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03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03B1
KR102305203B1 KR1020150039003A KR20150039003A KR102305203B1 KR 102305203 B1 KR102305203 B1 KR 102305203B1 KR 1020150039003 A KR1020150039003 A KR 1020150039003A KR 20150039003 A KR20150039003 A KR 20150039003A KR 102305203 B1 KR102305203 B1 KR 10230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hild
child sea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823A (ko
Inventor
모리히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60N2002/28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일드 시트(10)는, 앉음부(45)와 앉음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는 등받이부(50)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와, 앉음부와 등받이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구역(37)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영역(37a)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 한 쌍의 벨트 부재(92)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90)를 구비한다. 차일드 시트 본체는, 각 벨트 부재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를 저면(28)의 일부로 하고 또한 당해 벨트 부재를 수납 가능한 한 쌍의 수납 캐비티(27)를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어린이용 벨트를 가진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0-269702A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린이(젖먹이, 유아, 아동 등의 연소자)를 안전하게 차량에 승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차량의 좌석 상에 배치되는 차일드 시트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월령이 낮은 어린이부터 월령이 높은 어린이에게까지 적용 가능한 차일드 시트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의 대부분이, 착좌(着座)한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어린이용 벨트를 갖고 있다. 어린이용 벨트는, 월령이 낮은 어린이에 대하여 사용된다. 한편, 월령이 높은 어린이는, 차량용의 시트 벨트에 의해, 차일드 시트와 함께 차량의 좌석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가 월령이 높은 어린이에 사용되는 경우, 어린이용 벨트가 연장 돌출되어 있으면, 어린이의 착좌에 지장을 준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전형적인 차일드 시트에서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어린이용 벨트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강 리브 사이에, 불필요시의 어린이용 벨트를 메워 넣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불사용시의 어린이용 벨트를 보강 리브 사이에 메워 넣는 작업은 번잡하며, 보기에도 좋지 않다. 또한, 보강 리브 사이에 충분한 수납 스페이스를 확보하려고 하면, 차일드 시트 본체의 앉음면을 이루는 넓은 영역에 걸쳐서, 보강 리브로 보강된 깊은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발생한다. 넓은 면적에 걸친 깊은 오목부는, 편안감을 악화시키며, 나아가 강도도 저하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넓은 면적에 걸치는 깊은 오목부에 의거하지 않고, 불사용시의 어린이용 벨트를 보기 좋게 수납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의 차일드 시트는,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앉음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구역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端)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 한 쌍의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각 벨트 부재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를 저면(底面)의 일부로 하고 또한 당해 벨트 부재를 수납 가능한 한 쌍의 수납 캐비티를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차일드 시트는,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부를 가진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앉음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구역 내의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본체부의 각 단영역에는 단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본체부는, 상기 단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또한 각 벨트 부재를 지지하는 벨트 지지 부재와, 상기 벨트 지지 부재에 접속해서 상기 단오목부 내에 설치된 보강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각 벨트 지지 부재의 주위에서 상기 단오목부를 각각 덮는 한 쌍의 덮개 부재를 갖고,
각 덮개 부재는, 각 벨트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벨트 부재를 수납 가능한 수납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납 캐비티는, 상기 벨트 지지 부재의 단면(端面)을, 저면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부는,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를 더 포함하고, 각 단오목부는, 상기 측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의 접속 위치에 따르도록 하여, 상기 앉음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면적에 걸치는 깊은 오목부에 의거하지 않고, 불사용시의 어린이용 벨트를 보기 좋게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차일드 시트를 후(後) 상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제 1 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제 2 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어린이용 벨트를 제거한 상태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차일드 시트의 하방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차일드 시트의 하방 부분을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1은 차일드 시트의 수납 오목부를 나타내는 측단면.
도 12는 차일드 시트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벨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차일드 시트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차일드 시트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차일드 시트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7은 락 오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락 오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락 오프 디바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0은 락 오프 디바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0)는, 차량, 예를 들면 자동차의 좌석(5) 상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차일드 시트(10)는, 어른을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좌석(차량 시트)(5)이나 시트 벨트(7)를 포함하는 차량에, 어린이(젖먹이, 유아, 아동 등의 연소자)를 적절 및 안전하게 승차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차일드 시트(10)는, 「후향 상태」, 「제 1 전향 상태」 및 「제 2 전향 상태」의 3종류의 태양으로, 좌석(5)에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후향 상태」에서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가 차의 후방을 향하게 된다. 「제 1 전향 상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7)가 좌석부(40)의 후방에서 차일드 시트(10)를 관통함으로써, 차일드 시트(10)가 좌석(5) 상에 고정되어, 좌석부(40)에 착좌한 어린이가 전향(前向)으로 어린이용 벨트(90)에 의해 유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 2 진행 상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린이용 벨트(90)가 차일드 시트 본체(20)로부터 제거되고, 시트 벨트(7)에 의해, 차일드 시트(10) 및 좌석부(40)에 착좌한 어린이가 좌석(5)에 전향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여기에서, 시트 벨트(7)란, 한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어깨로부터 다른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허리로 연장되는 어깨 벨트(7a)와, 한쪽 측의 허리로부터 다른쪽 측의 허리로 연장되는 허리 벨트(7b)를 가진, 즉, 3점식의 시트 벨트이다. 이 시트 벨트(7)는, 단일의 벨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텅(tongue; 8a)을 삽통(揷通)하고 있다. 텅(8a)은, 당해 단일의 벨트 형상 부재를 절곡(折曲)하여, 시트 벨트(7)를 어깨 벨트(7a)와 허리 벨트(7b)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좌석(5)의 다른쪽 측에는, 버클(8b)이 더 설치되어 있다. 텅(8a)이 버클(8b)에 계지(係止)됨으로써, 좌석(5) 상에 착좌하는 사람의 신체가 시트 벨트(7)에 의해 당해 좌석(5)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 사용하는 「전」, 「후」, 「우」, 「좌」, 「횡」,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를 기준으로 한「전」,「후」, 「우」, 「좌」, 「횡」, 「상」 및 「하」를, 각각 의미한다.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요소의 「폭 방향 」이란, 「좌」 및 「우」를 연결하는 방향, 즉 「횡방향」이다.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요소의 「높이 방향 」이란, 「상하 방향」이다. 또한,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요소의 「전후 방향」이란, 「전」 및 「후」를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전후 방향」 또는 「주행 방향」에도 일치한다.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는, 어린이가 착좌하는 또는 어린이를 수용하는 좌석부(40)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와, 차일드 시트 본체(20)에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90)와,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좌석부(40)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재(99)를 갖고 있다. 