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20B1 -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620B1
KR102305620B1 KR1020150141200A KR20150141200A KR102305620B1 KR 102305620 B1 KR102305620 B1 KR 102305620B1 KR 1020150141200 A KR1020150141200 A KR 1020150141200A KR 20150141200 A KR20150141200 A KR 20150141200A KR 102305620 B1 KR102305620 B1 KR 10230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heating
conductor
section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575A (ko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5014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620B1/ko
Priority to US15/285,923 priority patent/US9804540B2/en
Priority to EP16192468.3A priority patent/EP3168690A1/en
Priority to CN201610879120.2A priority patent/CN107065480B/zh
Publication of KR2017004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radiant heat, e.g. infrared lamps, microwave hea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38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H05B3/006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for photocopy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착장치는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연결된 제1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1 열원;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된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2 열원; 상기 제1 열원 및 상기 제2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부재; 및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원은 상기 제1 열원의 일부분이 발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밀봉한 제1 비발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유닛과, 감광유닛의 주위에 배치되어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유닛과,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및 광주사유닛을 구비한다. 광주사유닛은 대전유닛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를 지나면서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정착장치는 열원과, 벨트 또는 롤러로 구성되는 정착부재와, 이 정착부재에 밀착되어 정착 닙을 형성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가 정착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로 진입하면 정착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정착 닙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여기서, 할로겐 램프(Halogen Lamp)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듀얼 램프(Dual Lamp)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듀얼 램프는 동일한 크기의 센터 램프(Center Lamp) 및 사이드 램프(Side Lamp)를 포함한다.
센터 램프와 사이드 램프는 각 램프의 발열분포를 상이하게 설정하도록 각 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필라멘트(Filament)의 밀도를 상이하게 형성한 것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센터 램프의 경우에는 중심부의 발열이 높게 형성되었으며, 사이드 램프의 경우에는 양 사이드부의 발열이 높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센터 램프와 사이드 램프를 포함하는 듀얼 램프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크기가 큰 용지를 인쇄할 때에는 센터 램프와 사이드 램프를 모두 사용하였으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할 때에는 주로 센터 램프만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센터 램프는 양 사이드부에도 필라멘트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할 때에도 센터 램프의 양 사이드부에서는 소량의 열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용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도 센터 램프의 양 사이드부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열의 축적에 의해 정착벨트 또는 롤러는 과열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착장치는 냉각을 위한 공회전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렇게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센터 램프의 양 사이드부에서의 과열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착장치의 공회전은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을 저해하고, 인쇄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2 이상의 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에도 인쇄성능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정착장치의 과열로 인해 인쇄시간이 증가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착장치는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연결된 제1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1 열원;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된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2 열원; 상기 제1 열원 및 상기 제2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부재; 및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원은 상기 제1 열원의 일부분이 발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밀봉한 제1 비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열원은 내부에 상기 제1 발열체가 배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분은 내부에 마련된 중공에 상기 제1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가스가 구비된 제1 발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바디의 나머지 일부분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1 발열부와 구획된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열부의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1 비발열부의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열원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발열부는 상기 제1 발열부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비발열부에 상기 제1 전도체가 밀봉된 경우, 상기 제1 전도체는 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제1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전도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발열체는 상기 제2 발열체의 제2 가열구간이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가열구간보다 크며 상기 제1 가열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발열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열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발열체의 제1 부분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은 상기 제2 발열체의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보다 작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발열체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원은, 상기 제1 비발열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발열부; 및 상기 제2 발열부와 구획되며, 발열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를 밀봉한 제2 비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열원은 내부에 상기 제2 발열체가 배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분은 내부에 마련된 중공에 상기 제2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가스가 구비된 제2 발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바디의 나머지 일부분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발열부와 구획된 제2 비발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비발열부에 상기 제2 전도체가 밀봉된 경우, 상기 제2 전도체는 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제2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발열부는 상기 제2 비발열부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전도체 사이에는 상기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발열체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연결된 제1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1 열원;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가열구간보다 크며 상기 제1 가열구간을 포함하는 제2 가열구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제1 발열체보다 길게 형성된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된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제2 열원; 상기 제1 열원 및 상기 제2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부재; 및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내부에 마련된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에 가스가 구비된 제1 발열부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밀봉한 제1 비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착장치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부재;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정착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발열체와 할로겐 가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열체의 일부분을 상기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하여 발열되지 않도록 한 제1 비발열부가 마련된 제1 할로겐 램프; 및 상기 정착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발열체가 마련된 제2 할로겐 램프를 포함하는 정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할로겐 램프는 내부에 상기 제1 발열체를 수용하기 위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를 감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정착장치의 2 이상의 열원 중 일부 열원의 일부 구간만 발열되며, 나머지 구간은 발열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인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열원에 의한 정착장치의 과열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시간을 감소시켜 신속한 인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제1 및 제2 열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열원의 제1 비발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제1 열원 및 제2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성능을 종래와 비교한 표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1 비발열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제2 열원의 다양한 변형 실시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 열원의 제2 비발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제2 비발열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급지장치(20), 급지장치(20)를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30), 현상장치(3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장치(40), 현상장치(30)의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50), 인쇄매체(S)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S)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100) 및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S)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7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이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장치(30) 쪽으로 인쇄매체(S)를 공급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S)를 저장하고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저장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여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2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S)를 이송부재(80) 쪽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22)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재(80)는,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7) 및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28)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 하우징(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2),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스크류들(33a, 33b)과,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감광체(32)로 공급하는 현상롤러(34), 및 감광체(32)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35)를 포함한다.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하우징(31)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하우징(31)의 일측으로 교반 및 이송되며, 교반되어 이송된 토너는 현상롤러(34)에 의해 감광체(32)로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32)에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 토너가 인쇄매체(S)에 전사되도록 감광체(32)는 전사롤러(14)와 접촉하여 전사 닙(N1: Nip)을 형성한다. 전사롤러(14)는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너장치(40)는 현상장치(30)와 결합된다. 토너장치(40)는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수용 및 보관하고, 화상형성동작이 진행될 때 토너를 현상장치(30)로 공급한다.
