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049B1 -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049B1
KR102320049B1 KR1020150027476A KR20150027476A KR102320049B1 KR 102320049 B1 KR102320049 B1 KR 102320049B1 KR 1020150027476 A KR1020150027476 A KR 1020150027476A KR 20150027476 A KR20150027476 A KR 20150027476A KR 102320049 B1 KR102320049 B1 KR 10232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rain
source
spacer
channe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435A (ko
Inventor
크리쉬나 쿠마 부왈카
쩐화 우
권의희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049B1/ko
Priority to US15/046,455 priority patent/US9634092B2/en
Publication of KR2016010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3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arallel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01L29/1037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and non-planar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8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 H01L29/4239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fully surrounding the channel, e.g. gate-all-a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8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 H01L29/6679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one 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quantum wire 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confinement of carriers by at least two heterojunctions, e.g. DHHEMT, quantum well HEMT, DHMOD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multiple gat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4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 H01L29/784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means for exerting mechanical stress on the crystal lattice of the channel region, e.g. using a flexible substrate the means being located in the source/drain region, e.g. SiGe source and dra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 H01L2029/78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6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erpendicular or at an angle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7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roximity o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separated from the gate electrode by side-walls or spreading around or above the gat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기판 상으로부터 돌출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은 중앙의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일 측면에 배치된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타 측면에 배치된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스페이서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들; 및 상기 소스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경사진(tapered)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s Having a Tapered Active Region}
본 발명은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MOSFET 반도체 소자의 활성영역의 구조적인 형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장벽이 낮을수록 전자는 전위 장벽을 뚫고 통과(터널링)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이것이 게이트에서의 누설 전류의 원인 중 하나이다. 반도체 소자의 MOSFET 소자들의 크기를 미세화하고 동작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채널의 길이, 핀의 폭(fin width) 또는 나노와이어의 직경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 이로 인해 문턱 전압 이하 누설 전류(subthreshold leakage, Ioff)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Ioff 는 Vgs=0과 Vds=Vdd 에서 측정된 드레인 전류(Id)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MOSFET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밴드-투-밴드 터널링이 감소된 MOSFET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얕은 채널에서 누설전류(leakage)가 감소된 MOSFET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MOSFET 반도체 소자의 성능(performance)과 누설전류와의 절충점(trade-off)에 있어서, 소모전압이 낮아도 누설전류가 최소화되는 MOSFET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면 양자우물(planar quantum well) FET, finFET, 수직 나노와이어(vertical nanowire)FET 및 수평 나노와이어(lateral nanowire)FET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는 기판 상으로부터 돌출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은 중앙의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일 측면에 배치된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타 측면에 배치된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스페이서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들, 및 상기 소스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경사진(tapered)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상기 경사진 부분은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이 모두 경사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중앙부가 평평하고 양단부들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로 양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부분은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경사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는 기판 상으로부터 돌출한 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x 방향의 일 측면의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상기 x 방향의 타 측면의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x 방향과 수직하는 y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면들을 갖고,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하나는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이 모두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상기 경사진 측면은 상기 드레인 영역의 양 단부들로부터 상기 드레인 영역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상기 경사진 측면의 중앙부는 평평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x 방향과 수직하는 y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면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소스 영역의 두 측면들 중 하나는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경사진 측면은 상기 소스 영역의 양 단부들로부터 상기 소스 영역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경사진 측면의 중앙부는 평평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의 두 측면들이 모두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x 방향의 일 측에 배치된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상기 x 방향의 타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x 방향과 수직하는 y 방향으로 상기 채널 영역의 두께는 상기 y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의 측면은 경사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x 방향의 양 단부들로부터 중앙부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y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의 측면들이 모두 경사질 수 있다.
상기 finFET 소자는 상기 경사진 부분과 접촉하는 드레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SFET 반도체 소자는 밴드-투-밴드 터널링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SFET 반도체 소자는 얕은 채널에서 누설전류(leakage)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SFET 반도체 소자는 성능(performance)과 누설전류와의 절충점(trade-off)에 있어서, 소모전압이 낮아도 누설전류가 최소화된다.
