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831B1 -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831B1
KR102293831B1 KR1020167026130A KR20167026130A KR102293831B1 KR 102293831 B1 KR102293831 B1 KR 102293831B1 KR 1020167026130 A KR1020167026130 A KR 1020167026130A KR 20167026130 A KR20167026130 A KR 20167026130A KR 102293831 B1 KR102293831 B1 KR 10229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card
printed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054A (ko
Inventor
겐타 후치
나츠코 다카하시
히데유키 노구치
다카히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2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46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3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 B42D25/435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02Forms or constructions printed before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내마모성이 높고 또한 저비용이며, 문자 등의 표시를 카드에 가공 가능한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카드(1)는, 인쇄층(10)의 하측에 적층된 투명층(20)과, 투명층(20)의 하측에 적층된 중간층(30)을 구비하고, 투명층(20)의 레이저 가공 영역(15)을 투명층(20)이 잔존하도록 레이저 가공함으로써, 레이저 가공 영역(15)으로부터 투명층(20)을 통하여 중간층(30)층의 상면의 색채가 시인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D}
본 발명은 권면에 표시를 갖는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드 소유자의 성명의 표기 방법으로서, 열전사 방식에 의한 울트라 그래픽(UG)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종래의 울트라 그래픽은, 내마모 성능이 낮고, 또한 고비용이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0823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내마모성이 높고 또한 저비용이며, 문자 등의 표시를 카드에 가공 가능한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 구성은, 적절히 개량해도 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를 다른 구성물로 대체해도 된다.
ㆍ제1 발명은, 인쇄층(10, 310)과, 상기 인쇄층의 하측에 적층된 투명층(20, 720)과, 상기 투명층의 하측에 적층된 착색 시트층(30, 230, 330, 32)과, 레이저 조사에 의해 투명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투명층 노출부(15, 215, 315G, 415G, 615G, 715, 815B, 815W)를 구비하는 카드이다.
ㆍ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노출부(15, 215, 315G, 415G, 615G)는, 상기 투명층(20)을 투과하여 상기 착색 시트층(30, 230, 330)의 상면의 색채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광 회절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층 노출부는, 상기 광 회절 구조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레이저 발색층(720)이고, 상기 투명층 노출부(715, 815B)는, 상기 레이저 발색층이 레이저 발색한 색채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5 발명은, 제4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노출부(815)는, 상기 레이저 발색층(720)이 레이저 발색한 색채가 시인 가능한 레이저 발색 시인 범위(815B)와, 상기 레이저 발색층이 레이저 발색하지 않고, 상기 레이저 발색 시인 범위에 연속되고, 상기 레이저 발색층을 투과하여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색채가 시인 가능한 착색 시트층 시인 범위(815W)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30, 230, 330)은, 기재(32)와, 상기 기재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와는 상이한 색채로 인쇄된 착색 시트 인쇄층(31, 231, 331G)을 구비하고,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상면이 시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착색 시트 인쇄층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7 발명은, 제6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231)은, 복수의 색채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투명층 노출부(215G, 215S)에 있어서, 관찰되는 색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310)은, 무늬층(11)과, 상기 무늬층보다 하측에 적층된 색채 인쇄층(312W, 312S)을 구비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색채 인쇄층 노출부(315W, 315S, 415S, 515W, 515S, 615W, 615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투명층 노출부(415S, 615W), 상기 색채 인쇄층 노출부(415G, 615G)는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0 발명은, 제8 또는 제9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색채 인쇄층은, 제1 색채의 제1 색채 인쇄층(312W)과, 제1 색채 인쇄층보다 하측에 적층된, 상기 제1 색채와는 상이한 색채인 제2 색채의 제2 색채 인쇄층(312S)을 구비하고, 상기 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1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315W, 515W, 615W)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2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이 제거된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315S, 515S, 615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1 발명은, 제10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515W, 615W), 상기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515S, 615S)는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2 발명은, 제11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615W), 상기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615S)를 형성하는 오목부는, 서서히 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3 발명은,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10, 310)은, 무늬층(11)과, 상기 무늬층의 하측에 적층되고, 실크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 및 상기 투명층(20, 720)의 사이의 접착성을 발현하는 접착층(12, 312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4 발명은, 제13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접착층(12, 312S)은, 상기 카드의 내부 구성을 시인할 수 없도록 은폐하는 은폐층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5 발명은, 제1 내지 제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카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30, 230, 330)의 상면의 색채는 금계 또는 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이다.
ㆍ제16 발명은, 제1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이 레이저 조사로 제거되기 전의 상태의 상기 카드를 복수 배치한 시트재를, 각 카드로 개편화하는 개편 공정과, 개편화된 상기 카드에 대하여, 상기 인쇄층을 레이저 조사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투명층 노출부를 형성하는 투명층 노출부 형성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마모성이 높고 또한 저비용이며, 문자 등의 표시를 카드에 가공 가능한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드(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드(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카드(2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카드(3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카드(4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카드(5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6 실시 형태의 카드(6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7 실시 형태의 카드(7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8 실시 형태의 카드(8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드(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카드(1)를 권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의 (B)는, 카드(1)의 층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도 1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 1의 (C)는, 도 1의 (B)의 화살표(C)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및 도면에서는, 권면(카드 상면(1a))에서 본 상태의 카드(1)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 X, 짧은 방향을 종방향 Y라고 하고, 또한 두께 방향을 Z라고 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두께 방향 Z 등의 구성 등은,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적절히 크기를 과장한다.
