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699B1 - 문자 작도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작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699B1
KR102635699B1 KR1020220058761A KR20220058761A KR102635699B1 KR 102635699 B1 KR102635699 B1 KR 102635699B1 KR 1020220058761 A KR1020220058761 A KR 1020220058761A KR 20220058761 A KR20220058761 A KR 20220058761A KR 102635699 B1 KR102635699 B1 KR 102635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user
displaying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8975A (ko
Inventor
박정규
이성건
우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피
Priority to KR102022005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699B1/ko
Priority to PCT/KR2022/015351 priority patent/WO2023106598A1/ko
Publication of KR2023015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975A/ko
Priority to KR1020240013813A priority patent/KR2024001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target velocity, e.g. to relative velocity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은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작도 방법{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text}
본 발명은 문자 작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는 문자 작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대상물의 벽면에 이미지를 도색하려는 경우, 옥상에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이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직접 도색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바닥면과 같은 대상표면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이미지 도안을 보고 수작업으로 도색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수작업의 특성 상 도색에 필요한 시간 및 인건비가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동 도색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자동 도색 장치의 경우 특정 이미지를 도색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자동 도색 장치가 문자를 도색하기 위해서는 도색할 문자 데이터가 필요하다.
일례로, 문자 데이터는 문자의 종류, 크기, 획 두께/길이 등 문자를 정의하기 위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자는 우선 문자 데이터를 생성한 후, 문자 데이터를 자동 도색 장치로 입력하여야 하며, 이러한 문자 데이터를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한(문자를 작도하기 위한) 환경이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897 B1 (2017.03.22)호에서는 글자 사이의 간격 적분을 통한 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글자 사이의 시각적 면적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함에 그칠 뿐,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양한 문자를 작도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는 문자 작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은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에 의하면,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을 구현하는 문자 작도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의 개략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모션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
도 7은 자동 도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8은 자동 도색 장치에 의해 특정 이미지가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특정 이미지를 도색하기 위한 도료 분사 노즐부가 대상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은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각각 블록화한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블록 아이콘의 복수의 블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입력 아이콘과 대응되는 블록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블록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이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떨어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메모리부가 자동 도색 장치의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 매커니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을 나타내는 모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가 도색하는 도색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션 아이콘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색 이미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두께 조절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문자 작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을 구현하는 문자 작도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략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이 제공하는 모션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예시도이다.
도 7은 자동 도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8은 자동 도색 장치에 의해 특정 이미지가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특정 이미지를 도색하기 위한 도료 분사 노즐부가 대상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은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자동 도색 장치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1000)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특정 바닥면 등의 대상표면에 특정 이미지를 도료로 도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이미지는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특정 바닥면 상의 대상표면에 비상 시 사람들의 대피 방향을 알려줄 수 있는 "비상구"라는 문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1000)는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도료 분사 노즐부(110),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지지기 위한 지지프레임부(120),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회전을 위한 방향전환부(130)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는 상기 대상표면에 소정 길이를 가진 일자형 패턴(P, 도 8 참조)으로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선단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20)는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X축, Y축 및 Z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형상 등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바퀴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으로 자동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프레임부(120)는 상기 대상표면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위치 이동은 구동모터를 이용한 볼스크류 방식, 체인 방식, 벨트 방식, 실린더 방식 및/또는 기어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회전시켜 일자형 패턴의 배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130)의 동작은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X축, Y축 및 Z축을 따른 위치 이동 동작과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시에 복수의 동작이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위치 이동, 및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제어장치로, 상기 지지프레임부(120)의 위치 이동 등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의 폭이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기 Z축을 따른 위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의 도막 두께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을 따른 위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140)에 의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동작 제어 등에 대해서 도 8에 도시된 특정 이미지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에 의해 특정 이미지가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는 특정 이미지를 도색하기 위한 도료 분사 노즐부가 대상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1000)에 의해 도색되는 특정 이미지는 특정 바닥면 상의 대상표면에 비상 시 사람들의 대피 방향을 알려줄 수 있는 "비상구"라는 문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정 이미지가 바닥면 상의 대상표면에 도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이미지는 비상 시 달려오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가독성이 좋아야 하며, 이로 인하여 원근법이 적용된 이미지이어야 정보의 전달이라는 본연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특정 이미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시 달려오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가로 라인부(W1)가 세로 라인(W2)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도색되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도막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은 특정 이미지, 즉, 상기 특정 이미지 중 제1 라인부(가로 라인부, W1)가 제2 라인부(세로 라인부, W2)보다 폭이 넓은 경우, 상기 제2 라인부(세로 라인부, W2)를 도색하기 위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켜 상기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고,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위치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특정 이미지의 세로 라인부(W2)에 대한 도색 공정 시의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특정 이미지의 가로 라인부(W1)에 대한 도색 공정 시의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경우 대상표면으로부터의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H1)가 도 10에 도시된 이격 거리(H2)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워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은 획의 도색이 가능해질 수 있다.