광주사장치(50)는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2)에 주사하여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장치(100)는 감광체(32)와 전사롤러(14)에 의해 인쇄매체(S)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1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배출장치(70)는 서로 맞물리는 제1 배출롤러(71)와 제2 배출롤러(72)를 포함하여 정착장치(100)를 통과한 인쇄매체(S)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원고(P)를 스캔하는 화상독취장치(11)가 위치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1)는, 스캔할 원고(P)가 적재되는 원고 공급 트레이(91), 원고 공급 트레이(91)에 적재된 원고(P)를 픽업하여 원고가 이송 경로(12)로 진입하게 하는 픽업롤러(92) 및 픽업된 원고(P)를 이송하는 피드롤러(93)를 포함한다. 피드롤러(93)에 의해 이송된 원고는 스캐너 모듈(90)에 의해 스캔된 후 원고 공급 트레이(91)의 하측에 위치한 배출부(미도시)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100)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인쇄매체(S)의 폭 방향, 가압부재(110)의 길이 방향, 정착부재(120)의 길이 방향 및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의 길이 방향은 모두 동일한 방향(X)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100)는 가압부재(110), 정착부재(120), 제1 열원(130), 제2 열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S)는 가압부재(110)와 정착부재(120)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때,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가압부재(110)는 정착부재(1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정착부재(120)와의 사이에 정착 닙(N2)을 형성한다. 가압부재(110)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압롤러(112)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112)는 알루미늄이나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샤프트(114)와, 탄성 변형하여 정착부재(120)와의 사이에 정착 닙(N2)을 형성하는 탄성층(116)을 포함한다. 탄성층(116)은 통상적으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다. 정착 닙(N2)에서 인쇄매체(S)에 높은 정착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탄성층(116)의 경도는 ASKER-C 경도 기준으로 5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층(116)의 두께는 3mm 이상 6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층(116)의 표면에는 인쇄매체(S)가 가압롤러(112)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정착부재(120)는 가압롤러(112)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가압롤러(112)와 함께 정착 닙(N2)을 형성하고,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어 정착 닙(N2)을 지나는 인쇄매체(S)에 열을 전달한다. 정착부재(120)는 금속, 내열성 폴리머 등의 단일층으로 구성되거나 금속이나 내열성 폴리머로 형성된 기본층에 탄성층과 보호층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착부재(120)의 내면은 열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검은색으로 착색되거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은 정착부재(120)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적으로 복사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인쇄매체(S)의 가열이 필요한 제1 구간(S1) 및 제2 구간(S2)을 합한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된다. 이때, 제1 구간(S1)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가열이 필요한 구간이며, 제2 구간(S2)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가열이 필요한 구간이다. 이러한 제2 구간(S2)은 제1 구간(S1)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제1 열원(130)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가열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제1 구간(S1)을 가열하는 제1 발열체(131)와, 제1 발열체(13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1 발열체(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도체(132)와, 제1 발열체(131) 및 제1 전도체(13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바디(133)와, 제1 발열체(131) 및 제1 전도체(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34)를 포함한다.
