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398A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398A
KR20220017398A KR1020217037553A KR20217037553A KR20220017398A KR 20220017398 A KR20220017398 A KR 20220017398A KR 1020217037553 A KR1020217037553 A KR 1020217037553A KR 20217037553 A KR20217037553 A KR 20217037553A KR 20220017398 A KR20220017398 A KR 2022001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s
unit
lens
stag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순 스즈키
요이치 이타자키
라파엘 회슬리
막시메 로텐
미카엘 브루만
로안 바우메
Original Assignee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1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along multiple or arbitrary translation directions, e.g. XYZ s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4
    • H04N5/2328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렌즈 구동 장치(1)는, 제1 고정부(12)와, 제1 가동부(11)와, 제1 지지부(14)와,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고,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제1 가동부를 광축 방향(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방향 구동부(13)를 구비한다. 렌즈 구동 장치는, 또한, Z방향 구동부의 회전 운동을 받아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5)와,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광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 요소를 갖고,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제1 가동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하 「AF 기능」이라고 칭한다, AF: Auto Focus) 및 촬영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화상의 흐트러짐을 경감시키는 흔들림 보정 기능(이하 「OIS 기능」이라고 칭한다,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가 적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AF 기능 및 OIS 기능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 구동부(이하 「AF 구동부」라고 칭한다)와, 렌즈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요동(搖動)시키기 위한 흔들림 보정 구동부(이하 「OIS 구동부」라고 칭한다)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에, 보이스 코일 모터(VCM)가 적용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복수(전형적으로는 2개)의 렌즈 구동 장치를 갖는 카메라 모듈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이른바 듀얼 카메라). 듀얼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상이한 2매의 화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정지 화상과 동영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하는 등, 이용 신에 따라 다양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10550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공보 제2015/123787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VCM을 이용한 렌즈 구동 장치는, 외부 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동작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렌즈 구동 장치가 병치(置)되는 듀얼 카메라에 있어서는,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서 자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에 초음파 모터를 적용한 렌즈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렌즈 구동 장치는, 마그넷리스이기 때문에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고정부와,
렌즈부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제1 가동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동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방향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Z방향 구동부의 직선 운동을 받아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광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 요소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가동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의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가동부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像)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상기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3A, 도 3B는, 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A, 도 6B는, 제1 OIS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AF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 도 10B는, 회전 스페이서의 회전에 따른 렌즈 홀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 도 11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하는 스마트폰(M)(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는 스마트폰(M)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스마트폰(M)의 배면도이다.
스마트폰(M)은, 2개의 배면 카메라(OC1, OC2)로 이루어지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카메라(OC1, OC2)에, 카메라 모듈(A)이 적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A)은, AF 기능 및 OIS 기능을 구비하고,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함과 함께, 촬영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상 흔들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 모듈(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렌즈 구동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Z축 둘레로 18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의 직교 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A)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며, 도면 중 상측(+Z측)이 광축 방향 수광 측(피사체 측), 하측(-Z측)이 광축 방향 결상 측이다. 또, X방향 및 Y방향은 Z축에 직교하는 「광축 직교 방향」이며, XY면은 광축에 직교하는 「광축 직교면」이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A)은, AF 기능 및 OIS 기능을 실현하는 렌즈 구동 장치(1),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렌즈부(2), 렌즈부(2)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시 생략), 및 전체를 덮는 커버(3) 등을 구비한다.
커버(3)는, 광축 방향에서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직사각형상의 덮개가 있는 사각통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3)는, 평면시에서 정사각형상을 갖고 있다. 커버(3)는, 상면에 개략 원형의 개구(3a)를 갖는다. 렌즈부(2)는, 개구(3a)로부터 외부에 면하고,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에 따라, 커버(3)의 개구면보다 수광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커버(3)는, 렌즈 구동 장치(1)의 OIS 고정부(20)(도 4 참조)에,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촬상부(도시 생략)는, 렌즈 구동 장치(1)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배치된다. 촬상부(도시 생략)는,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 기판 및 이미지 센서 기판에 실장되는 촬상 소자를 갖는다. 촬상 소자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촬상 소자는, 렌즈부(2)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렌즈 구동 장치(1)는, 이미지 센서 기판(도시 생략)에 탑재되어,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렌즈 구동 장치(1)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 기판에 마련되어도 되고, 카메라 모듈(A)이 탑재되는 카메라 탑재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폰(M))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4, 도 5는, 렌즈 구동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Z축 둘레로 90° 회전시켜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 구동 장치(1)는, OIS 가동부(10)(제2 가동부), OIS 고정부(20)(제2 고정부), OIS 구동부(30)(XY방향 구동부) 및 OIS 지지부(40)(제2 지지부) 등을 구비한다.
OIS 가동부(10)는, 흔들림 보정 시에 광축 직교면 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가동부(10)는, AF 가동부(11)(제1 가동부), 제1 스테이지(12)(제1 고정부), AF 구동부(13)(Z방향 구동부), AF 지지부(14)(제1 지지부) 및 회전 스페이서(15)를 갖는 AF 유닛을 포함한다(도 7 등 참조).