더하여, 도 9의 경우 단위 시간 당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이동 거리(D1)가 도 10에 도시된 단위 시간 당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이동 거리(D2)보다 크게 되어, 다시 말하면,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도막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특정 이미지는 가로 라인부(W1) 및 세로 라인부(W2) 이외에 곡선 라인부(A, B, C, 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 라인부(A, B, C, D)는 주로 "O" 자음에 사용되게 되며,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 B) 및 좌측 하향 곡선 라인부(C, 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 B)는 대략 "ㄱ"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A) 및 대략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하향 곡선 라인부(C, D)는 대략 역 "ㄱ"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C) 및 대략 역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대략 "ㄱ"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A) 및 대략 역 "ㄱ"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C)는 상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가로 라인부(W1)와 연결되고 하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세로 라인부(W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B) 및 대략 역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D)는 상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세로 라인부(W2)와 연결되고 하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가로 라인부(W1)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O" 자음에서 가로 라인부(W1) 또는 세로 라인부(W2)가 미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에 의해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 B) 또는 좌측 하향 곡선 라인부(C, D)가 도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부(120) 상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X축 및 Y축을 따라 가변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회전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하며,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켜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ㄱ"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A)의 경우 상측 부분부터 도료 분사 노즐부(110)에 의해 도색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회전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하고,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켜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고, 위치 이동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회전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하여 소정 길이를 가진 일자형 패턴의 진행 방향이 대략 "ㄱ"자 형상의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를 따라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도록 상기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키며, 상기 위치 이동 속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대략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B)의 경우 상측 부분부터 도료 분사 노즐부(110)에 의해 도색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회전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하고,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켜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고, 위치 이동 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회전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하여 소정 길이를 가진 일자형 패턴의 진행 방향이 대략 "ㄴ"자 형상의 곡선 라인부(B)를 따라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대상표면으로부터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상기 Z축을 따라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동시키며, 상기 위치 이동 속도가 점점 감소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에 의해 도색되는 상기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 B) 또는 상기 좌측 하향 곡선 라인부(C, D)의 외측 라인의 곡률 반경이 가변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및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에 의해 도색되는 상기 우측 하향 곡선 라인부(A, B) 또는 상기 좌측 하향 곡선 라인부(C, D)의 내측 라인의 곡률 반경이 일정하도록,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 및 상기 방향전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40)는 곡선 라인부(A, B, C, D)에 대해 도색되는 방향에 따라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Z축을 따른 이동 방향, 및 X축 및 Y축에 따른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위치 이동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여, 원근법이 적용된 가독성이 좋아지는 곡선 라인부(A, B, C, D)의 도색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가 도색할 문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에 대해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은 문자 작도 시스템(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은 상기 문자 작도 시스템(10)의 개략 구성 블록(B)도이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시스템(10)은 사용자가 문자 작도를 할 수 있도록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00),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200),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연산값 등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400),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연산값을 연산하고 처리하는 제어부(300) 및 자동 도색 장치(1000)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문자 작도 시스템(10)에서 구현되는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은 상기 메모리부(400)가 자동 도색 장치(1000)의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 매커니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션 매커니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션 메커니즘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연산값 등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의 상기 컨트롤러(140)가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400)는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로부터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업데이트된 제어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은 디스플레이(100)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를 표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은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의 예시로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는 크게,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A1),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 및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 인터페이스(A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A1),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 및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A3) 모두는 상기 디스플레이(100)가 표시하는 하나의 화면에 분할되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A1)는 작도할 문자의 획을 직선으로 할 것인지 원호(곡선)로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LINE, ARC)을 포함하며, 나아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문자 생성 및 편집이 가능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I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I1)의 배경으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눈금자, 눈금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 아이콘(I1)은 가로 방향x세로 방향으로 4x4개의 복수의 아이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아이콘(I1)에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을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편집 인터페이스(A1)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각각 블록화한 복수의 블록(B)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아이콘(I4)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록 아이콘(I4)은 상기 입력 아이콘(I1)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는 4x4개의 블록(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통해 입력한 문자의 획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획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와, 입력이 누적된 문자의 획에 대한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A3)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션 아이콘(I6)의 위치 이동을 설정할 수 있는 속도 조절 아이콘(I7) 및 두께 조절 아이콘(I8)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은 상기 입력부(200)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100)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는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가 연산/처리하여 도출된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 상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00) 상에서 자신이 입력한 문자 작도 입력값에 대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 및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을 통해 상기 입력 