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62B1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62B1
KR102308462B1 KR1020200035837A KR20200035837A KR102308462B1 KR 102308462 B1 KR102308462 B1 KR 102308462B1 KR 1020200035837 A KR1020200035837 A KR 1020200035837A KR 20200035837 A KR20200035837 A KR 20200035837A KR 102308462 B1 KR102308462 B1 KR 10230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lder
lead wire
coil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260A (ko
Inventor
타케시 오코치
유스케 기노시타
준야 야노
슘페이 야마카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11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각 커넥터는, 버스 바를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에 일체화되어 있다. 홀더의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회로 기판의 제1 삽입 구멍 및 제2 삽입 구멍에 각각 삽입된다. 이에 따라, 홀더와 회로 기판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홀더에는, 홀더로부터의 버스 바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 및,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 {MOTOR-DRIVEN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갖는 모터 제어 장치와, 모터 제어 장치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40538호에 개시된 전동 압축기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 바를 갖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인버터 수용실 내에 배치된 상태로, 나사 부재 등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커넥터에는, 하우징에 고정된 단자 핀이 삽발(揷拔)된다. 단자 핀은, 커넥터와 전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회로 기판으로부터는, 커넥터 및 단자 핀을 통하여 전동 모터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동 모터가 구동한다.
또한, 전동 압축기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품 리드선을 갖는 복수의 전자 부품과, 복수의 전자 부품을 보유지지(保持)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전자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이나 콘덴서 등의 필터 소자나, 스위칭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홀더는, 인버터 수용실 내에 배치된 상태로, 나사 부재 등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홀더에 의해, 전자 부품의 내진성(耐震性)이 향상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40538호에 개시된 구성은, 커넥터와, 홀더에 수용된 전자 부품을 베이스 부재에 고정한 상태로, 회로 기판에 버스 바 및 부품 리드선을 동시에 삽입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장착성이 좋지 않다. 그 한편으로, 장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커넥터나 홀더에 수용된 전자 부품을 회로 기판에 미리 실장한 상태로, 단자 핀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단자 핀으로부터 커넥터에 가해지는 하중이 버스 바에 작용하여, 납땜 등에 의한 기판과의 접속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각 전자 부품의 부품 리드선이 회로 기판에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이 홀더에 대하여 이동하면, 부품 리드선이 절곡될 우려도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405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와의 접속 부위의 파손 및, 각 전자 부품의 부품 리드선의 절곡을 억제하면서, 장착성이 향상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의하면, 전동 압축기가 제공된다.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갖는 모터 제어 장치와, 상기 모터 제어 장치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을 갖는 하우징과, 접속 단자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 단자에 대하여 삽발됨과 함께,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핀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보유지지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버스 바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홀더에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외주연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둘레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동 압축기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전동 압축기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동 압축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홀더의 사시도,
도 5는, 홀더를 기판 재치면(載置面)과 반대측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홀더를 기판 재치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회로 기판이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회로 기판이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도 9는, 홀더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전동 압축기를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는, 예를 들면, 차량 공조 장치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10)는, 토출 하우징(12)과 모터 하우징(13)과 인버터 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하우징(12) 및 모터 하우징(13)은 모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다. 모터 하우징(13)은 토출 하우징(12)에 연결되고, 인버터 케이스(14)는 모터 하우징(13)에 연결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12), 모터 하우징(13) 및, 인버터 케이스(14)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모터 하우징(13)은, 저벽(13a)과, 저벽(13a)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재(延在)하는 둘레벽(13b)을 갖고 있다. 둘레벽(13b)은, 통 형상이다.
모터 하우징(13) 내에는, 회전축(15)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3) 내에는, 압축부(16)와, 회전축(15)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17)가 수용되어 있다. 압축부(16)는,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유체로서의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부(16) 및 전동 모터(17)는, 회전축(15)의 회전축선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동 모터(17)는, 압축부(16)와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3) 내에 있어서의 압축부(16)와 저벽(13a)의 사이에는, 전동 모터(17)를 수용하는 모터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부(16)는, 예를 들면, 모터 하우징(13) 내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는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에 대향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가동 스크롤로 구성되는 스크롤식 압축기이다.
전동 모터(17)는, 통 형상의 스테이터(19)와, 스테이터(19)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20)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20)는, 회전축(15)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테이터(19)는, 로터(20)를 둘러싸고 있다. 로터(20)는, 회전축(15)에 고정 부착된 로터 코어(20a)와, 로터 코어(20a)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갖고 있다. 스테이터(19)는, 통 형상의 스테이터 코어(19a)와, 스테이터 코어(19a)에 권회된 모터 코일(21)을 갖고 있다.
둘레벽(13b)에는, 흡입구(13h)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h)에는, 외부 냉매 회로(22)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12)에는, 토출구(12h)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2h)에는, 외부 냉매 회로(22)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13h)는, 둘레벽(13b)에 있어서의 저벽(13a)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h)는, 모터실(18)에 연통(communication)하고 있다.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22)로부터 흡입구(13h)를 통하여 모터실(18) 내에 흡입된다. 그러면, 냉매는, 압축부(16)에서 압축되고 나서, 토출구(12h)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22)로 유출된다. 그리고,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22)의 열 교환기나 팽창 밸브를 거쳐, 흡입구(13h)를 통하여 모터실(18) 내로 환류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3)은, 외부로부터 모터실(18) 내에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3h)를 갖고 있다. 전동 압축기(10) 및 외부 냉매 회로(22)는, 차량 공조 장치(23)를 구성하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14)는,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 부착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14) 내에는, 모터 제어 장치(30)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1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은, 인버터 수용실(14a)을 갖고 있다. 압축부(16), 전동 모터(17) 및 모터 제어 장치(30)는, 이 순서로, 회전축(15)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케이스(14)는, 케이스 본체(24)와, 케이스 본체(24)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5)를 갖고 있다. 케이스 본체(24) 및 덮개 부재(25)는 모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다. 케이스 본체(24)는, 원판 형상의 케이스 저벽(24a)과, 케이스 저벽(24a)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재하는 케이스 둘레벽(24b)을 갖고 있다. 덮개 부재(25)는, 원판 형상의 덮개 저벽(25a)과, 덮개 저벽(25a)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재하는 덮개 둘레벽(25b)을 갖고 있다. 케이스 둘레벽(24b) 및 덮개 둘레벽(25b)은 모두, 원통 형상이다.
