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321B1 -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321B1
KR102299321B1 KR1020200020763A KR20200020763A KR102299321B1 KR 102299321 B1 KR102299321 B1 KR 102299321B1 KR 1020200020763 A KR1020200020763 A KR 1020200020763A KR 20200020763 A KR20200020763 A KR 20200020763A KR 102299321 B1 KR102299321 B1 KR 10229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weight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086A (ko
Inventor
남호진
Original Assignee
남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진 filed Critical 남호진
Priority to KR102020002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용 포장재를 포함한 포장재의 포장용기와 포장용필름의 사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며;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stripping film composition use for separation-exhausted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용 포장재를 포함한 포장재의 포장용기와 포장용필름의 사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용기 외부에 접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며;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포장재인 두부용기를 포함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는;
포장재의 포장용기에 적재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하여, 포장용기의 외부에 포장용필름인 합성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포장용기의 외부에 열봉합된 포장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포장용필름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사용 후 포장용기와 포장용필름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의, 식품포장재인 두부용기를 포함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91822호 '충진수 넘침 방지 두부 제품 및 그 포장방법'을 포함한, 식품용 포장재인 두부제품 포장재(200)는,
포장용기(201)의 내부에 두부 내용물(203)이 수용되어 있으며, 충진수(204)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포장용필름(202)으로 밀봉된 구성의, 두부제품 포장재
(200)로 구성된다.
또한, 두부제품 포장용기를 포함한 각종 포장용기에 적재되어 있는 내용물의 보존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의 포장용기(201) 및 상기 포장용기(201)의 상부에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라프타레이트(PET)를 포함한 합성수지가 필름 형태로 가공된 포장용필름(202)이 열봉합되어 밀봉된 구성의, 두부제품 포장재(200)로 사용되고 있는바;
특히, 사용자가 내용물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201)에서 포장용
필름(202)을 박리시에 박리가 원활하지 않아 상기 포장용필름(202)을 박리하기 위하여 많은 힘이 필요하거나, 무리하게 힘을 가함으로 인하여 상기 포장용필름(202)이 찢어 지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이 곤란하고, 사용자가 사용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포장용필름(202)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보관 및 운반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포장용필름(202)이 터지거나 찢어 지는 문제점과,
포장용필름(202)의 내열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장용기 외부에 접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가 되는 동시에,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9182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23375호
본 발명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포장용기와 포장용필름의 사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용기 외부에 열봉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며;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폴리프로필렌(PP) 50 내지 75중량% 및,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가 각기 상이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60중량%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5 내지 3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로 조성된 복합 폴리에틸렌(PE) 25 내지 50중량%로 조성된, 수지조성물과: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제 1.0 내지 5.0중량부와, 가교분해제 2.0 내지 3.5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로 조성된; 본 발명의 박리용 필름조성물
과;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가공된 박리용필름이 포장용기와 포장용필름
의 사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와;
본 발명의, S1 단계 내지 S4 단계 또는 S11, S21, S3, S4 단계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제조방법 』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용기의 외부에 열봉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효과와;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된 효과와;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식품용 포장재인 두부제품 포장재의 참고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참고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의 해당 구성물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포장용기 외부에 접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박리용필름에 의하여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며;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 "적정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으로 구성 됨을 명확히 하며;
