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81B1 -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481B1 KR102293481B1 KR1020210028836A KR20210028836A KR102293481B1 KR 102293481 B1 KR102293481 B1 KR 102293481B1 KR 1020210028836 A KR1020210028836 A KR 1020210028836A KR 20210028836 A KR20210028836 A KR 20210028836A KR 102293481 B1 KR102293481 B1 KR 102293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unit
- passage
- groove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로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부와,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구동부와, 통로를 기준으로 실내측 바닥면과 실외측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고,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구동부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자동문은 공장의 내/외부 공기 및 해충 등을 차단하거나, 운송 차량이 출입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등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산업용 자동문 중에는 통로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부와, 통로의 감지영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의 물체 감지 유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즉 감지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에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차량의 통과가 확인되면 다시 도어를 폐쇄시키는 작동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산업용 자동문은 통로의 입구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 등에 의해 도어가 불필요하게 개폐되는 경우가 많아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었고, 감지센서의 감지 방향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경우 감지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의 진입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0400호(2009년 05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통로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부와, 상기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고,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 감지부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는 외부로부터 신호 전류가 인가되며, 차량이 설정거리로 접근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홈부와, 상기 통로 방향에서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 위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제1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코일과, 상기 제2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코일 및, 상기 제3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감지부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통로의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상기 차량이 상부에 위치시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시 하부로 압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중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승 복귀시키고, 상기 중량 감지부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시 상기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체의 역할을 하는 차량이 감지영역에 진입했을 때에만 도어부가 개방되므로, 도어부가 불필요하게 개폐되지 않아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도어부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감지부가 복수의 감지 구간에서 차량을 감지하므로 차량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통로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도어부의 개폐 동작이 중지되므로 인적, 물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의 진입 감지시 부속 장비들이 함께 작동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1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2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신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로에 출입 감지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출입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높이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속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1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2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신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로에 출입 감지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출입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높이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속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1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차량 감지부가 2차 감지 위치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신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통로에 출입 감지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의 패널부에 감지홀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출입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높이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충돌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속도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승강홈과 승강 플레이트와 탄성부재 및 중량 감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구조물의 통로(10)에 설치되는 도어부(100)와, 도어부(100)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부(200)와, 차량(20)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부(300) 및,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어부(100)는 후술 될 구동부(200)의 구동력에 의해 통로(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도어부(100)는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 또는 다수로 분할되어 권취 또는 절첩 가능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나 도어부(10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통로(10)의 양측에는 도어부(100)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는 통로(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레일부들의 마주하는 일측에는 도어부(10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미도시)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어부(100)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의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는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고, 일측이 가이드홈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통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부(100)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200)는 력전달부재에 의해 도어부(1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부(200)는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동부(200)의 구동축은 동력전달부재(벨트, 체인, 기어 등)에 의해 도어부(1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부(100)를 권취 방식으로 적용하는 경우, 통로(100)의 일측에는 도어부(10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어부(100)의 일측이 회전축의 반경 방향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축의 축방향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차량 감지부(300)는 차량이 통로의 입구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 코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후술 될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류가 인가되며, 차량(20)이 설정거리로 접근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감지부(300)는 도체(금속 등)의 역할을 하는 차량(20)에 의한 유도 자장과 루프 자장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차량(20)의 존재 유무와, 차량(20)의 진입 속도와, 차량(20)의 크기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감지부(300)는 통로(10)를 