제1 발열체(131)는 제1 바디(13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체(132)에 의해 통전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1 발열체(131)는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다. 제1 발열체(131)는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다.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1 발열체(131)의 일부분은 제1 발열부(137)를 형성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열체(131)는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지그재그 또는 스프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1 발열부(137)는 제1 발열체(131)를 통해 정착부재(120)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반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인쇄매체의 제2 구간(S2) 중 후술할 제1 연결부재(134)에 의해 제1 발열체(131)와 제1 전도체(132)가 연결되는 제3 구간(S3)을 제외한 제4 구간(S4)에 포함되는 제1 발열체(131)의 나머지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발열체(131)는 제4 구간(S4)에 포함되는 부분인 제1 비발열부(138)에서 지그재그 형상이 아닌 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와 더불어, 제1 비발열부(138)에 포함되는 제1 발열체(131)의 나머지 일부분은 후술할 제1 바디(133)의 일부분에 의해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배치되므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거의 발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쇄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과열로 인한 인쇄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도체(132)는 제3 구간(S3)에서 제1 발열체(131)의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발열체(131)가 발열할 수 있도록 제1 발열체(131)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러한 제1 전도체(132)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아이핀(I-pin)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체(132)는 제2 구간(S2)의 고정부(129) 측 일부 구간인 제3 구간(S3)에서 제1 발열체(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구간(S3)은 제2 구간(S2)에 포함된다. 제3 구간(S3)에서 제1 발열체(131) 및 제1 전도체(132)는 상호 용접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 연결부재(134)를 통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연결부재(134)로는 몰리브데늄 재질의 포일(Mo-foil)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전도체(132)는 후술할 제2 열원(140)의 제2 전도체(142)와 함께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다.
제1 바디(133)는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제1 발열체(131)를 수용한다. 이러한 제1 바디(133)는 유리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33) 중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부분은 내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중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의 내부에 제1 발열체(131) 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1 바디(133)의 일부분에서는 제1 발열체(131)가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된다. 즉,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1 열원(130)의 일부분은 제1 발열부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바디(133)는 내부에 제1 발열체(131)와 함께 제1 발열체(131)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할로겐 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바디(133) 중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부분은 내부에 할로겐 가스 없이 제1 발열체(131)만이 구비될 수 있도록 융착하여 형성한다. 즉,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제1 바디(133)의 일부분은 제1 발열체(131)를 감싸며 제1 발열체(131)를 밀봉하여 제1 비발열부(13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비발열부(138)에 배치된 제1 발열체(131)는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어 거의 발열되지 않는다. 즉,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제1 열원(130)의 나머지 일부분은 제1 비발열부(138)가 된다.
제1 비발열부(138)는 제1 비발열부(138)에 포함된 제1 바디(133)가 제1 발열체(131)를 감싸며 밀봉하므로, 제1 발열부(137)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발열부(138)에 포함된 제1 바디(133)는 가열하여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후 원주를 따라 모든 방향에서 관의 중심을 향해 가압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마주하는 일측면에서만 가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원(130)의 제1 비발열부(138)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타원형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열원(130)의 제1 비발열부(138)의 단면의 직경은 제1 발열부(137)의 단면의 직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열원(130)의 제1 비발열부(138)의 단면은 제1 발열부(137)의 단면에 비해 작은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열원(130)은 상대적으로 폭이 큰 용지 내에서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제1 발열부(137) 및 제1 비발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원(140)은 상대적으로 폭이 큰 인쇄매체(S)를 가열하기 위해 제1 구간(S1) 및 제4 구간(S4)을 가열하는 제2 발열체(141)와, 제2 발열체(14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2 발열체(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도체(142)와, 제2 발열체(141) 및 제2 전도체(14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바디(143)와, 제2 발열체(141) 및 제2 전도체(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44)를 포함한다.
제2 발열체(141)는 제2 바디(14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도체(142)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2 발열체(141)는 상술한 제1 발열체(131)와 같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다. 제2 발열체(141)는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2 열원(140)의 제1 부분(147)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일부분은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제2 열원(140)의 제2 부분(148)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나머지 일부분에 비해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발열부(137)에 포함되는 제1 발열체(13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과 제2 열원(140)의 제1 부분(147)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의 합은 제2 열원(140)의 제2 부분(148)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과 대략 동일하도록 제2 발열체(141)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은 정착부재(12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열원(140)은 제1 열원(130)과 달리 제2 발열체(141)가 배치된 모든 부분이 인쇄매체(S)를 가열한다.
제2 전도체(142)는 제2 발열체(141)의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발열체(141)가 발열할 수 있도록 제2 발열체(141)에 전류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도체(142)는 제3 구간(S3)에서 제2 발열체(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발열체(141) 및 제2 전도체(142)는 제1 발열체(131) 및 제1 전도체(132)와 마찬가지로, 상호 용접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2 연결부재(144)를 통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이러한 제2 연결부재(144)는 상술한 제1 연결부재(134)와 같이 몰리브데늄 재질의 포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도체(142)는 제1 열원(130)의 제1 전도체(132)와 함께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다.