[카드(1)의 구성]
카드(1)는, 리더 라이터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IC 카드이다.
카드(1)는, 상측(Z2)으로부터 하측(Z1)을 향하여 순서대로, 인쇄층(10), 투명층(20), 중간층(30)(착색 시트층), 모듈 기판(40), 중간층(50), 투명층(60)이 적층되어 있다.
인쇄층(10)은, 카드(1)의 최상층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층(10)은, 상측(Z2)으로부터 하측(Z1)을 향하여 순서대로, 무늬층(11), 접착층(12)(은폐층)이 적층되고, 또한 레이저 가공 영역(15)(투명층 노출부)을 구비한다.
무늬층(11)은, 카드(1)의 명칭 등을 갖는 무늬가 인쇄된 층이다. 무늬층(11)은, 오프셋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층(12)은, 실크 인쇄에 의해 민인쇄로 형성된다. 접착층(12)은, 인쇄층(10) 및 투명층(20) 사이를 접착한다.
또한, 접착층(12)은, 이하의 기능을 갖는다.
ㆍ접착층(12)은, 무늬층(11)의 하면에 민인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늬층(11)은 원하는 색채를 표현하기 쉽다. 이로 인해, 접착층(12)은, 무늬층(11)의 색조를 잘 표현할 수 있다.
ㆍ접착층(12)은, 이 카드(1)를 인쇄층(10)측(상측(Z2))에서 관찰한 상태에 있어서, 카드(1)의 내부 구성을 시인할 수 없도록 은폐한다.
또한, 이들 기능은, 접착층(12)을, 은폐력을 갖는 잉크, 은폐력을 갖는 색채(예를 들어, 은, 백색계)로 하면, 보다 유효하다.
레이저 가공 영역(15)은, 인쇄층(10)의 일부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투명층(60)이 노출된 영역이다. 도 1에서는, 레이저 가공 영역(15)의 형상은, 카드(1)의 소유자 성명 「ABCD EFGH」의 문자의 형상이다.
투명층(20)은 투명한 층이다. 투명층(20)은, 예를 들어 PC(폴리카르보네이트), PET-G(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VC(염화비닐) 등의 수지 시트이다.
중간층(30)은 카드(1)의 코어층이다.
중간층(30)은, 상측(Z2)으로부터 순서대로, 인쇄층(31)(착색 시트 인쇄층), 기재층(32)(기재)이 적층되어 있다.
인쇄층(31)은, 기재층(32) 자체의 색채와는 상이한 색채로 기재층(32)의 상측(Z2)에 인쇄되어 있다. 인쇄층(31)은, 실크 인쇄의 민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인쇄층(31)의 색채는 금계 또는 은계이다.
기재층(32)은 중간층(30)의 코어로 되는 층이다. 예를 들어, PC, PET-G, PVC 등의 수지 시트이다. 기재층(32) 자체의 색채는,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많이 유통되고 있는 백색계이다. 이로 인해, 기재층(32)은 저비용으로 입수 가능하다.
모듈 기판(40)은, IC 칩(41) 등의 전자 부품, 안테나(42)를 구비한다.
IC 칩(41)은 반도체 집적 회로 소자이다. IC 칩(41)은, 예를 들어 카드(1)의 소유자, 소유자를 인증하기 위한 비밀 번호 등이 기억되어 있다.
안테나(42)는, 외부의 리더 라이터(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을 행하는 루프 코일식 안테나이다. 안테나(42)는, 모듈 기판(40) 상면에 형성된 도체이며, 에칭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IC 칩(41)은, 안테나(42)를 통하여, 리더 라이터와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모듈 기판(40)은, 예를 들어 PET, PEN 등의 재료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모듈 기판(40)과, 중간층(30) 및 중간층(50)은 열용착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모듈 기판(40)의 외형은, 다른 층의 외형보다 한 치수 작다.
이에 의해, 모듈 기판(40)은, 모듈 기판(40)보다 외측의 주위(45)에 있어서, 중간층(30) 및 중간층(50)이 열용착됨으로써, 카드(1) 내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중간층(50) 및 투명층(60)은, 중간층(30) 및 투명층(20)에, 두께 방향(Z)에 있어서 대칭의 형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명층(60)의 하면 또는 상면에는, 카드 사용 방법 등을 설명하는 인쇄(도시하지 않음)가 되어 있다.
또한, 투명층(60) 및 중간층(50)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층(60) 및 중간층(50) 중 어느 하나에 접착용 실크 인쇄를 전체면에 행해도 된다.
