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375B1 -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 Google Patents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375B1
KR101031375B1 KR1020100070280A KR20100070280A KR101031375B1 KR 101031375 B1 KR101031375 B1 KR 101031375B1 KR 1020100070280 A KR1020100070280 A KR 1020100070280A KR 20100070280 A KR20100070280 A KR 20100070280A KR 101031375 B1 KR101031375 B1 KR 10103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ase body
identification
protective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은
금창준
Original Assignee
금창준
남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창준, 남궁은 filed Critical 금창준
Priority to KR102010007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Road Repair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이나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을 분리하는 중앙분리대 등과 같은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는,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갖는 베이스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노즐; 식별용 도료가 저장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를 가지며, 상기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식별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야간에도 방호책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를 사용하여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는 것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THE PAINTING APPARATUS AND PAINTING METHOD FOR DISTINGUISH LINE OF GUARD FENCE}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이나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을 분리하는 중앙분리대 등과 같은 방호책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차량의 운전자 보호 등을 위한 목적으로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와 같은 방호책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다수 개의 금속구조물이 연결된 형태이며,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다수 개 연결된 형태이다.
야간에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의 일부분에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나 반사판 만으로는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가 식별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차로의 경계나 차선의 경계가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일반적으로 빛반사 효율이 우수한 도료를 사용함)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 차로의 경계선 외측에 차량의 이탈에 의한 추락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호책을 설치해 놓는 경우도 있는데 야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호책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용 도료를 사용해서 방호책을 도색해 놓는 경우도 있었다.
식별용 도료를 사용하여 차로의 경계나 차선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장치는 기계화되어 있었으나 세워져 있는 방호책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는 안출되어 있지 않아 방호책을 도색하려 할 때는 작업자가 일일이 스프레이 건 등을 움직여서 도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방호책의 도색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방호책을 도색하기 보다는 반사판을 방호책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해 놓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방호책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를 사용하여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는 것이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몸체에 도료분사노즐이 위치되어 있어 도료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도료가 도료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면서 베이스몸체를 이동시키면 방호책에 긴 식별라인이 도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는,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갖는 베이스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베이스몸체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노즐을 갖는다.
또, 식별용 도료가 저장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를 가지며, 상기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식별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는,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몸체에 도료분사노즐이 위치되어 있고, 도료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도료가 도료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면서 베이스몸체를 이동시키면 방호책에 긴 식별라인이 도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도 방호책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를 사용하여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는 것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가 베이스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베이스몸체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며, 방호책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방향회전바퀴와 방호책의 전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횡방향회전바퀴를 갖는 경우에는 베이스몸체가 신속하고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종방향회전바퀴를 베이스몸체의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 식별라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의 사용 상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략도
도 4a는 방호책이 중앙분리대이고, 종방향회전바퀴의 상, 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종방향회전바퀴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
도 4b는 방호책이 중앙분리대이고, 종방향회전바퀴의 상, 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종방향회전바퀴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
도 5는 종방향회전바퀴의 상, 하 이동이 가능한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식별용 도료를 사용해서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는 것이 용이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발명자는,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몸체 및 베이스몸체에 위치된 도료분사노즐이 방호책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면서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용 도료를 도료공급수단을 통해 도료분사노즐로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식별라인이 도색되도록 하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는,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되어 식별용 도료가 방호책에 도포되며, 도료분사노즐(20)을 방호책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는, 방호책(1)에 안치되어 방호책(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1)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갖는 베이스몸체(10)를 갖는다.
또,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노즐(20)을 갖는다.
또, 식별용 도료가 저장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31)를 가지며, 상기 도료저장탱크(31)에 저장된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되도록 식별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30)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몸체(10)가 바퀴(11, 12)를 가짐에 따라 베이스몸체(10)가 방호책(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원활하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방호책(1)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방향회전바퀴(11)와 방호책(1)의 전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횡방향회전바퀴(1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방호책(1)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몸체(10)가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방호책(1)의 상부면에서 도료분사노즐(20)까지의 거리 및 도료분사노즐(20)에서 식별라인이 도색될 위치까지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베이스몸체(10)를 방호책(1)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즉, 식별용 도료가 분사되고 종방향회전바퀴(11)와 횡방향회전바퀴(12)가 방호책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로 베이스몸체(10)를 움직여주기만 하면 깨끗한 도색상태의 식별라인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방호책(1)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또 다른 종방향회전바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베이스몸체(10)가 방호책(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고,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한 동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베이스몸체(10)에 손잡이(13)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고, 손잡이(13)를 잡고 베이스몸체(10)를 방호책(1)의 길이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동력에 의해서 베이스몸체(10)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바퀴(종방향회전바퀴(11)나 횡방향회전바퀴(12))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의 구동시 바퀴가 회전되도록 한다.