OIS 고정부(20)는, OIS 지지부(40)를 개재하여 OIS 가동부(1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OIS 고정부(20)는, 베이스(21)를 포함한다.
OIS 지지부(40)는,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OIS 가동부(10)를 광축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로 지지한다. OIS 지지부(40)는, 제2 스테이지(41X, 41Y), 볼(42, 43) 및 OIS용 부세(付勢) 부재(44)를 포함한다.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OIS 지지부(40)를 개재하여 OIS 고정부(20)와 연결된다. 또, OIS 가동부(10)와 OIS 고정부(20)는, OIS 가동부(10)의 외주면의 4개소에 배치된 OIS용 부세 부재(44)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지지부(40)를 구성하는 볼(42, 43)(합계 11개)의 전동(轉動) 가능한 방향을 규제함으로써, OIS 가동부(10)를 XY면 내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OIS 지지부(40)를 구성하는 볼(42, 43)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베이스(21)는, 예를 들면, 폴리아릴레이트(PAR), P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알로이(예를 들면, PAR/PC), 또는 액정 폴리머(LCP: Liquid Crystal Polymer)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로 형성된,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1a)를 갖는다.
베이스(21)는, 2개의 모서리부에, OIS 구동부(30)가 배치되는 OIS 모터 고정부(21b)를 갖는다. OIS 모터 고정부(21b)는, 베이스(21)의 주면(主面)으로부터 광축 방향 수광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OIS 구동부(30)를 지지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베이스(21)에는,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단자 금구(金具) 및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21)에는, 홀 소자(51X, 51Y)가 실장된 센서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배선은, AF 구동부(13)(도 7 등 참조) 및 OIS 구동부(30)로의 급전 라인을 포함한다. 배선은, 예를 들면, 베이스(21)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되어, 센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 및 OIS용 부세 부재(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베이스(21)는, 볼(42)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21c, 21d, 21e)를 갖는다. 볼 수용부(21c)는,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21)와 제1 스테이지(12)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42)을 수용한다. 볼 수용부(21d)는, X방향으로 뻗는 직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21)와 제2 스테이지(41X)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42)을 수용한다. 볼 수용부(21e)는, Y방향으로 뻗는 직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21)와 제2 스테이지(41Y)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42)을 수용한다. 볼 수용부(21d, 21e)의 측면은, 예를 들면,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 기판(도시 생략)은, 홀 소자(51X, 51Y)용의 급전 라인 및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도시 생략)을 갖는다. 홀 소자(51X, 51Y)는, 센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도시 생략)을 통하여, 베이스(21)의 배선(도시 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스테이지(41X, 41Y)에 있어서, 홀 소자(51X, 51Y)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마그넷(52X, 52Y)이 배치되어 있다. 홀 소자(51X, 51Y) 및 마그넷(52X, 52Y)으로 이루어지는 XY위치 검출부에 의하여, OIS 가동부(10)의 X방향 및 Y방향의 위치가 검출된다.
제2 스테이지(41X, 41Y)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나타낸다.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내주(內周)면은, 렌즈 홀더(11)의 외형을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테이지(41X, 41Y)는, 각각, X방향, Y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스테이지(41X, 41Y)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근접하는 부분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다.
제2 스테이지(41X, 41Y)의 외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구동 장치(1)를 조립했을 때에, OIS 구동부(30X, 30Y)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스테이지(41X, 41Y)를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제1 스테이지(12)에 있어서, 박육(薄肉)으로 형성된 부분의 하방에 제2 스테이지(41X, 41Y)를 배치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광축 방향 수광 측으로 돌출되는 계합편(係合片)(41e, 41f)이 마련되어 있다. 계합편(41e, 41f)에는, OIS 동력 전달부(33)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또, 계합편(41e, 41f)은, 제1 스테이지(12)에 마련된 계합홈(12g, 12h)에 유감(遊嵌)된다. 구체적으로는, 계합편(41e)과 계합홈(12g)은, 적어도 제1 스테이지(12)가 Y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Y방향으로 대향하는 면끼리가 맞닿지 않을 정도로 계합하고, 계합편(41f)과 계합홈(12h)은, 적어도 제1 스테이지(12)가 Y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Y방향으로 대향하는 면끼리가 맞닿지 않을 정도로 계합한다. 즉, 제1 스테이지(12)가 Y방향으로 이동해도 제2 스테이지(41X)는 변위되지 않고, 제1 스테이지(12)가 X방향으로 이동해도 제2 스테이지(41Y)는 변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스테이지(41X, 41Y)는, 하면(광축 방향 결상 측의 면)에, 볼(42)을 수용하는 3개의 볼 수용부(41a, 41b)를 갖는다. 볼 수용부(41a)는,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d, 21e)에 대향한다. 볼 수용부(41a, 41b)는, 각각, X방향, Y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볼 수용부(41a, 41b)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제2 스테이지(41X, 41Y)는, 상면(광축 방향 수광 측의 면)에, 볼(43)을 수용하는 2개의 볼 수용부(41c, 41d)를 갖는다. 볼 수용부(41c, 41d)는, 각각, Y방향, X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다. 볼 수용부(41c, 41d)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42)은,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c~21e)와, 제1 스테이지(12)의 볼 수용부(12b) 및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볼 수용부(41a, 41b)에 의하여 협지된다. 특히,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d, 21e)와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볼 수용부(41a, 41b)의 사이에 있어서, 볼(42)은 다점 접촉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볼(42)은, 안정적으로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전동한다.
