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672B1 -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672B1
KR102304672B1 KR1020197033852A KR20197033852A KR102304672B1 KR 102304672 B1 KR102304672 B1 KR 102304672B1 KR 1020197033852 A KR1020197033852 A KR 1020197033852A KR 20197033852 A KR20197033852 A KR 20197033852A KR 102304672 B1 KR102304672 B1 KR 102304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pair
camera
b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083A (ko
Inventor
요헤이 엔타
마사히로 사이토
가즈타카 고아미
히로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2003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16778A1/ja
Publication of KR2019013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광로(光路) 굴곡 부재와, 광로 굴곡 부재의 후단(後段)에 배치된 렌즈부와, 광로 굴곡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광로 굴곡 부재를 변위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렌즈부의 근방에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렌즈부를, 제1방향에 직교하면서 또 서로 직교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변위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 및 제3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광로 굴곡 부재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Actuator),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 등,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슬림형(薄型)의 카메라 탑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카메라 모듈은, 1이상의 렌즈를 가지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다.
또, 렌즈부의 전단(前段)에 설치된 광로(光路) 굴곡 부재인 프리즘에 의해, 제1 광축을 따르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제2 광축의 방향으로 굴곡(屈曲)하여 후단(後段)의 렌즈부로 도광(導光)하는 굴곡 광학계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에 발생하는 손떨림을 보정하는 떨림보정 장치, 및, 오토포커스를 행하는 오토포커스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로서 떨림보정용 액추에이터 및 오토포커스용 액추에이터를 가진다. 이 중의 떨림보정용 액추에이터는, 다른 2개의 축(軸)을 중심으로 프리즘을 요동(搖動)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에 손떨림이 발생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떨림보정용 액추에이터가 프리즘을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에 발생한 손떨림이 보정된다.
특개 2015-92285호 공보
그런데, 상술(上述)과 같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의 경우, 떨림보정용 액추에이터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가, 프리즘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프리즘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가 낮아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로 굴곡 부재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의 한 양상은, 광로 굴곡 부재와, 상기 광로 굴곡 부재의 후단에 배치된 렌즈부와, 상기 광로 굴곡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로 굴곡 부재를 변위(變位)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렌즈부의 근방에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를,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면서 또 서로 직교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변위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 및 제3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한 양상은, 상술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와, 렌즈부의 후단(後段)에 배치된 촬상 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탑재 장치의 한 양상은, 상술한 카메라 모듈과, 해당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로 굴곡 부재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1b는 도 1a와 다른 각도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스를 생략한 상태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스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a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베이스에 홀더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1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프리즘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누름 용수철의 압압(押壓)부가 홀더의 피(被)압압부를 압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9a의 E-E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누름 용수철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렌즈 모듈을 도 1a의 D-D 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본 제2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와 다른 각도에서 본 제2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렌즈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스프링을 조립한 상태의 배치인 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렌즈 모듈의 FPC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기준 부재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카메라 모듈의 프리즘 모듈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리즘 모듈을 도 1a의 C-C 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E 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프리즘 모듈을 도 1a의 A-A 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1 베이스에 일부의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의 제1 베이스에 요동 지지 용수철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1 커버 및 프리즘을 생략한 상태의 프리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1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프리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요동 지지 용수철을 조립한 상태의 배치인 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우측으로부터 본 부분측면도이다.
도 32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액추에이터 및 AF액추에이터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형태 5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을 일부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제2 액추에이터, AF액추에이터, 보강 플레이트, 및 FPC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제2 액추에이터, AF액추에이터, 및 보강 플레이트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실시형태 6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액추에이터 및 AF액추에이터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실시형태 7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을 일부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2 액추에이터 및 AF액추에이터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리즘 모듈을 일부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프리즘 모듈을 도 40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제1 베이스에 홀더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제1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제1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5는 누름 용수철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일부 부재를 생략한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일부 부재를 생략한 렌즈 모듈을 도 46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제2 베이스를 생략한 렌즈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49는 제2 베이스를 생략한 렌즈 모듈을, 도 48과 반대측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0은 렌즈 모듈의 FPC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스프링을 조립 상태의 배치인 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a는, 실시형태 8에 따른 스프링의 겔 계지부(gel 係止部)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52b는, 겔 계지부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52c는, 겔 계지부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몇가지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끼리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실시형태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사시도이다. 도 2, 3은,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의 카메라 모듈(1)의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1a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a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카메라 모듈(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 다음, 카메라 모듈(1)이 구비하는 프리즘 모듈(2), 렌즈 모듈(3), 및 촬상 소자 모듈(4)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1. 1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1)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도 22 참조), 휴대 전화기,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차재 카메라 등의 슬림형의 카메라 탑재 장치에 탑재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서는, 카메라 모듈(1)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교좌표계(X, Y, Z)를 사용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된 직교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1)은, 카메라 탑재 장치에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질 경우에, 예를 들면 X방향이 좌우 방향, Y방향이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피사체로부터의 빛은, 도 4에 파선 α (제1 광축이라고도 함) 로 나타내는 것처럼, Z방향 +측(플러스측)으로부터 프리즘 모듈(2)의 프리즘(23)에 입사(入射)한다. 프리즘(23)에 입사한 빛은, 도 4에 파선 β (제2 광축이라고도 함) 로 나타내는 것처럼, 프리즘(23)의 광로 굴곡면(231)에서 굴곡하여, 프리즘(23)보다 후단(즉, X방향 +측)에 배치된 렌즈 모듈(3)의 렌즈부(33)로 도광(導光)된다. 그리고, 렌즈부(33)(도 4 참조)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像)이, 렌즈 모듈(3)의 후단에 배치된 촬상 소자 모듈(4)에 의해 촬상된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1)은, 프리즘 모듈(2)에 설치된 제1 떨림보정 장치(24)(도 4 참조), 및, 렌즈 모듈(3)에 설치된 제2 떨림보정 장치(37)(도 5 참조)에 의해, 떨림보정(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를 행한다. 또, 상술한 카메라 모듈(1)은, 렌즈 모듈(3)에 설치된 AF장치(36)에 의해 렌즈부(33)를 X방향으로 변위시켜, 오토포커스를 행한다.
[1.1.1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상술한 카메라 모듈(1)은, 제1 떨림보정 장치(24), 제2 떨림보정 장치(37), 및 AF장치(36)를 구동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는, 제1 떨림보정 장치(24)를 구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 제2 떨림보정 장치(37)를 구동하는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 및 AF장치(36)를 구동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광로 굴곡 부재인 프리즘(23)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액추에이터(244)의 배치 모양을 연구함과 동시에, 렌즈 모듈(3)에 있어서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 및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배치 모양을 연구하고 있다. 각 액추에이터의 배치 모양은, 후술하는 프리즘 모듈(2) 및 렌즈 모듈(3)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이하, 도 1a ~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이 구비하는, 프리즘 모듈(2), 렌즈 모듈(3), 및 촬상 소자 모듈(4)에 대해 설명한다.
[1.1.2 프리즘 모듈에 대해서]
프리즘 모듈(2)은,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커버(21), 제1 베이스(22), 프리즘(23), 및 제1 떨림보정 장치(24)를 구비한다.
[제1 커버]
제1 커버(21)는, 도 4,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또는 비자성(非磁性) 금속제이며, Z방향 양측 및 X방향 +측이 개구(開口)한 상자 모양 부재이다. 피사체 측으로부터의 빛은, 제1 커버(21)의 Z방향 +측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제1 커버(21)의 내부 공간으로 침입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제1 커버(21)는, 후술하는 제1 베이스(22)에 Z방향 +측으로부터 짜맞춰져 있다.
[제1 베이스]
제1 베이스(22)는, 후술하는 제1 떨림보정 장치(24)의 홀더(241)(도 4, 8 참조)를,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요동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제1 베이스(22)는, 축받이부인 제1 축받이부(225a) 및 제2 축받이부(225b)(도 7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베이스(22)는, Z방향 +측 및 X방향 +측이 각각 개구한 상자 모양 부재이다. 또한, 제1 베이스(22)의 Z방향 -측의 벽부(壁部)(즉, 저벽부(底壁部) 229)에는,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베이스 제1 개구부(220)에 후술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의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22)는, 상술한 제1 커버(21)와 조합됨으로써, 제1 떨림보정 장치(24) 및 프리즘(23)을 배치할 수 있는 제1 수용 공간(223)(도 4 참조)을 형성한다.
또, 제1 베이스(22)는, Y방향 양단부(兩端部)에 Y방향으로 대향한 제1 측벽부(側壁部)(224a, 224b)(도 7 참조)를 가진다.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a)에는, 제1 축받이부(225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b)에는, 제2 축받이부(22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축받이부(225a)와 제2 축받이부(225b)는, 서로 Y방향으로 대칭(對稱)인 형상을 가진다. 이하, 제1 축받이부(225a)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축받이부(225a)는, Y방향시(視)에서 Z방향 +측이 개구한 거의 V자 절결상(切欠:잘라냄)이다. 이러한 제1 축받이부(225a)의 X방향 양측면은, 곡면상(曲面狀)이다.
또, 제1 측벽부(224a, 224b)의 Z방향 +측의 단면에는 각각, 제 1위치결정 볼록부(凸部)(226),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 및 제3 위치결정 볼록부(228)(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는, 후술하는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도 10 참조)과 계합(係合:걸어 맞춤)하여,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의 Y방향의 틀어짐을 방지한다. 한편, 제3 위치결정 볼록부(228)는,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과 계합함으로써,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의 조립시의 위치결정을 도모한다.
또한, 축받이부의 구조는 도면표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축받이부는, 예를 들면, 굴림 축받이, 미끄럼 축받이 등의 축받이도 좋다.
[프리즘]
프리즘(23)은, 삼각기둥상(三角柱狀)이며, 후술하는 제1 떨림보정 장치(24)의 홀더(241)(도 4, 8 참조)에 보지(保持)된 상태로 제1 수용 공간(223)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프리즘(23)은, 피사체측(즉, Z방향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로 굴곡면(231)(도 4 참조)에서 굴곡시켜 후술하는 렌즈부(33)의 방향(즉, X방향 +측)으로 도광한다.
광로 굴곡면(231)은, Y방향에 평행한 면이며, 상술과 같은 도광이 가능하게 되도록 제1 광축(즉, Z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45о)만큼 경사(傾斜)해 있다. 또한, 프리즘(23)의 구조는, 피사체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렌즈부(33)로 도광할 수 있다면, 본 실시형태와 달라도 좋다.
[제1 떨림보정 장치]
제1 떨림보정 장치(24)는,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프리즘(23)을 요동시켜,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보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제1 떨림보정 장치(24)는, 제1 수용 공간(223)(도 4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떨림보정 장치(24)(도 2, 4 참조)는, 홀더(241),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 및 제1 액추에이터(24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 떨림보정 장치(24)에 있어서, 홀더(241)는, 제1 베이스(2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支持)되어 있다. 이 상태로 홀더(241)는, 제1 액추에이터(244)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제1 액추에이터(244)가 구동되면, 홀더(241) 및 프리즘(23)이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이 보정된다. 이하, 홀더(241), 누름 용수철(242), 및 제1 액추에이터(244)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홀더]
홀더(241)(도 6, 8 참조)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며, 제1 베이스(22)에 대해서 프리즘(23)을 요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保持)한다.
홀더(holder)(241)는, 프리즘(23)의 광로 굴곡면(231)에 뒤쪽(裏側)(Z방향 -측)으로부터 대면하는 재치면(載置面:얹어 놓는 면)(241a)(도 6, 8 참조)을 가진다. 재치면(241a)은, 예를 들면, 광로 굴곡면(231)에 평행한 면을 가진다. 또한, 재치면(241a)은, 본 실시형태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리즘(23)의 위치결정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보스(boss) 등 이어도 좋다.
홀더(241)는, 서로 동일 축에 설치된 한 쌍의 요동 지지부(241c, 241d)(도 6, 8 참조)를 가진다. 요동 지지부(241c, 241d)의 중심축이, 홀더(241)의 요동 중심축(즉, 제1 축)이다.
요동 지지부(241c, 241d)는 각각, 재치면(241a)을 Y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대향벽부(對向壁部)(241f, 241g)(도 6, 8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지지부(241c)는, 대향벽부(241f)의 Y방향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요동 지지부(241c)는, 제1 베이스(22)의 제1 축받이부(225a)와 계합하고 있다.
한편, 요동 지지부(241d)는, 대향벽부(241g)의 Y방향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요동 지지부(241d)는, 제1 베이스(22)의 제2 축받이부(225b)와 계합하고 있다.
또, 홀더(241)는, 피압압부(被押壓部)(241i, 241k)(도 2, 3, 8 참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압압부(241i, 241k)는 각각, 후술하는 1쌍의 누름 용수철(242)에 의해 Z방향 -측으로(즉, 제1 베이스22를 향하여) 압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241)은,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Y방향 +측의 피압압부(241i)(도 2, 8 참조)는, 대향벽부(241f)의 Y방향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압압부(241i)는, 대향벽부(241f)의 Y방향 +측면에 있어서 요동 지지부(241c)의 X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Y방향 -측의 피압압부(241k)(도 3 참조)는, 대향벽부(241g)의 Y방향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압압부(241k)는, 대향벽부(241g)의 Y방향 -측면에 있어서의 요동 지지부(241d)의 X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피압압부(241i, 241k)는 각각, 구면상(球面狀)의 외주면(外周面)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피압압부(241i, 241k)는 각각, ZX평면에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대향벽부(241f, 241g)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형이다. 이 때문에, 피압압부(241i, 241k)의 외주면과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과의 접촉이 점접촉이 된다.
또, 피압압부(241i, 241k)의 외주면을 구면상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이 피압압부(241i, 241k)를 압압하는 힘에, 홀더(241)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방향의 성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241)는, Y방향의 위치결정, 및, 흔들거림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또, 홀더(241)는, 후술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로의 통전(通電)이 끊어졌을 경우에,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홀더(241)의 초기 위치란, 홀더(241)가 제1 액추에이터(244)에 의해 요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누름 용수철]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도 9a, 도 9b, 도 10 참조)은 각각, 부세(付勢:힘을 가함) 기구이며, 제1 베이스(2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 용수철(242)은 각각, 홀더(241)를 Z방향 -측(즉, 제1 베이스(22)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것과 함께, 누름 용수철(242)은 각각, Y방향 양측으로부터 Y방향 중앙을 향해 홀더(241)를 압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용수철(242)은 각각, 제1 베이스(2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측벽부(224a, 224b)의 일부(구체적으로는, Z방향 +측의 단면(端面))에 접착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체결용 부품(예를 들면, 리벳, 볼트,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을 이용한 고정 수단이어도 좋다.
