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76B1 - 다목적 작업차 - Google Patents

다목적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76B1
KR102317076B1 KR1020200152875A KR20200152875A KR102317076B1 KR 102317076 B1 KR102317076 B1 KR 102317076B1 KR 1020200152875 A KR1020200152875 A KR 1020200152875A KR 20200152875 A KR20200152875 A KR 20200152875A KR 102317076 B1 KR102317076 B1 KR 10231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astening member
coupl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채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부가 차량과 연결되는 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탑승함이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작업하는 가공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결합되어 대상물에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부가 탈착 가능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작업차{Multu work vehicle}
본 발명은 다목적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작업대를 접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소 작업 시에는 작업대를 길이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고 차량의 운행시에는 작업대를 접고 운행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트럭 등 화물차량의 섀시에 베이스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에 크레인을 탑재시킨 이동식 크레인의 일종이다.
고소작업차는 이동성이 좋고 크레인의 회전이나 굴절, 신축이 가능하므로 건물의 내·외부 비계공사, 전기통신설비 가설 및 유지보수공사, 교량의 점검 및 보수 공사 등의 고소작업 시 매우 유리하다.
고소작업차는 높은 장소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자나 작업물품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 본체의 신축되는 끝부분에 작업대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소작업차는 작업자나 작업물품을 탑승시키는 작업대만을 설치할 수 있어, 사람만이 높은 지대에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다른 목적의 작업차량인 굴삭기 등을 가지고 오더라도, 차량을 교체해야 하여 시간 및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설치되는 붐의 하단부에 작업대를 뿐만 아니라 다른 기구를 설치가 가능하여, 고소작업차만으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부가 차량과 연결되는 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탑승함이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작업하는 가공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결합되어 대상물에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부가 탈착 가능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부는, 일측에 대상물을 작업하는 가공부재 및 타측에 상기 가공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공부재에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의 하방에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이격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 상기 가공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된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고 중심에 삽입홀이 형성된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연장부재 하부에 상기 제1 샤프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몸체 및 상기 구동몸체 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부는, 상기 상기 본체와 상기 탑승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층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고층 작업 시 다른 작업차량이 아닌 작업대를 분리하고 가공부를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작업차량으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어, 작업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는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본체와 결합부 간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는 가공부에 체결부재가 설치되어 결합부와의 탈착이 용이함으로써 다양한 가공부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는 결합부에 샤프트가 설치되어 고정부와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는 탑승부에 턴테이블이 설치되어 작업대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어 작업자가 다양한 각도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의 본체에 탑승부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결합부와 가공부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목적 작업차(1)는 고소 작업차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차량(10)은 차량(10)에 붐(2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붐(20)의 하단부에는 본체(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붐(20)과 본체(100)는 유압실린더(30)에 의해 연결되어 본체(100)를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는 유압실린더(30)와 연결되는 실린더축(110)이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0)의 하부에 고정축(130)이 설치되어 붐(20)의 하단부와 본체(1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작업차(1)는 붐(20)의 하단부에는 연결되는 본체(100)의 상부면에 작업대(230)이 연결될 수 있다.
작업대(2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대(230)에 탑승한 상태로 붐(20)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대(230)에 탑승하여 고층으로 이동 가능하여 고층에 설치된 간판 등의 대상물을 해체 및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가공부(700)를 탈착할 수 있어 대상물에 직접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작업차의 본체에 탑승부가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결합부와 가공부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탑승부(200)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0)의 우측면에는 결합부(500) 및 가공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탑승부(200)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할 수 있고, 벽체를 절삭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210), 작업대(230), 승강부(250), 착탈부(270) 및 절삭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210)은 원형 단면을 갖으며,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상부면에 테이블축(미도시)이 삽입되어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턴테이블(210)의 상부에는 테이블축(미도시)이 연장되어 작업대(230)의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작업대(23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업대(230)에 탑승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작업대(230)에 탑승한 작업자는 붐(20)을 통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여 고층에 설치된 대상물의 철거 등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작업대(230)의 우측면에 승강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승강부(250)는 작업대(230)의 우측면에 형성된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250)의 우측면에는 착탈부(270)가 결합될 수 있다.
착탈부(27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부(270)는 복수 개의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부(270)는 선회베어링 등으로 설치됨으로써, 착탈부(270)에 결합되는 절삭부(290)의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착탈부(270)의 우측면에는 절삭부(290)가 결합될 수 있다.
절삭부(290)는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벽체와 접촉되어 벽체를 가공할 수 있도록 절삭몸체(291) 및 절삭부재(293)를 포함할 수 있다.
절삭몸체(291)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삭몸체(29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절삭축이 형성되어 절삭부재(293)가 회전가능하게 절삭몸체(29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절삭부재(293)는 외주면에 다양한 각도의 날이 형성될 수 있어, 절삭부재(293)의 회전하면 절삭부재(293)의 외주면에 닿는 벽체를 절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250)에 결합된 착탈부(270)는 승강부(250)를 통해 승하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270)의 외측면에는 절삭부(290)가 결합되어 절삭부(290)의 구동시 절삭부(290)와 접촉되는 벽체를 절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착탈부(270)가 직접적으로 작업대(23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작업대(230)와 절삭부(29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절삭부(290)가 분리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는 본체(100)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부(500)가 본체(100)와 결합될 때 결합부(500)를 본체(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키기 위해, 제1 고정부재(310), 제2 고정부재(330) 및 결합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1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310)는 본체(100)의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310)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제2 고정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310)와 제2 고정부재(330)의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부재(350)가 결합되어 제1 고정부재(310)와 본체(100)를 결합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310)와 제2 고정부재(33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재(310), 제2 고정부재(330) 및 결합부재(350)를 통해 본체(100)와 결합되는 결합부(500)가 본체(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310), 제2 고정부재(330) 및 결합부재(350)는 선회베어링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300)와 결합부(500)의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결합부(500)는 본체(100)의 우측면에 고정부(30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500)에는 다양한 가공부(700)의 탈착이 가능하여 대상물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공부(70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부(700)는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할 수 있는 브레이커, 멀티프로세서, 필버라이져 및 그랩 등일 수 있다. 