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868B1 -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868B1
KR102311868B1 KR1020200062022A KR20200062022A KR102311868B1 KR 102311868 B1 KR102311868 B1 KR 102311868B1 KR 1020200062022 A KR1020200062022 A KR 1020200062022A KR 20200062022 A KR20200062022 A KR 20200062022A KR 102311868 B1 KR102311868 B1 KR 10231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lten iron
parts
dross
desulfuriza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승진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덕
주식회사 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덕, 주식회사 원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덕
Priority to KR102020006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21C1/02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21C7/064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성 탈황제는 최적 배합비에 따라서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수분 함량을 1중량% 미만으로 유지함에 따라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로 가공함에 따라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esulfurizer for molten ir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철광석을 용융, 환원시켜 만들어진 용선중에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및 황(S) 등의 원소들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고급강재의 사용처가 확대되면서 강 중에 함유된 불순 원소들의 성분 제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최근 저급 연료 및 원료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용선 중의 황 함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강 중에 황이 존재할 경우 균열을 유발시키고, 적열 취성의 원인이 되는 등 강재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석유 수송관, 유정관 등의 파열, 용접 부위의 균열과 같은 결함은 대부분 압연 방향으로 연신된 황화물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에 쾌삭강과 같은 특수 목적의 일부 강종을 제외하고는 황을 가능한 낮은 농도로 유지하고 있다.
황을 제거하기 위해 용선 중에 탈황제를 투입하거나 용강 중에 탈황제를 투입할 수 있고, 전로 취련 중에 탈황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그런데, 용선 중의 황의 용해도는 탄소(C), 실리콘(Si), 인(P) 등의 존재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고, 황의 활동도도 증가한다. 반면, 용강 상태에서는 약 5배 정도의 강한 탈황력을 적용해야만 용선과 동일한 탈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로 취련 중에 탈황은 장입 용선의 황 농도에 따라 다량의 조재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산소 취입량 증대, 취련 시간 연장, 내화물 손실 증가, 그리고 생산성 저하 및 제조 원가 증가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탈황 처리는 C, Si, P 등이 다량 존재하는 용선 상태에서 처리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용선 탈황 방법으로는 기계적 교반(KR)법과 분체 취입법 등이 있으며, 탈황제는 탈황 방식, 작업 조건 및 경제성에 따라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용선 탈황에 사용되는 탈황제로는 생석회(CaO)계, 칼슘카바이드(CaC2)계, 소다회(Na2CO3)계, 마그네슘(Mg)계 등이 있으나, 경제적으로 저렴한 생석회계 탈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석회계 탈황제는 생석회의 반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성분이 CaF2인 형석, 탄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용제인 형석은 환경 오염 물질인 불소(F)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며, 토양 환경 보호법의 규제를 받고 있다. 따라서, 형석을 함유하지 않는 새로운 조성의 생석회계 탈황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과거 생석회 기반 탈류제 물질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 탄산수소나트륨이 포함된 Trona가 함유된 경우, 기존 형석 사용량의 50% 수준에서 유사한 탈황능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가격 및 원료 수급문제로 공정 적용되지 못하였으며, 전로슬래그의 경우, 형석에 근접한 수준을 보였으나 보다 저온에서는 효과가 미흡하였다. 또한, 나트륨계인 Nepheline((Na,K)AlSiO4)의 경우, 형석 대비 60% 수준의 효과를 보였다. 현재, 형석은 환경적인 문제로 사용이 규제되어 있으며, 보통 Na2O 함유계가 대체적으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탈황제의 투입량은 초기 용선 중 황 농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계식 교반법의 경우 대략 용선 톤당 5∼7kg, 분체 취입법의 경우 7∼10kg 정도이며, 탈황제 중 형석 배합비는 중량비로 2∼10% 정도이다. 소다회계와 마그네슘계 탈황제는 분체이므로 기계식 교반법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분체 취입법의 경우에도 설비 관리 측면에서 유지보수가 어렵고, 짙은 가스 발생 등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칼슘카바이드계는 고가이므로 용선의 황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 예를 들면 Fe-Ni 합금철의 정련 시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01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선 탈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용선 탈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 각각을 0.05-4 mm 평균입도로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정량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0.05 mm 미만의 기공 직경을 갖는 다공성 막으로 랩핑된 드라이 에어 공급부가 내부에 구비된 보관 챔버에,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드라이 에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함량 1 중량%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처리 완료된 혼합분말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혼합분말을 소결 처리하는 단계(단계 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단계 2A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성 탈황제는 최적 배합비에 따라서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수분 함량을 1중량% 미만으로 유지함에 따라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로 가공함에 따라 탈황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챔버(100)와 이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드라이 에어 공급부(2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용선 탈황제