이 중 커버재(99)는, 포재(布材) 등으로부터 형성되어, 적절한 쿠션성이 부여되어 있다. 커버재(99)는, 후술하는 좌석부(40)의 걸이구(59) 이외의 부분을 대략 덮고 있다. 또, 커버재(99)는, 도 1 및 도 8에서만 도시되며, 그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용 벨트(90)는, 도 1, 도 2, 도 14∼도 16에서만 도시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차량의 좌석(5)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70)와, 베이스(70) 상에 고정된 시트 본체부(30)와, 시트 본체부(30)에 장착된 락 오프 디바이스(80) 및 덮개 부재(89)를 갖고 있다. 이 중, 시트 본체부(30)는, 좌석부(40)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보강 암부((65)를 갖고 있다. 또,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베이스(70) 또는 시트 본체부(30)에 장착된 장착부(110a)를 갖는 스트랩 부재(110)와, 스트랩 부재(110)에 유지된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더 갖고 있다. 벨트 가이드 부재(1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향 상태에 있어서,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를 유도한다. 이하,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어린이용 벨트(90)에 관련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구성과 함께 어린이용 벨트(90)를 설명한다. 또,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0)는, 전체적으로,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 방향(앞뒤 방향)에 따른 면(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20)>
<<베이스(70)>>
먼저, 베이스(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70)는, 시트 본체부(3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위이다. 베이스(70)는, 전면(70a)과, 전면(70a)에 접속하는 제 1 하면(70b)과, 제 1 하면(70b)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하면(70c)을 갖고 있다. 제 2 하면(70c)은, 제 1 하면(70b)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하면(70c)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차일드 시트(10)의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제 2 하면(70c) 및 전면(70a)은, 서로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 상태 및 제 2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제 1 하면(70b)이, 좌석(5)의 앉음면에 접촉한다. 한편,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제 2 하면(70c)이 주로 좌석(5)의 앉음면에 접촉하며 또한 전면(70a)이 좌석(5)의 등받이에 맞닿는다. 따라서, 베이스(70)에 지지된 시트 본체부(30)의 좌석(5)에 대한 경사 각도는, 제 1 전향 상태 및 제 2 전향 상태와, 후향 상태 사이에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본체부(30)에 포함되는 좌석부(40)의 등받이부(50)는, 제 1 전향 상태 및 제 2 전향 상태 보다도, 후향 상태에 있어서 보다 경사지는(눕혀지는) 것으로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전면(7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 사이에는,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7)가 통과하는 극간(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소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25)를 갖고 있다. 이 수납 오목부(25)는, 주로 베이스(70)에 의해, 시트 본체부(30)와 베이스(70) 사이에 형성된다. 극간(22) 및 수납 오목부(25)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시트 본체부(30)를 설명한 후에, 상술한다.
<<시트 본체부(30)>>
다음으로,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부(30)는, 좌석부(40) 및 보강 암부(65)를 갖고 있다. 이 중, 우선, 좌석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석부(40)>>>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부(30)의 좌석부(40)는, 어린이가 착좌하는 또는 어린이를 수용하는 부위이다. 좌석부(40)는, 앉음부(45) 및 등받이부(50)와, 앉음부(45) 및 등받이부(50)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55)를 갖고 있다. 앉음부(45)는, 어린이의 엉덩이 부분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등받이부(50)는, 어린이의 등 부분에 후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7, 도 14 및 도 1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50)에는, 어린이용 벨트(90)가 관통하는 어린이 벨트용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어린이 벨트용 구멍(51)은, 상하 방향으로 이간해서 3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 벨트용 구멍(51)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는, 어린이 벨트 수용 구멍(51) 보다도 큰 가이드 부재용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용 구멍(54)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으며, 벨트 가이드 부재(100)가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측부(55)는,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 부재(60)를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 부재(60)는, 제 2 전향 상태에 있어서, 벨트 가이드 부재(100)와 함께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를 소정의 경로로 유도한다. 또한, 각 측부(55)는,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59)를 갖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이구(59)는,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7)를 소정의 경로로 유도하는 유도구로서 기능한다.
각 측부(55)는, 어린이의 양 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부(55)에는, 노치(56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56a)는, 앉음부(45) 및 등받이부(50)의 접속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56a)는, 제 2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7)를 소정의 경로로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제 2 전향 상태에서 차량의 좌석(5)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한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에서 연장 돌출된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가, 다른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노치(56a)에 지지된다. 허리 벨트(7b)는, 양측의 노치(56a, 56a)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텅(8a)이 버클(8b)에 체결된다. 도 7에 나타낸 제 2 전향 상태에서는, 시트 벨트(7)에 의해, 차일드 시트(10)를 좌석(5)에 고정함과 함께, 동시에, 차량의 시트 벨트(7)에 의해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10)에 고정한다. 즉, 제 2 전향 상태에서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에 장착되는 어린이용 벨트(90)(도 7 참조)를 이용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55)에는, 걸이구(59)에 걸려진시트 벨트(7)를 극간(22)으로 유도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55)는, 등받이부(50)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등받이부(50)의 폭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기단부(57a) 및 기단부(57a)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서 후방으로 되접어 꺾은 선단부(57b)를 포함하는 커프재(57)와, 기단부(57a) 및 선단부(57b)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리브재(58)를 포함하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55)는, 앉음부(45)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앉음부(45)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기단부(57a) 및 기단부(57a)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서 하방으로 되접어 꺾은 선단부(57b)를 포함하는 커프재(57)와, 기단부(57a) 및 선단부(57b)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리브재(5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 벨트(7)를 극간(22)으로 유도하는 경로는, 기단부(57a) 및 선단부(57b) 사이가 되는 커프재(57) 내의 복수의 리브재(58)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 암부(65)>>>
다음으로, 보강 암부(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 암부(65)가, 좌석부(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보강 암부(65)는, 좌우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각 보강 암부(6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보강 암부(65)는, 좌석부(40)의 등받이부(50)의 이면(裏面)에 그 상단부(65a)에서 접속되며, 또한, 좌석부(40)의 등받이부(50)의 이면에 그 하단부(65b)에서도 접속되어 있다. 보강 암부(65)는, 상단부(65a) 및 하단부(65b)사이에 있어서, 좌석부(40)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즉, 각 보강 암부(65)와 좌석부(40) 사이에는, 벨트 통과 극간(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벨트 통과 극간(6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7)가 벨트 통과 극간(61) 내를 통과한다. 각 보강 암부(65)는, 그 하방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한 전방 돌출부(66)를 갖고 있다. 전방 돌출부(66)는, 벨트 통과 극간(61)의 하방으로 벨트 유도 극간(61a)을 구획하고 있다.