케이스 둘레벽(24b)의 내경은, 덮개 둘레벽(25b)의 내경과 동일하다. 케이스 둘레벽(24b)의 외경은, 덮개 둘레벽(25b)의 외경과 동일하다. 케이스 본체(24)는, 케이스 둘레벽(24b)의 개구 단면과 덮개 둘레벽(25b)의 개구 단면을 맞댐 상태로, 덮개 부재(25)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수용실(14a)은, 케이스 본체(24) 및 덮개 부재(2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14)는, 케이스 저벽(24a)의 외면을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의 외면에 맞닿게 한 상태로,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4)의 네 모퉁이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24h)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는,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4h)에 연통하는 암나사 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저벽(25a)의 내면의 네 모퉁이에는, 통부(筒部; 25f)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4개의 통부(25f)는, 케이스 둘레벽(24b)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두기로, 90도 간격 두기로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저벽(25a)의 네 모퉁이에는, 각 통부(25f)의 내측에 연통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25h)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5h)은, 덮개 저벽(25a)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는, 저벽(13a)을 관통하는 구멍(1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4)의 케이스 저벽(24a)에는, 케이스 저벽(24a)을 관통하는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양 구멍(13d, 24c)은 서로 연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4)의 케이스 저벽(24a)에는, 단자 핀(26)이 부착되어 있다. 단자 핀(26)은, 3개의 도전 부재(27)와, 지지판(28)을 갖고 있다. 각 도전 부재(27)는, 원기둥 형상이다. 지지판(28)은, 구멍(24c)을 폐색한 상태로, 케이스 저벽(24a)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도전 부재(27)는, 양 구멍(13d, 24c)을 관통한 상태로, 지지판(28)과 함께 케이스 저벽(24a)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도전 부재(27)의 제1 단부는, 모터실(18) 내로 돌출되어 있다. 각 도전 부재(27)의 제2 단부는, 인버터 수용실(14a) 내로 돌출되어 있다. 모터실(18) 내에는, 클러스터 블록(29)이 배치되어 있다. 모터 코일(21)로부터는, 3개의 모터 배선(21a)이 인출되어 있다. 3개의 도전 부재(27)는, 클러스터 블록(29)을 통하여 3개의 모터 배선(21a)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장치(30)는, 전동 모터(17)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31)을 갖고 있다. 회로 기판(31)은, 인버터 수용실(14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수용실(14a) 내에는, 홀더(40)가 수용되어 있다. 홀더(40)는, 3개의 커넥터(51)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51)는, 회로 기판(31)에 일단부가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 바(51a)와, 각 도전 부재(27)의 제2 단부가 삽발되는 사각 통 형상의 접속 단자(51b)를 갖고 있다. 각 버스 바(51a)의 타단부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각 접속 단자(51b)에 일체화되어 있다. 즉, 버스 바(51a)는, 회로 기판(31)과 접속 단자(51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51b)에는, 각 도전 부재(27)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각 도전 부재(27)와 각 커넥터(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51)는, 각 도전 부재(27), 클러스터 블록(29) 및 각 모터 배선(21a)을 통하여, 전동 모터(1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단자 핀(26)은, 각 커넥터(51)에 대하여 삽발됨과 함께 각 커넥터(51)와 전동 모터(1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케이스(14)는, 고전압용 커넥터(25c) 및 저전압용 커넥터(25d)를 갖고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25c) 및 저전압용 커넥터(25d)는, 덮개 부재(25)의 덮개 저벽(25a)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25c)에는, 고전압 전원(32)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저전압용 커넥터(25d)에는, 저전압 전원(33)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고전압 전원(32)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나 니켈 수소 2차 전지 등의 고전압 배터리이다. 저전압 전원(33)은, 차량에 탑재됨과 함께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예를 들면 400V)보다도 낮은 전압(예를 들면 12V)인 납축전지 등의 저전압 배터리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코일(21)은, u상(相) 코일(21u), v상 코일(21v) 및, w상 코일(21w)을 갖는 3상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u상 코일(21u), v상 코일(21v) 및 w상 코일(21w)의 접속 태양은, Y결선(結線)이다.
모터 제어 장치(3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를 갖고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는, 전동 모터(17)를 구동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을 행한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는, IGBT(파워 스위칭 소자)이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에는, 다이오드(Du1, Du2, Dv1, Dv2, Dw1, Dw2)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u1, Du2, Dv1, Dv2, Dw1, Dw2)는,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에 대하여 병렬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Qu1, Qv1, Qw1)는, 각 상의 상(上)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각 스위칭 소자(Qu2, Qv2, Qw2)는, 각 상의 하(下)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Qu1)는, 스위칭 소자(Qu2)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v1)는, 스위칭 소자(Qv2)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w1)는, 스위칭 소자(Qw2)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의 게이트는, 제어 컴퓨터(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34)는, 저전압 전원(33)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동작한다.
