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14B1 -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114B1
KR102300114B1 KR1020200023350A KR20200023350A KR102300114B1 KR 102300114 B1 KR102300114 B1 KR 102300114B1 KR 1020200023350 A KR1020200023350 A KR 1020200023350A KR 20200023350 A KR20200023350 A KR 20200023350A KR 102300114 B1 KR102300114 B1 KR 10230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moving
cutting
mold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586A (ko
Inventor
위희태
Original Assignee
위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희태 filed Critical 위희태
Priority to KR102020002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29C45/382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disposed out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35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으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면으로 개방홈(131)이 형성되고, 개방홈(131)이 형성되는 상측 중앙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홈(133)과 도입홈(133)의 단부에 도입홈(133)보다 확장된 형태의 가공홈(135)이 형성되는 작업대(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상기 가공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체(200); 상기 도입홈(1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출성형물을 안착시켜 가공홈(135)으로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300);가 포함되며, 상기 절단체(200)는 작업대(130)에 각각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안착되는 판의 형태인 작동판(210)과, 상기 작동판(210)의 상측으로 이격된 작동판(210)에 안착되는 안착판(220)과, 상기 안착판(22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230) 및 상기 동력모터(2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풀리(235)와, 상기 작동판(210)에 관통되며, 일측은 벨트풀리(235)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타측은 가공홈(135)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40) 및 상기 회전축(2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날(245)과, 상기 가공홈(135)의 옆에 설치되며 회전축(240)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고정판(250) 및 상기 제1고정판(250)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고정판(255)과, 상기 제1, 2고정판(250, 255) 사이에 설치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동판(210)에 관통되는 가이드봉(260)과, 상기 작업대(130)에 각각 이격되는 작동판(210)과 볼트체결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작동판(210)에서 더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에 나사공(271)이 형성되는 이동판(270)과,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공(271)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노브가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판(270)을 좌, 우회전시켜 이동판(270)에 볼트체결된 작동판(210)이 가이드봉(26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되고, 작동판(210)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240) 및 절단날(245) 또한 좌,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2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가로 소요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가 필요없어 최소한의 설비비용 및 공간으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수행되어 소규모 사업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기존의 날카로운 공구를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게이트 및 런너 절단작업을 자동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능숙도 또는 작업 시간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절단면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항상 양질의 사출성형물을 생산 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체와, 사출성형물을 절단체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체로 구성되는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가소성 재료로 제품을 만드는 가공 방식의 하나로서, 열을 가한 원통 또는 실린더 속에 가소성 수지를 넣고 녹인 다음에, 피스톤으로 녹인 수지를 금형 안에 쏘아 제품을 만든다.
이러한 금형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조될 사출제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캐비티와,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스프루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복수의 캐비티로 분산하여 공급하는 런너와, 런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등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 수지는 금형의 스프루와 런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로 충전된 후 고화되며, 이렇게 고화된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불필요한 부분인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도 캐비티와 함께 일체로 취출되므로 성형품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성형품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은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여 작업자가 상기한 성형품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절단 방식은 생산 속도를 저하시키고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작업의 부주의시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상기 게이트 또는 런너의 절단시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할 경우 제품에 버(burr) 또는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 되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금형 내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 등)에 의하여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제거하거나 레이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는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생산설비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 다품종 소량 생산을 주로 하는 소규모의 생산설비현장에 적용하기에는 과다한 생산설비비용 및 설비공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워 성형되는 제품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생산설비비용 또한 저가로 소요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5400호 (발명의 명칭: 사출물 자동 절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3207호 (발명의 명칭: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블록 및 게이트 컷팅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942호 (발명의 명칭: 사출금형의 게이트 커팅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지면에서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체와, 사출성형물을 절단체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체로 구성되어, 고가로 소요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가 필요없어 최소한의 설비비용 및 공간으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수행되어 소규모 사업장에서 활용도가 높고,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게이트 및 런너 절단작업을 자동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양질의 사출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는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으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면으로 개방홈(131)이 형성되고, 개방홈(131)이 형성되는 상측 중앙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홈(133)과 도입홈(133)의 단부에 도입홈(133)보다 확장된 형태의 가공홈(135)이 형성되는 작업대(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상기 가공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체(200); 상기 도입홈(1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출성형물을 안착시켜 가공홈(135)으로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300);가 포함되며, 상기 절단체(200)는 작업대(130)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판의 형태인 작동판(210)과, 상기 이격된 작동판(2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안착판(220)과, 상기 안착판(220)에 설치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230) 