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652B1 -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 Google Patents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652B1
KR102296652B1 KR1020187021014A KR20187021014A KR102296652B1 KR 102296652 B1 KR102296652 B1 KR 102296652B1 KR 1020187021014 A KR1020187021014 A KR 1020187021014A KR 20187021014 A KR20187021014 A KR 20187021014A KR 102296652 B1 KR102296652 B1 KR 10229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pper alloy
mass
plating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449A (ko
Inventor
히로타카 마츠나가
가즈나리 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129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70699A1/ja
Publication of KR2018012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2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by rapid cooling or quenching; cooling agent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Mg 를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초과임과 함께,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본원 발명은,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리드 프레임, 버스바, 릴레이용 가동편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에 적합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및 이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3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69080호 및 2017년 3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63418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에는, 도전성이 높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 등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이들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 등에 사용되는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형화 및 박육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높은 강도나 양호한 굽힘 가공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 자동차의 엔진 룸 등의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의 단자 등에 있어서는, 내응력 완화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에는, Cu-Mg 계 합금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045783호(B)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4464호(A)
여기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Cu-Mg 계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도전성이 불충분하여, 높은 도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Cu-Mg 계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이 0.01 ∼ 0.5 mass%, 및 P 의 함유량이 0.01 ∼ 0.5 mass% 로 되어 있어, 냉간 가공성 및 굽힘 가공성을 크게 열화시키는 조대한 화합물에 대해 고려되어 있지 않아, 냉간 가공성 및 굽힘 가공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Cu-Mg 계 합금에 있어서는, Mg 에 의해 구리 합금 용탕의 점도가 상승하는 점에서, P 를 첨가하지 않으면 주조성이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에는, 전자·전기 기기의 경량화에 수반하여, 이들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박육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등의 단자에 있어서는, 접압을 확보하기 위해서 엄격한 굽힘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종래보다 더욱 굽힘 가공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전성,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양태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이하,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이라고 칭한다) 은, Mg 를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초과임과 함께,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의하면, Mg 의 함유량이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로 되어 있으므로, 구리의 모상 중에 Mg 가 고용함으로써, 도전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강도, 내응력 완화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율이 75 %IACS 초과로 되어 있으므로, 높은 도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있으므로, Mg 를 포함하는 구리 합금 용탕의 점도를 낮출 수 있어, 주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는 점에서, 모상 중에는, 균열의 기점이 되는 조대한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많이 분산되어 있지 않아,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커넥터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등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 + 20 × [P] < 0.5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Mg 와 P 를 포함하는 조대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냉간 가공성 및 굽힘 가공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P] ≤ 400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조성을 저하시키는 Mg 의 함유량과 주조성을 향상시키는 P 의 함유량의 비율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주조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300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아,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구리 합금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응력 완화율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정되어 있는 점에서,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한 경우여도 영구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커넥터 단자 등의 접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룸 등의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전자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이하,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라고 칭한다) 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전성, 강도, 굽힘 가공성, 내응력 완화 특성이 우수하여,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는, 판재 및 이것을 코일상으로 권취한 조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있어서는,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가지고 있으므로,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Sn 도금」은, 순 Sn 도금 또는 Sn 합금 도금을 포함하고, 「Ag 도금」은, 순 Ag 도금 또는 Ag 합금 도금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이하,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이라고 칭한다) 은,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이란,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은,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및 박육화한 경우여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에 있어서는,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Sn 도금층 및 Ag 도금층은, 미리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형성해 두어도 되고,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을 성형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단자 (이하, 「본원 발명의 단자」라고 칭한다) 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단자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및 박육화한 경우여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단자에 있어서는,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Sn 도금층 및 Ag 도금층은, 미리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형성해 두어도 되고, 단자를 성형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버스바 (이하, 「본원 발명의 버스바」라고 칭한다) 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버스바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및 박육화한 경우여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버스바에 있어서는,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Sn 도금층 및 Ag 도금층은, 미리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형성해 두어도 되고, 버스바를 성형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릴레이용 가동편 (이하, 「본원 발명의 릴레이용 가동편」이라고 칭한다) 은,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릴레이용 가동편은,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및 박육화한 경우여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릴레이용 가동편에 있어서는,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Sn 도금층 및 Ag 도금층은, 미리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형성해 두어도 되고, 릴레이용 가동편을 성형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의 제조 방법의 플로우도이다.