각 스위칭 소자(Qu1, Qv1, Qw1)의 컬렉터는, 제1 접속 라인(EL1)을 통하여 고전압 전원(32)의 정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Qu2, Qv2, Qw2)의 이미터는, 제2 접속 라인(EL2)을 통하여 고전압 전원(32)의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u1)의 이미터 및 스위칭 소자(Qu2)의 컬렉터는, 그들을 직렬로 접속하는 배선의 중간점으로부터, u상 코일(21u)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v1)의 이미터 및 스위칭 소자(Qv2)의 컬렉터는, 그들을 직렬로 접속하는 배선의 중간점으로부터, v상 코일(21v)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w1)의 이미터 및 스위칭 소자(Qw2)의 컬렉터는, 그들을 직렬로 접속하는 배선의 중간점으로부터, w상 코일(21w)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34)는, 전동 모터(17)의 구동 전압을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컴퓨터(34)는, 반송파 신호라고 불리우는 고주파의 삼각파 신호와, 전압을 지시하기 위한 전압 지령 신호에 의해 PWM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컴퓨터(34)는, 생성한 PWM 신호를 이용하여,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의 스위칭 동작의 제어(온 오프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고전압 전원(32)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교류 전압이 구동 전압으로서 전동 모터(17)에 인가됨으로써, 전동 모터(17)의 구동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 컴퓨터(34)는, PWM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의 스위칭 동작의 듀티비(duty ratio)를 가변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동 모터(17)의 회전수가 제어된다. 제어 컴퓨터(34)는, 공조 ECU(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34)는, 공조 ECU(35)로부터, 전동 모터(17)의 목표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컴퓨터(34)는, 그의 목표 회전수로 전동 모터(17)를 회전시킨다.
전동 압축기(10)는, 콘덴서(36) 및 코일(37)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36)는,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의 입력측에 형성됨과 함께 고전압 전원(32)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36)는,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 및, 평활 콘덴서(36c)를 포함한다.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의 제1 단부는, 제1 접속 라인(E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의 제2 단부는,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의 제1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는,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의 제2 단부는, 제2 접속 라인(E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의 제2 단부와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의 제1 단부를 접속하는 배선의 중간점은, 예를 들면, 차량의 보디에 접지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36c)의 제1 단부는, 제1 접속 라인(E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36c)의 제2 단부는, 제2 접속 라인(E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 및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는, 평활 콘덴서(36c)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36c)는,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 및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와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37)은, 커먼 모드 초크 코일이다. 코일(37)은, 제1 접속 라인(EL1) 상에 형성되는 제1 권선(371)과, 제2 접속 라인(EL2) 상에 형성되는 제2 권선(372)을 갖고 있다. 또한, 코일(37)은, 제1 권선(371) 및 제2 권선(372)과는 별도로, 가상 노멀 모드 코일(L1, L2)을 갖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코일(37)은, 등가 회로적으로는, 제1 권선(371), 제2 권선(372) 및, 가상 노멀 모드 코일(L1, L2)을 갖고 있다. 제1 권선(371)은, 가상 노멀 모드 코일(L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권선(372)은, 가상 노멀 모드 코일(L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37),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 및, 평활 콘덴서(36c)는,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저감한다. 커먼 모드 노이즈란, 제1 접속 라인(EL1) 및 제2 접속 라인(EL2)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노이즈이다. 커먼 모드 노이즈는, 전동 압축기(10)와 고전압 전원(32)이, 예를 들면, 차량의 보디 등, 제1 접속 라인(EL1) 및 제2 접속 라인(EL2) 이외의 경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37), 제1 바이패스 콘덴서(36a), 제2 바이패스 콘덴서(36b) 및, 평활 콘덴서(36c)는, LC 필터(38)를 구성한다. 따라서, 코일(37)은, 콘덴서(36)와 함께 LC 필터(38)를 구성한다. 따라서, 콘덴서(36) 및 코일(37)은, LC 필터(38)를 구성하는 필터 소자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40)는, 콘덴서(36) 및 코일(37)을 보유지지하고 있다. 또한, 홀더(40)는,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를 모듈화한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을 보유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콘덴서(36), 코일(37) 및,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는, 홀더(40)에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부품은, 필터 소자 및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를 포함한다.
홀더(40)는, 코일(37)을 보유지지하는 코일 보유지지부(41)와, 콘덴서(36)를 보유지지하는 콘덴서 보유지지부(42)와,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을 보유지지하는 소자 보유지지부(43)를 갖고 있다. 홀더(40)는, 수지제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보유지지부(41)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다.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원판 형상의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과,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외주부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을 갖는다. 코일(37)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이다. 코일(37)은, 코일 보유지지부(41) 내에 수용 및 보유지지되어 있다. 코일(37)이 코일 보유지지부(41)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코일(37)과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에는, 복수의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에는, 코일(37)로부터 인출된 코일 리드선(37a)이 각각 삽입 통과되어 있다. 복수의 코일 리드선(37a)은, 코일 보유지지부(41) 내로부터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을 통과함으로써,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외면(41e)으로부터 코일 보유지지부(4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콘덴서 보유지지부(42)는, 재치벽(42a)과, 재치벽(42a)의 외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을 갖고 있다. 재치벽(42a)은, 평면에서 볼 때, 긴 사각 판 형상이다. 재치벽(42a)에는, 콘덴서(36)가 올려 놓여져 있다. 콘덴서(36)는, 전체적으로 사각 블록 형상이다.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은, 박판 사각 평판 형상이다.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은, 재치벽(42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42b)은, 재치벽(42a)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長)측연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42b)은, 서로 대향하고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연결벽(42c)은, 재치벽(42a)의 한 쌍의 장측연을 연결하는 단(短)측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연결벽(42c)은, 한 쌍의 지지벽(42b)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재치벽(42a)으로부터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의 입설(立設) 방향은,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으로부터의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의 입설 방향과 동일하다.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에 있어서의 재치벽(42a)과 반대측의 단연(端緣)은,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에 있어서의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과 반대측의 단연과 함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콘덴서(36)는,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콘덴서 보유지지부(42)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콘덴서(36)가 콘덴서 보유지지부(42)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콘덴서(36)와 재치벽(42a)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은, 콘덴서(36)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재치벽(42a)에는, 복수의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에는, 콘덴서(36)로부터 돌출된 콘덴서 리드선(36d)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콘덴서 리드선(36d)은,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을 통과함으로써, 재치벽(42a)의 외면(42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소자 보유지지부(43)는, 평면에서 볼 때 긴 사각 판 형상이다. 소자 보유지지부(43)는,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이 탑재되는 탑재면(43a)을 갖고 있다. 또한, 소자 보유지지부(43)는, 한 쌍의 장측연(43b)과, 한 쌍의 단측연(43c)을 갖고 있다.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과 탑재면(43a)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은, 도시하지 않는 나사 부재에 의해 탑재면(43a)에 부착되어 있다.
