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01B1 -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 Google Patents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01B1
KR102300001B1 KR1020190047926A KR20190047926A KR102300001B1 KR 102300001 B1 KR102300001 B1 KR 102300001B1 KR 1020190047926 A KR1020190047926 A KR 1020190047926A KR 20190047926 A KR20190047926 A KR 20190047926A KR 102300001 B1 KR102300001 B1 KR 10230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food
onion
garlic
food manufactur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779A (ko
Inventor
공병천
민중식
박경리
윤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to KR102019004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5/00Butter; Butter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5/12Butter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4A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6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7Locust bean, caro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86Xant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8Starc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36Treha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주재료, 부재료 및 유지류의 혼합물을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개호식 식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MANUFACTURING METHOD OF CARE FOOD AND CARE FOOD}
본 기재는 연하곤란 환자들 및 노인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개호식 식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4.3%로 고령화 사회로 매우 빠른 속도로 진입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우리나라는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하여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노인이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더불어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의 건강은 영양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리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식품 선택에 제한이 생기게 되며, 더 나아가 영양불량이 초래된다. 노화에 의해 저작, 소화, 흡수 등의 기능 저하가 일어나며 치아의 부실 또는 손실은 음식물의 저작에 영향을 미쳐 영양 불량이나 편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후각과 미각의 기능이 감소하여 맛을 즐기지 못해 음식의 섭취가 감소하고 영양흡수와 영양소 사용이 훼손되어 평균 인구와 비교하였을 때 영양부족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게 된다.
노인에게 원기를 회복시킬 수 있는 음식과 영양 제공, 먹는 것에 대한 심리적인 요소를 고려한 건강한 영양 상태는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노인의 균형 잡힌 영양섭취는 노인의 삶을 보다 건강하게 누릴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다. 따라서 노인들이 건강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균형 잡힌 노인식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음식을 먹는 행위는 인생 최대의 즐거움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먹는 행위에 관여하는 기능에 장애가 있으면 먹는 즐거움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저영양 상태에 직면하게 되며 생명에도 위해를 미칠 수 있다. 연하, 저작 장애는 다양한 질환으로 생기지만 고령도 큰 원인의 하나이다. 고령에 따라 연하, 저작, 소화 흡수 등의 신체 기능이 저하되어 가며 앞으로 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하, 저작 등을 배려한 노인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고령자 특유의 문제는 다양하나 특히 저작과 연하 기능 저하로 인한 섭취 장애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사회에 있어 식이에 관한 중요한 문제로 연하, 저작 기능의 저하와 저영양상태 (PEM)를 들 수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타액분비기능의 저하, 인후와 입 주변의 근력저하, 연하반사기능의 저하, 또는 뇌혈관질환 등에 의해 연하, 저작 기능(씹는 힘 , 삼키는 힘)이 저하된다. 이러한 생리 기능 저하 및 정신적 요인 등에 의해 저 영양 상태에 빠지게 된다.
