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08Y1 -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08Y1
KR200487608Y1 KR2020180001701U KR20180001701U KR200487608Y1 KR 200487608 Y1 KR200487608 Y1 KR 200487608Y1 KR 2020180001701 U KR2020180001701 U KR 2020180001701U KR 20180001701 U KR20180001701 U KR 20180001701U KR 200487608 Y1 KR200487608 Y1 KR 20048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tting
protrusion
main body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서원조명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조명공업(주) filed Critical 서원조명공업(주)
Priority to KR2020180001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등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에는 본체와의 결합을 제1 결합공과 설치벽, 일반적으로 천정과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피스의 삽입을 위해 노출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본 고안은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회전에 의해 한 번에 가리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감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유지 보수 시에 손쉽게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노출시켜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LIGHTING APPARATUS ASSEMBLY}
본 고안은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등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에는 본체와의 결합을 제1 결합공과 설치벽, 일반적으로 천정과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피스의 삽입을 위해 노출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본 고안은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회전에 의해 한 번에 가리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감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유지 보수 시에 손쉽게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노출시켜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설치벽, 보다 엄밀하게는 천정에 부착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95739호 "천정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커버의 조립과 분해를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하며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저벽(10), 측벽(12) 및 개방부(14)를 가진 상자형 몸체(16)의 저벽(10)에는 양쪽에 암나사구멍(18),(18')을 가진 스페이서(20)의 한쪽을 스크류(22)로 고정하고, 스페이서(20)의 암나사구멍(18')과 대응하는 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자형 몸체(16)의 개방부(14)쪽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커버(26)를 캡(30)으로 고정한 천정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커버를 본체에 캡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캡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캡, 볼트, 피스, 핀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3653호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조립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수용공간부(101)를 형성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1)에 설치되며 다수의 LED(210)가 집적되는 PCB기판(200); 상기 PCB기판(200)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컨버터(300); 상기 PCB기판(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LED(210)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플레이트(400); 상기 확산플레이트(400)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커버(500); 및, 상기 케이스(100), 확산플레이트(400) 및 커버(50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600)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와 확산플레이트(4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체결수단(600)에 의해 상호 일체화 조립되는 복수의 제1 체결공(150)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체결공(150) 사이에는 상기 체결수단(600)이 상기 커버(500), 확산플레이트(400), 케이스(1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면에 고정설치되도록 제2 체결공(16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커버(500) 사이에는 상기 제1 체결공(150)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연결부재(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방된 구멍에 착탈 가능한 마감캡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마감캡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각각의 구멍에 대응하는 별도의 마감캡들이 필요하며, 특히 유지보수 시 마감캡을 분리시키는 경우, 분실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3314호 "천정 등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저면이 개방되고 저면 둘레부에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천정에 설치되는 본체(10)와, 테두리형상으로 되어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2) 저면에는 걸림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공(14)에 탄성적으로 삽탈되는 탄성걸림돌기(24)가 형성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478893호 "조명등 커버프레임용 판스프링체결구"는 탄성을 갖는 판재의 가운데 부분을 1차로 접은 후에 양 말단에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각각 2차로 접
어서 형성되어, 상기 판재의 1차로 접힌 부위를 포함하여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인 삽입부; 및 상기 판재의 2차로 접힌 양 말단을 포함하여 고정홈에 삽입되어 걸림편의 내측에 고정되는 부분인 고정부;를 포함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폭이 상기 고정홈의 폭보다 커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기 양 말단 사이의 간격을 좁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의 상기 걸림편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탄성력이 있는 고정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와 커버를 원터치 결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미관은 수려할 수 있으나, 피스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탄성력 저하로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본체와 커버가 아닌 설치벽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안정성을 위하여 별도의 피스가 사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피스의 헤드부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천정에 구비되어 형광등이나 LED 등의 조명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결합공과,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본체와 커버프레임, 본체와 천정을 고정하기 위한 피스의 노출을 방지하여 미관이 수려한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끼움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을 개폐하는 가림부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를 끼움돌기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서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개폐할 수 있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된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끼움돌기에는 걸림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끼움공 내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된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는
커버프레임에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와 결합되도록 제1 피스가 삽입되는 제1 결합공과, 본체와 천정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피스가 관통되는 제2 결합공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 사이에 끼움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덮는 가림부와, 상기 가림부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끼움돌기로 이루어지는 마감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마감부재의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는