양측 입구와 근접한 바닥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통로(10)를 기준으로 실내측 바닥면과 실외측 바닥면에는 차량 감지부(30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홈부(311)와, 통로(10) 방향에서 제1홈부(311)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 위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홈부(312) 및, 제1홈부(311)와 제2홈부(312)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홈부(313)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차량 감지부(300)는 제1홈부(311)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코일(321)과, 제2홈부(312)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코일(322) 및, 제3홈부(313)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제1코일(321)과 제2코일(322)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코일(323)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일(321)과 제2코일(322)의 폭방향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고, 제1코일(321)과 제2코일(322)은 전후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3코일(3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3코일(323) 중 하나는 후술될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코일(321)은 도 3에서처럼 제2코일(322)보다 통로(10)와 더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차량(10)이 통로(10)의 입구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1차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코일(321)에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고, 제1코일(321)의 자기장 변화 감지 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차량이 1차 감지 위치에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후술 될 구동부(200)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2코일(322)은 도 4에서처럼 제1코일(321)보다 통로(10)와 근거리에 위치되므로, 차량(10)이 통로(10)의 입구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2차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코일(322)에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고, 제2코일(322)의 자기장 변화 감지 신호는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차량이 2차 감지 위치에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제1코일(321)과 제2코일(322)이 차량(20)을 복수로 감지하므로, 제1코일(321)이 차량(2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2코일(322)이 차량(20)을 추가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감지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20)과 도어부(1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의 상부에는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한 패널부(330)가 일정 넓이로 안착될 수 있고, 패널부(330)는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패널부(330)의 상면은 바닥면과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330)는 제1홈부(311)와 제2홈부(312) 및 제3홈부(313)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고, 제1코일(321)과 제2코일(322) 및 제3코일(323)은 패널부(330)에 의해 상방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패널부(330)에는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홀(331)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감지홀(331)은 제1홈부(311)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전방측 감지홀(331) 및, 제2홈부(312)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후방측 감지홀(331)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부(330)는 차량(20)이 통로(10)의 감지 위치로 진입시 차량(20)의 바퀴를 지지하므로, 차량(20)의 중량에 의해 차량 감지부(300)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감지부(300)가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감지홀(331)이 형성하므로 감지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감지부(3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구동부(200)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고, 차량 감지부(3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구동부(200)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차량 감지부(3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부(10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킨 후 구동부(200)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400)는 차량 감지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자속의 변화와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할 수 있고, 인덕턴스의 변화를 주파수의 함수로 변환하여 차량(20)의 존재 유무와, 차량(20)의 속도, 차량(20)의 크기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차량 감지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자속의 변화와 인덕턴스의 변화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고, 차량(20)의 속도와 크기 등에 대응하는 속도로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10)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410)는 통로(10)가 형성된 구조물의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조작부(410)에는 도어부(100)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작 스위치 및, 후술될 송풍부(610)와 신호 발생부(620)의 동작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410)의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구동부(200)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도어부(100)가 통로(10)를 모두 개방시키는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410)의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구동부(200)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도어부(100)가 통로(10)를 모두 폐쇄시키는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통로(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차량 감지부(300)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통로(10)의 하부로 공기(A)를 토출시키는 송풍부(610) 및, 차량 감지부(300)가 차량(20)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610)는 통로(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팬 및,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시 토출구를 통해 하방으로 공기(A)를 토출시키는 구동 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620)는 차량 감지부(300)가 차량(20)을 감지시 외부로 광(光)을 조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램프(621) 및, 차량 감지부(300)가 차량(20)을 감지시 외부로 음향(音響)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eeker, 622)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621)는 광(光)을 이용해 도어부(100)의 작동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통로(10)가 형성된 구조물의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램프(621)가 점등될 수 있고, 도어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램프(621)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도어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을 완료하는 경우 램프(621)가 소등될 수 있다.
