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73B1 -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73B1
KR102310573B1 KR1020200089933A KR20200089933A KR102310573B1 KR 102310573 B1 KR102310573 B1 KR 102310573B1 KR 1020200089933 A KR1020200089933 A KR 1020200089933A KR 20200089933 A KR20200089933 A KR 20200089933A KR 102310573 B1 KR102310573 B1 KR 10231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film
raw material
unit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예솔
Original Assignee
안예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예솔 filed Critical 안예솔
Priority to KR102020008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투입되는 원료를 용융 압출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축 블럭과, 상기 압축 블럭에서 압출되는 용융된 원료를 서로 밀착 합지시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 층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 형상의 기본필름을 형성하는 티 다이(T-Die)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부;와, 상기 필름 형성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을 신속하게 냉각 경화시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각롤러와, 상기 기본필름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각롤러로 이루어진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를 거쳐 경화된 상기 기본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당겨 연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2냉각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속롤러로 이루어지는 연신부;와, 상기 연신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두께를 검출하여 상기 기본필름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는 후도게이지;와, 상기 후도게이지를 통과한 상기 기본필름을 감아 권취하는 제1권취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압축 블럭을 통해 압축되는 원료 층을 티 다이를 통해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료 층으로 형성 합지하여 기본필름을 성형함으로, 기본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고 매우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어 기본필름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원료 층으로 형성되는 기본필름은 기본적으로 우수한 물성(강도, 내구성 등)이 확보되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특성상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필름 형성부를 통해 성형된 기본필름 측으로 강화필름을 접합하는 강화 접합부를 통해 기본필름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본필름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신부를 통한 기본필름의 연신으로 기본필름의 물성을 보다 강화하여 기본필름의 두께를 더욱 얇게 조절할 수 있어 기본필름에 제작에 소요되는 원료를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를 통해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기본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포대 사이즈에 적합한 폭을 갖는 기본필름을 제작할 수 있어 필름 제조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Multi-layer PE bag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압축 블럭을 통해 압축되는 원료 층을 티 다이를 통해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료 층으로 형성 합지하여 기본필름을 성형함으로, 기본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고 매우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어 기본필름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원료 층으로 형성되는 기본필름은 기본적으로 우수한 물성(강도, 내구성 등)이 확보되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특성상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크라프트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둘 이상의 소재가 조합되어 제작되는 포대는 재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 단일 재질로 제작되는 포대는 포대로서 요구되는 물성(강도, 내구성 등)을 만족하기 위해서 다소 두껍게 제작되는 특성상, 포대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의 양이 많아 포대의 단가가 높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두꺼운 두께로 인해 성형성이 낮아 포대로 제작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브로아 장치를 통해 원기둥 형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박막을 여러 겹을 형성 합지하는 방식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포대를 제작하였는데, 이렇게 제작되는 포대는 다수 겹의 박막이 합지되어 포대로 제작되는 특성상 두께가 얇더라도 우수한 강도가 확보되어 포대에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포대의 두께가 얇아 포대의 안정적인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브로아 장치는 불어내는 바람의 세기를 통해 얇은 박막의 두께를 제어하게 되는데, 바람은 정밀하게 제어가 다소 곤란하여 박막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완제품인 포대의 불량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브로아 장치로 제작되는 포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는 순간 포대의 크기가 정해지므로 포대 사이즈의 변경이 곤란하여 포대 제작의 범용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브로아 장치는 곧바로 포대 형상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인쇄시 포대 앞·뒷면의 인쇄 요구시 2번의 인쇄 과정이 요구될 수밖에 없어 포대 제작이 다소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압축 블럭을 통해 압축되는 원료 층을 티 다이를 통해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료 층으로 형성 