[카드(1)의 외관]
카드(1)의 외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드 상면(1a))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영역(15)은, 인쇄층(10)이 제거되고, 투명층(20)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관찰자는, 카드(1)를 상측(Z2)에서 관찰하면, 레이저 가공 영역(15)으로부터는, 중간층(30)의 인쇄층(31)의 상면의 색채를 시인할 수 있다(화살표(L) 참조). 이에 의해, 관찰자는, 레이저 가공 영역(15)을 금색 또는 은색의 문자로 하여, 카드(1)의 소유자의 성명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 영역(15) 이외의 영역은, 무늬층(11)의 무늬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30)의 인쇄층(31)의 색채는, 금색 또는 은색에 한정되지 않고, 카드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에 의해, 카드(1)는 문자색을 원하는 색채로 할 수 있다.
(카드 단부면(1b))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단부면(1b)에는, 모듈 기판(40) 이외의 층(인쇄층(10), 투명층(20), 중간층(30), 중간층(50), 투명층(60))이 노출되어 있다.
중간층(30)의 기재층(32)과, 중간층(50)의 기재층은 백색계이며, 중간층(50), 투명층(60)이 투명하므로, 카드 단부면(1b)은 거의 백색인 것처럼 관찰된다.
또한, 중간층(30)의 인쇄층(31)은, 카드 단부면(1b)에 노출되어 있지만, 층의 두께가 충분히 얇다. 이로 인해, 인쇄층(31)은, 카드 단부면(1b)에 노출되어 있어도, 두드러지는 일이 없고, 외관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카드 제조 방법]
카드(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드(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작업자, 제조 기계 등은, 이하의 공정에 따라 카드(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카드 제조는, 카드(1)가 면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시트재(즉 다면을 갖는 시트재)를 각 카드로 개편으로 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는, 간략하여 1매의 예를 도시한다.
(인쇄층(10)의 전사 공정)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레이저 가공 영역(15)의 가공 전의 상태의 인쇄층(10)이 형성된 PET 시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투명층(20) 상에 전사한다(화살표(A10) 참조). 또한, 무늬층(11)은, 접착성이 낮은 오프셋 인쇄이지만, 접착층(12)이 접착을 발현하므로, 투명층(20) 상에 적층할 수 있다.
PET 시트 등은, 인쇄층(10)의 전사 후에, 투명층(20)으로부터 박리된다.
(인쇄층(31)의 인쇄 공정)
기재층(32)의 상면의 전체면에, 실크 인쇄에 의해 인쇄층(31)을 형성하여(화살표(A30) 참조), 중간층(30)을 제작한다.
(적층 공정)
상측(Z2)으로부터 순서대로, 인쇄층(10)이 전사된 투명층(20), 중간층(30), 모듈 기판(40), 중간층(50), 투명층(60)을 적층하여, 적층체(1A)를 제작한다.
(열프레스 공정)
적층체(1A)를 상하로부터 열프레스판(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끼워, 인쇄층(10)의 상면, 투명층(60)의 하면에서 가열 및 가압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에 의해, 적층체(1A)의 층간이 열용착된다. 소정의 프레스 시간이 경과하면, 적층체(1A)로부터 열프레스판을 이격하고, 적층체(1A)를 취출한다.
(개편 공정)
다면을 갖고 형성된 적층체(1A)를, 트리밍 다이에서 프레스하여 개편으로 한다.
(레이저 가공 공정(투명층 노출부 형성 공정))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소유자(신청자)의 성명을 입수하였으면, 개편화된 적층체(1A)를 레이저 가공기에 의해 레이저 가공함으로써, 투명층 노출부를 형성한다. 이 레이저 가공에서는, 레이저 조사함으로써, 투명층(20)이 잔존하고, 또한 투명층(20)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10)을 제거한다.
또한, 레이저 가공 공정은, 카드 발행 시에 행해도 된다. 즉, 레이저 가공 공정은, 카드 소유자의 고유 정보(계좌 번호, 비밀 번호 등)를 IC 칩(41)에 기입하는 공정과, 일련의 공정으로 행해도 된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 시에는, 인쇄층(10)이 발열한다. 이 열은, 중간층(30) 상에 투명층(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층(30)으로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중간층(30)의 인쇄층(31)의 색채는 금계 또는 은계이므로, 열 및 레이저광을 반사한다.
이로 인해, 카드(1)는, 레이저 가공에 수반하는 중간층(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카드(1)는, 투명층(20) 등에 의해, 중간층(30)을 손상시키지 않고, 레이저 가공 영역(15)의 모든 인쇄층(1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의 가공 조건(레이저의 출력, 가공 시간 등)은, 레이저 가공 영역(15)에 있어서, 인쇄층(10)을 모두 제거하고, 또한 중간층(30)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카드(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층(30) 등에 의해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므로, 이 조정의 폭이 커지기 때문에, 조건 설정이 용이하다.
또한, 투명층(20)이 두께 0.05mm 이상인 카드(1)는, 시험 제작에 의해, 중간층(30)을 손상없이 가공할 수 있다는 것과, 조건 설정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카드(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1)는, 카드 권면의 문자 등의 표시를, 인쇄층(10)의 레이저 가공 영역(15)을 제거하여 행한다. 이로 인해, 마모 등에 기인하여 표시가 사라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카드(1)는, 문자 표시를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울트라 그래픽 인자와 같은 전사 리본이 불필요하고, 저비용이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카드(2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카드(20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 이후의 구성, 도면 중의 부호에는, 적절히 은색의 관련 부분에 「S」, 금색의 관련 부분에 「G」를 첨부한다.