및 상기 동력모터(2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풀리(235)와, 상기 작동판(210)에 관통되며, 일측은 벨트풀리(235)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타측은 가공홈(135)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40) 및 상기 회전축(2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날(245)과, 상기 가공홈(135)의 옆에 설치되며 회전축(240)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고정판(250) 및 상기 제1고정판(250)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고정판(255)과, 상기 제1, 2고정판(250, 255) 사이에 설치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동판(210)에 관통되는 가이드봉(260)과, 상기 작동판(210)과 볼트체결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작동판(210)에서 더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에 나사공(271)이 형성되는 이동판(270)과,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270)의 나사공(271)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노브가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판(270)을 좌, 우이동시켜 이동판(270)에 볼트체결된 작동판(210)도 가이드봉(26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좌, 우이동되고, 작동판(210)의 좌, 우이동에 따라 회전축(240) 및 절단날(245)도 좌,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28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체(300)는 개방홈(131)의 전면에서 가공홈(135)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인입홈(311)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상측에 가이드프레임(3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프레임(310)의 너비 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레일체(320)와, 하측면이 상기 레일체(320)의 상측을 수용하여 레일체(320)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330)과, 상기 이동레일(330)의 상부에 안착되며, 안착된 양면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양 옆으로 절곡되는 연결프레임(340)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에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310)과 인접하는 인접판(350)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과 인접판(350)에 체결되며, 선단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인입홈(311)에 인입되는 인입볼트(360)와,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하부와 인접판(350)의 하부에 관통되는 고정봉(370)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상부로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사출성형물이 안착되고, 안착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도록 절단날(245)의 일부가 통과되는 통과홈(381)이 격자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성형절단체(3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삭제
또한, 상기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방향의 작업대(130)에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130)의 상측으로 작업대(130)의 상측으로 파라핀 85 ~ 88중량%, 폴리스티렌 12 ~ 15중량%가 교반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두께 0.5 ~ 1㎜의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사출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체 및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로 구성되어, 고가로 소요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가 필요없어 최소한의 설비비용 및 공간으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수행되어 소규모 사업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기존의 날카로운 공구를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게이트 및 런너 절단작업을 자동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능숙도 또는 작업 시간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절단면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항상 양질의 사출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절단체 상측에 통과홈이 격자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사출성형물의 형태 및 규격에 관계없이 절단공정이 이루어져 소규모 사출성형 사업장의 특성상 다품종으로 생산되는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것은 물론 절단공정이 이루어지는 사출성형물이 레일체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는 성형절단체를 통해 가공홈으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직접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지 않아 안전사고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에 이동판이 이동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고, 작업대의 표면으로 코팅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보다 원활하게 식별하여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작업대 상에서 이동판과 작동판이 이동될 때 작업대와 식별판과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줄여주어 작동이 원활하면서도 서로 마찰되는 부분의 손상 또한 줄여주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절단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5, 6은 본 발명의 절단체가 작용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체가 작용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눈금이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는 도 1, 2, 3, 4, 5,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절단체(200) 및 이동체(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체(100)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으로 절단체(200)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면으로 사출성형물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홈(131)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개방홈(131)이 형성되는 상측 중앙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홈(133)과 도입홈(133)의 단부에 도입홈(133)보다 확장된 형태의 가공홈(135)이 형성되어 절단체(200)를 통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작업대(130)로 이루어진다.
절단체(200)는 가공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동체(300)는 상기 도입홈(1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출성형물을 안착시켜 가공홈(135)으로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체(300)에 의해 사출성형물이 가공홈(135)으로 이동되면, 가공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는 절단체(200)에 의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의 절단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단체(200)의 상세한 형태는 도 2,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30)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판의 형태인 작동판(2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격된 작동판(2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안착판(2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22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230) 및 상기 동력모터(2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풀리(2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210)에 관통되며, 일측은 벨트풀리(235)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타측은 가공홈(135)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40) 및 상기 회전축(2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날(24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공홈(135)의 옆에 설치되며 회전축(240)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고정판(250) 및 상기 제1고정판(250)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고정판(25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고정판(250, 255) 사이에 설치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동판(210)에 관통되어 작동판(21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26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210)과 볼트체결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작동판(210)에서 더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에 나사공(271)이 형성되는 이동판(270)이 구성된다.