본체와 커버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해 커버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과, 본체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피스가 관통되는 제2 결합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 사이에 끼움공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상기 결합공들을 막아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이물질이 결합공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종래에는 각각의 구멍에 개별적으로 마감캡을 끼워넣었으나, 본 고안의 마감부재는 동시에 제1 및 제2 결합공을 한번에 가릴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보수를 위해 제1 및 제2 결합공을 노출시키는 경우에도, 커버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분실 위험이 없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에는 끼움공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되 이 끼움돌기에 플랙시블한 재질의 걸림부를 더 구비하여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공 내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마감부재(10)가 구비된 등기구 어셈블리(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B)와, 이 본체(B)에 구비되는 커버프레임(C) 및 상기 커버프레임(C)에 구비되는 마감부재(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B)와 커버프레임(C)은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 보다 정확하게는 천정에 내장되는 등기구의 구성요소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B) 내부에는 별도의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조명수단은 LED, 형광등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고, 일반적인 구성인 반사판, 투광판, 감압기 등의 구성 또한 종래의 등기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에 있어, 상기 본체(B)는 천정 내부에 인입되게 되고, 상기 커버프레임(C)이 상기 천정과 결합함으로서 등기구를 고정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B)는 커버프레임(C)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B)가 천정에 결합됨에 따라 등기구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피스는 볼트, 나사못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피스, 즉 나사못을 주로 이용함으로서 피스라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C)에는 본체(B)와 커버프레임(C)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1 피스(P1)가 끼워질 수 있는 제1 결합공(C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B)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피스(P2)가 관통될 수 있는 제2 결합공(C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개폐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전형 마감부재(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마감부재(10) 및 상기 결합공들은 상기 커버프레임(C), 구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프레임(C)의 각 모서리 주위에 네 개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마감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프레임(C)에는 끼움공(C3)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공(C3)은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 사이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끼움공(C3)에 마감부재(10)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0)를 회전시킴으로서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결합공(C1)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결합공(C1)에는 피스헤드안착홈(C11)이 더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 피스(P1)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피스(P1)의 헤드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홈으로서,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홈형성돌기(C111)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 제2 결합공(C2)은 상기 끼움공(C3)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구멍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본체(B)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피스(P2)가 관통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결합공(C2)은 제2 피스(P2)의 헤드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C), 보다 정확하게 상기 커버프레임(C)의 내측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버프레임(C)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D1)와 제2 지지돌기(D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 지지돌기(D1)는 상기 커버프레임(C)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D11)와, 상기 제1 돌기부(D11)로부터 제2 지지돌기(D2)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프레임(C)과 수평을 이루는 제1 수평부(D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지지돌기(D2)는 상기 커버프레임(C)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D21)와, 상기 제2 돌기부(D21)로부터 제1 지지돌기(D1)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프레임(C)과 수평을 이루는 제2 수평부(D23) 및 상기 제2 수평부(D23)와 연장되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3 수평부(D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평부(D13)과 제2 수평부(D23) 및 상기 커버프레임(C) 사이에는 공간부(D5)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돌기부(D11)와 제2 돌기부(D21)는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수평부(D13), 제2 수평부(D23) 및 제3 수평부(D25)가 모두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돌기(D1)와 제2 지지돌기(D2)는 본체(B)에 밀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홈형성돌기(C111)는 상기 공간부(D5)에 위치하게 되되, 상기 홈형성돌기(C111)가 상기 공간부(D5)를 이탈, 즉 상기 제1 지지돌기(D1)와 제2 지지돌기(D2)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커버프레임(C)이 본체(B)와 결합하는 경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3 수평부(D25)와 커버프레임(C) 사이에는 끼움공간(D27)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투광판이 끼움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 결합공(C1)은 제1 피스(P1), 즉 커버프레임(C)과 본체(B)를 결합하기 위한 제1 피스(P1)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피스(P1)의 헤드가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나,
상기 제2 결합공(C2)은 제2 피스(P2), 즉 본체(B)와 천정면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피스(P2)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멍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결합공(C2)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설치공(B2)이 형성되되, 이 설치공의 형상은 상기 제1 결합공(C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제2 피스(P2)의 헤드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재(1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감부재(10)는 상기 제1 결합공(C1) 및 제2 결합공(C2)을 덮을 수 있는 가림부(11)와, 상기 가림부(11)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공(C3)으로 끼워지는 끼움돌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림부(11)는 상기 끼움돌기(13)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가릴 수 있도록 제1 가림부(111)와 제2 가림부(112)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공(C3) 양측에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가림부(111)와 제2 가림부(112)가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개폐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끼움돌기(13)를 상기 끼움공(C3)에 끼워 넣으면, 상기 가림부(11)가 상기 커버프레임(C)의 외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가림부(111)와 제2 가림부(112)가 각각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가릴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감부재(10), 