도 2A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관찰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B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관찰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EDX 분석 결과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은, Mg 를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도전율이 75 %IACS 초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 + 20 × [P] < 0.5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P] ≤ 400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300 MPa 이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의 압연재로 되어 있고, 압연의 최종 공정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성분 조성, 화합물, 각종 특성을 규정한 이유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Mg :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
Mg 는, 구리 합금의 모상 중에 고용함으로써, 도전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강도 및 내응력 완화 특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여기서, Mg 의 함유량이 0.15 mass% 미만인 경우에는, 그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Mg 의 함유량이 0.35 mass% 이상인 경우에는, 도전율이 크게 저하함과 함께, 구리 합금 용탕의 점도가 상승하여, 주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Mg 의 함유량을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강도 및 내응력 완화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g 의 함유량의 하한을 0.16 ma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7 ma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도전율의 저하 및 주조성의 저하를 확실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Mg 의 함유량의 상한을 0.30 mas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8 mass%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 :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
P 는, 주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여기서, P 의 함유량이 0.0005 mass% 미만인 경우에는, 그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P 의 함유량이 0.01 mass% 이상인 경우에는, Mg 와 P 를 함유하는 입경 0.1 ㎛ 이상의 조대한 화합물이 생성되기 쉬워지는 점에서, 이 화합물이 파괴의 기점이 되어, 냉간 가공 시나 굽힘 가공 시에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 의 함유량을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확실하게 주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 의 함유량의 하한을 0.0007 ma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ma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조대한 화합물의 생성을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P 의 함유량의 상한을 0.009 mass%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8 mass% 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075 mas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0050 mass% 이하가 바람직하다.
([Mg] + 20 × [P] < 0.5)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Mg 와 P 가 공존함으로써, Mg 와 P 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질량비로, Mg 의 함유량 [Mg] 과 P 의 함유량 [P] 으로 한 경우에, [Mg] + 20 × [P] 가 0.5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Mg 및 P 의 총량이 많아, Mg 와 P 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조대화함과 함께 고밀도로 분포하여, 냉간 가공 시나 굽힘 가공 시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g] + 20 × [P] 를 0.5 미만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화합물의 조대화 및 고밀도화를 확실하게 억제하여, 냉간 가공 시나 굽힘 가공 시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Mg] + 20 × [P] 를 0.48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6 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44 미만이다.
([Mg]/[P] ≤ 400)
Mg 는, 구리 합금 용탕의 점도를 상승시켜, 주조성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인 점에서, 주조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g 와 P 의 함유량의 비율을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질량비로, Mg 의 함유량 [Mg] 과 P 의 함유량 [P] 으로 한 경우에, [Mg]/[P] 가 4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P 에 대해 Mg 의 함유량이 많아져, P 의 첨가에 의한 주조성 향상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g]/[P] 를 400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주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g]/[P] 를 3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Mg]/[P] 가 과잉으로 낮은 경우에는, Mg 가 화합물로서 소비되어, Mg 의 고용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Mg 의 고용에 의한 내력, 내응력 완화 특성의 향상을 확실하게 도모하기 위해서는, [Mg]/[P] 의 하한을 2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가피 불순물 : 0.1 mass% 이하)
그 외 불가피적 불순물로는, Ag, B, Ca, Sr, Ba, Sc, Y, 희토류 원소,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Fe, Ru, Os, Co, Se, Te, Rh, Ir, Ni, Pd, Pt, Au, Zn, Cd, Hg, Al, Ga, In, Ge, Sn, As, Sb, Tl, Pb, Bi, Be, N, C, Si, Li, H, O, 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가피 불순물은, 도전율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점에서, 총량으로 0.1 mass% 이하로 한다.