제2 바디(143)는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제2 발열체(141)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143)는 제1 바디(133)와 마찬가지로 유리관일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43)는 제2 발열체(14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할로겐 가스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열원(140)의 제1 구간(S1) 및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제2 발열체(141)에 의해 열이 발생된다. 즉, 제2 열원(140)은 제1 열원(130)과 달리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한 단면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은 양단부의 제3 구간(S3)에서 고정부(129)에 의해 함께 1차적으로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열원(130, 14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추가의 열원을 마련하여 더욱 다양한 폭의 용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착부재(120)의 양측 가에는 측면프레임(170)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170)은 정착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한다. 정착부재(120)는 측면프레임(170)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프레임(170)은 정착부재(120) 쪽으로 돌출되어 정착부재(12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정착부재 지지부(172)를 가진다.
측면프레임(170)은 탄성부재(180)에 의해 가압부재(110) 쪽으로 가압된다. 탄성부재(180)의 일단은 측면프레임(170)의 상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별도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측면프레임(170)에는 홀더(174)가 결합된다. 홀더(174)는 측면프레임(17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의 단부와 지지부재(150)의 단부를 지지한다. 측면프레임(170)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홀더(174)를 통해 지지부재(15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150)는 가압부재(110) 쪽으로 가압된다.
또한, 정착장치(100)는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정착부재(120)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해 정착부재(120)와 가압부재(110) 사이에 정착 닙(N2)이 형성되도록 한다. 지지부재(150)는 스테인레스, 탄소강 등의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50)의 강성이 작은 경우에 굽힘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정착 닙(N2)을 고르게 가압할 수 없다. 따라서, 지지부재(150)는 그 굽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아치형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152)와, 그 단면이 역 아치형으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154)를 포함하며, 제1 지지부재(152)와 제2 지지부재(145)는 제1 지지부재(15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지지부재(154)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재(150)는 아치형 또는 역 아치형 이외에도 I 빔형, H 빔형 등의 단면 관성 모멘트가 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열원(130, 140)의 열이 지지부재(150)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면, 지지부재(150)가 고온으로 상승하여 열 변형됨에 따라 정착 닙(N2)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1 및/또는 제2 열원(130, 140)에서 방사되는 열 중 상당 부분이 지지부재(150)를 가열하는데 소모되면 정착장치(100)의 승온 성능이 저하된다.
이에 정착장치(100)는 제1 및 제2 열원(130, 140)과 지지부재(150) 사이에 배치되는 열차단부재(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열차단부재(160)는 지지부재(150)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제1 및 제2 열원(130, 140)과 마주하는 지지부재(15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지지부재(150)로 직접적으로 복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지지부재(150)의 열변형을 방지한다.
열차단부재(160)는 제1 및 제2 열원(130, 140)의 열을 반사시키는 반사층(164)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층(164)은 제1 및 제2 열원(130, 140)과 마주하는 열차단부재(16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반사층(164)은 은과 같은 반사물질을 열차단부재(160)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차단부재(160)에 반사층(164)을 형성하면, 열차단부재(160)로 복사되는 열을 정착부재(120) 쪽으로 반사하여 정착부재(120)의 가열을 촉진할 수 있다.
열차단부재(160)는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다. 열차단부재(160)는 지지부재(150)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차단부재(160)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정착장치(100)는 닙형성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닙형성유닛(190)은 그 단면이 역 아치형으로 마련되며, 정착부재(120)와 지지부재(150)를 이격시켜 정착부재(120)의 열이 지지부재(15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닙형성유닛(190)은 열전도도가 낮고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닙형성유닛(190)은 보조지지부재(200)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닙형성유닛(190)은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거나, Polyether Ether Ketones(PEEK), Liquid Crystal Polymer(LCP) 등의 내열성 수지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정착장치(100)는 보조지지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지지부재(200)는 닙형성유닛(190)과 정착부재(120) 사이에 마련되어 닙형성유닛(190)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고,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조지지부재(200)는 역 아치형으로 구비되어 닙형성유닛(19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정착부재(120)의 내면을 지지하는 닙형성유닛(19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닙형성유닛(190)의 하면 만을 커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인쇄매체(S)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인쇄매체(S)는 급지장치(20)와 현상장치(30)를 거쳐 가시화상이 전사된 채로 정착장치(100)로 이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착장치(100)는 인쇄매체(S)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가압 및 가열과정을 통해 정착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열원(130, 140)에 전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발열체(131) 중 제1 발열부(137)에 포함되는 부분은 제1 전도체(132)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아 발열되며, 제2 발열체(141)의 제1 부분(147) 및 제2 부분(148)에 포함되는 부분은 제2 전도체(142)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아 발열된다. 이때, 제1 발열체(131) 중 제1 비발열부(138)에 포함되는 부분은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공받더라도 거의 발열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발열부(137)에 포함되는 제1 발열체(13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과 제2 열원(140)의 제1 부분(147)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의 합이 제2 열원(140)의 제2 부분(148)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141)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과 대략 동일하므로, 제1 및 제2 열원(130, 140)은 정착부재(120)를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반면, 화상형성장치(1)가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인쇄매체(S)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정착장치(100)는 제1 열원(130)에만 전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 발열체(131) 중 제1 발열부(137)에 포함되는 부분은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며, 제1 발열체(131) 중 제1 비발열부(138)에 포함되는 부분은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공받더라도 거의 발열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열원(130)과 제2 열원(140)은 병렬 연결되며, 제2 열원(140)측에는 스위칭 소자(102)가 배치된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102)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2 열원(14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온(on)되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2 열원(14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정착장치 제어부(101)가 전압부(10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정착장치(100)를 통전시키더라도, 제2 열원(140)에는 선택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제1 열원(130)의 가열이 필요한 구간(본 실시예의 제1 구간(S1)) 이외의 구간(본 실시예의 제2 구간(S2))이 발열되지 않으므로, 과열로 인한 인쇄성능의 저하 및 인쇄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를 사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A5 크기의 인쇄매체(S)를 길이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즉, 세로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인쇄속도는 60PPM(Page Per Minute)이며, 1000매를 인쇄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1050초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340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기준인쇄시간/실제인쇄시간)은 대략 78%가 나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062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99%가 나왔다. 