또한,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270)의 나사공(271)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노브가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판(270)을 좌, 우이동시켜 이동판(270)에 볼트체결된 작동판(210)도 가이드봉(26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좌, 우이동되고, 작동판(210)의 좌, 우이동에 따라 회전축(240) 및 절단날(245)도 좌,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2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270)은 작동판(210)에서 더 연장되는 부위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하여 이동스크류(280)의 회전으로 인한 이동이 더욱 원활히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00)와, 사출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체(200) 및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300)로 구성되어, 고가로 소요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가 필요없어 최소한의 설비비용 및 공간으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수행되어 소규모 사업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고, 기존의 날카로운 공구를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게이트 및 런너 절단작업을 자동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능숙도 또는 작업 시간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절단면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항상 양질의 사출성형물을 생산 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가공홈(135)에서 절단공정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단작업 중에 발생하는 스크랩의 수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스크랩의 재활용 비율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이동체(300)의 상세한 형태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홈(131)의 전면에서 가공홈(135)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인입홈(311)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상측에 가이드프레임(3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프레임(310)의 너비 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레일체(320)가 구성되어 후술되는 이동레일(33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하측면이 상기 레일체(320)의 상측을 수용하여 레일체(320)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330)이 구성되며, 이동레일(330)의 하측면이 레일체(320)의 상측을 수용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레일(330)이 레일체(320) 상에서 이동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330)의 상부에 안착되며, 안착된 양면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양 옆으로 절곡되는 연결프레임(3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에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310)과 인접하는 인접판(350)이 구성되어, 후술되는 인입볼트(360)가 연결프레임(34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과 인접판(350)에 체결되며, 선단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인입홈(311)에 인입되는 인입볼트(360)가 구성되어 레일체(320)의 상측을 수용하는 이동레일(330)과 더불어 인입볼트(360)가 인입홈(311)에 인입된 상태로 이동레일(330) 및 연결프레임(340)의 이동과정에서 레일체(3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볼트(360)는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과 인접판(350)에 체결되면서 인입홈(311)에는 인입된 상태이나 인입홈(311)과 인입볼트(360)는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레일(330) 및 연결프레임(340)의 이동시에 인입볼트(360)와 인입홈(311)의 간섭 및 마찰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하부와 인접판(350)의 하부에 관통되는 고정봉(37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상부로 사출성형물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성형절단체(380)가 구성된다.
상기 성형절단체(380)는 실질적으로 사출성형물이 안착되어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수행되는 구성으로, 성형절단체(380) 상측으로 안착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도록 절단날(245)의 일부가 통과되는 통과홈(381)이 격자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즉, 성형절단체(380) 상측에 통과홈(381)이 격자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사출성형물의 형태 및 규격에 관계없이 절단공정이 이루어져 소규모 사출성형 사업장의 특성상 다품종으로 생산되는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것은 물론 절단공정이 이루어지는 사출성형물이 레일체(320)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330), 이동레일(330)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340), 연결프레임(340)에 고정되는 성형절단체(380)를 통해 가공홈(135)으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직접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지 않아 안전사고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이동레일(330), 연결프레임(340), 성형절단체(380)가 각각 볼트체결되어 고정되지만 이는 하나의 방식일 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방향의 작업대(130)에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눈금(400)이 형성됨과 아울러이동판(270)의 일측하부로 눈금(400)까지 연장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식별판(500)이 형성된다.
