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941B1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941B1
KR102455941B1 KR1020210036741A KR20210036741A KR102455941B1 KR 102455941 B1 KR102455941 B1 KR 102455941B1 KR 1020210036741 A KR1020210036741 A KR 1020210036741A KR 20210036741 A KR20210036741 A KR 20210036741A KR 102455941 B1 KR102455941 B1 KR 10245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clamping
accommoda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499A (ko
Inventor
다케시 오코치
준야 야노
유스케 기노시타
고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1012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3Suppression of common mode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
(해결 수단) 커넥터는, 구리제의 커넥터 본체 (50) 와, 커넥터 본체 (50)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 (60) 를 구비한다. 커넥터 본체 (50) 는, 도전 핀 (27) 이 삽입 발출되는 단자부 (51) 와, 단자부 (51) 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52) 를 갖는다. 커넥터 본체 (50) 는, 일체의 구리판을 굴곡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51) 는, 서로 대향함과 함께 도전 핀 (27) 을 협지하는 1 쌍의 협지부 (53) 를 갖는다. 접속부 (52) 는, 케이스 (60) 의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회로 기판으로 삽입 통과되는 돌출부 (84) 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를 구동시킴과 함께 회로 기판을 갖는 인버터 장치와, 인버터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에 장착됨과 함께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커넥터로는, 금속제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커넥터 본체는, 통상의 금속제의 단자와 금속제의 리드선이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이 단자에 삽입됨과 함께, 리드선의 단부가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커넥터를 통하여 전동 모터와 인버터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40538호
그런데, 최근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종래보다 큰 전력의 사용에 수반하여, 높은 내열성을 갖는 금속 재료를 사용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내열성이 높은 금속 재료는 잘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에서의 용접 작업에 있어서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킴과 함께 회로 기판을 갖는 인버터 장치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실과, 상기 인버터 장치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과, 상기 모터 수용실과 상기 인버터 수용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구획벽을 관통함과 함께 일단이 상기 전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핀과, 상기 인버터 수용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전 핀의 타단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금속제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를 가짐과 함께,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구획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도전 핀의 타단이 삽입 발출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일체의 금속판을 굴곡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서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도전 핀을 협지하는 1 쌍의 협지부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회로 기판으로 삽입 통과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는, 협지부로부터 돌출부까지 연속하는 일체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커넥터 본체를 일체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제조에 있어서 용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1 쌍의 협지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1 쌍의 협지부에 대해 상기 연결부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상기 1 쌍의 협지부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1 쌍의 걸어 맞춤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와 걸어 맞춤부에 의해 1 쌍의 협지부가 도전 핀을 보다 강고하게 협지하여, 도전 핀과 커넥터의 접속이 안정된다.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단자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 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 형성부는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 압축기가 진동하는 환경 하에 있어서는, 전동 압축기의 진동이 발생하여 회로 기판이 이동하려고 하면, 커넥터 본체에 응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에 가해진 응력이 연장 형성부의 굴곡부에 있어서 감쇠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 대한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핀은 표면에 구리층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금속판은 구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전 핀과 협지부가 동일한 구리끼리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로부터 전동 모터에 보다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동 압축기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전동 압축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전동 압축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케이스 본체에 수용된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케이스 덮개체에 수용된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있어서의 6-6 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커넥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커넥터 본체의 전개도이다.
이하, 전동 압축기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9 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 압축기는, 예를 들어,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 (10) 의 하우징 (11) 은, 바닥이 있는 통상의 토출 하우징 (12) 과, 토출 하우징 (12) 에 연결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 (13) 과, 모터 하우징 (13) 에 연결되는 인버터 케이스 (14) 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 하우징 (12), 모터 하우징 (13), 및 인버터 케이스 (14) 는 금속 재료제이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이다. 모터 하우징 (13) 은, 바닥벽 (13a) 과, 바닥벽 (13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는 둘레벽 (13b) 을 가지고 있다.
모터 하우징 (13) 내에는, 회전축 (15) 이 수용되어 있다. 또, 모터 하우징 (13) 내에는, 회전축 (15) 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유체로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16) 와, 회전축 (15) 을 회전시켜 압축부 (16) 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 (17) 가 수용되어 있다. 압축부 (16) 및 전동 모터 (17) 는, 회전축 (15) 의 회전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인 축선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동 모터 (17) 는, 압축부 (16) 보다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 (13) 내에 있어서의 압축부 (16) 와 바닥벽 (13a) 사이에는, 전동 모터 (17) 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실 (18)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11) 은 모터 수용실 (18) 을 가지고 있다.
압축부 (16) 는, 예를 들어, 모터 하우징 (13) 내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에 대향 배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가동 스크롤로 구성되는 스크롤식이다.
전동 모터 (17) 는, 통상의 스테이터 (19) 와, 스테이터 (19) 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20) 를 가지고 있다. 로터 (20) 는, 회전축 (15) 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테이터 (19) 는, 로터 (20) 를 둘러싸고 있다. 로터 (20) 는, 회전축 (15) 에 고정 장착된 로터 코어 (20a) 와, 로터 코어 (20a)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영구 자석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 (19) 는, 통상의 스테이터 코어 (19a) 와, 스테이터 코어 (19a) 에 감겨진 모터 코일 (21) 을 가지고 있다.
둘레벽 (13b) 에는, 흡입구 (13h)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13h) 에는, 외부 냉매 회로 (22)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12) 에는, 토출구 (12h)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12h) 에는, 외부 냉매 회로 (22) 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 (13h) 는, 둘레벽 (13b) 에 있어서의 바닥벽 (13a)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13h) 는, 모터 수용실 (18) 에 연통되어 있다.
외부 냉매 회로 (22) 로부터 흡입구 (13h) 를 통하여 모터 수용실 (18) 내에 흡입된 냉매는, 압축부 (16) 의 구동에 의해 압축부 (16) 에서 압축되어, 토출구 (12h)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 (22) 에 유출된다. 그리고, 외부 냉매 회로 (22) 에 유출된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 (22) 의 열교환기나 팽창 밸브를 거쳐, 흡입구 (13h) 를 통하여 모터 수용실 (18) 내로 환류된다. 전동 압축기 (10) 및 외부 냉매 회로 (22) 는, 차량 공조 장치 (23) 를 구성하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 (14) 는,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 (14) 내에는, 인버터 장치 (30) 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 (14a)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11) 은, 인버터 수용실 (14a) 을 가지고 있다. 압축부 (16), 전동 모터 (17), 및 인버터 장치 (30) 는, 이 순서로,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 (14) 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와,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개구를 폐색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덮개 부재 (25) 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는, 평판상의 케이스 바닥벽 (24a) 과, 케이스 바닥벽 (24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둘레벽 (24b) 을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 (25) 는, 평판상의 덮개 바닥벽 (25a) 과, 덮개 바닥벽 (25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되는 덮개 둘레벽 (25b) 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및 덮개 부재 (25) 는, 케이스 둘레벽 (24b) 의 개구 단면과 덮개 둘레벽 (25b) 의 개구 단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인버터 수용실 (14a) 은,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및 덮개 부재 (25)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 (14) 는,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케이스 바닥벽 (24a) 의 외면이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의 외면에 접한 상태에서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 수용실 (18) 과 인버터 수용실 (14a) 은,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및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케이스 바닥벽 (24a)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즉, 바닥벽 (13a) 및 케이스 바닥벽 (24a) 은, 모터 수용실 (18) 과 인버터 수용실 (14a) 을 구획하는 구획벽에 상당한다. 하우징 (11) 은, 구획벽으로서의 바닥벽 (13a) 및 케이스 바닥벽 (24a) 을 갖는다.