상술과 같은 한 쌍의 누름 용수철(242)은 각각,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금속제의 판(板)용수철이며, 고정 베이스부(242a) 및 한 쌍의 압압부(242c)를 가진다.
고정 베이스부(242a)는, 제1 베이스(2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 베이스부(242a)에는, 용수철측 제1구멍(242e), 용수철측 제2구멍(242g), 및 용수철측 제3구멍(242i)이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측 제1구멍(242e) 및 용수철측 제2구멍(242g)에는, 제1 베이스(22)의 제 1위치결정 볼록(凸)부(226)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가 삽통(揷通)되어 있다(도 2, 3 참조). 이 구성에 의해, 홀더(241)로부터의 반력(反力)에 의한 누름 용수철(242)의 Y방향의 틀어짐이 방지된다.
용수철측 제3구멍(242i)에는, 제1 베이스(22)의 제3 위치결정 볼록부(228)가 삽통되어 있다(도 2, 3 참조). 이 구성에 의해, 누름 용수철(242)을 제1 베이스(22)에 조립할 때의 위치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한 쌍의 압압부(242c)는 각각, 고정 베이스부(242a)의 2군데로부터 홀더(2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재(延在:한방향으로 길게 늘어나 있음) 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압압부(242c)는 각각, 홀더(241)의 피압압부(241i)를 Z방향 -측으로 압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241)의 요동 지지부(241c)가, 제1 베이스(22)의 제1 축받이부(225a)에 밀어붙여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압압부(242c)는 각각, 홀더(241)의 피압압부(241i)를, 홀더(241)의 Y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압압하고 있다.
[제1 액추에이터]
제1 액추에이터(244)(도 4, 6 참조)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홀더(241)를 요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액추에이터(244)는, 프리즘(23)의 광로 굴곡면(231) 및 홀더(241)와 Z방향(즉, 제1 광축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프리즘(23) 및 홀더(241)의 뒤쪽(즉, Z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광축의 방향이, 제1방향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액추에이터(244)는, 제1 마그넷(244a),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액추에이터(244)는, 제1 마그넷(244a)이 가동측 부재인 홀더(241)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 코일(244c)이 고정측 부재인 제1 베이스(22)에 고정된, 이른바 무빙 마그넷형의 액추에이터이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244)는, 제1 코일(244c)이 홀더(241)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 마그넷(244a)이 제1 베이스(22)에 고정된, 이른바 무빙 코일형의 액추에이터이어도 좋다. 이러한 제1 액추에이터(244)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구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1 액추에이터(244)를 구성하는 각 부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마그넷(244a)은, 홀더(241)의 뒤쪽 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마그넷(244a)은, 착자 방향이 Z방향이고, 한쪽 편에 2개의 자극(磁極)을 가진다.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는, 제1 베이스(22)의 뒤쪽 면에 고정된,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하, FPC)(25)의 표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는, 제1 베이스(22)의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4, 6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코일(244c)은, 타원형상의 이른바 공심 코일이다. 제1 홀 소자(244e)는, 제1 코일(244c)의 지름 방향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액추에이터(244)의 경우, 손떨림 보정용의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FPC(25)를 경유하여 제1 코일(244c)에 전류가 흐르면, 제1 마그넷(244a)을 X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제1 마그넷(244a)은 홀더(24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렌트력에 기초하여 홀더(241)에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결과, 홀더(241)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제1 코일(244c)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홀더(241)의 변위 방향이 바뀐다.
[1.1.3 렌즈 모듈에 대해서]
렌즈 모듈(3)은, 도 11~19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2 커버(31), 제2 베이스(32), 렌즈부(33), AF장치(36), 제2 떨림보정 장치(37), 및 기준 부재(基準部材)(38)를 구비한다.
[제2 커버]
제2 커버(31)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또는 비자성 금속제이며, X방향 양측 및 Z방향 -측(즉, 뒤쪽)이 개구한 상자 모양 부재이다. 이상과 같은 제2 커버(31)는, 후술하는 제2 베이스(32)에 Z방향 +측으로부터 짜맞춰진다.
[제2 베이스]
제2 베이스(32)(도 14, 15 참조)는, 상술한 제2 커버(31)와 조합됨으로써, 렌즈부(33), AF장치(36), 및 제2 떨림보정 장치(37)를 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 공간(320)(도 11 참조)을 형성한다.
제2 베이스(32)는, 저면부(底面部)(321) 및 한 쌍의 제2 측벽부(322a, 322b)를 가진다. 저면부(321)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와, 해당 베이스에 인서트 성형된 금속제의 보강 플레이트(323)를 가진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323)는, 저면부(321)의 고강성(高岡性)화, 슬림화에 이바지한다.
제2 베이스(32)의 보강 플레이트(323)는, 후술하는 렌즈 가이드(361)보다 Z방향 -측에, 렌즈 가이드(361)에 대해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가이드(361)가 오토포커스의 동작 시에 이동 가능한 범위(즉,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 및 떨림보정의 동작 시에 이동 가능한 범위(즉,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보강 플레이트(323)의 Z방향 +측에는 렌즈 가이드(361)가 존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강 플레이트(323)의 표면(즉, Z방향 +측의 면)은, 항상 렌즈 가이드(361)에 의해 덮여서 노출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323)에 의한 반사광이, 렌즈부(33),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촬상 소자 모듈(4)의 촬상 소자로 입광(入光)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저면부(321)에 있어서의 보강 플레이트(323)의 Y방향 양쪽 부분에는, 각각 저면 관통공(321a, 321b)(도 1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 관통공(321a, 321b)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AF용 코일(366a, 366b)이 배치되어 있다(도 5, 11 참조).
제2 측벽부(322a, 322b)는 각각, 저면부(321)의 Y방향 양단부로부터 Z방향 +측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2 측벽부(322a, 322b)는 각각, 코일 재치부(322d, 322e)를 가진다. 이러한 코일 재치부(322d, 322e)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제2 코일(372a, 372b)이 재치되어 있다(도 5, 11 참조).
또, 한 쌍의 코일 재치부(322d, 322e)와 저면부(321)의 사이에는, 한 쌍의 마그넷용 공간(322g, 322h)(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그넷용 공간(322g, 322h)에는 각각, 후술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AF용 마그넷(365a, 365b)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저면 관통공(321a, 321b)과 코일 재치부(322d, 322e)가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져 있다. 따라서, 저면 관통공(321a, 321b)에 배치되어 있는 AF용 코일(366a, 366b)과, 코일 재치부(322d, 322e)에 재치되어 있는 제2 코일(372a, 372b)이,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져 있다.
또, 제2 측벽부(322a)는, Y방향 +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X방향 양단부에, 후술하는 스프링(362a, 362c)을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배치부(324a, 324c)(도 2 참조)를 가진다. 한편, 제2 측벽부(322b)는, Y방향 -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X방향 양단부에, 후술하는 스프링(362b, 362d)을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배치부(324b, 324d)(도 3 참조)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 배치부(324a~324d)에는 각각, 스프링(362a~362d)을 덮은 겔상의 제진부재(制震部材)가 배치되어도 좋다.
[렌즈부]
렌즈부(33)는, 후술하는 렌즈 가이드(361)에 보지된 상태로, 제2 수용 공간(320)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부(33)는, 통 모양의 렌즈 배럴, 및, 렌즈 배럴에 보지된 1이상의 렌즈를 가진다. 일례로서 렌즈부(33)는, 렌즈 배럴의 X방향 -측의 단부와 렌즈 배럴의 X방향 +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고정된, 예를 들면 광학 3배 이상의 망원 렌즈군(群)을 가진다. 또한, 렌즈부(33)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AF장치]
AF장치(36)(도 5 참조)는, 오토포커스를 목적으로 하여, 렌즈부(33)를 X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AF장치(36)는, 렌즈 가이드(361), 복수개(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스프링(362a~362d), FPC(363), 및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를 가지고 있다.
[렌즈 가이드]
렌즈 가이드(361)(도 11, 16 참조)는, 렌즈 배럴을 보지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다. 이와 같은 렌즈 가이드(361)는, X방향(즉, 제2 광축의 방향) 및 Y방향의 변위를 할 수 있는 상태로, 상술한 제2 수용 공간(320)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가이드(361)는, 후술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AF용 마그넷(365a, 365b)을 보지하는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도 11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는 각각, 제2 베이스(32)의 마그넷용 공간(322g, 322h)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가이드(361)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의 제2 마그넷(371a, 371b)을 보지하는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 368b)(도 11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 368b)는 각각, 제2 베이스(32)의 코일 재치부(322d, 322e)와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져 있다.
[스프링]
복수개(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스프링(362a~362d)(도 12, 13, 17 참조)은, 렌즈 가이드(361)를 제2 베이스(32)에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 렌즈부(33)는, 제2 베이스(32)에 대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프링(362a)은, 렌즈 가이드(361)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에 지지하고 있다(도 12 참조). 스프링(362b)은, 렌즈 가이드(361)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에 지지하고 있다(도 13 참조). 스프링(362c)은, 렌즈 가이드(361)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에 지지하고 있다(도 12 참조). 또, 스프링(362d)은, 렌즈 가이드(361)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에 지지하고 있다(도 13 참조).
스프링(362a~362d)은 각각, 제1 고정부(362f), 제2 고정부(362g), 및 탄성변형부(362h)(도 17 참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17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배치인 채의 스프링(362a~362d)을 나타내고 있다.
제1 고정부(362f)는, 가동측 부재인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고정부(362g)는, 고정측 부재인 제2 베이스(32)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변형부(362h)는, 제1 고정부(362f)와 제2 고정부(362g)를 연속(連續)하고 있다. 탄성변형부(362h)는, 예를 들면, 사행상(蛇行狀)으로 굽힘 성형된 선상(線狀) 부재로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탄성변형부(362h)는, X방향에 있어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스프링(362a~362d)은 각각, 탄성변형부(362h)의 X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성이 동일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7에 나타내는 것처럼, Z방향으로부터 보아 렌즈 가이드(361)의 대각(對角) 위치에 배치된 스프링(362a)의 중심과 스프링(362d)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을 L1이라고 하고, 스프링(362b)의 중심과 스프링(362c)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을 L2라고 했을 경우에, L1과 L2의 교점(분산 배치의 중심 위치라고도 함)이, 기준 위치에 있어서의 가동부의 중심(G)와 일치 또는 거의 일치하고 있다. 또한, 가동부란,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가이드(361), 및,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되어, 렌즈 가이드(361)과 함께 변위할 수 있는 각 부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동부는, 렌즈 가이드(361), 렌즈부(33),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AF용 마그넷(365a, 365b),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의 제2 마그넷(371a, 371b), 및 실드 판(Shield plate) (6a, 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스프링의 중심이란, 예를 들면, 각 스프링의 Z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또 X방향 중앙 위치이다. 또, 렌즈 가이드(361)의 기준 위치란, 오토포커스 기능에 의해 렌즈 가이드(361)가 X방향으로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 그러면서 또, 후술하는 제2 떨림보정 장치(37)에 의해 Y방향으로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동부의 중심을 지나면서 또 Z방향에 평행한 직선 L3 주위의 렌즈 가이드(361)의 공진(共振)이 저감된다.
또한, 상술과 같은 각 스프링(362a~362d)은, 이하와 같이 하여 배치된다. 상기 중심(G)을 지나 제2 광축의 방향(즉, X방향)에 평행한 직선을 직선L4(도 17 참조)라고 했을 경우에, X방향 +측의 한 쌍의 스프링(362a, 362b)은, 상기 직선L4에 대하여 대칭, 그러면서 또, 중심(G)으로부터 X방향 +측(도 17의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2군데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X방향 -측의 한 쌍의 스프링(362c, 362d)은, 상기 직선L4에 대하여 대칭, 그러면서 또, 중심(G)으로부터 X방향 -측(도 17의 좌측)으로 상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2군데 위치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직선 L1와 상기 직선 L2의 교점이, 상기 중심(G)에 일치한다.
[FPC]
FPC(363)(도 11, 18 참조)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며, 제2 베이스(3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FPC(363)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AF장치(36) 및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FPC(363)는, 연속한 한 장의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며, 한 쌍의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 및 한 쌍의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를 가진다.
제1 코일 고정부(363a)에는, AF장치(36)의 AF용 코일(366a)(도 11 참조)이 기판(7a)을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제1 코일 고정부(363a) 및 AF용 코일(366a)은, 제2 베이스(32)의 저면 관통공(321a)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코일 고정부(363b)에는, AF장치(36)의 AF용 코일(366b)(도 11 참조)이, 기판(7b)을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제1 코일 고정부(363b) 및 AF용 코일(366b)은, 제2 베이스(32)의 저면 관통공(321b)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기판(7a, 7b)은,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에, 땜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해서,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에 FPC 보강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기판(7a, 7b)을 생략하고, AF용 코일(366a, 366b)을, FPC(363)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기판(7a, 7b)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7a, 7b)과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와의 땜납도 불필요하게 된다.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는 각각,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져 있다.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의 표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제2 코일(372a, 372b)이 고정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상태로,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는 각각, 제2 베이스(32)의 코일 재치부(322d, 322e)의 표면에 재치되어 있다.
[AF액추에이터]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도 11 참조)는 각각, 오토포커스용이 되는 제3 액추에이터이다.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a)는, AF용 마그넷(365a), 및 AF용 코일(366a)을 가진다. 한편,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b)는, AF용 마그넷(365b), AF용 코일(366b), 및 AF용 홀 소자(367)를 가진다.
이와 같은 AF액추에이터(364a, 364b)는 각각, AF용 마그넷(365a, 365b)이 가동측 부재인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됨과 동시에, AF용 코일(366a, 366b)이 고정측 부재인 제2 베이스(32)에 FPC(363)를 경유하여 고정된 무빙 마그넷형의 액추에이터이다.