또, 볼(43)은,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볼 수용부(41c, 41d)와 제1 스테이지(12)의 하면에 의하여, 다점 접촉으로 협지된다. 따라서, 볼(43)은, 안정적으로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전동한다.
OIS용 부세 부재(44)는,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OIS 가동부(10)와 OIS 고정부(20)를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용 부세 부재(44)의 일단은, 베이스(21)의 배선(도시 생략)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1 스테이지(12)의 배선(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OIS용 부세 부재(44)는, OIS 가동부(10)와 OIS 고정부(20)를 연결했을 때의 인장 하중을 받아, OIS 가동부(10)와 OIS 고정부(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작용한다. 즉, OIS 가동부(10)는, OIS용 부세 부재(44)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베이스(21)에 눌린 상태)에서, XY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OIS 가동부(10)를 덜컹거림이 없는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용 부세 부재(44)는, AF 구동부(13)로의 급전 라인으로서 기능한다.
OIS 구동부(30)는, OIS 가동부(10)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OIS 구동부(30)는, OIS 가동부(10)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OIS 구동부(30X)(제1 XY방향 구동부)와, OIS 가동부(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OIS 구동부(30Y)(제2 XY방향 구동부)로 구성된다.
제1 OIS 구동부(30X)는, X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베이스(21)의 OIS 모터 고정부(21b)에 고정된다. 제2 OIS 구동부(30Y)는, Y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베이스(21)의 OIS 모터 고정부(21b)에 고정된다. 즉, 제1 OIS 구동부(30X) 및 제2 OIS 구동부(30Y)는, 서로 직교하는 변을 따라 배치된다.
OIS 구동부(30)의 구성을 도 6A, 도 6B에 나타낸다. 도 6A는, OIS 구동부(30)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OIS 구동부(30)의 각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6A, 도 6B는, 제2 OIS 구동부(30Y)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1 OIS 구동부(30X)의 주요 구성은 동일하므로, OIS 구동부(3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취급한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IS 구동부(30)는, OIS 공진부(31), OIS 압전 소자(32), OIS 전극(도시 생략) 및 OIS 동력 전달부(33)를 갖는다. OIS 공진부(31), OIS 압전 소자(32) 및 OIS 전극(도시 생략)에 의하여 초음파 모터가 구성되고, 초음파 모터의 구동력은, OIS 동력 전달부(33)를 통하여 제2 스테이지(41X, 41Y)에 전달된다.
OIS 압전 소자(32)는,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판형상 소자이며, 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한다.
OIS 전극(도시 생략)은, OIS 공진부(31) 및 OIS 압전 소자(32)를 협지하고, OIS 압전 소자(32)에 전압을 인가한다. OIS 전극은, 예를 들면, 베이스(21)의 배선(도시 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OIS 공진부(31)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OIS 압전 소자(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공진부(31)는, OIS 압전 소자(32)에 협지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몸통부(31a), 몸통부(31a)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뻗어 있는 2개의 암부(31b), 몸통부(31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1c), 및, 몸통부(31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부(31c)와는 반대 측으로 뻗어 있는 통전부(31d)를 갖고 있다. 통전부(31d)는, 예를 들면, 베이스(21)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개의 암부(31b)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각각의 자유 단부가 OIS 동력 전달부(33)에 맞닿아, OIS 압전 소자(32)의 진동에 공진하여 대칭적으로 변형된다.
OIS 공진부(31)의 몸통부(31a)에, 두께 방향으로부터 OIS 압전 소자(32)가 첩합되고, OIS 전극(도시 생략)에 의하여 협지됨으로써,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급전 경로의 일방이 OIS 전극에 접속되고, 타방이 OIS 공진부(31)의 통전부(31d)에 접속됨으로써, OIS 압전 소자(32)에 전압이 인가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OIS 공진부(31)는,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고,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상이한 거동으로 변형된다. 바꾸어 말하면, OIS 공진부(31)는, 2개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상이한 거동으로 변형되도록, 전체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상이한 거동이란, OIS 동력 전달부(33)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거동과, 후퇴시키는 거동이다.