<<락 오프 디바이스(80)>>
이상과 같은 시트 본체부(30)의 좌우 후방에 구성되는 각 벨트 통과 극간(61)의 상단 부분에는, 각각,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벨트 통과 극간(61)의 상단 부분을 획성(劃成)하는 시트 본체부(30)의 삼방(三方)틀(32)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시트 본체부(30)의 삼방틀(32)과 함께, 락 오프 디바이스(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한 쌍의 락 오프 디바이스(80) 및 한 쌍의 삼방틀(32)은, 각각,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길이 방향을 가진 가늘고 긴 슬릿(80a)을 갖고 있다. 이 슬릿(80a)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당해 개구부를 통해서, 차량에 장착된 시트 벨트(7)가 슬릿(80a) 내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요동(搖動)편(82)을 갖고 있다. 요동편(82)은, 슬릿(80a)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축선(sd)을 중심으로 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편(82)은, 도시하지 않는 추진 부재(예를 들면, 토션(torsion)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요동 방향으로 추진되어 있다. 추진 부재로부터의 추진력에 의해, 요동편(82)은, 슬릿(80a)을 삽통하는 시트 벨트(7)를 파지할 수 있다. 즉,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슬릿(80a) 내를 통과하는 시트 벨트(7)를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사용된다. 또, 도 18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요동편(8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슬릿(80a)이 형성된 디바이스 본체부(81)와, 디바이스 본체부(81)로부터 연장 돌출된 플랜지부(84)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84)는, 슬릿(80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의 개구를 막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본체부(81)로부터 슬릿(80a)이 개구되어 있지 않은 세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부(40)와 보강 암부(65) 사이에, 삼방틀(32)이 형성되어 있다. 삼방틀(32)은, 세 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홈(33)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홈(33)은, 한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33)은, 좌석부(40)와 보강 암부(65) 사이의 벨트 통과 극간(61)의 상단 부분을 이루고 있다. 삼방틀(32)은, 홈(33)을 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전방 틀부(32a)와, 홈(33)을 후방으로부터 구획하는 후방 틀부(32b)와, 홈(33)을 상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상방 틀부(32c)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홈(33)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홈(33)은, 바닥이 없는 홈으로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20과 도 3을 대비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디바이스 본체부(81)가 홈(3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80a)은, 홈(33)을 따라서 연장되며, 벨트 통과 극간(61) 내를 향하여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플랜지부(84)와의 사이에서 삼방틀(32)의 일 부분을 폭 방향으로 끼워넣는 클로편(85)과 디바이스 본체부(81) 또는 플랜지부(84)에 설치된 돌출편(86)를 더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편(85)은, 플랜지부(84)의 하단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기단 연장부(85a)와, 기단 연장부(85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상승되는 선단 클로부(85b)를 갖고 있다. 이 클로편(85)은, 삼방틀(32) 중의 후방 틀부(32b)와 걸어 맞춰진다.
한편, 돌출편(86)은,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시트 본체부(3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홈(33)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돌출편(86)은, 시트 본체부(30)에 설치된 유지 구멍(39)에 삽입된다. 도 2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유지 구멍(39)은, 보강 암부(65)의 상단부(65a), 또는, 보강 암부(65)와 시트 본체부(30)와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86)은, 플랜지부(84)의 슬릿(80a) 보다 상방이 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편(86)은, 디바이스 본체부(8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디바이스 본체부(81)가 홈(33) 내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해서, 삼방틀(3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위치 결정을 용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좌석부(40)의 측부(55)를 전방 측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관통한 체결구 및 보강 암부(65)를 후방 측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관통한 체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락 오프 디바이스(80) 및 락 오프 디바이스(80)와 대면하게 되는 시트 본체부(30)의 부분의 한쪽에 유지 팽출부가 설치되며, 다른쪽에 유지 팽출부를 받아들이는 유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부(40)에 유지 팽출부(53)가 형성되며,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플랜지부(84)에 유지 오목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팽출부(53) 및 유지 오목부(84a)의 걸어 맞춤에 의해,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팽출부(53)의 돌출 방향은, 홈(33)의 길이 방향과 교차, 특히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 팽출부(53) 및 유지 오목부(84a)의 걸어 맞춤에 의해, 체결구를 사용한 고정 이전에,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임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를 사용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고정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본체부(30)에 삼방틀(32)이 설치되고, 삼방틀(32)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디바이스 본체부(81)를 수용하는 홈(3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플랜지부(84) 사이에서 삼방틀(32)을 폭 방향으로 끼워넣는 클로편(85)을 갖고 있다.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를 이용함으로써,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용이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본체부(30)에 삼방틀(32)이 설치되고, 삼방틀(32)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디바이스 본체부(81)를 수용하는 홈(3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디바이스 본체부(81) 또는 플랜지부(84)에 설치된 돌출편(86)을 갖고 있다. 이 돌출편(86)은,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시트 본체부(30)에 장착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본체부(81) 또는 플랜지부(84)로부터 홈(33)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시트 본체부(30)에 형성된 유지 구멍(39)에 삽입된다. 돌출편(86) 및 유지 구멍(39)을 이용함으로써,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용이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석부(40)를 전방 측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관통한 체결구 및 보강 암부를 후방 측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관통한 체결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87)(도 7 참조)에 의해,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플랜지부(84)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 눈에 들어오기 쉬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플랜지부(84)의 의장(意匠)성이, 체결구(87)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설명하는 차일드 시트(10)에 있어서,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로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플랜지부(84)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를 사용하는 것은 특별히 배제되지 않는다. 즉,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 이외의 방향, 예를 들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슬릿(80a)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면, 하방 측으로부터 상방 측으로)으로 연장되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하여도 된다.