합지하여 기본필름을 성형함으로, 기본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고 매우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어 기본필름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원료 층으로 형성되는 기본필름은 기본적으로 우수한 물성(강도, 내구성 등)이 확보되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특성상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필름 형성부를 통해 성형된 기본필름 측으로 강화필름을 접합하는 강화 접합부를 통해 기본필름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본필름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신부를 통한 기본필름의 연신으로 기본필름의 물성을 보다 강화하여 기본필름의 두께를 더욱 얇게 조절할 수 있어 기본필름에 제작에 소요되는 원료를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를 통해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기본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포대 사이즈에 적합한 폭을 갖는 기본필름을 제작할 수 있어 필름 제조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는 내부에 투입되는 원료를 용융 압출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축 블럭과, 상기 압축 블럭에서 압출되는 용융된 원료를 서로 밀착 합지시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 층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 형상의 기본필름을 형성하는 티 다이(T-Die)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부;와, 상기 필름 형성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을 신속하게 냉각 경화시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각롤러와, 상기 기본필름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각롤러로 이루어진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를 거쳐 경화된 상기 기본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당겨 연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2냉각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속롤러로 이루어지는 연신부;와, 상기 연신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두께를 검출하여 상기 기본필름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는 후도게이지;와, 상기 후도게이지를 통과한 상기 기본필름을 감아 권취하는 제1권취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상기 압축 블럭을 3개 구비하고, 순차적으로 제1압축 블럭, 제2압축 블럭, 제3압축 블럭이라 하며,
상기 제1압축 블럭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1원료 층이라 하고, 상기 제2압축 블럭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을 제2원료 층이라 하고, 상기 제3압축 블럭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3원료 층이라 하며, 상기 제1원료 층은 상기 기본필름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원료 층은 포대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원료 층은 상기 제1,3원료 층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필름 형성부에서 압출 형성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제1원료 층 측으로 직조된 폴리에틸렌(PE) 재질의 강화필름을 접합시키는 강화 접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강화 접합부는 상기 강화필름이 감겨 형성되는 제2권취롤러와, 상기 제2권취롤러에 감긴 상기 강화필름을 상기 기본필름 측으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강화필름을 상기 기본필름 측으로 밀착시켜 상기 기본필름과 강화필름이 일체로 접합되게 유도하는 밀착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압축 블럭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copolymer) 원료를 투입하여 상기 기본필름과 강화필름의 용이한 접합을 유도하며, 상기 제2압축 블럭에는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하고, 상기 제3압축 블럭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포함된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하며,
상기 연신부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 상면으로 고주파를 출력하여 상기 기본필름의 상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고주파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신부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상기 기본필름의 폭을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연신부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하부면을 받쳐 상기 기본필름의 수평 이송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이송판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는 절단날과, 상기 이송판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흡착공과, 상기 이송판의 하부에 기밀되게 위치되되, 상기 흡착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흡착박스와, 상기 흡착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박스와 연통되는 상기 흡착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공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송판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이 상기 이송판에 견고히 밀착 이송되게 유도하는 브로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압축 블럭을 통해 압축되는 원료 층을 티 다이를 통해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료 층으로 형성 합지하여 기본필름을 성형함으로, 기본필름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고 매우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어 기본필름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원료 층으로 형성되는 기본필름은 기본적으로 우수한 물성(강도, 내구성 등)이 확보되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특성상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필름 형성부를 통해 성형된 기본필름 측으로 강화필름을 