OIS 동력 전달부(33)는,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처킹 가이드이며, 일단이 OIS 공진부(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스테이지(41X, 41Y)에 접속된다. OIS 동력 전달부(33)는, OIS 모터 맞닿음부(33a), 스테이지 고정부(33c), 및 연결부(33b)를 갖는다. OIS 모터 맞닿음부(33a)는, 예를 들면, 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OIS 공진부(31)의 암부(31b)의 자유 단부와 맞닿는다. 스테이지 고정부(33c)는, OIS 동력 전달부(33)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스테이지(41X, 41Y)의 계합편(41e, 41f)(도 4 등 참조)에 고정된다. 연결부(33b)는, OIS 모터 맞닿음부(33a)와 스테이지 고정부(33c)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스테이지 고정부(33c)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OIS 모터 맞닿음부(33a) 사이의 폭은, OIS 공진부(31)의 암부(31b)의 자유 단부 사이의 폭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로써, OIS 공진부(31)에 OIS 동력 전달부(33)를 장착했을 때에, OIS 동력 전달부(33)가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OIS 공진부(31)의 암부(31b)를 눌러 펴는 방향으로 부세력이 작용한다. 이 부세력에 의하여, OIS 공진부(31)의 암부(31b)의 자유 단부 사이에 OIS 동력 전달부(33)가 지지되고, OIS 공진부(31)로부터의 구동력이 OIS 동력 전달부(33)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OIS 공진부(31)와 OIS 동력 전달부(33)는, 부세된 상태로 맞닿아 있을 뿐이므로, 맞닿음 부분을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크게 하는 것만으로, 렌즈 구동 장치(1)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OIS 가동부(10)의 이동 거리(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제1 OIS 구동부(30X)는, 베이스(21)와 제2 스테이지(41X)를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제2 OIS 구동부(30X)는, 베이스(21)와 제2 스테이지(41Y)를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1 OIS 구동부(30X)에 의한 X방향의 흔들림 보정 시는, 제2 스테이지(41X) 및 제1 스테이지(12)가 이동하고, 제2 스테이지(41Y)는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2 OIS 구동부(30Y)에 의한 Y방향의 흔들림 보정 시는, 제2 스테이지(41Y) 및 제1 스테이지(12)가 이동하고, 제2 스테이지(41X)는 이동하지 않는다. 즉, 일방의 OIS 구동부(30)에 의한 OIS 가동부(10)의 이동은, 타방의 OIS 구동부(30)의 구조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OIS 가동부(10)의 Z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OIS 가동부(10)를 XY평면 내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도 7, 도 8은, OIS 가동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Z축 둘레로 90° 회전시켜 하방에서 본 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에서는, AF 구동부(13)를 회전 스페이서(15)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OIS 가동부(10)는, AF 가동부(11), 제1 스테이지(12), AF 구동부(13), AF 지지부(14) 및 회전 스페이서(15) 등을 갖는다.
AF 가동부(11)는,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 가동부(11)는, 제1 스테이지(12)(제1 고정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AF 지지부(14)를 개재하여 제1 스테이지(12)와 접속된다.
AF 가동부(11)는, 렌즈부(2)(도 2 참조)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로 구성된다(이하, 「렌즈 홀더(11)」라고 칭한다). 렌즈 홀더(11)는, 예를 들면, 폴리아릴레이트(PAR), P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알로이, 액정 폴리머 등으로 형성된다. 렌즈 홀더(11)는, 통형상의 렌즈 수용부(11a)를 갖는다. 렌즈 수용부(11a)에는, 렌즈부(2)(도 2 참조)가,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렌즈 홀더(11)는, 렌즈 수용부(11a)의 상부 외주 가장자리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부(11b)를 갖는다. 슬라이드부(11b)의 하면(11c)은, 광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에 연동되어 슬라이드부(11b)가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밀려 올라가, 렌즈 홀더(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AF 지지부(14)를 개재하여 렌즈 홀더(1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1 스테이지(12)의 하방에는, 볼(43)을 개재하여 제2 스테이지(41X, 41Y)가 배치된다. 제1 스테이지(12)는, 흔들림 보정 시에, 제2 스테이지(41X, 41Y)의 이동에 연동되어,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스테이지(12)는,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로 형성된다. 제1 스테이지(12)는, 렌즈 홀더(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략 원형상의 개구(12a)를 갖는다. 제1 스테이지(12)에 있어서, 제2 스테이지(41X, 41Y)에 대응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두께분만큼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하면에, 베이스(2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42)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12b)를 갖는다. 볼 수용부(12b)는,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e)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스테이지(12)는, 하면에, 제2 스테이지(41X, 41Y)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43)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12m, 12n)를 갖는다. 볼 수용부(12m, 12n)는, 각각, 제2 스테이지(41X, 41Y)의 볼 수용부(41c, 41d)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Y방향, X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다. 볼 수용부(12m, 12n)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상면의 네 모서리에, AF 지지부(14)를 고정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12c)를 갖는다. 상측 스프링 고정부(12c)는, 주면(12j)보다 광축 방향 수광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개구(12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스페이서 배치부(12d) 및 모터 고정부(12f)를 갖는다. 스페이서 배치부(12d)는, 주면(12j)보다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어 있으며, 볼(17)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12e)를 갖고 있다. 스페이서 배치부(12d)와 주면(12j)의 단차에 의하여,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이 규제된다. 모터 고정부(12f)에는, AF 구동부(13)가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스페이서 배치부(12d)가,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스페이서(15)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회전 동작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배치부(12d)는, 2 또는 4 이상 마련되어도 된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스테이지(12)에는,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배선은, 적절히, 제1 스테이지(12)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AF 구동부(13) 및 OIS용 부세 부재(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F 구동부(13)에는, OIS용 부세 부재(44) 및 제1 스테이지(12)의 배선을 통하여 급전이 행해진다.