인버터 케이스 (14) 는, 덮개 부재 (25) 의 덮개 바닥벽 (25a) 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전압용 커넥터 (25c) 및 저전압용 커넥터 (25d) 를 가지고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 (25c) 에는, 고전압 전원 (32) 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저전압용 커넥터 (25d) 에는, 저전압 전원 (33) 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고전압 전원 (32) 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 이온 2 차 전지나 니켈 수소 2 차 전지 등의 고전압 배터리이다. 저전압 전원 (33) 은, 차량에 탑재됨과 함께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예를 들어 400 V) 보다 낮은 전압 (예를 들어 12 V) 인 납축 전지 등의 저전압 배터리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코일 (21) 은, u 상 코일 (21u), v 상 코일 (21v), 및 w 상 코일 (21w) 을 갖는 삼상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u 상 코일 (21u), v 상 코일 (21v), 및 w 상 코일 (21w) 은, Y 결선되어 있다.
인버터 장치 (30) 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는, 전동 모터 (17) 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스위칭 동작을 실시한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는, IGBT (파워 스위칭 소자) 이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에는, 다이오드 (Du1, Du2, Dv1, Dv2, Dw1, Dw2) 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u1, Du2, Dv1, Dv2, Dw1, Dw2) 는,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v1, Qw1) 는, 각 상의 상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2, Qv2, Qw2) 는, 각 상의 하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각 스위칭 소자 (Qv1, Qv2), 및 각 스위칭 소자 (Qw1, Qw2) 는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의 게이트는, 제어 컴퓨터 (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 (34) 는, 저전압 전원 (33) 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동작한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v1, Qw1) 의 컬렉터는, 제 1 접속 라인 (EL1) 을 통하여 고전압 전원 (32) 의 정극 (正極)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2, Qv2, Qw2) 의 에미터는, 제 2 접속 라인 (EL2) 을 통하여 고전압 전원 (32) 의 부극 (負極)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v1, Qw1) 의 에미터 및 각 스위칭 소자 (Qu2, Qv2, Qw2) 의 컬렉터는, 각각 직렬로 접속된 중간점으로부터 u 상 코일 (21u), v 상 코일 (21v), 및 w 상 코일 (21w) 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 (34) 는, 전동 모터 (17) 의 구동 전압을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컴퓨터 (34) 는, 반송파 신호로 불리는 고주파의 삼각파 신호와, 전압을 지시하기 위한 전압 지령 신호에 의해 PWM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컴퓨터 (34) 는, 생성된 PWM 신호를 사용하여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의 스위칭 동작의 제어 (온 오프 제어) 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고전압 전원 (32) 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교류 전압이 구동 전압으로서 전동 모터 (17) 에 인가됨으로써, 전동 모터 (17) 의 구동이 제어된다.
또, 제어 컴퓨터 (34) 는, PWM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의 스위칭 동작의 듀티비를 가변 제어한다. 이로써, 전동 모터 (17) 의 회전수가 제어된다. 제어 컴퓨터 (34) 는, 공조 ECU (35)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공조 ECU (35) 로부터 전동 모터 (17) 의 목표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그 목표 회전수로 전동 모터 (17) 를 회전시킨다.
전동 압축기 (10) 는, 콘덴서 (36) 및 코일 (37) 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36) 는,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의 입력측에 형성됨과 함께 고전압 전원 (32) 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 (36) 는,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및 평활 콘덴서 (36c) 를 포함한다.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의 일단은, 제 1 접속 라인 (EL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의 타단은,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와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는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의 타단은, 제 2 접속 라인 (EL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의 타단과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의 일단의 중간점은, 예를 들어, 차량의 보디에 접지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 (36c) 의 일단은, 제 1 접속 라인 (EL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 (36c) 의 타단은, 제 2 접속 라인 (EL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및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와 평활 콘덴서 (36c) 는 병렬 접속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 (36c) 는,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및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보다 각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37) 은, 커먼 모드 초크 코일이다. 코일 (37) 은, 제 1 접속 라인 (EL1) 상에 형성되는 제 1 권선 (371) 과, 제 2 접속 라인 (EL2) 상에 형성되는 제 2 권선 (372) 을 가지고 있다. 또, 코일 (37) 은, 제 1 권선 (371) 및 제 2 권선 (372) 과는 별도로, 가상 노멀 모드 코일 (L1, L2) 을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코일 (37) 은, 등가 회로적으로는, 제 1 권선 (371), 제 2 권선 (372), 및 가상 노멀 모드 코일 (L1, L2) 을 가지고 있다. 제 1 권선 (371) 은, 가상 노멀 모드 코일 (L1) 에 직렬 접속됨과 함께, 제 2 권선 (372) 은, 가상 노멀 모드 코일 (L2) 에 직렬 접속되어 있다.
코일 (37),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및 평활 콘덴서 (36c) 는,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커먼 모드 노이즈란, 제 1 접속 라인 (EL1) 및 제 2 접속 라인 (EL2) 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노이즈이다. 커먼 모드 노이즈는, 전동 압축기 (10) 와 고전압 전원 (32) 이, 예를 들어, 차량의 보디 등, 제 1 접속 라인 (EL1) 및 제 2 접속 라인 (EL2) 이외의 경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37), 제 1 바이패스 콘덴서 (36a), 제 2 바이패스 콘덴서 (36b), 및 평활 콘덴서 (36c) 는, LC 필터 (38) 를 구성한다. 이로써, 코일 (37) 은, 콘덴서 (36) 와 함께 LC 필터 (38) 를 구성한다. 따라서, 콘덴서 (36) 및 코일 (37) 은, LC 필터 (38) 를 구성하는 필터 소자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바닥벽 (24a) 의 내면에는, 복수의 케이스 보스부 (24f)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에는,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은, 각 케이스 보스부 (24f) 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도시의 형편 상, 케이스 보스부 (24f) 및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을 각 1 개만 도시하고 있다. 각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은, 케이스 바닥벽 (24a) 의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에는, 각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에 연통하는 암나사공 (13c)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에는, 바닥벽 (13a) 을 관통하는 하우징공 (13d)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케이스 바닥벽 (24a) 에는, 케이스 바닥벽 (24a) 을 관통하는 케이스공 (24c) 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공 (13d) 과 케이스공 (24c) 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케이스 바닥벽 (24a) 에는, 도전 부재 (26) 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 (26) 는, 3 개의 도전 핀 (27) 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 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1 개의 도전 핀 (27) 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전 핀 (27) 은, 원기둥상의 철제의 핀 본체 (27a) 로 이루어진다. 핀 본체 (27a) 의 표면 전체에는, 도금 가공에 의해 구리층 (27b)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 핀 (27) 은 표면에 구리층 (27b) 을 가지고 있다.
