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777Y1 -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 Google Patents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777Y1
KR200192777Y1 KR2020000006654U KR20000006654U KR200192777Y1 KR 200192777 Y1 KR200192777 Y1 KR 200192777Y1 KR 2020000006654 U KR2020000006654 U KR 2020000006654U KR 20000006654 U KR20000006654 U KR 20000006654U KR 200192777 Y1 KR200192777 Y1 KR 200192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acket
dome
coupled
circuit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권
Original Assignee
황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권 filed Critical 황대권
Priority to KR2020000006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카메라와 렌즈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돔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고정물에 상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의 일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카메라와 렌즈가 지지되는 제 2 브라켓, 자신의 개방부인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및 돔의 개방부측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돔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 형상의 커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부품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된 제어부를 접속시키는 케이블을 밀폐보호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CLOSED CIRCUIT TELEVISION APPARATUS}
본 고안은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와 렌즈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돔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란, 시각적 정보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방범, 화재, 안전관리, 시설물 보호 및 상태감시 등을 위한 영상정보를 특정 소수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감시 범위의 용도에 따라 고정 감시용과 회전 감시용으로 구분되고, 설치용도에 따라 실내형과 실외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의 실내 회전용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건물 등과 같은 고정물의 상부벽(20)에 저면이 개방된 하우징(11)이 로프(15)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우징(11)에는 상면이 개방된 돔(13)이 결합되고, 하우징(11)과 돔(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카메라(미도시)와 렌즈(미도시)가 수용된다. 하우징(11) 및 돔(13)의 개방부측 단면에는 하우징(11)과 돔(13)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테(11a,13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나사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하우징(11)과 돔(13)을 결합한다. 그러므로,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1)과 돔(13)을 결합하거나, 수리를 위하여 하우징(11)과 돔(13)을 분리하여야 할 경우 그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돔(13)은 외부에서 잘 식별할 수 없도록 반투명하게 마련되는데, 이로 인해, 돔을 투과하는 빛의 양이 감소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돔을 소정의 힘으로 밀거나 당기기만 하면 하우징에 돔을 착탈 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에 돔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렌즈가 위치되는 돔의 부위만을 투명하게 할 수 있도록 렌즈와 동일하게 돔이 회전되게 구성하여, 외부에서 잘 식별할 수 없음과 동시에 성능을 향상 시 킬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제 1 및 제 2 브라켓부의 개략적 저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13 : 걸림돌기.
120 : 돔. 120a : 투명부.
123 : 삽입돌기. 130 : 커버.
131 : 걸림편. 140,150 : 제1,2브라켓.
143 : 수용부. 160 : 덮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고정물에 상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의 일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카메라와 렌즈가 지지되는 제 2 브라켓; 자신의 개방부인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및 돔의 개방부측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돔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 형상의 커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부품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된 제어부를 접속시키는 케이블을 밀폐보호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로프 등에 의하여 고정물의 상부벽 등에 상면이 지지되는 하우징(110)을 가진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강성(剛性)을 보강하기 위한 굴곡면(111)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과 하우징(110)의 외측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를 접속시키는 케이블(미도시)을 밀폐시켜서 보호하기 위한 덮개(160)가 하우징(110)의 상면에 결합된다.
하우징(110)의 하면 및 돔(120)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호 결합되고, 하우징(110)과 돔(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돔(120)은 일부분만이 투명(120a)하게 마련되고 투명부(120a) 이외의 부분은 불투명하게 마련되며, 돔(120)의 단면(端面)에는 지지판(121)이 마련된다. 이는 후술한다.
하우징(110)의 개방부와 돔(120)의 개방부 사이에는 테 형상의 커버(130)가 마련된다. 커버(130)는 하우징(110) 및 돔(120)의 개방부측을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좋게 하기도 한다.
