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53B1 -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53B1
KR102300553B1 KR1020187028567A KR20187028567A KR102300553B1 KR 102300553 B1 KR102300553 B1 KR 102300553B1 KR 1020187028567 A KR1020187028567 A KR 1020187028567A KR 20187028567 A KR20187028567 A KR 20187028567A KR 102300553 B1 KR102300553 B1 KR 10230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il spring
drive
ha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761A (ko
Inventor
미하엘 비텔스부에르거
하랄드 크루에거
미하엘 부흐하임
마티아스 자이들
크리스토프 벨츠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11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05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r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2)의 구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치 어셈블리(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해치(3)를 갖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1)는, 구동 어셈블리(1)의 구동 접속을 위한 2개의 기계적 구동 접속부(4, 5) 및 2개의 구동 접속부(4, 5) 사이에 총 스프링력(9)을 형성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코일 스프링 축(1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코일 스프링 부재(10), 특히 코일 압축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해치(3)의 조절, 특히 폐쇄 조절이,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편향을 수반하며; 그리고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상이한 곡선 기울기를 갖는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편향 섹션에 걸쳐,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및 청구항 제 15항에 따른, 이러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왜건형(wagon) 차량에서, 테일 게이트의 무게가 무거울 때 해치를 그것의 무게에 대항하여 조절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지원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경우 용어 "해치"는 폭넓게 파악되어야 한다. 상기 용어는, 특히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트렁크 리드, 엔진 후드, 측면 도어, 트렁크 플랩 도어, 리프팅 루프 또는 이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논의되고 있는 구동 어셈블리는, 해치의 조절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데 이용된다. 구동 어셈블리는, 순수 스프링 구동식이거나 또는 모터 구동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초하는 공개된 구동 어셈블리(DE 100 01 054 A1호)에는 해치의 전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모터가 설치된다. 추가로 구동 어셈블리는, 2개의 구동 접속부 사이에서 스프링력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스프링 어셈블리에 서로 분리된 2개의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들은, 해치의 조절에 따라서, 각각 구동 접속부에 스프링력을 가한다. 이 경우 상기 어셈블리는, 폐쇄 조절 시 먼저 하나의 스프링 부재가 작용하도록 그리고 해치의 폐쇄 위치의 범위에서 제2 스프링 부재가 작용하도록 이루어진다. 해치의 폐쇄 위치의 범위에 다른 스프링 부재의 이러한 "추가 연결"에 의해, 구동 어셈블리의 조절에 걸쳐 구동 접속부들에 작용하는 총 스프링력의 불연속적인 곡선 형태가 주어진다. 예컨대, 이러한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구동 접속부들 사이의 총 스프링력의, 제1 근사치로 목표한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른 스프링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해치를 가압하기 위한 특히 높은 스프링력이 제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 구동 어셈블리는 여러 개의 스프링 부재를 필요로 하므로 기계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구동 어셈블리에 추가 스프링의 갑작스러운 결합에 의해 또한 원치 않는 결합 소음 및 시각적으로 그렇게 보기 좋지 않은 조절 과정이 발생한다. 후자의 양상은 일반적으로 편안함의 손실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조적 수단들에 의해 구동 접속부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의 유연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공개된 구동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에서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제안에 따라,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 코일 스프링 부재의 사용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총 스프링력의 곡선 형태에서 각각의 요구되는 곡선 기울기가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용어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폭넓게 파악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코일 스프링력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가, 코일 스프링 부재의 편향에 걸쳐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곡선 기울기의 이러한 증가는, 코일 스프링 부재의 편향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코일 스프링 부재의 편향에 걸쳐 코일 스프링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력의 곡선 형태가 이에 포함되고, 상기 곡선 형태는 어느 정도 두드러진 전환점에서 서로 이어지는 2개의 선형 곡선 섹션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구동 접속부 사이의 총 스프링력의 형성을 책임지는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가,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코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전술한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해치의 조절, 여기에서 특히 폐쇄 조절이, 코일 스프링 부재의 편향을 수반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 부재는, 그것의 점진적인 스프링 거동에 의해, 총 스프링력의 상이한 곡선 기울기들의 형성에 기여한다.
