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25B1 -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 Google Patents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25B1
KR101877725B1 KR1020170167236A KR20170167236A KR101877725B1 KR 101877725 B1 KR101877725 B1 KR 101877725B1 KR 1020170167236 A KR1020170167236 A KR 1020170167236A KR 20170167236 A KR20170167236 A KR 20170167236A KR 101877725 B1 KR101877725 B1 KR 10187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brown rice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호
Original Assignee
조인바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바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바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현미를 이용하여 밥바를 제조하되 '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리태와 함께 취반하여 영양적 균형을 유지한 식사대용 식품을 제공하고,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도록 당류를 감소시키면서 천연재료로부터 감칠맛을 증대시켜 기호성을 향상시킨 밥바의 제조방법 및 된 밥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RICE BAR USING BROWN R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코트리에놀, 가바(GABA, gamma-Aminobutyric acid) 등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현미를 이용하여 밥바를 제조함으로써, 식감, 향 및 소비자의 기호도를 증진시키고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식품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현미밥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밥바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을 살고있는 현대인들이 식사를 거르는 등 잘못된 식생활을 유지할 경우 영양부족, 영양과잉 및 잘못된 영양정보에 의한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기 쉽고, 이는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식품소비 양상도 크게 변화하여 편의식과 건강 지향적인 가공식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아침식사 대용식, 또는 스트레스가 많은 수험생들이 학습시간에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어린이 및 수험생의 간식 등 식사대용 및 다이어트식과 같은 간편성을 추구하는 식품 시장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간편성을 추구하는 식사 대용식으로는 일 예로 각종 곡물을 분쇄한 후 물을 타서 먹는 선식 형태가 있으나, 이는 별도의 용기에 물과 함께 혼합하는 과정이 요구되기에 불편함이 있고 또한 휴대성 및 간편성이 좋지 못하여 집 밖에서 섭취하기에는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휴대성 및 간편성을 추구하는 식사 대용식으로 최근에는 각종 곡물을 주재료로 제조된 시리얼바 내지 에너지바 타입의 식품형태가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01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824호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01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824호 등을 포함하여 기존에 유통되고 있는 시리얼바 내지 에너지바 타입의 식품형태는 기호성을 증대시키고자 다량의 당류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충치 및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바쁜 일상을 살고있는 현대인을 위하여 휴대성 및 간편성을 추구하는 식사 대용식을 제공하되, 당류를 줄이면서 천연재료로부터 감칠맛을 증대시키고, 인위적인 식품첨가물을 넣지 않아 영양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사대용 건강식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012호(2015.12.23), "시리얼 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시리얼 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824호(2016.12.20),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에너지바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현미와 서리태를 함유하고 화학조미료 내지 방부제 등의 식품첨가물을 포함되지 않은 영양적 균형을 유지한 식사대용 식품인 밥바를 제공하되,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도록 당류를 감소시키면서 천연재료로부터 감칠맛을 증대시켜 기호성을 향상시킨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밥바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밥바에 있어서,
