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98B1 - 폴딩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폴딩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98B1
KR102291498B1 KR1020200035882A KR20200035882A KR102291498B1 KR 102291498 B1 KR102291498 B1 KR 102291498B1 KR 1020200035882 A KR1020200035882 A KR 1020200035882A KR 20200035882 A KR20200035882 A KR 20200035882A KR 102291498 B1 KR102291498 B1 KR 10229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lower body
backre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홍구
Original Assignee
도홍구
주식회사 유아용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홍구, 주식회사 유아용품연구소 filed Critical 도홍구
Priority to KR102020003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98B1/ko
Priority to CN202010344322.3A priority patent/CN11344298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프레임, 연결 프레임, 하부 프레임이 차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등받이 조절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조절부;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지지바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2 와이어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폴딩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 가능한 유모차{FOLDABLE CHILD STROLLER}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아기는 출생부터 유아 시기까지 신체 발육이 아직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기구를 통해 생활을 보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아직 장시간 걸을 수 없거나 또는 걸음마를 배우는 단계의 유아 외출 시에 이동을 도와주고, 보호자가 장시간 안아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유아용 유모차는 바로 이 단계의 아기나 유아의 외출 시에 매우 중요한 기자재이다.
유모차에서 보호자가 매우 중요시하는 기능 중의 하나는 폴딩 가능한지 여부이다. 유모차는 펼쳐지면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만약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없다면, 집안에 놓을 때 공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외출,휴대 시에도 자동차 트렁크에 넣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종래의 유모차는 보통 접이식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폴딩 동작은 비교적 다루기 힘들고, 보통 폴딩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단계를 필요로 하여, 폴딩하기 위한 조작이 복잡하고 접기가 원할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3220호(2017.10.27)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 없이, 반자동으로 폴딩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 연결 프레임, 하부 프레임이 차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등받이 조절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조절부;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지지바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2 와이어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폴딩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들 프레임은 절곡 형성되어 일 단과 타 단이 양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핸들 프레임의 양 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양 측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신체 양 측에 위치되되, 상단이 상기 핸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 바퀴와 연결되는 제1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방 바퀴와 연결되는 제2 바퀴 프레임;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체 지지부는, 하체를 지지하도록 양 측에 각각 배치되되, 후방부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체결되는 제1 하체프레임; 양 단이 양 측의 상기 측부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2 하체프레임; 및 상단은 상기 제1 하체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되, 지지바가 위치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는 조절 브라켓;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하측으로 하강하면, 상기 핸들 프레임의 하단과 연결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강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승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의 후방 이동 및 상승에 따라, 상기 제1 바퀴 프레임이 후방으로 당겨지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조절 브라켓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조절 브라켓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후단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과 연결된 상기 제1 하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프레임이 하강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제1 와이어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과 연결된 상기 제1 하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와이어가 전방으로 당겨지며, 폴딩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폴딩 과정 없이, 반자동으로 폴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유모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의 분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유모차가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유모차(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5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50)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폴딩 가능한 유모차(1)는 바디부(10), 폴딩 버튼(20), 등받이부(30), 등받이 조절부(40), 와이어 조절부(50), 제1 와이어(61), 제2 와이어(62), 하체 지지부(70), 테이블(81), 발판(82) 및 받침대(8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유모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핸들 프레임(11), 연결 프레임(12), 하부 프레임(13), 측부 프레임(14), 제1 바퀴 프레임(15) 및 제2 바퀴 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들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구성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힌지, 링크 등과 같은 구성이 설치되어, 각 구성들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13)이 차례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4)은 양 측의 틀을 형성하고, 제1 바퀴 프레임(15)과 제2 바퀴 프레임(16)은 바퀴를 연결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1)은 유모차의 보호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즉, 핸들 프레임(11)은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높이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1)은 절곡 형성되어 일 단과 타 단이 양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1)의 일 단은 좌 측에 위치되고 타 단은 우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핸들 프레임(11)은 'ㄷ'자 형상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유모차에 앉았을 때,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인 테이블(81)이 위치된 측이 전방인 것으로 하고, 핸들 프레임(11)이 측이 후방인 것으로 한다.
연결 프레임(12)은 핸들 프레임(11)의 양 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프레임(12)은 핸들 프레임(11)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12)은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의 상단은 핸들 프레임(11)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 프레임(12)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13)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은 연결 프레임(12)과 제1 바퀴 프레임(15)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3)은 연결 프레임(12)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바퀴 프레임(15)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3)은 양 측의 연결 프레임(1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4)은 사용자의 신체 양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양측에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4)은 핸들 프레임(11)과 제1 바퀴 프레임(15)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 프레임(14)의 상단은 핸들 프레임(11)의 측부의 일정 높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측부 프레임(14)의 하단은 제1 바퀴 프레임(15)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퀴 프레임(15)은 측부 프레임(1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 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퀴 프레임(16)은 상기 측부 프레임(1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방 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바퀴 프레임(15)의 상단과 제2 바퀴 프레임(16)의 상단과, 측부 프레임(14)의 하단은 하나의 지점에서 연결되되,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폴딩 버튼(20)은 핸들 프레임(11)에 형성될 수 있다. 폴딩 버튼(20)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부분에 형성되어, 보호자가 용이하게 버튼을 누를 수 있다.