카드(201)의 레이저 가공 영역(215)(투명층 노출부)은, 성명 영역(215G), 계좌 번호 영역(215S)을 구비한다.
카드(201)의 중간층(230)의 인쇄층(231)(착색 시트 인쇄층)은, 금색으로 인쇄된 금색 인쇄 영역(231G)과, 은색으로 인쇄된 은색 인쇄 영역(231S)을 구비한다. 즉, 인쇄층(231)에는, 2개의 영역에 2색의 색채(복수의 색채)가 인쇄되어 형성되어 있다.
카드 상면에서 본 상태에서, 성명 영역(215G)은 금색 인쇄 영역(231G)에 설정되고, 또한 계좌 번호 영역(215S)은 은색 인쇄 영역(231S)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드 상면에서 관찰하면, 성명 영역(215G)에서는, 금색 인쇄 영역(231G)의 금색의 색채가 관찰되고, 그 문자가 금색의 색채로 관찰된다. 계좌 번호 영역(215S)에서는, 은색 인쇄 영역(231S)의 은색의 색채가 관찰되고, 그 문자가 은색의 색채로 관찰된다.
이와 같이, 카드(301)는, 레이저 가공 영역(215) 내에 있어서, 성명 영역(215G)과 계좌 번호 영역(215S)에서, 관찰되는 색채가 상이하다. 이에 의해, 카드(2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층(231)은, 금색, 은색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채여도 되며, 또한 이들 2색에 한정되지 않고 3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인쇄층(231)은, 색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그러데이션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문자를, 색채가 서서히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 처럼 관찰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 이후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카드(3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카드(30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B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 이후의 구성, 도면 중의 부호에는, 적절히 백색의 관련 부분에 「W」를 첨부한다.
중간층(330)의 인쇄층(331G)은, 기재층(32) 상에 금색으로 인쇄된 층이다.
또한, 인쇄층(310)은, 상측(Z2)으로부터 하측(Z1)을 향하여 순서대로, 무늬층(11), 백색 인쇄층(312W)(제1 색채 인쇄층), 은 인쇄층(312S)(제2 색채 인쇄층)을 구비한다.
백색 인쇄층(312W)은, 백색(제1 색채)의 인쇄층이다.
은 인쇄층(312S)은, 백색 인쇄층(312W)과는 상이한 색채인 은색(제2 색채)의 인쇄층이다. 은 인쇄층(312S)은, 제1 실시 형태의 접착층(12)과 마찬가지로, 층간의 접착, 무늬층(11)의 색조의 향상, 내부 구성의 은폐 등으로서도 기능하는 층이다.
카드(301)의 레이저 가공 영역은, 성명 영역(315G)(투명층 노출부), 계좌 번호 영역(315W)(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 기한 영역(315S)(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을 구비한다.
이들 영역(315G, 315W, 315S)은, 가공 시의 레이저 조사의 강도(레이저광 자체의 강도, 레이저광의 도트 밀도 등)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깊이로 가공되어 있다.
성명 영역(315G)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인쇄층(310)의 전체가 제거되고, 즉 카드 상면에서 보았을 때 투명층(20)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310)이 제거된 부분이다.
계좌 번호 영역(315W)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무늬층(11)이 제거되고, 즉 카드 상면에서 보았을 때 백색 인쇄층(312W)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310)이 제거된 부분이다.
기한 영역(315S)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무늬층(11) 및 백색 인쇄층(312W)이 제거되고, 즉 카드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은 인쇄층(312S)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310)이 제거된 부분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드 상면에서 관찰하면, 성명 영역(315G)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층(331G)의 금색의 색채가 관찰되고, 그 문자가 금색의 색채로 관찰된다. 또한, 계좌 번호 영역(315W)에서는, 백색 인쇄층(312W)의 백색의 색채가 관찰되고, 그 문자가 백색의 색채로 관찰된다. 기한 영역(315S)에서는, 은 인쇄층(312S)의 색채가 관찰되고, 그 문자가 은색의 색채로 관찰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가공 영역(315)의 각 영역(315G, 315W, 315S)은, 관찰되는 색채가 서로 다르다. 이에 의해, 카드(3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색 인쇄층(312W), 은 인쇄층(312S)의 인쇄 방법은, 실크 인쇄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인쇄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백색 인쇄층(312W)은 오프셋 인쇄층이고, 은 인쇄층(312S)은, 일반적으로 오프셋 인쇄보다 도막이 두꺼운 실크 인쇄층이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실크 인쇄층은, 오프셋 인쇄층보다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거되기 어렵고, 즉 레이저 조사에 의한 소산(燒散), 가스화에 의해 소실 등이 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오프셋 인쇄층인 백색 인쇄층(312W)을 제거하는 레이저 조사 시에 있어서, 실크 인쇄층인 은 인쇄층(312S)까지 제거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공성이 좋다.
