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450B1 -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450B1
KR102292450B1 KR1020197013142A KR20197013142A KR102292450B1 KR 102292450 B1 KR102292450 B1 KR 102292450B1 KR 1020197013142 A KR1020197013142 A KR 1020197013142A KR 20197013142 A KR20197013142 A KR 20197013142A KR 102292450 B1 KR102292450 B1 KR 10229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eling
optical
multilayer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168A (ko
Inventor
히로나리 스데지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복층 필름을 박리 처리에 제공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A로 이루어지는 필름(A), 및 상기 필름(A)의 일방 또는 양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이며, 상기 박리 처리는, 온도 Tov(℃)에 있어서, 상기 필름(A)로부터, 상기 필름(B)를, 상기 필름(A)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Tov와, 상기 필름(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Tov ≥ TgA의 관계를 충족하며, 상기 복층 필름에 있어서의, 온도 Tov에서의 상기 필름(A)와 상기 필름(B)의 박리력 Pa가, 0.03 N/50mm 이상 0.5 N/50mm 이하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escription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보상 등의 목적으로, 위상차를 갖는 수지제의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것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수지제의 필름에 위상차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이러한 필름을 연신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한 광학 필름으로, NZ 계수 Nz가 0 < Nz < 1 을 충족하는 필름, 바람직하게는 0.4 < Nz < 1 의 필름, 보다 이상적으로는 Nz = 0.5 의 필름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필름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신하면, NZ 계수의 값은 0 보다 작은 값이나, 1 보다 큰 값이 되므로, 0 < Nz < 1 의 필름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0 < Nz < 1 의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 복수의 필름을 조합한 복층 필름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단순한 단층의 구조로, 0 < Nz < 1 의 필름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층의 필름으로 0 < Nz < 1 의 필름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가공 대상의 수지 필름에, 쉬링크 필름을 첩합하고, 그 후 쉬링크 필름을 수축시켜, 그에 의해 수지 필름을 수축시켜서, 그 결과 0 < Nz < 1 을 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08 - 207119 호 공보(대응 타국 공보 :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707938 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쉬링크 필름의 수축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쉬링크 필름을 수축시키는 공정이 번잡하며, 0 < Nz < 1 의 필름을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0 < Nz < 1 의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가일층의 목적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광학 보상 기능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광학 보상이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는 없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필름의 박리력을 이용하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러한 두께 방향으로의 연신을 실시하는 온도 및 박리에 제공되는 복층 필름의 특성을 특정의 것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두께 방향 연신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1] 복층 필름을 박리 처리에 제공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A로 이루어지는 필름(A), 및 상기 필름(A)의 일방 또는 양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이며,
상기 박리 처리는, 온도 Tov(℃)에서, 상기 필름(A)로부터, 상기 필름(B)를, 상기 필름(A)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Tov와, 상기 필름(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Tov ≥ TgA의 관계를 충족하며,
상기 복층 필름에 있어서의, 온도 Tov에서의 상기 필름(A)와 상기 필름(B)의 박리력 Pa가, 0.03 N/50mm 이상 0.5 N/50mm 이하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 상기 열가소성 수지 A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 상기 복층 필름을, 그 면 내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더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4]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판.
[5]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0 < Nz < 1의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광학 보상 기능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광학 보상이 이루어진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박리 장치 및 당해 장치를 사용한 박리 공정 조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박리 장치 및 당해 장치를 사용한 박리 공정 조작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실시 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Re = (nx - ny) × d로 나타내어지는 값이고,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Rth = {(nx + ny) / 2 - nz}× d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한 필름의 NZ 계수 Nz는, Nz = (nx - nz) / (nx - ny)로 나타내어지는 값이고, Nz = (Rth / Re) + 0.5로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x는, 필름의 면내 방향 즉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고, 최대의 굴절률을 주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상기 면내 방향이고 nx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측정 파장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590 nm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편광판」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강직한 부재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수지제의 필름과 같이 가요성을 갖는 부재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척」의 필름은, 폭에 대하여, 5 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10 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롤 상에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한다. 장척의 필름의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폭에 대하여 10만 배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필름의 「연신」이란, 통상 필름의 면내 방향의 일 이상의 방향으로 필름의 형상을 확장시키도록 필름을 변형시키는 조작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원에 있어서는, 필름의 「연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의 형상을, 면내 방향 이외의 방향(필름의 면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 예를 들어 두께 방향 등)으로 확장시키도록 필름을 변형시키는 조작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문맥상 명백한 경우는, 통상의, 필름의 면내 방향의 일 이상의 방향으로 필름의 형상을 확장시키도록 필름을 변형시키는 조작을, 단순히 「연신」이라고 부른다. 한편, 이러한 통상의 「연신」과 구별하여, 필름의 형상을, 면내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필름을 변형시키는 처리를 「두께 방향 연신」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처리를 거친 필름을 「두께 방향 연신 필름」이라고 한다.