전술한 도료분사노즐(20)이나 도료공급수단(30)은 차선의 경계나 차로의 경계 등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되는 형태 등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종방향회전바퀴(11)를 갖는 구조에 있어서,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면 식별라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장치를 다양한 사양의 가이드레일 및 중앙분리대 등에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별라인이 도색되어야 하는 지점으로부터 베이스몸체(10)의 슬라이딩 이동시 기준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종방향회전바퀴(11)를 갖는 구조는 베이스몸체(10)의 슬라이딩 이동시 기준이 되는 지점이 베이스몸체(10)의 상부면(종방향회전바퀴(11)와 접촉되는 면)이다.
따라서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종방향회전바퀴(11)로부터 도료분사노즐(20)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한 사양의 가이드레일 및 중앙분리대에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 4a 및도 4b와 같이 종방향회전바퀴(11)가 브라켓 형태의 상하이동체(14)를 통해 베이스몸체(10)의 골격부에 연결되어 있되 상하이동체(14)가 베이스몸체(10)의 골결부 상, 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하이동체(14)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고정볼트 등을 통해 고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5와 같이 베이스몸체(10)의 골격부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 개의 브라켓연결홈(15)를 형성해 놓음으로써 종방향회전바퀴(11)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16)을 복수 개의 브라켓연결홈(15) 중 특정의 브라켓연결홈(15)에 삽입하여 고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구조는 브라켓연결홈(15)이 길고 측면이 개방된 형태이어서 브라켓(16)을 브라켓연결홈(15)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료저장탱크(31)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도료공급수단(30)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31)와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된 도료분사노즐(20)을 연결하는 호스(31)를 가지고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다량의 식별용 도료를 차량에 구비해 놓은 상태에서 차량 및 작업자가 서서히 이동하면서 식별용 도료가 지속적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식별라인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도료저장탱크(31)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이 베이스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동하고 있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스위치(32)가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몸체(10)의 이동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식별라인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식별용 도료의 분사를 즉시 제한하여 문제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문제 해결 후에는 다시 신속하게 식별용 도료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분사제어스위치(32)는 식별용 도료를 공급하는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형태일 수도 있고,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밸브(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된 식별용 도료에 의해 형성된 식별라인이 차량의 전조 등 불빛 등을 반사하도록 하는 것이 식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분사된 식별용 도료에 의해 형성된 식별라인에 가루 상태의 빛반사 물질인 비즐을 분사하는 비즐분사노즐(40)을 갖는 비즐분사수단이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즐은 빛을 반사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도로건설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유리가루 등의 형태이다.
또, 비즐을 분사하기 위한 비즐분사노즐(40)을 포함하는 비즐분사수단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비즐과 비즐분사노즐(40) 및 비즐분사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 방호책 10. 베이스몸체
11. 종방향회전바퀴 12. 횡방향회전바퀴
13. 손잡이 14. 상하이동체
15. 브라켓연결홈 16. 브라켓
20. 도료분사노즐 30. 도료공급수단
31. 호스 32. 분사제어스위치
40. 비즐분사노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방호책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갖는 베이스몸체(10);
    상기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노즐(20);
    식별용 도료가 저장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를 가지며, 상기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식별용 도료가 도료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식별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30);
    상기 베이스몸체(10)를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몸체(10)에 구비된 손잡이(13);
    상기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가 상기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스위치(32); 및
    상기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된 식별용 도료에 의해 형성된 식별라인에 가루 상태의 빛반사 물질인 비즐을 분사하는 비즐분사노즐(40)을 갖는 비즐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퀴는 방호책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방향회전바퀴(11)와 방호책의 전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횡방향회전바퀴(12)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켜 종방향회전바퀴(11)로부터 도료분사노즐(20)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료저장탱크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으며,
    도료공급수단(30)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와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된 도료분사노즐(20)을 연결하는 호스(3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8. 방호책에 안치되어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방호책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몸체(10)와 상기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된 도료분사노즐(20) 및 도료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된 식별용 도료에 의해 형성된 식별라인에 가루 상태의 빛반사 물질인 비즐을 분사하는 비즐분사노즐(40)을 갖는 비즐분사수단이 방호책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면서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용 도료와 비즐이 도료분사노즐(20)과 비즐분사노즐(4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방호책의 길이방향으로 식별라인이 도색되도록 하되
    상기 바퀴는 방호책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방향회전바퀴(11)와 방호책의 전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횡방향회전바퀴(12)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도료저장탱크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도료공급수단(30)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도료저장탱크와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된 도료분사노즐(20)을 연결하는 호스(31)를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상기 종방향회전바퀴(11)를 베이스몸체(10)의 상, 하로 이동시켜 종방향회전바퀴(11)로부터 도료분사노즐(20)까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식별용 도료에 의해 도색되는 식별라인의 위치를 설정한 후 공급되는 식별용 도료의 분사를 베이스몸체(10)에 위치된 분사제어스위치(32)를 통해 제어하면서 작업자가 베이스몸체(10)에 구비된 손잡이(13)를 잡고 밀어서 베이스몸체(10)와 도료분사노즐(20) 및 비즐분사수단이 방호책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방법.