또한, 무늬층(11) 및 백색 인쇄층(312W)의 사이에는, 무늬층(11)의 색조의 향상을 위해, 은폐력을 갖는 은색 등의 은폐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계좌 번호 영역(315W)에서는, 무늬층(11) 외에 이 은폐층을 제거함으로써, 백색 인쇄층(312W)을 노출시키면 된다.
또한, 인쇄층(310)의 색채 인쇄층은, 2색에 한정되지 않고, 3층 이상을 적층함으로써, 3색 이상을 표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3원색(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3층을 형성하여, 레이저 조사에 의한 도트 가공에 의해 이들 층을 선택적으로 관찰 가능함으로써, 여러가지 색채를 표현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층간에 은폐층을 형성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카드(4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성명 영역(415a)의 성명 「ABCD EFGH」(도 4의 (A) 참조)의 일부 문자 「A」를 확대하여 권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드(401)의 층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레이저 가공 영역(415)의 성명 영역(415a)의 형태만이 제3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명 영역(415a)의 문자 「A」는, 테두리가 씌워진 것처럼 관찰된다. 카드 상면을 보았을 때, 문자 「A」의 내부(415G)(투명층 노출부)와, 그 테두리부(415S)(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연속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415G), 테두리부(415S)는, 하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단, 내부(415G)와, 그 테두리부(415S)에서는, 저부의 깊이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저부의 깊이가 상이한 가공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조사의 강도가 양자에서 상이하도록 하면 된다.
내부(415G)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성명 영역(315G)(도 4 참조)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내부(415G)를 관찰하면, 투명층(20)이 노출되어 있다.
테두리부(415S)는, 제3 실시 형태의 기한 영역(315S)(도 4 참조)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테두리부(415S)를 관찰하면, 은 인쇄층(312S)이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문자 「A」는, 내부(415G)에서는 투명층(20)을 통하여 인쇄층(331G)의 금색의 문자로서 관찰되고, 또한 테두리부(415S)에서는 은 인쇄층(312S)의 은색에 의해 인쇄층(331G)의 금색의 문자를 테두리를 한 것처럼 관찰된다.
성명 영역(415a)의 다른 문자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카드(401)는, 성명 영역(415a)을 엠보싱 가공과 같이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카드(4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카드(5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기한 영역(515a)인 「11/17」(도 4의 (A) 참조)의 일부인 문자 「11」을 확대하여 권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드(501)의 층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레이저 가공 영역(515)의 기한 영역(515a)의 형태만이 제3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한 영역(515a)의 문자 「1」은, 테두리가 씌워진 것처럼 관찰된다. 카드 상면을 보았을 때, 문자 「1」의 내부(515S)(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와, 그 테두리부(515W)(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연속되어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 「1」의 내부(515S), 테두리부(515W)는, 하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단, 내부(515S)와, 그 테두리부(515W)에서는, 저부의 깊이가 상이하다. 이와 같이 문자 「1」의 오목부의 깊이가 상이한 가공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조사의 강도를 서로 상이하게 하면 된다.
내부(515S)는, 제3 실시 형태의 기한 영역(315S)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내부(515S)를 관찰하면, 은 인쇄층(312S)(제2 색채 인쇄층)이 노출되어 있다.
테두리부(515W)는, 제3 실시 형태의 계좌 번호 영역(315W)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테두리부(515W)를 관찰하면, 백색 인쇄층(312W)(제1 색채 인쇄층)이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문자 「1」은, 내부(515S)에서는 은 인쇄층(312S)의 은색(제2 색채)의 문자로서 관찰되고, 또한 테두리부(515W)에서는 백색 인쇄층(312W)의 백색(제1 색채)에 의해 은 인쇄층(312S)의 은색의 문자를 테두리를 한 것처럼 관찰된다. 기한 영역(515a)의 다른 문자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카드(501)는, 기한 영역(515a)을,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엠보싱 가공과 같이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카드(5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7은, 제6 실시 형태의 카드(6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카드(60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드(601)의 층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카드(601)는,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레이저 가공 영역(615)의 마크 영역(615a)을 새롭게 설정한 것이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크 영역(615a)의 외형은, 카드 상면에서 본 형상이 타원이다.
마크 영역(615a)은,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외측 영역(615W)(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 중간 영역(615S)(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 내측 영역(615G)을 구비한다.
외측 영역(615W) 및 중간 영역(615S)은 연속되어 있고, 또한 중간 영역(615S) 및 내측 영역(615G)은 연속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크 영역(615a)은, 하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단면 형상에 있어서, 외측 영역(615W), 중간 영역(615S)의 깊이는, 내측에 도달함에 따라 서서히 깊어지도록 변화한다. 깊이는,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깊이의 가공은, 레이저 조사의 강도를, 내측에 도달함에 따라 강해지도록 하면 된다.
내측 영역(615G)은, 성명 영역(315G)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해, 투명층(60)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30)이 제거되어 있다.
외측 영역(615W)은, 계좌 번호 영역(315W)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외측 영역(615W)을 관찰하면, 백색 인쇄층(312W)(제1 색채 인쇄층)이 노출되어 있다.
중간 영역(615S)은, 기한 영역(315S)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로 인해, 카드 상면에서 중간 영역(615S)을 관찰하면, 은 인쇄층(312S)(제2 색채 인쇄층)이 노출되어 있다.
