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035B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035B1
KR102296035B1 KR1020170106642A KR20170106642A KR102296035B1 KR 102296035 B1 KR102296035 B1 KR 102296035B1 KR 1020170106642 A KR1020170106642 A KR 1020170106642A KR 20170106642 A KR20170106642 A KR 20170106642A KR 102296035 B1 KR102296035 B1 KR 10229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ade
housing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44A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투과창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며,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와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부는,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블레이드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화상을 수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며,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감시 카메라의 성능은 카메라에 좌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는 많은 경우 건물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와 하우징 내부 사이의 온도차, 외부의 날씨 등에 따라 투과창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다. 이러한 물방울은 투과창으로 들어오는 빛을 절곡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나 구조들이 감시 카메라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2378호(발명의 명칭: 감시카메라 장치, 출원인: 한화테크윈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237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투과창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며,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와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부는,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블레이드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도록 배치되며, 끝단에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부가 결합하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구동부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하며, 조립 후 작동 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과창을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가력부 및 샤프트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 고정브라켓, 감지부 및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 샤프트(120), 가력부(130), 샤프트고정브라켓(140), 와이퍼부(150), 고정브라켓(160), 구동부(170), 회로기판(180), 회전부(191), 감지부(19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부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창(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과창(111)은 아크릴, 유리 등과 같이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고정브라켓(14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10) 또는 샤프트고정브라켓(140) 중 하나는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또는 샤프트고정브라켓(140) 중 다른 하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후 볼트,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10)이 상기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샤프트고정브라켓(140)은 상기 삽입홈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샤프트(12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구동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구동부(170)의 회전력을 와이퍼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가력부(130)는 샤프트(1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와이퍼부(150)와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가력부(130)가 삽입되는 수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부(130)는 와이퍼부(150)를 일정 힘으로 가력하도록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가력부(130)는 압축스프링, 탄성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고정브라켓(140)은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고정브라켓(140)은 중앙 부분에 샤프트(120)가 관통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고정브라켓(140)의 내부에는 베어링(193)이 배치될 수 있으며, 베어링(193) 내부에는 샤프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제1 실링부(194)가 배치되고, 샤프트고정브라켓(140)에는 제2 실링부(195)가 배치되어 샤프트(120)를 따라 이동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20)는 제1 실링부(194) 및 제2 실링부(19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실링부(194)는 수용홈(113)과 샤프트(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실링부(195)는 샤프트고정브라켓(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실링부(194)와 제2 실링부(195)는 오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부(150)는 샤프트(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투과창(111)과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부(150)는 샤프트(120)의 회전에 따라 회동 운동함으로써 투과창(111)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브라켓(160)은 하우징(110) 내부 또는 후술할 메인하우징(미도시)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60)은 구동부(170) 및 회로기판(18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동부(170)는 고정브라켓(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60)은 구동부(170)가 안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70)는 샤프트(120)와 연결되어 샤프트(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17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80)은 고정브라켓(160)에 배치되어 고정브라켓(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80)은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후술할 카메라(미도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감지하거나 분석할 수 있다.
회전부(191)는 샤프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92)는 회로기판(180)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92)는 회전부(19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상기 메인하우징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60)은 상기 메인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 또는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쿨링팬(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투과창(111)을 통과한 빛은 상기 카메라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인 작동하는 동안 투과창(111)에 이슬, 성애 등으로 인하여 물방울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붙을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시 카메라(100)는 와이퍼부(1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70)가 작동하는 경우 구동부(170)의 회전력을 샤프트(120)를 통하여 와이퍼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와이퍼부(150)는 일정 각도 회전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투과창(111)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감지부(192)와 회전부(191)는 샤프트(12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거나 샤프트(120)의 회전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감지부(192)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구동부(170)의 작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는 투과창(111)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설치 또는 작동 시 공차 등에 의하여 구동부(170), 샤프트(120), 와이퍼부(150)의 회전 중심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구동부(170)의 작동을 와이퍼부(150)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와이퍼부(150)는 블레이드(151), 블레이드하우징(152), 고정부(153), 연결브라켓(154), 연결부재(155), 탄성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51)는 블레이드하우징(15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하우징(152)과 결합하는 블레이드(151) 부분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가짐으로써 블레이드하우징(152)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블레이드하우징(152)은 