노인의 저작 능력 저하로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제한되며, 연하 기능 저하로 음식이 식도에서 위장까지가 아닌 기관지에서 폐로 이동하는 연하장애가 초래된다. 물이나 차 등의 점성이 없는 음식은 오히려 연하장애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저작을 용이하게 하고 연하장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겔화제(gelling agent)나 증점제를 첨가한 다양한 연하, 저작 곤란자용 개호식 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연하, 저작 곤란식은 안전, 영양, 기호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무엇보다도 오염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식품이어야 한다. 나아가서 영양면, 기호면에서도 만족도가 높은 식품 개발과 거기에 더하여 가격면, 유통면, 간편성을 배려한 연하, 저작 곤란식이 앞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노인의 식품 섭취량을 증진시키고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일반식과 같이 가능하도록 미각과 기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고기, 생선, 채소의 연하, 저작 곤란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 구현예는 연하곤란을 겪는 고령자에게 영영밀도가 높은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버섯, 간장, 양배추, 대파, 마, 된장, 생강, 미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일 구현예는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참깨, 참기름, 호박, 식용유, 소금, 간장, 양배추, 그린빈, 대파, 새우젓, 두부, 두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꿀리에 상기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꿀리를 포장하여 냉동보관한 후, 이를 다시 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동하는 단계 이후,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해동 후 추가 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재료는 유청단백질, 식이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열은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잔탄검, 덱스트린, 카라기난, 로커스트 콩검, 한천, 변성전분, 트레할로스 및 식이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상기 겔화제 총량에 대해 상기 잔탄검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덱스트린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카라기난 10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로커스트 콩검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한천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변성전분 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트레할로스 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상기 식이섬유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100 kg 내지 1000 k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경우,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 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 오일, 참기름,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소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버섯 및 대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돼지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된장 및 양배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닭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양배추, 마늘, 생강, 대파 및 간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흰살 생선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 마늘, 생강, 미림 및 간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애호박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및 참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당근이고, 상기 부재료는 호박, 양파, 마늘, 소금 및 참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컬리플라워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배추, 마늘 및 양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버섯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아스파라거스이고, 상기 부재료는 그린빈,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파프리카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늘 및 참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콩이고, 상기 부재료는 두부, 두유, 간장 및 참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꿀리,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는 각각 60 중량% 내지 8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지류는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꿀리,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는 각각 60 중량% 내지 70 중량%, 10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극세분쇄기는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 MASUKO사의SuperMasscolloider(Ultra Fine Friction Grinding Machine, MKZA15-40J) 또는 STEPHAN사의 Univwesal Machines, UM 200)일 수 있다.
상기 극세분쇄기로 마쇄하는 단계는 100 rpm 내지 3000 rpm의 회전속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호식 식품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측면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개호식 식품과 달리, 제조 시 분쇄공정 전에 실시하는 냉동공정이 불요하여 보다 생산적이고, 고온에서도 조리가 가능해 따뜻한 상태로 즉석에서 음식의 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대량 생산 공정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꿀리라 함은, 마쇄된 상태의 반제품을 의미하며, 퓨레와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다.
일 구현예에 따른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버섯, 간장, 양배추, 대파, 마, 된장, 생강, 미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은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참깨, 참기름, 호박, 식용유, 소금, 간장, 양배추, 그린빈, 대파, 새우젓, 두부, 두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간은 신체적 노쇠(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력감소, 신체활동 감소, 에너지저하 등의 여러가지 증상이 발생한다. 근력감소 및 기력 저하로 인해 입의 저작 기능의 약화, 삼키는 연하 기능의 쇠퇴도 동반되게 된다. 아무런 질병없이 정상적인 노쇠(노화)만 진행된다면 특별한 음식의 섭취가 불요하지만, 수술이나 질병 등으로 인해 저작작용 및 연하작용이 약화되면, 연하용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알츠하이머와 같은 노인성 치매 발병 시에는 저작 및 연하기능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연하용이식이 필수적이다. 저작작용은 일부 임플란트 시술 등을 통해 어느정도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연하작용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음식물을 아무리 잘게 갈고, 부드럽게 만들어도, 연하곤란을 겪는 환자나 노인들에게는 특별하게 적용되어야 하는 연하곤란식의 정의는, 일반적인 믹서기 등으로 곱게 갈려진 음식물과는 그 정의가 완전히 달라야 한다.