접합하는 강화 접합부를 통해 기본필름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본필름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신부를 통한 기본필름의 연신으로 기본필름의 물성을 보다 강화하여 기본필름의 두께를 더욱 얇게 조절할 수 있어 기본필름에 제작에 소요되는 원료를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를 통해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기본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포대 사이즈에 적합한 폭을 갖는 기본필름을 제작할 수 있어 필름 제조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절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절단부를 도시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는 필름 형성부(10)와, 냉각부(20)와, 연신부(30)와, 후도게이지(40)와, 제1권취롤러(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형성부(10)는 내부에 투입되는 원료를 용융 압출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축 블럭(11)과, 상기 압축 블럭(11)에서 압출되는 용융된 원료를 서로 밀착 합지시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 층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 형상의 기본필름(1)을 형성하는 티 다이(12:T-Di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재료를 통해 포대를 제작하면서 요구되는 포대의 안정적인 물성(강도, 내구성 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포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포대의 제작에 너무 많은 재료가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제작된 포대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포대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포대의 제작에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필름 형성부(10)를 통해 성형되는 상기 기본필름(10)은 포대로 제작되는 구성으로 둘 이상의 상기 압축 블럭(11)를 통해 용융 압출되는 원료 층이 상기 티 다이(12)를 통해 서로 접합(합지)되면서 곧바로 다수의 원료 층을 갖는 필름으로 제작되므로, 상기 기본필름(1)은 단층으로 형성되는 동일한 두께의 필름에 대비하여 매우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제작되는 상기 기본필름(1)은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통상의 폴리에틸렌 재료로 제작되는 포대에서 추구하는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필름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포대의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포대의 편리한 제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형성부(10)는 상기 티 다이(12)를 통해 압출되는 원료 층의 두께를 매우 얇고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특성상, 상기 기본필름(1)의 전체 두께 및 각 원료 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조절 형성할 수 있어 상기 기본필름(1)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20)는 상기 필름 형성부(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1)을 신속하게 냉각 경화시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각롤러(21)와, 상기 기본필름(1)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각롤러(2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냉각부(20)는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압출 성형되는 상기 기본필름(1)을 신속하게 냉각 경화시키는데, 상기 제1냉각롤러(21)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으로 냉기를 제공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제2냉각롤러(22)는 상기 기본필름(1)의 타면으로 냉기로 제공하여 상기 기본필름(1) 전체가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각롤러(21,22)의 표면은 대략 10 내지 15℃로 유지되면서 상기 기본필름(1)의 신속한 경화를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필름(1)의 신속한 경화를 유도하는 이유는 후설될 상기 연신부(30)에서 상기 기본필름(1)을 당겨 연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본필름(1)의 안정적인 연신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 1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신부(30)는 상기 냉각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0)를 거쳐 경화된 상기 기본필름(1)을 길이 방향으로 당겨 연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2냉각롤러(21,22)를 통해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속롤러(3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신부(30)는 다수의 상기 가속롤러(31)를 통해 상기 기본필름(1)의 이동속도를 가속함으로 상기 기본필름(1)이 상기 가속롤러(31)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서서히 연신되게 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강도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유도하여 완제품인 포대의 우수한 품질이 확보되도록 유도한다.
더욱이, 상기 기본필름(1)은 연신되는 과정에서 폭과 두께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기본필름(1)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면서 필름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은 확보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필름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의 연신부(30)는 총 3개의 상기 가속롤러(31)로 구현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도게이지(40)는 상기 연신부(3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두께를 검출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다.
즉, 상기 후도게이지(40:후도계)를 통해 상기 연신부(30)를 통과한 상기 기본필름(1)의 전체적인 두께를 확인하여 불량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 정상적인 고품질의 상기 기본필름(1)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유도하게 된다.