도 1a 내지 1h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 는 도 1a 내지 도 1h의 핀을 이용한 finFET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nFET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nFET 소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SFET 소자의 종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7 은 각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SFET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도출되는 효과를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을 이용한 전자 시스템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finFET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a)은 기판(101) 상에 수직으로 돌출한 핀(fi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30a)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x 방향으로 일 측면에 배치된(disposed) 드레인 영역(D), 및 상기 채널 영역(C)의 x 방향으로 타 측면에 배치된 소스 영역(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대칭(structural symmetric)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각각 서로 y 방향으로 대향(opposite)하고 부분적으로 경사진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스 영역(S)과 드레인 영역(D)은 각각 x 방향으로 양 단부들로부터 중앙으로 부분적으로 경사진 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의 중앙부들은 평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은 오목하게 경사진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D) 및 상기 소스 영역(S)의 상면들도 경사질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b)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비대칭(structural asymmetri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영역(S)은 평평한 측면들을 가질 수 있고,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은 y 방향으로 대향하고 x 방향으로 일부가 경사진 양 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c)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각각 y 방향에 수직하고 x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경사진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d)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은 y 방향에 수직하고 x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경사진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영역(130e)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은 y 방향으로 대향하고 x 방향으로 양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은 중앙으로부터 양 단부들을 향해 양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대칭(structural symmetric)일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f)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은 y 방향으로 대향하고 x 방향으로 양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은 중앙으로부터 양 단부들을 향해 양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1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g)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각각 y 방향에 수직인 면들 중 하나들이 중앙으로부터 양 단부들을 향해 양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1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영역(130h)은 채널 영역(C), 상기 채널 영역(C)의 양 측에 배치된 소스 영역(S) 및 드레인 영역(D)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S)과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구조적으로 비대칭(structural asymmetric)일 수 있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은 y 방향에 수직인 면들 중 하나가 중앙으로부터 양 단부들을 향해 양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2a 내지 2h는 각각 도 1a 내지 1h의 핀형 활성 영역들(130a-130h)을 포함하는 finFET 소자의 횡단면 상면도(cross-sectional top view)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a)는 도 1a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a)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 (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 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은 상기 채널 영역(C)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체(112)는 열산화된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1)의 표면이 열 산화 공정에 의해 산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111)는 상기 게이트 절연체(112)의 외측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111)는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또는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111)의 외측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또는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또는 상기 소스 스페이서 (120)의 저부는 각각 상기 드레인 영역(D) 및/또는 상기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 상의 게이트 전극 공간(GS) 내에 게이트 전극이 채워질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b)는 도 1b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b)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는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c)는 도 1c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c)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드레인 영역(S) 및 상기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및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d)는 도 1d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d)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는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 및 평평한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e)는 도 1e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e)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드레인 영역(D) 및 상기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f)는 도 1f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f)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는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g)는 도 1g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g)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드레인 영역(D) 및 상기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및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h)는 도 1h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h)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D)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영역(S)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120), 상기 채널 영역(C)의 측면들 상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112), 및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12)과 접촉하는 게이트 스페이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110)는 상기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 및 평평한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및 상기 소스 스페이서(120)는 상기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각각 도 1a 내지 1d의 핀형 활성 영역들(130a-130d)을 포함하는 finFET 소자의 횡단면 상면도(cross-sectional top view)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i)는 도 1a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a)을 포함하고, 2a의 상기 finFET 소자(100a)와 비교하여,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또는 소스 스페이서(120)가 드레인 영역(D) 및/또는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및 상기 경사진 측면들과 연속하는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j)는 도 1b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b)을 포함하고, 2b의 상기 finFET 소자(100b)와 비교하여, 드레인 스페이서(110)가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들 및 상기 경사진 측면들과 연속하는 평평한 측면들과 접촉할 수 있다. 소스 스페이서(120)는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k)는 도 1c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c)을 포함하고, 2c의 상기 finFET 소자(100c)와 비교하여, 드레인 스페이서(110) 및/또는 소스 스페이서(120)는 드레인 영역(D) 및/또는 소스 영역(S)의 경사진 측면들, 상기 경사진 측면과 연속하는 평평한 측면들, 및 대향하는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finFET 소자(100l)는 도 1d의 상기 핀형 활성 영역(130d)을 포함하고, 2d의 상기 finFET 소자(100d)와 비교하여, 드레인 스페이서(110)가 드레인 영역(D)의 경사진 측면들, 상기 경사진 측면과 연속하는 평평한 측면, 및 대향하는 평평한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스페이서(120)는 소스 영역(S)의 평평한 측면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finFET 소자들(100m-100p)이다. 도 1a 내지 1d의 핀형 활성 영역들(130a-130d) 및 도 2a 내지 2d의 finFET 소자들(100a-100d)을 더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finFET 소자들(100m-100p)은 도 1a 내지 1d의 핀형 활성 영역들(130a-130d) 및 도 2a 내지 2d의 finFET 소자들(100a-100d)와 비교하여, 오목하게 라운드(round)진 형태의 경사면들, 예를 들여 굴곡면들 및 평평한 면들을 가질 수 있다.