하우징(110)의 상면 내측에는 원형의 지지판(117)이 고정되고, 지지판(117)에는 제 1 브라켓(1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브라켓(140)은 하우징(110)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하우징(110)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제 1 브라켓(140)에는 제 1 브라켓(140)과 동일하게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제 1 브라켓(140)의 일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는 제 2 브라켓(150)이 결합된다. 제 2 브라켓(150)은 카메라(미도시) 및 렌즈(미도시)를 각각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브라켓(150a) 및 렌즈지지브라켓(150b)을 가진다. 이로인해, 상기 카메라와 렌즈는 제 1 브라켓(140)의 회전 및 제 2 브라켓(150)의 진자 형태의 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추적한다. 제 1 브라켓(140)의 회전을 위하여 제 1 모타(171) 및 제 1 기어(173)가 제 1 브라켓(140,150)에 마련되고, 제 2 브라켓(150)의 회전을 위하여 제 2 모타(175) 및 제 2 기어(177)가 제 1 및 제 2 브라켓(140,150)에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돔(120)과 커버(130)는 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용이하게 설치 및 수리를 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과 커버(130)의 착탈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부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하우징(110)의 개방부측 단면(端面)에는 원통형상의 걸림돌기(113)가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0)과 인접하는 걸림돌기(113)의 고정단부측 크기는 하우징(110)에서 이격된 걸림돌기(113)의 자유단부측 보다 더 작게 마련된다. 그리고, 커버(130)에는 걸림돌기(113)와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편(131)이 형성되고, 걸림편(131)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절개된 일측이 개방된 걸림홈(131a)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31a)의 폭의 길이는, 걸림돌기(113)의 고정단부측 지름의 길이 보다 조금 길게 마련되고 자유단부측 지름의 길이 보다는 작게 마련된다. 이는, 걸림홈(131a)에 걸림돌기(113)의 고정단부측이 삽입되었을 때, 걸림편(131)에 걸림돌기(113)의 자유단부측이 걸려서 커버(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10)의 개방부측을 덮는 형태로 커버(130)를 결합하고, 걸림홈(131a)의 개방부측이 향하는 방향으로 커버(13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13)의 고정단부측이 걸림홈(131a)에 삽입된다. 그러면, 걸림돌기(113)의 자유단부측이 걸림편(131)에 걸려서 하우징(110)과 커버(130)가 결합되고, 커버(1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우징(110)과 커버(130)가 분리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하우징(110)과 돔(120)의 착탈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B'부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돔(120)의 개방부측 단면(端面)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 지지판(121)에는 다수의 삽입돌기(123)가 마련된다. 이때, 삽입돌기(123)의 중앙부의 크기는 양단부의 크기 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브라켓(140)에는 삽입돌기(123)가 삽입되는 삽입공(141)이 형성된다. 삽입공(141)에는 삽입돌기(1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삽입공(141)과 연통된 탄성을 가진 수용부(143)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삽입돌기(123)를 삽입공(141)에 삽입한 후, 수용부(143)측으로 돔(120)을 밀면 삽입돌기(123)가 수용부(143)에 걸려서 돔(120)이 제 1 브라켓(140)에 결합되는 것이다. 반대로, 돔(120)을 수용부(143)의 타측으로 당기면, 돔(120)이 제 1 브라켓(1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제 1 브라켓(140)이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돔(120)이 제 1 브라켓(140)에 결합ㆍ분리되는 것은 하우징(110)에 결합ㆍ분리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제 1 브라켓(14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돔(120)도 제 1 브라켓(140)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제 2 브라켓(150)에 상기 렌즈가 설치되므로, 상기 렌즈는 제 2 브라켓(150)에 의하여 진자 형태의 운동을 하고 제 1 브라켓(140)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돔(120)은 제 1 브라켓(140)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는, 돔(120)을 기준으로 보면, 진자 형태의 운동만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의 진자 형태의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돔(120)의 부위만을 투명(120a)하게 형성하고 나머지 부위는 불투명하게 하면, 상기 렌즈는 외부에서 잘 식별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많아 성능이 좋아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제 1 및 제 2 브라켓(140,150)의 운동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및 제 2 브라켓부의 개략적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에는, 제 1 및 제 2 브라켓(140,1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마련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동작이 일정한 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접점이 전환되는 기기로, 접점기구와 상기 접점기구를 작동시키는 핀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6a를 먼저 설명하면,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는 제 1 스토퍼(181)가 마련되고, 제 1 브라켓(140)의 일측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185)가 마련된다. 제 1 브라켓(14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제 1 리미트 스위치(185)의 핀(185a)의 일단부측은 어느 하나의 제 1 스토퍼(181a)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핀(185a)의 타단부측은 제 1 리미트 스위치(185)의 어느 하나의 접점기구(185b)와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접점기구(185b)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제 1 브라켓(14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제 1 브라켓(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핀(185a)의 일단부측이 다른 하나의 스토퍼(181b)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핀(185a)의 타단부측은 다른 하나의 접점기구(185bb)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도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 1 브라켓(14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한다.