이때, 가공부(700)는 대상물에 필요한 형태의 가공부(700)가 결합부(500)에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가공부(70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결합부(500)는 가공부(700)의 교체 또는 탈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결합몸체(510), 연장부재(520) 및 샤프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몸체(510)는 일측에 제1 및 제2 측벽(513)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고정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몸체(510)의 내부에는 구동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몸체(510)의 제1 및 제2 측벽(513)은 서로 연장되는 연장부재(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재(52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동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재(52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제1 측벽(511)과 제2 측벽(513)을 연결할 수 있고, 중심부에 삽입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521)은 연장부재(5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521)의 내측으로 후술할 돌출부재(735)가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530)는 결합몸체(510)는 내부에 제1 및 제2 측벽(511, 513)을 연결하여 가공부(700)를 결합하는제1 샤프트(531) 및 제2 샤프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531)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샤프트(531)는 제1 측벽(511) 및 제2 측벽(5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샤프트(531)는 연장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고, 결합몸체(5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샤프트(531)는 연장부재(520)보다 상방에 형성될 수 있어, 가공부(700)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7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샤프트(533)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533)는 제1 및 제2 측벽(511, 513)을 서로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샤프트(533)는 연장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될수 있고, 결합몸체(5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533)는 연장부재보다 하방에 형성될 수 있어, 가공부(700)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733)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가공부(7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동몸체(610) 및 구동축(6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몸체(610)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몸체(610)는 연장부재(5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측벽(511)과 제2 측벽(513)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몸체(5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몸체(610)는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축(630)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630)은 구동몸체(610)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630)의 상단부는 가공부(700)에 형성되는 연결부재(7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š, 구동축(630)은 본체(100) 내부에서 설치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축(630)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가공부(700)에 형성되는 가공부재(71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어, 가공부(700)가 구동될 수 있다.
가공부(700)는 대상물을 작업할 수 있도록 가공부재(710), 연결부재(720) 및 체결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부재(71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가공부재(711) 및 제2 가공부재(7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공부재(710)는 전방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공부재(711)가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가공부재(713)가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공부재(711) 및 제2 가공부재(713)는 후방으로 갈수로 하방 또는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제1 가공부재(711)와 제2 가공부재(713)의 후방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공부재(711)의 후방 단부에는 연결샤프트(7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샤프트(721)는 구동축(63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구동축(63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공부재(7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가공부재(713)는 고정될 수 있어, 대상물을 집거나 파쇄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공부재(713)의 후방에는 체결부재(73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730)는 후방에 위치하는 결합부(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재(731), 제2 체결부재(733) 및 돌출부재(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731)는 하방으로 개구 된 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731)는 제2 가공부재(713)의 상측에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재(731)의 중심에 형성된 홀은 제1 샤프트(5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체결부재(731)에 제1 샤프트(531)가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733)는 상방으로 개구 된 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재(733)는 제2 가공부재(713)의 하측에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재(733)의 중심에 형성된 홀은 제2 샤프트(53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체결부재(733)에 제2 샤프트(533)가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재(735)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제2 가공부재(713)와 연결되어 후방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735)는 삽입홀(5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부(700)와 결합부(500)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가공부(700)가 결합부(500)에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센서부(900)는 본체(100)의 결합부(500)가 결합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900)는 가공부(700)가 대상물을 작업할 수 있도록 시야 확보가 가능한 카메라(910)와 가공부(700)가 주변과 부딪히는 것을 알릴 수 있는 감지센서(9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910)는 본체(100)의 결합부(500)가 결합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š, 카메라(910)는 구동축(63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카메라(910)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대(230)에 탑승자가 부재한 상태에서 작업대(230)을 분리시킨 후, 운전자가 직접 대상물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감지센서(930)는 카메라(910)의 양측과 결합부(500)가 결합되는 부분의 주변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930)는 작업대(230)이 분리되고, 가공부(700)가 대상물에 직접 가공을 할 때, 본체(100) 또는 결합부(500)가 주변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 다목적 작업차
10: 차량 20: 붐
30: 유압실린더 100: 본체
110: 실린더축 130: 고정축
200: 탑승부 210: 턴테이블
230: 작업대 250: 승강부
270: 착탈부 290: 절삭부
291: 절삭몸체 293: 절삭부재
300: 고정부 310: 제1 고정부재
330: 제2 고정부재 350: 결합부재
500: 결합부 510: 결합몸체
511: 제1 측벽 513: 제2 측벽
520: 연장부재 521: 삽입홀
530: 샤프트 531: 제1 샤프트
533: 제2 샤프트 600: 구동부
610: 구동몸체 630: 구동축
700: 가공부 710: 가공부재
711: 제1 가공부재 713: 제2 가공부재
720: 연결부재 721: 연결샤프트
730: 체결부재 731: 제1 체결부재
733: 제2 체결부재 735: 돌출부재
900: 센서부 910: 카메라
930: 감지센서