블레이드(151)를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부(15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하우징(152)은 블레이드(151)의 요철 구조 중 인입된 부분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52a)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53)는 샤프트(미도시)와 블레이드하우징(15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53)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하는 결합부(153a)와 결합부(153a)로부터 절곡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53a)는 상기 샤프트의 외면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샤프트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3a)는 상기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53a)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위치를 조정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153a)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된 후 상기 샤프트와 결합부(153a)를 고정시키도록 배치되는 볼트, 나사 등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53b)는 결합부(153a)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3b)는 결합부(153a)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53b)는 블레이드하우징(152)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하우징(152)은 지지부(153b)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하우징(152)은 지지부(153b)의 끝단에서 지지부(153b)와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블레이드(151)의 작동 시 블레이드(151)와 투과창(미도시) 사이의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54)은 고정부(153)와 블레이드하우징(15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브라켓(154)은 블레이드하우징(152)의 측면과 지지부(153b)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55)는 연결브라켓(154)을 지지부(153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55)는 스터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155)는 연결브라켓(154)과 지지부(15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156)는 지지부(153b)와 연결브라켓(154)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브라켓(154)에 본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156)는 압축스프링 또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탄성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56) 내부에는 연결부재(155)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탄성부(156)는 초기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156)는 연결브라켓(154)을 통하여 블레이드하우징(152)을 가력함으로써 블레이드(151)와 상기 투과창 사이의 접촉력을 블레이드(15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51)와 상기 투과창이 접촉한 상태에서 블레이드(151)가 운동하는 경우 블레이드(151)가 고정된 상태라면, 블레이드(151)의 손상, 블레이드(151)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상기 투과창과 블레이드(151)의 접촉력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151)가 단순히 고정된 구조에서는 블레이드(151)가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설계 공차, 조립 공차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블레이드(151)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투과창과 블레이드(151) 사이의 접촉력이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51)를 중앙에서 고정하거나 중앙에서 누르는 경우 블레이드(151)의 양단에서 반박력이 발생함으로써 블레이드(151)의 양단에서 상기 투과창에 접촉하지 못하거나 균일한 접촉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53b)의 끝단에서 블레이드하우징(15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블레이드(151)의 다른 끝단에서는 탄성부(156)를 통하여 블레이드(151)를 가력함으로써 블레이드(151)의 양단에서 상기 투광창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접촉력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탄성부(156)는 블레이드(151)가 상기 투과창에 접촉하여 운동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지지부(153b)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151)의 양단에서 접촉력이 서로 상이한 경우 연결부재(155)를 조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는 블레이드(151)와 상기 투과창 사이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투과창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블레이드(15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투과창과 블레이드(151)의 접촉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가력부 및 샤프트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샤프트(120)는 제1 샤프트(121), 유니버셜조인트(123), 제2 샤프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샤프트(121)는 와이퍼부(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122)는 구동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1)는 샤프트고정브라켓(14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122)는 구동부(미도시)의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샤프트(122)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은 회전부(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샤프트(122)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니버셜조인트(123)는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샤프트(121) 및 제2 샤프트(12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유니버셜조인트(123)는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가 정위치에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부(170)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21)의 끝단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유니버셜조인트(123)는 제1 샤프트(121) 및 제2 샤프트(122) 중 적어도 하나가 정위치에 설치되지 못하거나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의 회전 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구동부(170)의 회전력을 제1 샤프트(121)를 통하여 제2 샤프트(122)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샤프트(120)에는 가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와이퍼부(미도시)를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0)는 상기 와이퍼부와 투과창(미도시) 사이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샤프트고정브라켓(140)은 하우징(미도시)과 결합하여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고정브라켓(140) 내부의 베어링(193)의 전면에는 제1 실링부(194)가 배치되어 제1 샤프트(121)를 통하여 베어링(193) 또는 샤프트고정브라켓(14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샤프트(120)는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회전이 샤프트(120)의 끝단으로 전달되는 경우 샤프트(120)의 끝단이 한점에서 원형 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동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 및 샤프트(120) 중 적어도 하나의 손상이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니버셜조인트(123)를 사용함으로써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22)의 설치 위치가 기존의 설계 위치와 어긋나거나 회전 중심이 약간 상이하더라도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1 샤프트(121)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미도시)는 와이퍼부(미도시)의 정확한 운동을 구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 고정브라켓, 감지부 및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구동부(170)는 제2 샤프트(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70)는 고정브라켓(16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구동부(170)는 고정브라켓(1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할 수 있다.
회로기판(180)은 고정브라켓(160)과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80) 및 구동부(170)는 고정브라켓(160)에 결합하여 어셈블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91)는 제2 샤프트(122)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회전부(191)는 제2 샤프트(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122)의 다앙?h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홀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91)는 감지부(192) 측으로 돌출되는 회전플레이트(19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전플레이트(192a)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플레이트(192a)는 부체꼴 형상일 수 있다.