제안에 따른 해결 방법에 의해, 작은 구조적 비용으로 총 스프링력의 다양한 곡선 형태들이 구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항상 필요했던 복수의 스프링 부재들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의 제안에 따른 사용에 의해, 구동 어셈블리의 조절에 걸쳐 총 스프링력의 곡선 형태의 다양한 곡선 섹션들이 실현될 수 있고, 이 경우 곡선 섹션들 사이의 전이는 추가 스프링 부재의 결합과 관련되지 않는다. 이로써 전이는 부드럽게 거의 소음 없이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코일 스프링 부재는, 코일 인장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코일 압축 스프링 부재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고, 상기 코일 압축 스프링 부재의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기계적으로 특히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의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코일 스프링 부재가 코일 스프링 축을 따라 변하는 스프링 구성을 가짐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스프링 구성은 섹션 별로 또는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상응하게 불연속적인 점진적 스프링 거동 또는 연속적인 점진적 스프링 거동으로 나타난다(청구항 제 3항).
청구항 제 5항 및 제 6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 축을 따르는 스프링 구성의 변경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 축을 따르는 코일 스프링 부재의 코일 피치의 변동이 특히 중요하며, 그 이유는 이는 한편으로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코일 스프링 부재의 형상의 원주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제안에 따른 해결 방법은 추가적인 공간 관련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코일 스프링 축을 따라 변하는 코일 피치에 의해, 청구항 제 7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의 편향으로 인해, 코일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코일이 접촉하며 탄성을 갖는 코일 개수가 감소한다. 매우 일반적으로, 해치의 조절은, 먼저 "연성" 스프링 코일의 편향 및 접촉을 수반하여, 후속하는 편향을 위해 "강성" 스프링 코일만 남는다. 이는, 전술한 스프링 코일의 접촉은, 관련 스프링 코일들이 스토퍼까지 편향되어 각각의 인접한 스프링 코일에 의한 추가 편향이 저지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청구항 제 8항의 제1 대안예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 부재는 동시에, 즉 섹션 별로 접촉하는 "연성" 스프링 코일들을 갖는 스프링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청구항 제 8항의 다른 대안예에 따라, 스프링 코일들은 해치의 조절 시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스프링 코일들의 전술한 접촉이 제공되는 경우에, 관련 스프링 코일들을 표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스프링 코일들의 접촉과 관련될 수 있는 소음의 감소에 이용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표면 처리는 마모를 줄이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1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해치의 폐쇄 조절의 마지막 섹션에서 총 스프링력의 증가가 제공된다. 이는, 폐쇄된 해치의 경우에 폐쇄 스프링 부재는 높은 힘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으므로, 해치의 개방 과정이 적어도 처음에는 높은 총 스프링력에 의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푸시 업 스프링(push up spring)으로서 널리 공개된 어셈블리의 기능에 상응한다.
청구항 제 12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로, 해치의 폐쇄 조절의 마지막 단계에서, 총 스프링력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의 증가도 제공된다. 이는, 전술한 푸시 업 스프링의 기능과 관련해서 해치의 작은 조절 범위에 걸쳐 코일 스프링 부재의 높은 예비 응력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기본적으로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는,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에 의한 순수 스프링 작동식일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제 13항 및 제 14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는, 모터 작동식이다. 제안에 따른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와 청구항 제 14항에 따른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의 조합은, 적합한 설계 시, 특히 코일 스프링 축과 스핀들 축이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면, 특히 콤팩트한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독립적으로도 중요한 청구항 제 15항에 따른 교시에 따르면,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해치 어셈블리가, 그 자체로 청구된다.
제안에 따른 해치 어셈블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전술한 해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해치는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모든 진술들이 참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안에 따른 해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의 리어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a) 해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b) 해치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및 c) 해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총 스프링력의 관련 곡선 형태를 갖는, 도 2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스프링 부재의 매우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는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2)에 설치된다. 해치 어셈블리(2)는, 개방 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와 폐쇄 위치(도 1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해치(3)를 갖는다. 용어 "해치"는, 이 경우 폭넓게 파악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기재의 도입부가 참조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1)는, 구동 어셈블리(1)의 구동 접속을 위한 2개의 기계적 구동 접속부(4, 5)를 갖는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접속부(4)는 차체(6)에 그리고 구동 접속부(5)는 해치(3)에 구동적으로 결합된다.