도전 부재 (26) 는, 각 도전 핀 (27) 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28a)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 (28a) 는, 예를 들어 세라믹스제의 평판상이다. 지지 플레이트 (28a) 는,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에 있어서의 케이스 바닥벽 (24a) 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28a) 에는, 각 도전 핀 (27) 이 삽입 통과되는 플레이트 삽입 통과공 (28h) 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도전 핀 (27) 과 지지 플레이트 (28a) 사이에는, 유리제의 절연 부재 (28b) 가 개재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전 핀 (27) 의 일단은, 바닥벽 (13a) 을 관통하는 하우징공 (13d) 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과 함께, 모터 수용실 (18) 내로 돌출된다. 각 도전 핀 (27) 의 타단은, 케이스 바닥벽 (24a) 을 관통하는 케이스공 (24c) 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과 함께, 인버터 수용실 (14a) 내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 핀 (27) 은 바닥벽 (13a) 및 케이스 바닥벽 (24a) 을 관통하고 있다.
모터 수용실 (18) 내에는, 클러스터 블록 (29) 이 배치되어 있다. 또, U 상, V 상, 및 W 상의 모터 코일 (21) 에 대응하도록, 각 모터 코일 (21) 에서는 3 개의 모터 배선 (21a) 이 인출되어 있다. 3 개의 도전 핀 (27) 과 3 개의 모터 배선 (21a) 은, 클러스터 블록 (29) 을 통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도전 핀 (27) 은, 일단이 전동 모터 (17)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장치 (30) 는, 전동 모터 (17) 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 (31) 을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 (31) 은,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는, 홀더 (40) 가 수용되어 있다. 홀더 (40) 는, 판상의 홀더 본체부 (41) 를 가지고 있다. 홀더 본체부 (41) 는, 통상의 홀더 보스부 (48) 를 복수 가지고 있다. 각 홀더 보스부 (48) 의 축선 방향은, 홀더 본체부 (41)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각 홀더 보스부 (48) 는, 홀더 본체부 (41) 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홀더 (40) 는, 홀더 본체부 (41) 의 두께 방향 중, 홀더 보스부 (48) 의 돌출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홀더 본체부 (41) 의 면이 각 케이스 보스부 (24f) 에 재치 (載置) 된 상태에서,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홀더 보스부 (48) 의 내측은, 인버터 케이스 본체 (24) 의 각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회로 기판 (31) 은, 삽입 통과공 (31h) 을 복수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 (25) 의 내면에는, 복수의 덮개 보스부 (25f)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 (25) 에는, 덮개 삽입 통과공 (25h)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덮개 삽입 통과공 (25h) 은, 각 덮개 보스부 (25f) 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회로 기판 (31) 의 삽입 통과공 (31h), 및 덮개 삽입 통과공 (25h) 을 각 1 개만 도시하고 있다. 회로 기판 (31) 의 삽입 통과공 (31h) 에는 홀더 보스부 (48)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덮개 보스부 (25f) 는, 덮개 삽입 통과공 (25h) 과 각 홀더 보스부 (48) 의 내측이 연통한 상태에서, 각 홀더 보스부 (48) 의 선단면 (48e) 에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 (25) 의 덮개 삽입 통과공 (25h), 회로 기판 (31) 의 각 삽입 통과공 (31h), 각 홀더 보스부 (48) 의 내측, 및 각 볼트 삽입 통과공 (24h) 을 통과한 볼트 (B) 가, 모터 하우징 (13) 의 바닥벽 (13a) 의 각 암나사공 (13c) 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로 기판 (31) 및 홀더 (40) 가, 모터 하우징 (13) 에 장착되어 있다. 홀더 (40) 는,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 회로 기판 (31) 과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는, 회로 기판 (3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49) 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49) 는, 3 개의 구리제의 커넥터 본체 (50) 와, 커넥터 본체 (50)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 (60) 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 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1 개의 커넥터 본체 (50) 만을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 (60) 는, 홀더 (40)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60) 는 하우징 (11) 에 장착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3 에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홀더 (40) 는, 콘덴서 (36), 코일 (37), 및 스위칭 소자 (Qu1, Qu2, Qv1, Qv2, Qw1, Qw2) 등의 전자 부품도 유지하고 있다.
커넥터 (49) 는, 케이스 (60) 가 홀더 (40) 에 장착됨으로써, 회로 기판 (31) 과 케이스 바닥벽 (24a)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인버터 수용실 (14a) 내에 회로 기판 (31) 과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로 기판 (31) 과 커넥터 (49) 가 중첩되어 있는 방향을, 회로 기판 (31) 과 커넥터 (49) 의 적층 방향 (X) 으로 기재한다. 또, 적층 방향 (X) 을 따른 방향 중, 일 방향을 제 1 적층 방향 (X1) 이라고 하고, 제 1 적층 방향 (X1) 과는 반대 방향을 제 2 적층 방향 (X2) 이라고도 한다.