내측 영역(615G)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층(60)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드 상면에서 마크 영역(615a)을 관찰하면, 외측 영역(615W)에서는 백색 인쇄층(312W)의 백색이 관찰되고, 중간 영역(615S)에서는 은 인쇄층(312S)의 은색이 관찰되고, 내측 영역(615G)에서는 인쇄층(331G)의 금색이 관찰된다. 이에 의해, 카드(6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영역(615W), 중간 영역(615S)의 저부의 단면 형상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외측 영역(615W)의 백색 인쇄층(312W)의 백색, 중간 영역(615S)의 은 인쇄층(312S)의 은색이 복잡하게 변화하므로, 복잡한 모양을 표현할 수 있다. 이 형태의 가공은, 백색 인쇄층(312W), 은 인쇄층(312S)의 내(耐)레이저 조사 성능에 따라, 레이저 조사의 강도를 복잡하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카드 제조 메이커 이외는, 같은 모양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로 인해, 이 형태라면 위조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8은, 제7 실시 형태의 카드(7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카드(701)를 권면에서 본 도면, 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B-B 단면도이다.
카드(701)는, 기재 적층체(730) 상에 인쇄층(10)을 적층한 것이다.
기재 적층체(730)는, 기재층(32)의 상면, 하면에 각각 레이저 발색층(720, 721)이 적층된 것이다.
기재 적층체(730)는, 레이저 발색층(720), 기재층(32), 레이저 발색층(721)이 이미 적층된 시트재를, 시장에서 구입해도 된다. 이러한 시트재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 가능하며,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또는, 기재 적층체(730)는, 카드 제조 시의 열프레스 공정(도 2 참조)에 의해, 이들 각 층을 열용착해도 된다.
기재층(32)의 상측의 층 구성은, 상측(Z2)으로부터 하측(Z1)을 향하여 순서대로, 무늬층(11), 접착층(12), 레이저 발색층(720), 기재층(32)이 적층된다. 이 층 구성은, 제1 실시 형태로부터 인쇄층(31)을 제거하고, 또한 투명층으로서 레이저 발색층(720)을 적층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레이저 발색층(720)은 투광성을 갖고, 무색, 투명하다. 레이저 발색층(720)은, 레이저광에 의해 발색하는 발색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레이저 발색층(720) 중 레이저광이 조사된 범위는, 발열하거나 또는 흑색으로 발색한다.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로 인해, 레이저 가공 영역(715)에서는, 인쇄층(10)은 제거되고, 또한 레이저 발색층(720)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레이저 가공 공정(투명층 노출부 형성 공정)에 의해 흑색으로 발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드 상면에서 관찰하면,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성명 「ABCD EFGH」의 문자의 형상이, 흑색으로 관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드(701)는, 이하와 같이 변형해도 된다.
(1) 레이저 가공 영역(715)에서의 레이저 조사는, 인쇄층(10)을 제거하고, 또한 레이저 발색층(720)을 흑색으로 발색하지 않을 정도로 행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레이저 발색층(720)은 투명한 상태이므로, 레이저 가공 영역(715)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발색층(720)보다 하측의 층이 관찰된다. 이로 인해,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성명은, 기재층(32)의 백색 문자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레이저 조사의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레이저 발색층(720)을, 완전한 흑색으로 발색하지 않는 상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성명은, 흑색과, 기재층(32)의 백색과의 중간색인 회색의 문자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레이저 발색층(720) 및 기재층(32)의 사이에, 제1 실시 형태의 인쇄층(31)과 마찬가지의 인쇄층을 형성하면, 레이저 가공 영역(715)의 성명은, 그 인쇄층의 색채로 관찰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카드(70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모듈 기판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기재 적층체(730)의 레이저 발색층(721)보다 하측에도, 인쇄층(무늬층(11), 접착층(12))이나 다른 층을 적층해도 된다.
(3) 본 실시 형태의 카드(701)는, 제2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변형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2 내지 제6 실시 형태에 대응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드(701)에, 제2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변형한 후에, 상기 (1), (2)의 변형을 행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뒤 두자리)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9는, 제8 실시 형태의 카드(8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레이저 가공 영역(815)의 성명 「ABCD EFGH」(도 8의 (A) 참조)의 일부인 문자 「A」를 확대하여 권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드(801)의 층 구성은,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레이저 가공 영역(815)(투명층 노출부)의 형태만이 제7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영역(815)의 문자 「A」는, 내부(815W)(착색 시트층 시인 범위), 테두리부(815B)(레이저 발색 시인 범위)를 구비한다.
테두리부(815B)는, 내부(815W)의 외측을 테두리를 한 것 같은 형태로, 내부(815W)에 연속되어 있다.
내부(815W)는, 레이저 발색층(720)이 레이저 발색하지 않는 범위이다.
테두리부(815B)는, 레이저 발색층(720)이 레이저 발색한 범위이다.