감지부(19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회로기판(18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92)는 광생성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생성부는 빛 또는 레이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이러한 빛 또는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170)가 작동하는 경우 구동부(170)의 회전력을 제2 샤프트(12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91)는 제2 샤프트(122)에 결합하여 제2 샤프트(122)의 회전 시 제2 샤프트(1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부(192)는 회전부(191)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192)는 회전부(191)의 개구된 부분이 끝나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91)의 개구된 부분에서는 광생성부에서 생성된 빛 또는 레이저가 수광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부(192)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170)는 상기 신호에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회전플레이트(192a) 부분이 감지부(192)에 도달하면 빛생성부에서 생성된 빛 또는 레이저가 차단됨으로써 수광부에서 빛 또는 레이저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부(192)는 상기와 반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170)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와 반대로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감지부(192)는 회전플레이트(192a) 부분에서 구동부(1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신호를 생성하고, 회전플레이트(192a)가 끝나는 경우 구동부(17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부(170)는 회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바꾸어줌으로써 와이퍼부(미도시)가 왕복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부(170), 고정브라켓(160), 회로기판(180), 회전부(191), 회로기판(180)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91) 및 감지부(192)는 구동부(170)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부(192)와 회전부(191)의 위치가 서로 어긋남으로써 감지부(192)에서 감지된 결과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는 구동부(170)의 회전을 정밀하게 제어 가능함으로써 상기 와이퍼부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110: 하우징
111: 투과창
113: 수용홈
120: 샤프트
121: 제1 샤프트
122: 제2 샤프트
123: 유니버셜조인트
130: 가력부
140: 샤프트고정브라켓
150: 와이퍼부
151: 블레이드
152: 블레이드하우징
153: 고정부
154: 연결브라켓
155: 연결부재
156: 탄성부
160: 고정브라켓
170: 구동부
180: 회로기판
191: 회전부
192: 감지부
192a: 회전플레이트
193: 베어링
194: 제1 실링부
195: 제2 실링부

Claims (6)

  1. 투과창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하며,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와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부는,
    상기 투과창을 청소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블레이드하우징;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결합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투과창 사이의 접촉력을 조절하도록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 압축스프링 또는 탄성바인 가력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의 양단 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의 양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도록 배치되며, 끝단에 상기 블레이드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부가 결합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구동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하는 회전부;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KR1020170106642A 2017-08-23 2017-08-23 감시 카메라 KR10229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42A KR102296035B1 (ko) 2017-08-23 2017-08-23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42A KR102296035B1 (ko) 2017-08-23 2017-08-23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44A KR20190021644A (ko) 2019-03-06
KR102296035B1 true KR102296035B1 (ko) 2021-08-31

Family

ID=6576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642A KR102296035B1 (ko) 2017-08-23 2017-08-23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3249A (zh) * 2019-12-30 2020-05-15 陕西格兰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图像采集系统
CN111684959B (zh) * 2020-06-12 2021-11-16 盐城万洋农副产品有限公司 一种高精度农业大棚种植用物联网植物生长监控装置
CN111770257B (zh) * 2020-07-22 2021-07-23 广州狸园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监控装置
KR102337885B1 (ko) * 2020-08-18 2021-12-10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와이퍼가 구비된 옥외 감시카메라
CN112108415A (zh) * 2020-09-16 2020-12-22 柳州银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防碰预警监控设备
CN112495858A (zh) * 2020-11-12 2021-03-16 湖南宇尚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实时监测装置
KR102301660B1 (ko) * 2021-01-22 2021-09-14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윈도우 회전형 센서 클리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827A (ja) * 2001-07-30 2003-02-14 Hokkaido Electric Power Co Inc:The カメラハウジング
KR101482759B1 (ko) * 2014-07-23 2015-01-26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124A (ko) * 2011-10-27 2013-05-07 환 밍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감시 카메라용 자동 청소 장치
KR102170690B1 (ko) 2014-06-11 2020-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장치
KR20160071289A (ko) * 2014-12-11 2016-06-21 윤정식 감시카메라 하우징의 카메라보호창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827A (ja) * 2001-07-30 2003-02-14 Hokkaido Electric Power Co Inc:The カメラハウジング
KR101482759B1 (ko) * 2014-07-23 2015-01-26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44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035B1 (ko) 감시 카메라
JP6211417B2 (ja) 監視カメラ装置
EP3815978B1 (en) Sensor mounting apparatus
KR101189981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JP4155781B2 (ja) スライド装置のシール構造
KR101482759B1 (ko)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
KR20060016336A (ko) 에어벤트 그릴의 힌지구조
KR102213523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US20200047718A1 (en) Cleaning device
CN110680233A (zh) 清洁设备及吸尘器
KR20160071289A (ko) 감시카메라 하우징의 카메라보호창 세척장치
KR10249466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20080105844A1 (en) Damper assembly exploiting a crankshaft
KR100799736B1 (ko) 감시카메라용 수평 수직 회전 장치
KR200494074Y1 (ko) 촬상 장치
JP3471337B2 (ja) カメラハウジング
CN214742857U (zh) 一种带缓冲限位装置的蛇形弹簧联轴器以及轮毂
KR200192777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KR100689288B1 (ko) 벽체 부착형 브래킷의 결합구조를 갖는 씨씨디 카메라 장치
JP554273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984423B2 (ja) ワイパー装置
KR102677127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12148763U (zh) 一种电动刮雨器以及车辆
CN219210777U (zh) 雨刷组件及监控装置
CN113681354B (zh) 一种反馈元件安装结构及应用其的超精密级静压导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