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169B1 -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169B1
KR102277169B1 KR1020200001597A KR20200001597A KR102277169B1 KR 102277169 B1 KR102277169 B1 KR 102277169B1 KR 1020200001597 A KR1020200001597 A KR 1020200001597A KR 20200001597 A KR20200001597 A KR 20200001597A KR 102277169 B1 KR102277169 B1 KR 10227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균
이흥영
문필상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와 바텀 케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과, 상기 바텀 홀더(2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과, 상기 기판(5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with complex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서 터미널 단자를 접속핀에 끼울 때 접속핀과 단자핀이 별도로 바디에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PC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핀과 단자핀이 일체로 만들어 제작이 간단하면서 외력에 의한 PCB가 손상되는 것 방지하기 위한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첨단화에 따라 각종 이동 통신용 단말기나 태블릿 컴퓨터 또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제품은 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면서 크기는 컴팩트화 하고 있다.
당연히 전자제품 내부에 사용되는 부품도 더욱 작게 소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소형화의 추세에 따라, 부품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른바 멤스(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멤스는, 글자 그대로,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도체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미터나 밀리미터 급의 초소형 정밀 기계를 제작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이는, 마이크로미터의 단위의 초소형 센서나 액추에이터 또는 각종 기계요소나 구조체 등을 제작하는데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 초소형의 마이크로폰용 소자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웨이퍼 상에 다수 멤스 마이크로폰을 제조할 수도 있어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는 버텀하우징(100), 패드(200), 서브인쇄회로기판(300), 메인인쇄회로기판(400), 마이크수납부(500), 어퍼 하우징(600) 및 커넥터 접속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마이크 어셈블리 구조는 어퍼 하우징(600)과 버텀하우징(100)이 결합되며, 어퍼 하우징(600)과 버텀 하우징(100)의 결합된 내부에 마이크 수납부(500)와 패드(200), 서브인쇄회로기판(300) 및 메인인쇄회로기판(400)이 결합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는 조립되는 부품이 많아 생산원가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결합되는 바디(11)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11)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핀(12)과, PCB에 접촉되는 단자핀(13)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10)는 상기 접속핀(12)과 단자핀(13)이 별도로 바디(11)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터미널 단자에 커넥터(10)를 연결할 때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는 단점을 지니며, 이로 인해 커넥터(10)의 손상 또는 PCB의 손상으로 인해 터미널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를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적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와 바텀 케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과, 상기 바텀 홀더(2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과, 상기 기판(5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기판(500)에 결합되는 바디부(610)와, 상기 바디부(610)를 전면부와 후면부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핀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부(610)는, 상기 접속핀부(620)가 결합되는 결합 바디부(611)와, 상기 결합 바디부(621)를 감싸는 커버 바디부(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 바디부(611)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접속핀부(620)가 삽입되는 삽입홀(611a)과,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에서 상기 삽입홀(611a)과 연결되면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내입된 슬릿홈(6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속핀부(620)는, 상기 삽입홀(611a)에서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후면부 외측으로 삽입 돌출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부(621)와, 상기 핀부(621)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611a)내에 삽입된 삽입부(622)와, 상기 삽입부(622)와 연결되며, 상기 슬릿홈(611b) 내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지지부(623)와, 상기 지지부(623)와 연결되며, 상기 기판(50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6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622)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돌기부(62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611a)의 내벽은 상기 돌기부(62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핀부(6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623)는, 상기 슬릿홈(611b)의 형상과 대응되어 돌출된 돌출편이되, 상기 돌출편은 하나 이상의 층이 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핀부(6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120)에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후면부가 구비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 내에 상기 핀부(62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홀(6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천공되며, 상기 기판(500)의 상면(500a)에는 상기 단자부가 끼워지는 단자홀(626)이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624)가 상기 단자홀(626)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623)의 상면(623c)에서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 까지의 거리를 K라하고 상기 바디의 하면(612d)에서 상기 지지부(623)의 상면(623c)에 결합되는 슬릿홈(611 b)의 상면(611bc)까지의 거리를 K2 라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500a)에서 상기 단자홀(626)의 바닥면(626d) 까지의 거리를 K1 이라 할 때 