내부(815W), 테두리부(815B)에서는, 가공 시의 레이저 조사의 강도(레이저광 자체의 강도, 레이저광의 도트 밀도 등)가 서로 다르다. 즉, 레이저 조사의 강도는, 내부(815W)에서는, 인쇄층(10)을 제거하고, 또한 레이저 발색층(720)이 발색하지 않을 정도이고, 한편, 테두리부(815B)에서는, 인쇄층(10)을 제거하고, 또한 레이저 발색층(720)이 발색할 정도(즉, 내부(815W)보다 레이저 조사의 강도가 강함)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드 상면에서 관찰하면, 내부(815W)에서는, 레이저 발색층(720)을 투과하여 기재층(32)(착색 시트층)의 백색계의 색채가 시인 가능하고, 한편, 테두리부(815B)에서는, 레이저 발색층(720)이 레이저 발색한 흑색의 색채가 시인 가능하다. 레이저 가공 영역(815)의 다른 문자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카드(801)는, 레이저 가공 영역(815)의 다른 문자를, 엠보싱 가공과 같이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드(801)는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드(801)는, 이하와 같이 변형해도 된다.
(1) 기재 적층체(730)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쇄층(231)과 마찬가지의 인쇄층(착색 시트 인쇄층)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내부(815W)에서는, 그 인쇄층의 색채를 관찰할 수 있다.
(2) 제7 실시 형태의 (1) 내지 (3)의 변형은, 카드(8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변형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그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변형 형태는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 형태)
(1) 실시 형태의 중간층의 인쇄층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재 자체의 색채를, 레이저 가공 영역으로부터 투명층을 통하여 시인할 수 있다.
(2) 실시 형태의 모듈 기판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중간층을 하나의 중간층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드는, 예를 들어 자기 스트라이프, 바코드 등을 갖는 타입이어도 된다.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늬층은 최상층인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늬층보다 상측에는, 투명한 보호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 영역의 보호층 등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거하면 된다.
1, 201, 301, 401, 501, 601, 701: 카드
10, 310: 인쇄층
11: 무늬층
12: 접착층
15, 215, 315, 515, 615, 715, 815: 레이저 가공 영역
20: 투명층
30, 230, 330: 중간층
31, 231: 인쇄층
32: 기재층
215G: 성명 영역
215S: 계좌 번호 영역
231G: 금색 인쇄 영역
231S: 은색 인쇄 영역
312S: 은 인쇄층
312W: 백색 인쇄층
315G: 성명 영역
315S: 기한 영역
315W: 계좌 번호 영역
415G: 내부
415S: 테두리부
415a: 성명 영역
515S: 내부
515W: 테두리부
515a: 기한 영역
615G: 내측 영역
615S: 중간 영역
615W: 외측 영역
615a: 마크 영역
720: 레이저 발색층
815B: 테두리부
815W: 내부

Claims (15)

  1.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의 하측에 적층된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하측에 적층된 착색 시트층과,
    레이저 조사에 의해 투명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투명층 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층은 레이저 발색층이고,
    상기 투명층 노출부는, 상기 레이저 발색층이 레이저 발색한 색채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노출부는, 상기 투명층을 투과하여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상면의 색채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노출부는,
    상기 레이저 발색층이 레이저 발색한 색채가 시인 가능한 레이저 발색 시인 범위와,
    상기 레이저 발색층이 레이저 발색하지 않고, 상기 레이저 발색 시인 범위에 연속되고, 상기 레이저 발색층을 투과하여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색채가 시인 가능한 착색 시트층 시인 범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와는 상이한 색채로 인쇄된 착색 시트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상면이 시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착색 시트 인쇄층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은,
    복수의 색채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투명층 노출부에 있어서, 관찰되는 색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무늬층과,
    상기 무늬층보다 하측에 적층된 색채 인쇄층을 구비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색채 인쇄층 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8. 제7항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투명층 노출부, 상기 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인쇄층은,
    제1 색채의 제1 색채 인쇄층과,
    제1 색채 인쇄층보다 하측에 적층된, 상기 제1 색채와는 상이한 색채인 제2 색채의 제2 색채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1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인쇄층이 제거된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상기 제2 색채 인쇄층이 노출될 정도까지 인쇄층이 제거된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 상기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는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채 인쇄층 노출부, 상기 제2 색채 인쇄층 노출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는, 서서히 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2.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무늬층과,
    상기 무늬층의 하측에 적층되고, 실크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 및 상기 투명층의 사이의 접착성을 발현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접착층은, 상기 카드의 내부 구성을 시인할 수 없도록 은폐하는 은폐층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4. 제1항,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시트층의 상면의 색채는, 금계 또는 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5. 제1항,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이 레이저 조사로 제거되기 전의 상태의 상기 카드를 복수 배치한 시트재를, 각 카드로 개편화하는 개편 공정과,
    개편화된 상기 카드에 대하여, 상기 인쇄층을 레이저 조사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투명층 노출부를 형성하는 투명층 노출부 형성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의 제조 방법.