또, 제1 스테이지(12)의 X방향을 따르는 일방의 측면 및 Y방향을 따르는 일방의 측면에 있어서, 제2 스테이지(41X, 41Y)의 계합편(41e, 41f)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계합홈(12g, 12h)이 마련되어 있다. 렌즈 구동 장치(1)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테이지(41X, 41Y)의 계합편(41e, 41f)은, 제1 스테이지(12)의 계합홈(12g, 12h)과 계합한다. 이로써, OIS 가동부(10)(제1 스테이지(12))는, 제2 스테이지(41X, 41Y)의 이동에 연동되어,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한다.
AF 지지부(14)는,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렌즈 홀더(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지지부(14)는,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렌즈 홀더(11)를 광축 방향 수광 측(상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측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이하, 「상측 스프링(14)」이라고 칭한다). 상측 스프링(14)은, 예를 들면, 베릴륨 구리, 니켈 구리,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이다.
상측 스프링(14)은, 렌즈 홀더 고정부(14a), 스테이지 고정부(14b), 및 암부(14c)를 갖는다. 렌즈 홀더 고정부(14a)는, 렌즈 홀더(11)의 렌즈 수용부(11a)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스테이지 고정부(14b)는, 제1 스테이지(12)의 상측 스프링 고정부(12c)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암부(14c)는, 렌즈 홀더 고정부(14a)로부터 뻗어 있고, 렌즈 홀더 고정부(14a)와 스테이지 고정부(14b)를 연결한다.
상측 스프링(14)은, 예를 들면, 렌즈 홀더 고정부(14a)에 마련된 위치 결정편(14d)이, 렌즈 홀더(11)의 슬라이드부(11b)에 마련된 위치 결정 구멍(11d)에 계합됨으로써, 렌즈 홀더(1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 상측 스프링(14)은, 예를 들면, 스테이지 고정부(14b)가 제1 스테이지(12)의 상측 스프링 고정부(12c)에 접착됨으로써,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고정된다. 렌즈 홀더(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홀더 고정부(14a)는 렌즈 홀더(11)와 함께 변위되고, 암부(14c)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회전 스페이서(15)는, AF 구동부(13)의 직선 운동을 받아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다. 회전 스페이서(15)는, 원환 형상을 갖고, 렌즈 홀더(1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 회전 스페이서(15)는, AF 구동부(13)가 접속되는 모터 접속부(15d)를 갖는다.
회전 스페이서(15)는, 원환부(15a) 및 스테이지 고정부(15b)를 갖는다. 스테이지 고정부(15b)는, 제1 스테이지(12)의 스페이서 배치부(12d)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예를 들면, 원환부(15a)로부터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테이지 고정부(15b)의 상면(15c)은, 광축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홀더(11)의 슬라이드부(11b)가 재치된다(이하, 「홀더 안내부(15c)」라고 칭한다).
회전 스페이서(15)의 홀더 안내부(15c)와 렌즈 홀더(11)의 슬라이드부(11b)는,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에 따라, 홀더 안내부(15c)를 따라 슬라이드부(11b)가 슬라이딩하는 단면(端面) 캠(18)(도 10A 등 참조)을 구성한다. 단면 캠(18)은, 회전 운동을 광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 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단면 캠(18)이,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 운동이 단면 캠(18)에 의하여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렌즈 홀더(11)에 균등하게 전달되므로, 렌즈 홀더(11)의 이동 동작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면 캠(18)은,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2개 또는 4개 이상 마련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안내부(15c)와 슬라이드부(11b)의 사이에는 볼(16)이 배치되고, 양자는 간접적으로 맞닿아 있어, 회전 스페이서(15)와 렌즈 홀더(11)가 매끄럽게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스페이서(15)와 렌즈 홀더(11)의 사이에 볼(16)을 배치하지 않고, 양자가 직접적으로 맞닿아, 슬라이딩하도록 해도 된다.
또, 회전 스페이서(15)와 제1 스테이지(12)의 사이에는, 볼(17)이 배치되어, 제1 스테이지(12) 상에서 회전 스페이서(15)가 매끄럽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AF 구동부(13)는, 렌즈 홀더(11)를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AF 구동부(13)는, OIS 구동부(30)와 동일하게,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AF 구동부(13)는, 회전 스페이서(15)의 둘레면을 따르도록, 제1 스테이지(12)의 모터 고정부(12f)에 고정된다.
AF 구동부(13)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F 구동부(13)는, AF 공진부(131), AF 압전 소자(132), AF 전극(도시 생략) 및 AF 동력 전달부(133)를 갖는다. AF 공진부(131), AF 압전 소자(132) 및 AF 전극(도시 생략)에 의하여 초음파 모터가 구성되고, 초음파 모터의 구동력은, AF 동력 전달부(133)를 통하여 회전 스페이서(15)에 전달된다.