소자 보유지지부(43)에는, 복수의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에는,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로부터 돌출된 소자 리드선(39a)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소자 리드선(39a)은,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을 통과함으로써, 소자 보유지지부(43)에 있어서의 탑재면(43a)과 반대측의 외면(43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홀더(40)는, 각 커넥터(51)를 보유지지하는 커넥터 보유지지부(44)를 갖고 있다.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편평 사각 블록 형상이다.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1면(44a) 및 제2면(44b)을 갖고 있다. 제1면(44a) 및 제2면(44b)은,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1면(44a)과 제2면(44b)을 연결하는 둘레벽(44c)을 갖고 있다. 커넥터 보유지지부(44)에는, 3개의 커넥터 구멍(44h)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구멍(44h)은, 평면에서 볼 때, 긴 사각 형상이다. 각 커넥터 구멍(44h)은, 커넥터 보유지지부(44)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커넥터(51)의 접속 단자(51b)는, 각 커넥터 구멍(44h)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51b)의 축선 방향은, 각 커넥터 구멍(44h)의 축심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각 커넥터(51)의 버스 바(51a)의 기단부는, 커넥터 보유지지부(44)에 매설되어 있다. 버스 바(51a)는,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내부에서 제1면(44a)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버스 바(51a)의 선단부는, 제2면(44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커넥터(51)는, 각 버스 바(51a)의 선단부를 회로 기판(31)을 향하여 홀더(40)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40)에 일체화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 복수의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 및 복수의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홀더(40)로부터의 각 버스 바(51a)의 돌출 방향과 동일하다.
소자 보유지지부(43)의 한 쌍의 장측연(43b)의 한쪽은, 부분적으로,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둘레벽(44c)의 일부분에 연속하고 있다. 소자 보유지지부(43)의 한 쌍의 장측연(43b)의 다른 한쪽은, 부분적으로, 콘덴서 보유지지부(42)의 한 쌍의 지지벽(42b)의 한쪽의 일부분에 연속하고 있다.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1 들보부(梁部; 45a)를 통하여, 콘덴서 보유지지부(42)의 한 쌍의 지지벽(42b)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2 들보부(45b)를 통하여, 소자 보유지지부(43)의 한 쌍의 단측연(43c)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3 들보부(45c)를 통하여,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둘레벽(44c)에 연결되어 있다.
홀더(40)는, 회로 기판(31)이 올려 놓여지는 기판 재치면(46a)을 갖는 기판 재치부(46)와, 기판 재치면(46a)의 외주부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둘레벽부로서의 홀더 둘레벽(47)을 갖고 있다. 기판 재치부(46)는, 홀더 둘레벽(47)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코일 보유지지부(41), 콘덴서 보유지지부(42), 소자 보유지지부(43) 및, 커넥터 보유지지부(44)를 둘러싸는 원환 형상이다. 기판 재치면(46a)은, 평탄면 형상이다.
기판 재치부(46)의 내주면(內周面)은, 기판 재치면(46a)의 내주연(內周緣)에 연속하고 있다.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은, 기판 재치면(46a)의 외주연에 연속하고 있다. 기판 재치부(46)의 축심 방향은, 홀더 둘레벽(47)의 축심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기판 재치면(46a)의 외주부로부터의 홀더 둘레벽(47)의 입설 방향은,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으로부터의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 입설 방향이나, 재치벽(42a)으로부터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의 입설 방향과는 반대이다.
홀더(40)는, 원통 형상의 4개의 보스부(48)를 갖고 있다. 각 보스부(48)는, 기판 재치부(46)의 내주면으로부터 팽출(膨出)되어 있다. 4개의 보스부(48)는, 기판 재치부(46)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두기로, 90도 간격 두기로 배치되어 있다. 각 보스부(48)의 단면(48e)은, 홀더 둘레벽(47)의 단연(47e)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기판 재치부(46)는, 제1 재치부(461), 제2 재치부(462), 제3 재치부(463) 및, 제4 재치부(464)를 갖고 있다. 제1 재치부(461), 제2 재치부(462), 제3 재치부(463) 및, 제4 재치부(464)는, 기판 재치부(46)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보스부(48)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코일 보유지지부(41), 콘덴서 보유지지부(42), 소자 보유지지부(43) 및 커넥터 보유지지부(44) 중, 제1 재치부(461)는, 코일 보유지지부(41)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재치부(462)는, 콘덴서 보유지지부(42)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재치부(463)는, 소자 보유지지부(43)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4 재치부(464)는, 커넥터 보유지지부(44)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1 재치부(461)의 내면에 대하여 2개의 제4 들보부(45d)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1 재치부(461)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한쪽(제1 보스부(481))에 대하여, 제5 들보부(45e)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제4 들보부(45d) 중, 제1 재치부(461)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다른 한쪽(제2 보스부(482))에 가까운 제4 들보부(45d)는, 제6 들보부(45f)를 통하여 제2 보스부(48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보유지지부(41)는, 제2 보스부(482)에 대하여, 제4 들보부(45d) 및 제6 들보부(45f)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콘덴서 보유지지부(42)는, 제2 재치부(462)의 내면에 대하여 2개의 제7 들보부(45g)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 보유지지부(42)는, 제2 재치부(462)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한쪽(제2 보스부(482))에 대하여, 제8 들보부(45h)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제6 들보부(45f) 및 제8 들보부(45h)는, 동일한 보스부(48)(제2 보스부(48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 보유지지부(42)는, 제2 재치부(462)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다른 한쪽(제3 보스부(483))에 대하여, 제9 들보부(45k)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소자 보유지지부(43)는, 제3 재치부(463)의 내면에 대하여 2개의 제10 들보부(45m)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소자 보유지지부(43)는, 제3 재치부(463)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한쪽(제3 보스부(483))에 대하여, 제11 들보부(45n)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9 들보부(45k) 및 제11 들보부(45n)는, 동일한 보스부(48)(제3 보스부(48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 보유지지부(42)는, 제3 재치부(463)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다른 한쪽(제4 보스부(484))에 대하여, 제12 들보부(45p)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내면에 대하여 2개의 제13 들보부(45q)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한쪽(제4 보스부(484))에 대하여, 제14 들보부(45r)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2 들보부(45p) 및 제14 들보부(45r)는, 동일한 보스부(48)(제4 보스부(48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다른 한쪽(제1 보스부(481))에 대하여, 제15 들보부(45s)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5 들보부(45e) 및 제15 들보부(45s)는, 동일한 보스부(48)(제1 보스부(48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재치부(461)의 제2 보스부(482) 부근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49a)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4 재치부(464)의 제4 보스부(484) 부근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2 돌기(49b)가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는, 기판 재치부(46)의 둘레 방향으로 약 180도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으로부터, 팽출부(49f)가 돌출되어 있다. 팽출부(49f)의 외주면은, 반원호 형상이다. 팽출부(49f)는, 제1 재치부(46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1)은, 원판 형상이다. 회로 기판(31)의 외경은, 홀더 둘레벽(47)의 내경보다도 근소하게 작다. 회로 기판(31)에는, 복수의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및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및,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는, 코일 리드선(37a), 콘덴서 리드선(36d) 및 소자 리드선(39a)이 각각 삽입된다. 또한, 회로 기판(31)에는, 버스 바(51a)가 삽입되는 복수의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 및 각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은, 회로 기판(31)을 두께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다.