구동 어셈블리(1)는, 제1 실시예에서, 해치(3)의 무게의 보상에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 어셈블리(1)는 순수 스프링 작동식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동 어셈블리(1)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해치(3)의 전동식 조절에 이용된다. 폐쇄 위치는 완전히 폐쇄된 해치(3)의 위치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예비 폐쇄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해치(3)에 배치되는 자동차 잠금장치(7)는, 당겨서 닫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해치(3)를 예비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는 도 2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2개의 구동 접속부(4, 5) 사이에 총 스프링력(9)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구동 접속부(4, 5)를 서로 멀어지게 가압한다. 이는 또한 반대로 제공될 수 있다.
해치(3)의 운동학적 경계 조건 및 특히 해치(3)의 무게의 영향에 대처하기 위해, 구동 어셈블리(1)의 조절에 걸쳐, 즉 구동 접속부(4, 5)의 상호 조절에 걸쳐, 2개의 구동 접속부(4, 5) 사이의 총 스프링력(9)의 특수한 곡선 형태가 제공된다. 이 경우 구동 위치, 즉 구동 접속부(4, 5)의 서로에 대한 위치에 따른, 상이한 곡선 기울기의 구현이 특히 중요하다. 이는 푸시 업 스프링(Push-up-Spring)의 기능과 관련해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가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코일 압축 스프링 부재인 것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코일 인장 스프링 부재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의 단일 코일 스프링 부재이다.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바람직하게, 원통형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배럴 스프링(barrel spring) 또는 이와 같은 식의 형상도 가능하다. 코일 스프링 부재(10)에 코일 스프링 축(11)이 할당되고, 상기 스프링 축은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코일 스프링 축(11)은 2개의 구동 접속부(4, 5)를 통해 연장된다.
구동 접속부(4, 5)의 서로에 대한 조절은,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편향과 관련된다. 이는,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위한 하나의 접촉면(12a)이 구동 접속부(4)에 연결되며 그리고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위한 다른 접촉면(12b)이 구동 접속부(5)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 어셈블리(1)는, 계속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프형 선형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의 조합에 따르면, 해치(3)의 조절, 여기에서 폐쇄 조절은 또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편향을 수반한다. 상이한 곡선 기울기를 갖는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전술한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제한된 편향 섹션에 걸쳐 이러한 점진적 스프링 거동이 제공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3에서 오른쪽에는 각각, 구동 어셈블리(1)의 조절에 걸친 힘(F), 즉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가 도시된다. 화살표(P)는 도 3에서 각각 왼쪽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구동 접속부(4, 5)에 작용하는 단일 스프링 부재이기 때문에 그리고 계속해서 설명될 모든 구동 부품들은 자동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근사치의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는, 코일 스프링 부재(10)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력(13)의 곡선 형태를 또한 나타낸다. 코일 스프링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코일 스프링력(13)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즉, 제1 근사치의 총 스프링력(9)에 상응한다.