또한,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해 54매부터 정착장치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705매, 810매 및 918매를 인쇄하는 시점에서 냉각을 위한 공회전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한 인쇄매체(S)간 간격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냉각을 위한 공회전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A4 크기의 인쇄매체(S)를 길이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인쇄속도는 44PPM이며, 1000매를 인쇄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1383초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640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84%가 나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487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93%가 나왔다. 또한,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해 83매부터 정착장치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한 인쇄매체(S)간 간격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다.
A6 크기의 인쇄매체(S)를 길이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인쇄속도는 40PPM이며, 1000매를 인쇄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1550초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980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78%가 나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565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99%가 나왔다. 또한,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해 116매부터 정착장치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한 인쇄매체(S)간 간격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다.
A4 크기의 인쇄매체(S)를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자른 크기의 인쇄매체(S)를 길이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인쇄속도는 32PPM이며, 1000매를 인쇄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1875초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2132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88%가 나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857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100%가 나왔다. 또한,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해 83매부터 정착장치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392, 477, 546, 602, 653, 768, 822 및 872매 인쇄하는 시점에서 냉각을 위한 공회전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700매에 이르러서야 정착장치(100)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인쇄매체(S)의 간격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인쇄속도는 32PPM을 유지하였다. 또한, 냉각을 위한 공회전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Legal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인쇄속도는 35PPM이며, 1000매를 인쇄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1764초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하는 경우, 인쇄시간은 1862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95%가 나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사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인쇄시간은 1782초가 소요되었으며, 정착효율은 대략 99%가 나왔다. 또한, 종래의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해 8매부터 정착장치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쇄를 진행한 경우, 과열로 인한 인쇄매체(S)간 간격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정착장치(100)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간 간격이 증가하지 않으며 과열로 인한 공회전을 수행하지 않게 되므로 인쇄시간이 단축되어 정착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 정착효율의 차이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착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열원(130)의 제1 비발열부(138)의 온도가 대략 220℃에서 대략 170℃로 하강하므로, 과열로 인한 인쇄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100)를 설명함에 있어, 제2 열원(14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1 열원(1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열원(1130)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가열하기 위해 제1 구간(S1)을 가열하는 제1 발열체(1131)와, 제1 발열체(113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1 발열체(1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도체(1132)와, 제1 발열체(1131) 및 제1 전도체(113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바디(1133)와, 제1 발열체(1131) 및 제1 전도체(1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134)를 포함한다.
제1 발열체(1131)는 제1 바디(113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체(1132)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1 발열체(1131)는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으며,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러한 제1 발열체(1131)는 일 실시예에서와 달리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1 발열부(1137)에만 구비되며, 제1 발열체(1131)의 양단에는 제1 전도체(1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발열체(1131)와 제1 전도체(1132)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호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 연결부재(1134)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1 구간(S1)의 양단부에는 제1 발열체(1131)와 제1 전도체(1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구간(S3)이 배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열원(113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열원(1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으로 갈수록 제1 구간(S1), 제3 구간(S3) 및 제4 구간(S4)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4 구간(S4)에서는 제1 전도체(1132)가 제1 바디(1133)에 의해 밀봉되어 제1 비발열부(1138)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133)의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부분은 내부에 제1 전도체(1132)를 배치한 후 융착 형성하여 내부에 중공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1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전도체(113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제1 발열체(1131)가 발열되는 제1 발열부(1137)가 형성되며, 제3 구간(S3) 및 제4 구간(S4)으로 이루어진 제2 구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제1 비발열부(113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1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더라도,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과열로 인한 인쇄성능의 저하 및 인쇄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2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3 실시에에 따른 정착장치(2100)를 설명함에 있어, 제2 열원(14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1 열원(2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열원(2130)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가열하기 위해 제1 구간(S1)을 가열하는 제1 발열체(2131)와, 제1 발열체(213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1 발열체(2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도체(2132)와, 제1 발열체(2131) 및 제1 전도체(213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바디(2133)와, 제1 발열체(2131) 및 제1 전도체(2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2134)를 포함한다.