현재의 기술수준에서는 단순히 믹서나 파코젯으로 음식물을 잘게 갈고, 여기에 젤라틴을 넣어 고형화한 것이 전부다. 파코젯은 곱게 갈 수는 있지만, 파코젯에 적용되는 음식물은, 24시간 정도 완전 냉동된 상태의 것이어야 하며, 따라서 매우 비생산적이다. 또한, 파코젯으로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는 양이 500g 정도인데, 이는 일반 가정에서나 실현할 수 있는 정도의 양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량생산 공정에 실제 적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믹서로 갈아서 굳힌 제품은 파코젯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양(1kg 내지 2kg)을 얼리지 않고 갈 수 있지만, 믹서라는 주방 장비 특성 상 물과 음식물을 1:1 비율로 넣지 않으면 음식물이 곱게 갈리지 않는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젤라틴는 25℃ 이상의 온도에서만 녹고, 한번 녹은 젤라틴은 10℃ 이하의 온도에서만 다시 굳기 때문에, 젤라틴을 첨가하여 고형화시킨 음식물은 차가운 상태로 제공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고온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젤라틴을 첨가하여 고형화시킨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경우에는 젤라틴의 물성이 변형됨으로 인해 저장안정성이 저하되어, 궁극적으로 음식물의 장기 보존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00kg 내지 1000kg의 과량의 재료를 얼리지 않고 그대로 극쇄분쇄할수 있으며,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고형화시킴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조리된 고형의 음식물을 다시 고온에서 조리하여, 언제든지 따뜻한 상태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주재료를 얼리지 않고 가열한(볶은) 후, 즉시 극세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하는데,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중간에 얼리는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가열 즉시 분쇄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식품의 기호도(맛, 외관 등)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재료를 상기 부재료 및 유지류와 함께 볶은 후, 겔화제 및 유지류를 첨가하고 가열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식품의 저장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단백질류, 즉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주재료와 함께 가열되는 부재료는 마늘, 양파, 버섯, 간장, 양배추, 대파, 마, 된장, 생강, 미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늘, 양파, 버섯, 간장, 양배추, 대파, 마, 된장, 생강, 미림 이외의 다른 재료, 예컨대 소금, 새우젓, 두부 등이 상기 분쇄된 단백질류의 주재료에 첨가될 경우, 추후 겔화제를 첨가하더라도 고형화가 쉽게 이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기호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돼지고기는 돈등심일 수 있다.
상기 닭고기는 닭안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재료가 단백질류, 즉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주재료와 함께 가열되는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재료가 단백질류가 아닌 채소류, 버섯류 또는 콩류, 즉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분쇄된 주재료와 함께 넣고 가열되는 부재료는 마늘, 양파, 참깨, 참기름, 호박, 식용유, 소금, 간장, 양배추, 그린빈, 대파, 새우젓, 두부, 두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늘, 양파, 참깨, 참기름, 호박, 식용유, 소금, 간장, 양배추, 그린빈, 대파, 새우젓, 두부, 두유 이외의 다른 재료, 예컨대 마 등이 상기 분쇄된 채소류, 버섯류 또는 콩류의 주재료에 첨가될 경우, 추후 겔화제를 첨가하더라도 고형화가 쉽게 이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기호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주재료가 단백질류가 아닌 채소류, 버섯류 또는 콩류, 즉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주재료와 함께 가열되는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외에 버터나 생크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재료가 버섯이나 아스파라거스인 경우, 상기 유지류는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버섯이나 아스파라거스인데, 상기 유지류로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등을 사용할 경우, 최종 제품의 기호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호식 식품은, 상기 개호식 식품 총량에 대해 상기 꿀리,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각각 60 중량% 내지 8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지류는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호식 식품은, 상기개호식 식품 총량에 대해 상기 꿀리, 유지류, 겔화제 및 정제수를 각각 60 중량% 내지 70 중량%, 10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섯은 양송이 버섯, 새송이 버섯, 표고 버섯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쇄된 주재료에 상기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고 가열한 후, 겔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마쇄된 주재료, 부재료 및 유지류의 가열 혼합물을 포장하여 냉동보관한 후, 이를 다시 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가열 혼합물을 포장하여 냉동보관할 경우, 중간 제조단계에 있는 가열 혼합물에는 겔화제가 첨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냉동하였다가 다시 해동하더라도 상기 혼합물의 물성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냉동보관 후 이를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킨 후, 다시 이를 해동하여 최종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개호식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간 제조단계의 가열 혼합물을 고형화시키기 위해 젤라틴을 첨가하는 데, 보통 마쇄 단계에서부터 상기 젤라틴 첨가 공정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한번에 동일 장소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완제품인 개호식 식품의 이송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로 인해, 젤라틴의 물성이 변하고, 상기 젤라틴의 물성 변화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개호식 식품의 물성 변화를 초래하여, 제품의 저장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형화를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를 사용하고, 나아가 상기 겔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중간 제조단계에 있는 가열 혼합물을 냉동시켜, 물성변화없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제조되는 개호식 식품의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해동하는 단계 이후, 겔화제 등을 첨가하기 전에, 상기 해동 후 추가 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재료는 유청단백질, 식이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저장안정성 및 기호도를 향상시키 수 있다.