도 1과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권취롤러(50)는 상기 후도게이지(40)를 통과한 상기 기본필름(1)을 감아 권취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권취롤러(50)에 통해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기본필름(1)은 용이한 보관 및 운송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 간편히 상기 제1권취롤러(50)로부터 상기 기본필름(1)을 풀어 사용할 수 있어 상기 기본필름(1)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상기 압축 블럭(11)을 3개 구비하고, 순차적으로 제1압축 블럭(11a), 제2압축 블럭(11b), 제3압축 블럭(11c)이라 하며,
상기 제1압축 블럭(11a)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1원료 층(1a)이라 하고, 상기 제2압축 블럭(11b)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을 제2원료 층(1b)이라 하고, 상기 제3압축 블럭(11c)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3원료 층(1c)이라 하며, 상기 제1원료 층(1a)은 상기 기본필름(1)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원료 층(1c)은 포대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원료 층(1b)은 상기 제1,3원료 층(1a,1c)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압출 형성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제1원료 층(1a) 측으로 직조된 폴리에틸렌(PE) 재질의 강화필름(2)을 접합시키는 강화 접합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강화 접합부(60)는 상기 강화필름(2)이 감겨 형성되는 제2권취롤러(61)와, 상기 제2권취롤러(61)에 감긴 상기 강화필름(2)을 상기 기본필름(1) 측으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62)와, 상기 이송롤러(62)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강화필름(2)을 상기 기본필름(1) 측으로 밀착시켜 상기 기본필름(1)과 강화필름(2)이 일체로 접합되게 유도하는 밀착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강화 접합부(60)는 직조되어 매우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상기 강화필름(2)을 상기 기본필름(1)에 접합시켜 상기 기본필름(1)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데, 이때 상기 강화필름(2)이 상기 기본필름(1) 측으로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압축 블록(11a)에는 접착제 용도로 EVA 원료를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3압축 블럭(11b,11c)에는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하여 상기 기본필름(1)은 폴리에틸렌 고유의 특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이며, 이때 상기 제3압축 블럭(11c)에 투입되는 폴리에틸렌 원료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포함되어 상기 기본필름(1)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다수가 적층되는 경우 미끄러지면서 낙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유도하여 포대의 안정적인 사용이 확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 상면으로 고주파를 출력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상면에 거칠기(3)를 형성하는 고주파 출력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포대의 바깥쪽 겉면에는 포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정보, 용량, 회사 정보 등이 인쇄되는데, 이때 포대로 제작되는 상기 기본필름(1) 일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주파 출력부(70)는 인쇄가 수행될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에 고주파를 통해 간편히 거칠기(3)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필름(1)은 판 형상의 필름이므로 일면에만 인쇄한 후, 통상의 제대기(미도시)를 통해 접어 포대로 제작하면 자연스럽게 포대의 바깥쪽 양면에 인쇄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브로아 방식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인쇄 과정에 대비하여 매우 편리한 인쇄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폭을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절단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단부(80)는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하부면을 받쳐 상기 기본필름(1)의 수평 이송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송판(81)과, 상기 이송판(8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는 절단날(82)과, 상기 이송판(81)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흡착공(83)과, 상기 이송판(81)의 하부에 기밀되게 위치되되, 상기 흡착공(83)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흡착박스(84)와, 상기 흡착박스(84)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박스(84)와 연통되는 상기 흡착공(8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공(83)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이 상기 이송판(81)에 견고히 밀착 이송되게 유도하는 브로아(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기본필름(1)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는 사용처(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이 요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는 상기 기본필름(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에 대한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상기 절단부(80)에서 절단하여 생산함으로 제작된 상기 기본필름(1)을 통해 간편히 적합한 사이즈의 포대로 제작할 수 있어 포대의 제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는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 