제1 발열체(2131)는 제1 바디(213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체(2132)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1 발열체(2131)는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으며,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러한 제1 발열체(2131)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1 발열부(2137)에만 구비되며, 제1 발열체(2131)의 양단에는 제1 전도쳬(2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발열체(2131)와 제1 전도체(2132)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호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 연결부재(2134)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구간(S1)의 양단부에는 제1 발열체(2131)와 제1 전도체(2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구간(S3)이 배치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열원(213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열원(2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으로 갈수록 제1 구간(S1), 제3 구간(S3) 및 제4 구간(S4)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4 구간(S4)에는 제1 전도체(2132)가 제1 밀봉부재(2135)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제1 밀봉부재(2135)는 절연성 및/또는 난연성을 가지며, 제1 전도체(2132)를 감싸며 밀봉한다. 제1 밀봉부재(2135)는 유리관 또는 세라믹관 일 수 있다.
이러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213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전도체(213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제1 발열체(2131)가 발열되는 제1 발열부(2137)가 형성되며, 제3 구간(S3) 및 제4 구간(S4)으로 이루어진 제2 구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제1 비발열부(213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2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더라도,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과열로 인한 인쇄성능의 저하 및 인쇄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100)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열원(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2 열원(3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열원(3140)은 상대적으로 폭이 큰 인쇄매체(S)를 가열하기 위해 제1 구간(S1) 및 제4 구간(S4)을 가열하는 제2 발열체(3141)와, 제2 발열체(314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2 발열체(3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도체(3142)와, 제2 발열체(3141) 및 제2 전도체(314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바디(3143)와, 제2 발열체(3141) 및 제2 전도체(3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3144)를 포함한다.
제2 발열체(3141)는 제2 바디(314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도체(3142)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2 발열체(3141)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다. 제2 발열체(3141)는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2 발열체(3141)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달리 인쇄매체(S)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한 밀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2 열원(3140)의 제1 부분(3147) 및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2 열원(3140)의 제2 부분(3148)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3141)는 제2 발열부를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100)는 도 5에 도시된 정착장치(100)와 달리,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미도시)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1 열원(130)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대적으로 폭이 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2 열원(3140)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100)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열원(130, 3140)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4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4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열원(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2 열원(4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열원(4140)은 제4 구간(S4)을 가열하는 제2 발열체(4141)와, 제2 발열체(4141)가 발열될 수 있도록 제2 발열체(4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도체(4142)와, 제2 발열체(4141) 및 제2 전도체(414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바디(4143)와, 제2 발열체(4141) 및 제2 전도체(4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4144)를 포함한다.
제2 발열체(4141)는 제2 바디(4143)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도체(4142)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발열된다. 이러한 제2 발열체(4141)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하는 텅스텐 필라멘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발열체(4141) 중 제4 구간(S2)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 구간(S2)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제2 바디(414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할로겐 가스와 함께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2 전도체(4142)를 통해 제2 발열체(4141)에 전력을 공급하면 제2 발열체(4141)의 제4 구간(S4)에 대응하는 부분은 발열되어 제4 구간(S4)을 가열한다. 즉,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2 열원(4140)의 일부분은 제2 발열부(4147)를 형성한다.
다만,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발열체(4141) 중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 바디(4143)에 의해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된다. 즉, 제1 구간(S1)에 대응하는 제2 바디(4143)의 일부분은 제2 발열체(4141)를 완전히 감싸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열원(4140)의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비발열부(41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전도체(4142)를 통해 제2 발열체(4141)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2 발열체(4141)의 일부분은 거의 발열되지 않는다. 다만, 제2 발열체(4141)는 제2 열원(414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발열체(4141)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열원(4140)을 통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4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착장치(100)와 같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1 열원(130)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1 발열체(131)의 일부분만 발열되며,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1 발열체(131)의 나머지 일부분은 발열되지 않는다.
반면, 상대적으로 폭이 큰 인쇄매체(S)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4140) 모두에 전력을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구간(S1)은 제1 열원(130)에 의해 가열되며, 제4 구간(S4)은 제2 열원(4140)에 의해 가열된다. 즉,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4140)이 협력하여 폭이 큰 인쇄매체(S)를 전체적으로 가열한다.