또한,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와 삼방틀(32)의 걸어 맞춤, 또는, 돌출편(86)과 유지 구멍(39)의 걸어 맞춤을 이용함으로써, 체결구(87)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용이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와 삼방틀(32)의 걸어 맞춤과 함께, 돌출편(86)과 유지 구멍(39)의 걸어 맞춤을 이용할 수 있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결구(87)의 수량을 보다 저감하기 쉬워지게 되고,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보다 용이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이간해서 배치된 복수의 클로편(85)을 갖도록 하여도 된다. 이 예에 따르면, 복수의 클로편(85)의 각각과 삼방틀(32)의 걸어 맞춤에 의해,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용이하게 또한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용이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부(40)의 등받이부(50)에, 체결구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디바이스 본체부(81)에는, 이 체결구용 구멍(52)에 대면하게 되는 위치에, 체결구용 구멍(8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나사로 이루어지는 체결구(87)는, 체결구용 구멍(52)을 관통하여, 체결구용 구멍(80b)에 끼워 맞춰져 있다. 즉, 체결구(87)는, 좌석부(40)의 등받이부(50)를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관통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슬릿(80a) 보다도 전방이 되는 부분과 걸어 맞춰져 있다. 그 한편으로, 도 19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클로편(85)은,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디바이스 본체부(81) 보다도 후방이 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가 삼방틀(32)의 후방 틀부(32b)와 걸어 맞춰지고, 또한, 체결구(87)가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삼방틀(32)의 전방 틀부(32a)에 고정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락 오프 디바이스(80)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80a)의 한쪽의 측이 되는 부분을, 체결구(87)에 의해,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락 오프 디바이스(80)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80a)의 다른쪽의 측이 되는 부분을,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와 삼방틀(32)의 걸어 맞춤에 의해,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하방으로 개구된 슬릿(30a)의 양측에 있어서, 시트 본체부(30)에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부(40)를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관통하는 체결구(87)는, 커버재(99)에 의해 덮어진다. 따라서, 이 체결구(87)가 차일드 시트(10)의 미감, 의장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돌출편(86)과 유지 구멍(39)의 걸어 맞춤에 의해, 슬릿(80a) 보다도 상방의 부분에 있어서도 시트 본체부(30)와 계지된다. 즉,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홈(33)을 세 방향으로부터 획성하는 삼방틀(32)의 각부(32a,32b,32c)의 측과 걸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 상태가 안정된다. 이 때문에,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의 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결구용 구멍(52) 및 체결구용 구멍(80b)이, 각각, 유지 팽출부(53) 및 유지 오목부(84a)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팽출부(53) 및 유지 오목부(84a)의 걸어 맞춤에 의해,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었을 때, 유지 팽출부(53) 및 유지 오목부(84a)는 고 정밀도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체결구(87)를 사용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하는 체결구(87)로서, 좌석부(40)를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관통한 체결구(87)만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체결구(87)만에 의해,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고정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락 오프 디바이스(80)는, 제 1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사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제 1 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가, 한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락 오프 디바이스(80)에서 파지되면서 다른쪽 측의 벨트 유도 극간(61a)에 지지된다. 허리 벨트(7b)는, 양측의 벨트 유도 극간(61a)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텅(8a)이 버클(8b)에 체결된다.
<<벨트 가이드 부재(100) 및 스트랩 부재(110)>>
벨트 가이드 부재(100)는, 제 2 전향 상태에 있어서,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와 걸어 맞춰지고,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의 위치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는, 벨트 가이드 부재(100)에 형성된 유도 공간(유도 구멍)(10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고, 유도 공간(유도 구멍)(105)을 경유해서 연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 부재(100)는, 차량의 좌석(5) 상에 배치된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의 체격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 부재(100)의 유도 구멍(유도 공간)(105)은, 시트 벨트(7)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가늘고 긴 외윤곽의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 부재(100)에는, 유도 구멍(105)으로 통하는 슬릿(106)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106)의 극간(폭)은 시트 벨트(7)의 두께 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7)를, 유도 공간(105) 내로 만곡(彎曲)시키면서 또는 절곡(折曲)하면서, 슬릿(106)을 통과시킴으로써, 유도 공간(105) 내에 시트 벨트(7)를 삽입하는 것 및 유도 공간(105) 내로부터 시트 벨트(7)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벨트 가이드 부재(100)에는, 스트랩 부재(110)에 의해 삽통되는 3개의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101,102,103)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 부재(100)는, 우선, 유도 구멍(105)으로부터 가장 이간한 가늘고 긴 구멍(101)을 관통하고, 다음으로, 유도 구멍(105)을 통과하여 되접어 꺾는다. 그리고, 유도 구멍(105)에 가장 근접하는 가늘고 긴 구멍(103)을 통과하고, 그 후, 이웃하는 가늘고 긴 구멍(102)을 관통하여 벨트 가이드 부재(100)로부터 이간한다. 이렇게 하여, 스트랩 부재(110)는,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스트랩 부재(110)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 및 스트랩 부재(110)에 따른 벨트 가이드 부재(100)의 유지 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트랩 부재(110)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110a)에서 베이스(70)에 장착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극간(22)>>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0)를 구성하는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 사이에는,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7)가 통과하는 극간(2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극간(22) 및 극간(22)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 사이에, 전방 및 양 측방으로 개구된 극간(22)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70) 및 시트 본체부(30)는, 극간(22) 보다도 후방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70)는, 시트 벨트(7)를 받아들이는 가이드 면(71)을 갖고 있다. 가이드 면(71)은,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베이스(70)는, 베이스(70)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72)를 갖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면(71)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 공간이 시트 벨트의 경로를 획성한다. 또, 가이드 돌출부(72)는, 가이드 면(71)으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가이드 면(7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면(7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으로, 가이드 돌출부(7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본체부(30)는, 베이스(70)를 향하여 극간(22) 내로 팽출한 팽출부(47)를 갖고 있다. 팽출부(47)는, 폭 방향에 있어서 2개의 가이드 면(71)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47)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 면(71) 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의 측면시에 있어서, 팽출부(47)는, 가이드 면(71) 또는 가이드 면(71)의 연장 면(ep)과 교차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장 면」이란, 가이드 면(71)을 연속적으로 연장한 면을 의미한다.