다음으로, 케이스 (6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60) 는 케이스 본체 (61) 와, 적층 방향 (X) 에서 케이스 본체 (61) 와 중첩되는 케이스 덮개체 (71) 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 (61) 의 제 1 본체면 (61a) 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 (61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본체면 (61a) 을 평면에서 보면, 각 걸어 맞춤 오목부 (61c) 는 원상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덮개체 (71) 의 제 1 덮개체면 (71a) 에서는, 원기둥상의 복수의 걸어 맞춤 볼록부 (71c) 가 돌출되어 있다. 걸어 맞춤 오목부 (61c) 에 걸어 맞춤 볼록부 (71c) 가 삽입됨으로써, 케이스 본체 (61) 와 케이스 덮개체 (71) 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61) 의 제 1 본체면 (61a) 에는, 커넥터 본체 (50) 가 수용되는 본체 수용 오목부 (62) 가 3 개 형성되어 있다.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는, 제 1 본체면 (61a) 을 평면에서 보면, 대략 긴 사각공인 본체 메인 오목부 (63) 와, 띠상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를 가지고 있다.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폭 방향이 각각 서로 일치함과 함께,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길이 방향이 각각 서로 일치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 (61) 의 제 1 본체면 (61a)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폭 방향을 제 1 방향 (Y) 으로 기재한다.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길이 방향을 제 2 방향 (Z) 으로 기재한다. 제 1 방향 (Y) 은, 적층 방향 (X) 과 직교하는 일 방향이다. 제 2 방향 (Z) 은, 적층 방향 (X) 및 제 1 방향 (Y) 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제 1 방향 (Y) 을 따른 방향 중, 일 방향을 제 1 방향 (Y1) 이라고 하고, 제 1 방향 (Y1) 과는 반대 방향을 제 1 방향 (Y2) 으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제 2 방향 (Z) 을 따른 방향 중, 일 방향을 제 2 방향 (Z1) 이라고 하고, 제 2 방향 (Z1) 과는 반대 방향을 제 2 방향 (Z2) 으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메인 오목부 (63) 는, 케이스 본체 (61) 의 제 1 본체면 (61a) 을 평면에서 보면, 제 1 방향 (Y) 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에 연통되어 있다.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제 2 방향 (Z2) 에 위치하는 부위에 개구되어 있다.
3 개의 본체 수용 오목부 (62) 는,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및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의 순서로 제 1 방향 (Y1) 에 나열되어 있다. 제 1 본체면 (61a) 을 평면에서 보면,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로부터 절곡되면서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는 크랭크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로부터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된 후, 제 1 방향 (Y1)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고, 다시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로부터 제 1 방향 (Y2) 으로 연장된 후,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로부터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된 후, 제 1 방향 (Y2)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고, 다시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는, 제 1 방향 (Y) 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각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의 제 2 방향 (Z2) 의 단부인 본체 서브 단부 (64a) 에는, 케이스 본체 (61) 를 적층 방향 (X) 으로 관통하는 본체 공부 (孔部) (64h)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공부 (64h) 는, 본체 서브 오목부 (64) 의 바닥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 1 본체면 (61a) 을 평면에서 보면, 본체 공부 (64h) 는 가늘고 긴 사각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 공부 (64h) 의 길이 방향은 제 2 방향 (Z) 을 따르고 있다. 또, 본체 서브 단부 (64a) 는,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의 본체 서브 단부 (64a),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의 본체 서브 단부 (64a), 및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의 본체 서브 단부 (64a) 의 순서로 제 2 방향 (Z1) 에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체 공부 (64h) 도,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의 본체 공부 (64h),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의 본체 공부 (64h), 및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의 본체 공부 (64h) 의 순서로 제 2 방향 (Z1) 에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덮개체 (71) 의 제 1 덮개체면 (71a) 에는, 커넥터 본체 (50) 가 수용되는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가 3 개 형성되어 있다.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는, 제 1 덮개체면 (71a) 을 평면에서 보면, 대략 긴 사각 구멍상인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와, 띠상의 덮개체 서브 오목부 (74) 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 본체 (61) 와 케이스 덮개체 (71) 가 중첩된 상태에서, 본체 수용 오목부 (62) 와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는 적층 방향 (X) 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즉, 제 1 덮개체면 (71a) 을 평면에서 보면, 각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폭 방향은 제 1 방향 (Y) 을 따라 연장되고,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길이 방향은 제 2 방향 (Z)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는 제 1 방향 (Y) 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서브 오목부 (74) 는,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에 연통되어 있고,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제 2 방향 (Z2) 에 위치하는 부위에 개구되어 있다. 3 개의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는, 제 1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a), 제 2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b), 및 제 3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c) 의 순서로 제 1 방향 (Y1) 에 나열되어 있다. 제 1 덮개체면 (71a) 을 평면에서 보면, 제 1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a) 는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와 동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b) 는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와 동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3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c) 는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와 동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제 2 방향 (Z2) 의 단부인 덮개체 서브 단부 (74a) 는, 제 1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a) 의 덮개체 서브 단부 (74a), 제 2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b) 의 덮개체 서브 단부 (74a), 및 제 3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c) 의 덮개체 서브 단부 (74a) 의 순서로 제 2 방향 (Z1) 에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에는, 케이스 덮개체 (71) 를 적층 방향 (X) 으로 관통하는 원상의 덮개체 공부 (73h) 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공부 (73h) 는,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개구되어 있다.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공부 (73h) 는 제 1 방향 (Y) 에서 나열되어 있다. 덮개체 공부 (73h) 의 직경은, 도전 핀 (27) 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각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공부 (73h) 에는, 도전 핀 (27) 이 적층 방향 (X) 으로 연장된 양태로 삽입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61) 의 제 1 본체면 (61a) 중 본체 수용 오목부 (62) 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 케이스 덮개체 (71) 의 제 1 덮개체면 (71a) 중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접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 (61) 와 케이스 덮개체 (71) 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본체 수용 오목부 (62) 와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에 의해 커넥터 본체 (50) 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부 (60a) 가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60) 는 커넥터 수용부 (60a) 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 (60a)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의 내면, 본체 서브 오목부 (64) 의 내면,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의 내면, 및 덮개체 서브 오목부 (74) 의 내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커넥터 수용부 (60a) 는, 본체 공부 (64h) 및 덮개체 공부 (73h) 를 통하여 케이스 (60) 밖으로 연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본체 (5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커넥터 본체 (50) 는, 제 1 커넥터 본체 (50a), 제 2 커넥터 본체 (50b),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순서로 제 1 방향 (Y1) 에 나열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본체 (50a) 는, 제 1 본체 수용 오목부 (62a) 및 제 1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a) 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 (60a) 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본체 (50b) 는, 제 2 본체 수용 오목부 (62b) 및 제 2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b) 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 (60a) 에 수용되어 있다. 제 3 커넥터 본체 (50c) 는, 제 3 본체 수용 오목부 (62c) 및 제 3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c) 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 (60a) 에 수용되어 있다.
각 커넥터 본체 (50) 는, 도전 핀 (27) 이 삽입 발출되는 단자부 (51) 와, 단자부 (51) 와 회로 기판 (31)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52)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동 모터 (17)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 (27) 의 단부를 도전 핀 (27) 의 일단으로 하면, 도전 핀 (27) 의 타단이 단자부 (51) 에 삽입 발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커넥터 본체 (50) 는, 일체의 구리판을 굴곡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커넥터 본체 (50) 에 있어서, 단자부 (51) 및 접속부 (52) 는 한 장의 구리판으로 이루어진다.