도 3에 따른 도면은 각각, 구동 접속부(4, 5)의 서로에 대한 위치 및 해치(3)의 위치에 상응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위치(S)에 따른 총 스프링력(9) 또는 코일 스프링력(13)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2는 해치(3)의 폐쇄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Ss)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도시한다. 도 2에만 표시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위치(S0)는, 해치(3)의 개방 위치에 상응한다. 해치(3)의 폐쇄 조절 도중에,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즉 도 3에 도시된 위치들(So, Sk 및 Ss)을 통과한다.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위치 So 와 Sk 사이에서 비교적 작은 곡선 기울기를 나타내고, 상기 기울기는 전환점(Sk)에서 현저히 증가한다.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의 이러한 현저한 증가는 푸시 업 스프링의 전술한 기능에 부합한다. 여기에서 이미 제안에 따른 해결 방법의 장점들이 입증되고, 이러한 해결 방법에 따라 푸시 업 스프링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스프링 부재는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제안에 따른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코일 스프링 부재(10)가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변하는 스프링 구성을 가짐으로써 발생한다. 용어 "스프링 구성(spring configuration)"은 이 경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특성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섹션 별로 변하는 스프링 구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되는 전술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특성곡선 내의 전환점(Sk)이 야기된다.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설계에 따라서, 스프링 특성곡선 도면 내의 상기 전환점(Sk)은, 어느 정도 둥글게 될 수 있고, 곡선 섹션들 사이의 어느 정도 부드러운 전이를 유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연속해서 변하는 스프링 구성이 제공되어, 전환점을 갖지 않고, 곡선 기울기의 연속적인 상승을 갖는 일정한 점진적 스프링 거동이 나타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의 조합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 부재(10)가, 제1 스프링 구성을 갖는 스프링 섹션(14) 및 제2 스프링 구성을 갖는 스프링 섹션(15)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제1 스프링 구성을 갖는 스프링 섹션(14)은 비교적 작은 코일 피치(φ1)를 갖는 한편, 제2 스프링 구성을 갖는 스프링 섹션(15)은 비교적 큰 코일 피치(φ2)를 갖는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제1 스프링 구성을 갖는 복수의 스프링 섹션(14) 및 제2 스프링 구성을 갖는 복수의 스프링 섹션(15)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응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섹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프링 구성이 제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코일 스프링 부재(10)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이 스프링 형상에 관해 구별되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이, 코일 피치(φ12)에 관해 구별되도록 제공된다. 코일 피치는, 도 3a에서 위치(S0)에 대해 각도 φ12로 표시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코일 직경에 관해 구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관련 공간 기술적 경계 조건들에 대해 조정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또한,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스프링 와이어 직경에 관해 구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본원의, 특히 원통형 형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이 코일 스프링 재료의 재료 파라미터로 구별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재료 파라미터들은 특히 코일 스프링 재료의 강성과 관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이한 코일 피치(φ12)는 2개의 스프링 섹션(14, 15)에서 상이한 코일 간격(d1,d2)을 야기한다.
전체적으로 어셈블리는,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변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구성이, 해치(3)의 조절 시,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폐쇄 조절 시, 해치(3)의 적어도 하나의 조절 범위에서, 편향 도중에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코일들이 접촉하여 탄성 코일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a, 도 3b, 도 3c의 결과로부터 해치(3)의 폐쇄 조절이 이루어진다. 도 3a로부터 도 3b로 전이는, 전환점(Sk)에서 코일들(w1, w2, w3, w4)이 접촉한 것을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전환점(Sk)에서부터 코일들(w5, w6, w7, w8)만이 탄성적으로 작용한다. 코일들(w1, w2, w3, w4)이 접촉되고 따라서 차단된다. 그밖에 동일한 스프링 구성에서, 스프링 코일들(w5, w6, w7, w8)이 스프링 코일들(w1, w2, w3, w4)보다 큰 코일 피치를 가짐으로써, 위치 Sk와 위치 Ss 사이의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에서 더 높은 곡선 기울기가 나타난다. 이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제안에 따른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형성하기 위한, 특히 간단한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해결 방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코일들은, 섹션 별로, 여기에서는 제1 스프링 구성을 갖는 스프링 섹션(14)에 접촉한다. 대안으로서 또한, 해치(3)의 조절 시 스프링 코일들이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점진적 스프링 곡선이 제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연속해서 접촉한다"란, 해치(3)의 조절 시 스프링 코일들이 개별적으로 차례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설계에 따라 스프링 코일의 접촉은 소정의 마모 또는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접촉하는 스프링 코일들이 표면 처리되도록 제공된다. 이에 대한 예는, 결합하는 스프링 코일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스프링 코일의 플록 가공(flocking)이다.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특히 간단한 설계는,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섹션들(14, 15)이 여기에서 각각, 그 자체가 실질적으로 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2개의 스프링 섹션(14, 15)이 각각, 그 자체가 또한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의 설계는, 해치(3)의 조절과 관련해서 특히 중요하다. 해치(3)의 폐쇄 조절의 후반, 바람직하게는 후반 1/3, 더 바람직하게는 후반 1/4에서야,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가 총 스프링력(9)에서 증가를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치(3)의 폐쇄 조절의 후반, 바람직하게는 후반 1/3, 더 바람직하게는 후반 1/4에서야,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에서 증가를 일으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총 스프링력(9)의 증가에 관한 및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에서의 증가에 관한 2개의 후자의 바람직한 설계 변형예는, 기본적으로 푸시 업 스프링의 기능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스프링 부재는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제안에 따른 해결 방법은,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특히 간단한 구조적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 어셈블리(1)는 구동 모터(16)와 구동 모터(16)에 필요한 경우 중간 기어(17)를 통해 후방에 연결되며, 구동 접속부(4, 5)에 의해 방향 전환될 수 있는 구동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전진 기어(18)를 포함한다. 전진 기어(18)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구동축을 따라 선형 구동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선형 기어로서 형성되고, 이 경우 구동축은,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축(11)에 상응한다. 특히 콤팩트한 형상이, 선형 기어가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로서 형성됨으로써 얻어지고, 이 경우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바람직하게 구동축을 따라, 더 바람직하게는 구동축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로서 형성된 전진 기어(18)를 포함하고, 이는 어셈블리의 콤팩트성을 더 높인다.
