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467B1 -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467B1
KR102292467B1 KR1020200037821A KR20200037821A KR102292467B1 KR 102292467 B1 KR102292467 B1 KR 102292467B1 KR 1020200037821 A KR1020200037821 A KR 1020200037821A KR 20200037821 A KR20200037821 A KR 20200037821A KR 102292467 B1 KR102292467 B1 KR 10229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case
case
microphone
microphone assembl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균
이흥영
문필상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0)와 바텀 케이스(20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0)과, 상기 기판(50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Automotive microphone assembly with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첨단화에 따라 각종 이동 통신용 단말기나 태블릿 컴퓨터 또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제품은 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면서 크기는 컴팩트화 하고 있다.
당연히 전자제품 내부에 사용되는 부품도 더욱 작게 소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소형화의 추세에 따라, 부품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른바 멤스(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멤스는, 글자 그대로,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도체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미터나 밀리미터 급의 초소형 정밀 기계를 제작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이는, 마이크로미터의 단위의 초소형 센서나 액추에이터 또는 각종 기계요소나 구조체 등을 제작하는데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 초소형의 마이크로폰용 소자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웨이퍼 상에 다수 멤스 마이크로폰을 제조할 수도 있어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 어셈블리 구조는 버텀하우징(100), 패드(200), 서브인쇄회로기판(300), 메인인쇄회로기판(400), 마이크수납부(500), 어퍼 하우징(600) 및 커넥터 접속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마이크 어셈블리 구조는 어퍼 하우징(600)과 버텀하우징(100)이 결합되며, 어퍼 하우징(600)과 버텀 하우징(100)의 결합된 내부에 마이크 수납부(500)와 패드(200), 서브인쇄회로기판(300) 및 메인인쇄회로기판(400)이 결합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 어셈블리 구조는 조립되는 부품이 많아 생산원가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결합되는 바디(11)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11)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핀(12)과, PCB에 접촉되는 단자핀(13)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10)는 상기 접속핀(12)과 단자핀(13)이 별도로 바디(11)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터미널 단자에 커넥터(10)를 연결할 때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는 단점을 지니며, 이로 인해 커넥터(10)의 손상 또는 PCB의 손상으로 인해 터미널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일체형 구조를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적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심플한 외관 조립을 가능하게 하면서 음성 신호를 수음하는 홀을 전면과 후면에 형성할 수 있는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0)와 바텀 케이스(20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0)과, 상기 기판(50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어퍼 케이스(10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는 후면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공간부(1110)가 형성된 접속 브라켓부(1100)와,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는 후면부 내측으로 내입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0)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000)와 대응되는 커넥터 거치부(1200)와,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와 결합되는 끼움홀(1300)과,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일측면부와 타측면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차량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바텀 케이스(2000)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 유입구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형성된 음향 유입구를 연결하는 음향 통로가 형성될 때, 상기 음향 통로에 상기 마이크로폰(4000)이 수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 일측과 타측 끝단 각각에서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5000)이 결합되는 기판 홀더부(21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끼움홀(13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 돌출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마이크로폰(4000)은 소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일체형 구조를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적용하여 부품의 수가 절감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보다 부품의 수가 절감되면서도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a)정면도와(b)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a)정면도와(b)배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a)정면도와(b)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a)정면도와(b)배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는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 케이스(1000)와 바텀 케이스(20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0)과, 상기 기판(50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1000)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상측면, 하측면, 일측면, 타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상측면, 하측면, 일측면, 타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어퍼 케이스(1000)는 접속 브라켓부(1100), 커넥터 거치부(1200), 끼움홀(1300) 및 고정부(1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서 후면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0)의 내측으로 공간부(1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거치부(12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서 후면부 내측으로 내입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0)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00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1300)은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일측면부와 타측면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차량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타측에는 관통된 기판 결합홀(h)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5000)에는 상기 기판 결합홀(h)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 결합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돌출부(P)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텀 케이스(2000)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 유입구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형성된 음향 유입구를 연결하는 음향 통로가 형성될 때, 상기 음향 통로에 상기 마이크로폰(4000)이 수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 일측과 타측 끝단 각각에서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5000)이 결합되는 기판 홀더부(21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끼움홀(13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 돌출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또한, 상기 기판 홀더부(2100)의 끝단 각각에는 일측 및 타측부로 돌출된 걸림부(2110)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5000)이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 끝단에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부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E)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마이크로폰(4000)은 소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제1 음향홀(23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음향홀(2300)과 