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00B1 -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00B1
KR101742200B1 KR1020160163185A KR20160163185A KR101742200B1 KR 101742200 B1 KR101742200 B1 KR 101742200B1 KR 1020160163185 A KR1020160163185 A KR 1020160163185A KR 20160163185 A KR20160163185 A KR 20160163185A KR 101742200 B1 KR101742200 B1 KR 10174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foam
film
core layer
fo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암
Original Assignee
김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암 filed Critical 김종암
Priority to KR102016016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00B1/ko
Priority to PCT/KR2017/013887 priority patent/WO20181017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00Making tubes or pipes by feeding at right angles to the winding mandrel centr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5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H2701/5152End flanges and barrel of different material
    • B65H2701/51528Plastic barrel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가 날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강함은 물론,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면서 생산성이 우수하도록 된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포지관(1000,2000)은,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1100,2100)과,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1200,2200)과, 필름의 하부면 또는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세번째 발포지관층(1300,2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A pipe made of styrofoam and film material}
본 발명은 원단이나 종이 및 필름 등을 두루마리 방식으로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가 발생하지 않고, 습기에 무너지지 않으며, 복원력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생산비가 저렴하도록 된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이나 종이 및 필름 등은 두루마리 방식으로 생산되며 이는 지관과 같은 파이프에 감아서 생산하고 출하한다.
이렇게 원단이나 필름을 감는 지관은 그 내부에 축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소정길이 만큼 감아 생산한다.
이러한 지관은 종이를 사용해서 만들기 때문에 사용시 먼지가 많이 날리고, 습기에 취약하여 비가 올 때에는 무너지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재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또한 종이에 접착재를 바르면서 권취하면서 지관을 만들기 때문에 제조비가 높게 됨은 물론, 습기에 약하고 찌그러진 후 복원력이 없어서 재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플라스틱으로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지관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지만, 강도가 너무 높아 잘 깨지고, 또 비중이 높아 무거워서 취급이 곤란하게 되는 한편, 밀도가 높아 제조비용이 높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23653호 고안의 명칭 "지관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03040호 고안의 명칭 "권취용 지관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먼지가 날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강하고 복원력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면서 생산성이 우수하도록 된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은,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과,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과, 필름의 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필름의 상부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세번째 발포지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은,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과,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과,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상부발포폼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제3발포지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은,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은, 상기 필름은 고강도이고, 두께는 0.08 ~ 0.12 mm이며, 상기 상,하부발포폼은 20 ~ 35 배 발포된 것이고, 두께는 2 ~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의 제조방법은,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얇은 필름을 토출하는 단계와, 얇은 필름의 상,하부면 또는 하부면에 일정한 두께로 발포되어 권선된 상,하부발포폼을 공급하여 부착하도록 된 발포폼부착단계와, 필름에 상,하부발포폼이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재단단계와, 재단된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의 부착된 상태의 발포필름을 권선하도록 된 권선단계와,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첫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두번째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두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에 열품을 공급하면서 필름과 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세번재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세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세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를 지난후 일정길이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지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가 2회 이상 반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먼지가 날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강함은 물론,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사용시 찌그러진 경우에도 복원력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이나 플라스틱은 밀도가 100%인 반면에 발포필름의 발포폼은 20 ~ 35배율로 발포한 것이어서 기존 대비 6배정도의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도록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지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지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포지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지관과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지관(1000)은, 제1필름(1110)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1120,11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인 제1발포지관층(1100)과, 제2필름(1210)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1220,12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1발포지관층(1100)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발포지관층(1100)의 상부발포폼(1120)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인 제2발포지관층(1200)과, 제3필름(1310)의 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하부발포폼(13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2발포지관층(1200)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발포지관층(1200)의 상부발포폼(1220)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제3필름(1310)의 상부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세번째 발포지관층인 제3발포지관층(1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포지관(1000)에 의하면, 상기 제1,2,3발포지관층(1100,1200,1300)을 구성하는 제1,2,3필름(1110,1210,1310)과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30)이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1,2,3필름(1110,1210,1310)의 제조와 동시에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30)을 부착하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또 제1,2,3필름(1110,1210,1310)과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3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발포지관을 형성하게 되므로, 먼지가 날리지 않게 되고, 습기에 강함은 물론, 발포지관의 두께에 비하여 매우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발포지관층(1200)은 발포지관(1000)의 직경이 크게 되면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2,3필름(1110,1210,1310)은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강도가 높은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고, 두께는 0.08 ~ 0.12 mm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0.1 mm이다.