이렇게 제1 열원(4130) 및 제2 열원(4140)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정착장치(100)의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40)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방법과 동일한 제어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4100)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열원(130, 4140)에 전력을 공급하며, 제2 열원(4140)에서 발열되는 구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5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5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열원(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2 열원(5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열원(5140)은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인 제2 비발열부에 제2 전도체(5142)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2 열원(5140)의 일부분에는 제2 발열체(5141)가 할로겐 가스와 함께 제2 바디(51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발열부(5147)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발열체(5141)의 양단부는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에 배치된 각각의 제2 연결부재(5144)를 통해 제2 전도체(5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발열체(5141)와 제2 전도체(5142)는 상호 용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전도체(5142) 중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 일부분은 제2 바디(5143)에 의해 밀봉된다. 즉,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2 바디(5143)의 일부는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전도체(5142)를 완전히 감싸도록 융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제2 열원(5140)에는 제2 비발열부(5148)가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열원(5140)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2 전도체(5142)를 통해 제2 발열체(5141)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2 열원(5140)의 제2 비발열부(5148)에서는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만, 제2 비발열부(5148)에 포함되는 제2 발열체(5141)는 제2 열원(514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2 발열체(5141)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열원(5140)을 통전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2 열원(5140)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전도체(514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2 발열부(5147)에서만 열이 발생되며,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에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6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6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열원(13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제2 열원(6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열원(6140)은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인 제2 비발열부(6148)에 배치된 제2 전도체(6142)를 제2 밀봉부재(6145)로 밀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제2 열원(6140)의 일부분에는 제2 발열체(6141)가 할로겐 가스와 함께 제2 바디(614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발열부(6147)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 발열체(6141)의 양단부는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에 배치된 제2 연결부재(6144)를 통해 제2 전도체(6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발열체(6141)와 제2 전도체(6142)는 상호 용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전도체(6142) 중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 일부분은 제2 밀봉부재(6145)에 의해 밀봉된다. 즉, 제2 밀봉부재(6145)는 제2 열원(6140)의 제1 구간(S1)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2 전도체(6142)를 감싸며 밀봉하여 제2 비발열부(6148)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 밀봉부재(6145)는 상술한 제1 밀봉부재(2135)와 같이 절연성 및/또는 난연성을 가지며, 유리관 또는 세라믹관 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2 열원(6140)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전도체(614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제4 구간(S4)에 대응되는 부분만 발열되며,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에 대응되는 부분은 발열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정착장치(100, 1100, 2100, 3100, 4100, 5100, 6100)의 제1 열원(130, 1130, 2130) 및 제2 열원(140, 3140, 4140, 5140, 6140) 중 일부분만 발열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한 인쇄성능의 저하 및 인쇄속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0, 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정착장치
130, 1130, 2130; 제1 열원
136, 1136, 2136; 제1 비발열부
140, 3140, 4140, 5140, 6140; 제2 열원
137, 1137, 2137; 제1 발열부
138, 1138, 2138; 제1 비발열부
147, 4147, 5147, 6147; 제2 발열부
148, 4148, 5148, 6148; 제2 비발열부
S; 인쇄매체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S3; 제3 구간
S4; 제4 구간

Claims (22)

  1.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연결된 제1 전도체와, 내부에 상기 제1 발열체와 제1 전도체가 배치되고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는 제1 열원;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된 제2 전도체와, 내부에 상기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전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제2 열원;
    상기 제1 열원 및 상기 제2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부재; 및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분은 내부에 마련된 중공에 상기 제1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가스가 구비된 제1 발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바디의 나머지 일부분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1 발열부와 구획 및 밀봉된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분은 내부에 마련된 중공에 상기 제2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가스가 구비된 제2 발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바디의 나머지 일부분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발열부와 구획 및 밀봉된 제2 비발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발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비발열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정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되는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열부의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1 비발열부의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정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원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한 2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정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발열부는 상기 제1 발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정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발열부에 상기 제1 전도체가 밀봉된 경우, 상기 제1 전도체는 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제1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정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정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전도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재가 마련되는 정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는 상기 제2 발열체의 제2 가열구간이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가열구간보다 크며 상기 제1 가열구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발열체보다 길게 형성된 정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발열체의 제1 부분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은 상기 제2 발열체의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보다 작은 정착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의 단위 구간당 발열량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정착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되는 정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발열부에 상기 제2 전도체가 밀봉된 경우, 상기 제2 전도체는 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제2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정착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부는 상기 제2 비발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정착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전도체 사이에는 상기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가 마련되는 정착장치.