단자부 (51)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및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 (60a) 에 수용되어 있다. 접속부 (52) 는, 본체 메인 오목부 (63), 본체 서브 오목부 (64),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및 덮개체 서브 오목부 (74) 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 (60a) 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 본체 (50a), 제 2 커넥터 본체 (50b),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에 있어서, 단자부 (51) 및 접속부 (52) 의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의 커넥터 본체 (50) 의 설명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커넥터 본체 (50) 에서 공통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단자부 (5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51) 는, 적층 방향 (X) 에 세워 형성함과 함께, 제 1 방향 (Y)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협지부 (53) 를 가지고 있다. 1 쌍의 협지부 (53) 는, 긴 사각판상임과 함께 제 1 방향 (Y) 에 있어서 대향하는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긴 사각판상의 제 2 협지부 (55)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협지부 (54) 의 폭 방향 및 제 2 협지부 (55) 의 길이 방향은 적층 방향 (X) 을 따르고 있다. 제 2 협지부 (55) 의 폭 방향은 제 2 방향 (Z) 을 따르고 있다. 제 2 협지부 (55) 는, 일방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양 단부와, 타방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양 단부의 합계 4 개 지점인 제 1 협지부 (54) 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제 2 협지부 (55) 의 제 1 적층 방향 (X1) 에 있어서의 단부는, 제 1 협지부 (54) 의 제 1 적층 방향 (X1) 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방향 (Y) 에서 본 협지부 (53) 는, 제 1 적층 방향 (X1) 에 있어서의 단부 중, 제 2 협지부 (55) 에서 끼워진 제 2 방향 (Z) 의 중앙 부분이 제 2 적층 방향 (X2) 에 패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제 1 협지부 (54) 는, 제 2 방향 (Z) 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단부에 걸쳐 만곡되어 있다.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1 방향 (Y) 의 간극은, 각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단부를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한편, 제 2 협지부 (55) 는,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제 2 협지부 (55) 끼리의 제 1 방향 (Y) 의 간격이 제 2 방향 (Z) 의 전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 협지부 (54) 와 제 2 협지부 (55) 의 경계에 있어서 협지부 (53) 는 굴곡되어 있다.
단자부 (51) 는, 사각판상임과 함께 제 2 방향 (Z) 에서 나열되는 1 쌍의 연결부 (56) 와, 제 2 협지부 (55) 에 연속하는 긴 사각판상의 연속부 (59) 를 가지고 있다. 연속부 (59) 는, 제 2 협지부 (55) 중, 제 1 방향 (Y1)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연속부 (59) 의 폭 방향은 적층 방향 (X) 을 따르고 있다. 연속부 (59) 의 길이 방향은 제 2 방향 (Z) 을 따르고 있다. 연속부 (59) 의 적층 방향 (X) 의 치수는, 연속하는 제 2 협지부 (55) 의 적층 방향 (X) 의 치수보다 작다. 연속부 (59) 는, 제 2 협지부 (55) 의 제 1 적층 방향 (X1) 측의 일부에 연속하고 있다. 1 쌍의 연결부 (56) 는, 제 2 협지부 (55) 의 제 1 적층 방향 (X1) 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제 1 방향 (Y)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연결부 (56) 는,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제 2 협지부 (55)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각 제 2 협지부 (55) 에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 (56) 는, 제 1 적층 방향 (X1) 측 의 1 쌍의 협지부 (53) 에 있어서, 1 쌍의 협지부 (53) 의 각각을 연결하고 있다.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연결부 (56) 중, 제 2 방향 (Z2) 에 위치하는 연결부 (56) 는, 제 2 방향 (Z) 으로 길이 방향이 연장되는 긴 사각판상임과 함께, 연속하는 제 2 협지부 (55) 보다 제 2 방향 (Z) 의 치수가 크다. 이 연결부 (56) 의 제 1 방향 (Y1) 의 단부에 연속부 (59) 가 연속하고 있다.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1 적층 방향 (X1) 의 단부, 제 2 협지부 (55) 의 제 2 방향 (Z) 의 내측 단부, 및 1 쌍의 연결부 (56) 의 제 2 방향 (Z) 의 내측 단부에 의해, 협지공 (53h)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협지공 (53h) 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적층 방향 (X) 에서 본 협지공 (53h) 은,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 (Z) 을 따른 긴 사각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협지부 (53) 는, 제 1 적층 방향 (X1) 의 단부에 협지공 (53h) 을 가지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51) 는, 협지부 (53) 의 제 2 방향 (Z) 에 있어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1 쌍의 걸어 맞춤부 (57) 를 가지고 있다. 각 걸어 맞춤부 (57) 는, 제 2 협지부 (55) 의 제 2 방향 (Z) 의 외측 단부가 절결되어 이루어지는 절결부 (57a) 와, 협지부 (53) 의 제 2 방향 (Z) 에 있어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후크부 (57b) 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 (57a) 는, 일방의 협지부 (53) 의 제 1 방향 (Z1) 에 있어서의 단부와 타방의 협지부의 제 2 방향 (Z2) 에 있어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협지부 (53) 의 제 2 방향 (Z) 에 있어서의 일단에 형성된 절결부 (57a) 는, 제 1 방향 (Y2) 측에 있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있어서, 제 2 방향 (Z2) 측의 단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 (53) 의 제 2 방향 (Z) 에 있어서의 타단에 형성된 절결부 (57a) 는, 제 1 방향 (Y1) 측에 있고 또한 제 2 방향 (Z1)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있어서, 제 2 방향 (Z1) 측의 단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후크부 (57b) 는, 대략 사각 평판상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제 2 적층 방향 (X2) 의 단부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오목상을 이루고 있다. 후크부 (57b) 는, 절결부 (57a)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 2 협지부 (55)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방향 (Y1) 측에 있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있어서, 제 2 방향 (Z2) 의 단부로부터 후크부 (57b) 가 연장되어 있다. 이 후크부 (57b) 는 연속부 (59) 보다 제 2 적층 방향 (X2) 에 위치한다. 제 1 방향 (Y2) 측에 있고 또한 제 2 방향 (Z1)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있어서, 제 2 방향 (Z1) 의 단부로부터 후크부 (57b) 가 연장되어 있다. 각 후크부 (57b) 가 연속하는 제 2 협지부 (55) 는, 제 1 방향 (Y) 에서 절결부 (57a) 에 나열되어 있다. 각 후크부 (57b) 는, 제 2 협지부 (55) 의 단부로부터,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절결부 (57a) 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 후크부 (57b) 는, 제 2 협지부 (55) 에 연속하는 것에 의해, 협지부 (53) 의 제 2 방향 (Z) 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연속하고 있다.