또,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부(40)의 앉음부(45)에는, 앉음면을 이루는 표면에, 버클 수용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 수용 오목부(46)는, 어린이용 벨트(9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클수용 오목부(46)는, 버클(93)을 수용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앉음부(45)로부터 극간(22) 내로 팽출하는 팽출부(47)는, 버클 수용 오목부(46)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버클 수용 오목부(46)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에 대응해서, 베이스(70)의 돌출한 팽출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에서 차량의 좌석(5)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는, 우선 한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걸이구(59)에 의해 진행 방향을 전환 후, 극간(22) 내로 진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이구(59)와 극간(22) 사이에 있어서, 어깨 벨트(7a)는, 측부(55)의 커프재(57) 내로 유도된다(도 3, 도 5, 도 9, 도 10 참조). 어깨 벨트(7a)는, 베이스(70)의 가이드 돌출부(72)와 시트 본체부(30) 사이를 통과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으로부터 극간(22) 내로 진입한다. 그 후, 다른쪽 측(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가이드면(71)에 지지되면서, 당해 가이드면(71)과 가이드 돌출부(72) 사이를 통과하여, 극간(22)로부터 벗어난다(도 4 참조). 한편, 허리 벨트(7b)는, 일방 측의 가이드 면(71)에 지지되면서, 당해 가이드 면(71)과 가이드 돌출부(72) 사이를 통과해서, 극간(22) 내로 진입한다(도 3 참조). 허리 벨트(7b)는, 그 후에 어깨 벨트(7a)와 합류하고, 타방 측(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가이드 면(71)에 지지되면서, 당해 가이드 면(71)과 가이드 돌출부(72) 사이를 통과하여, 극간(22)로부터 벗어난다(도 4 참조). 극간(22)을 타방 측으로 벗어난 텅(8a)이 버클(8b)에 체결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시트 본체부(30)와 베이스(70) 사이에 형성된 극간(22) 내로 차량의 시트 벨트(7)를 통과시킴으로써, 차일드 시트 본체(20)를 차량의 좌석(5)에 후향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시트 벨트(7)가 통과하는 극간(22)은, 전방 및 양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이 극간(22) 내를, 텅(8a)이 통과할 필요는 없다. 얇고 또한 유연성을 가진 허리 벨트(7b) 및 어깨 벨트(7a)가, 전방으로부터 극간(22) 내로 삽입되어, 극간(22)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게 하면,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에 장착할 수 있다. 즉, 극간(22)은 얇아도 충분하며,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0)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극간(22)을 시인(視認)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이 극간(22)에 시트 벨트(7)를 삽입하고,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에 고정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7)의 극간(22)에의 삽입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1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차일드 시트(10)의 차량에의 장착을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가, 극간(22) 보다도 후방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 상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 상에 보다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면(71)은,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 사이의 극간(22) 내로 삽입된 시트 벨트(7)는, 베이스(70)의 가이드 면(71)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 상에 보다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는 전방이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이것에 따라, 하방으로 끌어 당겨지는 차량의 시트 벨트(7)는, 보다 안정한 상태에서, 베이스(70)의 가이드면(71)에 맞닿는다. 결과적으로, 후향 상태에서의 차일드 시트(10)의 설치가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면(71)과의 사이에서 시트 벨트(7)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돌출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출부(71)와 시트 벨트(7)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 상에 보다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출부(72)에 따르면, 이 차일드 시트(10)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벨트(7)의 경로를 시각적으로 교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의 차량에의 장착을 더욱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면(71)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면(71)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시트 벨트(7)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시트 벨트(7)가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면(71) 사이에 형성된 경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72)는, 가이드 면(71)으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면(71)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시트 벨트(7)를 보다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2개의 가이드 면(71)이,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시트 본체부(30)는, 2개의 가이드 면(71) 사이에 팽출부(47)를 갖고 있다. 따라서, 팽출부(47)와 시트 벨트(7)의 걸어 맞춤에 의해,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의 좌석(5) 상에 보다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팽출부(47)에 따르면, 이 차일드 시트(10)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벨트(7)의 경로를 시각적으로 교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의 차량에의 장착을 더욱 용이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팽출부(47)는, 가이드 면(71) 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극간(22) 내에 있어서 팽출부(47)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시트 벨트(7)가, 이 극간(22)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폭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팽출부(47)는, 가이드 면(71) 또는 가이드 면(71)의 연장 면(ep)과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극간(22) 내에 배치된 시트 벨트(7)가, 팽출부(47)를 넘어서 극간(22)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본체부(30)의 앉음부(45)에, 어린이용 벨트(9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버클 수용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47)는, 버클 수용 오목부(46)의 반대측 면으로서, 베이스(70)를 향하여 극간(22) 내로 팽출하고 있다. 즉, 버클 수용 오목부(46)를 이용하여, 시트 벨트(7)의 탈락 방지용의 팽출부(4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재료 비용 면에 있어도 알맞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걸이구(59)를 통해서 시트 벨트(7)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시트 벨트(7)로부터 차일드 시트(10)에 가해지는 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를 더욱 안정하게 차량의 좌석(5)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이구(59)로부터 극간(22)으로 향하는 시트 벨트(7)의 배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7)로부터 차일드 시트(10)에 가해지는 힘이 안정된다. 