제 2 브라켓(150)의 진자 형태의 운동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스토퍼 및 리미트 스위치(191,195)가 제 1 및 제 2 브라켓(140,150)에 각각 설치된다. 제 2 스토퍼 및 리미트 스위치(191,195)는 제 1 스토퍼 및 리미트 스위치(181, 185)와 동일하게 작동하면서 제 2 브라켓(150)의 진자 형태의 운동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 2 리미트스위치(195)는 한 쌍의 접점기구(195a,195b)만을 가지고, 접점기구(195a,195b)에 제 2 스토퍼(191)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다.
즉, 제 1 및 제 2 브라켓(140,150)의 회전 및 진자 형태의 운동각도는, 제 1 스토퍼(181a,181b)의 간격 및 제 2 리미트스위치(195)의 접점기구(195a,195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는, 하우징의 개방부측에 커버를 접촉시키고 커버를 정ㆍ역회전시키면 하우징과 커버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된다. 또, 돔의 삽입돌기를 제 1 브라켓의 삽입공에 위치시켜서 돔을 제 1 브라켓측으로 밀거나, 반대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돔과 하우징이 결합 및 분리된다. 즉, 돔과 하우징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의 설치 및 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돔의 부위 중, 렌즈가 위치되는 부분만 투명하게 마련되고 그 외의 부분은 불투명하게 마련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를 잘 식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많아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고정물에 상면이 지지되며 하면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의 일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카메라와 렌즈가 지지되는 제 2 브라켓;
    자신의 개방부인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및 돔의 개방부측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돔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 형상의 커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부품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된 제어부를 접속시키는 케이블을 밀폐보호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에는 중앙부의 크기가 양단부의 크기 보다 작은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탄성을 가진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돔은 상기 렌즈의 진자 형태의 운동 경로에 대응되는 부위만 소정 폭으로 투명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자유단부측의 크기가 고정단부측의 크기 보다 큰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제 1 브라켓에는 상기 제 1 브라켓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브라켓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에는 상기 제 2 브라켓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스토퍼 및 상기 제 2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브라켓의 진자 형태의 운동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KR2020000006654U 2000-03-09 2000-03-09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KR200192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54U KR200192777Y1 (ko) 2000-03-09 2000-03-09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54U KR200192777Y1 (ko) 2000-03-09 2000-03-09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777Y1 true KR200192777Y1 (ko) 2000-08-16

Family

ID=1964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654U KR200192777Y1 (ko) 2000-03-09 2000-03-09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77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72B1 (ko) 2006-03-1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200452725Y1 (ko) 2009-04-07 2011-03-16 정성호 설치가 용이한 볼형 돔 감시카메라
KR200452721Y1 (ko) * 2009-04-03 2011-03-16 정성호 돔형 감시카메라의 장착 구조
KR101196958B1 (ko) 2005-11-02 2012-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1238248B1 (ko) * 2006-04-21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58B1 (ko) 2005-11-02 2012-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0708472B1 (ko) 2006-03-1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1238248B1 (ko) * 2006-04-21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200452721Y1 (ko) * 2009-04-03 2011-03-16 정성호 돔형 감시카메라의 장착 구조
KR200452725Y1 (ko) 2009-04-07 2011-03-16 정성호 설치가 용이한 볼형 돔 감시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3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KR200192777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KR102296035B1 (ko) 감시 카메라
US20100065406A1 (en) Interlock system and method for rotary disconnect switches
KR100775203B1 (ko) 돔 카메라
JP4464843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793096B1 (ko) 공압식 창호 자동개폐시스템
JP2006224842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の安全装置
JP2007102555A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KR100983736B1 (ko) 모터 보호용 배선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조립체
KR20100104901A (ko) 원터치식 개폐가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1163727B1 (ko) 차단기용 외부조작핸들장치
KR200180585Y1 (ko)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KR101606147B1 (ko) 점검구
KR101403903B1 (ko) 밸브용 탬퍼스위치
KR101403904B1 (ko) 밸브 탬퍼스위치용 스위치 박스
JPH11118236A (ja) 建造物用換気装置
KR20160004409U (ko) 조립이 용이한 등기구 장치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KR100567016B1 (ko) 컨베이어용 풀코드 스위치
KR200446255Y1 (ko)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회전체
JP4268584B2 (ja) 窓開閉装置の取付け方法
JP3213563U (ja) 照明装置
EP0961000A1 (en) Protection and safety device for automatic sliding gates
KR20040027198A (ko) 미닫이 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