[1.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정 복층 필름을, 특정 박리 처리에 제공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한다.
[1. 1. 복층 필름]
박리 공정에 제공하는 복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A로 이루어지는 필름(A), 및 필름(A)의 일방 또는 양방에 마련된 필름(B)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이다.
[1. 1. 1. 필름(A)]
필름(A)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학 필름으로서의 원하는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각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반복 단위 중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고, 주쇄 중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결정성의 수지 및 비정성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얻는 관점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비정성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비정성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가 갖는 지환식 구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알칸 구조, 시클로알켄 구조를 들 수 있으나, 열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시클로알칸 구조가 바람직하다.
하나의 지환식 구조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탄소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 4 개 ~ 30 개, 바람직하게는 5 개 ~ 20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6 개 ~ 15 개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나, 통상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를 이와 같이 많게 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구체적으로는, (1) 노보넨 중합체, (2) 단환의 환상 올레핀 중합체, (3) 환상 공액 디엔 중합체, (4)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노보넨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노보넨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노보넨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노보넨 모노머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노보넨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 노보넨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의 관점에서, 노보넨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수소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 - 321302 호에 개시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결정성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6 - 26909 호에 개시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다른 예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등의 범용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중, 특히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예로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4 - 186273 호에 개시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러한 범위 내인 경우,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A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는, 상술한 것 등의 주성분인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져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 임의의 배합제를 포함해도 된다. 수지 중의, 주성분인 중합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A로는, 다양한 시판의 상품 중, 원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상품명 「제오노아」(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토파스」(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및 상품명「아톤」(JSR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군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TgA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두께 방향 연신 등의 처리를 원활하게 실시하고, 원하는 광학체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필름(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 이하이다. 필름(A)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두께 방향 연신 등의 처리를 원활하게 실시하고, 원하는 광학체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필름(A)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A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필름(A)를 제조할 수 있다. 수지 A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압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치수를 갖는 필름(A)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1. 2. 필름(B)]
필름(B)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각종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 수지를, 단순히 「수지 B」라고 한다.
수지 B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B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예 및 그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로는, 열가소성 수지 A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및 기타 중합체의 예로 위에서 든 것과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수지 B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가일층의 예로는, 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화합물 수소화물 단위 [I]을 갖는, 둘 이상의 중합체 블록과, 쇄상 탄화수소 화합물 수소화물 단위 [II], 또는 단위 [1] 및 단위 [II]의 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을 포함하는 수소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소화 블록 공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 WO 2016 / 152871 호에 개시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수지 B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가일층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이미드 등의 범용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수지 B로는, 다양한 시판의 상품 중, 원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자기 점착성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예를 들어 후타무라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FSA 010M #30」)을 들 수 있다.
필름(B)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필름(B)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두께 방향 연신 등의 처리를 원활하게 실시하고, 원하는 광학체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필름(B)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B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필름(B)를 제조할 수 있다. 수지 B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압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치수를 갖는 필름(B)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1. 3. 기타 층]
복층 필름은, 필름(A) 및 (B)에 더하여, 임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시판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인 중합체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판의 점착제 층을 갖는 필름(예를 들어 후지모리 공업 제조 「마스택 시리즈」)으로부터, 필름(A) 또는 필름(B)에 점착제 층을 전사하여, 이것을 복층 필름에서의 점착제 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복층 필름이, 필름(A) 및 (B)의 사이에 점착제 층을 갖는 경우, 이러한 점착제 층의 필름(B)에 대한 점착력은, 필름(A)에 대한 점착력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력의 차를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에 대한 풀의 잔여를 저감하고, 고품질의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점착력의 차는, 점착제 층의 재질을 적당히 선택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필름(A) 및 (B)의 표면에 적절한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 1. 4. 박리력]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복층 필름으로, 온도 Tov에서의 필름(A)와 필름(B)의 박리력 Pa가 특정 범위내의 값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온도 Tov는, 본 발명 제조 방법의 박리 공정에서의 필름의 온도이다.