폴딩 버튼(20)은 핸들 프레임(11) 내부의 내부와이어와 연결되어, 폴딩 버튼(20)이 눌리면 내부와이어가 작동되도록 하여 핸들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2)의 고정 상태를 해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2)의 고정 상태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1)가 언 폴딩된 상태로써, 핸들 프레임(11)의 하부와 연결 프레임(12)의 상부가 일 직선 상에 위치된 상태이다. 반대로, 핸들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2)의 고정 해지 상태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1)가 폴딩된 상태로써, 핸들 프레임(11)의 하부와 연결 프레임(12)의 상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접혀진 상태이다.
등받이부(3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등받이부(30)는 양 측의 연결 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되, 핸들 프레임(11)에서부터 연결 프레임(12)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등받이부(30)의 상부는 핸들 프레임(11)의 하부의 양 측 사이에 배치되고, 등받이부(30)의 하부는 연결 프레임(12)의 상부의 양 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등받이부(30)는 등판 프레임(31) 및 커넥트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등판 프레임(31)은 절곡 형성되어 일 단과 타 단이 양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등판 프레임(31)은 일 단은 좌 측에 위치되고 타 단은 우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등판 프레임(31)은 'ㄷ'자 형상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등판 프레임(31)은 핸들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핸들 프레임(1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트 프레임(32)은 등판 프레임(31)의 양 측을 연결하여, 등판 프레임(31)의 내구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등을 기댔을 때,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프레임(32)에는 등받이 조절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 조절부(40)는 등받이부(30)의 상측에 연결되어, 제2 와이어(6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조절부(40)는 커넥트 프레임(32)에 설치되어, 제2 와이어(62)의 타 단이 고정될 수 있다. 등받이 조절부(40)는 등받이부(30)의 커넥트 프레임(32)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와이어(62)의 타 단이 고정되기 때문에, 제2 와이어(62)가 당겨질 때 등받이 조절부(40)도 함께 당겨지면서 등받이부(30)가 당겨질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50)는 하체 지지부(70)에 연결되어, 제1 와이어(61) 및 제2 와이어(6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조절부(50)는 하체지지부의 제1 하체 프레임(71) 후단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50)에는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의 일 단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조절부(50)는 암기어커버, 고정부, 기어, 스프링, 고정판, 수기어커버 및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암기어커버는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통해,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 각각의 일 단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는 암기어커버의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어, 제1 입구와 제2 입구에 삽입되는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기어는 암기어커버에 삽입되어,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의 일 단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어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기어커버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은 암기어커버 내부에 삽입되어, 암기어커버의 제1 입구, 제2 입구와 기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은 기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가 암기어커버 외부로 당겨지는 힘이 발생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기어가 암기어커버의 제1입구와 제2 입구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1 와이어(61)와 제2 와이어(62)에 외부로 당겨지는 힘이 중단되면, 스프링이 압축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이에 따라 기어도 제1 입구와 제2 입구 측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정판은 수기어커버와 기어를 고정할 수 있다.
수기어커버는 암기어커버의 제1입구와 제2 입구 반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수기어커버에는 제1 하체 프레임(71)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의 구성들과 제1 하체 프레임(71)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하체 지지부(70)는 와이어 조절부(50)와 연결되어,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하체 지지부(70)는 제1 하체 프레임(71), 제2 하체 프레임(72) 및 조절 브라켓(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체 프레임(71)은 하체를 지지하도록 양 측에 각각 배치되되, 후방부가 와이어 조절부(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하체 프레임(72)의 양 단은 양 측의 측부 프레임(14)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 브라켓(73)은 상단이 제1 하체 프레임(7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연결 프레임(12)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 브라켓(73)에는 지지바(121)가 위치될 수 있는 홈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81)은 발판(82)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을 올리거나 물건을 올릴 수도 있고, 사용자의 앞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보호할 수 있다.
발판(82)은 제2 하체 프레임(72)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체를 올려놓을 수 있다. 발판(82)은 회동 가능하게 제2 하체 프레임(72)에 연결될 수 있다.
받침대(83)는 하부 프레임(13)에 연결되어, 다른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유모차(1)가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폴딩되기 전 상태에서는, 핸들 프레임(11)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폴딩 가능한 유모차(1)를 폴딩하기 위해 폴딩 버튼(20)을 누르면, 핸들 프레임(11)이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하측으로 하강한다.