또, Ag, Zn, Sn 은 구리 중에 용이하게 혼입하여 도전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총량으로 500 masspp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Sn 은 크게 도전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단독으로 50 masspp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i, Cr, Ti, Zr, Fe, Co 는, 특히 도전율을 크게 감소시킴과 함께, 화합물의 형성에 의해 굽힘 가공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이들 원소는 총량으로 500 masspp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다. 이들 사이즈가 큰 화합물이 다량으로 존재하면, 이들 화합물이 균열의 기점이 되어, 굽힘 가공성이 대폭 열화하게 된다.
조직을 조사한 결과,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인 경우, 즉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소량인 경우, 양호한 굽힘 가공성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입경 0.05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개수가 합금 중에 0.5 개/㎛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는,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 5 만배, 시야 : 약 4.8 ㎛2 로 10 시야의 관찰을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한다.
또,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입경은, 화합물의 장경 (도중에 입계에 접하지 않는 조건으로 입자 내에 가장 길게 그을 수 있는 직선의 길이) 과 단경 (장경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도중에 입계에 접하지 않는 조건으로 가장 길게 그을 수 있는 직선의 길이) 의 평균값으로 한다.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단위면적당의 평균 개수 (개수 밀도) 는, 주로 주조 속도와 중간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화합물 단위면적당의 평균 개수 (개수 밀도) 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주조 속도를 빠르게, 중간 열처리를 고온 단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주조 속도와 중간 열처리 조건은 적절히 선택하게 된다.
(도전율 : 75 %IACS 초과)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 도전율을 75 %IACS 초과로 설정함으로써,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율은 76 %IACS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77 %IACS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8 %IACS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IACS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2 % 내력 : 300 MPa 이상)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0.2 % 내력을 300 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특히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300 MPa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0.2 % 내력은 325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MPa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잔류 응력률 : 50 % 이상)
본 실시형태인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조건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률이 높은 경우에는,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한 경우여도 영구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접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인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은, 자동차의 엔진 룸 주위와 같은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단자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응력 완화 시험을 실시한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잔류 응력률은, 150 ℃, 1000 시간에 6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 ℃, 1000 시간에 7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해·주조 공정 S01)
먼저, 구리 원료를 용해하여 얻어진 구리 용탕에, 전술한 원소를 첨가하여 성분 조정을 실시해, 구리 합금 용탕을 제출 (製出) 한다. 또한, 각종 원소의 첨가에는, 원소 단체나 모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원소를 포함하는 원료를 구리 원료와 함께 용해해도 된다. 또, 본 합금의 리사이클재 및 스크랩재를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구리 용탕은, 순도가 99.99 mass% 이상으로 된 이른바 4NCu, 혹은 99.999 mass% 이상으로 된 이른바 5NCu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 공정에서는, Mg 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또 수소 농도 저감을 위하여, H2O 의 증기압이 낮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 (예를 들어 Ar가스) 에 의한 분위기 용해를 실시하고, 용해 시의 유지 시간은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분 조정된 구리 합금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여 주괴를 제출한다. 또한, 양산을 고려한 경우에는, 연속 주조법 또는 반연속 주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탕의 응고 시에,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정출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응고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 사이즈를 보다 미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용탕의 냉각 속도는 0.5 ℃/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sec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sec 이상이다.