0.8(K1+K2)<K<(K1+K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에서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접속핀부(620)과 통전되도록 하는 전극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을 통해 상기 기판(500)과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의 높이를 K3라 할때 K1+K2은 K+K3보다 크거나 같은 값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플리 구조를 적용하여 부품의 수가 절감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 보다 부품의 수가 절감되면서도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플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핀부와 관련되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핀부와 관련되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어셈블리(10)는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 케이스(100)와 바텀 케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과, 상기 바텀 홀더(2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과, 상기 기판(5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어퍼 케이스(100)는 접속 브라켓부(110), 커넥터 거치부(120), 끼움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의 후면부 일측에서 후면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의 내측으로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거치부(120)는 상기 어퍼 케이스(100)의 후면부 일측에서 후면부 내측으로 내입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0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기판(500)에 결합되는 바디부(610)와, 상기 바디부(610)를 전면부와 후면부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핀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부(610)는, 상기 접속핀부(620)가 결합되는 결합 바디부(611)와, 상기 결합 바디부(621)를 감싸는 커버 바디부(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 바디부(611)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접속핀부(620)가 삽입되는 삽입홀(611a)과,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에서 상기 삽입홀(611a)과 연결되면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내입된 슬릿홈(61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6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 지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부(621)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타측면부와 상측면부와 하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부(621)는 상측면부와 하측면부를 감쌀 때,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일측면부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홈(611b)에 의해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일측면부는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부(621)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612a)가 형성되되, 상기 기판(500)에는, 상기 돌출부(6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612a)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6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부(621)의 후면 타측부에는 돌출된 가이드 블록(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블록(S)이 끼워지도록 상기 어퍼 케이스(100)의 커넥터 거치부(120)에는 가이드홈(G)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핀부(620)는, 상기 삽입홀(611a)에서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후면부 외측으로 삽입 돌출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부(621)와, 상기 핀부(621)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611a)내에 삽입된 삽입부(622)와, 상기 삽입부(622)와 연결되며, 상기 슬릿홈(611b) 내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지지부(623)와, 상기 지지부(623)와 연결되며, 상기 기판(50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6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거치부(120)에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후면부가 구비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 내에 상기 핀부(621)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삽입부(622)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돌기부(62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611a)의 내벽은 상기 돌기부(62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623)는, 상기 슬릿홈(611b)의 형상과 대응되어 돌출된 돌출편이되, 상기 돌출편은 하나 이상의 층이 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핀부(620)를 상기 바디부(6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623)는 2단 층이 지도록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으로, 1단 돌출편인 제1돌출부(623a)와, 상기 제1돌출부(623a) 연속적으로 형성된 2단 돌출편인 제2돌출부(62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623a)는 상기 삽입홀(611a)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2 돌출부(623b)는 상기 슬릿홈(611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6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천공되며, 도 8(b)을 보면, 상기 기판(500)의 상면(500a)에는 상기 단자부가 끼워지는 단자홀(626)이 구비된 구조를 보여주며, 상기 단자부(624)가 상기 단자홀(626)에 끼워져 조립된다.
도 8(a)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623)의 상면(623c)에서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 까지의 거리를 K라하고, 상기 바디의 하면(612d)에서 상기 지지부(623)의 상면(623c)에 결합되는 슬릿홈(611b)의 상면(611bc)까지의 거리를 K2 라하고(도 7의 확대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의 상면(500a)에서 상기 단자홀(626)의 바닥면(626d) 까지의 거리를 K1 이라 할 때, K1, K2, K3 의 관계는 0.8(K1+K2)<K<(K1+K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슬릿홈(611b)의 상면(611bc)은 도 7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623)의 상면(623c)과 마주보면서 결합되는 면이고 K2 는 슬릿홈(611b)의 상면(611bc)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하면(612d)-즉 기판의 상면(500a)에 안착되는- 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기판에서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접속핀부(620)와 통전되도록 하는 전극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을 통해 상기 기판(500)과 통전되도록 구비된다.