상기 밥바는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현미찹쌀 37 내지 55 중량부, 서리태 10 내지 17 중량부, 제1부재료 15 내지 46 중량부 및 제2부재료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료는 돼지고기, 맛김치, 깐우엉채, 호두, 지리멸치, 아몬드, 깐감자, 깐양파, 닭가슴살, 무말랭이, 사과,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콩나물, 전지소고기, 깐대파, 무염김가루, 볶음참깨, 등심소고기, 깍두기, 열무김치, 오징어 및 꽈리고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료는 간장, 프락토올리고당, 참기름, 다진마늘, 깐대파, 흑후추, 판토텐산칼슘, 올리브유, 청양고추, 홍고추, 고추장, 고추가루, 볶음참깨, 다진 생강, 사과, 함초소금 및 멸치액젓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료는 제1부재료 전체 100 중량부 대비 돼지고기 25 내지 65 중량부, 맛김치 33 내지 71 중량부, 깐우엉채 65 내지 70 중량부, 호두 30 내지 35 중량부, 지리멸치 45 내지 55 중량부, 아몬드 20 내지 55 중량부, 깐감자 60 내지 70 중량부, 깐양파 30 내지 37 중량부, 닭가슴살 60 내지 70 중량부, 무말랭이 15 내지 22 중량부, 사과 1 내지 5 중량부, 도라지 18 내지 20 중량부, 시금치 20 내지 27 중량부, 고사리 25 내지 30 중량부, 콩나물 25 내지 30 중량부, 전지소고기 70 내지 75 중량부, 깐대파 25 내지 30 중량부, 무염김가루 80 내지 85 중량부, 볶음참깨 14 내지 17 중량부, 등심소고기 70 내지 77 중량부, 깍두기 24 내지 30 중량부, 열무김치 70 내지 80 중량부, 오징어 70 내지 80 중량부 및 꽈리고추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료는 제2부재료 100 중량부 대비 간장 10 내지 8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부, 참기름 3 내지 45 중량부, 다진마늘 3 내지 22 중량부, 깐대파 5 내지 12 중량부, 흑후추 0.2 내지 1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2 내지 2 중량부, 올리브유 2 내지 10 중량부, 청양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홍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고추장 20 내지 35 중량부, 고추가루 1 내지 7 중량부, 볶음참깨 0.5 내지 4 중량부, 다진 생강 0.3 내지 0.5 중량부, 사과 0.4 내지 1.5 중량부, 함초소금 3 내지 4 중량부 및 멸치액젓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현미찹쌀과 서리태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
상기 세척된 서리태를 분쇄하는 단계(S20);
상기 세척된 현미찹쌀에 물을 넣고 불려 물에 불린 현미찹쌀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와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S40);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50);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상기 S50 단계에서 혼합된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60); 및
혼합된 현미서리태밥을 성형틀에 담아 성형하는 단계(S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믹서기로 30 내지 50초 동안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S40 단계에서의 혼합은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를 2:1 내지 6:1의 중량비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50 단계에서 혼합은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15내지 42 중량부의 제1부재료와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5 중량부의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하는 것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밥바에 의하면, 현미와 서리태를 함유하여 충분한 영양소를 제공하고 휴대성 및 간편성을 갖는 식사대용 식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부재료 자체의 풍미를 그대로 느낄 수 있고 각종 영양소(당질, 지질, 단백직, 무기질 및 비타민 등)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어 다이어트용 식품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사대용 및 건강보조 식품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화학적이고 인위적인 당류를 줄이면서도 감칠맛은 증대시켜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방지하고 기호성은 향상시킨 식사대용 및 건강보조 식품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밥바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여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쌀은 벼의 열매인 나락(벼톨)의 겉껍질인 왕겨를 제거한 것이고, 이때 왕겨만을 제거한 것을 현미라고 한다.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단백질 7.4%, 지질(脂質) 3.0%, 당질 71.8%, 섬유 1.0%, 회분 1.3%, 비타민 B1은 100g 중 0.54mg으로 당질(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이나 지방은 많지 않다. 비타민 B1은 많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이나 미생물의 해가 적다. 또 현미는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하며 현미찹쌀 또한 그러하다.
또한 현미에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의 일종인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라는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바는 동물의 경우에는 뇌, 심장, 신장, 폐 등에서 발견되며 중추신경계 전제 신경전달물질 중 약 30%를 차지한다. 식물에서는 녹차, 배추 뿌리 등에서 많이 검출되며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서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가바는 혈압상승을 억제하고 뇌의 혈류 개선과 비만 방지, 시력증진, 항 불안, 항 경련 및 뇌기능 개선, 치매예방 등 다양한 생리기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며 정신 질환에 효능을 나타내며, 이러한 가바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현미를 브레인 푸드(brain food)라고도 한다. 특히 가바는 수험생을 위한 기능성 물질로서뿐만 아니라 폐경기나 갱년기 중에 발생되는 불면,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신경안정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각광을 받고 있는 기능성 물질이다.