박리력 Pa는, 0.03 N/5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035 N/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N/50mm 이상이고, 한편 0.5 N/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4 N/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50mm 이하이다. 박리력이 이러한 범위 내임으로써, 박리 공정까지의 공정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고, 박리 공정보다 이전의 단계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필름(B)의 박리를 억제하며, 또한 필름(A)의 표면에서의 양호한 박리를 달성하여, 양호한 품질의 광학 필름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박리력 Pa는, 복층 필름에 대해 180° 박리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180° 박리 시험은, 복층 필름을 잘라내고, 길이 방향 × 폭 방향 = 300 mm × 50 mm의 절편으로 하고, 항온 항습조 장착 인장 시험기(예를 들어 인스트론사 제조 「5564 형」)에 넣고, 온도 Tov에서 실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장치의 한쪽의 척으로 필름(A)를 파지하고, 다른 한쪽의 척으로 필름(B)를 파지하여, 인장 속도 300 mm/min의 조건으로, 박리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1. 1. 5. 복층 필름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제공하는 복층 필름을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제는, 예를 들어 필름(A)와 필름(B)를 첩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첩합에 앞서, 필요에 따라, 필름(A) 및/또는 필름(B)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첩합에 앞서, 필요에 따라, 필름(A) 및/또는 필름(B)의 표면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 층을 개재하여, 첩합을 실시할 수 있다. 첩합은, 장척의 필름(A)와, 장척의 필름(B)를, 길이 방향을 맞추어 롤·투·롤로 첩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1. 2. 박리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의 박리 공정에 있어서는, 복층 필름을 박리 처리에 제공한다. 박리 처리는, 필름(A)로부터, 필름(B)를 박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박리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필름(A)를 두께 방향으로 견인하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필름(A)의 두께 방향 연신을 달성할 수 있다. 복층 필름이, 필름(B)를 복수층 갖는 경우, 복수층의 필름(B)는, 통상 동시에 박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의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박리 장치 및 당해 장치를 사용한 박리 공정 조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장척의 복층 필름(100)은, 화살표(A11)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후, 박리 영역(P)에서의 박리 공정에 제공된다.
복층 필름(100)은, 필름(A)(131)와, 필름(A)(131)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111)와, 필름(A)(131)의 또 다른 일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112)를 포함한다. 복층 필름(100)은 또한, 필름(A) 및 (B)의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제 층(121 및 122)을 포함한다.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131)의 두께는, 화살표(A14)로 나타내어진다.
박리 공정에서의 박리 처리는, 필름(B)를, 반송되는 필름(A)의 면내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박리 영역(P)에 있어서, 필름(B)(111)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화살표(A12) 방향으로 견인하고, 또한 필름(B)(112)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화살표(A13) 방향으로 견인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층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 박리가 진행되어, 필름(B)(111 및 112)를, 필름(A)(131)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박리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힘이란, 필름의 면내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의 힘이고, 필름의 면과 수직인 방향에 가까운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 공정의 결과, 두께 방향 연신된 광학 필름(132)이 얻어진다. 또한, 화살표(A12) 방향의 견인력과, 화살표(A13) 방향의 견인력을 균형이 잡히게 함으로써, 이들의 견인을, 복층 필름(100) 및 광학 필름(132)에, 원하지 않는 면내 방향의 장력을 부여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광학 필름(132)의 두께는, 화살표(A15)로 나타내어진다. 광학 필름(132)는, 두께 방향 연신의 결과, 복층 필름(100)에서의 필름(A)(13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박리 공정이, 면내 방향으로의 연신도 수반하는 경우, 광학 필름의 두께는, 반드시 필름(A)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0 < Nz < 1의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박리 영역(P)에서의 박리 공정의 결과 얻어지는 광학 필름(132)은, 화살표(A11) 방향으로 더 반송된다. 복층 필름(100) 및 광학 필름(132)은, 박리 영역 상류의 닙롤(151 및 152), 및 박리 영역 하류의 닙롤(161 및 162)에 파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이들 닙롤의 주속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반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류의 닙롤의 주속을, 상류의 닙롤의 주속보다 빠른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을 실시함으로써, 복층 필름(100) 및 광학 필름(132)에, 원하는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러한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박리 공정에 수반한, 필름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박리 공정과 함께, 또는 박리 영역(P)의 상류 또는 하류에서, 필름 면내 임의의 방향으로의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두께 방향 연신에 더하여 면내 방향의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의 연신 배율은, 광학 필름에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는 원하는 광학 성능에 맞추어,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 배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2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배 이하이다. 