상기 꿀리를 가열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 인해 꿀리의 살균이 가능하다.
상기 겔화제는 잔탄검, 덱스트린, 카라기난, 로커스트 콩검, 한천, 변성전분, 트레할로스 및 식이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하 곤란 환자나 노인들의 경우, 식품의 절대적인 섭취량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저영양, 수분 섭취량 부족에 의한 탈수, 식사와 타액 등이 폐로 들어가는 것에 의한 오염성 폐렴 등이 또다른 문제로 불거지고 있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섭취해야 하나, 물과 같이 유동성이 놓은 액체는 연하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있어서는 인두의 통과 속도가 높기 때문에 제대로 연하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점도증진제로 액체에 점도를 만들어 인두의 통과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수분보급의 수단으로 젤리 상태로 만드는 데, 이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도증진제가 바로 젤라틴이다. 그러나, 젤라틴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25℃ 이상의 온도에서는 녹고, 한번 녹은 후에는 10℃ 이하의 온도에서 다시 굳어버린다. 즉, 젤라틴은 온도변화에 따라 그 물성이 변하는 데, 이는 상기 젤라틴을 점도증진제로 포함하는 식품의 물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젤라틴 함유 식품은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당연히 온도가 변하는 환경에 놓일 수 밖에 없는데, 상기 온도 변화에 따라 젤라틴의 물성이 변하게 되고, 이는 식품의 물성에도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최종 제품의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젤라틴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조성의 겔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젤라틴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제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개호식 식품은, 마치 점성이 없는 우유와 유사한 점성을 가질 수 있어, 연하 곤란 환자나 노인들이 이를 섭취하는 데 전혀 무리가 없다.
예컨대, 상기 겔화제는 상기 겔화제 총량에 대해 상기 잔탄검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덱스트린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카라기난 10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로커스트 콩검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한천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변성전분 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트레할로스 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상기 식이섬유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 내 구성성분의 함량이 상기와 같은 함량범위를 가질 경우, 점성이 없는 우유와 유사한 점성을 가지는 개호식 식품의 점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고, 아주 말랑말랑한 젤리 수준의 점도만 가지도록 개호식 식품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는 시트러스 파이버일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100 kg 내지 1000 k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과량의 주재료를 사용해도 얼마든지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장에서의 대량 생산 공정에도 적합하다. 즉, 대량 생산 공정 라인에서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개호식 식품은 모두 동일한 품질을 가진 상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주재료가 소고기이면,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버섯 및 대파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돼지고기이면,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된장 및 양배추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닭고기이면, 상기 부재료는 양파, 양배추, 마늘, 생강, 대파 및 간장을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흰살 생선이면,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 마늘, 생강, 미림 및 간장을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흰살 생선은 도미, 농어, 넙치, 가자미, 대구, 명태, 복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재료가 애호박이면,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및 참깨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당근이면, 상기 부재료는 호박, 양파, 마늘, 소금 및 참깨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컬리플라워이면, 상기 부재료는 양배추, 마늘 및 양파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버섯이면,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아스파라거스이면, 상기 부재료는 그린빈,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파프리카이면,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늘 및 참깨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콩이면, 상기 부재료는 두부, 두유, 간장 및 참깨를 포함해야, 기호도 및 저장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개호식 식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극세분쇄기는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 MASUKO사의SuperMasscolloider(Ultra Fine Friction Grinding Machine, MKZA15-40J) 또는 STEPHAN사의 Univwesal Machines, UM 200)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극세분쇄기로 시중의 믹서나 파코젯을 사용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상기 극세분쇄기로 마쇄하는 단계는 100 rpm 내지 3000 rpm의 회전속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호식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겔화제의 제조
잔탄검 23 중량%, 덱스트린 22 중량%, 카라기난 18 중량%, 로커스트 콩검 11 중량%, 한천 11 중량%, 변성전분 5 중량%, 트레할로스 5 중량% 및 식이섬유 5 중량%를 혼합하여 겔화제를 제조하였다.