각 코일 리드선(37a)은,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37)이, 각 코일 리드선(37a)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각 콘덴서 리드선(36d)은,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덴서(36)가,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각 소자 리드선(39a)은,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이, 각 소자 리드선(39a)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각 버스 바(51a)는, 각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51)가,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콘덴서(36)는,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갖는 전자 부품이다. 또한, 코일(37)은,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에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코일 리드선(37a)을 갖는 전자 부품이다. 또한, 각 스위칭 소자(Qu1, Qu2, Qv1, Qv2, Qw1, Qw2)는,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소자 리드선(39a)을 갖는 전자 부품이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36d), 각 코일 리드선(37a)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은,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의 부품 리드선이다.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은,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에는, 각 보스부(48)의 외주면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4개의 연재(延在) 테두리(31f)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재 테두리(31f)는,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재 테두리(31f)는 원호 형상이다. 4개의 연재 테두리(31f)는, 회로 기판(3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두기로, 90도 간격 두기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1)에는, 제1 돌기(49a)가 삽입되는 원구멍 형상의 제1 삽입 구멍(31g)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 구멍(31g)은, 회로 기판(3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 삽입 구멍(31g)의 구멍 지름은, 제1 돌기(49a)의 외경보다도 근소하게 크다. 회로 기판(31)에는, 제2 돌기(49b)가 삽입되는 원구멍 형상의 제2 삽입 구멍(31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 구멍(31h)은, 회로 기판(3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2 삽입 구멍(31h)의 구멍 지름은, 제2 돌기(49b)의 외경보다도 근소하게 크다.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에는, 팽출부(49f)와 걸림 고정 가능한 오목부(31k)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k)는, 팽출부(49f)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1)은, 홀더(40)의 기판 재치면(46a)에 올려 놓여져 있다. 홀더 둘레벽(47)은,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의 내경은,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삽입되는 재치벽(42a)의 면으로부터 재치벽(42a)의 외면(42e)을 향함에 따라 축소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에 있어서의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과 반대측의 단연 및,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에 있어서의 재치벽(42a)과 반대측의 단연은, 케이스 저벽(24a)의 내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각 통부(25f)는, 각 보스부(48)의 단면(48e)에 맞닿아 있다. 각 통부(25f)의 내측은, 각 보스부(48)의 내측과 연통하고 있다.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5h), 각 통부(25f)의 내측, 각 보스부(48)의 내측,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4h)의 순서로 삽입 통과된 나사 부재(52)가 각 암나사 구멍(13c)에 나사 조임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24)의 개구가 덮개 부재(25)로 폐색된 상태로, 인버터 케이스(14)가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에 있어서의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과 반대측의 단연 및,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에 있어서의 재치벽(42a)과 반대측의 단연이, 케이스 저벽(24a)의 내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각 통부(25f)가 각 보스부(48)의 단면(48e)에 맞닿음과 함께 케이스 본체(24)의 개구 단면에 있어서의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4h)의 주위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홀더(40)는, 각 나사 부재(52)의 축력에 의해, 케이스 본체(24)와 덮개 부재(25)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인버터 케이스(14)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40)는, 인버터 수용실(14a) 내에 배치된 상태로 인버터 케이스(14)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나사 부재(52)는, 홀더(40)를 인버터 케이스(14)에 부착하기 위해 각 보스부(48)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로 기판(31)은, 오목부(31k)에 팽출부(49f)가 걸림 고정되고, 각 연재 테두리(31f)를 따라 보스부(48)의 외주면이 배치되고, 제1 삽입 구멍(31g)에 제1 돌기(49a)가 삽입됨과 함께 제2 삽입 구멍(31h)에 제2 돌기(49b)가 삽입되도록, 홀더 둘레벽(47)의 내측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31)은, 홀더(40)의 기판 재치면(46a) 상에 올려 놓여진다.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는, 홀더(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이다. 또한,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은, 회로 기판(31)에 복수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 결정용 구멍이다. 따라서, 홀더(40) 및 회로 기판(31)은, 양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부는,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와,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 상태에서는,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과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다. 또한,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과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다. 또한,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과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다. 또한, 각 버스 바(51a)가 각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에 삽입되어 있다.
회로 기판(31)과 반대측으로부터, 각 코일 리드선(37a)이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에 삽입 통과된다.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은, 각 코일 리드선(37a)을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을 향하여 안내한다. 따라서,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은, 홀더(40)로부터의 각 버스 바(51a)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 코일 리드선(37a)을 회로 기판(31)의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을 향하여 안내하는 안내 구멍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있는 상태로, 각 코일 리드선(37a)이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에 의해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을 향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각 코일 리드선(37a)이 회로 기판(31)의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에 삽입되기 쉽다. 그리고, 코일 보유지지부(41)에 의해 코일(37)이 보유지지된다.