면내 방향의 연신 배율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원하는 광학 성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박리 장치에 있어서, 장척의 복층 필름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복층 필름의 반송 속도와 박리 속도를 균형이 잡히게 함으로써, 박리 영역(P)을 박리 장치가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층 필름의 반송 속도가 박리 속도가 된다. 박리 속도는, 광학 필름에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는 원하는 광학 성능에 맞추어,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박리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m/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분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50 m/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m/분 이하이다. 박리 속도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원하는 광학 성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박리 공정은, 온도 Tov(℃)에서 실시한다. 온도 Tov와, 필름(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Tov ≥ TgA의 관계를 충족한다. Tov는, 바람직하게는 (TgA + 3)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A + 5) ℃ 이상이다. Tov를 이러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광학 필름에 원하는 NZ 계수 등의 광학 특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Tov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나, 예를 들어 (TgA + 40) ℃ 이하로 할 수 있다. 박리 공정에서의 온도 Tov는, 박리 장치에 있어서, 박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위요하는 오븐(도시하지 않음) 내의 온도를, 적절한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의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박리 장치 및 당해 장치를 사용한 박리 공정 조작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장척의 복층 필름(200)은, 화살표(A21)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후, 박리 영역(P)에서의 박리 공정에 제공된다. 복층 필름(200)은, 필름(A)(231)와, 필름(A)(231)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211)를 포함하나, 필름(A)(231)의 또 다른 일방의 면에는 필름(B)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복층 필름(200)은 또한, 필름(A) 및 (B)의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제 층(221)을 포함한다.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231)의 두께는, 화살표(A24)로 나타내어진다.
이 예에 있어서, 복층 필름(200)은, 그 일방의 면에만 필름(B)(211)를 갖기 때문에, 박리 공정에서의 박리 처리는, 이러한 필름(B)(211)를, 반송되는 필름(A)의 면내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화살표(A22) 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실시한다. 그 때문에, 박리 영역 상류의 닙롤(151 및 152), 및 박리 영역 하류의 닙롤(161 및 162)에 의해, 복층 필름(200) 및 박리 공정 후의 광학 필름(232)에 장력을 부여하고, 이러한 장력에 의해, 필름(B)(211)의 견인에 대항하고 있다. 이러한 박리 공정의 결과, 필름(A)(231)이 두께 방향 연신되고, 광학 필름(232)이 얻어진다. 광학 필름(232)은, 필름(A)(231)보다 두꺼운, 화살표(A25)로 나타내어지는 두께를 갖는다.
[2. 광학 필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 NZ 계수 Nz가 0 < Nz < 1인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Nz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Nz < 1이고, 이상적으로는 Nz = 0.5이다. 이러한 NZ 계수를 갖는 광학 필름은, 통상의 면내 방향으로의 필름의 연신으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한 반면,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 등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조가 곤란하면서도 유용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는,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nm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35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nm 이하이다. Re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광학 보상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바람직하게는 - 80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 70 nm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8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nm 이하이다. Re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원하는 Nz 계수 등의 특성을 갖고, 광학 보상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3. 광학 필름의 용도 : 편광판 및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광학 필름은, 표시 장치 등의 광학적인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를 조합하여, 편광판 등의 광학적인 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과의 첩합에 앞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는, 임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임의의 층의 예로는, 필름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하드 코트층, 필름의 미끄럼성을 좋게하는 매트층, 및 반사 방지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또한, 광학 필름으로부터 잘라내어진 필름과 편광자의 사이에, 이들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층을 구비해도 된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예로는,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이색성 염료 등의 부재를 흡착시킨 후, 연신 가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각종 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및 합성 고무를 들 수 있다.