또한, AF액추에이터(364a, 364b)는 무빙 코일형의 액추에이터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AF액추에이터(364a, 364b)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구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AF액추에이터(364a, 364b)를 구성하는 각 부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AF용 마그넷(365a, 365b)은 각각, 렌즈 가이드(361)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에 보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 AF용 마그넷(365a, 365b)은 각각, 제2 베이스(32)의 마그넷용 공간(322g, 322h)(도 11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AF용 마그넷(365a, 365b)은 각각, Z방향으로 착자되어,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진다.
AF용 코일(366a, 366b)은, 타원형상의 이른바 공심 코일이다. AF용 코일(366a, 366b)은, 장축이 Y방향에 일치한 상태로, FPC(363)의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에 기판(7a, 7b)을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다. AF용 홀 소자(367)는, AF용 코일(366b)의 지름 방향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경우, 오토포커스용의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FPC(363)를 경유하여 AF용 코일(366a, 366b)에 전류가 흐르면, AF용 마그넷(365a, 365b)을 X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AF용 마그넷(365a, 365b)은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렌트력에 기초하여 렌즈 가이드(361)가, X방향(제3 방향이라고도 함) 으로 변위한다. 또한, AF용 코일(366a, 366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렌즈 가이드(361)의 변위 방향이 바뀐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가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362a~362d) 및 렌즈 가이드(361)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상기 직선 L3(도 17 참조) 주위의 렌즈 가이드(361)의 공진을 저감시키고 있다. 단, 해당 공진을 완전히 없앨 수 없을 경우에는, AF액추에이터(364a)의 구동력과 AF액추에이터(364b)의 구동력에 차이(差)를 둠으로써, 해당 공진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렌즈 가이드(361)를 요동시켜도 좋다. 또한, AF액추에이터(364a, 364b)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다르게 함으로써, AF액추에이터(364a, 364b)끼리의 구동력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제2 떨림보정 장치]
제2 떨림보정 장치(37)(도 5 참조)는, 렌즈부(33)를 Y방향(제2 방향이라고도 함) 으로 변위시킴으로써, Y방향의 떨림보정을 행한다. 이러한 제2 떨림보정 장치(37)는, 상술한 제2 수용 공간(320)(도 4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떨림보정 장치(37)는, 상술한 렌즈 가이드(361), 상술한 복수개의 스프링(362a~362d), 상술한 FPC(363),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를 가진다. 렌즈 가이드(361), 스프링(362a~362d), 및 FPC(363)는, AF장치(36)와 공통이다.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a)(도 11 참조)는, 상술한 AF액추에이터(364a)에 대해서, Z방향(제1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370a)는, 제2 마그넷(371a), 및 제2 코일(372a)을 가진다.
한편,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b)는, 상술한 AF액추에이터(364b)에 대해서, Z방향(제1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370b)는, 제2 마그넷(371b), 제2 코일(372b), 및 제2 홀 소자(373)를 가진다.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와 AF액추에이터(364a, 364b)를 상술한 것처럼 배치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의 구동력의 중심이, AF액추에이터(364a, 364b)의 구동력의 중심에 일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오토포커스 및 떨림보정 때에, 렌즈 가이드(361)가 틸트 변위(즉, X방향 또는 Y방향에 평행적인 축을 중심으로 한 요동 변위)하기 어렵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는 각각, 제2 마그넷(371a, 371b)이 가동측 부재인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 코일(372a, 372b)이 고정측 부재인 제2 베이스(32)에 FPC(363)를 경유하여 고정된 무빙 마그넷형의 액추에이터이다. 단,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는 무빙 코일형의 액추에이터 이어도 좋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구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를 구성하는 각 부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마그넷(371a, 371b)은 각각, 렌즈 가이드(361)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 368b)에 보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마그넷(371a, 371b)은 각각, Z방향으로 착자되어,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진다.
제2 코일(372a, 372b)은 각각, 타원형상의 이른바 공심 코일이다. 제2 코일(372a, 372b)은 각각, 장축이 X방향에 일치한 상태로, FPC(363)의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제2 코일(372a, 372b)은 각각, 제2 마그넷(371a, 371b)과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져 있다. 제2 홀 소자(373)는, FPC(363)의 제2 코일 고정부(363e)의 표면, 그러면서 또, 제2 코일(372b)의 지름 방향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홀 소자(373)는, 제2 코일(372b)의 지름 방향의 안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의 경우, 손떨림 보정용의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FPC(363)를 경유하여 제2 코일(372a, 372b)에 전류가 흐르면, 제2 마그넷(371a, 371b)을 Y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제2 마그넷(371a, 371b)은 각각 렌즈 가이드(36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렌트력에 기초하여 렌즈 가이드(361)가, Y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2 코일(372a, 372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렌즈 가이드(361)의 변위 방향이 바뀐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와, AF액추에이터(364a, 364b)와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마그넷(371a, 371b)과 AF용 마그넷(365a, 365b)과의 Z방향의 사이 부분에, 자성 금속제의 실드 판(6a, 6b)이 배치되어 있다.
[기준 부재]
기준 부재(38)(도 12, 19 참조)는, 제2 베이스(32)의 X방향 +측의 단부에 고정된 판상(板狀) 부재이다. 이러한 기준 부재(38)의 X방향 +측의 측면은, 후술하는 촬상 소자 모듈(4)의 X방향의 기준면이 된다. 기준 부재(38)의 중앙부에는, 렌즈부(33)를 통과한 빛을 촬상 소자 모듈(4)로 도광하는 관통공(38a)이 형성되어 있다.
기준 부재(38)의 X방향 -측의 측면에는, 오토포커스 때의 렌즈부(33)의 X방향 +측의 변위를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stopper)부(380a, 380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380a, 380b)의 X방향 -측의 단면(端面)(이하, 간단하게 「스토퍼면」이라고 함) 은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가이드(361)가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렌즈 가이드(361)의 일부와 X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띄우고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각 스토퍼면은 각각, 렌즈 가이드(361)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의 X방향 +측의 단면(端面)(이하, 「제1 피(被)스토퍼면」이라고 함)과 X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렌즈 가이드(361)가 상기 소정간격보다 크게 X방향 +측으로 변위하면, 상기 제1피스토퍼면이 상기 스토퍼면에 부딪친다. 이렇게 하여, 렌즈 가이드(361)는, Y방향 +측의 변위가 소정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한편, 렌즈 가이드(361)는, 렌즈 가이드(361)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의 X방향 -측의 단면(이하, 「제2 피(被)스토퍼면」이라고 함)과, 해당 제2피스토퍼면과 X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베이스(32)의 일부(제2 스토퍼면이라고도 함)와에 의해, Y방향 -측의 변위가 소정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또, 렌즈 가이드(361)는, 제1 마그넷 보지부(361a, 361b)의 Y방향 양단면과, 제2 베이스(32)의 한 쌍의 제2 측벽부(322a, 322b)에 의해, Y방향의 변위가 소정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또, 렌즈 가이드(361)는, 렌즈 가이드(361)의 Z방향 +측의 단면과 제2 커버(31)에 의해 Z방향 +측의 변위가 소정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또, 렌즈 가이드(361)는, 렌즈 가이드(361)의 Z방향 -측의 단면과 제2 베이스(32)의 저면부(321)에 의해 Z방향 -측의 변위가 소정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스토퍼부(380a)보다 Y방향 +측으로 스프링(362a)을 배치할 수 있는 스프링 배치부(324a)(도 2,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부(380b)보다 Y방향 -측으로 스프링(362b)을 배치할 수 있는 스프링 배치부(324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배치부(324a, 324b)에는 각각, 스프링(362a, 362b)을 덮는 겔상의 제진부재가 배치되어도 좋다.
[1.1.4 촬상 소자 모듈]
촬상 소자 모듈(4)은, 렌즈부(33)보다 X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 모듈(4)은,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상 소자 모듈(4)의 촬상 소자는, 렌즈부(33)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촬상 소자 모듈(4)의 기판(도면표시 생략)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도면표시 생략)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프린트 배선 기판을 경유하여 촬상 소자 모듈(4)로의 급전 및 촬상 소자 모듈(4)에서 촬상된 피사체상의 전기신호의 출력을 한다. 이러한 촬상 소자 모듈(4)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1)의 경우, 프리즘 모듈(2)에, 제1 떨림보정 장치(24)의 제1 액추에이터(244)만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1 액추에이터(244)는, 프리즘(23)과 Z방향(즉, 제1 광축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프리즘(23)의 뒤쪽(즉, Z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즘(23)의 X방향의 주위 및 Y방향의 주위에 카메라용 액추에이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프리즘(23)의 X방향의 주위 및 Y방향의 주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은, 프리즘 모듈(2)의 X방향 및 Y방향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또, 렌즈 모듈(3)에 있어서,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구동장치인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렌즈 모듈(3)의 X방향 및 Y방향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또, 종래부터,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각용(廣角用) 카메라(OC1)와 망원용(望遠用) 카메라(OC2)로 되어있는 듀얼 카메라를 탑재한 카메라 탑재 장치(도면표시의 경우 스마트폰 M)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M)의 경우, 망원용 카메라(OC2)의 X방향 -측(도 22b의 좌측)에 광각용 카메라(OC1)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a, 4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을 망원용 카메라(OC2)로 했을 경우에, 광각용 카메라(OC1)가, 카메라 모듈(1)보다 X방향 -측(도 1a, 4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 스마트폰(M)은, 광각용 카메라(OC1) 및 망원용 카메라(OC2)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표시 생략)를 가진다. 또한, 광각용 카메라(OC1)는, 카메라 모듈(1)보다 Y방향 +측(도 4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망원용 카메라(OC2)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와, 광각용 카메라(OC1)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가 가까우면, 이른바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일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크로스토크가 문제되는 배치로서, 예를 들면, 도 1a, 4에 있어서, 망원용 카메라(OC2)의 제1 액추에이터가 프리즘(23)의 X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카메라 모듈(1)의 제1 액추에이터(244)를, 광각용 카메라(OC1)로부터 먼 프리즘(23)의 Z방향 -측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듀얼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광각용 카메라(OC1)의 액추에이터와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M)의 망원용 카메라(OC2)로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을 채용하면, 제1 액추에이터(244)가, 광각용 카메라(OC1)의 액추에이터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각용 카메라(OC1)와의 크로스토크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1.3 부기(附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가 Z방향 +측에, AF장치(36)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가 Z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가 Z방향 -측에, AF장치(36)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가 Z방향 +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은, 상술한 프리즘 모듈(2)과 렌즈 모듈(3)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단, 상술한 프리즘 모듈(2)과 렌즈 모듈(3)은, 반드시 동시에 실시될 필요는 없다. 즉, 상술한 프리즘 모듈(2)과 상술한 렌즈 모듈(3) 중의 한쪽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프리즘 모듈(2) 또는 렌즈 모듈(3)로부터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실시해도 좋다.
[2. 실시형태 2]
도 20,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카메라 모듈(1a)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a)은, 프리즘 모듈(2a)의 홀더(241)를 Z방향 -측(즉, 제1 베이스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부세 기구의 구조가,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그 외의 카메라 모듈(1a)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a)의 구조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형태 1과 상위한 부분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a)의 프리즘 모듈(2a)은, 상술한 실시형태 1의 프리즘 모듈(2)이 가지는 누름 용수철(242)(도 9a, 도 9b, 도 10 참조)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대신에, 프리즘 모듈(2a)은, 제1 베이스(22)의 뒤쪽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된 FPC(25)의 이면(裏面)에 고정된, 자성 금속제이며 구형 환상(矩形環狀)의 요크(26)를 가진다. 또한, 요크(26)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홀더(241)의 뒤쪽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된 제1 마그넷(244a)과, 요크(26)의 사이에 발생하는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력에 기초하여, 홀더(241)가, 제1 베이스(22)에 꽉 밀어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홀더(241)는,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액추에이터(244)로의 통전이 끊어지면, 홀더(241)는, 제1 마그넷(244a)과 요크(26)의 사이에 발생하는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력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3.실시형태 3]
도 23~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프리즘 모듈(2b)의 구조가, 전술(前述)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1 베이스(22a)에 대해서, 홀더(241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의 구조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한편, 렌즈 모듈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대해서, 실시형태 1과 상위한 부분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1 프리즘 모듈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리즘 모듈(2b)은, 제1 커버(21), 제1 베이스(22a), 프리즘(23), 및 제1 떨림보정 장치(24a)를 구비한다. 제1 커버(21) 및 프리즘(23)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제1 베이스]
제1 베이스(22a)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1 베이스(22)와 마찬가지로, Z방향 +측 및 X방향 +측이 각각 개구한 상자 모양 부재이다. 제1 베이스(22a)의 Z방향 -측의 저벽부(229)에는,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2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베이스 제1 개구부(220)에, 후술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 및, 후술하는 스페이서(spacer) (24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베이스(22a)는, 후술하는 제1 떨림보정 장치(24a)의 홀더(241A)(도 23, 28, 29 참조)를,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요동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제1 베이스(22a)는, 후술하는 요동 가이드 부재(245)를 보지하기 위한 제1 수부(受部)(225c) 및 제2 수부(225d)(도 26 참조)를 가진다.
제1 수부(225c)는, 제1 베이스(22a)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a)에 설치된다. 한편, 제2 수부(225d)는, 제1 베이스(22a)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b)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수부(225c)와 제2 수부(225d)는, 서로 Y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부(225c) 및 제2 수부(225d)는 각각, Y방향에서 보아 Z방향 +측이 개구한 거의 V자 절결상(切欠狀)이다.
또, 제1 수부(225c) 및 제2 수부(225d)는 각각, 제1 베이스(22a)에 있어서의 Y방향 중앙측이 스토퍼면(225e, 225f)에 의해 막힌다. 한편, 제1 수부(225c) 및 제2 수부(225d)는 각각, 제1 베이스(22a)에 있어서의 Y방향(폭방향이라고도 함) 외측이 개구한다.
제1 측벽부(224a, 224b)의 Z방향 +측의 단면에는 각각,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도 26, 27 참조)가 설치된다.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는, 후술하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도 27, 30 참조)과 계합하여,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을 위치결정 한다.
[제1 떨림보정 장치]
제1 떨림보정 장치(24a)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프리즘(23)을 요동시켜,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보정을 행한다. 이러한 제1 떨림보정 장치(24a)는, 제1 수용 공간(223)(도 25 참조)에 배치된다.