개호식 식품의 제조
실시예 1: 소불고기 개호식 식품
소불고기에 불고기 양념, 양파, 버섯, 대파, 마늘 및 옥수수유를 첨가한 후, 9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소불고기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불고기 꿀리에 옥수수유,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소불고기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소불고기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원재료명 함량(kg)
소불고기 꿀리 800
옥수수유 30
겔화제 20
정제수 400
실시예 2: 돼지고기 개호식 식품
돼지고기에 불고기 양념, 양파, 양배추, 된장, 마늘 및 참기름을 첨가한 후, 10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돼지고기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돼지고기 꿀리에 참기름,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돼지고기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돼지고기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원재료 함량(Kg)
돼지고기 꿀리 700
참기름 30
겔화제 20
정제수 400
실시예 3: 닭고기 개호식 식품
닭안심에 양파, 양배추, 마늘, 생강, 간장, 대파 및 참기름을 첨가한 후, 8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닭고기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닭고기 꿀리에 참기름,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닭고기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닭고기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원재료 함량(Kg)
닭고기 꿀리 800
겔화제 20
참기름 30
정제수 300
실시예 4: 흰살생선 개호식 식품
흰살생선에 양파, 마, 마늘, 생강, 간장, 미림 및 참기름을 첨가한 후, 9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흰살생선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흰살생선 꿀리에 참기름,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흰살생선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흰살생선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원재료 함량(Kg)
흰살생선 꿀리 700
겔화제 20
참기름 30
정제수 400
실시예 5: 애호박 개호식 식품
애호박에 양파, 마늘, 참깨 및 참기름을 첨가한 후, 85℃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애호박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애호박 꿀리에 참기름,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애호박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애호박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원재료 함량(Kg)
애호박 꿀리 800
참기름 30
겔화제 30
정제수 300
실시예 6: 당근 개호식 식품
당근에 호박, 양파, 마늘, 소금, 참깨 및 참기름을 첨가한 후, 85℃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당근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당근 꿀리에 참기름,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당근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당근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원재료 함량(Kg)
당근 꿀리 800
참기름 30
겔화제 30
정제수 200
실시예 7: 버섯 개호식 식품
버섯(양송이 버섯, 새송이 버섯 및 표고 버섯)에 양파, 마늘, 감자, 소금 및 버터를 첨가한 후, 85℃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버섯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버섯 꿀리에 생크림,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버섯 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버섯 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원재료 함량(Kg)
버섯 꿀리 700
생크림 200
겔화제 20
정제수 300
실시예 8: 아스파라거스 개호식 식품
아스파라거스에 그린빈, 마늘, 양파, 감자, 소금 및 버터를 첨가한 후, 9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볶은 후, 바로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으로 상기 볶은 혼합물을 마쇄하여 아스파라거스 꿀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스파라거스꿀리에 생크림, 제조예 1의 겔화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85℃ 이상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 간 가열한 후 포장하여, 아스파라거스개호식 식품을 제조하였다. 아스파라거스개호식 식품의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원재료 함량(Kg)
아스파라거스 꿀리 700
생크림 200
겔화제 20
정제수 300
실시예 9
소불고기에 불고기 양념, 양파, 버섯, 대파, 마늘 및 옥수수유를 첨가한 후, 75℃의 온도에서 30분 정도 볶은 후, 24시간 동안 완전 냉동시킨 후, 이를 극세분쇄기로 마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10
겔화제로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평가 1)
개호식 식품의 조직감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개호식 식품의 텍스처(경도, 부착성)을 texturometer(Instron 1000)로 UDF(universal design food) 측정(Compression test)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실린더(probe) 지름 2.0 cm, Crosshead speed 10 mm/s, Load cell 50 N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개호식 식품의 점도를 Brookfield viscometer(spindle: No. 3 / speed: 100rpm / Mode: 1분 동안 교반 후 측정)로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표 1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소불고기) 실시예 2(돼지고기)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20℃ 18928±564 3.09±0.78 3 18664±735 3.16±0.44 3
(- : 텍스처, 점도 측정 불가) (p <0.05)
실시예 3(닭안심) 실시예 4 (흰살생선)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20℃ 21974±618 1.97±0.79 2 12209±329 1.97±0.39 3
(- : 텍스처, 점도 측정 불가) (p <0.05)
실시예 5 (애호박) 실시예 6 (당근)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20℃ 7550±627 1.05±0.32 3 9699±615 1.39±0.46 3
(p <0.05)