즉, 이동스크류(280)의 회전을 통하여 이동판(270)이 이동되면 식별판도 함게 이동되어 눈금으로 하여금 식별판의 이동거리를 가늠할 수 있어 절단날(245)의 이동거리를 보다 원활하게 식별하여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및 런너의 절단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30)의 상측으로 파라핀 85 ~ 88중량%, 폴리스티렌 12 ~ 15중량%가 교반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0.5 ~ 1㎜의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파라핀은 무색 무취의 고체로 양초, 연고, 좌약, 화장품 등의 기제로도 이용될 만큼 매끄러워 작업대(130)에 코팅층을 이루게 되면 이동스크류(280)의 회전에 의해 작업대(130) 상에서 이동판(270)과 작동판(210)이 이동될 때 작업대(130)와 식별판(500)과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줄여주어 작동이 원활하면서도 서로 마찰되는 부분의 손상 또한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코팅층에 폴리스티렌 12 ~ 15중량%가 혼합되어 사용하는 것은, 파라핀의 다소 낮은 녹는 점에 의해 절단공정중에 발생되는 열기로 인해 코팅층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코팅층에 일정범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중에 무색 투명하면서도 가공이 쉬운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한편, 코팅층을 0.5 ~ 1㎜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은, 0.5㎜ 미만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면 두께가 너무 얇아 식별판(500)의 이동과정에서 코팅층이 탈락될 수 있으며, 1㎜을 초과하여 형성되면 재료가 과다사용되어 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대(130)에 형성된 눈금(400)이 외부로 투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어려움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100 : 본체
110 : 지지대 130 : 작업대 131 : 개방홈
133 : 도입홈 135 : 가공홈
200 : 절단체
210 : 작동판 220 : 안착판 230 : 동력모터
235 : 벨트풀리 240 : 회전축 245 : 절단날
250 : 제1고정판 255 : 제2고정판 260 : 가이드봉
270 : 이동판 271 : 나사공 280 : 이동스크류
300 : 이동체
310 : 가이드프레임 311 : 인입홈 320 : 레일체
330 : 이동레일 340 : 연결프레임 350 : 인접판
360 : 인입볼트 370 : 고정봉 380 : 성형절단체
381 : 통과홈
400 : 눈금 500 : 식별판

Claims (3)

  1.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으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면으로 개방홈(131)이 형성되고, 개방홈(131)이 형성되는 상측 중앙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홈(133)과 도입홈(133)의 단부에 도입홈(133)보다 확장된 형태의 가공홈(135)이 형성되는 작업대(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상기 가공홈(135)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체(200);
    상기 도입홈(1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출성형물을 안착시켜 가공홈(135)으로 사출성형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300);가 포함되며,
    상기 절단체(200)는 작업대(130)에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판의 형태인 작동판(210)과,
    상기 이격된 작동판(2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안착판(220)과,
    상기 안착판(220)에 설치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230) 및 상기 동력모터(2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풀리(235)와,
    상기 작동판(210)에 관통되며, 일측은 벨트풀리(235)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타측은 가공홈(135)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40) 및 상기 회전축(2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는 절단날(245)과,
    상기 가공홈(135)의 옆에 설치되며 회전축(240)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고정판(250) 및 상기 제1고정판(250)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고정판(255)과,
    상기 제1, 2고정판(250, 255) 사이에 설치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동판(210)에 관통되는 가이드봉(260)과,
    상기 작동판(210)과 볼트체결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작동판(210)에서 더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에 나사공(271)이 형성되는 이동판(270)과,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270)의 나사공(271)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노브가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판(270)을 좌, 우이동시켜 이동판(270)에 볼트체결된 작동판(210)도 가이드봉(26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좌, 우이동되고, 작동판(210)의 좌, 우이동에 따라 회전축(240) 및 절단날(245)도 좌,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28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체(300)는 개방홈(131)의 전면에서 가공홈(135)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인입홈(311)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상측에 가이드프레임(3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프레임(310)의 너비 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레일체(320)와,