제1 떨림보정 장치(24a)는,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 스페이서(246), 홀더(241A), 및 제1 액추에이터(244A)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1 떨림보정 장치(24a)에 있어서, 홀더(241A)는, 제1 베이스(22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로 홀더(241A)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제1 액추에이터(244A)가 구동하면, 홀더(241A) 및 프리즘(23)이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이 보정된다. 이하, 제1 떨림보정 장치(24a)가 구비하는 각 부재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요동 가이드 부재]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각각, 예를 들면, 세라믹제, 금속제, 합성 수지제의 구체(球體)이다.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 중 한쪽(즉, Y방향 +측)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a)의 제1 수부(225c)에 배치된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a)의 제2 수부(225d)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한쪽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수부(225c)에, 다른쪽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2 수부(225d)에, 각각 2군데에서 맞닿는다(當接).
또,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Z방향 +측의 반부(半部)는, 요동 가이드면(245a)(요동 가이드부라고도 함)이다. 요동 가이드면(245a)은, 제1 수부(225c) 및 제2 수부(225d)보다 Z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또, 각 요동 가이드면(245a)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부는, 제1 측벽부(224a, 224b)의 Z방향 +측의 단면에 있어서의,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 이외의 부분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구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반구체, 원기둥, 반원기둥 이어도 좋다. 또,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a)와 일체형이어도 좋다. 즉, 요동 가이드 부재는, 제1 베이스(22a)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요동 지지 용수철]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후술하는 홀더(241A)를, 제1 베이스(22a)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각각, 금속제의 판용수철이며,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Z방향 +측에 배치된다.
이하,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 중 한쪽(즉, 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과 Y방향으로 대칭이다.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도 30, 31에 나타내는 것처럼, 한 쌍의 제1 계지부(係止:걸림)(243a, 243b), 제2 계지부(243c), 뒤틀림 허용부(243g), 및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 243b) 중 한쪽(즉, X방향 +측)의 제1 계지부(243a)는,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한쪽의 제1 계지부(243a)는, 제1 관통공(243d)을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X방향 -측)의 제1 계지부(243b)는,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다른쪽의 제1 계지부(243b)는, 제1 관통공(243e)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 243b)끼리는, X방향으로 연재한 연속부(243i)에 의해 연속된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 243b)의 Z방향 -측의 면은, 제1 베이스(22a)의 제1 측벽부(224a)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된다. 이 상태로, 제1 관통공(243d, 243e)에는, 각각 제1 베이스(22a)의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가 삽통(揷通)된다.
또한, 다른쪽(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경우,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 243b)의 Z방향 -측의 면은, 제1 베이스(22a)의 제1 측벽부(224b)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된다.
제2 계지부(243c)는, 제1 계지부(243a, 243b)끼리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 부분에, X방향의 틈새를 경유하여 설치된다. 제2 계지부(243c)는, 한 쌍의 제2 관통공(243f)을 가진다.
제2 계지부(243c)의 Z방향 +측의 면은, 후술하는 홀더(241A)의 용수철 좌면(座面)(241s)(도 32 참조)에 접착 고정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제2 관통공(243f)에는 각각, 홀더(241A)의 한 쌍의 홀더측 위치결정 볼록부(241u)(도 32 참조)가 삽통된다. 또한, 다른쪽(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경우, 제2 계지부(243c)의 Z방향 +측의 면은, 홀더(241A)의 용수철 좌면(241t)에 접착 고정된다.
뒤틀림 허용부(243g)는, Y방향으로 연재한 판상 부재이며, 연속부(連續部)(243i)의 X방향 중간부와, 제2 계지부(243c)를 연속한다. 이러한 뒤틀림 허용부(243g)는, 뒤틀림으로써, 제2 계지부(243c)의, 각 제1 계지부(243a, 243b)에 대한 뒤틀림을 허용한다.
또, 뒤틀림 허용부(243g)는, 탄성변형함으로써, 각 제1 계지부(243a, 243b)와 제2 계지부(243c)의 Z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은, 제2 계지부(243c)의 이면(즉, Z방향 -측의 면)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은,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요동 가이드면(245a)과 맞닿는다.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자유 상태(비(非)조립 상태라고도 함)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판상 부재이다. 한편, 조립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은, 뒤틀림 허용부(243g)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제2 계지부(243c)가 제1 계지부(243a, 243b)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도 31 참조).
구체적으로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뒤틀림 허용부(243g)가, 제2 계지부(243c)로 향할수록 Z방향 +측으로 향하도록 탄성변형한다. 이러한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은, 요동 가이드 부재(245)를 Z방향 -측으로 부세한다.
[스페이서]
스페이서(246)는, 제1 베이스(22a)의 저벽부(229)의 Z방향 -측의 면(즉, 저면)에 형성된 저구(底溝)(229a)(도 26, 29 참조)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46)는, 제1 마그넷(244f)과 제1 코일(244c)의 Z방향에 있어서의 충돌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246)는, 판상 부재이며, 후술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제1 코일(244c)을 안쪽에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서측 관통공(246a)을 가진다.
스페이서(246)의 일부는, 후술하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제1 코일(244c)과,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25, 26 참조)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246)에 있어서의 제1 코일(244c)의 주위에 배치되는 부분(충돌 방지부라고도 함)의 Z방향 +측의 면(충돌 방지면이라고도 함)은, 제1 코일(244c)의 Z방향 +측의 면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도 25 참조).
상기 충돌 방지면은, 후술하는 홀더(241A)의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도 25, 32 참조)와 Z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상태로, 상기 충돌 방지면과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Z방향의 틈새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제1 마그넷(244f)과 제1 코일(244c)의 사이에 존재하는 Z방향의 틈새보다 작다.
따라서, 후술하는 홀더(241A)와 함께 제1 마그넷(244f)이 Z방향 -측으로 변위했을 경우에도, 제1 마그넷(244f)이 제1 코일(244c)과 맞닿기 전에,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가 스페이서(246)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제1 마그넷(244f)과 제1 코일(244c)의 충돌이 방지된다. 또한, 스페이서(246)는 생략되어도 좋다. 도면표시는 생략하지만, 스페이서(246)를 생략할 경우에는, 제1 베이스(22a)의 저벽부(229)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면(즉, 표면)의 일부(충돌 방지면이라고도 함)를, 제1 코일(244c)의 Z방향 +측의 면보다, Z방향 +측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홀더(241A)의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도 25, 32 참조)의 위치를 조정하여, 충돌 방지면과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를 Z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마그넷(244f)과 제1 코일(244c)의 맞닿음을 방지한다.
[홀더]
홀더(241A)(도 29, 32 참조)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며, 제1 베이스(22a)에 대해서 프리즘(23)을 요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한다.
홀더(241A)는, 재치면(241a), 한 쌍의 대향벽부(241f, 241g), 복수의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 및 한 쌍의 돌출부(241q, 241r)를 구비한다. 재치면(241a) 및 한 쌍의 대향벽부(241f, 241g)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홀더(241)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복수의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는 각각, 홀더(241A)의 이면(즉, Z방향 -측의 면)의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의 경우, 3군데)에 설치된다. 또한, 충돌 방지 볼록부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의 선단면(先端面)(즉, Z방향 -측의 단면)은, 홀더(241A)의 다른 부분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의 선단면은 각각, 스페이서(246)의 표면(즉, Z방향 +측의 면)과 Z방향의 틈새를 경유하여 대향한다.
한 쌍의 돌출부(241q, 241r)는 각각, 한 쌍의 대향벽부(241f, 241g)에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돌출부(241q, 241r)는 각각, 홀더(241A)를, 제1 베이스(22a)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즉, Y방향 +측)의 돌출부(241q)는, 대향벽부(241f)의 Y방향 +측면에, 해당 측면으로부터 Y방향 +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돌출부(241r)는, 대향벽부(241g)의 Y방향 -측면에, 해당 측면으로부터 Y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또, 한 쌍의 돌출부(241q, 241r)는 각각, 이면(즉, Z방향 -측의 면)에, 평탄면상(平坦面狀)의 용수철 좌면(241s, 241t)을 가진다.
용수철 좌면(241s, 241t)의 X방향으로 이격한(離隔) 2군데에는, Z방향 -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홀더측 위치결정 볼록부(241u)가 형성된다.
용수철 좌면(241s, 241t)에는 각각,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제2 계지부(243c)의 Z방향 +측의 면이 접착 고정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홀더측 위치결정 볼록부(241u)는 각각,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한 쌍의 제2 관통공(243f)에 삽통된다. 이 구조에 의해, 홀더(241A)는, 제1 베이스(22a)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액추에이터]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홀더(241A)를 요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축이란,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요동 가이드면(245a)과,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과의 당접부(當接部)를 지나는 Y축에 평행한 직선이다.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프리즘(23)의 광로 굴곡면(231) 및 홀더(241A)와 Z방향(즉, 제1 광축의 방향)에 겹쳐지도록 프리즘(23) 및 홀더(241A)의 뒤쪽(즉, Z방향 -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1 광축의 방향이, 제1방향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제1 마그넷(244f),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를 구비한다.
제1 마그넷(244f)은, 가동측 부재인 홀더(241A)의 뒤쪽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마그넷(244f)은, X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넷 소자로 되어있다. 이들 각 마그넷 소자는 각각, Z방향으로 착자되어,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진다. 각 마그넷 소자의 자극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상술과 같은 제1 마그넷(244f)에 의하면, 제1 마그넷(244f)의 X방향 중앙 부분의 비착자 부분을, 전술한 실시형태 1과 같은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지는 구조와 비교해서 줄일 수 있다.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는, 제1 베이스(22a)의 뒤쪽면에 고정된,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하, FPC)(25)의 표면(즉, 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된다.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는, 제1 베이스(22a)의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25, 26 참조)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코일(244c)은, 타원형상의 이른바 공심 코일이다. 제1 홀 소자(244e)는, 제1 코일(244c)의 지름 방향의 안쪽에 배치된다. 또, 제1 코일(244c)의 외측에는, 스페이서(246)가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손떨림 보정용의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홀더(241A)를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시킨다.
이하, 도 31을 참조하면서, 홀더(241A)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제1 코일(244c)에 전류가 흐르면, 제1 마그넷(244f)을 X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로렌트력을 발생시킨다. 제1 마그넷(244f)은 홀더(241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렌트력에 기초하여 홀더(241A)에는, 홀더(241A)를 X방향(예를 들면, 도 31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241A)에 고정된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각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은,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각 요동 가이드면(245a)을 Z방향 -측(도 31의 화살표 Za의 방향)으로 압압한다.
상술과 같은 압압에 기초하여, 도 31의 2점 쇄선(L1)과 같이 기운다(즉, 각 요동 가이드면(245a) 위를 구른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점 쇄선(L1)의 경사 각도는, 실제의 각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의 경사 각도보다 과장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 때,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각 뒤틀림 허용부(243g)는, 각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의 기울기를 허용하도록 뒤틀린다. 상술한 것처럼 각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이 기울면, 홀더(241A)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또한, 제1 코일(244c)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홀더(241A)의 변위 방향이 바뀐다. 제1 액추에이터(244A)로의 통전이 끊기면, 홀더(241A)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홀더(241A)의 초기 위치란, 홀더(241A)가 요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4. 실시형태 4]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모듈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주로, 후술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에 있어서, AF용 마그넷(365a, 365b)의 구조, AF용 홀 소자(367a)의 배치, 및, 새로이 AF용 제2 마그넷(369a, 369b)을 마련한 점이, 실시형태 1과 다르다. 또,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에 있어서, 제2 마그넷(371c, 371d)의 구조, 및, 제2 홀 소자(373)의 배치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이하, 도 33을 참조하여,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3은,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표시는 생략하지만, 렌즈 가이드의 구조도,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렌즈 가이드(361)(도 11, 16 참조)와 다르다.
렌즈 가이드의 구조에 대해서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의 설명과 함께 간단히 설명한다.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 및 렌즈 가이드 이외의 렌즈 모듈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렌즈 모듈(3)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프리즘 모듈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3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대해서, 실시형태 1과 다른 부분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4.1 AF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는 각각, 오토포커스용이 되는 제3 액추에이터이다. 한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c)는, AF용 마그넷(365a), AF용 코일(366a), 및 AF용 제2 마그넷(369a)을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d)는, AF용 마그넷(365b), AF용 코일(366b), AF용 홀 소자(367a), 및 AF용 제2 마그넷(369b)을 가진다.
또한, AF용 마그넷(365a, 365b) 및 AF용 코일(366a, 366b)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끼리는, AF용 홀 소자(367a)를 제외하고, Y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이하,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쪽의 AF액추에이터(364d)에 있어서의 AF용 홀 소자(367a) 및 AF용 제2 마그넷(369b)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다른쪽의 AF액추에이터(364d)의 AF용 홀 소자(367a)에는, AF장치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내장된다. 이러한 AF용 홀 소자(367a)는, AF용 코일(366b)의 근방이면서 또 AF용 코일(366b)보다 X방향 -측에 배치된다.
AF용 홀 소자(367a)는, FPC(도면표시 생략)에, 땜납에 의해 직접 고정된다. 또, FPC(도면표시 생략)에 있어서 AF용 홀 소자(367a)가 고정된 부분의 이면에, 보강 플레이트(도면표시 생략)가 설치된다. 또한, AF용 홀 소자(367a)는, FPC에, 기판(도면표시 생략)을 경유하여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생략되어도 좋다.
AF용 제2 마그넷(369b)은, AF용 마그넷(365b)과는 다른 마그넷이다. 구체적으로는, AF용 제2 마그넷(369b)은, 착자 방향이 Z방향이며,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진다.
AF용 제2 마그넷(369b)은, AF용 마그넷(365b)의 근방이면서 또 X방향 -측에서, AF용 홀 소자(367a)와 Z방향으로 대면한다. 이와 같은 AF용 제2 마그넷(369b)은, AF용 홀 소자(367a)를 통과하는 자속밀도를 높인다. 또한, AF용 제2 마그넷(369b)도, 렌즈 가이드(도면표시 생략)에 설치된 보지부에 보지된다.
[4.2 제2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 중 한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c)는, 한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c)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대향한다. 이와 같은 한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c)는, 제2 마그넷(371c), 제2 코일(372a), 및 제2 홀 소자(373)를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d)는, 다른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d)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대향한다. 이와 같은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d)는, 제2 마그넷(371d) 및 제2 코일(372b)을 가진다.
