwendung in dem Messsystem
KR102139342B1 (ko)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노면 문자 자동 도색장치
US8467952B2 (en) Map generating device, and memory medium storing map generating program
KR101630391B1 (ko) 노면표시용 문자 도색장치 및 방법
WO2009065370A1 (de) Mobiles navigationsgerät mit projektionseinrichtung
US2019008061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KR20170040606A (ko) 도로의 노면 표시 장치
CN111376590B (zh) 一种喷墨打印设备及其喷墨打印方法和装置
CN202700735U (zh) 视觉点漆机
DE102014006417A1 (de) Verfahren zur 3D-Laserabtastung von Kanalrohren und hierfür geeignete Vorrichtung
KR20170060948A (ko) 드로잉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3665408A (zh) 换电设备的定位控制系统及方法
JP2014193660A (ja) 駐車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