Claims (6)

  1. 일단부가 차량과 연결되는 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작업대가 결합되는 탑승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작업하는 가공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결합되어 대상물에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부가 탈착 가능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일측에 대상물을 작업하는 가공부재; 및
    타측에 상기 가공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공부재에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의 하방에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이격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작업차.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 상기 가공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된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고 중심에 삽입홀이 형성된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연장부재 하부에 상기 제1 샤프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다목적 작업차.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몸체; 및
    상기 구동몸체 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다목적 작업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작업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다목적 작업차.
KR1020200152875A 2020-11-16 2020-11-16 다목적 작업차 KR10231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75A KR102317076B1 (ko) 2020-11-16 2020-11-16 다목적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75A KR102317076B1 (ko) 2020-11-16 2020-11-16 다목적 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076B1 true KR102317076B1 (ko) 2021-10-22

Family

ID=7827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75A KR102317076B1 (ko) 2020-11-16 2020-11-16 다목적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997A (ja) * 1993-05-24 1995-05-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電作業用ロボットシステム
JP2541613B2 (ja) * 1988-03-10 1996-10-09 九州電力株式会社 活線作業装置
JPH08322121A (ja) * 1995-05-23 1996-12-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遠隔操作マニピュレータの位置決め方法および位置決め支援装置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613B2 (ja) * 1988-03-10 1996-10-09 九州電力株式会社 活線作業装置
JPH07137997A (ja) * 1993-05-24 1995-05-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電作業用ロボットシステム
JPH08322121A (ja) * 1995-05-23 1996-12-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遠隔操作マニピュレータの位置決め方法および位置決め支援装置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KR100494235B1 (ko) * 1996-10-18 2005-06-1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활선작업용 로봇차 및 그 제어방법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807B2 (en) Frame for a battery-operated industrial truck
US202102691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Windshields for Recreational Vehicles, Charter Buses and Large Trucks
KR102317076B1 (ko) 다목적 작업차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CN102424072A (zh) 行走装置、履带式桩架及其拆卸方法和上车方法
EP1634847B1 (en) Crane
US20220371868A1 (en) Vehicle apparatus with an elevatable platform used for building a structure
KR101596933B1 (ko) 차량의 가변축 용접 장치 및 그 용접 방법
JP5569557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CN111517222B (zh) 一种预制构件翻转结构及翻转方法
JP2017128443A (ja) クレーン付き高所作業車
JP6366312B2 (ja) 建設機械
JP3203691U (ja) クレーン付き高所作業車
JPH07117640A (ja) 自走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ー装置
JP4810125B2 (ja) ブーム作業機
CN111532997A (zh) 一种自动化机械设备起吊装设备
KR20180083832A (ko) 높이 조절 가능한 고소작업차용 버킷 받침대
JP2000249176A (ja) ブレーキドラムの脱着用治具
CN209889751U (zh) 装饰板立板机
CN217894956U (zh) 一种塔机双小车分离与自动关联装置
CN211809270U (zh) 辅助工装以及转运工装
CN212532239U (zh) 一种大型工件翻转装置
JP3249023B2 (ja) 作業車両を使用した高所作業工法
JP3685379B2 (ja) 建設機械の昇降ステップ装置
JP5117078B2 (ja) 高所作業車の手摺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