AF 압전 소자(132)는,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판형상 소자이며, 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한다.
AF 전극(도시 생략)은, AF 공진부(131) 및 AF 압전 소자(132)를 협지하고, AF 압전 소자(132)에 전압을 인가한다. AF 전극은, 예를 들면, 제1 스테이지(12)의 배선(도시 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F 공진부(131)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AF 압전 소자(1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공진부(131)는, AF 압전 소자(132)에 협지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몸통부(131a), 몸통부(131a)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뻗어 있는 2개의 암부(131b), 몸통부(131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31c), 및, 몸통부(131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부(131c)와는 반대 측으로 뻗어 있고 급전 경로(제1 스테이지(12)의 배선)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통전부(131d)를 갖고 있다. 2개의 암부(131b)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각각의 자유 단부가 AF 동력 전달부(133)에 맞닿아, AF 압전 소자(132)의 진동에 공진하여 대칭적으로 변형된다.
AF 공진부(131)의 몸통부(131a)에, 두께 방향으로부터 AF 압전 소자(132)가 첩합되고, AF 전극(도시 생략)에 의하여 협지됨으로써,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AF 공진부(131)의 통전부(131d) 및 AF 전극이, 제1 스테이지(12)의 배선(도시 생략)에 접속됨으로써, AF 압전 소자(132)에 전압이 인가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AF 공진부(131)는, OIS 공진부(31)와 동일하게,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고,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상이한 거동으로 변형된다. 바꾸어 말하면, AF 공진부(131)는, 2개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상이한 거동으로 변형되도록, 전체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상이한 거동이란, AF 동력 전달부(133)를, 둘레 방향을 따라 전진시키는 거동과, 후퇴시키는 거동이다.
AF 동력 전달부(133)는, 둘레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처킹 가이드이며, 일단이 AF 공진부(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회전 스페이서(15)에 접속된다. AF 동력 전달부(133)는, AF 모터 맞닿음부(133a), 스페이서 고정부(133c), 및 연결부(133b)를 갖는다. AF 모터 맞닿음부(133a)는, 예를 들면,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AF 공진부(131)의 암부(131b)의 자유 단부와 맞닿는다. 스페이서 고정부(133c)는, AF 동력 전달부(133)의 단부에 배치되고, 회전 스페이서(15)의 모터 접속부(15d)에 고정된다. 연결부(133b)는, AF 모터 맞닿음부(133a)와 스페이서 고정부(133c)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스페이서 고정부(133c)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서로 평행하게, 또한 수용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AF 동력 전달부(133)는, AF 공진부(131)의 직선 운동을 받아 운동을 하지만, AF 동력 전달부(133)의 일단은 회전 스페이서(15)에 접속되어 구속되어 있으므로, AF 공진부(131)의 암부(131b)와 AF 동력 전달부(133)의 AF 모터 맞닿음부(133a)가 슬라이딩하여, AF 동력 전달부(133)는 회전하게 된다. 즉, AF 구동부(13)는, AF 동력 전달부(133)를 포함시키면,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F 모터 맞닿음부(133a) 사이의 폭은, AF 공진부(131)의 암부(131b)의 자유 단부 사이의 폭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로써, AF 공진부(131)에 AF 동력 전달부(133)를 장착했을 때에, AF 동력 전달부(133)가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AF 공진부(131)의 암부(131b)를 눌러 펴는 방향으로 부세력이 작용한다. 이 부세력에 의하여, AF 공진부(131)의 암부(131b)의 자유 단부 사이에 AF 동력 전달부(133)가 지지되고, AF 공진부(131)로부터의 구동력이 AF 동력 전달부(133)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AF 공진부(131)와 AF 동력 전달부(133)는, 부세된 상태로 맞닿아 있을 뿐이므로, 맞닿음 부분을 둘레 방향을 따라 크게 하는 것만으로, 렌즈 구동 장치(1)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량, 즉, 렌즈 홀더(11)의 이동 거리(광축 방향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AF 구동부(13)에 전압을 인가하면, AF 압전 소자(132)가 진동하고, AF 공진부(131)가 주파수에 따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AF 구동부(13)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스페이서(15)가 회전하고, 렌즈 홀더(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점 맞춤이 행해진다.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에 따른 렌즈 홀더(11)의 거동의 구체예를 도 10A, 도 10B에 나타낸다. 도 10A는, AF 구동부(13)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AF 구동부(13)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F 구동부(13)가 구동되고, AF 동력 전달부(133)가 AF 공진부(131) 측으로 끌려들어가면, AF 동력 전달부(133)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 스페이서(15)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단면 캠(18)이 동작하고, 회전 스페이서(15)의 홀더 안내부(15c)를 따라 렌즈 홀더(11)의 슬라이드부(11b)가 밀려 올라가, 렌즈 홀더(11)가 광축 방향 수광 측으로 이동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OIS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하면, OIS 압전 소자(32)가 진동하고, OIS 공진부(31)가 주파수에 따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OIS 구동부(30)의 구동력에 의하여, OIS 동력 전달부(33)가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OIS 가동부(10)가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하여, 흔들림 보정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OIS 구동부(30X)가 구동되고, OIS 동력 전달부(33)가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OIS 구동부(30X)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21)로부터 제2 스테이지(41X)로 동력이 전달된다. 