또한 현미는 동맥경화나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리놀렌산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쌀눈이 붙어 있어 상기와 같이 우리 몸에 유용한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 섬유소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조리가 어렵고 부드럽게 씹히지 않아 식미가 거칠어 식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에 관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현미를 이용한 밥바는 밥바 100 중량부 대비 현미찹쌀 37 내지 55 중량부, 서리태 10 내지 17 중량부, 제1부재료 15 내지 46 중량부 및 제2부재료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부재료는 돼지고기, 맛김치, 깐우엉채, 호두, 지리멸치, 아몬드, 깐감자, 깐양파, 닭가슴살, 무말랭이, 사과,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콩나물, 전지소고기, 깐대파, 무염김가루, 볶음참깨, 등심소고기, 깍두기, 열무김치, 오징어 및 꽈리고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료는 제1부재료 전체 100 중량부 대비 돼지고기 25 내지 65 중량부, 맛김치 33 내지 71 중량부, 깐우엉채 65 내지 70 중량부, 호두 30 내지 35 중량부, 지리멸치 45 내지 55 중량부, 아몬드 20 내지 55 중량부, 깐감자 60 내지 70 중량부, 깐양파 30 내지 37 중량부, 닭가슴살 60 내지 70 중량부, 무말랭이 15 내지 22 중량부, 사과 1 내지 5 중량부, 도라지 18 내지 20 중량부, 시금치 20 내지 27 중량부, 고사리 25 내지 30 중량부, 콩나물 25 내지 30 중량부, 전지소고기 70 내지 75 중량부, 깐대파 25 내지 30 중량부, 무염김가루 80 내지 85 중량부, 볶음참깨 14 내지 17 중량부, 등심소고기 70 내지 77 중량부, 깍두기 24 내지 30 중량부, 열무김치 70 내지 80 중량부, 오징어 70 내지 80 중량부 및 꽈리고추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재료는 간장, 프락토올리고당, 참기름, 다진마늘, 깐대파, 흑후추, 판토텐산칼슘, 올리브유, 청양고추, 홍고추, 고추장, 고추가루, 볶음참깨, 다진 생강, 사과, 함초소금 및 멸치액젓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2부재료 100 중량부 대비 간장 10 내지 8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부, 참기름 3 내지 45 중량부, 다진마늘 3 내지 22 중량부, 깐대파 5 내지 12 중량부, 흑후추 0.2 내지 1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2 내지 2 중량부, 올리브유 2 내지 10 중량부, 청양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홍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고추장 20 내지 35 중량부, 고추가루 1 내지 7 중량부, 볶음참깨 0.5 내지 4 중량부, 다진 생강 0.3 내지 0.5 중량부, 사과 0.4 내지 1.5 중량부, 함초소금 3 내지 4 중량부 및 멸치액젓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과정은
현미찹쌀과 서리태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
상기 세척된 서리태를 분쇄하는 단계(S20);
상기 세척된 현미찹쌀에 물을 넣고 불려 물에 불린 현미찹쌀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와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S40);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50);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상기 S50 단계에서 혼합된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60); 및
혼합된 현미서리태밥을 성형틀에 담아 성형하는 단계(S7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밥바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현미찹쌀과 서리태의 세척 단계 (S10)
상기 현미찹쌀과 서리태를 세척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서 제조될 밥바의 재료가 되는 현미와 서리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세척전의 현미찹쌀은 여러가지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고, 벼톨에서 왕겨를 제거하는 과정중에 생기는 미분(米粉)이 묻어 향후 밥바를 제조하였을때 원치 않는 맛 또는 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온에서 충분한 물로 2 내지 3분간, 4 내지 6회 정도 세미(洗米)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세미하는 경우, 현미의 풍부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쌀눈 등이 떨어져 나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2) 서리태를 분쇄하는 단계 (S2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리태의 분쇄 단계는 상기 세척된 서리태에 물을 혼합하고, 서리태와 물의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로, 세척된 서리태와 물의 비율은 1:1의 중량비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 단계에서 사용된 물로는 30 내지 40℃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는 서리태와 물을 믹서기에 넣고 30 내지 50초간 갈아 서리태 콩물을 수득한다.