또한, 회로 기판(31)과 반대측으로부터,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에 삽입 통과된다.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을 향하여 안내한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홀더(40)로부터의 각 버스 바(51a)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회로 기판(31)의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을 향하여 안내하는 안내 구멍이다.
특히,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테이퍼 형상이고,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의 내경은,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삽입되는 재치벽(42a)의 면으로부터 재치벽(42a)의 외면(42e)을 향함에 따라 축소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을 통하여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안내되기 쉽다.
또한,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있는 상태로,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에 의해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을 향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회로 기판(31)의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삽입되기 쉽다. 그리고, 콘덴서 보유지지부(42)에 의해 콘덴서(36)가 보유지지된다.
또한, 회로 기판(31)과 반대측으로부터, 각 소자 리드선(39a)이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에 삽입 통과된다.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각 소자 리드선(39a)을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을 향하여 안내한다. 따라서,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홀더(40)로부터의 각 버스 바(51a)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 소자 리드선(39a)을 회로 기판(31)의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을 향하여 안내하는 안내 구멍이다.
또한,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있는 상태로, 각 소자 리드선(39a)이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에 의해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을 향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각 소자 리드선(39a)이 회로 기판(31)의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삽입되기 쉽다. 그리고, 소자 보유지지부(43)에 의해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이 보유지지된다.
코일(37)은, 각 코일 리드선(37a)을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에 삽입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코일(37)은, 각 코일 리드선(37a)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된다. 또한, 콘덴서(36)는,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삽입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콘덴서(36)는, 각 콘덴서 리드선(36d)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된다. 또한,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은, 각 소자 리드선(39a)을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삽입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은, 각 소자 리드선(39a)을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실장된다.
또한, 각 커넥터(51)는, 각 버스 바(51a)를 각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에 삽입한 상태로,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51)는, 회로 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홀더(40), 회로 기판(31), 콘덴서(36), 코일(37),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 및 각 커넥터(51)가 일체화된다.
홀더(40)는, 코일 보유지지부 둘레벽(41b)에 있어서의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과 반대측의 단연 및, 한 쌍의 지지벽(42b) 및 연결벽(42c)에 있어서의 재치벽(42a)과 반대측의 단연을 케이스 저벽(24a)의 내면에 접촉시키도록, 케이스 본체(24)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도전 부재(27)는, 각 커넥터(51)의 접속 단자(51b)에 삽입됨으로써, 각 커넥터(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커넥터(51)는, 홀더(40)로부터 버스 바(51a)를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40)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스 바(51a)가 회로 기판(31)에 접속된 상태로, 단자 핀(26)의 각 도전 부재(27)가 접속 단자(51b)에 삽입되었을 때,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이 홀더(40)에 의해 받아내어진다. 따라서,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이 버스 바(51a)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버스 바(51a)와의 접속 부위(예를 들면 납땜 개소)의 파손이 억제된다. 추가로, 홀더(40)에는, 커넥터(51)를 둘러싸면서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홀더 둘레벽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커넥터(51)의 버스 바(51a)가 회로 기판(3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각 커넥터(51)의 접속 단자(51b)에 단자 핀(26)의 각 도전 부재(27)를 삽입할 때에 둘레벽부로서의 홀더 둘레벽(47)을 압압하는 형태로, 홀더(40)에만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이 버스 바(51a)나 회로 기판(31)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버스 바(51a)와의 접속 부위(예를 들면 납땜 개소)의 파손이나 회로 기판(31) 자체의 파손이 억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5)는, 케이스 둘레벽(24b)의 개구 단면과 덮개 둘레벽(25b)의 개구 단면을 맞대도록, 케이스 본체(24)에 장착된다. 이때, 각 통부(25f)가 각 보스부(48)의 단면(48e)에 맞닿음과 함께, 각 통부(25f)의 내측과 각 보스부(48)의 내측이 연통한다. 그리고,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5h), 각 통부(25f)의 내측, 각 보스부(48)의 내측,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24h)의 순서로 삽입 통과된 나사 부재(52)가 각 암나사 구멍(13c)에 나사 조임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24)의 개구가 덮개 부재(25)로 폐색된 상태로, 인버터 케이스(14)가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에 부착된다.
고전압 전원(32)의 커넥터가 고전압용 커넥터(25c)에 접속되면, 고전압 전원(32)으로부터의 전력이, 회로 기판(31), 각 커넥터(51), 각 도전 부재(27), 클러스터 블록(29) 및 각 모터 배선(21a)을 통하여 모터 코일(2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로터(20)가 회전하고, 회전축(15)이 로터(2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각 콘덴서 리드선(36d), 각 코일 리드선(37a)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이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이 홀더(4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36d), 각 코일 리드선(37a)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의 절곡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각 커넥터(51)는, 버스 바(51a)를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40)에 일체화되어 있다.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홀더(40)에는, 홀더(40)로부터의 버스 바(51a)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 및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 및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각 코일 리드선(37a), 각 콘덴서 리드선(36d)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을,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을 향하여 각각 안내한다.
이에 따르면, 각 커넥터(51)가 버스 바(51a)를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40)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을 홀더(40)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이 버스 바(51a)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버스 바(51a)와의 접속 부위(예를 들면 납땜 개소)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이 경우, 홀더(40)에 회로 기판(31)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콘덴서 리드선(36d), 각 코일 리드선(37a)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이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이 홀더(4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각 콘덴서 리드선(36d), 각 코일 리드선(37a)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의 절곡이 억제된다.
또한,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 및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각 코일 리드선(37a), 각 콘덴서 리드선(36d)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을,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을 향하여 각각 안내한다. 따라서, 각 코일 리드선(37a), 각 콘덴서 리드선(36d) 및 각 소자 리드선(39a)이 회로 기판(31)의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 및,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삽입되기 쉽다. 이상의 점에서, 버스 바(51a)나 코일 리드선(37a)이나 콘덴서 리드선(36d)이나 소자 리드선(39a)의 절곡을 억제하면서, 장착성이 향상한다.