본 발명은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
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선 탈황제에 있어서, 상기 산화칼슘은 탈황에 있어 주요 역할을 하고, 나머지 성분인 알루미늄 드로스와 탄산나트륨은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루미늄 드로스는 15-20 중량%의 알루미늄 및 잔부 산화알루미늄, 미량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산화칼슘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 14-16 중량부 및 탄산 나트륨 4-6 중량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탈황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선 탈황제는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만약, 수분 함량이 과하면 탈황에 주요 역할을 하는 산화칼슘과 수분이 미리 반응하여 산화칼슘의 탈황 효율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 각각을 0.05-4 mm 평균입도로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정량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0.05 mm 미만의 기공 직경을 갖는 다공성 막으로 랩핑된 드라이 에어 공급부가 내부에 구비된 보관 챔버에,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드라이 에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함량 1 중량%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처리 완료된 혼합분말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혼합분말을 소결 처리하는 단계(단계 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 각각을 0.05-4 mm 입경으로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평균입도가 4 mm를 초과할 경우 표면적 감소로 탈황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05 mm 미만일 경우 용선 상부에서 투입하면 미세분말이라 용선에 투입되지 못하고 다량이 날라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정량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만약, 산화칼슘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 14-16 중량부 및 탄산 나트륨 4-6 중량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탈황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A는 상기 단계 2 이후에 혼합분말을 소결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결 처리는 상압하에 600-660℃에서 1-10 분간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압하에 620-640℃에서 3-5 분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르면, 상압하에 620-640℃에서 3-5 분간 실시할 경우 하이브리드 형성과 평균입도가 용선 탈황제 용도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서 소결 처리하면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이 하나의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로 뭉침에 따라서 탈황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상된다(실험예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0.05 mm 미만의 기공 직경을 갖는 다공성 막으로 랩핑된 드라이 에어 공급부(200)가 내부에 구비된 보관 챔버(100)에,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드라이 에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함량 1 중량%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드라이 에어 공급부(200)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구조물에 다공성 막을 랩핑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봉 형태의 겉면에 다공성 막이 랩핑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원판의 상면에 다공성 막이 랩핑된 형태를 보관 챔버 하면에 구비할 수도 있으며, 다양항 형태의 드라이 에어 공급부를 병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드라이 에어 공급부는 보관 챔버 내부에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선 탈황제는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만약, 수분 함량이 과하면 탈황에 주요 역할을 하는 산화칼슘과 수분이 미리 반응하여 산화칼슘의 탈황 효율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건조처리 완료된 혼합분말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밀봉 포장재는 시중에 판매중인 수분 차단능이 있는 포장재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단계 2A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를 제공한다.
상기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 역시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는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수 처리된 용선 탈황제의 제조
산화칼슘은 포스코케미컬(한국)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알루미늄 드로스는 국내 알루미늄 제조사들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탄산나트륨은 OCI(한국)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알루미늄 드로스는 15-20 중량%의 알루미늄, 잔부 산화알루미늄, 기타 불순물 미량을 포함한다.
단계 1: 상기 산화칼슘, 알루미늄 드로스 및 탄산나트륨은 모두 0.01-4 mm 입경으로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단계 2: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정량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였다.
단계 3: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봉 형태의 겉면에 다공성 막이 랩핑된 형태의 드라이 에어 공급부가 복수로 구비된 보관 챔버(도 1 참조)에,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혼합분말을 투입하였다.
단계 4: 상기 단계 3의 다공성 막 아래에서 드라이 에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함량 1 중량% 미만이 될때까지 건조하였다.