(3) 현미찹쌀을 물에 불리는 단계 (S30)
상기 세척단계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현미찹쌀은 쌀을 불리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미는 밥을 지어 먹으면 현미의 표피층에 있는 섬유질에 의해 밥맛이 거칠고, 표피층이 코팅과 같은 역할을 하여 수분이 제대로 스며들지 않아 딱딱한 식감을 주며, 밥짓기가 백미에 비하여 어렵고 조직감이 거칠기 때문에 1시간 내지 2시간 이상을 물에 불려야 조직감이 물러질 수 있다. 이때 현미찹쌀을 골고루 불리게 하기 위해 현미찹쌀이 모두 잠길 정도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불림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4) 서리태와 현미를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 (S40)
상기 단계에서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한 서리태 콩물을 혼합하여 취반한다.
상기 혼합은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를 2:1 내지 6:1의 중량비로 행해지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2:1의 중량비로 행해지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서리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현미찹쌀에 응집력을 부가할 수 없어 성형하여 나온 밥바가 쉽게 부스러지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취반 후의 밥이 질게 되거나, 콩의 풍미가 너무 강해져 부재료의 미감을 해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미는 벼톨에서 왕겨만을 제거하여 표피층의 섬유질이 코팅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현미를 재료로한 식품에 있어서 취반 공정을 거칠 경우 수분이 제대로 스며들지 않을뿐더러, 현미 낱알들과 잘 뭉쳐지지 않아, 이를 압착 성형하여도 원하는 모양의 밥바를 얻기가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01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824호 등에서는 시리얼바 내지 에너지바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재료간의 응집력을 부가하기 위해 설탕, 꿀, 물엿이나 조청 등을 형태 보존을 위한 결착성형물질로 투입하고 있는데, 부재료로 상기 당류를 첨가하는 경우 이는 충치 및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고,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그 역할을 다 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과정 중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미를 취반하는 단계에서 분쇄한 서리태를 혼합하여 밥바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응집력을 부여하고, 현미 단일 재료로 구성되어 자칫 부족할 수 단백질 등의 영양소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최근 유행하는 원푸드 다이어트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취반은 통상의 취반방법과 동일할 수 있고, 95~105℃에서 25~35분간 가열하고, 10분 내외로 뜸을 들여 취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5)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S50)
다음으로 밥바의 풍미를 좋게 하고 다양한 식감과 미감을 위해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료는 돼지고기, 맛김치, 깐우엉채, 호두, 지리멸치, 아몬드, 깐감자, 깐양파, 닭가슴살, 무말랭이, 사과,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콩나물, 전지소고기, 깐대파, 무염김가루, 볶음참깨, 등심소고기, 깍두기, 열무김치, 오징어, 꽈리고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밥바 100 중량부 대비 현미찹쌀 37 내지 55 중량부, 서리태 10 내지 17 중량부, 제1부재료 15 내지 46 중량부 및 제2부재료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밥바에 있어서, 제1부재료 전체 100 중량부 대비 돼지고기 25 내지 65 중량부, 맛김치 33 내지 71 중량부, 깐우엉채 65 내지 70 중량부, 호두 30 내지 35 중량부, 지리멸치 45 내지 55 중량부, 아몬드 20 내지 55 중량부, 깐감자 60 내지 70 중량부, 깐양파 30 내지 37 중량부, 닭가슴살 60 내지 70 중량부, 무말랭이 15 내지 22 중량부, 사과 1 내지 5 중량부, 도라지 18 내지 20 중량부, 시금치 20 내지 27 중량부, 고사리 25 내지 30 중량부, 콩나물 25 내지 30 중량부, 전지소고기 70 내지 75 중량부, 깐대파 25 내지 30 중량부, 무염김가루 80 내지 85 중량부, 볶음참깨 14 내지 17 중량부, 등심소고기 70 내지 77 중량부, 깍두기 24 내지 30 중량부, 열무김치 70 내지 80 중량부, 오징어 70 내지 80 중량부 및 꽈리고추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재료 중 동물성 부재료인 돼지고기, 닭고기 및 