1 쌍의 걸어 맞춤부 (57) 에 있어서는 1 쌍의 협지부 (53) 에 대해 연결부 (56) 와는 적층 방향 (X) 의 반대측에 있어서,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절결부 (57a) 와 후크부 (57b) 가 서로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 1 쌍의 걸어 맞춤부 (57) 에 의해, 1 쌍의 제 1 협지부 (54) 및 각 제 2 협지부 (55) 의 적층 방향 (X) 에 대한 세워 형성된 자세가 유지되기 때문에, 1 쌍의 협지부 (53) 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51) 는, 덮개체 메인 오목부 (73) 에 형성된 덮개체 공부 (73h) 와 적층 방향 (X) 에서 중첩되어 있다.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사이의 공간은, 덮개체 공부 (73h) 와 연통되어 있다. 협지부 (53) 의 협지공 (53h) 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덮개체 공부 (73h) 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 공부 (73h) 에 삽입 통과된 도전 핀 (27) 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사이를 지나 협지공 (53h)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1 쌍의 협지부 (53) 는,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사이에 도전 핀 (27) 을 협지하고 있다. 도전 핀 (27) 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에 의해 제 1 방향 (Y) 의 양측에서 협지된다.
다음으로, 접속부 (52)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 (52) 는, 적층 방향 (X) 에 세워 형성하는 평판상의 연장 형성부 (81) 와, 연장 형성부 (81) 의 단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평판상의 돌출부 (84) 를 갖는다. 연장 형성부 (81) 는, 적층 방향 (X) 에 세워 형성하는 대략 긴 사각판상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와, 제 1 연장 형성부 (82) 에 연속하는 사각판상의 제 2 연장 형성부 (83)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길이 방향은 제 2 방향 (Z) 을 따르고 있다.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제 2 방향 (Z1) 측의 일부 중, 제 1 적층 방향 (X1) 측의 단부가,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연결부 (56) 의 제 1 방향 (Y2) 의 단부와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1 쌍의 협지부 (53) 에 연속하고 있다.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제 1 방향 (Y2)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와 제 2 방향 (Z) 에서 나열되어 있다.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제 2 방향 (Z1) 측의 일부는, 연속부 (59) 와 제 1 방향 (Y) 에 나열되어 있다.
제 2 연장 형성부 (83) 는,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제 2 방향 (Z2) 측의 일부에 있어서,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제 1 적층 방향 (X1) 의 단부로부터 제 1 적층 방향 (X1) 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 (84) 는, 제 2 연장 형성부 (83) 의 제 2 방향 (Z2) 측의 일부에 있어서, 제 2 연장 형성부 (83) 의 제 1 적층 방향 (X1) 의 단부로부터 제 1 적층 방향 (X1) 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 본체 (50)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수용되는 본체 수용 오목부 (62) 의 본체 서브 오목부 (64) 와 수용되는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덮개체 서브 오목부 (74) 와 마찬가지로, 각각 다른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커넥터 본체 (50a)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협지부 (53) 로부터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된 후, 제 1 방향 (Y1)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고, 다시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본체 (50b)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협지부 (53) 로부터 제 1 방향 (Y2) 으로 연장된 후,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협지부 (53) 로부터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된 후, 제 1 방향 (Y2) 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고, 다시 제 2 방향 (Z2) 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 본체 (50)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는, 제 2 방향 (Z) 의 도중에서 굴곡되는 굴곡부 (85) 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제 2 방향 (Z2) 의 단부는, 제 1 커넥터 본체 (50a)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단부, 제 2 커넥터 본체 (50b)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단부,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단부의 순서로, 제 2 방향 (Z1) 에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 연장 형성부 (83) 도, 제 1 커넥터 본체 (50a) 의 제 2 연장 형성부 (83), 제 2 커넥터 본체 (50b) 의 제 2 연장 형성부 (83),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제 2 연장 형성부 (83) 의 순서로, 제 2 방향 (Z1) 에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각 커넥터 본체 (50) 의 돌출부 (84) 는, 수용되는 본체 서브 오목부 (64) 에 형성된 본체 공부 (64h) 로부터 커넥터 수용부 (60a)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연장 형성부 (83) 는 본체 공부 (64h) 에 위치한다. 돌출부 (84) 는, 본체 공부 (64h) 로부터 회로 기판 (31) 을 향하여 커넥터 수용부 (60a)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31) 에는, 적층 방향 (X) 에서 각 본체 공부 (64h) 와 대응하도록 제 2 방향 (Z) 에 서로 어긋나 있는 3 개의 기판공 (31d)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84) 의 돌출단은, 기판공 (31d) 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 (31) 에 납땜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 (84) 는, 케이스 (60) 의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회로 기판 (31)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접속부 (52) 는, 단자부 (51) 와 회로 기판 (31)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전동 모터 (17)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 (27) 의 단부를 도전 핀 (27) 의 일단으로 하면, 도전 핀 (27) 의 타단이 단자부 (51) 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49) 는, 각 도전 핀 (27) 의 타단과 회로 기판 (31)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17) 와 인버터 장치 (30) 의 회로 기판 (31) 은, 각 모터 배선 (21a), 클러스터 블록 (29), 각 도전 핀 (27), 및 각 커넥터 본체 (50) 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도전 핀 (27) 은, 전동 모터 (17) 와 인버터 장치 (3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본체 (50) 의 형성 방법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 (50) 의 형성에 있어서는, 한 장의 구리판으로부터 타발 성형되어 기재 (150) 가 형성된다. 이 기재 (150) 는, 전체적으로 평판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 본체 (50a), 제 2 커넥터 본체 (50b),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제조에, 동일한 타발형을 사용하여 성형된 기재 (150) 를 사용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재 (150) 의 두께 방향이 적층 방향 (X) 을 따르도록 기재 (150) 를 재치시킨 상태에서, 기재 (150) 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기재 (150) 에 있어서는, 단자부 (51) 와 접속부 (52) 가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도록 서로 연속하고 있다. 단자부 (51) 에는 협지공 (53h) 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 (53) 는, 협지공 (53h) 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제 1 협지부 (54) 는, 협지공 (53h) 을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 (Y) 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협지부 (55) 는, 1 쌍의 제 1 협지부 (54) 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 (Z) 의 양측에 있어서, 제 1 협지부 (54)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연결부 (56) 는,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2 개의 제 2 협지부 (55)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연속부 (59) 는, 제 2 방향 (Z2) 측의 연결부 (56) 와, 제 1 방향 (Y1)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연속하고 있다. 절결부 (57a) 는, 제 1 방향 (Y1)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1)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와, 제 1 방향 (Y2)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 (57b) 는, 제 1 방향 (Y1)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와, 제 1 방향 (Y2)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1) 측에 위치하는 제 2 협지부 (55) 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기재 (150) 의 접속부 (52) 는, 연결부 (56) 에 연속하는 연장 형성부 (81) 와, 연장 형성부 (81) 에 연속하는 돌출부 (84) 를 가지고 있다.