따라서 고강도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2,3필름(1110,1210,1310)이 적층되어 권선되면서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30)은 상,하부발포폼을 성형하기 위한 폴리에틸렌(PE) 원료 수지의 체적에서 발포후의 상,하부발포폼의 체적이 20 ~ 35 배 크게 발포된 것이고, 두께는 2 ~ 5 mm 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지관의 직경이 300mm 일때 두께를 직경 3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30)은 20 ~ 35 배로 발포하고 두께를 2 ~ 5 mm 로 제조하여 적정한 강도와 탄성을 갖게 된다. 즉, 20배 이하로 발포하게 되면 강도가 높고, 35배 이상으로 발포하면 강도가 낮게 되며, 두께를 2mm 이하로 하게 되면 탄성이 너무 낮고 강도가 높으며, 5mm 이상으로 하게 되면 탄성이 너무 높으면서 강도가 너무 낮게 된다.
즉,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지관은 밀도가 100%인 반면에 본 발명의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발포필름의 발포폼은 20 ~ 35배율로 발포한 것이어서 기존 대비 6배 정도의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사용시 찌그러진 경우에도 복원력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포지관(2000)은, 제4필름(2110)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2120,21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인 제4발포지관층(2100)과, 제5필름(2210)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2220,22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4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제4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2120)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인 제5발포지관층(2200)과, 제6필름(2310)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2320,2330)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5발포지관층(2200)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제5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2220)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상부발포폼(232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세번째 발포지관층인 제6발포지관층(2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포지관(2000)에 의하면, 상기 제4,5,6발포지관층(2100,2200,2300)을 구성하는 제4,5,6필름(2110,2210,2310)과 상,하부발포폼(2120,2130,2220,2230,2320,2330)이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4,5,6필름(2110,2210,2310)의 제조와 동시에 상,하부발포폼(2120,2130, 2220,2230,2320,2330)을 부착하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또 제4,5,6필름(2110,2210,2310)과 상,하부발포폼(2120,2130,2220,2230,2320,233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발포지관을 형성하게 되므로, 먼지가 날리지 않게 되고, 습기에 강함은 물론, 발포지관의 두께에 비하여 매우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5발포지관층(2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지관(2000)의 직경이 크게 되면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4,5,6필름(2110,2210,2310) 또한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강도가 높은 필름이고, 두께는 0.08 ~ 0.12 mm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0.1 mm이다.
따라서 고강도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4,5,6필름(2110,2210,2310)이 적층되어 권선되면서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발포폼(2120,2130,2220,2230,2320,2330)은 상,하부발포폼을 성형하기 위한 폴리에틸렌(PE) 원료 수지의 체적에서 발포후의 상,하부발포폼의 체적이 20 ~ 35 배 크게 발포된 것이고, 두께는 2 ~ 5 mm 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지관의 직경이 300mm 일때 두께를 직경 3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발포폼(2120,2130,2220,2230,2320,2330)은 20 ~ 35 배로 발포하고 두께를 2 ~ 5 mm 로 제조하여 적정한 강도와 탄성을 갖게 된다. 즉, 20배 이하로 발포하게 되면 강도가 높고, 35배 이상으로 발포하면 강도가 낮게 되며, 두께를 2mm 이하로 하게 되면 탄성이 너무 낮고 강도가 높으며, 5mm 이상으로 하게 되면 탄성이 너무 높으면서 강도가 너무 낮게 된다.