도 2에 도시된 구동 어셈블리(1)는 구동 연결부(4, 5)의 조절에 따라 텔레스코핑 가능한(telescopable) 구동 하우징(19)을 갖는 것이 참조될 수 있다. 모든 구동 부품, 특히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하우징(19) 내에 배치된다. 기본적으로, 해치(3)에 구동 어셈블리(1)의 구동 부품들이 분포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특히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하우징(19)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1)의 조절에 걸쳐 총 스프링력(9)의 각각의 소정의 곡선 형태를 얻기 위해, 코일 스프링 장치(8)가 코일 스프링 부재(10) 외에 다른 코일 스프링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참조될 수 있다.
전동식 구동 운동의 형성 시, 구동 어셈블리(1)의 기본적인 동작과 관련해서, 출원인에 의해 창안되고 그리고 그것의 내용이 본 출원의 대상이 되는, 독일 실용신안 DE 20 2010 016 474 U1호가 참조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도 중요한, 본 발명의 다른 교시에 따르면, 자동차의 상기 해치 어셈블리(2)가, 그 자체로서 청구된다.
청구된 해치 어셈블리(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이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해치(3)를 갖는다. 청구된 해치 어셈블리(2)는 또한, 해치(3)에 설치된 제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를 포함한다. 해치 어셈블리(2) 자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제안된 구동 어셈블리(1)에 관한 모든 진술이 참조될 수 있다.

Claims (15)

  1.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2)의 구동 어셈블리(1)로서,
    상기 해치 어셈블리(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해치(3)를 갖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1)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의 구동 접속을 위한 2개의 기계적 구동 접속부(4, 5) 및 2개의 상기 구동 접속부(4, 5) 사이에 총 스프링력(9)을 형성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1)의 조절에 걸친 상기 2개의 구동 접속부(4, 5) 사이의 상기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가 구동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곡선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코일 스프링 축(1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코일 스프링 부재(10)를 구비하고, 상기 해치(3)의 조절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편향을 수반하며,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상이한 곡선 기울기를 갖는 상기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편향 섹션에 걸쳐 점진적 스프링 거동을 갖고,
    점진적 스프링 거동은,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가 상기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변하는 스프링 구성을 가짐으로써, 발생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구성은, 상기 해치(3)의 조절 시, 상기 해치(3)의 적어도 하나의 조절 범위에서, 편향 도중에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코일들(w1 - w4)이 접촉하여 탄성 코일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상기 코일 스프링 축(11)을 따라 섹션 별로 또는 연속해서 변하는 스프링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제1 스프링 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섹션(14) 및 제2 스프링 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섹션(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스프링 형상에 관해 구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코일 피치에 관해 구별되거나, 또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코일 직경에 관해 구별되거나, 또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스프링 와이어 직경에 관해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상이한 스프링 구성들은 코일 스프링 재료의 재료 파라미터에 관해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3)의 조절 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스프링 코일들(w1 - w4)은 섹션 별로 접촉하거나, 상기 스프링 코일들(w1 - w4)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접촉하는 스프링 코일들(w1 - w4)은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적어도 2개의 스프링 섹션(14, 15)이 각각, 그 자체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3)의 폐쇄 조절의 후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8)는 총 스프링력(9)에서 증가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3)의 폐쇄 조절의 후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의 점진적 스프링 거동이, 상기 구동 어셈블리(1)의 조절에 걸쳐, 상기 총 스프링력(9)의 곡선 형태의 곡선 기울기에서 증가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1)는 구동 모터(16)와, 상기 구동 모터(16) 후방에 접속되며 구동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전진 기어(18)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운동은 상기 구동 접속부(4, 5)들에 의해 방향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기어(18)는 구동축을 따라 구동 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선형 기어로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10)는 구동축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13.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로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해치(3)와, 상기 해치(3)에 설치되되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