즉 기판(500)에는 상기 접속핀부와 통전하기 위한 전극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극부의 높이를 K3라 할때 K1+K2은 K+K3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극부의 높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 또는 단자부가 상기 기판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극부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623)의 하면(623d) 및/또는 상기 단자부의 하면(624d)을 통해 상기 접속핀부가 상기 기판과 떨어지지 않도록 밀착됨에 따라 접속핀과 터미널이 안전하게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7의 확대도를 보면, K2를 나타내는 치수선의 아래쪽에 직각으로 선들이 보이고 있다, 이들 선들은 바닥부임을 나타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그린 치수선이나 중심선으로 실제 구성들과는 관련없는 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마이크 어셈블리 100 : 어퍼 케이스
110 : 접속 브라켓부 111 : 공간부
120 : 커넥터 거치부 121 : 관통공
400 : 마이크로폰 500 : 기판
600 : 커넥터 610 : 바디부
611 : 결합 바디부 611a : 삽입홀
611b : 슬릿홈 612 : 커버 바디부
620 : 접속핀부 621 : 핀부
622 : 삽입부 622a : 돌기부
623 : 지지부 624 : 단자부

Claims (9)

  1.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면서 후면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upper case)(100)와,
    상기 마이크 어셈블리(1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케이스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200)와,
    상기 바텀 케이스(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 케이스(100)와 바텀 케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는 음향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음향소자는,
    상기 바텀 케이스(200) 내부에 수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400)과,
    상기 바텀 홀더(200)의 후면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500)과,
    상기 기판(5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기판(500)에 결합되는 바디부(610)와,
    상기 바디부(610)를 전면부와 후면부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핀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610)는,
    상기 접속핀부(620)가 결합되는 결합 바디부(611)와,
    상기 결합 바디부(611)를 감싸는 커버 바디부(612)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바디부(611)는,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접속핀부(620)가 삽입되는 삽입홀(611a)과,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전면부에서 상기 삽입홀(611a)과 연결되면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내입된 슬릿홈(6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부(620)는,
    상기 삽입홀(611a)에서 상기 결합 바디부(611)의 후면부 외측으로 삽입 돌출되어 차량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부(621)와,
    상기 핀부(621)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611a)내에 삽입된 삽입부(622)와,
    상기 삽입부(622)와 연결되며, 상기 슬릿홈(611b) 내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지지부(623)와,
    상기 지지부(623)와 연결되며, 상기 기판(50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6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622)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돌기부(62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611a)의 내벽은 상기 돌기부(62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핀부(620)를 고정하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23)는,
    상기 슬릿홈(611b)의 형상과 대응되어 돌출된 돌출편이되, 상기 돌출편은 하나 이상의 층이 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핀부(620)를 고정하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6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천공되는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00001597A 2020-01-06 2020-01-06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7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97A KR102277169B1 (ko) 2020-01-06 2020-01-06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97A KR102277169B1 (ko) 2020-01-06 2020-01-06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169B1 true KR102277169B1 (ko) 2021-07-14

Family

ID=7686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597A KR102277169B1 (ko) 2020-01-06 2020-01-06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23A (ko) * 1999-02-05 2000-09-05 이윤영 무전기용 잭
KR101045518B1 (ko) * 2010-11-11 2011-06-3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KR20140140292A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23A (ko) * 1999-02-05 2000-09-05 이윤영 무전기용 잭
KR101045518B1 (ko) * 2010-11-11 2011-06-3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KR20140140292A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348B (zh) 带有电子触点的无线耳塞
KR100673849B1 (ko)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N115866375A (zh) 摄像头模块及包括该摄像头模块的光学装置
EP344805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rt and earphone jack assembly
EP2575214B1 (en) Socket for two cameras,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JP4563803B2 (ja) 補聴器または類似の音響装置及び補聴器の製造方法
CN115379101A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光学仪器
JP2013115048A (ja) 携帯端末用の接続プラグ
EP2059063A1 (en)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unit, speake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peaker
KR102277169B1 (ko)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JP4919243B2 (ja) 電気的絶縁体及び電子デバイス
KR102292467B1 (ko) 커넥터 일체형 차량 마이크 어셈블리
KR102079978B1 (ko) 지향성 멤스 마이크로폰 하우징
JP2017164280A (ja)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EP1538871A2 (en) Speaker device
JP4067669B2 (ja) ヘッドセットソケット内蔵装置
CN217388954U (zh) 无线听音设备
WO2022241684A1 (zh) 一种电路板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06278243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220156621U (zh) 麦克风结构
CN113890909B (zh) 电子设备及其功能组件
CN210093437U (zh) 扬声器箱及电子设备
JP4693568B2 (ja) 電気部品ホルダ
CN212752307U (zh) 电子设备及其功能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