연결되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중심부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폰(3000)이 수납 구비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수납 공간부(2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일측면부에 관통 형성된 제2 음향홀(25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타측면부에 관통 형성된 제3 음향홀(26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음향홀(2500)을 통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 방향으로 소정깊이 내입 형성된 제1 음향공(2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제3 음향홀(2600)을 통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 방향으로 소정깊이 내입 형성된 제2 음향공(2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음향공(2510)의 타측면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2300)의 일측면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음향공(2610)의 일측면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2300)의 타측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끼움 돌출부(2200)의 폭을 W1, 버텀 케이스(2000)의 폭을 W2라 했을 때, 0.25W1<W1<0.35W2 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 돌출부(2200)는 바텀 케이스(2000)의 폭(W2)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폭을 W3, 일측면과 타측면의 폭을 W4 라 할 때, W3<W4 로 형성되고,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 끝단에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부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E)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테두리 돌출부(E)의 가로측면폭을 W5, 세로측면폭을 W6 라 할 때, W5>W6 으로 형성되고, W4=W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2200)의 높이(H1)는 상기 테두리 돌출부(E)의 돌출된 높이(H2)와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출부(22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대칭되어 설치되며, 상기 끼움 돌출부(2200) 사이의 간격을 L 이라 할 때, L=W6 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재질은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마이크 어셈블리 1000 : 어퍼 케이스
1100 : 접속 브라켓부 1110 : 공간부
1200 : 커넥터 거치부 1210 : 관통공
1300 : 끼움홀 1400 : 고정부
2000 : 바텀 케이스 2100 : 기판 홀더부
2200 : 끼움 돌출부 2300 : 제1 음향홀
2400 : 수납 공간부 2500 : 제2 음향홀
2510 : 제1 음향공 2600 : 제3 음향홀
2610 : 제2음향공 3000 : 패드
4000 : 마이크로폰 5000 : 기판

Claims (7)

  1.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0)와 바텀 케이스(20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되되,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0)과,
    상기 기판(50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0)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 케이스(2000)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 유입구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형성된 음향 유입구를 연결하는 음향 통로가 형성될 때,
    상기 음향 통로에 상기 마이크로폰(4000)이 수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케이스(10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는 후면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공간부(1110)가 형성된 접속 브라켓부(1100)와,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후면부 일측에는 후면부 내측으로 내입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0)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000)와 대응되는 커넥터 거치부(1200)와,
    상기 어퍼 케이스(1000)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상측면, 하측면, 일측면, 타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때,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와 결합되는 끼움홀(1300)과,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일측면부와 타측면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차량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1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상측면, 하측면, 일측면, 타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 일측과 타측 끝단 각각에서 후면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5000)이 결합되는 기판 홀더부(21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상측면부와 하측면부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1000)의 끼움홀(13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 돌출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마이크로폰(4000)은 소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바텀 케이스(2000) 내부에 수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제1 음향홀(23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음향홀(2300)과 연결되어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중심부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폰(4000)이 수납 구비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수납 공간부(24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부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일측면부에 관통 형성된 제2 음향홀(2500)과,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전면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 케이스(2000)의 타측면부에 관통 형성된 제3 음향홀(2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KR1020200037821A 2020-03-27 2020-03-27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KR10229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21A KR102292467B1 (ko) 2020-03-27 2020-03-27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21A KR102292467B1 (ko) 2020-03-27 2020-03-27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67B1 true KR102292467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21A KR102292467B1 (ko) 2020-03-27 2020-03-27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800A (ja) * 2008-09-03 2010-03-1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800A (ja) * 2008-09-03 2010-03-1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510B1 (en) Microelectromechanical micropho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icroelectromechanical microphone
CN112154645B (zh) 摄像头模块及包括该摄像头模块的光学装置
US2008026761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JP6996694B2 (ja) 垂直式ダイレクトpcbコネクタ
EP2575214B1 (en) Socket for two cameras,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JP2023036857A (ja)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2013115048A (ja) 携帯端末用の接続プラグ
EP2059063A1 (en)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unit, speake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peaker
KR102292467B1 (ko)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CN110894059A (zh) 微机电系统传感器封装及其制造方法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KR102277169B1 (ko)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JP6721366B2 (ja)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079978B1 (ko) 지향성 멤스 마이크로폰 하우징
EP3590270B1 (en) Microphon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assembly
JP4067669B2 (ja) ヘッドセットソケット内蔵装置
TWI816213B (zh) 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220652406U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装体
WO2022241684A1 (zh) 一种电路板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TWI638491B (zh) 卡緣連接裝置
CN116347296A (zh) 麦克风封装以及包括其在内的电子装置
KR20220100505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12665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595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