  14. 삭제
  15. 삭제
KR1020187028567A 2016-03-03 2017-03-03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KR102300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3800.8A DE102016103800A1 (de) 2016-03-03 2016-03-03 Antriebsanordnung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103800.8 2016-03-03
PCT/EP2017/055033 WO2017149132A1 (de) 2016-03-03 2017-03-03 Antriebsanordnung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61A KR20180118761A (ko) 2018-10-31
KR102300553B1 true KR102300553B1 (ko) 2021-09-08

Family

ID=582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567A KR102300553B1 (ko) 2016-03-03 2017-03-03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24427A1 (ko)
JP (1) JP2019508610A (ko)
KR (1) KR102300553B1 (ko)
CN (1) CN109072658B (ko)
DE (1) DE102016103800A1 (ko)
WO (1) WO2017149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6829A1 (de) 2021-06-30 2023-01-05 Witte Automotive Gmbh Antriebsvorrichtungen und Komponenten für eine Antriebsvorrichtung
KR20230031490A (ko) 2021-08-27 2023-03-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DE102021125588B4 (de) 2021-10-01 2024-08-08 Edscha Engineering Gmbh Federteil für eine Antriebs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Federteil
DE102023103839B3 (de) 2023-02-16 2024-05-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eines Flügelelements an einem Aufbau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7155U1 (de) * 2005-05-02 2006-09-1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zur Verstellung eines Verschließteils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DE202013004785U1 (de) * 2013-05-24 2014-08-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678A1 (de) * 1970-04-28 1971-11-25 Daimler Benz Ag Schrauben-Druckfeder
GB1402849A (en) * 1971-06-09 1975-08-13 Girling Ltd Telescopic gas springs
US3751025A (en) * 1971-11-01 1973-08-07 Burroughs Corp Conical spring
JPS5557537U (ko) * 1978-10-14 1980-04-18
JPS56153140A (en) * 1980-04-28 1981-11-27 Nhk Spring Co Ltd Balancer
US4423535A (en) * 1981-03-31 1984-01-03 Nhk Spring Co., Ltd. Spring balancer
JPS6047934U (ja) * 1983-09-08 1985-04-04 中央発條株式会社 圧縮コイルばね
DE8522888U1 (de) * 1985-08-08 1985-10-10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Progressive Druckfeder in Kupplungsscheiben
DE4001141C1 (en) * 1990-01-17 1991-04-18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Safety catch for car bonnet - incorporates separate control hook and safety hook
JPH0914316A (ja) * 1995-06-27 1997-01-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横変形防止用コイルバネ
JPH11159551A (ja) * 1997-11-27 1999-06-15 Tama Spring:Kk 非線形異形コイルばね
JPH11229736A (ja) * 1998-02-17 1999-08-24 Takano Co Ltd 跳ね上げ式門扉
DE10001054B4 (de) 1999-12-08 2015-08-20 Witte-Velbert Gmbh & Co. Kg Scharnieranordnung
JP2002367494A (ja) * 2001-06-07 2002-12-20 Fuji Electric Co Ltd 遮断器
CA2484536C (en) * 2003-02-19 2013-08-13 Dreamwell, Ltd. Stranded mattress spring
US7168117B2 (en) * 2003-02-19 2007-01-30 Dreamwell Ltd. Multi-stranded coil spring
CA2514670A1 (en) * 2004-08-06 2006-02-06 Magna Closures Inc. Electromechanical strut
US7226111B2 (en) * 2004-08-24 2007-06-05 Hi-Lex Controls Inc. Integrated spring actuator strut assembly
DE102005007741B4 (de) * 2005-02-18 2010-11-11 Stabilus Gmbh Kolbenzylindereinheit mit einer Schraubendruckfeder
ATE491856T1 (de) * 2006-03-31 2011-01-15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Verstelleinrichtungen mit spindelantrieb
JP2007331699A (ja) * 2006-06-19 2007-12-27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自動車の開口の閉鎖部品作動装置
