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47B1 - 점검구 - Google Patents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47B1
KR101606147B1 KR1020120100576A KR20120100576A KR101606147B1 KR 101606147 B1 KR101606147 B1 KR 101606147B1 KR 1020120100576 A KR1020120100576 A KR 1020120100576A KR 20120100576 A KR20120100576 A KR 20120100576A KR 101606147 B1 KR101606147 B1 KR 101606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rim portion
button
ceiling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956A (ko
Inventor
마성훈
Original Assignee
마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성훈 filed Critical 마성훈
Priority to KR102012010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사각판 형태의 구조에서 탈피함과 동시에 주변 디자인의 미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킨 점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어 점검구에 있어서, 천장에 형성된 원형홀의 내주연 테두리를 감싸도록 삽입되는 원형테두리부; 상기 원형테두리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원형테두리부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원형밀폐부; 및, 상기 원형테두리부와 상기 원형밀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동링크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원형밀폐부가 상기 원형테두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동시키는 링크부; 를 포함하는 점검구를 개시하나.
그에 따른 점검구는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써, 종래 사각틀형상의 점검구에서 탈피하여 원형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런 인테리어가 시행된 천장에 삽입되어 주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게 되며 주변 디자인의 미를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검구{ACCESS DOOR}
본 발명은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상부 공간에 배치된 전기배선이나 각종 건축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한 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천장에는 각종 전기배선이나 통신 배선 또는 관로와 같은 건축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 경우, 건축물의 천장에는 상기 건축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점검구에 관한 종래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등록 특허 등록번호 제10-0456919호에서는 천장 상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천장 점검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래 점검구는 정의 개구부에 고정하는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에 힌지 결합된 도어부와 잠금 해정을 조절하는 잠금장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장치부는 조절손잡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개폐편, 상기 개폐편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주기위한 스프링, 및 상기 작동축과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부착되는 하우징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부가 천장의 상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부의 외면에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틀의 내면에는 돌출부를 형성됨으로써, 잠금장치의 잠금과 해정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도어가 외부틀과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잠기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 점검구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점검구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천장에 설치되는 점검구가 핀결합의 회동에 의해 열고 닫히는 경우 주변 구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형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각판 형태의 종래 점검구는 그 형상이 사각판 형태로만 한정되기 때문에 고급스런 인테리어 공사를 시행한 천장에 상기한 사각판 형태의 종래 점검구를 설치하게 되면 주변 디자인에 대한 미려함을 현저히 떨어 뜨리게 된다.
이와 같이 고급스런 인테리어 공사가 시행된 천
장에 사각판 형태의 종래 점검구를 설치하게 되면 주변 디자인의 미려함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하는 수 없이 종래 사각판 형태의 점검구를 설치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늘 존재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사각판 형태의 구조에서 탈피함과 동시에 주변 디자인의 미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킨 점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검구는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어 점검구에 있어서, 천장에 형성된 원형홀의 내주연 테두리를 감싸도록 삽입되는 원형테두리부; 상기 원형테두리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원형테두리부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원형밀폐부; 및, 상기 원형테두리부와 상기 원형밀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동링크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원형밀폐부가 상기 원형테두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동시키는 링크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써, 종래 사각틀형상의 점검구에서 탈피하여 원형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런 인테리어가 시행된 천장에 삽입되어 주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게 되며 주변 디자인의 미를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테두리부에서 원형밀폐부가 회동하는 개폐구동시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원형테두리부와 원형밀폐부가 사이에 링크부를 설치하여 회동시에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판부에 광학부재가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조명부를 배치하게 되므로, 주변에서 발생된 광의 투과, 확산 및, 반사시키는 형태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단순히 통로 기능만을 구현하던 종래 점검구와는 달리 점검구에 인테리어 효과를 가미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의 가압만으로도 원형밀폐부와 원형테두리부를 서로 간에 고정시키거나 서로 간에 고정을 해제할 수 있어 원형밀폐부를 원형테두리부에 열고 닫는 개폐구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의 원형밀폐부가 원형테두리부에서 회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밀폐부가 원형테두리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점검구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검구가 천장에서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삽입부를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튼삽입부와 버튼부 주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의 원형밀폐부가 원형테두리부에서 회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밀폐부가 원형테두리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점검구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검구가 천장에서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원형테두리부(10), 원형밀폐부(20) 및, 링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테두리부(10)는 원형삽입부(11)와 원형밀착부(12) 및 제1회동편(13)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삽입부(11)는 천장(1)에 형성된 원형홀(1a)의 내주연 테두리를 감싸도록 삽입되고, 원형링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천장(1)의 원형홀(1a)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이러한 원형삽입부(11)는 천장(1)의 원형홀(1a)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여 점검구를 원형홀(1a)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된 원형밀착부(12)와 제1회동편(13)이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게 된다. 