이 점에서도, 차일드 시트(10)를 더욱 안정하게 차량의 좌석(5)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5)>>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0)를 구성하는 베이스(70)와 시트 본체부(30) 사이에, 소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납 오목부(25) 및 수납 오목부(25)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5)는, 한 쌍의 보강 암부(65)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 오목부(25)에 따르면, 착좌하는 어린이의 월령에 따라 차일드 시트(10)로부터 제거되는 부속 부품이나, 어린이를 케어하기 위한 케어 제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 대해서도, 부속의 어린이용 벨트를 수납하기 위한 전용의 수용부를 갖고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당해 수용부는, 벨트 부재를 덮는 벨트 커버 등, 어린이용 벨트의 모두를 충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납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어린이용 벨트 등의 부속품을, 차일드 시트(10)에 일괄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0)는, 소품의 취급성이 우수하며, 차일드 시트(10)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이 수납 오목부(25)는, 한 쌍의 보강 암부(65)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또한 차일드 시트(10)의 본래적인 취급성을 해치지 않고, 수납 오목부(25)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수납 오목부(25)는, 시트 본체부(30)의 후방으로부터 억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어린이가 착좌하는 측과는 반대 측이 되는 시트 본체부(30)의 후방 측으로부터, 수납 오목부(25)에 물건을 수납하는 것 또는 수납 오목부(25)로부터 물건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바꿔 말하면, 차일드 시트(10)에 어린이가 착좌한 상태에서, 수납 오목부(25)에 물건을 수납하는 것 또는 수납 오목부(25)로부터 물건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납 오목부(25)의 사용감이 좋고, 차일드 시트(10)의 편리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 도 2,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70)는,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전벽면(73a) 및 후벽면(73b)과, 전벽면(73a) 및 후벽면(73b)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면(73c)과, 전벽면(73a), 후벽면(73b) 및 한 쌍의 측벽면(73c)에 접속한 저면(底面)(73d)을 포함하고 있다. 수납 오목부(25)는, 전벽면(73a), 후벽면(73b), 한 쌍의 측벽면(73c) 및 저면(73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강 암부(65)의 하단부의 폭 방향 내측면(65c)이, 베이스(70)의 측벽면(73c)과 연속하도록 하여 당해 측벽면(73c)에 접속하고 있다. 즉, 각 보강 암부(65)의 하단부의 폭 방향 내측면(65c)이, 수납 오목부(25)를 측방으로부터 형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시트 본체부(30)의 보강 암부(65)와, 시트 본체부(3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베이스(70)에 의해서 수납 오목부(2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의 대형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충분한 깊이의 수납 오목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오목부(25)를 저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도 11에는, 수납 오목부(25)를 형성하는 전벽면(73a) 및 후벽면(73b)이 나타나 있다. 도 11에서는,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에서의 경사로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는 전방이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에 있어도, 후벽면(73b)은, 상방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가 제 1 전향 상태 또는 제 2 전향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후벽면(73b)은, 더 극심한 각도로, 상방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수납 오목부(25)에 따르면, 수납 오목부(25) 내의 물건이, 차량의 이동이나 정지에 따라서, 수납 오목부(25)로부터 후방으로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오목부(25)에 물건을 안정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12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저면(73d)과 전벽면(73a)이 합류하는 위치에, 볼록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본체부(30)와 베이스(7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도 12는, 시트 본체부(30)를 제거해서 베이스(70)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77)는, 저면(73d)으로부터 전벽면(73a)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 상승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77)는, 전벽면(73a)으로부터 저면(73d)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77)는, 베이스(7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부위로서 기능함과 함께, 수납 오목부(25)를 구분하는 부위로서도 기능하며, 이에 따라, 수납 오목부(25)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73d)과 후벽면(73b)이 합류하는 위치에도, 볼록부(78)가 형성되어 있다. 후벽면(73b) 측의 볼록부(78)는, 전벽면(73a) 측의 볼록부(77)와 전후 방향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78)는, 볼록부(77)와 마찬가지로, 베이스(7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부위로서 기능함과 함께, 수납 오목부(25)를 구분하는 부위로서도 기능하며, 이에 따라, 수납 오목부(25)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트랩 부재(110)의 장착부(110a)는, 볼록부(78)의 정면(頂面)에 장착되어 있다.
또, 도 2, 도 9,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수납 오목부(25)와는 별도로 보관부(23)를 갖고 있다. 보관부(23)는, 후벽면(73b)을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보관부(23)는, 스트랩 부재(110)가 둘러 감긴 상태의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벨트 가이드 부재(100)는, 시트 벨트(7)와 걸어 맞추는 부품이기 때문에,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유지하는 스트랩 부재(110)의 장착부(110a)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스트랩 부재(110)와 함께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차일드 시트 본체(2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관부(23)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유지 리브(23a)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유지 리브(23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벨트 가이드 부재(100)의 스트랩 부재(110)를 권취한 부위가, 한 쌍의 유지 리브(23a)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유지 리브(23a)에 의해, 스트랩 부재(110)를 권취한 상태의 벨트 가이드 부재(100)를, 안정하게 보관부(23)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예로서, 보관부(23)가, 취급 설명서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이 예에 의하면, 수납 오목부(25)에의 물건의 보관 상황에 의존하지 않고, 보관부(23)로부터 취급 설명서를 취출하는 것 또는 보관부(23)에 취급 설명서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역으로 말하면, 취급 설명서를 신경 쓰지 않고 수납 오목부(25)를 이용할 수 있어서, 수납 오목부(25)는 그 취급성이 매우 우수하다.