(균질화/용체화 공정 S02)
다음으로, 얻어진 주괴의 균질화 및 용체화를 위해서 가열 처리를 실시한다. 주괴의 내부에는, 응고의 과정에 있어서 Mg 가 편석하여 농축함으로써 발생한 Cu 와 Mg 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간 화합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들의 편석 및 금속간 화합물 등을 소실 또는 저감시키기 위해서, 주괴를 300 ℃ 이상 900 ℃ 이하로까지 가열하는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주괴 내에 있어서, Mg 를 균질하게 확산시키거나, Mg 를 모상 중에 고용시키거나 한다. 또한, 이 균질화/용체화 공정 S02 는,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열 온도가 300 ℃ 미만에서는, 용체화가 불완전해져, 모상 중에 Cu 와 Mg 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간 화합물이 많이 잔존할 우려가 있다. 한편, 가열 온도가 900 ℃ 를 초과하면, 구리 소재의 일부가 액상이 되어, 조직이나 표면 상태가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열 온도를 300 ℃ 이상 900 ℃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가공 (粗加工) 의 효율화와 조직의 균일화를 위해서, 전술한 균질화/용체화 공정 S02 후에 열간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가공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압연, 와이어 드로잉, 압출, 홈 압연, 단조, 프레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열간 가공 온도는, 300 ℃ 이상 9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가공 공정 S03)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조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이 조가공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재결정을 억제하기 위해서, 혹은 치수 정밀도의 향상을 위해, 냉간 또는 온간 가공이 되는 -200 ℃ 내지 200 ℃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온이 바람직하다. 가공률 (압연율) 에 대해서는,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공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압연, 와이어 드로잉, 압출, 홈 압연, 단조, 프레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중간 열처리 공정 S04)
조가공 공정 S03 후에, 용체화의 철저, 재결정 조직화 또는 가공성 향상을 위한 연화를 목적으로 하여 열처리를 실시한다. 열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정출 등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서술한 화합물의 입경을 증대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온, 단시간의 열처리 공정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900 ℃ 이하의 유지 온도, 5 초 이상 1 시간 이하의 유지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이상 900 ℃ 이하의 유지 온도, 5 초 이상 30 분 이하의 유지 시간으로 열처리를 실시한다. 또 비산화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한다.
또, 가열 후의 냉각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물 퀀칭 등 냉각 속도가 200 ℃/min 이상이 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가공 공정 S03 및 중간 열처리 공정 S04 는, 반복 실시해도 된다.
(마무리 가공 공정 S05)
중간 열처리 공정 S04 후의 구리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이 마무리 가공 공정 S05 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재결정을 억제하기 위해, 또는 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냉간, 또는 온간 가공이 되는 -200 ℃ 내지 200 ℃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온이 바람직하다. 또, 가공률은, 최종 형상에 근사하도록 적절히 선택되게 되지만, 마무리 가공 공정 S05 에 있어서 가공 경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공률을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추가적인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가공률을 3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가공률을 4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가공률의 증가에 따라 굽힘 가공성은 열화하기 때문에, 99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열처리 공정 S06)
다음으로, 마무리 가공 공정 S05 에 의해 얻어진 소성 가공재에 대해, 내응력 완화 특성의 향상 및 저온 어닐링 경화를 위해서, 또는 잔류 변형의 제거를 위해서, 마무리 열처리를 실시한다.