또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에 언급된 수치는 단순히 수치로서 한정 기재한 것이 아닌, 본 출원인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거쳐 상기에서 언급된 진보성이 구비된 적정한 해당 구성물과 해당 수치로 구성 된 것이며;
이하 언급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범주의 기술사상으로 구성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은 본 권리에 포함 됨을 분명히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참고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장용기(10)의 외부에 구비된 포장용필름(20)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사용 후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의, 식품용 포장재를 포함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상기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30)을 조성하는,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은;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폴리프로필렌(PP) 50 내지 75중량% 및;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가 각기 상이한, 밀도 0.915 내지 0.925g/cm3 범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60중량% 및 밀도 0.926 내지 0.94g/cm3 범위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5 내지 35중량%, 밀도 0.955 내지 0.965g/cm3 범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로 조성된 복합 폴리에틸렌(PE) 25 내지 50중량%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이 구성되며;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지조성물의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을 위한, 필러인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한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제 1.0 내지 5.0중량부와,
수지조성물의 가교분해를 위한, 실란(Silane) 또는 2,4,4-트리메틸펜틸-2-하이드로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가교분해제 2.0 내지 3.5중량부와,
수지조성물의 산화방지를 위한, 산화티타늄 또는 3,5-Di-Tert-hydroxy toluene 또는 2,6-Di-tert-butyl-4-methylphenol을 포함한 산화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로 조성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포장용필름 조성물'로 조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필요에 따라, 수지조성물의 착색을 위한 용도의,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을 포함한 착색제 0.1 내지 0.5 중량부가 첨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폴리프로필렌(PP) 50 내지 75중량%가 사용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의 사용량이 75중량%를 초과할 때에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 내에 폴리프로필렌(PP)성분이 너무 과다하게 포함된 상태로;
과다하게 포함된 폴리프로필렌(PP)의 물성 특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이 필름 형태로 가공된 박리용필름(30)의 상부에 열 봉합 처리되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라프타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나일론(NYLON)을 포함한 재질 중 1종의 재질로 구성된 포장용필름(20)과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한, 박리용필름(30)의 특성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개봉시 포장용필름(20)이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폴리프로필렌(PP)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일 때에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 내에 폴리프로필렌(PP)성분이 너무 소량으로 내재된 상태로, 포장용필름(20)과의 접착력과 충격 강도가 저하되어;
본 발명 분리배출형 포장재(100)의 제조공정이나 이송과정에서, 상기 포장용필름(20)이 포장용기(10)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포장용필름(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와,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75중량%로 조성된 폴리프로필렌의 조성비에 의하여,
포장용필름(20)을 열봉합 처리할 때 요구되는 실링(sealing)온도를 170℃ 이상에서도 열봉합 처리를 할 수 있어, 포장재 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이 밀착되어 실링이 되게 되며, 포장재 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열 봉합 처리 작업시 가공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조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PP)은,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 내지 75중량%로 조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복합폴리에틸렌(PE)은,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가 각기 상이한, 밀도 0.915 내지 0.925g/cm3 범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60중량% 및 밀도 0.926 내지 0.94g/cm3 범위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5 내지 35중량%, 밀도 0.955 내지 0.965g/cm3 범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로 조성된 복합 폴리에틸렌(PE) 25 내지 50중량%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이 구성되며;