<어린이용 벨트(90)>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차일드 시트 본체(20)에 장착된 어린이용 벨트(90), 및, 어린이용 벨트(90)에 관련된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차일드 시트(10)는,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에 의해 차량의 좌석(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후향 상태 또는 제 1 전향 상태에서의 설치에 있어서는, 전용의 어린이용 벨트(90)에 의해 착좌한 어린이의 신체가 차일드 시트(10)에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린이용 벨트(90)는, 좌석부(40)에 장착되어 있다. 어린이용 벨트(90)는, 엉덩이 벨트 및 어깨 벨트를 갖는 3점식 벨트로서 형성되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엉덩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갖는 5점식 벨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1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린이용 벨트(90)는, 제 1 벨트 부재(91)와, 제 2 벨트 부재(92)를 갖고 있다. 제 1 벨트 부재(91)는, 엉덩이 벨트로서 기능한다. 제 2 벨트 부재(92)는, 어깨 벨트(92a) 및 허리 벨트(92b)로서 기능한다. 제 1 벨트 부재(91)는, 앉음부(45)의 대략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벨트 부재(91)의 타단에는, 버클(9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벨트 부재(91)에는, 벨트 커버(9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벨트 부재(92)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 2 벨트 부재(92)는, 좌석부(40) 중의 앉음부(45)와 등받이부(50)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허리 구역(37)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端)영역(37a)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 2 벨트 부재(92)가, 앉음부(45)의 내부 또는 이면 측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각 제 2 벨트 부재(92)는 텅(94)을 통과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94)에서 꺾어짐으로써, 어깨 벨트(92a) 및 허리 벨트(92b)가 획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벨트 부재(92)의 어깨 벨트(92a) 측의 단부는, 등받이부(50)의 어린이 벨트용 구멍(51)을 통과해서, 벨트 길이 조절 기구(96)에 접속되어 있다. 벨트 길이 조절 기구(96)는, 도 2,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벨트(92a)가 장착된 연결 금구(96a)와, 연결 금구(96a)에 접속된 조절 벨트(96b)와, 앉음부(45)의 전방 부분에 설치된 조절 벨트 척(96c)을 갖고 있다. 조절 벨트 척(96c)은, 조절 벨트(96b)를 파지한다. 조절 벨트 척(96c)에 따른 조절 벨트(96b)의 파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 2 벨트 부재(92)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허리 벨트(92b) 및 어깨 벨트(92a)의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어린이용 벨트(90)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차일드 시트(10)에 어린이를 착좌시켜, 텅(94)을 버클(93)로 계지한다. 다음으로, 벨트 길이 조절 기구(96)를 이용하여 허리 벨트(92b) 및 어깨 벨트(92a)의 길이를 조절하고, 어린이용 벨트(90)에 의해,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도 7에 나타낸 제 2 전향 상태에서 설치되는 경우, 어린이용 벨트(90)는 사용되지 않는다. 거기에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석부(40)에, 버클 수용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 수용 오목부(46)는, 좌석부(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또한 전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벨트 길이 조절 기구(96)의 조절 벨트 척(96c)은, 이 버클 수용 오목부(46)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 길이 조절 기구(96)의 조절 벨트(96b)는, 불사용시에 절첩되어서 버클 수용 오목부(4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벨트 부재(91) 및 버클(93)도, 불사용시에, 버클 수용 오목부(4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 제 1 벨트 부재(91)가 통과하고 있던 벨트 커버(97)나, 벨트 조절 기구의 연결 금구(96a)는, 버클 수용 오목부(46)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도 되고, 상술한 수납 오목부(25)에 수용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각 제 2 벨트 부재(92)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를 저면(28)의 일부로 하는 수납 캐비티(27)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수납 캐비티(27)가, 각 제 2 벨트 부재(92)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 캐비티(27)는, 대응하는 제 2 벨트 부재(92)를 불사용시에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벨트 부재(92)는, 좌석부(40) 중의 앉음부(45)와 등받이부(50)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허리 구역(37) 내의 한 쌍의 단영역(37a)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제 2 벨트 부재(92)의 배치에 대응하여, 각 수납 캐비티(27)는, 좌석부(40) 중의 앉음부(45)와 등받이부(50)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허리 구역(37) 내의 한 쌍의 단영역(37a)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벨트 부재(92)를 수납 가능한 각 수납 캐비티(27)는, 대응하는 제 2 벨트 부재(92)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를 캐비티 저면(28)의 일부로서 포함하도록 해서 좌석부(40)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불사용시의 제 2 벨트 부재(92)를 접도록 해서 보기 좋게 수납 캐비티(27)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부가해서, 제 2 벨트 부재(92)의 연장 돌출 위치에 대응하여, 2개의 수납 캐비티(27)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 캐비티(27)는, 좌석부(40) 중의 앉음부(45)와 등받이부(50)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허리 구역(37)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 캐비티(27)는, 어린이가, 차일드 시트(10)의 커버재(99)를 통해서, 주로 자중(自重)을 걸게 되는 부위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수납 캐비티(27)가, 차일드 시트(10)의 편안감을 악화시키는 것은 없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넓은 면적에 걸친 깊은 오목부에 의거하지 않고, 불사용시의 어린이용 벨트를 보기 좋게 잘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벨트 부재(92)가 통과하고 있던 텅(94)은, 수납 캐비티(27)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도 되고, 상술한 수납 오목부(25)에 수용되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20)는, 시트 본체부(30) 상에 장착된 한 쌍의 덮개 부재(89)를 갖고 있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부(30)는, 허리 구역(37)의 각 단영역(37a)에 단오목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덮개 부재(89)는, 대응하는 측의 단오목부(37b)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부(30)는, 각 제 2 벨트 부재(92)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벨트 지지 부재(34)를 갖고 있다. 각 벨트 지지 부재(34)는, 대응하는 측의 단오목부(37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단오목부(37b) 내에는, 보강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오목부(37b) 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35)가, 벨트 지지 부재(34)에 접속하고 있다. 각 덮개 부재(89)는, 대응하는 벨트 지지 부재(34)의 주위에 있어서 단오목부(37b)를 덮고 있다. 그리고, 각 덮개 부재(89)는, 각 벨트 지지 부재(34)가 위치하는 부분에, 제 2 벨트 부재(92)를 수납 가능한 수납 캐비티(27)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강 리브(35)에 의해,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강성(剛性)을 증강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89)에 의해, 보강 리브(35)를 숨겨서 겉모양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89)가, 수지 등의 비교적 고강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일드 시트 본체(20)의 강성을 더 증강할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89)가, 그 전체를 또는 그 표면을 이루는 일 부분을, 발포스티롤이나 고무 등의 비교적 연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납 캐비티(27)에 의해 승차감이 악화하는 것을 극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단오목부(37b) 내에 보강 리브(35)를 설치함과 함께 덮개 부재(89)를 비교적 연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강성 향상과 승차감 개선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캐비티(27)는, 벨트 지지 부재(34)의 단면(端面)을, 캐비티 저면(28)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 지지 부재(34)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벨트 부재(92)는, 통 형상의 벨트 지지 부재(34)의 