또 상기 제1필름 내지 제6 필름은 각각의 물성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상,하부발포폼도 각각의 물성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할 수 있고,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포지관(1000,2000)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상술한 각각의 제1필름(1110) 내지 제6 필름(2310)을 제조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필름을 토출하는 단계(S1)와, 토출되는 제1필름(1110) 내지 제6 필름(2310)의 상,하부면 또는 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발포폼 원단을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S2)와, 상기 제1필름(1110) 내지 제6 필름(2310)에 발포폼 원단이 부착된 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재단단계(S3)와, 일정길이의 폭으로 재단된 발포필름을 두루마기 형태로 감는 발포필름권선단계(S4)와, 도시되지 않은 발포지관 성형기에서 제1,4필름(1110,2110)의 상,하부면에 발포폼(1120,1130,2120,2130)이 부착된 첫번째 발포필름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첫번째 발포지관층인 제1,4발포지관층(1100,2100)을 성형하는 단계(S5)와, 발포지관 성형기에서 첫번째 발포지관층이 성형되면 제2,5필름(1210,2210)의 상,하부면에 발포폼(1220,1230,2220,2230)이 부착된 두번째 발포필름을 나선형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첫번째 발포필름과 두번째 발포필름의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접착하도록 된 두번째 발포지관층인 제2,5발포지관층(1200,2200)을 성형하는 단계(S6)와, 발포지관 성형기에서 두번째 발포지관층이 성형되면 제3,6필름(1310,2310)의 하부면 또는 상,하부면에 발포폼(1330,2320,2330)이 부착된 세번째 발포필름을 나선형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두번째 발포필름과 세번째 발포필름의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접착하도록 된 세번째 발포지관층인 제3,6발포지관층(1300,2300)을 성형하는 단계(S7)와, 상기 제1,2,3발포지관층(1100,1200,1300) 또는 제4,5,6발포지관층(2100,2200,2300)과 같이 복수개의 발포지관층이 형성된 발포지관(1000,200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S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첫번째 발포지관층에서 부터 세번째 발포지관층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제1,2,3발포지관층(1100,1200,1300) 또는 제4,5,6발포지관층(2100,2200,2300)을 별도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또 첫번째 발포지관층 내지 세번째 발포지관층인 상기 제1,2,3발포지관층(1100,1200,1300)의 상,하부발포폼(1120,1130,1220,1230,1320)과 제4,5,6발포지관층(2100,2200,2300)의 상,하부발포폼(2120,2130,2220,2230,2320,2330)들간에 열풍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첫번째 발포지관층 내지 세번째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제1필름 내지 제6필름과 상,하부발포폼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발포지관(1000,2000)을 형성하게 되므로, 먼지가 날리지 않게 되고, 습기에 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발포지관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이나 플라스틱은 밀도가 100%인 반면에 발포필름의 발포폼은 폴리에틸렌(PE)을 20 ~ 35배율로 발포한 것이어서 기존 대비 6 ~ 7배정도의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우수함은 물론, 필름의 상하부면에 부착된 상,하부발포폼에 의해 강도가 유지됨과 더불어, 여러층의 발포지관층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여기서 두번째 발포지관층인 상기 제2,5발포지관층(1200,2200)을 성형하는 단계(S6)가 복수개 반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발포지관(1000,2000)의 직경이 큰 경우에 상기 제2,5발포지관층(1200,2200)을 성형하는 단계(S6)가 반복되어 적정한 강도와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1000,2000 : 발포지관 1100,1200,1300 : 제1,2,3발포지관층
1110,1210,1310 : 제1,2,3필름 1120,1220 : 상부발포폼
1130,1230,1330 : 하부발포폼 2100,2200,2300 : 제4,5,6발포지관층
2110,2210,2310 : 제4,5,6필름 2120,2220,2320 : 상부발포폼
2130,2230,2330 : 하부발포폼

Claims (6)

  1.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과,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과,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필름의 상부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세번째 발포지관층을 포함하는 발포지관.