특히, 밀도가 각기 상이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이 혼합된,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폴리에틸렌으로 조성되어, 박리용필름(30)의 씰링가공성과 신축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복합폴리에틸렌으로 조성된다.
또한, 상기 복합폴리에틸렌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성 구조의 비 상용성 물질인 폴리에틸렌(PE)에 비하여, 비 결정성 구조의 상용성 물질인 폴리프로필렌(PP)이 과량으로 존재함으로 인하여, 포장용필름(20)과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한, 박리용필름(30)의 박리특성을 실현시키기가 곤란하며,
복합폴리에틸렌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 결정성 구조의 상용성 물질인 PP가 소량으로 존재함으로 인한, 충격강도 및 내구성의 물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인,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제 1.0 내지 5.0중량부와,
가교분해제 2.0 내지 3.5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로 조성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 발명 조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가공되어, 포장재(100)의 포장용기(10) 또는 포장용 필름(20)으로 사용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는;
사용자가 포장용기(10)의 외부에 구비된 포장용필름(20)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사용 후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의, 식품용 포장재를 포함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본 발명의 상기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압출기 또는 칼렌다 설비에서 필름 형태로 가공된, 박리용필름(30)이 구비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재(10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포장용기(10)의 외부에 구비된 포장용필름(20)을 제거시에 박리용필름의 일부면인 박리면(30')이 포장용기(10)의 외부로 박리 됨으로서, 박리용필름(30)과 포장용필름(20)이 포장용기(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는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 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는;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75중량% 및: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가 각기 상이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60중량%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35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로 조성된, 복합 폴리에틸렌 25 내지 50중량%의: 수지조성물과;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인 그라파이트를 포함한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제 1.0 내지 5.0중량부
와, 실란 또는 2,4,4-트리메틸펜틸-2-하이드로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가교분해제 2.0 내지 3.5중량부와, 산화티타늄 또는 3,5-Di-Tert-hydroxy toluene 또는 2,6-Di-tert-butyl-4-methylphenol을 포함한 산화방지제 0.1 내지 1.0중량부의 첨가제가 첨가된,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삭제
필름 형태로 가공된 박리용필름(30)으로 구성되어, 포장재의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박리용필름(30)이 구비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은;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의 포장용기(10)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테라프타레이트(PET)를 포함한 합성수지가 필름 형태로 가공된 포장용필름(2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은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필름 형태로 가공된 박리용 필름(30)이 구비된 구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이용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가;
포장용기(10) 또는 포장용필름(20)의 외부에,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30)이 적층되어 일체로 공압출 또는 성형된 구성으로,
포장용기(10)의 내부 또는 포장용필름(20)의 하부에 박리용필름(30)이 구비된 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포장용기(10) 또는 포장용 필름(20)이,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가공된 포장용기(10) 또는 포장용 필름(20)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박리용필름(30)은 편의상 필름으로 언급된 것으로서, 필름에 비하여 더욱 두꺼운 두께의 시트로 구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과, 분리 배출형 포장재'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30)에 의하여;
포장용기(10)의 외부에 열봉합된 포장용필름(20)이 포장용기(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기술구성과;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30)이 포장용필름(20)의 하부에 구비됨에 의하여 포장재(100)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더욱 강화된 기술구성과;