또한, 제2 코일(372a, 372b)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끼리는, 제2 홀 소자(373)를 제외하고, Y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이하,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한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c)에 있어서의 제2 마그넷(371c) 및 제2 홀 소자(373)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한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c)에 있어서의 제2 마그넷(371c)은, Y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넷 소자로 되어있다. 각 마그넷 소자는 각각, X방향으로 긴 직방체이며, Z방향으로 착자된다. 각 마그넷 소자의 자극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제2 마그넷(371c)은, 렌즈 가이드(도면표시 생략)에 설치된 보지부에 보지된다.
제2 홀 소자(373)는, 제2 코일(372a)의 근방이면서 또 제2 코일(372a)보다 Z방향 -측에 설치된다. 제2 홀 소자(373)는, FPC(도면표시 생략)에, 땜납에 의해 직접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2 홀 소자(373)의 배치 모양은, 제2 코일(372a)의 대형(大型)화를 가능하게 한다. 대형의 제2 코일(372a)을 채용하면, 제2 떨림보정 장치(37)의 출력은 증대한다.
[4.3 부기]
제2 마그넷(371c, 371d)과 AF용 마그넷(365a, 365b)과의 Z방향의 사이 부분에, 자성 금속제의 실드 판(6a, 6b)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c, 370d)와,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와의 크로스토크가 방지된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5. 실시형태 5]
도 34~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모듈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e, 370f), 및 FPC(363A)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주로,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에 있어서, AF용 마그넷(365a, 365b)의 구조 및 개수, AF용 코일(366a, 366b)의 개수, 및, AF용 홀 소자(367a)의 배치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5.1 AF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는 각각, 오토포커스용이 되는 제3 액추에이터이다. 한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e)는,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 한 쌍의 AF용 코일(366a), 및 AF용 홀 소자(367a)를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f)는,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b), 한 쌍의 AF용 코일(366b)을 가진다.
또한,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끼리는, AF용 홀 소자(367a)를 제외하고, Y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이하, 한쪽의 AF액추에이터(364e)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한쪽의 AF액추에이터(364e)에 있어서,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은, X방향으로 떨어진 상태로 서로 이웃한다. 또한,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은 각각,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지는 2개의 마그넷 소자를 조합시킨 구조라도 좋다. 또는,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은 각각,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지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은 각각, 렌즈 가이드(도면표시 생략)의 보지부에 보지된다.
한 쌍의 AF용 코일(366a)은, X방향으로 떨어진 상태로 서로 이웃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AF용 코일(366a)은 각각,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의 Z방향 -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AF용 코일(366a)은 각각, 한 쌍의 AF용 마그넷(365a)과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Z방향으로 대향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AF용 코일(366a)은 각각, 타원형상의 이른바 공심 코일이다. 한 쌍의 AF용 코일(366a)은 각각, 장축이 Y방향에 일치한 상태로, FPC(363A)의 제1 코일 고정부(363a)에 직접 고정된다.
또한, FPC(363A)에 있어서의 제1 코일 고정부(363a)의 이면에, 제1 보강 플레이트(391a)가 설치된다. 또, FPC(363A)에 있어서, 다른쪽의 AF액추에이터(364f)의 한 쌍의 AF용 코일(366b)이 고정되는 제1 코일 고정부(363b)의 이면에는, 제1 보강 플레이트(391b)가 설치된다. 또, 제1 보강 플레이트(391a)의 이면에, 비자성체로 되어있는 제2 보강 플레이트(392a)가 설치된다. 또, 제1 보강 플레이트(391b)의 이면에 비자성체로 되어있는 제2 보강 플레이트(392b)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보강 플레이트(392a, 392b)는 각각, 자성체이어도 좋다. 자성체의 제2 보강 플레이트(392a, 392b)는 각각, AF용 코일(366a, 366b)을 통과하는 자속밀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AF용 홀 소자(367a)는, AF장치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AF용 홀 소자(367a)는, 한 쌍의 AF용 코일(366a)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AF용 홀 소자(367a)는, FPC(363A)에 있어서의 제1 코일 고정부(363a)의 표면에, 땜납에 의해 직접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는, 전술한 실시형태 4의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c, 364d)와 바꿔놓아도 좋다.
[5.2 제2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e, 370f) 중의 한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e)는, 한쪽의 AF액추에이터(364e)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대향한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370e)는, 제2 마그넷(371c), 제2 코일(372a), 및 제2 홀 소자(373)를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f)는, 제2 마그넷(371d) 및 제2 코일(372b)을 가진다.
또한, 제2 마그넷(371c, 371d), 제2 코일(372a, 372b), 및 제2 홀 소자(373)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4와 동일하다. 단,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각 부재들의 배치 모양이, 전술한 실시형태 4와 다르다.
또,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e, 370f)끼리는, 제2 홀 소자(373)를 제외하고, Y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이하, 전술한 실시형태 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한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e)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 4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한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e)의 제2 코일(372a)은, 제2 마그넷(371c)보다 Z방향 +측에 설치된다. 제2 코일(372a)은, FPC(363A)의 제2 코일 고정부(363f)의 이면에 고정된다.
또, FPC(363A)에 있어서, 제2 코일 고정부(363f)의 표면에는, 제1 보강 플레이트(391c)가 설치된다. 또한, FPC(363A)에 있어서,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f)의 제2 코일(372b)이 고정되는 제2 코일 고정부(363g)의 표면에는, 제1 보강 플레이트(391d)가 설치된다. 또, 제1 보강 플레이트(391c)의 표면에, 비자성체로 되어있는 제2 보강 플레이트(392c)가 설치된다. 또, 제1 보강 플레이트(391d)의 표면에 비자성체로 되어있는 제2 보강 플레이트(392d)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보강 플레이트(392c, 392d)는 각각, 자성체이어도 좋다. 자성체의 제2 보강 플레이트(392c, 392d)는 각각, 제2 코일(372a, 372b)을 통과하는 자속밀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제2 홀 소자(373)는, 제2 코일(372a)의 근방이면서 또 제2 코일(372a)보다 X방향 +측에 설치된다.
[5.3 부기]
또, 제2 마그넷(371c)과 AF용 마그넷(365a)과의 사이, 및, 제2 마그넷(371d)과 AF용 마그넷(365b)과의 Z방향의 사이 부분의 각각, 자성 금속제의 1쌍의 실드 판(6a, 6b)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e, 370f)와,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와의 크로스토크가 방지된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전술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6. 실시형태 6]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의 구조는, AF용 홀 소자(367a)의 위치를,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의 사이에서 바꿔넣은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형태 5와 거의 동일하다. 이 때문에,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1 제2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g, 370h) 중의 한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g)는, 제2 마그넷(371a), 제2 코일(372a), 및 제3 마그넷(374a)을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h)는, 제2 마그넷(371b), 제2 코일(372b), 제2 홀 소자(373), 및 제3 마그넷(374b)을 가진다.
제2 마그넷(371a, 371b) 및 제2 코일(372a, 372b)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g, 370h)끼리는, 제2 홀 소자(373)를 제외하고, Y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이하,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h)에 있어서의 제2 홀 소자(373) 및 제3 마그넷(374b)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제2 마그넷(371a, 371b)은,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진 2개의 마그넷 소자를 조합시킨 구조이어도 좋다. 또는, 제2 마그넷(371a, 371b)은,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지는 구조이어도 좋다.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h)의 제2 홀 소자(373)는, 제2 코일(372b)보다 Z방향 -측이면서 또 X방향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홀 소자(373)는, FPC(도면표시 생략)에 고정된다.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h)의 제3 마그넷(374b)은, 제2 마그넷(371b)과는 다른 마그넷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마그넷(374b)은, 착자 방향이 Y방향이며,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제3 마그넷(374b)은, 제2 홀 소자(373)보다 Z방향 -측에 배치되고, 그러면서 또, 제2 홀 소자(373)와 Z방향으로 대향한다. 제3 마그넷(374b)은, 렌즈 가이드(도면표시 생략)에 설치된 보지부에 보지된다.
[6.2 부기]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마그넷(371a, 371b)의 Z방향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자성 금속제의 실드판(요크라고도 함)(6a, 6b)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실드 판(6a, 6b)은, 제2 마그넷(371a, 371b)의 요크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전술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7. 실시형태 7]
도 38,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e, 364f)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5와 거의 동일하다.
[7.1 제2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i, 370j) 중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i)는, 한 쌍의 제2 마그넷(371a), 제2 코일(372a), 및 제2 홀 소자(373)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구조와 비교해서, 제2 마그넷(371a)이 1개 증가해 있다. 또한, 이 각 부재들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한 쌍의 제2 마그넷(371a) 및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마그넷(371b)은 각각, 한쪽 편에 1개의 자극을 가지는 2개의 마그넷 소자를 조합시킨 구조이어도 좋다. 또는, 한 쌍의 제2 마그넷(371a) 및 한 쌍의 제2 마그넷(371b)은 각각, 한쪽 편에 두 개의 자극을 가지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2 마그넷(371a)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제2 코일(372a)을 Z방향에서 끼우듯이 배치된다. 한쪽(즉, Z방향 +측)의 제2 마그넷(371a)은, 렌즈 가이드(361A)의 한쪽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에 보지된다. 한편, Z방향 -측의 제2 마그넷(371a)은, 렌즈 가이드(361A)의 한쪽의 제3 마그넷 보지부(368c)에 보지된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j)는, 한 쌍의 제2 마그넷(371b) 및 제2 코일(372b)을 가진다. 다른쪽의 제2 액추에이터(370j)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구조와 비교해서, 제2 마그넷(371b)이 1개 증가해 있다. 또한, 이 각 부재들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2 마그넷(371b)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제2 코일(372b)을 Z방향에서 끼우듯이 배치된다. 한쪽(즉, Z방향 +측)의 제2 마그넷(371b)은, 렌즈 가이드(361A)의 다른쪽의 제2 마그넷 보지부(도면표시 생략)에 보지된다. 한편, 다른쪽(즉, Z방향 -측)의 제2 마그넷(371b)은, 렌즈 가이드(361A)의 다른쪽의 제3 마그넷 보지부(도면표시 생략)에 보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i, 370j)에 있어서, 각각 한 쌍의 제2 마그넷(371a, 371b)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떨림보정 장치(37)(도 5 참조)의 출력을 증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효과는 전술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8 실시형태 8]
도 40~5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프리즘 모듈(2c) 및 렌즈 모듈(3a)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과 다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대해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8.1 프리즘 모듈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리즘 모듈(2c)은, 제1 커버(21)(도 1a참조), 제1 베이스(22b), 프리즘(23), 및 제1 떨림보정 장치(24b)(도 40 및 도 41 참조)를 구비한다. 제1 커버(21) 및 프리즘(23)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제1 베이스]
제1 베이스(22b)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1 베이스(22)와 마찬가지로, Z방향 +측 및 X방향 +측이 각각 개구한 상자 모양 부재이다. 제1 베이스(22b)는, Z방향 -측의 저벽부(229b)에, 베이스 제1 개구부(220)(도 43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베이스 제1 개구부(220)에, 제1 액추에이터(244A)의 제1 코일(244c) 및 제1 홀 소자(244e)가 배치된다.
제1 베이스(22b)는, 제1 떨림보정 장치(24b)의 홀더(241B)(도 40 참조)를,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요동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제1 베이스(22b)는, 전술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요동 가이드 부재(245)를 보지하기 위한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도 44 참조)를 가진다.
제1 수부(225c1)는, 제1 베이스(22b)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a1)에 설치된다. 한편, 제2 수부(225d1)는, 제1 베이스(22b)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제1 측벽부(224b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수부(225c1)와 제2 수부(225d1)는, 서로 Y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는 각각, 제1 측벽부(224a1) 및 제1 측벽부(224b1)의 Z방향 +측의 단면(표면)으로만 개구하는 원기둥상의 오목부이다.
제1 측벽부(224a1)는, 상면의 Y방향 내단연(內端緣)과 제1 수부(225c1)의 사이에 제1언부(堰部:둑)(224c1)(도 44 참조)를 가진다. 한편, 제1 측벽부(224b1)는, 표면의 Y방향 내단연과 제2 수부(225d1)의 사이에 제1언부(224c2)(도 44 참조)를 가진다. 제1언부(224c1) 및 제1언부(224c2)는 각각,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에, 요동 가이드 부재(245)(도 43 참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Y방향 중앙측으로의 유출 방지에 기여한다.
제1 측벽부(224a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1 수부(225c1)의 Y방향 외측 반부(外側半部)의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제2언부(224d1)(도 44 참조)를 가진다. 한편, 제1 측벽부(224b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2 수부(225d1)의 Y방향 외측 반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제2언부(224d2)를 가진다. 제2언부(224d1) 및 제2언부(224d2)는 각각,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에, 요동 가이드 부재(245)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Y방향 외측으로의 유출 방지에 기여한다.
제1 측벽부(224a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2언부(224d1)보다 Y방향 외측 부분에, 용수철 배치 공간(224e1, 224e2)(도 44 참조)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용수철 배치 공간(224e1)과 용수철 배치 공간(224e2)은, X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한편, 제1 측벽부(224b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2언부(224d2)보다 Y방향 외측 부분에, 용수철 배치 공간(224f1, 224f2)(도 44 참조)을 가진다. 용수철 배치 공간(224f1)과 용수철 배치 공간(224f2)은, X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용수철 배치 공간(224e1, 224e2) 및 용수철 배치 공간(224f1, 224f2)에는 각각, 후술하는 요동 지지 용수철(243A)(도 45 참조)의 연속부(243i1)의 일부(구체적으로는 기단측 연속부(243j1))가 배치된다.
제1 측벽부(224a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2언부(224d1)보다 Y방향 외측 부분에, X방향 +측으로부터 차례로 3개의 볼록부(224g1, 224g2, 224g3)를 가진다. 볼록부(224g1)와 볼록부(224g3)는, X방향으로 떨어져, 그러면서 또, X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에서 겹친다. 볼록부(224g2)는, 볼록부(224g1) 및 볼록부(224g3)보다 Y방향 외측(外側)(도 44의 하측)에 위치한다.
용수철 배치 공간(224e1)은, 볼록부(224g1)와 볼록부(224g2)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한편, 용수철 배치 공간(224e2)은, 볼록부(224g2)와 볼록부(224g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제1 측벽부(224b1)는, 상면에 있어서의 제2언부(224d2)보다 Y방향 외측 부분에, X방향 +측으로부터 차례로 3개의 볼록부(224h1, 224h2, 224h3)를 가진다. 볼록부(224h1)와 볼록부(224h3)는, X방향으로 떨어져, 그러면서 또, X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겹친다. 볼록부(224h2)는, 볼록부(224h1) 및 볼록부(224h3)보다 Y방향 외측(도 44의 위쪽)에 위치한다.