스피커(622)는 음향(音響)을 이용해 도어부(100)의 작동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어부(100)가 승강시 외부로 음향(특정 소리, 음악 등)을 출력하며, 통로(10)가 형성된 구조물의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램프(621)의 광(光)과 스피커(622)의 음향(音響)을 이용해 도어부(100)의 작동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20)에 탑승한 운전자와 주변의 통행자는 도어부(100)가 개폐되는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단말기(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단말기(40)는 구동부(200)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용의 단말기(40)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 등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500)와 단말기(40)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500)와 단말기(40)는 무선 주파수 인식(RFID),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40)를 이용해 도어부(100)와 이격된 위치에서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단말기(40)를 이용해 도어부(100)와 송풍부(610)와 램프(621) 및 스피커(622)의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 7과 9에서처럼 통로(10)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 감지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입 감지부(7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통로(1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통로(10)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포토 센서(photo sensor)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감지부(700)가 통로(10)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구동부(200)의 구동을 중지시켜 도어부(100)의 하강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로(10)에 물체가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어부(100)가 하강하지 않으므로 물적인 피해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 11에서처럼 차량 감지부(3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대(810) 및,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지대(810)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통로(10)의 입구로 진입하는 차량(2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8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부(100)는 상하로 승강 개폐될 수 있고, 구동부(200)는 통로(10)의 상부에서 도어부(100)에 승강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지지대(810)는 차량 감지부(30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높이 감지부(820)는 차량 감지부(300)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높이 감지부(820)는 지지대(8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차량(20)의 높이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포토 센서(photo sensor)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이 통로(10)의 입구 방향에 위치된 감지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 감지부(300)와 높이 감지부(820)가 차량(20)을 감지할 수 있고, 높이 감지부(300)는 차량(20)의 최상단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차량(20)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 또는 차량(20)의 높이보다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높이로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도어부(100)가 개방되는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도어부(100)를 차량(20)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개방시킬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 12와 13에서처럼 차량(2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돌 감지부(910)는 통로(1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루프 코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충돌 감지부(910)는 통로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고, 차량(20)의 통로(10)의 좌측 또는 우측 벽면에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시 접근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감지부(910)는 도체(금속 등)의 역할을 하는 차량(20)에 의한 유도 자장과 루프 자장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차량(20)이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돌 감지부(910)는 차량(20)이 통로(10)를 통과하는 경우 차량(20)이 통로(10)의 양측에 안전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20)이 감지되는 경우 충돌 경고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400)는 신호 발생부(620)의 램프(621)와 스피커(622) 중 하나 이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차량(20)이 통로(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 경고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어 통로(10)와 차량(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20)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 14에서처럼 차량(20)의 진입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감지부(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감지부(920)는 통로(10)가 형성된 구조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통로(10)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을 각각 감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속도 감지부(920)는 입사파를 발신한 후 차량(20)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발신한 입사파의 진동수와 수신된 반사파의 진동수를 비교하여 차량(20)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에는 기준속도가 기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속도 감지부(920)로부터 차량(20)의 속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감지된 차량(20)의 속도와 비례하도록 구동부(200)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켜 도어부(100)의 개방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차량(20)이 통로(10)의 입구로 진입하는 속도와 비례하도록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어 차량(20)과 도어부(1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 15와 16에서처럼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홈(931)과, 한 쌍의 승강홈(931)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차량(20)이 상부에 위치시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932)와, 승강홈(931)의 내부에서 승강 플레이트(932)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승강 플레이트(932)가 하강시 하부로 압축되는 탄성부재(933) 및,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승강홈(931)의 내부에서 승강 플레이트(932)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중량 감지부(9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933)는 승강 플레이트(932)의 상부에 차량(20)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승강 플레이트(932)를 상승 복귀시킬 수 있고, 중량 감지부(934)는 승강 플레이트(932)가 하강시 차량(20)의 중량을 감지하며, 제어부(400)는 중량 감지부(934)로부터 차량(20)의 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구동부(200)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켜 도어부(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932)는 승강홈(931)의 상부에 일정 넓이로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고, 통로(932)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승강 플레이트(932)는 전술한 패널부(330)의 일부분을 상하로 관통시켜 중공을 형성시킨 후 중공의 내부에 승강 플레이트(932)를 승강 가능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승강 플레이트(932)와 패널부(33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933)는 하단이 승강홈(931)의 바닥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단이 승강 플레이트(932)의 하면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승강 플레이트(932)의 하부를 여러 영역에서 지지할 수 있다.
중량 감지부(934)는 하단이 승강홈(931)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단의 감지 로드가 승강 플레이트(932)의 하면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로드 셀(load cell) 등의 중량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물질 부착 등으로 인해 차량 감지부(300)가 차량(20)의 진입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중량 감지부(934)가 차량(20)의 중량을 추가적으로 감지하므로 감지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20)과 도어부(1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도체(금속 등)의 역할을 하는 차량(20)이 감지영역에 진입했을 때에만 도어부가 개방되므로, 도어부(100)가 불필요하게 개폐되지 않아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도어부(100)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감지부(300)가 복수의 감지 구간에서 차량을 감지하므로 차량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통로(10)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도어부(100)의 개폐 동작이 중지되므로 인적, 물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20)의 진입 감지시 부속 장비들이 함께 작동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로 20: 차량