박리용필름(30)과 포장용필름(20)의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기술구성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과,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이용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4 단계로 구성된다.(제품구성도: 도 2 및 도 3 참조)
S1 단계: 박리용필름의 제조단계;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생성 후, 압출기 또는 칼렌다 설비에서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필름 형태의 박리용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S2 단계: 포장용기 기재 또는 포장용필름과 박리용필름이 합지되어 포장재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합지설비인 라미네이터에 필름형태의 포장용기 기재 또는 포장용필름을 적층 및 포장용필름의 상부에 박리용필름을 적층 후, 합지온도 120 내지 170℃에서 합지후, 냉각롤러에서 냉각되어, 포장재 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S3 단계: 포장재 원단이 포장재로 성형, 제조되는 단계;
(포장재 원단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성형온도 130 내지 170℃에서 성형되어 포장재가 제조되는 단계)
S4 단계: 포장재가 냉각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1, S21, S3, S4 단계로 구성된다.(제품구성도: 도 2 및 도 3 참조)
S11 단계: 액상의 포장용기 조성물 또는 포장용필름 조성물과, 박리용필름 조성물의 제조단계;
(포장용기 조성물 또는 포장용 필름조성물과,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각기 액상의 조성물로 제조되는 단계)
S21 단계: 액상의, 포장용기 조성물 또는 포장용필름 조성물과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공압출기에 각기 투입되어, 포장재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공압출설비인 공압출기에 액상 형태의 포장용기 조성물 또는 포장용필름 조성물과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각기 투입하여, 공압출온도 180 내지 230℃에서 공압출되어, 포장재 원단이 제조되는 단계)
S3 단계: 포장재 원단이 포장재로 성형, 제조되는 단계;
(포장재 원단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성형온도 130 내지 170℃에서 성형되어 포장재가 제조되는 단계)
S4 단계: 포장재가 냉각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S2 단계의 제조방법의,
합지설비인 라미네이터에 필름형태의 포장용기 기재 또는 포장용필름을 적층 및 포장용필름의 상부에 박리용필름을 적층 후, 포장재 원단이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S11, S21 단계의 제조방법의,
공압출설비인 공압출기에 액상 형태의 포장용기 조성물 또는 포장용필름 조성물과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각기 투입하여 공압출되어, 포장재 원단이 제조되어:
상기 S3, S4 단계의 제조방법의,
포장재 원단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성형, 냉각되어 완제품인 포장재가 제조되는 제조방법으로;
가공성이 향상되어 포장재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기술
구성의,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이용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4는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공압출 제조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가공시트인 기재와,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조성된 박리용필름이 공압출된 포장재 원단으로 포장용기와 박리용필름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포장재이고;
비교예 1은 시중에 유통 중인 행복한 콩부침용 두부의 포장재(제조원:제일제당(주))이며;
비교예 2는 시중에 유통 중인 국산 콩두부 단단한 부침용의 포장재(제조원: 풀무원)로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동일한 시험방법을 적용, 주요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2의 주요 물성 분석결과치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지조성물 (중량%)
PP 복합PE
실시예 1 70 30
실시예 2 65 35
실시예 3 50 50
실시예 4 75 25
상기 표 1의, 수지조성물(PP: 용융지수 2.7/ASTM D1238, 190℃, 2.16kg, 밀도 0.90; 복합PE: 용융지수 3.1/ASTM D1238, 230℃, 2.16kg, 평균밀도 0.94) 100중량부에:
산화방지제인 산화티타늄 0.8중량부, 가교분해제인 실란 2.2중량부, 필러인 그라파이트 3.0중량부를 첨가한, 본 발명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을 보조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10℃로 용융 브랜딩하여 두께 30㎛의 박리용필름을 형성 및;
용융지수 2.7/ASTM D1238, 190℃, 2.16kg 밀도 0.90의 폴리프로필렌(PP)을 주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10℃로 용융 브랜딩 한, 두께 670㎛의 포장용기 시트가 공압출 되어 냉각롤러를 거쳐 냉각 된 상태의, 전체 두께 700㎛의 공압출 상태의 포장재 원단을 제조 하였으며;
상기 포장재 원단을 성형기에서 용기로 성형하여, 물을 가득 채우고 그 상부면에, 두께 30㎛의 폴리프로필렌 포장용필름을 온도 160℃에서 열 융착된 완제품을 제조하여;
내열성 및 낙하 시험을 하였고, 각 열 융착 온도 조건에 따른 씰링 가공성 을 측정 하였으며,
상기 포장재 원단에, 두께 30㎛인 폴리프로필렌 포장용필름이 온도 160℃에서 열 융착된 시편을 제작하여, 필링강도를 측정 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 유통 중인 "행복한 콩부침용 두부의 포장재(제조원:제일제당(주))"를 구입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시험방법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시중에 유통 중인 "국산 콩두부 단단한 부침용의 포장재(제조원: 풀무원)"를 구입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시험방법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
1. 필링강도: KS M 7137에 의거 측정
시편 크기 : 15mm×10mm , 인장 speed : 300mm/min
2. 내열성 시험:
90℃로 유지된 항온조에서 60분 동안 방치한 후, 접착부위가 필링 되는지에
대하여 육안으로 평가.
3. 낙하 시험:
각각의 샘플을 1m의 높이에서 낙하하여 접착부위를 포함한 부위의 터짐이 없는지에 대한 평가.