제2 스테이지(41X)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2)(볼 수용부(21d)에 배치되어 있는 볼(42))은, X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21)에 대하여 제2 스테이지(41X)는 X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스테이지(12)로 제2 스테이지(41X)로 협지되어 있는 볼(43)(볼 수용부(41c)에 배치되어 있는 볼(43))은 X방향으로 전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스테이지(41X)에 대하여 제1 스테이지(12)의 X방향의 위치는 유지되고, 제1 스테이지(12)는 제2 스테이지(41X)에 연동되어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스테이지(41Y)와 제1 스테이지(12)로 협지되어 있는 볼(43)(볼 수용부(41d)에 배치되어 있는 볼(43))은 X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스테이지(12)는, 제2 스테이지(41Y) 위를 매끄럽게 슬라이딩한다. 또, 제2 스테이지(41Y)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2)(볼 수용부(21e)에 배치되어 있는 볼(42))에 의하여, 베이스(21)에 대한 제2 스테이지(41Y)의 X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21)에 대하여 제2 스테이지(41Y)는 변위되지 않고, 제2 스테이지(41X)와 제1 스테이지(12)만이 X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일하게, 제2 OIS 구동부(30Y)가 구동되어, OIS 동력 전달부(33)가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OIS 구동부(30Y)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21)로부터 제2 스테이지(41Y)로 동력이 전달된다. 제2 스테이지(41Y)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2)(볼 수용부(21e)에 배치되어 있는 볼(42))은, Y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21)에 대하여 제2 스테이지(41Y)는 Y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41Y)로 협지되어 있는 볼(43)(볼 수용부(41d)에 배치되어 있는 볼(43))은 Y방향으로 전동할 수 없으므로, 제2 스테이지(41Y)에 대하여 제1 스테이지(12)의 Y방향의 위치는 유지되고, 제1 스테이지(12)는 제2 스테이지(41Y)에 연동되어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스테이지(41X)와 제1 스테이지(12)로 협지되어 있는 볼(43)(볼 수용부(41c)에 배치되어 있는 볼(43))은 Y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스테이지(12)는, 제2 스테이지(41X) 위를 매끄럽게 슬라이딩한다. 또, 제2 스테이지(41X)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2)(볼 수용부(21d)에 배치되어 있는 볼(42))에 의하여, 베이스(21)에 대한 제2 스테이지(41X)의 Y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21)에 대하여 제2 스테이지(41X)는 변위되지 않고, 제2 스테이지(41Y)와 제1 스테이지(12)만이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스테이지(41X, 41Y)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 스테이지(41X)에 접속되어 있는 제1 OIS 구동부(30X)는, 제2 스테이지(41Y)의 이동에 의하여 Y방향의 힘을 받는 일은 없고, 제2 스테이지(41Y)에 접속되어 있는 제2 OIS 구동부(30Y)는, 제2 스테이지(41X)의 이동에 의하여 X방향의 힘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양호한 정밀도로 XY면 내에 있어서의 흔들림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OIS 가동부(10)가 XY평면 내에서 요동하여, 흔들림 보정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모듈(A)의 각도 흔들림이 상쇄되도록, 흔들림 검출부(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도시 생략)로부터의 각도 흔들림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OIS 구동부(30)로의 통전 전압이 제어된다. 이때, 마그넷(52X, 52Y) 및 홀 소자(51X, 51Y)로 구성되는 XY 위치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병진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 장치(1)는, 제1 스테이지(12)(제1 고정부)와 렌즈부(2)를 지지하고, 제1 스테이지(12)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렌즈 홀더(11)(제1 가동부)와,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렌즈 홀더(11)를 지지하는 AF 지지부(14)(제1 지지부)와,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며,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렌즈 홀더(11)를 광축 방향(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 구동부(13)(Z방향 구동부)를 구비한다. 렌즈 구동 장치(1)는, AF 구동부(13)의 직선 운동을 받아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스페이서(15)(회전체)와, 회전 스페이서(15)의 회전 운동을 광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단면 캠(18)(기계 요소)을 갖고, 회전 스페이서(15)가 회전함으로써, 렌즈 홀더(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의하면, AF 구동부(13)가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M)과 같이, 렌즈 구동 장치(1)를 갖는 카메라 모듈(A)을 근접하여 배치해도 자기적인 영향은 없으므로, 듀얼 카메라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A)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인 스마트폰(M)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갖는 카메라 탑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및 수송 기기를 포함한다. 정보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탑재 휴대 전화기, 노트형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web 카메라, 카메라 탑재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리코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수송 기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 11A, 도 11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Vehicle Camera)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V)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며, 도 11B는 자동차(V)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V)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한다.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하여 프론트 유리에 장착되거나, 후방을 향하여 리어 게이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리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홀더(11)의 슬라이드부(11b)와 회전 스페이서(15)의 홀더 안내부(15c)로 구성되는 단면 캠(18)을 이용하고 있지만, 렌즈 홀더(11)와 회전 스페이서(15)의 사이에 개재되는 기계 요소에는, 그 외의 캠 구조 등을 적용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AF 구동부(13)에 의하여 회전 스페이서(15)를 회전시켜, 단면 캠(18)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렌즈 홀더(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지만, 렌즈 홀더(11)를 회전시키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즉, 렌즈 홀더(11)를 회전체로서 기능시켜, 나선 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렌즈 홀더(11)와 제1 스테이지(12)의 사이에 기계 요소가 마련된다.