단계 5: 건조처리 완료된 혼합분말을 내면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톤백에 밀봉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소결 처리된 용선 탈황제의 제조
단계 1 내지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계 2A: 혼합분말을 소결처리하였다. 이때, 소결 온도는 알루미늄의 융점에 근접하도록 600-660℃에서 1-10 분간 상압에서 실시하여, 소결처리 후에도 분말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단계 3 내지 5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탈수 미처리된 용선 탈황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단계 4의 건조 처리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용선 탈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조성비에 따른 탈황 효율 평가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의 조성비에 따른 탈황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탈수 처리된 용선 탈황제를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주파 유도 용해로와 카본 로터(carbon rotor)를 이용하여 기계식 교반법을 모사하여 탈황제의 탈황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해철과 합금철 및 카본 등을 사용하여 1350℃에서 용선 500g을 제조한 후 표 1과 같은 조성의 탈황제를 15g 투입하였다. 탈황제 투입 후 로터(rotor)의 회전 속도를 150rpm으로 일정하게 한 후 3분 간격으로 용선 시료를 채취하여 황(sulfur)의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6분 후 시험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중량부 처리 시간에 따른 황(sulfur) 농도(%)
CaO Al Dross Na2CO3 0분 2분 4분 6분
1-1-1 80 12 5 0.0321 0.0158 0.0109 0.0036
1-1-2 80 13 5 0.0321 0.0126 0.0081 0.0024
1-1-3 80 14 5 0.0321 0.0043 0.0018 0.0001
1-1-4 80 15 5 0.0321 0.0044 0.0017 0.0001
1-1-5 80 16 5 0.0321 0.0045 0.0019 0.0001
1-1-6 80 17 5 0.0321 0.0131 0.0079 0.0035
1-1-7 80 18 5 0.0321 0.0148 0.0099 0.0041
1-2-1 80 15 2 0.0321 0.0145 0.0087 0.0042
1-2-2 80 15 3 0.0321 0.0138 0.0079 0.0036
1-2-3 80 15 4 0.0321 0.0046 0.0019 0.0001
1-2-4 80 15 5 0.0321 0.0044 0.0017 0.0001
1-2-5 80 15 6 0.0321 0.0045 0.0019 0.0001
1-2-6 80 15 7 0.0321 0.0119 0.0088 0.0041
1-2-7 80 15 8 0.0321 0.0130 0.0095 0.004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O 80 중량부 기준 Al Dross 14-16 중량부, Na2CO3 4-6 중량부 포함하는 샘플에서 탈황 효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탈수 처리 유무에 따른 탈황 효율 평가
상기 표 1의 실시예 1-1-4의 조성비로 제조한 샘플을 탈수 처리 여부에 따른 탈황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실험하였다.
탈수 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1-1-4의 수분 함량은 1 중량% 미만으로 확인되었고, 탈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수분 함량은 약 4.6 중량%로 확인되었다.
중량부 탈수처리 여부 처리 시간에 따른 황 농도(%)
CaO Al Dross Na2CO3 0분 2분 4분 6분
실시예 1-1-4 80 15 5 O 0.0321 0.0044 0.0017 0.0001
비교예 1 80 15 5 X 0.0321 0.0178 0.0115 0.006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수 처리 여부에 따라서 탈황 효율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황제에 수분이 존재할 경우 CaO와 미리 반응하여, 탈황 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3> 소결 처리 유무에 따른 탈황 효율 평가
상기 표 1의 실시예 1-1-4의 조성비로 제조한 샘플을 소결 처리 여부에 따른 탈황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시예 1-1-4는 탈수 처리만 하였고, 실시예 2는 소결 처리 후에 탈수 처리를 병행한 샘플이다.
중량부 소결처리 여부 처리 시간에 따른 황 농도(%)
CaO Al Dross Na2CO3 0분 2분 4분 6분
실시예 1-1-4 80 15 5 X 0.0321 0.0044 0.0017 0.0001
실시예 2 80 15 5 O 0.0321 0.0027 0.0008 0.0001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결 처리 여부에 따라서 탈황 효율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서 소결 처리하면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이 하나의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로 뭉침에 따라서 탈황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4> 소결 처리 조건에 따른 분말 형태의 관찰
실시예 2에서 소결 처리 조건에 따른 분말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 각각을 평균입도 0.5 mm으로 준비한 다음, 하기 표 4의 소결 처리 조건으로 각각 처리한 후에 평균입도와 하이브리드(CaO + Al Dross + Na2CO3)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압력은 상압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온도(℃) 시간(min) 평균입도(mm) 하이브리드 형성 여부
2-1-1 600 4 0.5 X
2-1-2 610 4 0.5 X
2-1-3 620 4 1.7 O
2-1-4 630 4 1.8 O
2-1-5 640 4 1.9 O
2-1-6 650 4 4.9 O
2-1-7 660 4 6.8 O
2-2-1 630 1 0.5 X
2-2-2 630 2 0.6 X
2-2-3 630 3 1.7 O
2-2-4 630 4 1.8 O
2-2-5 630 5 2.0 O
2-2-6 630 6 5.1 O
2-2-7 630 8 6.8 O
2-2-8 630 10 8.5 O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압하에 620-640℃에서 3-5분 소결처리시에 하이브리드 형성과 평균입도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보관 챔버
200: 드라이 에어 공급부
210: 기공

Claims (10)

  1.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드로스는 15-20 중량%의 알루미늄 및 잔부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탈황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 탈황제는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탈황제.