편광판은, 보호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수는 임의이나,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 1 층의 편광자와, 그 양면에 형성된 2 층의 보호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2 층의 보호 필름 중, 양방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잘라내어진 필름이어도 되고, 어느 일방만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잘라내어진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 조합함으로써 적당히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인플레인 스위칭(IPS) 모드, 버티컬 얼라인먼트(VA) 모드, 멀티 도메인 버티컬 얼라인먼트(MVA) 모드, 컨티뉴어스 핀 휠 얼라인먼트(CPA) 모드, 하이브리드 얼라인먼트 네마틱(HAN) 모드, 트위스티드 네마틱(TN) 모드,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STN) 모드, 옵티컬 컴펜세이티드 벤드(OCB) 모드 등의 구동 방식의 액정 셀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편광판은, 액정 셀에 입사하는 광 및 액정 셀로부터 출사하는 광 중, 원하는 특정의 편광만을 투과시키기 위한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편광판은 또한, 외광의 반사 방지를 위한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또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이, 외광의 반사 방지를 위한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및 상압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 방법)
측정 대상 수지의 펠렛을 준비하고, 시차 주사 열량계(세이코 인스트러먼트사 제조 「DSC 6220」)를 사용하여, 그 수지 펠렛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조건은, 샘플 중량 10 mg, 승온 속도 20 ℃/분으로 하였다.
(위상차와 NZ 계수의 측정 방법)
파장 590 nm에서 위상차 측정 장치(Axometric사 제조 제품명「Axoscan」)을 사용하여, Re 및 Rth를 측정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NZ 계수를 구하였다.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의 측정 방법)
측정 대상의 장척의 복층 필름을 잘라 내고, 길이 방향 × 폭 방향 = 300 mm × 50 mm의 절편을 얻었다. 절편을, 항온 항습조 구비의 인장 시험기(인스트론사 제조 「5564 형」)에 넣고, 소정의 오븐 온도 Tov로 승온하였다. 당해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180° 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180° 박리 시험은, 측정 장치 한쪽의 척으로 필름(A)를 파지하고, 다른 한쪽의 척으로 필름(B)를 파지하여, 인장 속도 300 mm/min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안정한 인장 거리 50 mm에서의 박리력 Pa(N/50mm)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박리력 Pa의 값으로 채용하였다.
[제조예 1. 필름(A) - 1의 제조]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유리 전이 온도 126 ℃의 노보넨 중합체의 수지, 상품명 「제오노아」,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펠렛을 100 ℃에서 5 시간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시킨 수지의 펠렛을, 단축의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수지를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킨 후, 폴리머 파이프 및 폴리머 필터를 거쳐, T 다이로부터 캐스팅 드럼상에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하였다. 이에 의해, 두께 80 ㎛, 폭 1000 mm의 장척 필름(A) - 1을 얻었다. 제조된 필름(A) - 1은,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제조예 2. 필름(A) - 2의 제조]
T 다이의 구금의 개구의 넓이를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두께 185 ㎛, 폭 1000 mm의 장척 필름(A) - 2를 얻어,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제조예 3. 필름(A) - 3의 제조]
T 다이의 구금의 개구의 넓이를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두께 133 ㎛, 폭 1000 mm의 장척 필름(A) - 3을 얻어,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제조예 4. 필름(A) - 4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필름(A) - 1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A) - 1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A) - 4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A) - 4는, 코로나 처리면을 권취내측으로 하여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제조예 5. 필름(B)의 원료 필름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스트만사 제조 「PET - G 6763」)의 펠렛을, 120 ℃에서 5 시간 건조하였다. 건조한 펠렛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켜, 수지 온도 260 ℃의 조건에서 폴리머 파이프 및 폴리머 필터를 거쳐, T 다이로부터 캐스팅 드럼상에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하였다. 이에 의해, 두께 60 ㎛, 폭 1400 mm의 원료 필름을 얻었다.