이 경우, 원형삽입부(11)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더 구성되어 천장(1)에 체결이나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점검구를 천장(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원형밀착부(12)는 원형링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삽입부(11)의 하단외주연에서 연장되며 천장(1)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원형밀착부(12)는 원형삽입부(11)가 원형홀(1a)에 삽입시에 원형홀(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천장(1)의 하부면에 밀착됨으로써, 원형삽입부(11)가 천장(1)의 상부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회동편(13)은 원형삽입부(11)의 내주연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회동편(13)은 후술한 링크부(30)가 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링크부(30)를 원형삽입부(11)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후술한 원형밀폐부(20)가 원형삽입부(11)에서 회동하는 경우 링크부(30)와 원형삽입부(11)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원형밀폐부(20)는 외측테두리부(21)와 원판부(22) 및 제2회동편(23)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테두리부(21)는 원형밀착부에 밀착된다. 또한, 외측테두리부(21)는 천장(1)면과 유사한 형태의 마감재인 후술할 원판부(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부(22)와 끼움결합되거나 원판부(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영역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원판부(22)는 외측테두리부(21)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외측테두리부(21)의 내주연을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원판부(22)는 외측테두리부(21)의 내주연을 밀폐하여 천장(1)에 형성되는 원형홀(1a)을 마감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원판부(22)는 천장(1)면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동편(23)은 원판부(22)의 일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회동편(23)의 원판부(22)의 상부면 가운데 측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회동편(23)은 후술한 제2회동링크(32)가 핀결합된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제2회동링크(32)가 회동시에 제2회동핑크와 원판부(22)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30)는 제1회동링크(31)와 제2회동링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동링크(31)는 일단이 제1회동편(13)에 핀결합된다.
상기 제2회동링크(32)는 일단이 제1회동링크(31)의 타단에 핀결합된다. 또한, 제2회동링크(32)의 타단은 제2회동편(23)에 핀결합된다.
이러한 링크부(30)는 원형테두리부(10)와 원형밀폐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제1회동링크(31) 및 제2회동링크(32)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링크부(30)는 제1회동링크(31)와 제2회동링크(32)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링크부(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1)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써, 종래 사각틀형상의 점검구에서 탈피하여 원형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런 인테리어가 시행된 천장(1)에 삽입되어 주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원형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테두리부(10)에서 원형밀폐부(20)가 회동하는 개폐구동시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원형테두리부(10)와 원형밀폐부(20)가 사이에 링크부(30)를 설치하여 회동시에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광학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판부(22)는 내측에 삽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광학부재(40)는 원판부(22)의 삽입홀을 밀폐한 상태로 원판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부재(40)는 광을 투과시키는 부재, 광을 확산시키는 판형상의 부재 또는, 광을 투과시키는 천과 같은 직물 가운데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외표면에 광반사층이 형성됨으로써, 전등에서 발생하는 불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원판부(22)에 광학부재(40)가 결합되어 주변에서 발생된 광의 투과, 확산 및, 반사시키는 형태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단순히 통로 기능만을 구현하던 종래 점검구와는 달리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조명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50)는 원형테두리부(10)의 주변에 결합되며, 광을 발생시키며, 광의 조사방향이 광학부재(4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조명부(50)는 광학부재(40)에 광을 조사하여 광학부재(40)가 발광되는 형태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조명부(50)는 천장(1)의 상부 공간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광학부재(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부(50)는 천장(1)의 상부 공간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주변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저감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광학부재(40)는 광을 통과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조명부(50)에 의해 광학부재(40) 전체가 반짝이는 효과를 구현하여 점검구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삽입부를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튼삽입부와 버튼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밀폐부(20)는 몸체의 일부분에 버튼삽입공간(7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형밀폐부(20)는 외주연에 나선형의 가이드안내홈(74)이 형성되며 하방이 개구되는 통체형상의 버튼삽입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형테두리부(10)는 원형삽입부(11)의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탄성부재(60) 및 버튼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버튼삽입공간(71)에 삽입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0)는 탄성스프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70)는 일단이 탄성부재(60)에 밀착된 상태로 버튼삽입공간(71)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가이드안내홈(74)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편(75)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75)은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원형밀폐부(20)와 원형테두리부(10)간에 고정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먼저,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 고정시키는 경우, 걸림편(75)은 버튼부(70)가 탄성부재(60)에 의해 하방으로 밀착된 경우 걸림돌기부(73)에 결착되어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원형밀폐부(20)와 원형테두리부(10)간에 고정을 해제시키는 경우, 걸림편(75)은 버튼부(70)가 가압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안내홈(74)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부(73)와의 결착이 해제되어 원형밀폐부(20)와 원형테두리부(10)의 결착을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는 버튼부(70)의 가압만으로도 원형밀폐부(20)와 원형테두리부(10)를 서로 간에 고정시키거나 서로 간에 고정을 해제할 수 있어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 열고 닫는 개폐구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원형테두리부 11 ; 원형삽입부