실시예 7(버섯) 실시예 8(아스파라거스)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20℃ 22944±828 0.50±0.17 2 16728±527 0.47±0.23 3
(- : 텍스처, 점도 측정 불가) (p <0.05)
실시예 9 실시예 10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Hardness (N/m2) Adhesiveness (N•mm) UDF단계(universal design food)
20℃ 17.32±0.13 5.75±1.16 - 9.25±1.22 4.47±0.12 -
(- : 텍스처, 점도 측정 불가) (p <0.05)
상기 표 9 내지 표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개호식 식품은 경도 및 부착성이 낮아, 연하곤란을 겪는 환자들에게 최적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개호식 식품은 20℃에서 경도 및 부착성이 매우 낮게 측정되는 바,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개호식 식품은 따뜻한 상태로도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
관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죽을 관능 평가(sensory test)를 실시하였다. 즉, 신세계푸드 올반랩 연구소 내 패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개호식 식품을 시식하게 한 후 9점 척도법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 항목은 목넘김 정도, 식감 텍스처 선호도, 점도 선호도, 전반적인 맛 선호도 및 외관 선호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목넘김정도 9.1 9.1 9.0 9.3 9.3 9.3 9.4 9.3 6.1 7.5
식감 텍스처 선호도 9.2 9.1 9.2 9.2 9.2 9.1 9.2 9.1 6.2 7.4
점도 선호도 9.3 9.3 9.2 9.4 9.3 9.1 9.1 9.1 6.2 7.5
전반적인 맛 선호도 9.8 9.8 9.7 9.9 9.5 9.6 9.5 9.6 6.2 7.2
외관 선호도 9.0 9.0 8.9 9.3 9.5 9.5 9.5 9.5 6.0 7.1
(1점 = 매우 나쁘다, 9점 = 매우 좋다)
상기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 따른 개호식 식품은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 따른 개호식 식품보다 관능 적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꿀리 가열 조건이나 겔화제의 종류가 개호식 식품 관능 적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7)

  1.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흰살 생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버섯, 간장, 양배추, 대파, 마, 된장, 생강, 미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잔탄검, 덱스트린, 카라기난, 로커스트 콩검, 한천, 변성전분, 트레할로스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 애호박, 당근, 컬리플라워, 버섯, 아스파라거스, 무, 파프리카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료에, 마늘, 양파, 참깨, 참기름, 호박, 식용유, 소금, 간장, 양배추, 그린빈, 대파, 새우젓, 두부, 두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재료 및 유지류를 첨가하여 가열한 후, 즉시 극세분쇄기로 마쇄하여 꿀리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꿀리에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포장 후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잔탄검, 덱스트린, 카라기난, 로커스트 콩검, 한천, 변성전분, 트레할로스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꿀리에 상기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꿀리를 포장하여 냉동보관한 후, 이를 다시 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해동하는 단계 이후, 상기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해동 후 추가 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추가 재료는 유청단백질, 식이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겔화제는 상기 겔화제 총량에 대해 상기 잔탄검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덱스트린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카라기난 10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로커스트 콩검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한천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변성전분 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트레할로스 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상기 식이섬유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100 kg 내지 1000 kg의 중량을 가지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 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1. 제2항에서,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 오일, 참기름,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2. 제1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소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버섯 및 대파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3. 제1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돼지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된장 및 양배추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4. 제1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닭고기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양배추, 마늘, 생강, 대파 및 간장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5. 제1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흰살 생선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 마늘, 생강, 미림 및 간장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6.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애호박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및 참깨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7.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당근이고,