4. 씰링 가공성:
씰링부의 열봉합시 적용온도가 170℃ 이상 가능시 : 양호
씰링부의 열봉합시 적용온도가 130℃ 이상 가능시 : 보통
씰링부의 열봉합시 적용온도가 130℃ 이하 시 : 불량으로 평가
구분 제품성능
필링강도(g/15mm) 내열성 시험 낙하 시험 썰링 가공성
실시예 1 1,820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2 1,650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3 890 /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4 필링 불가능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1 800 / 불량 양호 불량 불량
비교예 2 900 / 불량 양호 불량 불량
상기표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 1 이 필링강도가 가장 우수 하였고,
내열성 및 낙하시험, 씰링 가공성 역시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2도 사용상의 문제점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PP 50중량% 및 복합PE 50중량%의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실시예 3은 필링강도가 저하되었으며, PP 75중량% 및 복합PE 25중량%로 구성된 실시예 4는 필링이 불가능 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비교예 1, 2는 모두 필링강도 및 낙하 시험, 씰링가공성이 불량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 조성의 박리용필름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재가, 포장용기 외부에 접합된 포장용필름이 포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박리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포장재의 내구성 및 충격강도, 내열성 성능이 강화되고, 씰링 가공성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 분리 배출형 포장재(포장재)
10: 포장용기
20: 포장용필름
30: 박리용필름 30': 박리면
200: 종래기술 두부제품 포장재
201: 포장용기 202: 포장용필름
203: 두부내용물 204: 충진수

Claims (9)

  1. 식품용 포장재를 포함한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의,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구비된 박리용필름(30)을 조성하는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 용융지수 0.3 내지 3.8, 밀도 0.85 내지 0.95g/cm3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75중량% 및 용융지수 0.5 내지 4.1, 밀도 0.92 내지 0.95g/cm3 범위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가 각기 상이한 복합 폴리에틸렌 25 내지 50중량%의: 수지조성물로 조성된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가;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 0.915 내지 0.925g/cm3 범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60중량% 및, 밀도 0.926 내지 0.94g/cm3 범위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35중량%와, 밀도 0.955 내지 0.965g/cm3 범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로 조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밀도 0.915 내지 0.925g/cm3 범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60중량% 및, 밀도 0.926 내지 0.94g/cm3 범위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35중량%와, 밀도 0.955 내지 0.965g/cm3 범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45중량%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로 조성된 박리용필름 조성물이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박리용필름(30)이, 포장용기(10)와 포장용필름(20)의 사이에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배출형 포장재(100).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20763A 2020-02-20 2020-02-20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KR10229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63A KR102299321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63A KR102299321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86A KR20210106086A (ko) 2021-08-30
KR102299321B1 true KR102299321B1 (ko) 2021-09-07

Family

ID=7750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63A KR102299321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9B1 (ko) * 2006-01-25 2007-04-17 남호태 박리용 포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
JP2015013397A (ja) 2013-07-04 2015-01-2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易開封性共押出多層フィルム
JP2017144648A (ja) 2016-02-18 2017-08-2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レトルト用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レトルト用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639A (ja) * 1993-05-26 1994-11-29 Tonen Chem Corp ポリプロピレン容器用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
KR20170091822A (ko)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풀무원 충진수 넘침 방지 두부 제품 및 그 포장 방법
KR101923375B1 (ko) 2017-03-17 2018-11-29 손영남 가변형 식품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9B1 (ko) * 2006-01-25 2007-04-17 남호태 박리용 포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
JP2015013397A (ja) 2013-07-04 2015-01-2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易開封性共押出多層フィルム
JP2017144648A (ja) 2016-02-18 2017-08-2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レトルト用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レトルト用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86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1478B2 (en) 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films and use thereof
CN100542803C (zh) 热封性聚丙烯系树脂叠层薄膜及包装体
JP5394096B2 (ja) 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
US6355732B1 (en) Peel seal blend of 1-polybutylene, m-LLDPE and LDPE with high hot tack
CZ286808B6 (cs) Ohebný obalový materiál
JP689879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縦一軸延伸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並びに袋状物
JP3410219B2 (ja) ラミネート用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101473330B1 (ko) 층간 박리형 이지필 다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99321B1 (ko) 분리 배출형 포장재의 박리용필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와 제조방법
EP3230353B1 (en) A film, a method of making the film, a packaging comprising the film and a method of making the packaging
EP1311391B1 (en) Heat sealing polyolefins
JPH06328639A (ja) ポリプロピレン容器用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
KR102538608B1 (ko) 실링 특성이 우수한 포장재
KR101207564B1 (ko) 전두부 포장용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272064A (ja) 複合多層シート
JP2015047842A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12201392A (ja) 包装用フィルム、積層包装用フィルム、前記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方法
JPH0334465B2 (ko)
JP3767025B2 (ja) 紙容器用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紙容器
JP3810638B2 (ja) 食品包装方法
JP4409527B2 (ja) 易開封食品包装袋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易開封食品包装用袋
JP4692818B2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KR20030027760A (ko) 적층체, 실란트 필름 및 용기
KR100708309B1 (ko) 박리용 포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포장재
US20100143555A1 (en) 5-layer barrier film, sealing process and use thereof for packaging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