KR1020167026130A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KR10229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6384A KR102412121B1 (ko)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6849 2014-02-27
JPJP-P-2014-036849 2014-02-27
PCT/JP2015/051585 WO2015129346A1 (ja) 2014-02-27 2015-01-21 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384A Division KR102412121B1 (ko)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054A KR20160127054A (ko) 2016-11-02
KR102293831B1 true KR102293831B1 (ko) 2021-08-25

Family

ID=540086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130A KR102293831B1 (ko)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KR1020217026384A KR102412121B1 (ko)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384A KR102412121B1 (ko) 2014-02-27 2015-01-21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477682B2 (ko)
KR (2) KR102293831B1 (ko)
CN (1) CN106232374B (ko)
WO (1) WO2015129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0265B2 (ja) * 2014-09-26 2018-05-09 株式会社東芝 印刷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6551140B2 (ja) * 2015-10-16 2019-07-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ードおよびカードの製造方法
CN107292376A (zh) * 2016-10-31 2017-10-24 金邦达有限公司 一种刻有3d图案的交易卡及其制备方法
US10889129B2 (en) 2017-01-10 2021-01-12 Entrust Datacard Corporation Card printing using thermal transfer print ribbon with radiation curable ink
JP7029679B2 (ja) * 2017-03-03 2022-03-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媒体発行システムおよび媒体発行方法
WO2018216810A1 (ja) * 2017-05-25 2018-11-29 凸版印刷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ラベル、カード、および真贋判定方法
GB201815779D0 (en) 2018-09-27 2018-11-14 De La Rue Int Ltd Docu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7354609B2 (ja) * 2019-06-24 2023-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印字カードおよびレーザ印字カードの製造方法
EP3842253B1 (en) * 2019-12-23 2024-03-20 HID Global CID SAS Uv curable and heat sealable in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621A (ja) * 2001-05-29 2002-12-13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面性に優れた磁気記録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4819A (ja) * 2001-07-31 2003-02-14 Toppan Forms Co Ltd 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0581A (ja) * 2002-09-19 2004-04-08 Kyodo Printing Co Ltd カード型情報記録媒体
JP2005119106A (ja) * 2003-10-16 2005-05-12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策が施された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8733C2 (de) * 1980-12-23 1983-06-16 GAO Gesellschaft für Automation und Organisation mbH, 8000 München "Ausweiskar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4170837B2 (ja) * 2003-07-04 2008-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ーによる情報記録カード
WO2008058331A1 (en) * 2006-11-14 2008-05-22 Securency International Pty Ltd Methods of protecting security documents from counterfeiting
JP2010108230A (ja) 2008-10-30 2010-05-13 Toppan Printing Co Ltd 非接触型icカードの製造方法
JP2013022782A (ja) * 2011-07-19 2013-02-04 Toppan Printing Co Ltd 発色性積層体
WO2014126025A1 (ja) * 2013-02-13 2014-08-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回折層積層体シート、光回折層積層体シートの製造方法、カー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621A (ja) * 2001-05-29 2002-12-13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面性に優れた磁気記録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4819A (ja) * 2001-07-31 2003-02-14 Toppan Forms Co Ltd 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0581A (ja) * 2002-09-19 2004-04-08 Kyodo Printing Co Ltd カード型情報記録媒体
JP2005119106A (ja) * 2003-10-16 2005-05-12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策が施された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9346A1 (ja) 2015-09-03
JPWO2015129346A1 (ja) 2017-04-06
KR20160127054A (ko) 2016-11-02
CN106232374A (zh) 2016-12-14
JP2019073031A (ja) 2019-05-16
KR20210107154A (ko) 2021-08-31
CN106232374B (zh) 2018-03-30
JP6477682B2 (ja) 2019-03-06
JP6798568B2 (ja) 2020-12-09
KR102412121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831B1 (ko) 카드, 카드의 제조 방법
JP2010527809A (ja) 真贋を検出するためのフィルム・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74159A (ko) 윈도우 또는 윈도우 패턴 및 선택적인 백라이팅을 갖는 금속, 세라믹, 또는 세라믹 코팅된 트랜잭션 카드
US11813885B2 (en) Laminated body
KR20050048726A (ko) 투명창이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8209A (ja)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個人認証媒体
KR20040034399A (ko) 입체 플라스틱 카드 및 그 제조방법
JP5413236B2 (ja) 画像表示体及び個人認証媒体及びブランク媒体
US11267277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printed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JP5548608B2 (ja) カード
US20200039278A1 (en) Producing an optical security element
JP2005262891A (ja) 透過素材を用いたカード
CN113195242B (zh) 用于安全文件的数据页的预层压件及其形成方法
JP6505567B2 (ja) Icタグの製造方法
JP6560483B2 (ja) 非接触通信カード、転写フィルム
KR20050030523A (ko) 렌티큘러 카드, 상기 카드의 제조방법, 상기 카드를제조하기 위한 렌즈 플레이트 및 상기 카드를 금융거래용카드로 사용하는 방법
KR20160013365A (ko) 우수한 내충격도를 갖는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JP4439138B2 (ja) 透過素材を用いたカード
JP2015130100A (ja) プラスチック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06613A (ja) カード
KR200338011Y1 (ko) 입체 플라스틱 카드
JP2016221823A (ja) 積層体
JP2021037655A (ja) ラミネート積層体、冊子類及びラミネ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4156058A (ja) 光回折層積層体シート、カードの製造方法
JP2009095988A (ja) 情報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