US20070296244A1 (en) * 2006-06-26 2007-12-27 Guido Borrmann Adjust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for the adjustment of a closing piece for the closing of an opening of a motor vehicle body
US7731165B2 (en) * 2007-08-17 2010-06-08 Paccar Inc Hood support
DE102008009898B4 (de) * 2007-11-13 2010-07-15 Stabilus Gmbh Klappenöffnungs- und -schließsystem
DE102008057014B4 (de) * 2008-11-12 2014-07-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chlusselements in einem Kraftfahrzeug
DE202009006216U1 (de) * 2009-03-03 2010-07-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pindelantrieb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US20110291338A1 (en) * 2010-05-27 2011-12-01 Pepka Charles F Preloaded dual-spring assembly
US8979079B2 (en) * 2010-11-09 2015-03-17 Dreamwell, Ltd. Spring coils for innerspr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DE202010016474U1 (de) 2010-12-10 2012-03-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pindelantrieb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ITFI20110143A1 (it) * 2011-07-19 2013-01-20 Nuovo Pignone Spa A differential pressure valve with reduced spring-surge and method for reducing spring surge
US9260899B2 (en) * 2013-09-06 2016-02-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Drive device for a hatch of a motor vehicle
DE102014105624A1 (de) * 2014-04-22 2015-10-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der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EP3237309B1 (en) * 2014-12-23 2021-12-01 Modula S.p.A. Anti-seismic support for warehouses and load-bearing structure with such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7155U1 (de) * 2005-05-02 2006-09-1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zur Verstellung eines Verschließteils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DE202013004785U1 (de) * 2013-05-24 2014-08-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8610A (ja) 2019-03-28
WO2017149132A1 (de) 2017-09-08
KR20180118761A (ko) 2018-10-31
US20190024427A1 (en) 2019-01-24
CN109072658B (zh) 2020-08-14
DE102016103800A1 (de) 2017-09-07
CN109072658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553B1 (ko) 자동차의 해치 어셈블리의 구동 어셈블리
CN108368724B (zh) 主轴驱动器
EP2199513B1 (en) Adjusting device having a spindle drive
JP5243315B2 (ja) 車両用電子クラッチ制御装置
WO2017013236A1 (de) Türkomponente mit einer steuerbaren dämpfereinrichtung
JP2010215085A5 (ko)
WO2016030066A1 (de) Aktives fahrpedal mit schneckengetriebe
KR20160146883A (ko) 차량의 폐쇄 요소를 위한 스프링 드라이브
KR20190079666A (ko) 리니어 유닛
JP2010520105A (ja) 自動車の車体開口のカバー用の作動装置
CN105386662A (zh) 单级导螺杆系结致动器
JP2016510844A (ja) 自動車両ドア閉鎖機構
DE102005042408A1 (de) Betä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ätigen von Karosserie-Bauteilen eines Fahrzeuges
DE102017130151A1 (de) Schaltein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Wirkverbindung zwischen zwei Getriebeteilen
DE102017101437A1 (de) Abstands- und Vorspannungseinstellung für Lenkmechanismus unter Verwendung piezoelektrischer Elemente
DE202010009333U1 (de) Kraftfahrzeugschloss
DE202006017482U1 (de) Kraftübertragung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Antriebssystem eines Verstellelementes eines Kraftfahrzeugs
EP1738090A1 (de) Kupplung
DE102014217327A1 (de) Aktives Fahrpedal mit Freiweg
WO2004018894A1 (de) Variable gasdruckfeder
WO2012076304A2 (de)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einstellbarer nicht-linearer unterstützungskraft
DE102013215881B4 (de) Fußhebelwerk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Fußhebelwerk
US20090102225A1 (en) Power hinge mechanism using a push-pull cable
DE102007010820A1 (d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Verriegelungsvorrichtung eines Kraftwagens
DE102006059542A1 (de) Bügelscharnier für die Heckklappe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von Personenkraftw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