소고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짐육을 사용하며, 간장, 올리고당, 마늘 등으로 양념을 충분히 한 후 오븐에서 조리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조리는 상기 양념된 동물성 부재료를 오븐에 투입하고 150 내지 170℃에서 15 내지 25분간 굽는 과정을 거쳐 조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부재료는 간장, 프락토올리고당, 참기름, 다진마늘, 깐대파, 흑후추, 판토텐산칼슘, 올리브유, 청양고추, 홍고추, 고추장, 고추가루, 볶음참깨, 다진 생강, 사과, 함초소금 및 멸치액젓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현미찹쌀 37 내지 55 중량부, 서리태 10 내지 17 중량부, 제1부재료 15 내지 46 중량부 및 제2부재료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밥바에 있어서, 제2부재료 100 중량부 대비 간장 10 내지 8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부, 참기름 3 내지 45 중량부, 다진마늘 3 내지 22 중량부, 깐대파 5 내지 12 중량부, 흑후추 0.2 내지 1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2 내지 2 중량부, 올리브유 2 내지 10 중량부, 청양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홍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고추장 20 내지 35 중량부, 고추가루 1 내지 7 중량부, 볶음참깨 0.5 내지 4 중량부, 다진 생강 0.3 내지 0.5 중량부, 사과 0.4 내지 1.5 중량부, 함초소금 3 내지 4 중량부 및 멸치액젓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밥바의 풍미를 높일 수 있다.
(6)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S60)
다음으로 상기 단계에서 취반이 끝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현미서리태밥과 부재료간에 일정하고 균일한 조성을 위한 것으로 어느 한 재료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12분 내지 17분간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분간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단계에 따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밥바가 제조되는 경우 재료가 편중되어 식감 및 미감이 떨어질 수 있고, 영양소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성형단계 (S70)
현미서리태밥과 부재료를 골고루 혼합한 후 각 재료들에 대한 응집력을 발생하게 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해 성형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현미서리태밥과 부재료를 혼합한 뒤 이를 막대 형상이나 원판 형상의 성형틀에 넣고 다져서 모양을 성형하거나 또는 상·하로 롤러가 배치된 연속식 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압착하여 성형한 뒤 막대 형상이나 원판 형상으로 재단하여 성형을 완료한다. 이러한 성형틀 방식과 연속식 롤러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성형틀에는 테프론으로 코팅하여 재료가 성형틀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테프론 코팅 위에 일회용 비닐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제품의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 후에 밥바의 유통기한을 증대시키기 위해 냉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동 공정은 상기 성형단계에서 혼합재료가 성형틀에 담지된 상태 그대로 진행할 수 있으며, 냉동을 위한 온도 내지 시간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나, 화학조미료 내지 인위적인 식품첨가물, 방부제 등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특성상 영하 18 ℃이하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 단계 이후, 냉동된 밥바를 성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밥바의 분리 목적 이외에 분리하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분리된 밥바를 폴리에틸렌, 비닐 재질의 포장지로 밀봉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금속검출기에 통과시켜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혼합재료에서 각각의 조성비는 영양적 균형과 함께 식감 및 풍미를 제공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배합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느 한 재료가 상기 조건값에 미달되거나 초과하여 함유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들이 지나치게 많이 함유되어야 하기에 영양적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음과 더불어 풍미와 식감이 저하될 수 있어 좋지 못하다.