Planar QW FET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200a)는 기판(101) 상에 형성된 제1 배리어층(211), 상기 제1 배리어층(211) 상에 형성된 채널 영역(220), 상기 채널 영역(220) 상에 형성된 제2 배리어층(212), 상기 제2 배리어층(212)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191)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200)는 상기 게이트 전극(140)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200)는 상기 스페이서(160)의 외측면과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제2 배리어층과 접촉하는 드레인 전극 콘택(201) 및 소스 전극 콘택(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양자우물(quantum well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을 수직 아래로 연장하는 면들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상부가 경사질(tapered)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상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상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상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두께가 양 끝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은 상기 채널 영역(220) 전체를 균일하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 영역(220)의 경사진 면을 따라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상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상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212)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두께와 중첩하는 영역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은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의 굴곡면 상에 형성되어 하면의 일부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하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하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 콘택(201)의 하면과 소스 전극 콘택(202) 하면은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의 상면 굴곡을 따라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200b)는 양자 우물을 가지는 채널 영역(220)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상부가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상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상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상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두께가 끝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은 상기 채널 영역(220) 전체를 균일하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 영역(220)의 경사진 면을 따라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을 수직 아래로 연장하는 면들과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상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상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은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의 곡면 상에 형성되어 하면의 일부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은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하면이 중첩하는 영역의 하면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상에 드레인 전극 콘택(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 콘택(201)의 하면은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의 상면 굴곡을 따라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101)을 준비하고, 및 상기 기판(101) 상에 제 1 배리어층(211)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은 실리콘 기판 또는 SOI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층(211)은 버퍼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재료는 Si1 - xGex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Ⅳ족, Ⅲ-Ⅴ족 또는 Ⅱ-Ⅵ족 헤테로 구조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리어층(211) 상에 양자 우물을 갖는 채널 영역(22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게르마늄(Ge)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채널 영역(220) 중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상면를 경사지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상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경사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전극(140)과 수직으로 중첩하는 채널 영역(220)의 상부를 마스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 공정은 플라즈마 에칭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채널 영역(220) 중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패턴(140)과 수직으로 중첩하지 않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상부를 경사지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상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경사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패턴(140)과 중첩하는 채널 영역(220)의 상부 및 중첩하지 않는 채널 영역(220) 중 하나를 마스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 공정은 플라즈마 에칭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채널 영역(220)의 상부에 균일한 두께로 제2 배리어층(212)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층(212)은 버퍼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재료는 Si1-xGex 합금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Ⅳ족, Ⅲ-Ⅴ족 또는 Ⅱ-Ⅵ족 헤테로 구조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220)은 양자 우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배리어층(212) 상에 게이트 절연층(191)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은 예를 들어 실리콘 이산화물(SiO2)의 유전 상수보다 크거나 동등한 유전 상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CVD, 원자 층 증착(ALD), 블랭킷 증착 및/또는 다른 적절한 성장, 증착 또는 형성 프로세스와 같은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 상에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3N4), 실리콘 이산화물(SiO2) 및/또는 다양한 다른 적절한 반도체 디바이스 스페이서 재료와 같은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층은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패턴(140)과 소스 전극 컨택홀(202) 및 드레인 전극 컨택홀(201)의 너비와 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에칭될 수 있고, 에칭 후 스페이서(160)가 될 수 있다. 