[제조예 6. 필름(B) - 1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원료 필름을, 연속하여, 텐터식의 횡연신 장치에 공급하였다. 이 횡연신기를 사용하여, 연신 온도 80 ℃, 연신 배율 2 배의 조건에서, 원료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연신된 필름 폭 방향의 양단을 트리밍하고, 편측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더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폭 900 mm, 두께 42 ㎛의 장척 필름(B) - 1을 얻었다. 이 필름(B)는, 코로나 처리면을 권취내측으로 하여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제조예 7. 복층 필름(C) - 1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얻어진 필름(B) - 1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점착제 층(후지모리 공업 제조 「마스택 시리즈」의 점착제 층)을 필름(B) - 1의 코로나 처리된 면에 전사시켰다. 또한, 제조예 1에서 얻은 필름(A) - 1의 양면에, 필름(B) - 1을 점착제 층을 개재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첩합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B) - 1) / (점착제 층) / (필름(A) - 1) / (점착제 층)) / (필름(B) - 1)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1을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1은,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42 ㎛ / 25 ㎛ / 80 ㎛ / 25 ㎛ / 42 ㎛이었다.
[제조예 8. 복층 필름(C) - 2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얻어진 필름(B) - 1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점착제 층(후지모리 공업 제조「마스택 시리즈」의 점착제 층)을 필름(B) - 1의 코로나 처리된 면으로 전사시켰다. 또한, 제조예 4에서 얻은 필름(A) - 4의 양면에, 필름(B) - 1을 점착제 층을 개재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첩합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B) - 1) / (점착제 층) / (필름(A) - 4) / (점착제 층) / (필름(B) - 1)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2를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2는,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42 ㎛ / 25 ㎛ / 80 ㎛ / 25 ㎛ / 42 ㎛이었다.
[제조예 9. 복층 필름(C) - 3의 제조]
필름(B) - 2로서, 자기 점착성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후타무라 화학사 제조 「FSA 010M #30」)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1에서 얻은 필름(A) - 1의 양면에, 필름(B) - 2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첩합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B) - 2) / (필름(A) - 1) / (필름(B) - 2)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3을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3은,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30 ㎛ / 80 ㎛ / 30 ㎛이었다.
[제조예 10. 복층 필름(C) - 4의 제조]
필름(A) - 1에 대신하여 제조예 2에서 얻은 필름(A) -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9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필름(B) - 2) / (필름(A) - 2) / (필름(B) - 2)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4를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4는,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30 ㎛ / 185 ㎛ / 30 ㎛이었다.
[제조예 11. 복층 필름(C) - 5의 제조]
필름(A) - 1에 대신하여 제조예 3에서 얻은 필름(A) -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제조예 9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필름(B) - 2) / (필름(A) - 3) / (필름(B) - 2)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5를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5는,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30 ㎛ / 133 ㎛ / 30 ㎛이었다.
[제조예 12. 복층 필름(C) - 6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얻어진 필름(B) - 1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점착제 층(후지모리 공업 제조 「마스택 시리즈」의 점착제 층)을 필름(B) - 1의 코로나 처리된 면으로 전사시켰다. 또한 전사한 점착제 층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제조예 4에서 얻은 필름(A) - 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점착제 층을 갖는 필름(B) - 1을, 점착제 층을 개재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첩합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B) - 1) / (점착제 층) / (필름(A) - 4) / (점착제 층) / (필름(B) - 1)의 층 구성을 갖는, 장척의 복층 필름(C) - 6을 얻었다. 이 복층 필름(C) - 6은, 롤상으로 권취하여 회수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42 ㎛ / 25 ㎛ / 80 ㎛ / 25 ㎛ / 42 ㎛이었다.