열처리 온도는, 100 ℃ 이상 8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 70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마무리 열처리 공정 S06 에 있어서는, 재결정에 의한 강도의 대폭적인 저하를 피하도록, 열처리 조건 (온도, 시간, 냉각 속도) 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300 ℃ 에서는 1 초 내지 120 초 정도 유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처리는, 비산화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제조 비용 저감의 효과로부터, 연속 어닐링로에 의한 단시간의 열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마무리 가공 공정 S05 와 마무리 열처리 공정 S06 을, 반복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판재 또는 이것을 코일 형상으로 한 조재) 가 제출되게 된다. 또한, 이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의 판두께는, 0.05 mm 초과 3.0 mm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mm 초과 3.0 mm 미만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의 판두께가 0.05 mm 이하인 경우, 대전류 용도에서의 도체로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고, 판두께가 3.0 m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타발 가공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는, 그대로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에 사용해도 되지만, 판면의 일방, 혹은 양면에, 막두께 0.1 ∼ 100 ㎛ 정도의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때,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의 판두께가 도금층 두께의 10 ∼ 1000 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을 소재로 하여, 타발 가공이나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와 같은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이 성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의하면, Mg 의 함유량이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로 되어 있으므로, 구리의 모상 중에 Mg 가 고용함으로써, 도전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강도, 내응력 완화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있으므로, Mg 를 포함하는 구리 합금 용탕의 점도를 낮출 수 있어, 주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도전율이 75 %IACS 초과로 되어 있으므로, 높은 도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는 점에서, 모상 중에는, 균열의 기점이 되는 조대한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많이 분산되어 있지 않아,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커넥터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등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 + 20 × [P] < 0.5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Mg 와 P 의 조대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냉간 가공성 및 굽힘 가공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P] ≤ 400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주조성을 저하시키는 Mg 의 함유량과 주조성을 향상시키는 P 의 함유량의 비율이 적정화되어, P 첨가의 효과에 의해, 주조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에 있어서는, 0.2 % 내력이 300 MPa 이상이 되고,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강도, 내응력 완화 특성이 우수하여,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는,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에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의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의 소재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커넥터나 프레스 피트 등의 단자, 릴레이용 가동편, 리드 프레임, 버스바 등) 은, 상기 서술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형화 및 박육화해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인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등) 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에 기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존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원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확인 실험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순도 99.99 mass% 이상의 무산소 구리 (ASTM B152 C10100) 로 이루어지는 구리 원료를 준비하고, 이것을 고순도 그래파이트 도가니 내에 장입하여, Ar 가스 분위기로 된 분위기로 내에 있어서 고주파 용해하였다. 얻어진 구리 용탕 내에, 각종 첨가 원소를 첨가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으로 조제하고, 주형에 주탕하여 주괴를 제출하였다. 또한, 본 발명예 2, 19, 20 은 단열재 (이소울) 주형, 본 발명예 21, 22 는 카본 주형, 본 발명예 1, 3 ∼ 18, 23 ∼ 34, 비교예 1 ∼ 3 은 수랭 기능을 구비한 구리 합금 주형, 비교예 4, 5 는 가열 기능을 구비한 히터가 부착된 철제 주형을 주조용의 주형으로서 사용하였다. 주괴의 크기는, 두께 약 100 mm × 폭 약 150 mm × 길이 약 300 mm 로 하였다.
이 주괴의 주물 표면 근방을 면삭하여, 최종 제품의 판두께가 0.5 mm 가 되도록, 주괴를 잘라내어 사이즈를 조정하였다.
이 블록을, Ar 가스 분위기 중에 있어서, 표 2 에 기재된 온도 조건으로 4 시간의 가열을 실시하여, 균질화/용체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표 2 에 기재된 조건으로 조압연을 실시한 후, 솔트 배스를 사용하여 표 2 에 기재된 온도 조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열처리를 실시한 구리 소재를, 적절히 최종 형상에 적합한 형태로 하기 위해서 절단함과 함께,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표면 연삭을 실시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표 2 에 기재된 압연율로 마무리 압연 (마무리 가공) 을 실시하여, 두께 0.5 mm, 폭 약 150 mm, 길이 200 mm 의 박판을 제출하였다.
그리고, 마무리 압연 (마무리 가공) 후에,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Ar 분위기 중에서 마무리 열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물 퀀칭을 실시하여, 특성 평가용 박판을 제작하였다.
(주조성)
주조성의 평가로서, 전술한 주조 시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어짐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육안으로 표면 거칠어짐이 전혀 혹은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을 A, 깊이 1 mm 미만의 작은 표면 거칠어짐이 발생한 것을 B, 깊이 1 mm 이상 2 mm 미만의 표면 거칠어짐이 발생한 것을 C 로 하였다. 또 깊이 2 mm 이상의 큰 표면 거칠어짐이 발생한 것은 D 로 하고, 도중에 평가를 중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표면 거칠어짐의 깊이란, 주괴의 단부 (端部) 로부터 중앙부를 향하는 표면 거칠어짐의 깊이이다.