상기 에칭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191)이 노출될 때까지 진행 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페이서(160) 사이에 게이트 전극(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40)은 예를 들면 탄탈륨, 텅스텐, 탄탈륨 나이트라이드 및/또는 티타늄 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Nanowire FET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300a)는 수평의 나노와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300)는 기판(101) 상에 제1 SiGe 벌크체(25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SiGe 벌크체(250)와 수평으로 이격되는 게이트 패턴(1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수평으로 이격되는 제2 SiGe 벌크체(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SiGe 벌크체(250)과 상기 제2 SiGe 벌크체(251)에는 도전성 불순물이 주입되어 각각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300)는 상기 제1 SiGe 벌크체(250), 상기 게이트 패턴(140) 및 상기 제2 SiGe 벌크체(251)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노와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노와이어(240)는 나노와이어 채널(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240)는 각각 제1 SiGe 벌크체(25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드레인 영역(D), 상기 게이트 패턴(140)을 관통하는 채널 영역(241), 및 상기 제2 SiGe 벌크체(251)를 관통하는 소스 영역(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240)의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경사진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와이어(240)의 상기 드레인 영역(D)은 상기 나노와이어 채널(241)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300b)는 상기 나노와이어(240)의 상기 드레인 영역(D)은 오목하게 경사진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400)는, 수직의 나노와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400)는 기판(101) 상에 하부 SiGe 벌크체(2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SiGe 벌크체(251) 상에 게이트 패턴(1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패턴(140) 상에 상부 SiGe 벌크체(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상기 상부 SiGe 벌크체(250), 및 상기 게이트 패턴(140)과 상기 하부 SiGe 벌크체(251) 사이에 스페이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SiGe 벌크체(250)와 상기 하부 SiGe 벌크체(251)는 도전성 불순물이 주입되어 각각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400)는 상기 상부 SiGe 벌크체(250), 상기 게이트 패턴(140) 및 상기 하부 SiGe 벌크체(25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노와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노와이어(240)는 나노와이어 채널(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240)는 각각 상부 SiGe 벌크체(25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드레인 영역(D), 상기 게이트 패턴(14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채널 영역(241), 및 상기 하부 SiGe 벌크체(25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소스 영역(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D)은 게이트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다이어그램
도 8a를 참조하면, 경사진 영역에서 밴드 갭이 확장되면 디바이스 내의 밴드-투-밴드 누설 전류가 줄어든다. 밴드-투-밴드 터널링(BTBT)이 최대치인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밴드 갭을 증가(도 8b참조)시킴으로써 BTBT가 결과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모듈(22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모듈(2200)은, 모듈 기판(2210) 상에 실장된 프로세서(2220) 및 반도체 소자들(2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 또는 상기 반도체 소자들(223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상기 MOSFET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기판(2210)의 적어도 한 변에는 전도성 입출력 터미널들(22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시스템(2400)은 버스(242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14), 메모리 시스템(2412) 및 유저 인터페이스(24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는 CPU 또는 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2400)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상기 램(24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 및/또는 상기 램(2416)은 단일 패키지 내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2418)는 상기 전자 시스템(2400)으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시스템(2400)으로부터 정보를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2418)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음성 디텍터,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 LCD, AMOLED, PDP(plasma display panel), 프린터, 라이트, 또는 