아이콘(I1)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서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을 유지한 채,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과 미리 매칭된(점선 표시) 가로 방향으로의 4개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이 세로 방향으로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과 동일한 위치에 이동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의 위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세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서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을 유지한 채,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과 미리 매칭된(점선 표시) 세로 방향으로의 4개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이 가로 방향으로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과 동일한 위치에 이동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의 위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가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과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은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각각 복수 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상기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I3)과 상기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I2)을 통해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위치 이동 시킨 후,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통해 문자 "ㄱ"의 획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례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서, 사용자는 마우스의 커서(C)를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 중 1행x1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에 올려 놓을 수 있다(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블록 아이콘(I4) 상에 1행x1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과 대응하는 1행x1열의 상기 블록(B)을 다른 블록(B)들과 구별되도록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모양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블록 아이콘(I4)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1행x1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서, 사용자는 마우스의 커서(C)를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 중 1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에 올려 놓을 수 있다(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블록 아이콘(I4) 상에 1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과 대응하는 1행x2열의 상기 블록(B)을 다른 블록(B)들과 구별되도록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모양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1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1행x1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과 1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잇는 문자의 제1 획(L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에서, 사용자는 마우스의 커서(C)를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I1) 중 4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에 올려 놓을 수 있다(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블록 아이콘(I4) 상에 4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과 대응하는 4행x2열의 상기 블록(B)을 다른 블록(B)들과 구별되도록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모양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4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1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과 4행x2열의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잇는 문자의 제2 획(L2)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자신이 작도한 "ㄱ"자를 볼 수 있다.
한편, 도 5(d)는 도 5(c) 상태에서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는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이 소정의 기준점(Z)으로부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떨어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아이콘(I5)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기준점(Z)은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에서 좌측 상단점일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제1 획(L1)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는 상기 기준점(Z)으로부터 상기 제1 획(L1)의 일단이 X(가로 방향, X1), Y(세로 방향, Y1)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획(L1)의 타단이 X(가로 방향, X2), Y(세로 방향, Y2)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 획(L2)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문자 정보 인터페이스(A2)는 상기 기준점(Z)으로부터 상기 제2 획(L2)의 일단이 X(가로 방향, X1), Y(세로 방향, Y1)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 획(L2)의 타단이 X(가로 방향, X2), Y(세로 방향, Y2)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이격된 거리가 상기 거리 아이콘(I5)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상기 거리 아이콘(I5)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해당 획이 선택되어 다른 획과 구별되는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은 상기 모션 매커니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매커니즘 정보는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상기 컨트롤러(14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어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를 표시하는 단계(S200)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A3)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의 모션을 나타내는 모션 아이콘(I6)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션 아이콘(I6)은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를 이미지화 한 것으로서,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a)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 아이콘(I1)을 통해 입력한 "ㄱ"자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획(L1) 및 상기 제2 획(L2)을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가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A3) 상에 표시된 'start' 아이콘(도 3에 도시)을 클릭하는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서 상기 제1 획(L1) 상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실제로 이동할 모션 및 상기 제1 획(L1)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도색하는 도색 이미지(제1 도색 이미지(E1))가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작도한 제1 획(L1)에 대해, 향 후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어떻게 이동되고 어떠한 이미지를 도색하는지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c) 및 도 6(d)는 제2 획(L2)에 대해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아이콘(I6)은 상기 제1 획(L1)의 타단(제1 획(L1)에서 도색을 완료한 지점)에서 상기 제2 획(L2)의 일단(제2 획(L2)에서 도색을 시작할 지점)으로 이동되는 모션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서 상기 제2 획(L2) 상에서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실제로 이동할 모션 및 상기 제2 획(L2)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도색하는 도색 이미지(제2 도색 이미지(E2))가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작도한 제2 획(L2)에 대해, 향 후 상기 자동 도색 장치(1000)의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110)가 어떻게 이동되고 어떠한 이미지를 도색하는지 미리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A3)는 상기 모션 아이콘(I6)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 아이콘(I7) 및 상기 도색 이미지의 두께(K)를 조절할 수 있는 두께 조절 아이콘(I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속도 조절 아이콘(I7)의 입력창에 상기 모션 아이콘(I6)의 이동 속도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이동되는 상기 모션 아이콘(I6)은 사용자가 입력한 속도에 대응되는 속도로 상기 제1 획(L1) 및 상기 제2 획(L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두께 조절 아이콘(I8)의 입력창에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지나가며 생성되는 상기 도색 이미지의 두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D) 상에 상기 모션 아이콘(I6)이 이동되며 표시되는 상기 도색 이미지의 두께(K)는 사용자가 입력한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상기 도색 상기 제1 획(L1) 및 상기 제2 획(L2)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연산하여 앞서 설명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가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A)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문자 작도 방법(S10)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디스플레이
200: 입력부
300: 제어부
400: 메모리부
500: 통신부

Claims (9)

  1.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도하는 문자 작도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더 표시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각각 블록화한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블록 아이콘의 복수의 블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입력 아이콘과 대응되는 블록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블록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문자 작도 방법.