  19.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제1 발열체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연결된 제1 전도체와, 상기 제1 발열체와 제1 전도체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는 제1 열원;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가열구간보다 크며 상기 제1 가열구간을 포함하는 제2 가열구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제1 발열체보다 길게 형성된 제2 발열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연결된 제2 전도체와, 상기 제2 발열체와 제2 전도체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제2 열원;
    상기 제1 열원 및 상기 제2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부재; 및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에 가스가 구비되며 제1 가열구간에 대응하는 제1 발열부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밀봉한 제1 비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에 가스가 구비되며 제2 가열구간에 대응하는 제2 발열부와,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가 상기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발열체 또는 상기 제2 전도체를 밀봉한 제2 비발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 또는 상기 제1 전도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21.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부재;
    상기 정착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정착부재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정착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발열체를 구비하며, 제1 발열체와 할로겐 가스를 구비하는 제1 발열부와, 상기 제1 발열체의 일부분을 상기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하여 발열되지 않도록 한 제1 비발열부가 마련된 제1 할로겐 램프; 및
    상기 정착부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발열체를 구비하며, 제2 발열체와 할로겐 가스를 구비하는 제2 발열부와, 상기 제2 발열체의 일부분을 상기 할로겐 가스로부터 차단되도록 밀봉하여 발열되지 않도록 한 제2 비발열부가 마련된 제2 할로겐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비발열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정착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로겐 램프는 내부에 상기 제1 발열체를 수용하기 위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발열부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발열체를 감싸도록 융착 형성되는 정착장치.
KR1020150141200A 2015-10-07 2015-10-07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230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00A KR102305620B1 (ko) 2015-10-07 2015-10-07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5/285,923 US9804540B2 (en) 2015-10-07 2016-10-05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6192468.3A EP3168690A1 (en) 2015-10-07 2016-10-05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610879120.2A CN107065480B (zh) 2015-10-07 2016-10-08 定影装置和具有该定影装置的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00A KR102305620B1 (ko) 2015-10-07 2015-10-07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75A KR20170041575A (ko) 2017-04-17
KR102305620B1 true KR102305620B1 (ko) 2021-09-27

Family

ID=5708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00A KR102305620B1 (ko) 2015-10-07 2015-10-07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04540B2 (ko)
EP (1) EP3168690A1 (ko)
KR (1) KR102305620B1 (ko)
CN (1) CN107065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1325A (ja) *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7175154B2 (ja) * 2018-10-24 2022-11-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646A (ja) * 2001-03-02 2002-09-11 Ushio Inc 加熱ローラ用ヒータランプ装置
WO2008041523A1 (fr) * 2006-09-26 2008-04-10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ampe chauffante
JP2009064658A (ja) * 2007-09-06 2009-03-26 Canon Inc 加熱部材及びこの加熱部材を有する像加熱装置
JP6052674B2 (ja) * 2013-04-25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193A (ja) * 1995-01-20 1996-08-09 Canon Inc 定着装置
KR100472472B1 (ko) * 2002-08-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US7406286B2 (en) * 2003-02-14 2008-07-29 Seiko Epson Corporatio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roller with multiple heaters
US7283145B2 (en) * 2004-06-21 2007-10-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and heater therefor
US7925177B2 (en) 2004-07-21 2011-04-12 Ricoh Co, Ltd. Image fixing apparatus stably controlling a fixing tempera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71943B2 (ja) * 2010-12-1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5796714B2 (ja) * 2012-01-13 2015-10-2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2525B2 (ja) * 2012-02-09 2016-11-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95132B2 (ja) * 2012-02-09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6840B2 (ja) 2013-03-13 2018-03-0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50107B2 (ja) * 2013-03-15 2017-06-2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35380B2 (en) * 2013-05-29 2017-01-03 Ricoh Company, Lt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646A (ja) * 2001-03-02 2002-09-11 Ushio Inc 加熱ローラ用ヒータランプ装置
WO2008041523A1 (fr) * 2006-09-26 2008-04-10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ampe chauffante
JP2009064658A (ja) * 2007-09-06 2009-03-26 Canon Inc 加熱部材及びこの加熱部材を有する像加熱装置
JP6052674B2 (ja) * 2013-04-25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65480B (zh) 2021-03-26
CN107065480A (zh) 2017-08-18
US9804540B2 (en) 2017-10-31
EP3168690A1 (en) 2017-05-17
KR20170041575A (ko) 2017-04-17
US20170102645A1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571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reflecting plate with tilted ends
US10295937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95058B2 (en) Toner fixing device with light control mirror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1460137B1 (ko) 정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20160246228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6444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4715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20408B2 (en) Fixing device
KR20120005772A (ko) 정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934824B2 (en) Nip member configuration of a fixing device
US990422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305620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1237507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078922A (ko) 정착 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와 화상형성장치
WO2005015320A1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29444A (ja) 板状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667303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19811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01020B2 (ja) 加熱ヒータ、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9720A (ja) 板状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508753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172602A (ja)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19897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58246A (ja) セラミック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9175494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