  2.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일정한 내측 직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된 첫번째 발포지관층과,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된 두번째 발포지관층과,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압출되는 필름의 상,하부면에 일정한 두께의 상,하부발포폼이 공급되어 부착된 후 원하는 폭으로 재단되어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과 열풍으로 접합되는 한편, 상부발포폼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된 제3발포지관층을 포함하는 발포지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이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지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것이고, 두께는 0.08 ~ 0.12 mm이며,
    상기 상,하부발포폼은 상,하부발포폼을 성형하기 위한 원료 수지의 체적에서 발포후의 상,하부발포폼의 체적이 20 ~ 35 배 크게 발포된 것이고, 두께는 2 ~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지관.
  5. 압출기의 티다이에서 필름을 토출하는 단계와,
    일정한 두께로 발포되어 권선된 상,하부발포폼 원단을 필름의 상,하부면 또는 하부면에 공급하여 부착하도록 된 발포폼부착단계와,
    필름에 상,하부발포폼 원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재단단계와,
    재단된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의 부착된 상태의 발포필름을 권선하도록 된 권선단계와,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첫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상기 첫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필름과 상,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두번째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두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의 상부발포폼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필름과 하부발포폼으로 이루어진 세번재 발포지관층을 구성하는 발포필름을 지관성형기에서 나선형으로 감는 세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와,
    세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를 지난후 일정길이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지관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발포지관층성형단계가 2회 이상 반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지관 제조방법.
KR1020160163185A 2016-12-02 2016-12-02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85A KR101742200B1 (ko) 2016-12-02 2016-12-02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7/013887 WO2018101759A1 (ko) 2016-12-02 2017-11-30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85A KR101742200B1 (ko) 2016-12-02 2016-12-02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00B1 true KR101742200B1 (ko) 2017-05-31

Family

ID=5905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85A KR101742200B1 (ko) 2016-12-02 2016-12-02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2200B1 (ko)
WO (1) WO201810175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062U (ja) 2002-09-26 2003-04-18 エヌケー工業株式会社 包装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巻取り用紙管
KR200416880Y1 (ko) 2005-12-29 2006-05-23 이병호 완충부재가 구비된 코어
JP2011218557A (ja) 2010-04-02 2011-11-04 Tanaka Shikan Kk 二重紙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4780B1 (ko) 2015-01-29 2015-08-17 주식회사에프텐 지분방지를 위한 필름층이 형성된 지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45U (ko) * 2008-01-31 2009-08-05 광 위 호 두루마리용 먼지 없는 종이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062U (ja) 2002-09-26 2003-04-18 エヌケー工業株式会社 包装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巻取り用紙管
KR200416880Y1 (ko) 2005-12-29 2006-05-23 이병호 완충부재가 구비된 코어
JP2011218557A (ja) 2010-04-02 2011-11-04 Tanaka Shikan Kk 二重紙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4780B1 (ko) 2015-01-29 2015-08-17 주식회사에프텐 지분방지를 위한 필름층이 형성된 지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759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525B1 (ko)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EP1491327B1 (en) Hollow struc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WO2005077641A3 (en) Fiber-reinforced film processes and films
CN104520366B (zh) 挤出的聚乙烯基树脂泡沫片材和用于玻璃板的夹层衬片
US9725269B2 (en) Sheet winding structure
KR102310573B1 (ko)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장치
US20060216535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oriented plastic film
KR101742200B1 (ko) 발포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JP4992675B2 (ja) プラスチック中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441577B1 (en) In-mold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6043190A1 (ja) 網状不織布
JP4689213B2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US3758371A (en) Plastic net laminate material
US20150030814A1 (en) Vehicle interior member
US20140087135A1 (en) In-mold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310570B1 (ko) 다층 구조의 pe 포대 제작용 필름 제조방법
JP2006035832A (ja) 帯電防止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
JP2000335644A (ja) 製品梱包用緩衝材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法
KR101490448B1 (ko) 발포시트로 이루어지는 폼 코어형 방충재 및 그 제조방법
JPH1026291A (ja) 断熱保温チューブ
JP2003002340A (ja) 包装用袋とその製造方法
JP2012006335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4227217A (ja) シートパレット
JP2004300232A (ja) 粘着テープ用巻芯および該巻芯を使用した粘着テープ巻回体
US20030227104A1 (en) Core for win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