제조예 (1) 돈장조림백김치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핏물을 제거한 돼지고기 안심 다짐육과 국물을 제거한 맛김치를 작게 잘라 준비하였다. 상기 제1부재료 중 돼지고기 안심 다짐육은 프락토올리고당, 참기름, 마늘, 깐대파, 흑후추 및 간장으로 간을 한 후 컨벡션 오븐기기에서 160℃ 온도로 20분간 조리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리된 돼지고기와 맛김치를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돈장조림백김치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85 49.98
서리태 15 16.67
제1부재료 돼지고기 안심 13.5 15
맛김치 7.5 8.33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5.55 6.17
프락토올리고당 2.235 2.48
참기름 0.3 0.33
다진마늘 0.3 0.33
깐대파 0.6 0.67
흑후추 0.015 0.02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2) 우엉호두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깐우엉채는 조려서 잘게 다져 준비하였다. 상기 조리된 깐우엉채와 호두를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함량의 우엉호두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24 49.16
검정콩 12 13.33
제1부재료 깐우엉채 18 20
호두 9 10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3.9 4.33
프락토올리고당 1.8 2
참기름 0.45 0.5
다진마늘 0.3 0.33
올리브유 0.3 0.33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3) 지리멸치아몬드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지리멸치과 아몬드를 볶은 후 잘게 다져 준비하고, 하기 표 3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함량의 지리멸치아몬드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9 49.98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지리멸치 9 10.00
아몬드 9 10.00
제2부재료 고추(청양고추) 3 3.33
고추(홍고추) 3 3.33
프락토올리고당 3 3.33
몽고진간장 1.5 1.67
올리브유 0.75 0.83
다진마늘 0.3 0.33
참기름 0.45 0.50
판토텐산칼숨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4) 감자양파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감자, 양파를 다진 후, 프락토올리고당, 다진마늘로 간을 하고, 올리브유를 뿌린 판에 넣어 오븐기기에서 160℃ 온도로 20분간 조리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리된 감자 및 양파를 하기 표 4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함량의 감자양파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9 49.99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깐감자 15 16.67
깐양파 7.8 8.67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4.5 5
프락토올리고당 1.35 1.5
참기름 0.6 0.67
다진마늘 0.6 0.67
올리브유 0.15 0.17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5) 닭가슴살 무말랭이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닭가슴살과 무말랭이를 잘게 다진 후, 간을 하여 오븐기기에서 160℃ 온도로 20분간 조리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리된 감자 및 양파를 하기 표 5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함량의 닭가슴살 무말랭이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85 49.98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닭고기(가슴살) 15 16.67
무말랭이 4.5 5
제2부재료 깐양파 3 3.33
사과 0.9 1
몽고진간장 2.4 2.67
고추장 1.5 1.67
다진마늘 0.9 1
깐대파 0.75 0.83
참기름 0.45 0.5
프락토올리고당 0.405 0.45
고추가루 0.09 0.1
볶음참깨 0.06 0.07
다진생강 0.03 0.03
흑후추 0.015 0.02
판토텐산칼숨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6) 비빔밥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및 콩나물을 세척하고 삶은 다음 잘게 다진 후, 하기 표 4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함량의 비밤밥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37.49 41.66
검정콩 9 10
제1부재료
도라지 7.5 8.33
시금치 9.15 10.17
고사리 10.5 11.67
콩나물 10.5 11.67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2.4 2.67
고추장 1.5 1.67
다진마늘 0.9 1
참기름 0.45 0.5
프락토올리고당 0.405 0.45
고추가루 0.09 0.1
볶음참깨 0.06 0.07
사과 0.03 0.03
흑후추 0.015 0.02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7) 소불고기대파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전지 소고기와 대파를 잘게 다진 후, 간을 하여 오븐기기에서 160℃ 온도로 20분간 조리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리된 소고기와 대파를 하기 표 7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7과 같은 함량의 소불고기대파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235 49.15
검정콩 15.015 16.68
제1부재료 소고기(전지) 20.25 22.5
깐대파 7.5 8.33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1.5 1.67
다진마늘 0.6 0.67
참기름 0.45 0.5
올리브유 0.3 0.33