기재 (150) 는, 제 1 절선 (R1), 제 2 절선 (R2), 제 3 절선 (R3), 및 제 4 절선 (R4) 을 따라 굴곡된다. 제 1 절선 (R1), 제 3 절선 (R3), 및 제 4 절선 (R4) 은 산 절선이고, 도 9 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절선 (R2) 은 골 절선이고, 도 9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절선 (R1) 은, 제 1 방향 (Y) 에 나열되어 제 2 방향 (Z) 에 2 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절선 (R1) 은, 1 쌍의 연결부 (56) 와 제 2 협지부 (55) 의 경계와, 연결부 (56) 와 제 1 연장 형성부 (82) 및 연속부 (59) 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 2 절선 (R2) 은, 제 2 방향 (Z) 에 나열되어 제 1 방향 (Y) 에 2 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절선 (R2) 은,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와 제 2 협지부 (55) 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 3 절선 (R3) 은, 제 1 방향 (Y) 에 연장되는 2 개의 절선이다. 제 3 절선 (R3) 은, 제 2 절선 (R2) 보다 제 2 방향 (Z) 의 외측에 있어서, 제 1 방향 (Y1)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2) 측과, 제 1 방향 (Y2) 측이고 또한 제 2 방향 (Z1) 측에 위치한다. 제 3 절선 (R3) 은, 제 2 협지부 (55) 와 후크부 (57b) 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 4 절선 (R4) 은, 제 1 방향 (Y) 에 연장됨과 함께,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중간에 위치한다.
상기의 각 절선을 따라 기재 (150) 를 굴곡시킨다. 먼저 기재 (150) 를, 제 1 절선 (R1) 을 따라 굴곡시킨다. 이로써, 1 쌍의 제 1 협지부 (54), 제 2 협지부 (55), 연속부 (59), 및 접속부 (52) 는 적층 방향 (X) 에 세워 형성한 자세가 된다. 연결부 (56) 는, 제 2 협지부 (55) 의 제 1 적층 방향 (X1) 측에 위치하게 된다. 절결부 (57a) 및 후크부 (57b) 는, 연결부 (56) 보다 제 2 적층 방향 (X2) 측에 위치하게 된다. 절결부 (57a) 및 후크부 (57b) 는, 제 2 방향 (Z) 의 양측에 있어서, 제 1 방향 (Y) 에 나열되어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재 (150) 를 제 4 절선 (R4) 을 따라 굴곡시킨다. 이로써, 1 쌍의 제 1 협지부 (54) 는, 제 4 절선 (R4) 을 따른 부분이 제 1 방향 (Y) 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2 절선 (R2) 사이에서 만곡된 형상이 된다. 또한 기재 (150) 를 제 2 절선 (R2) 을 따라 굴곡시킨다. 이로써, 제 2 협지부 (55) 는 만곡되지 않는 형상이 된다.
계속해서, 기재 (150) 를 제 3 절선 (R3) 을 따라 굴곡시킨다. 이로써, 후크부 (57b) 는, 제 1 방향 (Y) 에 나열되는 절결부 (57a) 를 향하여 연장된 형상이 됨과 함께, 절결부 (57a) 에 걸어 맞춘 양태가 된다.
또, 도 9 에 있어서 절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제 1 연장 형성부 (82) 에 있어서의 제 2 방향 (Z) 의 도중 위치에 있어서,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선을 따라 기재 (150) 를 굴곡시킨다. 이로써, 제 1 연장 형성부 (82) 에 굴곡부 (85) 가 형성된다. 제 1 연장 형성부 (82) 에서의 굴곡부 (85) 의 형성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제 1 연장 형성부 (82) 의 크랭크 형상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기재 (150) 로부터, 상이한 크랭크 형상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를 갖는 제 1 커넥터 본체 (50a), 제 2 커넥터 본체 (50b),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커넥터 본체 (50) 는, 1 쌍의 협지부 (53) 로부터 돌출부 (84) 까지 연속하는 일체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커넥터 본체 (50) 를 일체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49) 의 제조에 있어서 용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커넥터 (49) 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단자부 (51) 는, 1 쌍의 협지부 (53) 의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 (56) 와, 1 쌍의 협지부 (53) 에 대해 연결부 (56) 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1 쌍의 협지부 (53) 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1 쌍의 걸어 맞춤부 (57)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 (56) 와 걸어 맞춤부 (57) 에 의해 1 쌍의 협지부 (53) 가 도전 핀 (27) 을 보다 강고하게 협지하고, 도전 핀 (27) 과 커넥터 (49) 의 접속이 안정된다.
(3) 접속부 (52) 는, 단자부 (51) 와 돌출부 (84) 를 연결함과 함께 케이스 (60) 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 형성부 (81) 를 가지고, 연장 형성부 (81) 는 굴곡되는 굴곡부 (85) 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전동 압축기 (10) 의 진동에 수반하여 커넥터 본체 (50) 에 응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가해진 응력을 굴곡부 (85) 에 있어서 감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 대한 커넥터 (49)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도전 핀 (27) 은 표면에 구리층 (27b) 을 가지고 있고, 커넥터 본체 (50) 는 구리판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도전 핀 (27) 과 협지부 (53) 가 동일한 구리끼리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접촉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장치 (30) 로부터 전동 모터 (17) 에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5) 커넥터 본체 (50) 에 용접 지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 (10) 의 진동에 수반하여 커넥터 본체 (50) 에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커넥터 본체 (50)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용접을 위해서 필요한 부재끼리의 중첩을 커넥터 본체 (50) 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재끼리의 중첩을 생략할 수 있는 분만큼 커넥터 본체 (50) 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 케이스 (60) 의 내부에 커넥터 본체 (50) 에 대한 용접에 사용하는 전극을 삽입시키는 스페이스도 필요 없기 때문에, 그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는 분만큼 케이스 (60) 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49) 전체의 체격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7) 제 1 커넥터 본체 (50a), 제 2 커넥터 본체 (50b), 및 제 3 커넥터 본체 (50c) 의 제조에, 동일한 타발형을 사용하여 성형된 기재 (150) 를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본체 (50) 마다에서 기재 (150) 의 성형에 상이한 형상의 타발형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기재 (150) 의 성형에 관련된 공정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49) 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절결부 (57a) 는, 동일한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양 단부에 연속하는 제 2 협지부 (55)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후크부 (57b) 는, 절결부 (57a) 가 형성되지 않는 제 2 협지부 (55) 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후크부 (57b) 도, 동일한 제 1 협지부 (54) 의 제 2 방향 (Z) 의 양 단부에 연속하는 제 2 협지부 (55) 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이 된다.
○ 연속부 (59) 를 협지부 (53) 로부터 생략해도 된다.
○ 1 쌍의 협지부 (53) 에 의해 도전 핀 (27) 을 적절히 협지할 수 있으면, 연결부 (56) 및 1 쌍의 걸어 맞춤부 (57) 의 일방 또는 양방을 단자부 (51) 로부터 생략해도 된다.