    상기 부재료는 호박, 양파, 마늘, 소금 및 참깨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8.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컬리플라워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배추, 마늘 및 양파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19.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버섯이고,
    상기 부재료는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0.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아스파라거스이고,
    상기 부재료는 그린빈, 마늘, 양파, 감자 및 소금을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1.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파프리카이고,
    상기 부재료는 양파, 마늘 및 참깨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2. 제2항에서,
    상기 주재료는 콩이고,
    상기 부재료는 두부, 두유, 간장 및 참깨를 포함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유지류는 옥수수유, 카놀라유, MCT오일, 참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꿀리,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는 각각 60 중량% 내지 8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4. 제2항에서,
    상기 유지류는 버터, 생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꿀리, 유지류, 젤라틴이 아닌 겔화제 및 정제수는 각각 60 중량% 내지 70 중량%, 10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잔부량으로 포함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극세분쇄기는 ROBOQBO사의 Universal Processing System(Qbo 120-4), MASUKO사의SuperMasscolloider(Ultra Fine Friction Grinding Machine, MKZA15-40J) 또는 STEPHAN사의 Univwesal Machines, UM 200)인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극세분쇄기로 마쇄하는 단계는 100 rpm 내지 3000 rpm의 회전속도에서 실시되는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호식 식품.
KR1020190047926A 2019-04-24 2019-04-24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KR10230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26A KR102300001B1 (ko) 2019-04-24 2019-04-24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26A KR102300001B1 (ko) 2019-04-24 2019-04-24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79A KR20200125779A (ko) 2020-11-05
KR102300001B1 true KR102300001B1 (ko) 2021-09-10

Family

ID=7324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926A KR102300001B1 (ko) 2019-04-24 2019-04-24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679A (ko)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포장박스 및 이에 수납된 전지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70B1 (ko) 2002-10-30 2003-09-19 충청북도 연하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0181B1 (ko) * 2013-07-04 2014-12-0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식이용 가자미 생선구이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002B1 (ko) * 2009-08-26 2017-07-1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연하·저작곤란자를 위한 섭식보조용 유지 조성물 및 연하·저작곤란자용 식품
KR101558447B1 (ko) * 2013-12-18 2015-10-07 주식회사 복지유니온 누룽지 또는 건조밥 및 식품 건재료를 분쇄하여 제조한 겔 타입 갈은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70B1 (ko) 2002-10-30 2003-09-19 충청북도 연하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0181B1 (ko) * 2013-07-04 2014-12-0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식이용 가자미 생선구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79A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746B1 (ko) 발라먹는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0781769B1 (ko) 두부커틀릿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173518A (zh) 一种糯米低脂冰淇淋及其制备方法
KR102300001B1 (ko) 개호식 식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호식 식품
KR101914977B1 (ko) 뼈해장국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뼈해장국
KR102131939B1 (ko) 소시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시지
KR101933604B1 (ko) 건강음료용 문스무디 및 그 제조방법
CN106858368B (zh) 一种家乡肠及其制备方法
KR102271146B1 (ko) 치즈 떡갈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805134A (zh) 一种酱驴肉
CN111109425A (zh) 一种生姜味雪糕及其制作方法
JP3184773B2 (ja) 豆腐の製造方法
KR101669869B1 (ko) 보리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47964B1 (ko) 저작 및 연하가 용이한 고령식 육가공식품의 제조방법
CN103494049A (zh) 一种复合香蕉酱及其制备方法
KR101969154B1 (ko) 연어스프 제조방법
KR102589390B1 (ko) 유부 초밥용 닭가슴살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유부 초밥 및 그 제조방법
CN107373318A (zh) 一种羊肉臊子焖搅团及其制作方法
KR100670742B1 (ko) 콩빈대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9105B1 (ko) 치즈죽
KR20110122968A (ko) 어육단백질을 함유한 기능성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7725B1 (ko)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KR100710414B1 (ko) 두부도넛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295969A (ja) 密封容器詰ゼリー状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密封容器詰ゼリー状食品を用いたデザート食品
Banu et al.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value added cottage cheese rec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