12 ; 원형밀착부 13 ; 제1회동편
20 ; 원형밀폐부 21 ; 외측테두리부
22 ; 원판부 23 ; 제2회동편
30 ; 링크부 40 ; 광학부재
50 ; 조명부 60 ; 탄성부재
70 ; 버튼부

Claims (6)

  1. 천장에 형성된 원형홀이 내주연 테두리를 감싸도록 삽입되고 원형링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천장의 원형홀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원형삽입부(11)와 원형링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삽입부(11)의 하단 외주연에서 연장되며 상기 천장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원형밀착부(12)로 이루어지는 원형테두리부(10)와, 상기 원형테두리부(1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원형테두리부(10)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원형밀폐부(20) 및 상기 원형테두리부(10)와 상기 원형밀폐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동링크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원형밀폐부(20)가 상기 원형테두리부(1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동시키는 링크부(30)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치나 점검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원형삽입부(11)의 내주연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회동편(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원형밀폐부(20)는 상기 원형밀착부(12)에 밀착되는 외측테두리부(21)와 상기 외측테두리부(21)의 내주연에 결합되어 외측테두리부(21)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원판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부(22)의 일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회동편(23)이 더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30)는,
    상기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서 일정거리 이격(離隔)된 상태로 회동되어 상기 원형밀폐부(20)가 회동될 때 상기 원형테두리부(1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회동편(13)에 핀결합되는 제1회동링크(31) 및 일간이 제1회동링크(31)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제2회동편(23)에 핀결합되는 제2회동링크(3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밀폐부(20)에는,
    몸체의 일부분에 버튼삽입공간(7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선형의 가이드안내홈(74)이 형성되는 버튼삽입부(7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원형테두리부(10)에는,
    상기 원형삽입부(11)의 내주연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부(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버튼삽입공간(71)에 삽입되는 탄성부재(60)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6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버튼삽입공간(71)에 삽입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안내홈(7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원형밀폐부(20)를 원형테두리부(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형밀폐부(20)와 원형테두리부(10)간에 고정을 해제시키는 걸림편(75)이 돌출되는 버튼부(7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75)은,
    상기 버튼부(70)가 상기 탄성부재(60)에 의해 하방으로 밀착된 경우 상기 걸림돌기부(73)에 결착되어 상기 원형밀폐부(20)를 상기 원형테두리부(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버튼부(70)가 가압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안내홈(74)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돌기부(73)와의 결착이 해제되어 상기 원형밀폐부(20)와 상기 원형테두리부(10)의 결착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KR1020120100576A 2012-09-11 2012-09-11 점검구 KR101606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76A KR101606147B1 (ko) 2012-09-11 2012-09-11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76A KR101606147B1 (ko) 2012-09-11 2012-09-11 점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956A KR20140033956A (ko) 2014-03-19
KR101606147B1 true KR101606147B1 (ko) 2016-03-24

Family

ID=5064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576A KR101606147B1 (ko) 2012-09-11 2012-09-11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437A (en) * 2017-12-04 2019-07-31 Singh Degun Harmohinder Lights on in loft/attic visual alert
CN108791726A (zh) * 2018-07-26 2018-11-1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快拆机构、天花板系统及模块化居住舱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183Y2 (ja) 1993-12-20 1998-01-14 株式会社ユニオン 丸型天井点検口
KR200371916Y1 (ko) 2004-09-23 2005-01-10 최성순 천장점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183Y2 (ja) 1993-12-20 1998-01-14 株式会社ユニオン 丸型天井点検口
KR200371916Y1 (ko) 2004-09-23 2005-01-10 최성순 천장점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956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3224T3 (es) Aparato de instalación eléctrica
JP5981132B2 (ja) シール構造
KR101606147B1 (ko) 점검구
JP2020533509A (ja) 電気的ロックを備えたドアを開放および/または閉鎖するための電子デバイス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10073490A (ja) 埋込型照明器具
JP4216819B2 (ja) 回転つまみの防水構造
KR200451690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1513547B1 (ko) 조명등 케이스 및 이것을 이용한 led 조명등
JP2019103155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4029786A (ja) 照明装置
KR101883576B1 (ko) 천장 매입등
ES2501092T3 (es) Aparato eléctrico con tapa fijada en el elemento de montaje
KR101507870B1 (ko) 화장실 도어용 잠금 표시 장치
KR100923976B1 (ko) 스피커 커버 및 이를 갖는 스피커 장치
KR20090022109A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3644611B2 (ja) X線装置用ケーシング
KR200192777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KR200487608Y1 (ko)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KR200388844Y1 (ko) 터널등용 시건장치
KR101630348B1 (ko) 전자기파 차폐룸
JP2013206938A (ja) 蓄電型電動弁用制御盤の扉構造
JP6218655B2 (ja) 通風装置
JP2017045526A (ja) 照明器具
JPH10241453A (ja) 防水型非常用照明器具
JP7382808B2 (ja) 閉塞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