즉 상기 끼움돌기(13)가 끼움공(C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10)를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부(11)가 상기 커버프레임(C)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노출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설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제1 피스(P1) 또는 제2 피스(P2)를 제거하는 경우, 보다 손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간에 상기 마감부재(10)를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분실 위험이 없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끼움돌기(13)와 끼움공(C3)은 결합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일점쇄선은 상기 끼움돌기(13)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기(13)에는 상기 끼움돌기(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부(131)가 외면에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부(131)는 상기 끼움돌기(13) 단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기(13)가 끼움공(C3)을 관통하면, 상기 걸림부(131)가 끼움공(C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31)의 직경이 상기 끼움돌기(13)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에 따라 마감부재(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끼움돌기(13)를 끼움공(C3)에 끼워넣는 경우, 상기 걸림부(131)에 의해 끼움공(C3)을 관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끼움공(C3)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일정 힘을 가하면 상기 끼움공(C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돌기(13) 또한 복원력이 있는 플랙시블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하여 끼움공(C3)에 끼움돌기(13)를 끼워 넣을 때, 작업자가 모양을 변형시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끼움돌기(13)의 변형을 위하여 상기 끼움돌기(13)는 변형유도홈(133)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림부(11) 또한 상기 끼움돌기(1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끼움돌기는 상기 제1 지지돌기(D1)와 제2 지지돌기(D2) 사이의 공간부(D5)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끼움돌기(13)의 단부가 상기 공간부(D5)를 이탈하지 않도록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끼움돌기(13)로 인하여, 상기 커버프레임(C)과 본체(B)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커버프레임(C)에 밀착되는 본체(B)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림부(11),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 가림부(111) 또는 제2 가림부(112) 또는 이들 모두, 더욱 정확하게는 내측면(상기 커버프레임(C)과 밀착되는 면)에 홈부(114)를 더 구비하여 회전 시 상기 커버프레임(C)과 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등기구 어셈블리 B : 본체
P1 : 제1 피스 P2 : 제2 피스
C : 커버프레임 C1 : 제1 결합공
C2 : 제2 결합공 C3 : 끼움공
10 : 마감부재 11 : 가림부
111 : 제1 가림부 112 : 제2 가림부
114 : 홈부 13 : 끼움돌기
131 : 걸림부 133 : 변형유도홈
C11 : 피스헤드안착홈 C111 : 홈형성돌기
D1 : 제1 지지돌기 D2 : 제2 지지돌기
D11 : 제1 돌기부 D13 : 제1 수평부
D21 : 제2 돌기부 D23 : 제2 수평부
D25 : 제3 수평부 D5 : 공간부
D27 : 끼움공간 B2 : 설치공

Claims (4)

  1.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B)와, 상기 본체(B)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C)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버프레임(C)에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본체(B)와 결합되도록 제1 피스(P1)가 삽입되는 제1 결합공(C1)과, 본체(B)와 천정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피스(P2)가 관통되는 제2 결합공(C2) 및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 사이에 끼움공(C3)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덮는 가림부(11)와, 상기 가림부(11)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공(C3)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3)로 이루어지는 마감부재(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마감부재(10)의 끼움돌기(13)가 상기 끼움공(C3)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0)의 가림부(11)는
    상기 끼움돌기(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가림부(111)와 제2 가림부(112)로 이루어져 각각 제1 결합공(C1)과 제2 결합공(C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13)에는 상기 끼움공(C3) 내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돌기(1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걸림부(13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C)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D1)와 상기 제1 지지돌기(D1)와 이격되어 공간부(D5)를 형성하는 제2 지지돌기(D2)가 더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C3)을 관통한 마감부재(10)의 끼움돌기(13)는
    상기 공간부(D5)에 위치하되, 상기 끼움돌기(13)의 단부가 상기 공간부(D5)를 이탈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KR2020180001701U 2018-04-17 2018-04-17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KR20048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01U KR200487608Y1 (ko) 2018-04-17 2018-04-17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01U KR200487608Y1 (ko) 2018-04-17 2018-04-17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08Y1 true KR200487608Y1 (ko) 2018-12-05

Family

ID=6466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01U KR200487608Y1 (ko) 2018-04-17 2018-04-17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0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74A (ko) * 2009-04-20 2010-10-28 김연국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투광커버
KR200453653Y1 (ko) * 2011-03-08 2011-05-19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조립체
KR20120008208U (ko) * 2011-05-21 2012-11-29 이미옥 엘이디 천정등용 고정구
KR20170128162A (ko) * 2017-09-04 2017-11-22 신성식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74A (ko) * 2009-04-20 2010-10-28 김연국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투광커버
KR200453653Y1 (ko) * 2011-03-08 2011-05-19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조립체
KR20120008208U (ko) * 2011-05-21 2012-11-29 이미옥 엘이디 천정등용 고정구
KR20170128162A (ko) * 2017-09-04 2017-11-22 신성식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594B1 (ko) 투광확산판 고정구가 구비된 조명등
KR101175022B1 (ko)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 구조를 갖는 led 등기구
KR200487608Y1 (ko) 회전형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천정 등기구 어셈블리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KR20110130235A (ko) 조명등 기구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JP2002075043A (ja) 照明器具
KR101212410B1 (ko) 등기구 고정장치
JP2017033726A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78310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0423134Y1 (ko) 천장 부착용 조명등
KR100813508B1 (ko) 천장 부착용 조명등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101303132B1 (ko) 커버와 본체간의 용이한 착탈구조를 구비한 led면조명
JP5219257B2 (ja) 照明装置
KR101755419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200485227Y1 (ko) 다양한 조명 연출이 가능한 조명용 소켓
KR20180043214A (ko) 조명등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
KR20190003097U (ko) 양방향 원터치 조립식 조명등
KR101314219B1 (ko) 램프용 덮개
KR101363647B1 (ko) 조립식 조명등 커버
KR200383329Y1 (ko) 조명장치
KR101684142B1 (ko) 조명기구용 확산 커버 고정 구조
KR101194066B1 (ko) 천정등 케이스
KR101075186B1 (ko) 엘이디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