(화합물 관찰)
각 시료의 압연면에 대해, 경면 연마, 이온 에칭을 실시하였다.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해, FE-SEM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 을 이용하여, 1 만배의 시야 (약 120 ㎛2/시야) 로 관찰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밀도 (개/㎛2) 를 조사하기 위해서, 1 만배의 시야 (약 120 ㎛2/시야) 를 선택하고, 그 영역에서, 5 만배로 연속한 10 시야 (약 4.8 ㎛2/시야) 의 촬영을 실시하였다. 금속간 화합물의 입경에 대해서는, 금속간 화합물의 장경 (도중에 입계에 접하지 않는 조건으로 입자 내에 가장 길게 그을 수 있는 직선의 길이) 과 단경 (장경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도중에 입계에 접하지 않는 조건으로 가장 길게 그을 수 있는 직선의 길이) 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그리고,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입경 0.05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밀도 (개/㎛2) 를 구하였다. 화합물의 관찰 결과의 일례를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낸다.
(기계적 특성)
특성 평가용 조재로부터 JIS Z 2241 에 규정된 13B 호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 Z 2241 의 오프셋법에 의해, 0.2 % 내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압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채취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도전율)
특성 평가용 조재로부터 폭 10 mm × 길이 150 mm 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4 단자법에 의해 전기 저항을 구하였다. 또,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치수 측정을 실시하고, 시험편의 체적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측정한 전기 저항값과 체적으로부터 도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험편은, 그 길이 방향이 특성 평가용 조재의 압연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채취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내응력 완화 특성)
내응력 완화 특성 시험은, 일본 신동 협회 기술 표준 JCBA-T309 : 2004 의 캔틸레버 나사식에 준한 방법에 의해 응력을 부하하고, 150 ℃ 의 온도에서 1000 시간 유지 후의 잔류 응력률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으로는, 각 특성 평가용 조재로부터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험편 (폭 10 mm) 을 채취하고, 시험편의 표면 최대 응력이 내력의 80 % 가 되도록, 초기 휨 변위를 2 mm 로 설정하고, 스팬 길이를 조정하였다. 상기 표면 최대 응력은 다음 식으로 정해진다.
표면 최대 응력 (MPa) = 1.5Etδ0/Ls 2
단,
E : 영률 (MPa)
t : 시료의 두께 (t = 0.5 mm)
δ0 : 초기 휨 변위 (2 mm)
Ls : 스팬 길이 (mm)
이다.
150 ℃ 의 온도에서, 1000 시간 유지 후의 굽힘 자국으로부터, 잔류 응력률을 측정하고, 내응력 완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잔류 응력률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잔류 응력률 (%) = (1 - δt0) × 100
단,
δt : 150 ℃ 에서 1000 시간 유지 후의 영구 휨 변위 (mm) - 상온에서 24 h 유지 후의 영구 휨 변위 (mm)
δ0 : 초기 휨 변위 (mm)
이다.
(굽힘 가공성)
일본 신동 협회 기술 표준 JCBA-T307 : 2007 의 4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굽힘 가공을 실시하였다. 압연 방향에 대해 굽힘의 축이 직교 방향이 되도록, 특성 평가용 박판으로부터 폭 10 mm × 길이 30 mm 의 시험편을 복수 채취하고, 굽힘 각도가 90 도, 굽힘 반경은, 마무리 압연율이 85 % 초과인 경우에는 0.5 mm (R/t = 1.0), 마무리 압연율이 85 % 이하인 경우에는 굽힘 반경이 0.3 mm (R/t = 0.6) 인 W 형의 지그를 이용하여, W 굽힘 시험을 실시하였다.
굽힘부의 외주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열이 관찰된 경우는 「C」, 큰 주름이 관찰된 경우는 B, 파단이나 미세한 균열, 큰 주름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를 A 로 하여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A 및 B 는 허용할 수 있는 굽힘 가공성으로 판단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71908930-pct00001
Figure 112018071908930-pct00002
Figure 112018071908930-pct00003
비교예 1 은, Mg 의 함유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보다 적어, 내력, 및 내응력 완화 특성이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2 는, Mg 의 함유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보다 많아, 도전율이 낮았다.