함초소금 0.12 0.13
흑후추 0.015 0.02
판토텐산칼숨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8) 김구이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구이김(무염)을 하기 표 8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8과 같은 함량의 김구이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7.985 53.32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김가루(무염) 12 13.33
제2부재료 볶음참깨 2.25 2.5
몽고진간장 6.45 7.17
참기름 4.8 5.33
고추가루 0.75 0.83
다진마늘 0.75 0.83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9) 소고기깍두기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전지 소고기와 깍두기를 잘게 다진 후, 오븐기기에서 160℃ 온도로 20분간 조리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리된 소고기와 깍두기를 하기 표 9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9와 같은 함량의 소고기깍두기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3.485 48.32
검정콩 13.5 15
제1부재료 소고기(등심) 22.5 25
깍두기 7.5 8.33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2.25 2.5
참기름 0.3 0.33
올리브유 0.3 0.33
함초소금 0.12 0.13
흑후추 0.03 0.03
판토텐산칼숨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10) 열무겉절이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열무김치를 데친 후 잘게 다져 하기 표 10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10과 같은 함량의 열무겉절이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24 49.16
검정콩 10.5 11.67
제1부재료 열무 21.81 24.23
아몬드 6.42 7.13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2.88 3.2
참기름 2.88 3.2
고추가루 0.45 0.5
다진마늘 0.33 0.37
액젓(멸치) 0.24 0.27
볶음참깨 0.24 0.27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제조예 (11) 오징어꽈리고추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오징어는 세척 후 간장에 조려 잘 게 다져 준비하고, 꽈리고추는 잘게 다진 후에 양념을 하여 조려서 준비하였다. 이후 하기 표 11과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11과 같은 함량의 오징어꽈리고추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25 49.92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오징어 18.6 20.67
꽈리고추 7.8 8.67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2.4 2.67
참기름 0.525 0.58
프락토올리고당 0.3 0.33
다진마늘 0.3 0.33
볶음참깨 0.075 0.08
판토텐산칼슘 0.075 0.08
합계 90.0 100
제조예 (12) 김치볶음밥 밥바의 제조
현미찹쌀 6 kg과 서리태 600g을 계량하여 취한 뒤, 세미기를 이용하여 3분간 5회에 걸쳐 반복 세척하였다. 세척된 현미찹쌀은 전체가 물에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1시간 동안 불리고, 서리태는 600g의 물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40초간 분쇄하여 서리태콩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서리태콩물을 혼합하고, 95~105℃에서 25~35분간 취반하여 현미서리태밥을 준비하였다.
제1부재료로 사과와 양파를 세척하고 돼지고기와 함께 잘게 다진 후, 팬에 볶아서 양념하여 준비한다. 이후, 표 12와 같은 비율의 제2부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혼합된 제1 및 제2부재료를 충분히 섞은 다음, 테프론코팅이 된 성형틀에 현미서리태밥을 넣어 성형한 후, 영하 18℃에서 24시간동안 냉각하여 하기 표 12와 같은 함량의 김치볶음밥 밥바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함량(90g 기준) 함량(100g 기준)
현미서리태밥 현미찹쌀 44.99 49.99
검정콩 15 16.67
제1부재료 맛김치 17.4 19.33
돼지(민찌) 6.96 7.73
사과 0.3 0.33
깐양파 0.78 0.87
제2부재료 몽고진간장 1.95 2.17
고추장 1.5 1.67
참기름 0.45 0.5
프락토올리고당 0.27 0.3
다진마늘 0.21 0.23
고추가루 0.12 0.13
볶음참깨 0.06 0.07
판토텐산칼슘 0.015 0.02
합계 90.0 100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현미찹쌀과 서리태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
    상기 세척된 서리태를 분쇄하는 단계(S20);
    상기 세척된 현미찹쌀에 물을 넣고 불려 물에 불린 현미찹쌀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와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S40);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50);
    취반이 종료된 현미서리태밥과 상기 S50 단계에서 혼합된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60); 및
    혼합된 현미서리태밥을 성형틀에 담아 성형하는 단계(S70);
    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는 믹서기로 30 내지 50초 동안 행해지고,
    상기 S40 단계에서의 혼합은 물에 불린 현미찹쌀과 분쇄된 서리태를 2:1 내지 6:1의 중량비로 행해지고,
    상기 S50 단계에서 혼합은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15내지 42 중량부의 제1부재료와 밥바 전체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5 중량부의 제2부재료를 혼합하며,