○ 제 2 연장 형성부 (83) 와 돌출부 (84) 는, 제 2 방향 (Z) 의 치수가 동일해도 된다.
○ 도전 핀 (27) 의 핀 본체 (27a) 는, 예를 들어 사각 기둥 등, 원 기둥 이외의 형상의 기둥상이어도 된다.
○ 도전 핀 (27) 의 표면에 대한 구리층 (27b) 의 형성 방법은, 도금 가공 이외여도 된다.
○ 도전 핀 (27) 은 구리층 (27b) 이외의 금속층을 표면에 가져도 된다. 또, 도전 핀 (27) 은 표면에 금속층을 갖지 않아도 된다.
○ 커넥터 본체 (50) 는 구리 이외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단자부 (51) 와 접속부 (52) 는 구리판 이외의 한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 변경예에 있어서, 도전 핀 (27) 이 표면에 금속층을 갖는 경우에는, 커넥터 본체 (50) 와 도전 핀 (27) 의 표면의 금속층이 동일한 금속제여도 되고, 상이한 금속제여도 된다.
○ 모든 커넥터 본체 (50) 의 제 1 연장 형성부 (82) 가 동일한 크랭크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 3 개의 커넥터 본체 (50) 의 일부 또는 모든 제 1 연장 형성부 (82) 가, 굴곡부 (85) 를 갖지 않고, 굴곡되지 않는 형상이어도 된다.
○ 전부 또는 일부의 커넥터 본체 (50) 의 제조에, 상이한 형태의 타발형을 사용하여 성형된 기재 (150) 를 사용해도 된다. 요컨대, 한 장의 기재 (150) 로부터 협지부 (53) 와 제 1 연장 형성부 (82) 에서 연속한 단자부 (51) 및 접속부 (52) 를 성형할 수 있으면, 타발형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 본체 수용 오목부 (62) 나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본체 수용 오목부 (62) 나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에 커넥터 본체 (50) 를 수용 가능하면, 본체 수용 오목부 (62) 나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 케이스 (60)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 (50)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케이스 (60)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본체 (50) 의 수에 대응하도록, 케이스 (60) 에 형성되는 본체 수용 오목부 (62) 및 덮개체 수용 오목부 (72) 의 형상이나 수를 변경하면 된다.
○ 전동 압축기 (10) 는, 예를 들어, 인버터 장치 (30) 가, 하우징 (11) 에 대해 회전축 (15) 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요컨대, 압축부 (16), 전동 모터 (17), 및 인버터 장치 (30) 가, 이 순서로, 회전축 (15) 의 축선 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 압축부 (16) 는, 스크롤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피스톤식이나 베인식 등이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 (10) 는, 차량 공조 장치 (23) 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동 압축기 (10) 는, 연료 전지차에 탑재되어 있고,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유체로서의 공기를 압축부 (16) 에 의해 압축하는 것이어도 된다.
10 : 전동 압축기
11 : 하우징
13a : 바닥벽
14a : 인버터 수용실
16 : 압축부
17 : 전동 모터
18 : 모터 수용실
24a : 케이스 바닥벽
27 : 도전 핀
27b : 구리층
30 : 인버터 장치
31 : 회로 기판
49 : 커넥터
50 : 커넥터 본체
51 : 단자부
52 : 접속부
53 : 협지부
56 : 연결부
57 : 걸어 맞춤부
60 : 케이스
81 : 연장 형성부
84 : 돌출부
85 : 굴곡부

Claims (4)

  1.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킴과 함께 회로 기판을 갖는 인버터 장치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실과, 상기 인버터 장치를 수용하는 인버터 수용실과, 상기 모터 수용실과 상기 인버터 수용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구획벽을 관통함과 함께 일단이 상기 전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핀과,
    상기 인버터 수용실 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도전 핀의 타단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금속제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를 가짐과 함께,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구획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도전 핀의 타단이 삽입 발출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일체의 금속판을 굴곡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서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도전 핀을 협지하는 1 쌍의 협지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회로 기판으로 삽입 통과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1 쌍의 협지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1 쌍의 협지부에 대해 상기 연결부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상기 1 쌍의 협지부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1 쌍의 걸어 맞춤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단자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 형성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 형성부는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핀은 표면에 구리층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금속판은 구리판인, 전동 압축기.
KR1020210036741A 2020-04-10 2021-03-22 전동 압축기 KR102455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1305A JP7279681B2 (ja) 2020-04-10 2020-04-10 電動圧縮機
JPJP-P-2020-071305 2020-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499A KR20210126499A (ko) 2021-10-20
KR102455941B1 true KR102455941B1 (ko) 2022-10-17

Family

ID=7785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41A KR102455941B1 (ko) 2020-04-10 2021-03-22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79681B2 (ko)
KR (1) KR102455941B1 (ko)
CN (1) CN113513475B (ko)
DE (1) DE1020212027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538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081A (en) * 1988-02-11 1990-05-15 Copeland Corporation Thermally protected hermetic motor compressor
JP4551166B2 (ja) * 2004-09-13 2010-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機器直付けコネクタ
JP4509054B2 (ja) 2006-03-20 2010-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JP4152425B2 (ja) * 2006-06-27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94404B2 (ja) 2010-10-07 2014-05-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951553B2 (ja) * 2013-04-26 2016-07-13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6277425B2 (ja) * 2014-11-28 2018-02-1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6188635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977653B2 (ja) * 2018-03-30 2021-1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0058109A (ja) * 2018-09-28 2020-04-09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電動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538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79681B2 (ja) 2023-05-23
KR20210126499A (ko) 2021-10-20
JP2021168570A (ja) 2021-10-21
DE102021202793A1 (de) 2021-10-14
CN113513475A (zh) 2021-10-19
CN113513475B (zh)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5967B2 (ja) 電動圧縮機
KR102483243B1 (ko) 전동 압축기
CN111828325B (zh) 电动压缩机
US20180123546A1 (en) In-vehicle motor-driven compressor
CN104854780B (zh) 电动压缩机
KR102418941B1 (ko) 전동 압축기
KR102455941B1 (ko) 전동 압축기
JP7314814B2 (ja) 電動圧縮機
EP2623788A1 (en) Motor-driven compressor
EP2623787B1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08463866B (zh) 具备电路零件的耐振固定构造的电路组装体、以及车辆用电动压缩机
WO2017221854A1 (ja) 電装部品の設置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2022156947A (ja) 流体機械
JP2021168562A (ja) 電動圧縮機
JP2004044555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US20240145152A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22156948A (ja) 電動圧縮機
JP2021158718A (ja) 車載用電動圧縮機
KR20230116691A (ko) 전동 압축기
CN116601388A (zh) 车辆用电动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