용수철 배치 공간(224f1)은, 볼록부(224h1)와 볼록부(224h2)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한편, 용수철 배치 공간(224f2)은, 볼록부(224h2)와 볼록부(224h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제1 측벽부(224a1, 224b1)는 각각, 상면에 있어서의 X방향 양단부에,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1)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1)(도 44 참조)를 가진다.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1)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1)는 각각, 후술하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도 45 참조)과 계합하여,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을 위치결정 한다.
[제1 떨림보정 장치]
제1 떨림보정 장치(24b)는, 전술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Y방향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프리즘(23)을 요동시켜서,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보정을 행한다. 이러한 제1 떨림보정 장치(24b)는, 제1 수용 공간(223)(도 6 참조)에 배치된다.
제1 떨림보정 장치(24b)는,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도 43 참조),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 홀더(241B)(도 42 참조), 및 제1 액추에이터(244A)(도 43 참조)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1 떨림보정 장치(24b)에 있어서, 홀더(241B)는, 제1 베이스(22b)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로 홀더(241B)는, 제1 액추에이터(244A)의 구동력에 기초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제1 액추에이터(244A)가 구동하면, 홀더(241B) 및 프리즘(23)이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떨림이 보정된다. 이하, 제1 떨림보정 장치(24b)가 구비하는 각 부재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요동 가이드 부재]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각각, 예를 들면, 세라믹제, 금속제, 합성 수지제의 구체(球體)이다.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 중의 한쪽(즉, Y방향 +측)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b)의 제1 수부(225c1)(도 44 참조)에 배치된다. 한편,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b)의 제2 수부(225d1)에 배치된다.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각각,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Z방향 +측의 반부(半部)는, 요동 가이드면(245a)(요동 가이드부라고도 함. 도 23 참조)이다. 요동 가이드면(245a)은, 제1 수부(225c1) 및 제2 수부(225d1)보다 Z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또, 각 요동 가이드면(245a)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부는, 제1 측벽부(224a1, 224b1)의 Z방향 +측의 단면(端面)에 있어서의,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1) 및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1) 이외의 부분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도 31 참조). 또한,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구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반구체, 원기둥, 반원기둥 이어도 좋다. 또, 요동 가이드 부재(245)는, 제1 베이스(22b)와 일체형이어도 좋다. 즉, 요동 가이드 부재는, 제1 베이스(22b)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요동 지지 용수철]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후술하는 홀더(241B)를, 제1 베이스(22b)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각각, 금속제의 판용수철이며,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Z방향 +측에 배치된다.
이하,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 중의 한쪽(즉, 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에 대해서, 도 45를 참조해 설명한다. 다른쪽(즉, 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과 Y방향으로 대칭이다.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1, 243b1), 제2 계지부(243c1), 뒤틀림 허용부(243g1), 및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1)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1, 243b1) 중의 한쪽(즉, X방향 +측)의 제1 계지부(243a1)는,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한쪽의 제1 계지부(243a1)는, 제1 관통공(243d1)을 가진다.
한편, 다른쪽(즉, X방향 -측)의 제1 계지부(243b1)는, 한쪽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다른쪽의 제1 계지부(243b1)는, 제1 관통공(243e1)을 가진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1, 243b1)끼리는, X방향으로 연재한 연속부(243i1)에 의해 연속된다.
연속부(243i1)는, 후술하는 뒤틀림 허용부(243g1)보다 X방향 +측에 배치된 연속부 요소(243j), 및, 뒤틀림 허용부(243g1)보다 X방향 -측에 배치된 연속부 요소(243k)를 가진다. 연속부 요소(243j)는, 뒤틀림 허용부(243g1)와 제1 계지부(243a1)를 연속한다. 한편, 연속부 요소(243k)는, 뒤틀림 허용부(243g1)와 제1 계지부(243b1)를 연속한다.
이하, 연속부 요소(243j)에 대해 설명한다. 연속부 요소(243j)는, 기단측 연속부(243j1) 및 사행 연속부(243j2)를 가진다. 기단측 연속부(243j1)와 사행 연속부(243j2)는, 연속한다.
기단측 연속부(243j1)는, 연속부 요소(243j)에 있어서, 뒤틀림 허용부(243g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설치된다. 기단측 연속부(243j1)의 일단(뒤틀림 허용부243g1에 가까운 쪽의 단부)은, 뒤틀림 허용부(243g1)에 연속한다. 사행 연속부(243j2)는, 거의 S자 모양이다.
사행 연속부(243j2)의 일단(뒤틀림 허용부243g1에 가까운 쪽의 단부)은, 기단측 연속부(243j1)에 연속한다. 사행 연속부(243j2)의 타단(뒤틀림 허용부243g1로부터 먼 쪽의 단부)은, 제1 계지부(243a1)에 연속한다. 연속부 요소(243k)는, 연속부 요소(243j)와 X방향으로 대칭이다. 이 때문에, 연속부 요소(243k)에 대해서는, 연속부 요소(243j)의 구성 부재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1, 243b1)의 Z방향 -측의 면은, 제1 베이스(22b)의 제1 측벽부(224a1)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된다. 이 상태로, 제1 관통공(243d1, 243e1)에는, 각각 제1 베이스(22b)의 제 1위치결정 볼록부(226a1), 제2 위치결정 볼록부(227a1)가 삽통된다(도 43 참조).
또한, 다른쪽(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경우, 한 쌍의 제1 계지부(243a1, 243b1)의 Z방향 -측의 면은, 제1 베이스(22b)의 제1 측벽부(224b1)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된다.
제2 계지부(243c1)는, 제1 계지부(243a1, 243b1)끼리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 부분에, X방향의 틈새를 경유하여 설치된다. 제2 계지부(243c1)는, 한 쌍의 제2 관통공(243f1)을 가진다.
제2 계지부(243c1)의 Z방향 +측의 면은, 후술하는 홀더(241B)의 용수철 좌면(241s)(도 32 참조)에 접착 고정된다. 이 상태로, 한 쌍의 제2 관통공(243f1)에는 각각, 홀더(241B)의 한 쌍의 홀더측 위치결정 볼록부(241u)(도 32 참조)가 삽통된다. 또한, 다른쪽(Y방향 -측)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경우, 제2 계지부(243c1)의 Z방향 +측의 면은, 홀더(241B)의 용수철 좌면(241t)(도 32 참조)에 접착 고정된다.
뒤틀림 허용부(243g1)는, Y방향으로 연재한 판상 부재이며, 연속부(243i1)의 X방향 중간부(구체적으로는, 각 기단측 연속부243j1의 일단)와, 제2 계지부(243c1)를 연속한다. 이와 같은 뒤틀림 허용부(243g1)는, 뒤틀림으로써, 제2 계지부(243c1)의, 제1 계지부(243a1, 243b1)에 대한 뒤틀림을 허용한다.
또, 뒤틀림 허용부(243g1)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각 제1 계지부(243a1, 243b1)와 제2 계지부(243c1)의 Z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1)은, 제2 계지부(243c1)의 이면(즉, Z방향 -측의 면)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1)은,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요동 가이드면(245a)(도 31 참조)과 맞닿는다.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자유 상태(비조립 상태라고도 함)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판상 부재이다. 한편, 조립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은, 뒤틀림 허용부(243g1)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제2 계지부(243c1)가 제1 계지부(243a1, 243b1)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도 31 참조).
구체적으로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뒤틀림 허용부(243g1)가, 제2 계지부(243c1)로 향할수록 Z방향 +측으로 향하도록 탄성변형 한다. 이러한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1)은, 요동 가이드 부재(245)를 Z방향 -측으로 부세한다.
이상과 같은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용수철 배치 공간(224e1, 224e2) 및 용수철 배치 공간(224f1, 224f2)에는 각각,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기단측 연속부(243j1)가 배치된다. 또, 용수철 배치 공간(224e1, 224e2) 및 용수철 배치 공간(224f1, 224f2)에는, 기단측 연속부(243j1)를 덮듯이 겔상의 제진 부재(27)가 배치된다(도 43 참조).
제진 부재(27)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불요 공진의 억제에 효과적이다. 불요 공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제진 부재(27)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에 있어서 사용시에 가장 크게 변형하는 부분의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사용시에 가장 크게 변형하는 부분은 뒤틀림 허용부(243g1)이다. 이 때문에, 제진 부재(27)는,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에 있어서의 뒤틀림 허용부(243g1)에 가까운 부분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홀더(241B)(도 40 참조)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며, 제1 베이스(22b)에 대해서 프리즘(23)을 요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한다. 홀더(241B)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3의 홀더(241A)(도 32 참조)와 거의 동일하다. 이하, 홀더(241B)에 대해서, 실시형태 3의 홀더(241A)와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홀더(241B)의 돌출부(241q1, 241r1)는, 한 쌍의 대향벽부(241f, 241g)(도 32 참조)로부터의 Y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실시형태 3의 홀더(241A)의 돌출부(241q, 241r)(도 32 참조)보다 작다. 따라서, 조립 상태에 있어서, 홀더(241B)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면(즉, 돌출부241q1, 241r1의 Y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면)의 위치는, 제1 베이스(22b)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면보다, Y방향 중앙 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홀더(241B)의 소형·경량화에 기여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실시형태 3의 스페이서(246)(도 25 참조)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241B)의 이면(즉, Z방향 -측의 면)에는, 충돌 방지 볼록부(241m, 241n, 241p)(도 32 참조)가 설치되지 않았다. 그 외의 홀더(241B)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홀더(241) 또는 실시형태 3의 홀더(241A)와 거의 동일하다.
[제1 액추에이터]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홀더(241B)를 요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축이란, 한 쌍의 요동 가이드 부재(245)의 요동 가이드면(245a)과, 한 쌍의 요동 지지 용수철(243A)의 용수철측 가이드면(243h1)과의 당접부를 지나는 Y축에 평행한 직선이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244A)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1 액추에이터(244A)는, 전술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손떨림 보정용의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홀더(241B)를,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시킨다. 홀더(241B)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요동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1을 참조해 설명한 전술한 실시형태 3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3a)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모듈(3a)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렌즈 모듈(3)과 거의 동일하다. 이하, 렌즈 모듈(3a)에 대해서, 실시형태 1의 렌즈 모듈(3)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8.2 렌즈 모듈에 대해서]
렌즈 모듈(3a)은, 도 46~5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2 커버(31)(도 1a 참조), 제2 베이스(32A), 렌즈부(33), AF장치(36A), 제2 떨림보정 장치(37A), 및 기준 부재(38)를 구비한다. 제2 커버(31), 렌즈부(33), 및 기준 부재(38)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제2 베이스]
제2 베이스(32A)(도 46 및 도 47 참조)는, 상술한 제2 커버(31)와 조합시킴으로써, 렌즈부(33), AF장치(36A), 및 제2 떨림보정 장치(37A)를 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 공간(320)(도 4 참조)을 형성한다.
제2 베이스(32A)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2 베이스(32)와 거의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제2 베이스(32A)에 대해서, 실시형태 1의 제2 베이스(32)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베이스(32A)의 제2 측벽부(322a1)는, Y방향 +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X방향 양단부에, 스프링 배치부(324a1, 324c1)(도 46 참조)를 가진다. 스프링 배치부(324a1) 및 스프링 배치부(324c1)에는 각각, 후술하는 스프링(362a1) 및 스프링(362c1)이 배치된다.
제2 베이스(32A)의 제2 측벽부(322a1)는, Y방향 +측의 측면에, 슬릿(slit)(322i)(도 46 참조)을 가진다. 슬릿(322i)은, 후술하는 FPC(363B)(도 50 참조)의 제1 연속부(363i)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해당 공간은, ZY평면에 평행한 공간이다. 슬릿(322i)은, Y방향 +측 및 Z방향 양측으로 개구한다.
한편, 제2 베이스(32A)의 제2 측벽부(322b1)는, Y방향 -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X방향 양단부에, 스프링 배치부(324b1, 324d1)(도 47 참조)를 가진다. 스프링 배치부(324b1) 및 스프링 배치부(324d1)에는 각각, 후술하는 스프링(362b1) 및 스프링(362d1)이 배치된다.
제2 베이스(32A)의 제2 측벽부(322b1)는, Y방향 -측의 측면에, 한 쌍의 오목부(322j)를 가진다. 오목부(322j)에는 각각, 후술하는 FPC(363B)의 한 쌍의 제2 연속부(363j)가 배치된다. 또한, 오목부(322j)의 구성은, 도면표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 배치부(324a1~324d1)는 각각, 겔 배치부(324e~324h)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프링 배치부(324a1~324d1)는 각각, Z방향 +측의 단부에 겔 배치부(324e~324h)를 가진다. 겔 배치부(324e~324h)는 각각, 스프링(362a1~362d1)의 일부를 덮은 겔상의 제진 부재(325a~325d)를 보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렌즈부]
렌즈부(33)는, 후술하는 렌즈 가이드(361B)에 보지된 상태로, 제2 수용 공간(320)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33)는, 통 모양의 렌즈 배럴, 및, 렌즈 배럴에 보지된 1이상의 렌즈를 가진다. 일례로서 렌즈부(33)는, 렌즈 배럴의 X방향 -측의 단부와 렌즈 배럴의 X방향 +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고정된, 예를 들면, 광학 3배 이상의 망원 렌즈군을 가진다. 또한, 렌즈부(33)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AF장치]
AF장치(36A)(도 48 및 도 49 참조)는, 오토포커스를 목적으로 하여, 렌즈부(33)를 X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AF장치(36A)는, 렌즈 가이드(361B), 복수개(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스프링(362a1~362d1), FPC(363B), 및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1, 364b1)를 가진다.