요구를 반영하여 적합한 폭의 상기 기본필름(1)을 제작할 수 있는 특성상, 필름 제조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80)를 통한 상기 기본필름(1)의 절단과정을 살펴보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필름(1)이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단날(82)을 통해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이 절단되어 적합한 폭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착공(83)을 통한 상기 브로아(85)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하는 상기 기본필름(1)이 상기 이송판(81)에 안정적으로 밀착(결속) 이송되므로 상기 절단날(82)을 통한 상기 기본필름(1)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절단을 유도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는 다수의 압축 블럭(11)을 통해 압축되는 원료 층을 티 다이(12)를 통해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료 층으로 형성 합지하여 기본필름(1)을 성형함으로, 기본필름(1)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고 매우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어 기본필름(1)을 통해 제작되는 포대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원료 층으로 형성되는 기본필름(1)은 기본적으로 우수한 물성(강도, 내구성 등)이 확보되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특성상 제작에 소모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필름 형성부(10)를 통해 성형된 기본필름(1) 측으로 강화필름(2)을 접합하는 강화 접합부(60)를 통해 기본필름(1)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본필름(1)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신부(30)를 통한 기본필름(1)의 연신으로 기본필름(1)의 물성을 보다 강화하여 기본필름(1)의 두께를 더욱 얇게 조절할 수 있어 기본필름(1)에 제작에 소요되는 원료를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단부(80)를 통해 소비자의 포대 사이즈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포대 사이즈에 적합한 폭을 갖는 기본필름(1)을 제작할 수 있어 필름 제조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기본필름(1)을 제작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형성부(10)의 제1압축 블럭(11a)에는 EVA 원료를 투입 용융하고, 제2압축 블럭(11b)에는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 용융하고, 상기 압축 블럭(11c)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포함된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 용융시켜 총 3개의 층, 즉 상기 제압축 블럭(11a)에서 압출되는 제1원료 층(1a)과, 상기 제2압축 블럭(11b)에서 압출되는 제2원료 층(1b)과, 상기 제3압축 블럭(11c)에서 압출되는 제3원료 층(1c)을 티 다이(12)를 통해 합지하여 기본원단(1)을 성형 제작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형성부(1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상기 기본원단(1)의 제1원료 층(1a) 측으로 강화 접합부(60)를 통해 직조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강화필름(2)을 밀착 접합하여 상기 기본원단(1)의 기본 물성을 강화시킨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필름(1)을 냉각부(20)의 제1,2냉각롤러(21,22)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상기 기본필름(1)의 신속한 경화를 유도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필름(1)의 이동을 가속하는 다수의 가속롤러(31)를 통해 상기 기본필름(1)을 길이 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기본필름(1)을 연신시킨다.
이때, 상기 기본필름(10)은 150 내지 300%까지 연신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필름(1)의 두께가 100 내지 130㎛ 정도까지 연신한다.
그런 후, 도 3e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에 고주파 출력부(70)를 통해 고주파를 출력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에 거칠기(3)를 형성한 후, 절단부(80)를 통해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폭을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조절한다.
그런 후,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필름(1)의 두께를 후도게이지(40)를 측정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불량 유무를 검출한 후, 이상이 없으면 상기 기본필름(1)을 제1권취롤러(50)에 권취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평평한 판 형상의 기본필름(1)은 통상의 제대기를 통해 접어 양측단을 접합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통상의 포대 형상으로 제작한 상태에서 하부 또는 상부를 초음파 실링하여 간편히 포대로 제작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기본필름 1a. 제1원료 층
1b. 제2원료 층 1c. 제3원료 층
2. 강화필름 3. 거칠기
10. 필름 형성부 11. 압축 블럭
11a. 제1압축 블럭 11b. 제2압축 블럭
11c. 제3압축 블럭 12. 티 다이
20. 냉각부 21. 제1냉각롤러
22. 제2냉각롤러 30. 연신부
31. 가속롤러 40. 후도게이지
50. 제1권취롤러 60. 강화 접합부
61. 제2권취롤러 62. 이송롤러
63. 밀착롤러 70. 고주파 출력부
80. 절단부 81. 이송판
82. 절단날 83. 흡착공
84. 흡착박스 85. 브로아
100.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Claims (4)

  1. 내부에 투입되는 원료를 용융 압출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압축 블럭(11)과, 상기 압축 블럭(11)에서 압출되는 용융된 원료를 서로 밀착 합지시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 층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 형상의 기본필름(1)을 형성하는 티 다이(12:T-Die)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부(10);