(2)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는, 홀더(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이다. 또한,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은, 회로 기판(31)에 복수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 결정용 구멍이다. 따라서, 홀더(40) 및 회로 기판(31)은, 양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가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홀더(40)에 형성되는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 및, 회로 기판(31)에 형성되는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은,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적합하다.
(3) 홀더 둘레벽(47)은,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따라서, 홀더 둘레벽(47)에 의해,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과 인버터 케이스(14)의 내주면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과 인버터 케이스(14)의 내주면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과 인버터 케이스(14)의 내주면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없어, 인버터 케이스(14)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압축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1k)에 팽출부(49f)가 걸림 고정된 상태로, 회로 기판(31)이 홀더 둘레벽(47)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만, 각 버스 바(51a)가 각 커넥터 리드 접속 구멍(31d)에 삽입된다. 또한, 이때,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과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고,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과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고,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과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이 회로 기판(31)의 두께 방향에서 겹쳐진다. 따라서, 회로 기판(31)과 홀더(40)가 잘못된 위치 관계로 장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착성이 향상한다.
(5)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테이퍼 형상이고,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의 내경은,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삽입되는 재치벽(42a)의 면으로부터 재치벽(42a)의 외면(42e)을 향함에 따라 축소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각 콘덴서 리드선(36d)이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을 통하여 각 콘덴서 리드 접속 구멍(31b)에 안내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착성이 더욱 향상한다.
(6)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내면에 대하여 2개의 제13 들보부(45q)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한쪽(제4 보스부(484))에 대하여, 제14 들보부(45r)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보유지지부(44)는, 제4 재치부(464)의 양측에 위치하는 보스부(48)의 다른 한쪽(제1 보스부(481))에 대하여, 제15 들보부(45s)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40)를,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주변의 부분을 두께 없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핀(26)으로부터 각 커넥터(51)에 가해지는 하중을 홀더(40)에 의해 받아내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홀더(40)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홀더(40)에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가 형성되지 않고, 회로 기판(31)에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을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과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은,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는,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과,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 및,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은,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적합하다.
홀더(40)에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가 형성되지 않고, 회로 기판(31)에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가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와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은,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는,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와,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회로 기판(31)의 연재 테두리(31f) 및, 각 연재 테두리(31f)가 접촉 가능한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은,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적합하다.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되는 것에 더하여,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을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는,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을 포함한다.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되는 것에 더하여,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를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는,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돌기(49a)가 제1 삽입 구멍(31g)에 삽입됨과 함께, 제2 돌기(49b)가 제2 삽입 구멍(31h)에 삽입되는 것에 더하여,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을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를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홀더(40)와 회로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는, 제1 돌기(49a) 및 제2 돌기(49b), 제1 삽입 구멍(31g) 및 제2 삽입 구멍(31h),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 홀더 둘레벽(47)의 내주면, 회로 기판(31)의 각 연재 테두리(31f), 각 보스부(48)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31)은, 각 보스부(48)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 관통 구멍의 내주면은, 각 보스부(48)의 외주면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연재 테두리이다.
보스부(48)의 수를 변경해도 좋다. 보스부(48)의 수를 변경하는 경우, 보스부(48)의 수에 맞추어, 회로 기판(31)의 연재 테두리(31f)의 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보스부(48)는, 원통 형상이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면, 사각 통 형상이라도 좋다. 따라서, 보스부(48)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보스부(48)의 형상에 맞추어, 회로 기판(31)에 형성되는 연재 테두리(31f)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코일 보유지지부(41), 콘덴서 보유지지부(42), 소자 보유지지부(43) 및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각 위치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코일 보유지지부(41), 콘덴서 보유지지부(42), 소자 보유지지부(43) 및 커넥터 보유지지부(44)의 각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40)로부터 코일 보유지지부(41)를 생략해도 좋다. 코일(37)을 보유지지하도록 홀더(40)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홀더(40)로부터 콘덴서 보유지지부(42)를 생략해도 좋다. 콘덴서(36)를 보유지지하도록 홀더(40)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홀더(40)로부터 소자 보유지지부(43)를 생략해도 좋다.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을 보유지지하도록 홀더(40)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코일(37)과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좋다.
콘덴서(36)와 재치벽(42a)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좋다.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39)과 탑재면(43a)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좋다.
회로 기판(31)은, 원판 형상이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면, 사각 판 형상이라도 좋다. 따라서, 회로 기판(3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로 기판(31)의 형상에 맞추어, 홀더 둘레벽(47)의 형상을 변경해도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회로 기판(31)이 사각 판 형상인 경우, 홀더 둘레벽(47)은, 사각 통 형상이라도 좋다.
홀더(40)로부터 팽출부(49f)를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회로 기판(31)의 외주연(31e)에 오목부(31k)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은,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즉,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의 내경은, 각 코일 리드선(37a)이 삽입되는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면으로부터 코일 보유지지부 저벽(41a)의 외면(41e)을 향함에 따라 축경(縮徑)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각 코일 리드선(37a)이 각 코일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1c)을 통하여 각 코일 리드 접속 구멍(31a)에 안내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착성이 더욱 향상한다.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은,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즉,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의 내경은, 탑재면(43a)으로부터 소자 보유지지부(43)의 외면(43e)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각 소자 리드선(39a)이 각 소자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3h)을 통하여 각 소자 리드 접속 구멍(31c)에 안내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착성이 더욱 향상한다.
각 콘덴서 리드선 삽입 통과 구멍(42h)은,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코일(37)은, 예를 들면, 노멀 모드 코일이라도 좋다.
전동 압축기(10)는, 콘덴서(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을 전자 부품으로서 구비해도 좋다. 저항은, 예를 들면, 콘덴서(36)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제1 접속 라인(EL1)이나 제2 접속 라인(EL2) 등의 전원 라인이 단선한 경우에, 콘덴서(36)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저항이다. 또한, 저항은, 방전 저항이 아니라, 댐핑 저항이라도 좋다. 요컨대, 전동 압축기(10)는, 콘덴서(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을 전자 부품으로서 구비해도 좋고, 저항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과, 저벽(13a)에 부착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커버 부재에 의해, 인버터 수용실(14a)을 구획해도 좋다. 이 경우, 홀더(40)는, 예를 들면, 모터 하우징(13)의 저벽(13a)과 커버 부재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인버터 케이스(14)에 부착된다.