[실시예 1]
플로팅 방식의 종연신기를 준비하였다. 이 연신기는, 온도가 조절된 오븐 내에서, 반송되는 장척의 필름을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는 연신기이다. 제조예 8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2를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상기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2를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35 ℃로 하고, 연신 배율 1.07 배로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박리 공정은, 복층 필름(C) - 2의 양측의 필름(B) - 1을 견인하고, 필름(A) - 4로부터 필름(B) - 1을 연속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2 매의 필름(B) - 1을 견인하는 방향은, 반송되는 필름(A) - 4의 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또한 서로 역방향인 방향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A) - 4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박리를 실시하고, 필름(A) - 4를 두께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박리 속도는, 5 m/min이었다. 그 결과, 두께 방향 연신된 필름(A) - 4를, 광학 필름으로서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및 NZ 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실시예 2]
제조예 9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3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3을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26 ℃로 하였다. 또한 연신 배율은 1.00 배로 하고, 즉 연신을 수반하지 않는 반송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박리 공정은, 복층 필름(C) - 3의 양측의 필름(B) - 2를 견인하고, 필름(A) - 1로부터 필름(B) - 2를 연속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2 매의 필름(B) - 2를 견인하는 방향은, 반송되는 필름(A) - 1의 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또한 서로 역방향인 방향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A) - 1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박리를 실시하고, 필름(A) - 1을 두께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박리 속도는, 1 m/min이었다. 그 결과, 두께 방향 연신된 필름(A) - 1을, 광학 필름으로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및 NZ 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실시예 3]
오븐 내 온도 Tov를 126 ℃에서 13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00 배에서 1.02 배로 변경하여 연신을 실시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고 평가하였다. 박리 공정에서의 박리 속도는, 1 m/mi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0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4를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4를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35 ℃로 하고, 연신 배율 1.07 배로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박리 공정은, 복층 필름(C) - 4의 양측의 필름(B) - 2를 견인하고, 필름(A) - 2로부터 필름(B) - 2를 연속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2 매의 필름(B) - 2를 견인하는 방향은, 반송되는 필름(A) - 2의 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또한 서로 역방향인 방향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A) - 2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박리를 실시하고, 필름(A) - 2를 두께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박리 속도는, 1 m/min이었다. 그 결과, 두께 방향 연신된 필름(A) - 2를, 광학 필름으로서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및 NZ 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실시예 5]
오븐 내 온도 Tov를 126 ℃에서 135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00 배에서 1.07 배로 변경하여 연신을 실시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고 평가하였다. 박리 공정에서의 박리 속도는, 5 m/mi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실시예 6]
제조예 11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5를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5를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40 ℃로 하고, 연신 배율 1.07 배로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박리 공정은, 복층 필름(C) - 5의 양측의 필름(B) - 2를 견인하고, 필름(A) - 3으로부터 필름(B) - 2를 연속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2 매의 필름(B) - 2를 견인하는 방향은, 반송되는 필름(A) - 3의 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또한 서로 역방향인 방향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필름(A) - 3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박리를 실시하고, 필름(A) - 3을 두께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박리 속도는, 1 m/min이었다. 그 결과, 두께 방향 연신된 필름(A) - 3을, 광학 필름으로서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및 NZ 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0에서 1 사이였다.
[비교예 1]
제조예 7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1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1을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35 ℃로 하고, 연신 배율 1.07 배로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시도해보았으나,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 도달한 복층 필름(C) - 1에서 필름(B) - 1의 벗겨짐이 발생하고, 필름(A) - 1의 전면에 주름이 발생하여, 박리 공정을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제조예 12에서 얻은 복층 필름(C) - 6을 롤로부터 권출하고, 필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연신기에 공급하였다. 복층 필름(C) - 6을 종연신기의 오븐 내에서 반송하였다. 반송시에, 오븐 내 온도 Tov를 135 ℃로 하고, 연신 배율 1.07 배로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븐 내의 출구 근방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시도해보았으나, 필름(A)와 점착제 층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원활하게 실시되지 않고, 박리 후의 필름(A)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여, 양호한 광학 필름의 제조를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오븐 내 온도 Tov를 126 ℃에서 120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광학 필름을 얻고 평가하였다. 박리 공정에서의 박리 속도는, 5 m/mi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광학 필름은, 그 NZ 계수가 1.6 이고, 1을 상회하는 값이었다.
또한, 이 실시예의 Tov에서의, 복층 필름에서의 필름(A)와 필름(B) 사이의 박리력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9046539450-pct00001
표 중의 약어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COP :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유리 전이 온도 126 ℃의 노보넨 중합체의 수지, 상품명 「제오노아」,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PET :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스트만사 제조 「PET - G 6763」).