기타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시스템(2412)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 동작용 코드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또는 외부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시스템(2412)은 메모리 컨트롤러, 하드 디스크, 또는 SSD(solid state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14), 상기 램(2416), 및/또는 상기 메모리 시스템(2412)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MOSFET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시스템(23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시스템(2300)은 바디(2310), 디스플레이 유닛(2360), 및 외부 장치(2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3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2320), 파워 공급부(Power Supply; 2330), 기능 유닛(Function Unit; 234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Display Control Unit; 2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310)는 인쇄 회로기판(PCB) 등을 갖는 시스템 보드 또는 마더 보드(Mother Board), 및/또는 케이스(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2320), 상기 파워 공급부(2330), 상기 기능 유닛(23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2350)은 상기 바디(2310)의 상면 또는 내부에 실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2310)의 상면 혹은 상기 바디(2310)의 내/외부에 디스플레이 유닛(23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60)은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2350)에 의해 프로세싱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60)은 LCD (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6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60)은 입출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워 공급부(2330)는 전류 또는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2320), 상기 기능 유닛(2340),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 유닛(235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파워 공급부(2330)는 충전 배터리, 건전지용 소켓, 또는 전압/전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2320)은 상기 파워 공급부(233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기능 유닛(234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3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2320)은 CPU 또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유닛(2340)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 카메라, 라이트, 음성 및 동영상 재생 프로세서, 무선 송수신 안테나,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기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2320) 또는 상기 기능 유닛(234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MOSFET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400: 반도체소자
101: 기판
130: 활성영역
110: 드레인 스페이서
120: 소스 스페이서
111: 게이트 스페이서
112: 게이트 절연층
GS: 게이트 전극 공간
S : 소스영역
D : 드레인영역
C : 채널영역
DC : 드레인 컨택홀
SC : 소스 컨택홀
191 : 게이트절연층
201 : 드레인전극 컨택홀
202 : 소스 전극 컨택홀
211 : 제1배리어층
212: 제2배리어층
220 : 채널영역/양자우물
160: 스페이서
140: 게
240: 나노와이어
241: 나노와이어채널영역
250: 제1 SiGe벌크체
251: 제2 SiGe벌크체

Claims (10)

  1. 기판 상으로부터 돌출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은 중앙의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일 측면에 배치된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타 측면에 배치된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가진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스페이서들;
    상기 드레인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드레인 스페이서들; 및
    상기 소스 영역의 대향하는 두 측면들 상에 형성된 소스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채널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는 경사진(tapered)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의 상기 경사진 부분은 상기 드레인 스페이서와 접촉하는 finFET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이 모두 경사진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중앙부가 평평하고 양단부들이 경사진 finFET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로 양 방향으로 경사진 finFET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부분은 오목한 곡면을 갖는 finFET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의 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채널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는 경사진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
  8. 기판 상으로부터 돌출한 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의 x 방향의 일 측면의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의 상기 x 방향의 타 측면의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x 방향과 수직하는 y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면들을 갖고, 상기 드레인 영역의 두 측면들 중 하나는 상기 채널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는 경사진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x 방향과 수직하는 y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면들을 갖고, 상기 소스 영역의 두 측면들 중 하나는 상기 채널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는 경사진 부분을 갖는 finFET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경사진 측면은 상기 소스 영역의 양 단부들로부터 상기 소스 영역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진 finFET 소자.