    상기 제1부재료는 제1부재료 전체 100 중량부 대비 돼지고기 25 내지 65 중량부, 맛김치 33 내지 71 중량부, 깐우엉채 65 내지 70 중량부, 호두 30 내지 35 중량부, 지리멸치 45 내지 55 중량부, 아몬드 20 내지 55 중량부, 깐감자 60 내지 70 중량부, 깐양파 30 내지 37 중량부, 닭가슴살 60 내지 70 중량부, 무말랭이 15 내지 22 중량부, 사과 1 내지 5 중량부, 도라지 18 내지 20 중량부, 시금치 20 내지 27 중량부, 고사리 25 내지 30 중량부, 콩나물 25 내지 30 중량부, 전지소고기 70 내지 75 중량부, 깐대파 25 내지 30 중량부, 무염김가루 80 내지 85 중량부, 볶음참깨 14 내지 17 중량부, 등심소고기 70 내지 77 중량부, 깍두기 24 내지 30 중량부, 열무김치 70 내지 80 중량부, 오징어 70 내지 80 중량부 및 꽈리고추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료는 제2부재료 전체 100 중량부 대비 간장 10 내지 8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부, 참기름 3 내지 45 중량부, 다진마늘 3 내지 22 중량부, 깐대파 5 내지 12 중량부, 흑후추 0.2 내지 1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2 내지 2 중량부, 올리브유 2 내지 10 중량부, 청양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홍고추 22 내지 26 중량부, 고추장 20 내지 35 중량부, 고추가루 1 내지 7 중량부, 볶음참깨 0.5 내지 4 중량부, 다진 생강 0.3 내지 0.5 중량부, 사과 0.4 내지 1.5 중량부, 함초소금 3 내지 4 중량부 및 멸치액젓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6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밥바.
KR1020170167236A 2017-12-07 2017-12-07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KR10187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36A KR101877725B1 (ko) 2017-12-07 2017-12-07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36A KR101877725B1 (ko) 2017-12-07 2017-12-07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25B1 true KR101877725B1 (ko) 2018-07-12

Family

ID=6291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236A KR101877725B1 (ko) 2017-12-07 2017-12-07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021A (ko) * 2013-07-10 2015-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일품 라이스바의 제조방법
KR20150112188A (ko) * 2014-03-27 2015-10-07 최재영 밥바의 제조방법 및 밥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021A (ko) * 2013-07-10 2015-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일품 라이스바의 제조방법
KR20150112188A (ko) * 2014-03-27 2015-10-07 최재영 밥바의 제조방법 및 밥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달콤 바삭 영양만점 견과바, 네이버 블로그(2017.02.04.), 인터넷: {http://koacake.com/220926180314} *
달콤 바삭 영양만점 견과바, 네이버 블로그(2017.02.04.), 인터넷: {http://koacake.com/220926180314} 1부. *
달콤 바삭 영양만점 견과바, 네이버 블로그(2017.02.04.), 인터넷: <http://koacake.com/220926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12B1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CN102578612A (zh) 一种辣子鸡制品的加工方法
CN103504325B (zh) 一种香辣青豆猪肉干及其制备方法
KR101420387B1 (ko)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7398B1 (ko) 스팀찜기를 이용한 닭요리의 제조방법
KR20150088370A (ko) 수제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KR20170037790A (ko)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1984B1 (ko)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KR101742139B1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CN107440050A (zh) 一种甜辣番茄味油炸板栗块的制备方法
KR101877725B1 (ko)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KR101096937B1 (ko) 두부 치킨 제조 방법
KR20120055287A (ko) 염지양념 및 이를 이용한 오리목살 조리방법
KR101871971B1 (ko) 대추가 함유된 쌀돈까스
KR20210014871A (ko) 건어물을 포함하는 씨리얼바 제조방법
KR20200113354A (ko) 치즈 떡갈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49180A (ko) 크릴을 함유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3549509A (zh) 一种鱼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861505B1 (ko) 꽃게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꽃게 과자
KR102139707B1 (ko) 고구마 국수면 제조방법
KR102353805B1 (ko) 전복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22257B1 (ko)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66365B1 (ko)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75073A (ko) 키조개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911094B (zh) 全脂大豆豆肴香菇酱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