또, 본 발명은, 오토 포커스뿐만 아니라, 줌 등, 제1 가동부(렌즈 홀더(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019년 6월 7일 출원된 특원 2019-107368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1 : 렌즈 구동 장치
10 : OIS 가동부(제2 가동부)
11 : AF 가동부, 렌즈 홀더(제1 가동부)
11b : 슬라이드부
12 : 제1 스테이지(제1 고정부)
13 : AF 구동부(Z방향 구동부)
14 : AF 지지부, 상측 스프링(제1 지지부)
15 : 회전 스페이서
15c : 홀더 안내부
16, 17 : 볼
18 : 단면 캠(기계 요소)
20 : OIS 고정부(제2 고정부)
30 : OIS 구동부(XY방향 구동부)
40 : OIS 지지부(제2 지지부)

Claims (10)

  1. 제1 고정부와,
    렌즈부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제1 가동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동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방향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Z방향 구동부의 직선 운동을 받아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광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 요소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가동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Z방향 구동부에 접속되어 상기 회전체로서 기능하는, 링상의 회전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회전 스페이서는, 상기 기계 요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페이서는,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광 측의 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홀더 안내부를 갖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홀더 안내부에 맞닿은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홀더 안내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회전 스페이서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기계 요소로서 기능하는 단면 캠을 구성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캠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사이에 볼이 개재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기계 요소를 개재하여 상기 제1 고정부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Z방향 구동부에 접속되어 상기 회전체로서 기능하고, 상기 회전 운동을 받아 나선 운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상기 제1 가동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Z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 가동부와,
    상기 제2 가동부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동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광축 직교면 내에 있어서 이동시키는 XY방향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XY방향 구동부는, 진동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로 구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가동부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0.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제9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217037553A 2019-06-07 2020-06-02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220017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7368 2019-06-07
JP2019107368A JP7294897B2 (ja) 2019-06-07 2019-06-07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CT/JP2020/021770 WO2020246465A1 (ja) 2019-06-07 2020-06-02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398A true KR20220017398A (ko) 2022-02-11

Family

ID=7365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553A KR20220017398A (ko) 2019-06-07 2020-06-02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08303A1 (ko)
JP (2) JP7294897B2 (ko)
KR (1) KR20220017398A (ko)
CN (1) CN113924516A (ko)
WO (1) WO2020246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0980A1 (ja) * 2020-03-30 2021-10-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2158089A1 (ja) * 2021-01-19 2022-07-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30375900A1 (en) * 2021-04-14 2023-11-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amera actu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0550A (ja)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WO2015123787A1 (de) 2014-02-20 2015-08-27 Miniswys Sa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en bildstabilis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408U (ja) * 1983-11-25 1985-06-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機構
JP4213555B2 (ja) * 2003-10-15 2009-01-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H696993A5 (de) * 2004-06-24 2008-02-29 Miniswys Sa Antriebseinheit.
JP2006017923A (ja) 2004-06-30 2006-01-19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カメラ
KR100573576B1 (ko) * 2005-06-03 2006-04-24 주식회사 세코닉스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렌즈 조립체
JP2008089803A (ja) *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撮像装置
JP2008167561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圧電素子を用いた駆動機構と該駆動機構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9136050A (ja) * 2007-11-29 2009-06-18 Nidec Copal Corp 駆動装置
JP2009258497A (ja) * 2008-04-18 2009-11-05 Minebea Co Ltd レンズ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CH699707A2 (de) * 2008-10-10 2010-04-15 Creaholic Sa Miniaturisierte angetriebene lagerungsvorrichtung.
JP2011215350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レンズ組立体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CN104678532B (zh) * 2013-12-03 2017-08-08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变焦对焦装置和变焦镜头
CN208459665U (zh) * 2018-07-06 2019-02-01 中山联合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超声电机驱动的变焦镜头
CN115494605A (zh) 2018-08-13 2022-12-20 米尼斯怀斯股份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0550A (ja)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WO2015123787A1 (de) 2014-02-20 2015-08-27 Miniswys Sa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en bildstabilis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94897B2 (ja) 2023-06-20
WO2020246465A1 (ja) 2020-12-10
JP2023105217A (ja) 2023-07-28
CN113924516A (zh) 2022-01-11
US20220308303A1 (en) 2022-09-29
JP2020201359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4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220017398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1667951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KR20220161314A (ko)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707502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20230408890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device
US20230408840A1 (en) Optical-element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JP737256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26952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09305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4048011A1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3026965A1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24034090A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