  2. 삭제
  3. 자동 도색 장치가 도색할 문자를 작도하는 문자 작도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작도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기 문자 작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의 획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아이콘을 표시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로 방향 이동 아이콘 및 복수의 상기 입력 아이콘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로 방향 이동 아이콘을 더 표시하며,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문자의 획의 일단 및 타단이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떨어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문자 작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자동 도색 장치의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 매커니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작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문자 작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의 모션을 나타내는 모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문자 작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작도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상에 상기 도료 분사 노즐부가 도색하는 도색 이미지를 표시하는,
    문자 작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션 아이콘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 아이콘을 포함하는,
    문자 작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색 이미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두께 조절 아이콘을 포함하는,
    문자 작도 방법.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문자 작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0058761A 2021-12-09 2022-05-13 문자 작도 방법 KR102635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61A KR102635699B1 (ko) 2022-05-13 2022-05-13 문자 작도 방법
PCT/KR2022/015351 WO2023106598A1 (ko) 2021-12-09 2022-10-12 이미지 자동 도색 장치 및 상기 장치가 도색할 문자 작도 방법
KR1020240013813A KR20240019190A (ko) 2022-05-13 2024-01-30 문자 작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61A KR102635699B1 (ko) 2022-05-13 2022-05-13 문자 작도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813A Division KR20240019190A (ko) 2022-05-13 2024-01-30 문자 작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75A KR20230158975A (ko) 2023-11-21
KR102635699B1 true KR102635699B1 (ko) 2024-02-20

Family

ID=889821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61A KR102635699B1 (ko) 2021-12-09 2022-05-13 문자 작도 방법
KR1020240013813A KR20240019190A (ko) 2022-05-13 2024-01-30 문자 작도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813A KR20240019190A (ko) 2022-05-13 2024-01-30 문자 작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5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52Y1 (ko) 2005-08-05 2005-12-14 김경진 도로 표식 도색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067A (en) * 1993-12-14 1996-01-23 Pavement Marking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surface
KR101760293B1 (ko) * 2015-06-22 2017-07-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문자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2155103B1 (ko) * 2019-01-08 2020-09-11 주식회사 원이멀스 가상 환경에서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52Y1 (ko) 2005-08-05 2005-12-14 김경진 도로 표식 도색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75A (ko) 2023-11-21
KR20240019190A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9824B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variable width lines
US9176653B2 (en) Methods for combination tools that zoom, pan, rotate, draw, or manipulate during a drag
US6377240B1 (en) Drawing system using design guides
JP2015509833A (ja) 点描画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H0760429B2 (ja) テキストの行単位寸法を定義する方法
US20070268304A1 (en) Gradient Brush and Stroke
US11061529B2 (en) Generating contextual guides
US88543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ray dot-matrix font from binary dot-matrix font
US20090187839A1 (en) Method, computer and program for making out seat layout
EP0917037A2 (en)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7239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ly manipulating data tables
CN107924268B (zh) 对象选择系统和方法
KR102635699B1 (ko) 문자 작도 방법
JP4611116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510460A (ja) 点描画デザイン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H0238978B2 (ko)
US1083859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CN114610192A (zh) 文本选取方法、文本选取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08009500A (ja) 表示部品の経路上の移動表示方式
US7218329B2 (en) Drawing tool and drawing method
JPH01316804A (ja) 輪郭形状定義方法
US20230040745A1 (en) Figure display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JPH07105395A (ja) 情報処理装置
JP3078955B2 (ja) 塗りつぶし方法
US20040217969A1 (en) Program for automatic picture formation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