[렌즈 가이드]
렌즈 가이드(361B)(도 46~도 48 참조)는, 렌즈 배럴을 보지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다. 이와 같은 렌즈 가이드(361B)는, X방향(즉, 제2 광축의 방향) 및 Y방향의 변위를 가능한 상태로, 상술한 제2 수용 공간(320)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가이드(361B)는, 후술하는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1, 364b1)의 AF용 마그넷(365a1, 365b1)을 보지하는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도 48 및 도 49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는 각각, 제2 베이스(32A)의 마그넷용 공간(322g, 322h)(도 11 참조)에 배치된다. 또한, 도 48은,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모듈(3a)을, Y방향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한편, 도 49는,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모듈(3a)을, Y방향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는 각각,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Z방향 -측이 개구한 오목(凹)부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는 각각, AF용 마그넷(365a1, 365b1)을 보지한 상태에 있어서, AF용 마그넷(365a1, 365b1)의 면깍기부(365c1, 365c2)와 대면하는 경사면부(361e1, 361e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는 각각, X방향으로 떨어져, 그러면서 또, X방향으로 대면한 한 쌍의 측면부(361c1, 361c2)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는 각각, 한 쌍의 측면부(361c1, 361c2)의 Z방향 +측의 단부끼리를, X방향으로 연속하는 상면부(361d)를 가진다.
또, 한 쌍의 측면부(361c1, 361c2)는 각각, Z방향 -측의 단부에, 상술한 경사면부(361e1, 361e2)를 가진다. 경사면부(361e1, 361e2)는, AF용 마그넷(365a1, 365b1)의 면깍기부(365c1, 365c2)를 따르는 경사면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부(361e1) 및 경사면부(361e2)는, Z방향 -측(도 48 및 도 49의 아래 쪽)으로 향할수록, X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즉, 경사면부(361e1)와 경사면부(361e2) 사이의 X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Z방향 -측의 단부에 있어서 가장 작다. 이러한 경사면부(361e1, 361e2)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AF용 마그넷(365a1, 365b1)의 Z방향 -측의 빠짐 방지에 기여한다.
렌즈 가이드(361B)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의 제2 마그넷(371a1, 371b1)을 보지하는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도 48 및 도 49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는 각각, 제2 베이스(32A)(도 46 및 도 47 참조)의 코일 재치부(322d, 322e)와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는 각각,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Z방향 -측이 개구한 오목부이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는 각각, 제2 마그넷(371a1, 371b1)을 보지한 상태에 있어서, 제2 마그넷(371a1, 371b1)의 면깍기부(371e1, 371e2)와 대면하는 경사면부(368f1, 368f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는 각각, X방향으로 떨어져, 그러면서 또, X방향으로 대면한 한 쌍의 측면부(368d1, 368d2)를 가진다.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는 각각, 한 쌍의 측면부(368d1, 368d2)의 Z방향 +측의 단부끼리를 X방향으로 연속하는 상면부(368e)를 가진다.
또, 한 쌍의 측면부(368d1, 368d2)는 각각, Z방향 -측의 단부에, 상술한 경사면부(368f1, 368f2)를 가진다. 경사면부(368f1, 368f2)는, 제2 마그넷(371a1, 371b1)의 면깍기부(371e1, 371e2)를 따르는 경사면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부(368f1) 및 경사면부(368f2)는, Z방향 -측으로 향할수록, X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즉, 경사면부(368f1)와 경사면부(368f2) 사이의 X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Z방향 -측의 단부에 있어서 가장 작다. 이와 같은 경사면부(368f1, 368f2)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제2 마그넷(371a1, 371b1)의 Z방향 -측의 빠짐 방지에 기여한다.
[스프링]
복수개(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스프링(362a1~362d1)(도 46 및 도 47 참조)은, 렌즈 가이드(361B)를 제2 베이스(32A)에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상태로, 렌즈부(33)는, 제2 베이스(32A)에 대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프링(362a1)은, 렌즈 가이드(361B)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A)에 지지한다(도 46 참조). 스프링(362b1)은, 렌즈 가이드(361B)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A)에 지지한다(도 47 참조). 스프링(362c1)은, 렌즈 가이드(361B)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A)에 지지한다(도 46 참조). 또, 스프링(362d1)은, 렌즈 가이드(361B)의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단부를 제2 베이스(32A)에 지지한다(도 47 참조).
스프링(362a1~362d1)은 각각, 제1 고정부(362f1), 제2 고정부(362g1), 및 탄성변형부(362h1)(도 51 참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51은,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배치인 채의 스프링(362a1~362d1)을 나타낸다.
제1 고정부(362f1)는, 가동측 부재인 렌즈 가이드(361B)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362g1)는, 고정측 부재인 제2 베이스(32A)에 고정된다. 탄성변형부(362h1)는, 제1 고정부(362f1)와 제2 고정부(362g1)를 연속한다. 탄성변형부(362h1)는, 예를 들면, 적어도 일부가 사행상으로 굽힘 성형된 선상 부재로 되어있다.
스프링(362a1~362d1)의 탄성변형부(362h1)는 각각, 중간부에 겔 계지부(362i1)를 가진다. 조립 상태에 있어서, 겔 계지부(362i1)는, 제진 부재(325a, 325b, 325c, 325d)(도 46 및 도 47 참조)에 덮인다. 이러한 겔 계지부(362i1)는, 제진 부재(325a, 325b, 325c, 325d)와 계합함으로써, 제진 부재(325a, 325b, 325c, 325d)와의 밀착성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겔 계지부(362i1)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彎曲)한 곡선부에 의해 구성된다. 스프링(362a1, 362b1)에 있어서의 겔 계지부(362i1)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한편, 스프링(362c1, 362d1)에 있어서의 겔 계지부(362i1)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즉, 스프링(362a1, 362b1)에 있어서의 겔 계지부(362i1)와, 스프링(362c1, 362d1)에 있어서의 겔 계지부(362i1)와는 서로,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에 있어서의 역방향으로 돌출한다.
겔 계지부(362i1)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2b에 나타내는 겔 계지부(362i2)는, 겔 계지부(362i1)의 변형예이다. 겔 계지부(362i2)는, 연속부(362j) 및 환상부(環狀部)(362k)를 가진다.
연속부(362j)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으로,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재한다. 환상부(362k)는, 환상이며, 연속부(362j)의 선단부에 연속한다. 연속부(362j)는, 직선상이 아니어도 좋다. 스프링(362a1, 362b1)에 있어서의 연속부(362j)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한편, 스프링(362c1, 362d1)에 있어서의 연속부(362j)는, 탄성변형부(362h1)의 직선부로부터 X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예를 들면, 연속부(362j)는, 사행상이어도 좋다. 또, 환상부(362k)의 형상은, 도면표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환상부(362k)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도 52c에 나타내는 것처럼, 겔 계지부(362i2)는, 생략되어도 좋다.
조립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362a1~362d1)은 각각, 제2 베이스(32A)의 스프링 배치부(324a1~324d1)(도 46 및 도 47 참조)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362a1~362d1)의 겔 계지부(362i1)는 각각, 스프링 배치부(324a1~324d1)에 있어서의 겔 배치부(324e~324h)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프링(362a1~362d1)의 겔 계지부(362i1)는 각각, 겔 배치부(324e~324h)에 배치된 겔상의 제진 부재(325a~325d)에 의해 덮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탄성변형부(362h1)는, X방향에 있어서 방향성을 가진다. 스프링(362a1)과 스프링(362b1)은, X방향에 있어서 동일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시말하면, 스프링(362a1)과 스프링(362b1)은,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적어도 탄성변형부(362h1)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362c1)과 스프링(362d1)은, X방향에 있어서 동일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시말하면, 스프링(362c1)과 스프링(362d1)은,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적어도 탄성변형부(362h1)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362a1)과 스프링(362c1)은, X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부(362h1)의 겔 계지부(362i1)만이 역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스프링(362a1)과 스프링(362c1)은, X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부(362h1)의 겔 계지부(362i1) 이외의 부분이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362b1)과 스프링(362d1)은, X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부(362h1)의 겔 계지부(362i1)만이 역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스프링(362b1)과 스프링(362d1)은, X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부(362h1)의 겔 계지부(362i1) 이외의 부분이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FPC]
FPC(363B)(도 50 참조)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며, 제2 베이스(32A)(도 46 및 도 47 참조)에 고정된다. FPC(363B)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AF장치(36A) 및 제2 떨림보정 장치(37A)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FPC(363B)는, 연속된 한 장의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며, FPC 베이스부(363h)와, 한 쌍의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 및 한 쌍의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를 가진다.
FPC 베이스부(363h)는, Y방향으로 연재하는 판상 부재이며, 제2 베이스(32A)의 저면부(321)(도 46 및 도 47 참조)에 고정된다. 제1 코일 고정부(363a)에는, AF장치(36A)의 AF용 코일(366a)(도 48 참조)이 기판(7a)을 경유하여 고정된다. 이 상태로, 제1 코일 고정부(363a) 및 AF용 코일(366a)은, 제2 베이스(32A)의 저면 관통공(321a)(도 15 참조)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코일 고정부(363b)에는, AF장치(36A)의 AF용 코일(366b)(도 49 참조)이, 기판(7b)을 경유하여 고정된다. 이 상태로, 제1 코일 고정부(363b) 및 AF용 코일(366b)은, 제2 베이스(32A)의 저면 관통공(321b)에 배치된다.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는 각각, 제1 코일 고정부(363a, 363b)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친다.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의 표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2 떨림보정 장치(37A)의 제2 코일(372a, 372b)이 고정된다(도 48 및 도 49 참조). 이 상태로, 제2 코일 고정부(363d, 363e)는 각각, 제2 베이스(32A)의 코일 재치부(322d), 코일 재치부(322e)(도 11 참조)의 표면에 재치된다.
제2 코일 고정부(363d)는, 제1 연속부(363i)를 경유하여, FPC 베이스부(363h)에 연속한다. 제1 연속부(363i)는, ZY평면에 평행한 판상 부재이다. 제1 연속부(363i)는, 제2 베이스(32A)에 있어서의 제2 측벽부(322a1)의 Y방향 +측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322i)(도 46 참조)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코일 고정부(363e)는, 제2 연속부(363j)를 경유하여, FPC 베이스부(363h)에 연속한다. 제2 연속부(363j)는, XZ평면에 평행한 판상 부재이다. 제2 연속부(363j)는, 제2 베이스(32A)에 있어서의 제2 측벽부(322b1)의 오목부(322j)(도 47 참조)에 배치된다.
[AF액추에이터]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1, 364b1)(도 48 및 도 49 참조)는 각각, 오토포커스용이 되는 제3 액추에이터이다.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a1)는, AF용 마그넷(365a1), 및 AF용 코일(366a)을 가진다. 한편, Y방향 -측의 AF액추에이터(364b1)는, AF용 마그넷(365b1), AF용 코일(366b), 및 AF용 홀 소자(367)를 가진다. 이하,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1, 364b1)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형태 1과 상위한 부분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AF용 마그넷(365a1, 365b1)은 각각, X방향으로 길고, 그러면서 또,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상태)의 형상이 거의 육각 형상인 육각기둥상이다.
AF용 마그넷(365a1, 365b1)은 각각, 한 쌍의 면깍기부(365c1, 365c2)를 가진다. 한 쌍의 면깍기부(365c1, 365c2)는 각각, AF용 마그넷(365a1, 365b1)에 있어서 X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설치된다. 면깍기부(365c1)와 면깍기부(365c2)는, X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겹친다. 또, 면깍기부(365c1) 및 면깍기부(365c2)는,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Z방향 -측으로 향할수록 X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이러한 면깍기부(365c1) 및 면깍기부(365c2)는 각각, 조립 상태에 있어서, 렌즈 가이드(361B)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마그넷 보지부(361a1, 361b1)의 경사면부(361e1, 361e2)와 대면한다. 그 외의,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1, 364b1)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한 쌍의 AF액추에이터(364a, 364b)와 동일하다.
[제2 떨림보정 장치]
제2 떨림보정 장치(37A)(도 48 및 도 49 참조)는, 렌즈부(33)를 Y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Y방향의 떨림보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제2 떨림보정 장치(37A)는, 상술한 제2 수용 공간(320)(도 4 참조)에 배치된다.
제2 떨림보정 장치(37A)는, 상술한 렌즈 가이드(361B), 상술한 복수개의 스프링(362a1~362d1), 상술한 FPC(363B), 및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를 가진다. 렌즈 가이드(361B), 스프링(362a1~362d1), 및 FPC(363B)는, AF장치(36A)와 공통이다.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a1)(도 48 참조)는, 상술한 AF액추에이터(364a1)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액추에이터(370a1)는, 제2 마그넷(371a1), 및 제2 코일(372a)을 가진다. 제2 코일(372a)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한편, Y방향 -측의 제2 액추에이터(370b1)(도 49 참조)는, 상술한 AF액추에이터(364b1)에 대해서, Z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액추에이터(370b1)는, 제2 마그넷(371b1), 제2 코일(372b), 및 제2 홀 소자(373)를 가진다. 제2 코일(372b), 및 제2 홀 소자(373)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하,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형태 1과 상위한 부분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의 제2 마그넷(371a1, 371b1)은 각각, 렌즈 가이드(361B)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에 보지된다.
제2 마그넷(371a1, 371b1)은 각각, X방향으로 길고, 그러면서 또,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상태)의 형상이 거의 육각 형상인 육각기둥상이다.
제2 마그넷(371a1, 371b1)은 각각, 한 쌍의 면깍기부(371e1, 371e2)를 가진다. 한 쌍의 면깍기부(371e1, 371e2)는 각각, 제2 마그넷(371a1, 371b1)에 있어서 X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설치된다. 면깍기부(371e1)와 면깍기부(371e2)는, X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겹친다. 또, 면깍기부(371e1) 및 면깍기부(371e2)는, Y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Z방향 -측으로 향할수록 X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이러한 면깍기부(371e1) 및 면깍기부(371e2)는 각각, 조립 상태에 있어서, 렌즈 가이드(361B)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2 마그넷 보지부(368a1, 368b1)의 경사면부(368f1, 368f2)와 대면한다.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1, 370b1)에 있어서의 그 외의 부분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한 쌍의 제2 액추에이터(370a, 370b)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술한 설명 이외의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2017년 5월 25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7-103954, 2017년 6월 19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7-119447, 및 2017년 10월 30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7-209582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차재 카메라 등의 슬림형의 카메라 탑재 장치에 탑재할 수 있다.