    상기 필름 형성부(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1)을 신속하게 냉각 경화시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배출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각롤러(21)와, 상기 기본필름(1)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각롤러(22)로 이루어진 냉각부(20);
    상기 냉각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0)를 거쳐 경화된 상기 기본필름(1)을 길이 방향으로 당겨 연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2냉각롤러(21,22)를 통해 이송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이송시키는 다수의 가속롤러(31)로 이루어지는 연신부(30);
    상기 연신부(3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두께를 검출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는 후도게이지(40); 및
    상기 후도게이지(40)를 통과한 상기 기본필름(1)을 감아 권취하는 제1권취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상기 압축 블럭(11)을 3개 구비하고, 순차적으로 제1압축 블럭(11a), 제2압축 블럭(11b), 제3압축 블럭(11c)이라 하며,
    상기 제1압축 블럭(11a)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1원료 층(1a)이라 하고, 상기 제2압축 블럭(11b)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을 제2원료 층(1b)이라 하고, 상기 제3압축 블럭(11c)에서 압출되는 원료 층은 제3원료 층(1c)이라 하며, 상기 제1원료 층(1a)은 상기 기본필름(1)으로 제작되는 포대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원료 층(1c)은 포대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원료 층(1b)은 상기 제1,3원료 층(1a,1c)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필름 형성부(10)에서 압출 형성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제1원료 층(1a) 측으로 직조된 폴리에틸렌(PE) 재질의 강화필름(2)을 접합시키는 강화 접합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강화 접합부(60)는 상기 강화필름(2)이 감겨 형성되는 제2권취롤러(61)와, 상기 제2권취롤러(61)에 감긴 상기 강화필름(2)을 상기 기본필름(1) 측으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62)와, 상기 이송롤러(62)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강화필름(2)을 상기 기본필름(1) 측으로 밀착시켜 상기 기본필름(1)과 강화필름(2)이 일체로 접합되게 유도하는 밀착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압축 블럭(11a)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copolymer) 원료를 투입하여 상기 기본필름(1)과 강화필름(2)의 용이한 접합을 유도하며, 상기 제2압축 블럭(11b)에는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하고, 상기 제3압축 블럭(11c)에는 미끄럼 방지제가 포함된 폴리에틸렌 원료를 투입하며,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 상면으로 고주파를 출력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상면에 거칠기(3)를 형성하는 고주파 출력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여 상기 기본필름(1)의 폭을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절단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단부(80)는 상기 연신부(30)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하부면을 받쳐 상기 기본필름(1)의 수평 이송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송판(81)과, 상기 이송판(8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하는 절단날(82)과, 상기 이송판(81)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흡착공(83)과, 상기 이송판(81)의 하부에 기밀되게 위치되되, 상기 흡착공(83)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흡착박스(84)와, 상기 흡착박스(84)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박스(84)와 연통되는 상기 흡착공(8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공(83)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송판(81)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기본필름(1)이 상기 이송판(81)에 견고히 밀착 이송되게 유도하는 브로아(8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89933A 2020-07-21 2020-07-21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KR10231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33A KR102310573B1 (ko) 2020-07-21 2020-07-21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33A KR102310573B1 (ko) 2020-07-21 2020-07-21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73B1 true KR102310573B1 (ko) 2021-10-12

Family

ID=7807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33A KR102310573B1 (ko) 2020-07-21 2020-07-21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9902A (zh) * 2022-03-18 2022-06-07 北京祥润鑫悦科技有限公司 一种多口模具挤出分切收卷装置
CN115648576A (zh) * 2022-11-01 2023-01-31 江苏加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热耐油膜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N116079967A (zh) * 2023-02-21 2023-05-09 南通三信塑胶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eva薄膜自动化生产系统
CN116638727A (zh) * 2023-07-27 2023-08-25 山东圣和薄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层共挤挤出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32A (ko) * 1993-07-05 1995-02-17 이헌조 칼라수상관의 섀도우마스크 지지용 탄성부재 고정방법