한쪽의 개구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의 벨트 지지 부재(34)의 한쪽의 단면(정면(頂面)이, 캐비티 저면(28)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벨트 부재(92)의 지지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단오목부(37b)는, 측부(55)와 앉음부(45) 및 등받이부(50)의 접속 위치에 따르도록 하여, 앉음부(45) 및 등받이부(5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부(55)의 강도를 확보하여 차일드 시트(1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불사용시의 제 2 벨트 부재(92)를 접게 해서 보기 좋게 수납 캐비티(27)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클로편(85)이, 플랜지부(84)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기단 연장부(85a)와, 기단 연장부(85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상승되는 선단 클로부(85b)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클로편(85)이, 디바이스 본체부(81)에 설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에 연장 돌출되는 선단 클로부를 갖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도, 디바이스 본체부(81)가 홈(33) 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시트 본체부(30)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달리, 체결구(87)가, 보강 암부(65)를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관통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슬릿(80a) 보다도 후방이 되는 부분과 걸어 맞춰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클로편(85)이,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슬릿(80a) 보다도 전방이 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도, 락 오프 디바이스(80)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80a)의 한쪽 측이 되는 부분을, 체결구(87)에 의해, 시트 본체부(3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락 오프 디바이스(80)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80a)의 다른쪽 측이 되는 부분을, 클로편(85) 및 플랜지부(84)와 삼방틀(32)의 걸어 맞춤에 의해, 시트 본체부(30)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하방으로 개구된 슬릿(80a)의 양측에 있어서, 시트 본체부(3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 오프 디바이스(80)를 시트 본체부(3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락 오프 디바이스(80)의 변형을 방지하여, 락 오프 디바이스(80)가 안정되며 시트 벨트(7)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체와,
    상기 앉음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구역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端)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 한 쌍의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각 벨트 부재가 연장 돌출되는 위치를 저면(底面)의 일부로 하고 또한 당해 벨트 부재를 수납 가능한 한 쌍의 수납 캐비티를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며,
    각 단오목부(端凹部)는, 상기 측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의 접속 위치에 따르도록 하여, 상기 앉음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2. 삭제
  3.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본체부를 가진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앉음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접속 위치를 포함하는 구역 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 한 쌍의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본체부의 각 단영역에는 단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본체부는, 상기 단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또한 각 벨트 부재를 지지하는 벨트 지지 부재와, 상기 벨트 지지 부재에 접속해서 상기 단오목부 내에 설치된 보강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각 벨트 지지 부재의 주위에서 상기 단오목부를 각각 덮는 한 쌍의 덮개 부재를 갖고,
    각 덮개 부재는, 각 벨트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벨트 부재를 수납 가능한 수납 캐비티를 형성하고 있는, 차일드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캐비티는, 상기 벨트 지지 부재의 단면(端面)을, 저면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있는, 차일드 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부는,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를 더 포함하고,
    각 단오목부는, 상기 측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의 접속 위치에 따르도록 하여, 상기 앉음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KR1020150039003A 2014-03-27 2015-03-20 차일드 시트 KR102305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7036 2014-03-27
JP2014067036A JP6352018B2 (ja) 2014-03-27 2014-03-27 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823A KR20150112823A (ko) 2015-10-07
KR102305203B1 true KR102305203B1 (ko) 2021-09-28

Family

ID=5415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003A KR102305203B1 (ko) 2014-03-27 2015-03-20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52018B2 (ko)
KR (1) KR102305203B1 (ko)
CN (1) CN104943575B (ko)
TW (1) TWI654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1894B2 (en) * 2020-07-29 2022-06-07 Clek Inc. Infant carrier with integrated stor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37A (ja) * 2008-09-10 2010-03-2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ハーネス格納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985Y2 (ko) * 1985-01-25 1992-11-06
JPH0754045Y2 (ja) * 1989-11-28 1995-12-13 池田物産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格納構造
CN2209069Y (zh) * 1994-02-04 1995-10-04 北京天下达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用儿童安全座椅
GB9503222D0 (en) * 1995-02-18 1995-04-05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net
SG104306A1 (en) * 2001-04-05 2004-06-21 Combi Co Child car seat
JP4884620B2 (ja) * 2001-09-27 2012-02-29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GB0710548D0 (en) * 2006-06-30 2007-07-11 Meeker R & D Inc Juvenile convertible car seat
JP5710204B2 (ja) * 2010-10-18 2015-04-30 コンビ株式会社 子供用シート
CA2882651C (en) * 2011-04-15 2017-03-21 Bp Children's Products Hk Co., Limited Child safety seat
JP5840502B2 (ja) * 2012-01-06 2016-01-06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37A (ja) * 2008-09-10 2010-03-2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ハーネス格納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823A (ko) 2015-10-07
TWI654103B (zh) 2019-03-21
JP6352018B2 (ja) 2018-07-04
JP2015189297A (ja) 2015-11-02
TW201545920A (zh) 2015-12-16
CN104943575B (zh) 2019-07-26
CN104943575A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0204B2 (ja) 子供用シート
US9272641B2 (en) Child seat
JP584050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EP2965955A1 (en) Vehicle seat
EP2857257A1 (en) Child car seat
CN105555597B (zh) 儿童座椅
KR102305202B1 (ko) 차일드 시트
JP2011051585A (ja) 子供用安全シー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102305203B1 (ko) 차일드 시트
JP633891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2935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7366400B2 (ja) 子供用座席および子供用座席付き自転車
JP6072742B2 (ja) 車両用シート
TWI824703B (zh) 兒童座椅
KR101847442B1 (ko)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WO2023084615A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737387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9010175A (ja) シートのトリムカバー固定構造
JP6443671B2 (ja) 福祉車両及びベルトガイド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JP2020082754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