1, 1a: 카메라 모듈 2, 2a, 2b, 2c: 프리즘 모듈
21: 제1 커버 22, 22a, 22b: 제1 베이스
220: 베이스 제1 개구부(開口部) 223: 제1 수용 공간
224a, 224b, 224a1, 224b1: 제1 측벽부
224c1, 224c2: 제1 언부(堰部:둑) 224d1, 224d2: 제2 언부
224e1, 224e2, 224f1, 224f2: 용수철 배치 공간
224g1, 224g2, 224g3: 볼록부(凸部) 224h1, 224h2, 224h3: 볼록부
225a: 제1 축받이부 225b: 제2 축받이부
225c, 225c1: 제1 수부(受部) 225d, 225d1: 제2 수부
225e, 225f: 스토퍼(stopper)면
226, 226a, 226a1: 제 1위치결정 볼록부
227, 227a, 227a1: 제2 위치결정 볼록부
228: 제3 위치결정 볼록부 229, 229b: 저벽부
229a: 저구(底溝;홈) 23: 프리즘
231: 광로 굴곡면
24, 24a, 24b: 제1 떨림보정 장치 241, 241A, 241B: 홀더
241a: 재치면 241c, 241d: 요동 지지부
241f, 241g: 대향벽부
241i, 241k: 피압압부(被押壓部)
241m, 241n, 241p: 충돌 방지 볼록부
241q, 241r, 241q1, 241r1: 돌출부 241s, 241t: 용수철 좌면
241u: 홀더측 위치결정 볼록부 242: 누름 용수철
242a: 고정 베이스부 242c: 압압부
242e: 용수철측 제1 구멍 242g: 용수철측 제2 구멍
242i: 용수철측 제3구멍 243, 243A: 요동 지지 용수철
243a, 243b, 243a1, 243b1: 제1 계지부 243c, 243c1: 제2 계지부
243d, 243e, 243d1, 243e1: 제1 관통공 243f, 243f1: 제2 관통공
243g, 243g1: 뒤틀림 허용부
243h, 243h1: 용수철측 가이드면 243i, 243i1: 연속부
243j, 243k: 연속부 요소
243j1: 기단측 연속부(基端側 連續部) 243j2: 사행 연속부
244, 244A: 제1 액추에이터 244a: 제1 마그넷
244c: 제1 코일 244e: 제1 홀 소자
244f: 제1 마그넷 245: 요동 가이드 부재
245a: 요동 가이드면 246: 스페이서
246a: 스페이서측 관통공 25: FPC
26: 요크 27: 제진 부재(制震部材)
3, 3a: 렌즈 모듈 31: 제2 커버
32, 32A: 제2 베이스 320: 제2 수용 공간
321: 저면부 321a, 321b: 저면 관통공
322a, 322b, 322a1, 322b1: 제2 측벽부 322d, 322e: 코일 재치부
322g, 322h: 마그넷용 공간 322i: 슬릿
322j: 오목(凹)부 323: 보강 플레이트
324a, 324b, 324c, 324d, 324a1, 324b1, 324c1, 324d1: 스프링 배치부
324e, 324f, 324g, 324h: 겔 배치부
325a, 325b, 325c, 325d: 제진 부재
33: 렌즈부 36, 36A: AF 장치
361, 361A, 361B: 렌즈 가이드
361a, 361b, 361a1, 361b1: 제1 마그넷 보지부
361c1, 361c2: 측면부 361d: 상면부
361e1, 361e2: 경사면부
362a, 362b, 362c, 362d, 362a1, 362b1, 362c1, 362d1: 스프링
362f, 362f1: 제1 고정부 362g, 362g1: 제2 고정부
362h, 362h1: 탄성변형부 362i1, 362i2: 겔 계지부
362j: 연속부 362k: 환상부
363, 363A, 363B: FPC 363a, 363b: 제1 코일 고정부
363d, 363e, 363f, 363g: 제2 코일 고정부 363h: FPC베이스부
363i: 제1 연속부 363j: 제2 연속부
364a, 364b, 364c, 364d, 364e, 364f, 364a1, 364b1: AF 액추에이터(제3 액추에이터)
365a, 365b, 365a1, 365b1: AF용 마그넷 365c1, 365c2: 면깍기부
366a, 366b: AF용 코일 367, 367a: AF용 홀 소자
368a, 368b, 368a1, 368b1: 제2 마그넷 보지부
368d1, 368d2: 측면부 368e: 상면부
368f1, 368f2: 경사면부 368c: 제3 마그넷 보지부
369a, 369b: AF용 제2 마그넷 37, 37A: 제2 떨림보정 장치
370a, 370b, 370c, 370d, 370e, 370f, 370g, 370h, 370i, 370j, 370a1, 370b1: 제2 액추에이터
371a, 371b, 371c, 371d, 371a1, 371b1: 제2 마그넷
371e1, 371e2: 면깍기부 372a, 372b: 제2 코일
373: 제2 홀 소자 374a, 374b: 제3 마그넷
38: 기준 부재 38a: 관통공
380a, 380b: 스토퍼부
391a, 391b, 391c, 391d: 제1 보강 플레이트
392a, 392b, 392c, 392d: 제2 보강 플레이트
4: 촬상 소자 모듈 6a, 6b: 실드판
7a, 7b: 기판

Claims (18)

  1. 제1 광축의 방향을 따르는 입사광을 제2 광축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광로(光路) 굴곡 부재의 후단(後段)에 배치된 렌즈부와,
    상기 광로 굴곡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로 굴곡 부재를 변위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부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광축의 방향에 평행한 제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離間)한 상태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를,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면서 또 서로 직교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변위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 및 제3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굴곡 부재는 광로 굴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로 굴곡 부재에 대해서 상기 광로 굴곡면의 뒤쪽(裏側)에 배치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굴곡 부재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광축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축의 방향은, 상기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향하여 연재(延在)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의 저부에 배치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광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요동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광로 굴곡 부재를 요동 시키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광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를 변위시키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떨림보정용 액추에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3 액추에이터는, 오토포커스용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굴곡 부재를 보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를 가지는 제1 베이스와,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베이스를 향해 부세(付勢)하는 부세 기구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기구가,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폭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부세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기구가,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해서 부세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폭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부세하는 용수철 부재인,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기구가, 상기 홀더에 고정된 제1 마그넷과, 상기 제1 베이스에 고정된 요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부세 기구는,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요크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해서 부세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보지하는 렌즈 가이드와,
    상기 렌즈 가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상기 렌즈 가이드를 상기 제2 베이스에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이, 상기 렌즈 가이드의 주변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의 분산 배치의 중심 위치가, 상기 렌즈 가이드 및 상기 렌즈 가이드와 함께 변위가능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가동부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굴곡 부재를 보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에 구면상(球面狀)의 요동 가이드면을 가지는 요동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요동 가이드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보지하는 렌즈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3 액추에이터 중의 적어도 한쪽의 액추에이터는, 소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한 쌍의 면깍기부가 형성된 마그넷을 가지고,
    상기 렌즈 가이드는,
    한 쌍의 경사면부를 가지는 마그넷 보지부이며, 상기 한 쌍의 면깍기부와 상기 한 쌍의 경사면부가 대향한 상태로 상기 마그넷을 보지하는 상기 마그넷 보지부를 가지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16. 제1항에 기재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와,
    렌즈부의 후단에 배치된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기재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카메라 탑재 장치.
  18. 삭제
KR1020197033852A 2017-05-25 2018-05-24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304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3954 2017-05-25
JPJP-P-2017-103954 2017-05-25
JPJP-P-2017-119447 2017-06-19
JP2017119447 2017-06-19
JP2017209582A JP6997370B2 (ja) 2017-05-25 2017-10-30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JPJP-P-2017-209582 2017-10-30
PCT/JP2018/020037 WO2018216778A1 (ja) 2017-05-25 2018-05-24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083A KR20190136083A (ko) 2019-12-09
KR102304672B1 true KR102304672B1 (ko) 2021-09-24

Family

ID=6495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852A KR102304672B1 (ko) 2017-05-25 2018-05-24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7338B2 (ko)
EP (1) EP3633446A4 (ko)
JP (1) JP6997370B2 (ko)
KR (1) KR102304672B1 (ko)
CN (1) CN110662998B (ko)
TW (1) TWI7801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04A1 (ko) * 2022-02-28 2023-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6019A (ja) * 2019-03-28 2020-10-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269774B2 (ja) * 2019-03-28 2023-05-09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配線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717130B (zh) * 2019-03-28 2021-01-2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鏡頭裝置
JP6776392B2 (ja) * 2019-03-29 2020-10-28 エーエーシ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ジョウシュウ)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
JP6613005B1 (ja) * 2019-04-16 2019-11-27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屈曲式撮像装置の防振機構、および、カメラ、携帯電子機器
CN111856487B (zh) * 2019-04-24 2023-07-14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测距装置
EP4007259A4 (en) * 2019-07-23 2022-10-12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US11924529B2 (en) * 2019-07-23 2024-03-05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JP7381241B2 (ja) * 2019-08-01 2023-11-15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EP4013031A4 (en) * 2019-08-07 2023-09-06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JP6960983B2 (ja) * 2019-12-25 2021-11-05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JP6960985B2 (ja) * 2019-12-27 2021-11-05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JP6815476B1 (ja) * 2019-12-27 2021-01-20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US11656476B2 (en) 2020-03-16 2023-05-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lded module
JP7443865B2 (ja) * 2020-03-23 2024-03-06 ニデック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KR102279337B1 (ko) 2020-04-09 2021-07-20 자화전자(주)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23522917A (ja) * 2020-04-20 2023-06-0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30185161A1 (en) * 2020-04-28 2023-06-15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CN113960742A (zh) * 2020-07-03 2022-01-21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EP4187894A1 (en) * 2020-07-21 2023-05-31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TWI743898B (zh) * 2020-07-22 2021-10-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可達成影像穩定的反射模組、相機模組與電子裝置
TWI738514B (zh) 2020-09-16 2021-09-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反射元件的相機模組及電子裝置
US11889172B2 (en) 2020-12-28 2024-01-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ve module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2158902A1 (ko) * 2021-01-21 2022-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24504254A (ja) * 2021-01-29 2024-01-3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7485961B2 (ja) * 2021-06-08 2024-05-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220170225A (ko) * 2021-06-22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0833A1 (en) * 2022-09-09 2024-03-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672A (ja) * 2009-06-19 2011-01-06 Sanyo Electric Co Ltd 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ビーム照射装置
JP2012083604A (ja) * 2010-10-13 2012-04-26 Konica Minolta Opto Inc 手ブレ補正装置、鏡胴及び撮像装置
JP2015092285A (ja) * 2015-02-03 2015-05-14 株式会社ファイブ・ディー 屈曲式ズームカメラモジュールの防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8741B2 (ja) * 1998-09-04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ガルバノ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
JP2006195068A (ja) * 2005-01-12 2006-07-27 Fujinon Corp 防振機能付き変倍光学系および該変倍光学系を搭載した撮像装置
JP4667052B2 (ja) * 2005-01-27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並びにそのカメラ本体及び交換レンズ
JP4486566B2 (ja) * 2005-08-26 2010-06-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07156351A (ja) * 2005-12-08 2007-06-21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904842B2 (ja) * 2006-02-17 2012-03-28 株式会社ニコン 防振機能を有するズームレンズとこれを具備する撮像装置
US7515352B2 (en) * 2006-02-17 2009-04-07 Nikon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and optical device using thereof
JP4789655B2 (ja) * 2006-03-03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4483869B2 (ja) * 2007-02-01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9246932A (ja) 2008-03-13 2009-10-22 Olympus Imaging Corp 撮影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241377B2 (ja) * 2008-08-19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1790033B (zh) * 2009-01-28 2014-04-16 奥林巴斯映像株式会社 摄像装置以及应用于该摄像装置的抖动校正装置
US9215373B2 (en) * 2011-12-09 2015-12-15 Lg Innotek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and blur
TWM449760U (zh) * 2012-09-19 2013-04-01 Shen-Ji Cai 內藏式煞車裝置
JP6077939B2 (ja) * 2013-05-30 2017-02-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227294B2 (ja) * 2013-06-20 2017-11-08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手振れ抑制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US9285566B2 (en) * 2013-08-08 2016-03-15 Apple Inc. Mirror tilt actuation
JP6198621B2 (ja) * 2014-01-30 2017-09-20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485727B2 (ja) * 2014-02-24 2019-03-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6311434B2 (ja) * 2014-04-25 2018-04-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EP3006975A3 (en) * 2014-10-08 2016-05-25 Optotune AG Device for tilting an optical element, particularly a mirror
ES2907810T3 (es) * 2015-04-16 2022-04-26 Corephotonics Ltd Enfoque automático y estabilización de imagen óptica en una cámara compacta de plegado
KR102143730B1 (ko) * 2015-09-06 2020-08-1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KR20170075442A (ko) * 2015-12-23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EP3758356B1 (en) * 2016-05-30 2021-10-20 Corephotonics Ltd. Actuator
US10303042B2 (en) * 2016-07-12 2019-05-28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module
CN205942054U (zh) 2016-08-24 2017-02-0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潜望式摄像模组
CN106405991A (zh) 2016-11-29 2017-02-15 深圳市世尊科技有限公司 潜望式摄像模组及用于该潜望式摄像模组的反射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672A (ja) * 2009-06-19 2011-01-06 Sanyo Electric Co Ltd 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ビーム照射装置
JP2012083604A (ja) * 2010-10-13 2012-04-26 Konica Minolta Opto Inc 手ブレ補正装置、鏡胴及び撮像装置
JP2015092285A (ja) * 2015-02-03 2015-05-14 株式会社ファイブ・ディー 屈曲式ズームカメラモジュールの防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04A1 (ko) * 2022-02-28 2023-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2998B (zh) 2022-08-05
US20200174270A1 (en) 2020-06-04
EP3633446A1 (en) 2020-04-08
JP6997370B2 (ja) 2022-01-17
KR20190136083A (ko) 2019-12-09
TWI780159B (zh) 2022-10-11
CN110662998A (zh) 2020-01-07
US11567338B2 (en) 2023-01-31
JP2018205683A (ja) 2018-12-27
EP3633446A4 (en) 2021-03-03
TW201908843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672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7231865B2 (ja)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TWI777032B (zh) 相機用致動器、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CN112946856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TWI789489B (zh) 相機用致動器、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US11982863B2 (en)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KR2021004291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12334826A (zh) 摄像机用致动器、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KR20220017398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US20220019127A1 (en)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 device
CN114647126B (zh)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CN219202100U (zh) 光学单元
JP744078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KR20230113294A (ko) 광학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