    하측면이 상기 레일체(320)의 상측을 수용하여 레일체(320)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330)과,
    상기 이동레일(330)의 상부에 안착되며, 안착된 양면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양 옆으로 절곡되는 연결프레임(340)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에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310)과 인접하는 인접판(350)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절곡된 양면과 인접판(350)에 체결되며, 선단이 가이드프레임(310)의 인입홈(311)에 인입되는 인입볼트(360)와,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하부와 인접판(350)의 하부에 관통되는 고정봉(370) 과,
    상기 연결프레임(340)의 상부로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사출성형물이 안착되고, 안착된 사출성형물의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절단하도록 절단날(245)의 일부가 통과되는 통과홈(381)이 격자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성형절단체(3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방향의 작업대(130)에 이동판(270)이 이동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눈금(40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270)의 일측하부로 눈금(400)까지 연장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식별판(500)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130)의 상측으로 파라핀 85 ~ 88중량%, 폴리스티렌 12 ~ 15중량%가 교반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두께 0.5 ~ 1㎜의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KR1020200023350A 2020-02-26 2020-02-26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KR102300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0A KR102300114B1 (ko) 2020-02-26 2020-02-26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0A KR102300114B1 (ko) 2020-02-26 2020-02-26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86A KR20210108586A (ko) 2021-09-03
KR102300114B1 true KR102300114B1 (ko) 2021-09-07

Family

ID=7778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50A KR102300114B1 (ko) 2020-02-26 2020-02-26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35Y1 (ko) * 2004-02-20 2004-07-09 정재은 휴대폰 케이스용 사이드 절단기
KR100982558B1 (ko) 2010-03-16 2010-09-15 신승철 컨베이어 빔 구조
KR101178928B1 (ko) 2012-04-03 2012-09-04 주식회사 쓰리텍 카메라 모듈용 렌즈 게이트 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636B1 (ko) * 1991-02-11 1999-05-15 안시환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장치
JPH06184924A (ja) * 1992-12-18 1994-07-05 Suminoe Textile Co Ltd 布帛切断方法及び布帛切断装置
KR100625876B1 (ko) * 2004-05-14 2006-09-20 권춘광 렌즈 게이트 커팅장치
JP4496495B2 (ja) * 2006-08-25 2010-07-07 ツバキ山久チエイン株式会社 コンベヤ用走行フレーム装置
KR101303942B1 (ko) 2011-04-14 2013-09-05 나라엠앤디(주) 사출금형의 게이트 커팅장치
KR101535400B1 (ko) 2015-01-23 2015-08-11 주식회사 헌트피앤아이 사출물 자동 절단장치
KR101673207B1 (ko) 2015-03-31 2016-11-07 김옥준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블록 및 게이트 컷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35Y1 (ko) * 2004-02-20 2004-07-09 정재은 휴대폰 케이스용 사이드 절단기
KR100982558B1 (ko) 2010-03-16 2010-09-15 신승철 컨베이어 빔 구조
KR101178928B1 (ko) 2012-04-03 2012-09-04 주식회사 쓰리텍 카메라 모듈용 렌즈 게이트 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86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64174B (zh) 一种钢板切割圆锯床
KR20170064659A (ko) 와이어의 캐스팅 성형 걸림구 형성장치
KR102300114B1 (ko) 사출성형물의 절단장치
KR101987979B1 (ko) 버어 제거 툴
US2821064A (en)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feeding a chain to a sprue trimmer
CN115871142B (zh) 一种用于塑料瓶盖注塑生产的修整设备
KR101782325B1 (ko) 주조 성형품용 절단장치
KR101037482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기
CN210501232U (zh) 一种车灯注塑制品去浇口的装置
CN218314861U (zh) 一种具有溢出修边结构的注塑机
CN111571285A (zh) 一种模具加工用定位板上料开孔一体化设备
CN218803487U (zh) 密封圈自动修边装置和生产线
CN111299696A (zh) 一种一机多用的圆盘锯床
CN103273645A (zh) 软管压纹切断机
CN212123982U (zh) 一种汽车手柄注塑件的修边治具
CN110978349B (zh) 一种多规格o型密封圈自动修边机
KR101001647B1 (ko) 사출성형품의 이송 및 절단장치
CN113334709B (zh) 一种全自动注塑管接头浇口流道修剪机
JP5489288B2 (ja) 樹脂成形品バリ取り装置
CN220094750U (zh) 一种注塑件夹具
CN205467125U (zh) 旋转式自动切水口装置
CN212266364U (zh) 一种塑包铁废料分断装置
CN217318201U (zh) 一种高精度自动斜面切割装置
CN219234504U (zh) 一种全自动多断切边修边机
CA1314156C (en) Apparatus for removing babbitts from kn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