30: 전원 공급부 40: 단말기
100: 도어부 110: 투시창
200: 구동부 300: 차량 감지부
311: 제1홈부 312: 제2홈부
313: 제3홈부 321: 제1코일
322: 제2코일 323: 제3코일
330: 패널부 331: 감지홀
400: 제어부 410: 조작부
500: 통신부 610: 송풍부
620: 신호 발생부 621: 램프
622: 스피커 700: 출입 감지부
810: 지지대 820: 높이 감지부
910: 충돌 감지부 920: 속도 감지부
931: 승강홈 932: 승강 플레이트
933: 탄성부재 934: 중량 감지부
A: 공기 L: 광
30: 전원 공급부 40: 단말기
100: 도어부 110: 투시창
200: 구동부 300: 차량 감지부
311: 제1홈부 312: 제2홈부
313: 제3홈부 321: 제1코일
322: 제2코일 323: 제3코일
330: 패널부 331: 감지홀
400: 제어부 410: 조작부
500: 통신부 610: 송풍부
620: 신호 발생부 621: 램프
622: 스피커 700: 출입 감지부
810: 지지대 820: 높이 감지부
910: 충돌 감지부 920: 속도 감지부
931: 승강홈 932: 승강 플레이트
933: 탄성부재 934: 중량 감지부
A: 공기 L: 광
Claims (5)
- 통로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부;
상기 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구동부;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고,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폐쇄 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 감지부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설치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는 외부로부터 신호 전류가 인가되며, 차량이 설정거리로 접근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되,
상기 설치홈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홈부와, 상기 통로 방향에서 상기 제1홈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 위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제1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코일과, 상기 제2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코일 및, 상기 제3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는 패널부가 안착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입구측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상기 패널부의 상면은 상기 입구측 바닥면과 동일 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 및 상기 제3홈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패널부에는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홀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기 감지홀은 상기 제1홈부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전방측 감지홀 및, 상기 제2홈부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후방측 감지홀로 구분되며,
상기 통로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기 통로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하며, 상기 출입 감지부가 상기 통로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중지시켜 상기 도어부의 하강을 중지시키며,
상기 차량 감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로의 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감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차량의 높이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감지하며, 상기 높이 감지부는 차량의 최상단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높이보다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높이로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며,
차량의 진입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 감지부는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을 각각 감시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기준속도가 기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속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감지된 차량의 속도와 비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켜 상기 도어부의 개방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감지부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통로의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입구측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상기 차량이 상부에 위치시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시 하부로 압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중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승 복귀시키고, 상기 중량 감지부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시 상기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836A KR102293481B1 (ko) | 2021-03-04 | 2021-03-04 |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836A KR102293481B1 (ko) | 2021-03-04 | 2021-03-04 |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3481B1 true KR102293481B1 (ko) | 2021-08-26 |
Family
ID=7746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8836A KR102293481B1 (ko) | 2021-03-04 | 2021-03-04 |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348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4822A (ko) * | 2005-10-17 | 2006-07-03 | 문병원 |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
JP2008071068A (ja) * | 2006-09-13 | 2008-03-27 | Haiuei Toole Syst Kk | 車両遮断装置 |
JP2010117799A (ja) * | 2008-11-11 | 2010-05-27 | Toshiba It & Control Systems Corp | ゲート開閉装置 |
JP2011185018A (ja) * | 2010-03-11 | 2011-09-22 | Toyota Home Kk | シャッタ装置 |
CN207828829U (zh) * | 2018-01-30 | 2018-09-07 | 王联帮 | 一种交通运输道路桥梁限重装置 |
-
2021
- 2021-03-04 KR KR1020210028836A patent/KR1022934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4822A (ko) * | 2005-10-17 | 2006-07-03 | 문병원 |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
JP2008071068A (ja) * | 2006-09-13 | 2008-03-27 | Haiuei Toole Syst Kk | 車両遮断装置 |
JP2010117799A (ja) * | 2008-11-11 | 2010-05-27 | Toshiba It & Control Systems Corp | ゲート開閉装置 |
JP2011185018A (ja) * | 2010-03-11 | 2011-09-22 | Toyota Home Kk | シャッタ装置 |
CN207828829U (zh) * | 2018-01-30 | 2018-09-07 | 王联帮 | 一种交通运输道路桥梁限重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331722C (zh) | 滑门装置 | |
US5653063A (en) | Photographic booths | |
KR102063707B1 (ko) | 인공 지능형 도어 시스템 | |
MXPA04011356A (es) | Operador de movimiento de barrera teniendo recordatorios de servicio. | |
WO2005080727A2 (en) |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adaptable to different safety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the same | |
US11472672B2 (en) | Elevator door safety system | |
KR101463603B1 (ko) |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 |
JP2005216021A (ja) | 自律走行ロボットクリーナー | |
KR102293481B1 (ko) | 산업용 출입구 개폐장치 | |
JP2012126558A (ja) |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制御装置 | |
US20050237014A1 (en) |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for controlling a stopped, partially open barrier and related methods | |
US7228883B1 (en) |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utilizing multiple photo-eye safety system and methods for installing and using the same | |
CN111137759B (zh) | 升降电梯的电动自行车识别阻挡预警系统 | |
JP2009102903A (ja) | 駐車場の降車位置表示装置、駐車場の乗車位置表示装置、及び駐車場の乗降位置表示装置。 | |
JP5544331B2 (ja) | 開閉体制御システム | |
JP6765898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の入出庫誘導システム | |
KR20100046868A (ko) | 적외선 안전센서에 의한 자동문 안전제어장치 | |
KR102434859B1 (ko) |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 |
JP5713838B2 (ja) | 開閉制御装置 | |
KR102505362B1 (ko) | 셔터장치 | |
JP7539786B2 (ja) | 開閉装置 | |
JP2007182284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562272B2 (ja) | ガレージの安全管理制御装置 | |
KR102570226B1 (ko) | 안전도어 | |
CN216553576U (zh) | 一种轨道交通用感应式安全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