  4.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 각각을 0.05-4 mm 평균입도로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산화칼슘(CaO) 80 중량부 기준,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14-16 중량부, 및 탄산나트륨(Na2CO3) 4-6 중량부를 정량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0.05 mm 미만의 기공 직경을 갖는 다공성 막으로 랩핑된 드라이 에어 공급부가 내부에 구비된 보관 챔버에,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혼합분말을 투입하고, 드라이 에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함량 1 중량%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처리 완료된 혼합분말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드로스는 15-20 중량%의 알루미늄 및 잔부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탈황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 혼합분말을 소결 처리하는 단계(단계 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처리는 상압하에 620-640℃에서 3-5 분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에어 공급부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봉 형태의 겉면에 다공성 막이 랩핑된 형태로서, 상기 보관 챔버 내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는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처리된 하이브리드 입자 형태의 용선 탈황제는 산화칼슘(CaO), 알루미늄 드로스(Al Dro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처리된 용선 탈황제.
KR1020200062022A 2020-05-25 2020-05-25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22A KR102311868B1 (ko) 2020-05-25 2020-05-25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22A KR102311868B1 (ko) 2020-05-25 2020-05-25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868B1 true KR102311868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22A KR102311868B1 (ko) 2020-05-25 2020-05-25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498A (ko) * 1984-07-19 1986-02-26 김병우 전선 이음쇠
KR20020030198A (ko) 2000-10-16 2002-04-24 이구택 마그네슘과 탄소를 함유한 용선탈황제
JP2006316318A (ja) * 2005-05-12 2006-11-24 Sumitomo Metal Ind Ltd 溶銑の脱硫方法
JP2012219300A (ja) * 2011-04-06 2012-11-12 Nippon Material Kk 鉄系金属の脱硫剤
KR20130066130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황제
KR20200015043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류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498A (ko) * 1984-07-19 1986-02-26 김병우 전선 이음쇠
KR20020030198A (ko) 2000-10-16 2002-04-24 이구택 마그네슘과 탄소를 함유한 용선탈황제
JP2006316318A (ja) * 2005-05-12 2006-11-24 Sumitomo Metal Ind Ltd 溶銑の脱硫方法
JP2012219300A (ja) * 2011-04-06 2012-11-12 Nippon Material Kk 鉄系金属の脱硫剤
KR20130066130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황제
KR20200015043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류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897B2 (ja) 製鋼スラグの安定化処理方法および安定化製鋼スラグ
TR201807845T4 (tr) Eriyik demirin ön arıtımına yönelik yöntem.
CN109467322A (zh) 一种电石渣制取生石灰的生产工艺
KR100741491B1 (ko) 고청정강 제조용 탈산 내화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467545B1 (en) Iron desulfurization additive and method for introduction into hot metals
KR102311868B1 (ko)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7051B1 (ko) 제강용 탈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506144A (ja) スラグ脱泡複合材料
JP3828895B2 (ja) 製鋼スラグの安定化処理方法および安定化製鋼スラグ
KR20230114413A (ko) 굴패각 및 석회석 유래 생석회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47834A1 (ja) 石綿を含有する固体廃棄物を無害化する方法
JP3607767B2 (ja) 耐火物溶損の小さい溶鋼脱硫脱水素方法
KR860000139B1 (ko) 철함유 용융물용 탈황제의 제조방법
KR101592073B1 (ko) 제강 레이들 무형석 정련조업용 형석 대체제
JP3714229B2 (ja) 硫黄含有スラグを原料と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0026775A1 (ja) 溶銑の脱硫方法
JP3516579B2 (ja) 溶銑脱硫剤
KR100325103B1 (ko) 연주폐슬러지를이용한용선탈황제
CN108384923A (zh) 一种铁水脱硫剂及制备方法
KR101008157B1 (ko) 전로진정제 및 그 제조방법
CZ293175B6 (cs) Odsiřovací směs na bázi karbidu vápníku
CN111850241B (zh) 一种烧结型合成渣及其制备方法
SU711104A1 (ru) Десульфуратор чугуна
NO144493B (no) Fremgangsmaate for raffinering av en staalsmelte
EP1532282B1 (en) Metallurgical s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