커넥터(51)는, 버스 바(51a)의 기단부와 접속 단자(51b)를 용접하여 일체화한 구성이 아니라, 버스 바(51a)와 접속 단자(51b)를 미리 일체 형성한 구성이라도 좋다.
전동 압축기(10)에 있어서, 모터 제어 장치(30)는, 하우징(11)에 대하여 회전축(15)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해도 좋다. 요컨대, 압축부(16), 전동 모터(17) 및 모터 제어 장치(30)가, 이 순서로, 회전축(15)의 축선 방향으로 병렬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압축부(16)는, 스크롤식에 한정하지 않고, 피스톤식이나 베인식 등이라도 좋다.
전동 압축기(10)는, 차량 공조 장치(23)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동 압축기(10)는, 연료 전지차에 탑재되어 있고,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유체로서의 공기를 압축부(16)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기라도 좋다.

Claims (5)

  1. 전동 압축기로서,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갖는 모터 제어 장치와,
    상기 모터 제어 장치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을 갖는 하우징과,
    접속 단자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 단자에 대하여 삽발(揷拔)됨과 함께,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핀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보유지지(保持)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수지제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버스 바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홀더에 일체화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외주연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둘레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회로 기판이 올려 놓여지는 기판 재치면(載置面)을 갖고,
    상기 둘레벽부는, 상기 접속 단자에 대하여 상기 단자 핀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판 재치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회로 기판은, 서로의 상대 위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와,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구멍
    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는, 상기 기판 재치면의 외주부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통 형상의 홀더 둘레벽이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홀더 둘레벽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회로 기판의 외주연과,
    상기 회로 기판의 외주연이 접촉 가능한 상기 홀더 둘레벽의 내주면
    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통 형상의 복수의 보스부를 갖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각 보스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회로 기판의 연재(延在) 테두리와,
    상기 각 연재 테두리가 접촉 가능한 상기 각 보스부의 외주면
    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은, 필터 소자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00035837A 2019-03-27 2020-03-24 전동 압축기 KR102308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1272A JP7135967B2 (ja) 2019-03-27 2019-03-27 電動圧縮機
JPJP-P-2019-061272 2019-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260A KR20200115260A (ko) 2020-10-07
KR102308462B1 true KR102308462B1 (ko) 2021-10-01

Family

ID=7260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837A KR102308462B1 (ko) 2019-03-27 2020-03-24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8371B2 (ko)
JP (1) JP7135967B2 (ko)
KR (1) KR102308462B1 (ko)
CN (1) CN111749869B (ko)
DE (1) DE102020108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1554B2 (ja) * 2019-03-29 2022-06-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7093747B2 (ja) * 2019-06-07 2022-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駆動ユニット
JP7306282B2 (ja) * 2020-01-30 2023-07-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20220007449A (ko) * 2020-07-10 2022-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용 버스바 유닛
JP7468433B2 (ja) * 2021-03-30 2024-04-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2156066A (ja) * 2021-03-31 2022-10-14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ポンプ
JP2022174522A (ja) * 2021-05-11 2022-11-2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モータ
JP7488988B2 (ja) 2021-07-27 2024-05-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3093946A (ja) 2021-12-23 2023-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EP4231792A1 (en) * 2022-02-16 2023-08-23 Schneider Toshiba Inverter Europe SAS Apparatus for adapting a power modul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a motor controller
FR3134670A1 (fr) * 2022-04-15 2023-10-20 Nidec Psa Emotors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1209A (ja) * 2013-01-25 2014-09-04 Mitsuba Corp 電動モータ及び電動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551B2 (ja) 2008-11-06 2013-02-06 サンデ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261139B2 (ja) 2008-11-06 2013-08-14 サンデ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412098B2 (ja) * 2008-12-05 2014-0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インバータ装置
JP5522009B2 (ja) * 2010-12-02 2014-06-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827157B2 (ja) * 2012-03-21 2015-12-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端子接続構造
JP6029484B2 (ja) * 2013-02-20 2016-11-24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6153745B2 (ja) * 2013-03-07 2017-06-28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バータ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2015040538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DE112017001684T5 (de) 2016-03-31 2018-12-13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Fahrzeugseitiger elektrischer K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1209A (ja) * 2013-01-25 2014-09-04 Mitsuba Corp 電動モータ及び電動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8371B2 (en) 2023-02-21
JP7135967B2 (ja) 2022-09-13
CN111749869B (zh) 2022-03-22
JP2020159320A (ja) 2020-10-01
DE102020108195A1 (de) 2020-10-01
US20200313504A1 (en) 2020-10-01
CN111749869A (zh) 2020-10-09
KR20200115260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462B1 (ko) 전동 압축기
JP7088111B2 (ja) 電動圧縮機
US11025141B2 (en) On-board electric compressor with a motor and noise reducing unit with inverter device having a damping unit reducing Q value of low pass filter circuit
EP2398136B1 (en) Inverter device and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US20180198350A1 (en) On-board fluid machine
CN113464436B (zh) 电动压缩机
JP2014217223A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CN113187694B (zh) 电动压缩机
CN113517110A (zh) 电动压缩机
CN108463866B (zh) 具备电路零件的耐振固定构造的电路组装体、以及车辆用电动压缩机
JP7172769B2 (ja) 電動圧縮機
KR20220136173A (ko) 전동 압축기
KR102455941B1 (ko) 전동 압축기
JP2022156948A (ja) 電動圧縮機
US20230402905A1 (en)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JP2019173656A (ja) 電動圧縮機
US1199080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21168562A (ja) 電動圧縮機
JP7342758B2 (ja) 車載用電動圧縮機
JP2023122007A (ja) 電動圧縮機
CN117955404A (zh) 电动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