비교예 3 은, P 의 함유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보다 많아, 중간 압연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평가를 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5 는, Mg 및 P 의 함유량이 많고, 또한 주조 시의 냉각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화합물이 많아, 굽힘 가공성이 열등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예에 있어서는, 주조성, 강도 (0.2 % 내력), 도전율, 내응력 완화 특성 (잔류 응력률),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예에 의하면, 도전성,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소형화에 수반하여 박육화된 부재에 사용된 경우여도, 우수한 도전성 및 굽힘 가공성을 구비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Mg 를 0.15 mass% 이상, 0.35 mass% 미만의 범위 내, P 를 0.0005 mass% 이상 0.01 mass%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초과임과 함께,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입경 0.1 ㎛ 이상의 Mg 와 P 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평균 개수가, 0.5 개/㎛2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 + 20 × [P] < 0.5
    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3. 제 1 항에 있어서,
    Mg 의 함유량 [Mg](mass%) 과 P 의 함유량 [P](mass%) 이,
    [Mg]/[P] ≤ 400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4. 제 1 항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0.2 % 내력이 30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5. 제 1 항에 있어서,
    잔류 응력률이 150 ℃, 1000 시간에 5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7. 제 6 항에 있어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8. 제 6 항에 기재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10. 제 6 항에 기재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12. 제 6 항에 기재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13. 제 12 항에 있어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14. 제 6 항에 기재된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용 가동편.
  15. 제 14 항에 있어서,
    표면에 Sn 도금층 또는 Ag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용 가동편.
KR1020187021014A 2016-03-30 2017-03-29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KR102296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9080 2016-03-30
JP2016069080 2016-03-30
JPJP-P-2017-063418 2017-03-28
JP2017063418A JP6226098B2 (ja) 2016-03-30 2017-03-28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バスバー、及び、リレー用可動片
PCT/JP2017/012914 WO2017170699A1 (ja) 2016-03-30 2017-03-29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バスバー、及び、リレー用可動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49A KR20180125449A (ko) 2018-11-23
KR102296652B1 true KR102296652B1 (ko) 2021-08-31

Family

ID=6004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014A KR102296652B1 (ko) 2016-03-30 2017-03-29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38298B1 (ko)
JP (1) JP6226098B2 (ko)
KR (1) KR102296652B1 (ko)
CN (1) CN108431257B (ko)
MX (1) MX2018011658A (ko)
TW (1) TWI703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0733A1 (ja) 2016-03-30 2017-10-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バスバー、及び、リレー用可動片
WO2017170699A1 (ja) 2016-03-30 2017-10-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バスバー、及び、リレー用可動片
MX2020009869A (es) 2018-03-30 2020-10-12 Mitsubishi Materials Corp Aleacion de cobre para dispositivo electronico/electrico, material en lamina/tira de aleacion de cobre para dispositivo electronico/electrico, componente para dispositivo electronico/electrico, terminal, y barra colectora.