KR1020100070280A 2010-07-21 2010-07-21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KR10103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80A KR101031375B1 (ko) 2010-07-21 2010-07-21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80A KR101031375B1 (ko) 2010-07-21 2010-07-21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375B1 true KR101031375B1 (ko) 2011-04-29

Family

ID=4405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80A KR101031375B1 (ko) 2010-07-21 2010-07-21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3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730B1 (ko) 2018-07-18 2019-01-17 (주) 플레이그라운드 중앙 분리대 표시라인 도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색차량
KR20200116293A (ko) 2019-04-01 2020-10-12 마상훈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
CN112604854A (zh) * 2020-12-12 2021-04-06 曹少华 一种道路交通用围栏喷漆装置
KR20210056057A (ko) 2019-11-08 2021-05-18 (유)프리라인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CN115155885A (zh) * 2022-06-30 2022-10-11 温州市城南市政建设维修有限公司 一种市政护栏美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98A (en) * 1978-07-14 1980-04-15 Jolly John H Jr Self-leveling boom-type spraying apparatus
KR100400820B1 (ko) *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98A (en) * 1978-07-14 1980-04-15 Jolly John H Jr Self-leveling boom-type spraying apparatus
KR100400820B1 (ko) *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730B1 (ko) 2018-07-18 2019-01-17 (주) 플레이그라운드 중앙 분리대 표시라인 도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색차량
KR20200116293A (ko) 2019-04-01 2020-10-12 마상훈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
KR20210056057A (ko) 2019-11-08 2021-05-18 (유)프리라인 이액형 도료를 도색하는 다기능 도색 장치
CN112604854A (zh) * 2020-12-12 2021-04-06 曹少华 一种道路交通用围栏喷漆装置
CN115155885A (zh) * 2022-06-30 2022-10-11 温州市城南市政建设维修有限公司 一种市政护栏美化装置
CN115155885B (zh) * 2022-06-30 2024-01-30 温州市城南市政建设维修有限公司 一种市政护栏美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75B1 (ko) 방호책의 식별라인 도색장치 및 도색방법
US5302207A (en) Line striper apparatus with optical sighting means
US9644331B2 (en) Paint-striping laser guidance system and related technology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US3987964A (en) Mobile hydraulic jetting device for cleaning large planar surfaces
KR102071866B1 (ko)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482224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
KR101595462B1 (ko)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KR101368458B1 (ko)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CN204753459U (zh) 一种道路桥梁护栏清洗装置
KR101493912B1 (ko) 스프레이를 이용한 라인 도색장치
KR101979714B1 (ko)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EP0021584B1 (en) Motorised vehicle for effecting a spraying operation
CN205399217U (zh) 一种桥面喷涂装置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US20190184433A1 (en) Mobile system for flushing roadside structures
KR101150715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20110111188A (ko) 반사층이 형성된 가드레일 제조방법, 이 가드레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반사층 도포장치 및 반사층이 형성된 가드레일
KR101589095B1 (ko) 이동식 결빙방지제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 시스템
KR20110133937A (ko) 가드레일 전용 반사도료 도포장치
KR101578547B1 (ko) 친환경 세척, 부착물 제거 및 페인트 제거장치
US20040037645A1 (en) Striping lay out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