KR20020061786A (ko) * 2001-01-18 2002-07-25 성홍제 미끄럼 방지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
JP2008194764A (ja) * 2007-02-09 2008-08-28 Chugai Ro Co Ltd フィルム切断装置
KR20110084204A (ko) * 2008-10-01 2011-07-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1133970B1 (ko) * 2004-03-01 2012-04-05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복층의 무연신필름의 제조방법, 복층수지피복 금속판의제조방법 및, 복층의 무연신필름의 제조장치
KR20120005494U (ko) * 2011-01-21 2012-07-31 (주)에포코아이엔에스 경질 및 연질의 특성을 갖는 혼합원단으로 제조되는 포장용 포대
JP2012171222A (ja) * 2011-02-22 2012-09-10 Toray Ind Inc シートの製造方法、製造装置、厚み制御方法および厚み制御装置
KR20180131910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637B1 (ko) * 2019-03-22 2019-08-06 김영태 폴리에틸렌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32A (ko) * 1993-07-05 1995-02-17 이헌조 칼라수상관의 섀도우마스크 지지용 탄성부재 고정방법
KR20020061786A (ko) * 2001-01-18 2002-07-25 성홍제 미끄럼 방지 타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970B1 (ko) * 2004-03-01 2012-04-05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복층의 무연신필름의 제조방법, 복층수지피복 금속판의제조방법 및, 복층의 무연신필름의 제조장치
JP2008194764A (ja) * 2007-02-09 2008-08-28 Chugai Ro Co Ltd フィルム切断装置
KR20110084204A (ko) * 2008-10-01 2011-07-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및 필름 제조 방법
KR20120005494U (ko) * 2011-01-21 2012-07-31 (주)에포코아이엔에스 경질 및 연질의 특성을 갖는 혼합원단으로 제조되는 포장용 포대
JP2012171222A (ja) * 2011-02-22 2012-09-10 Toray Ind Inc シートの製造方法、製造装置、厚み制御方法および厚み制御装置
KR20180131910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637B1 (ko) * 2019-03-22 2019-08-06 김영태 폴리에틸렌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9902A (zh) * 2022-03-18 2022-06-07 北京祥润鑫悦科技有限公司 一种多口模具挤出分切收卷装置
CN115648576A (zh) * 2022-11-01 2023-01-31 江苏加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热耐油膜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N115648576B (zh) * 2022-11-01 2024-01-30 江苏加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热耐油膜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N116079967A (zh) * 2023-02-21 2023-05-09 南通三信塑胶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eva薄膜自动化生产系统
CN116079967B (zh) * 2023-02-21 2023-11-14 南通三信塑胶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eva薄膜自动化生产系统
CN116638727A (zh) * 2023-07-27 2023-08-25 山东圣和薄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层共挤挤出机
CN116638727B (zh) * 2023-07-27 2023-10-20 山东圣和薄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层共挤挤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573B1 (ko)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WO2020199549A1 (zh) 一种全回收环保包装结构及其制作方法
KR20110127231A (ko) 환형 프로파일을 갖는 다층 구조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7879439B2 (en) Polypropylene laminate film,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KR102310570B1 (ko)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방법
JP2020062786A (ja) 袋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74572A (ko) 부직포 및 강화 적층체
JP2011232625A (ja) ロール原反およ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4924368B2 (ja) プラスチック中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70112207A (ko) 식품 포장지 제조방법
CN214927621U (zh) 一种气阀膜材、气阀膜和充气袋
JP4413675B2 (ja) 乾燥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KR20090011137A (ko) 방습용 지대 제작방법 및 그 장치
CN207121056U (zh) 一种充气缓冲包装薄膜及由其制成的包装袋
KR102004856B1 (ko) 다층구조의 합성수지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4225180B2 (ja) 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製造プラント
KR100605263B1 (ko) 에어버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1187429A (ja) 角底袋製造用積層シートおよび角底袋
JP2006519934A (ja) プラスチックテープのクロスプライ、並びにその製造の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装置
WO2022167006A1 (zh) 完全可回收的阻隔性pe膜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2121811A (ja) Smcシート連続自動供給装置及びその構成装置
CN216182943U (zh) 一种软管复合片材干复和挤复串联一步成型的生产设备
KR101742200B1 (ko)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7006B1 (ko) 적재시 미끄럼 방지 기능 및 봉합 용이성을 가지는 2중 구조 포장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포장지
KR100864029B1 (ko) 산소 차단성 수축필름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