KR1020150027476A 2015-02-26 2015-02-26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KR10232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76A KR102320049B1 (ko) 2015-02-26 2015-02-26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US15/046,455 US9634092B2 (en) 2015-02-26 2016-02-18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tapered active reg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76A KR102320049B1 (ko) 2015-02-26 2015-02-26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435A KR20160104435A (ko) 2016-09-05
KR102320049B1 true KR102320049B1 (ko) 2021-11-01

Family

ID=5679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476A KR102320049B1 (ko) 2015-02-26 2015-02-26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4092B2 (ko)
KR (1) KR102320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0095A1 (en) * 2015-06-25 2016-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voltage finfet structure with shaped drift region
GB201516246D0 (en) * 2015-09-14 2015-10-28 Univ College Cork Nat Univ Ie Tunnel field effect transistor
KR20180005033A (ko) 2016-07-05 2018-0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16170B1 (en) * 2016-09-30 2017-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ed capacitance in vertical transistors by preventing excessive overlap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drain
WO2018182675A1 (en) * 2017-03-31 2018-10-04 Intel Corporation Finfet with angled source and drain regions
US10672889B2 (en) 2017-11-30 2020-06-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575005B2 (en) * 2018-03-30 2023-02-07 Intel Corporation Asymmetrical semiconductor 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
US10629752B1 (en) 2018-10-11 2020-04-21 Applied Materials, Inc. Gate all-around device
US11393815B2 (en) * 2019-08-30 2022-07-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Transistors with varying width nanosheet
US11152506B1 (en) 2020-06-15 2021-10-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inFET with lateral charge balance at the drain drift region
US20230170422A1 (en) * 2021-12-01 2023-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nowire source/drain formation for nanoshee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3193A1 (en) * 2004-04-30 2005-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Method of fabricating a necked finfe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78A (ja) * 1988-07-01 1990-01-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2001308320A (ja) 2000-04-20 2001-11-02 Nec Corp 双曲型チャネルmosfet
US7358121B2 (en) * 2002-08-23 2008-04-15 Intel Corporation Tri-gate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7332386B2 (en) 2004-03-23 2008-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fin field transistors
KR100605108B1 (ko) * 2004-03-2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32564B1 (ko) * 2004-05-25 2005-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게이트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7348642B2 (en) 2005-08-03 2008-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n-type field effect transistor
US7939861B2 (en) 2007-02-02 2011-05-10 Synopsys, Inc.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floating-gates FETs with different source-gate and drain-gate border lengths
KR101471858B1 (ko) 2008-09-05 2014-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바 타입의 액티브 패턴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440517B2 (en) 2010-10-13 2013-05-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FE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63446B2 (en) 2010-09-13 2012-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mmetric FinFET devices
US20120168711A1 (en) 2011-01-05 2012-07-05 Mark Albert Crowder Narrow-Waist Nanowire Transistor with Wide Aspect Ratio Ends
US9231106B2 (en) 2013-03-08 2016-01-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FET with an asymmetric source/drai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941161B2 (en) 2013-05-07 2015-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inFET and diode having reduced defects in depletion region
US9276087B2 (en) 2013-05-10 2016-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FINFET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acrificial gate patterns and selective oxidization of a f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3193A1 (en) * 2004-04-30 2005-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Method of fabricating a necked finf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4348A1 (en) 2016-09-01
KR20160104435A (ko) 2016-09-05
US9634092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049B1 (ko) 경사진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US999125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in active regio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I705487B (zh) 具有增加接觸面積的半導體裝置及其形成方法
KR102049414B1 (ko) 게르마늄 또는 iii-v족 활성층을 갖는 깊은 gaa 반도체 소자
KR102191220B1 (ko) 소스/드레인 연장 영역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소자들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들
KR102190673B1 (ko) 중간갭 일함수 금속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
US9728405B2 (en) Nanowire semiconductor device partially surrounded by a gate
TWI775732B (zh) 具有降低的閘極引發汲極漏電流(gidl)的低能帶隙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178830B1 (ko) 스페이서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252790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9726A (ko) 핀 액티브 영역들을 갖는 반도체
KR102245130B1 (ko) 라이징 부 및 리세스 부를 갖는 컨택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600881B2 (en)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293129B1 (ko) 매립형 게이트 구조체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71049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ermanium active layer with underlying parasitic leakage barrier layer
KR102245136B1 (ko) 반도체 소자 형성 방법
KR20160114391A (ko) 스트레서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0818B1 (ko) 반도체 소자
CN106415846B (zh) 通过层转移在反向极化衬底上的高电子迁移率晶体管制造工艺
US20160315160A1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source/drain regions having silicon carbon
TWI815890B (zh) 半導體裝置、半導體裝置處理方法及計算系統
US8080457B1 (en) Fabrication method of power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low gate charge
US20230420535A1 (en) Semiconductor devices
US20240014293A1 (en) Replacement structures
TW202341391A (zh) 凹陷和自動對齊的埋入式電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