JP7180102B2 (ja) * 2018-03-30 2022-11-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JP6780187B2 (ja) 2018-03-30 2020-11-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JP7180101B2 (ja) * 2018-03-30 2022-11-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US11781234B2 (en) 2018-12-26 2023-10-10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opper alloy plate, plating film-attached copper alloy plate, and methods respectively for manufacturing these products
CN110172609A (zh) * 2019-05-16 2019-08-27 红河学院 一种高强度高导电率铜镁系合金及其制备方法
JP7443737B2 (ja) * 2019-12-10 2024-03-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銅合金板、めっき皮膜付銅合金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318A (en) 1969-02-24 1973-12-11 Cooper Range Co Copper base composition
WO2005028143A1 (ja) 2003-09-24 2005-03-31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連続鋳造鋳型及び銅合金の連続鋳造方法
JP2013189681A (ja) 2012-03-14 2013-09-26 Dowa Metaltech Kk 銀めっき材
JP2015048503A (ja) 2013-08-30 2015-03-16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通電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5783Y2 (ko) 1971-08-06 1975-12-25
JPS58199835A (ja) * 1982-05-19 1983-1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又は電子機器用銅合金
JP2661462B2 (ja) * 1992-05-01 1997-10-08 三菱伸銅株式会社 繰り返し曲げ性にすぐれた直経:0.1mm以下のCu合金極細線
JP4516154B1 (ja) * 2009-12-23 2010-08-04 三菱伸銅株式会社 Cu−Mg−P系銅合金条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502486B (zh) * 2012-04-04 2016-06-22 三菱伸铜株式会社 具有优异的耐疲劳特性的Cu-Mg-P系铜合金板及其制造方法
JP5908796B2 (ja) * 2012-06-05 2016-04-26 三菱伸銅株式会社 機械的な成形性に優れたCu−Mg−P系銅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54085B2 (ja) * 2012-07-24 2016-12-27 三菱伸銅株式会社 曲げ加工後のばね限界値特性及び耐疲労特性に優れたCu−Mg−P系銅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55242B2 (ja) * 2012-08-30 2016-12-27 三菱伸銅株式会社 Cu−Mg−P系銅合金Snめっき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6724B2 (ja) 2012-12-06 2017-02-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2707B2 (ja) * 2013-07-31 2016-08-0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の製造方法、電子・電気機器用部品及び端子
JP5847787B2 (ja) * 2013-11-26 2016-01-2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導電性及び応力緩和特性に優れる銅合金板
JP6187629B1 (ja) * 2016-03-30 2017-08-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318A (en) 1969-02-24 1973-12-11 Cooper Range Co Copper base composition
WO2005028143A1 (ja) 2003-09-24 2005-03-31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連続鋳造鋳型及び銅合金の連続鋳造方法
JP2013189681A (ja) 2012-03-14 2013-09-26 Dowa Metaltech Kk 銀めっき材
JP2015048503A (ja) 2013-08-30 2015-03-16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通電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86664A (ja) 2017-10-12
MX2018011658A (es) 2018-12-19
EP3438298A1 (en) 2019-02-06
TW201738394A (zh) 2017-11-01
CN108431257B (zh) 2020-07-28
KR20180125449A (ko) 2018-11-23
EP3438298A4 (en) 2019-12-11
TWI703225B (zh) 2020-09-01
JP6226098B2 (ja) 2017-11-08
CN108431257A (zh) 2018-08-21
EP3438298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652B1 (ko)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KR102327539B1 (ko)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조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버스바, 및 릴레이용 가동편
CN107208189B (zh) 铜合金、铜合金塑性加工材、组件、端子及汇流条
KR102254086B1 (ko)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박판,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및 버스 바
WO2017170699A1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バスバー、及び、リレー用可動片
JP6758746B2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板条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KR102474009B1 (ko)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소성 가공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및, 버스바
CN103502487B (zh) 电子设备用铜合金、电子设备用铜合金的制造方法、电子设备用铜合金塑性加工材料、及电子设备用组件
JP5910790B1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KR102591742B1 (ko)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전기 기기용 구리 합금판 스트립재, 전자·전기 기기용 부품, 단자, 및 버스바
KR20130010018A (ko)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의 제조 방법,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 압연재, 및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이나 전자 기기용 구리 합금 압연재로 이루어지는 전자 전기 부품, 단자 또는 커넥터
JP6680041B2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JP6187629B1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WO2017043577A1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JP6680042B2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CN114302975B (zh) 电子电气设备用铜合金﹑电子电气设备用铜合金板条材、电子电气设备用组件、端子及汇流排
JP2017179492A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端子、及び、バスバー
JP6248386B2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部品及び端子
JP7187989B2 (ja)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