OPP : 자기 점착성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후타무라 화학사 제조 「FSA 010M #30」).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ov와 TgA의 관계 및 Pa의 값이 본원의 요건을 충족하는 조건에서 연신을 실시한 본원 실시예에서는, 0 < Nz < 1의 광학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100 : 복층 필름
111 : 필름(B)
112 : 필름(B)
121 : 점착제 층
122 : 점착제 층
131 : 필름(A)
132 : 광학 필름
151 : 박리 영역 상류의 닙롤
152 : 박리 영역 상류의 닙롤
161 : 박리 영역 하류의 닙롤
162 : 박리 영역 하류의 닙롤
200 : 복층 필름
231 : 필름(A)
211 : 필름(B)
221 : 점착제 층
232 : 광학 필름
P : 박리 영역

Claims (5)

  1. 복층 필름을 박리 처리에 제공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A로 이루어지는 필름(A), 및 상기 필름(A)의 일방 또는 양방의 면에 형성된 필름(B)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이며,
    상기 박리 처리는, 온도 Tov(℃)에 있어서, 상기 필름(A)로부터, 상기 필름(B)를, 상기 필름(A)의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Tov와, 상기 필름(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Tov ≥ TgA의 관계를 충족하며,
    상기 복층 필름에 있어서의, 온도 Tov에서의 상기 필름(A)와 상기 필름(B)의 박리력 Pa가, 0.03 N/50mm 이상 0.5 N/50mm 이하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A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필름을, 그 면내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197013142A 2016-12-28 2017-12-22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292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5442 2016-12-28
JPJP-P-2016-255442 2016-12-28
PCT/JP2017/046230 WO2018123903A1 (ja) 2016-12-28 2017-12-22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68A KR20190100168A (ko) 2019-08-28
KR102292450B1 true KR102292450B1 (ko) 2021-08-20

Family

ID=6270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142A KR102292450B1 (ko) 2016-12-28 2017-12-22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36030B2 (ko)
KR (1) KR102292450B1 (ko)
CN (1) CN109863428B (ko)
TW (1) TWI737873B (ko)
WO (1) WO20181239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4720A (ja) 2015-03-31 2016-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119A (ja) 1994-10-19 1996-08-13 Diafoil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又は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8146217A (ja) * 1994-11-15 1996-06-07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07036A (ja) * 2008-06-30 2010-01-14 Fujifilm Corp ノルボルネン系重合体混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ノルボルネン系重合体混合物を用いた光学材料
JP2010102288A (ja) * 2008-09-29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位相差フィルム製造用部材
JP2010085574A (ja) * 2008-09-30 2010-04-15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補償フィルムの鹸化処理方法、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039343A (ja) * 2009-08-13 2011-02-24 Nippon Zeon Co Ltd 位相差板の製造方法、位相差板、および偏光板
JP2012180494A (ja) * 2011-02-10 2012-09-20 Nitto Denko Corp 自発巻回性粘着シート及び切断体の製造方法
JP2013187377A (ja) * 2012-03-08 2013-09-19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5906840B2 (ja) * 2012-03-14 2016-04-20 東レ株式会社 積層シート
TWI695047B (zh) * 2013-06-21 2020-06-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附分離器黏著劑層及其製造方法、附有附分離器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
US20150076719A1 (en) * 2013-08-09 2015-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polymer film stretching apparatus therefor
JP6073263B2 (ja) * 2014-03-31 2017-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シート付き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4720A (ja) 2015-03-31 2016-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7873B (zh) 2021-09-01
JP7036030B2 (ja) 2022-03-15
CN109863428A (zh) 2019-06-07
JPWO2018123903A1 (ja) 2019-10-31
KR20190100168A (ko) 2019-08-28
TW201823011A (zh) 2018-07-01
CN109863428B (zh) 2021-07-30
WO2018123903A1 (ja)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8124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延伸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655973B2 (ja) 延伸積層フィルム
JP2012173487A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77522A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039808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複合偏光板及び偏光板
JP2005017435A (ja) 位相差補償フィルム、複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292450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287915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131620B2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積層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266723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フィルム、円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173486A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51959B2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00408A (ja) 位相差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31770A1 (en)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and multilayer film
JP6476779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6158275A1 (ja) 光学フィルム巻回体、その保管方法、及び基材フィルム/偏光板積層体の製造方法
TWI783132B (zh) 長條狀之延伸薄膜及長條狀之偏光薄膜的製造方法
WO2023074385A1 (ja) 多層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35838B2 (ja) 光学積層体
KR102230201B1 (ko)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4003476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2103353A (ja)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複合偏光板、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