핸들 프레임(11)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프레임(12)의 상단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강하고, 연결 프레임(12)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연결 프레임(12)의 하단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연결 프레임(12) 하단의 후방 이동 및 상승에 따라, 전방 바퀴가 연결된 제1 바퀴 프레임(15)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연결 프레임(12)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연결 프레임(12)에 연결된 조절 브라켓(73)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지지바(121)와 조절 브라켓(73)이 서로 이격된다. 이때, 조절 브라켓(73)의 후단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조절 브라켓(73)의 상단과 연결된 제1 하체 프레임(71)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1)이 하강하여, 연결 프레임(12)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연결 프레임(12)에 연결된 제1 와이어(61)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조절 브라켓(73)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조절 브라켓(73)의 상단과 연결된 제1 하체 프레임(71)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 와이어(62)가 전방으로 당겨진다.
이처럼,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는 제1 와이어(61)와, 상방으로 당겨지는 제2 와이어(62)에 의해 폴딩될 수 있다.
정리하면, 폴딩 버튼(20)을 누르면 핸들 프레임(11)이 하강하게 되고, 핸들 프레임(11)이 하강하게되면서, 연결 프레임(12)의 지지바(121)가 하강하면서 지지바(121)에 고정된 조절 브라켓(73)의 고정이 해지되며, 등받이부(30)의 고정이 해지된다. 이때, 제1 와이어(61)가 후측 및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 와이어(62)가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유모차가 폴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폴딩 가능한 유모차 10: 바디부
11: 핸들 프레임 12: 연결 프레임
121: 지지바 13: 하부 프레임
14: 측부 프레임 15: 제1 바퀴 프레임
16: 제2 바퀴 프레임 20: 폴딩 버튼
30: 등받이부 31: 등판 프레임
32: 커넥트 프레임 40: 등받이 조절부
50: 와이어 조절부 61: 제1 와이어
62: 제2 와이어 70: 하체 지지부
71: 제1 하체 프레임 72: 제2 하체 프레임
73: 조절 브라켓 731: 조절홈
81: 테이블 82: 발판
83: 받침대

Claims (7)

  1. 핸들 프레임, 연결 프레임, 하부 프레임이 차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등받이 조절부;
    상기 하체 지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조절부;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지지바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일 단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2 와이어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폴딩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들 프레임은 절곡 형성되어 일 단과 타 단이 양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핸들 프레임의 양 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양 측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신체 양 측에 위치되되, 상단이 상기 핸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 바퀴와 연결되는 제1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방 바퀴와 연결되는 제2 바퀴 프레임;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체 지지부는,
    하체를 지지하도록 양 측에 각각 배치되되, 후방부가 상기 와이어 조절부에 체결되는 제1 하체프레임;
    양 단이 양 측의 상기 측부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2 하체프레임; 및
    상단은 상기 제1 하체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되, 지지바가 위치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는 조절 브라켓;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하측으로 하강하면,
    상기 핸들 프레임의 하단과 연결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강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승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의 후방 이동 및 상승에 따라, 상기 제1 바퀴 프레임이 후방으로 당겨지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조절 브라켓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조절 브라켓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후단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과 연결된 상기 제1 하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이 하강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단이 후방 이동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제1 와이어가 후방 및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의 상단과 연결된 상기 제1 하체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와이어가 전방으로 당겨지며, 폴딩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KR1020200035882A 2020-03-24 2020-03-24 폴딩 가능한 유모차 KR10229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882A KR102291498B1 (ko) 2020-03-24 2020-03-24 폴딩 가능한 유모차
CN202010344322.3A CN113442989B (zh) 2020-03-24 2020-04-27 可折叠婴儿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882A KR102291498B1 (ko) 2020-03-24 2020-03-24 폴딩 가능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98B1 true KR102291498B1 (ko) 2021-08-20

Family

ID=7746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882A KR102291498B1 (ko) 2020-03-24 2020-03-24 폴딩 가능한 유모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1498B1 (ko)
CN (1) CN113442989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82A (ko) * 2002-01-15 2003-07-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경사 기구 달린 유모차
EP1591341A2 (en) * 2004-04-30 2005-11-02 ARTSANA S.p.A. Foldable stroller with backrest recline memory
KR101793220B1 (ko) 2010-09-01 2017-11-02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CN109955885A (zh) * 2019-03-14 2019-07-02 柯全德 一种折叠方便的婴儿车
JP2019156214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0313B2 (ja) *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EP2781431B1 (en) * 2011-11-01 2017-04-12 Combi Corporation Foldable stroller
JP6494979B2 (ja) * 2014-11-04 2019-04-0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82A (ko) * 2002-01-15 2003-07-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경사 기구 달린 유모차
EP1591341A2 (en) * 2004-04-30 2005-11-02 ARTSANA S.p.A. Foldable stroller with backrest recline memory
KR101793220B1 (ko) 2010-09-01 2017-11-02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JP2019156214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ベビーカー
CN109955885A (zh) * 2019-03-14 2019-07-02 柯全德 一种折叠方便的婴儿车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네이버블로그) *
비특허문헌2(유튜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42989A (zh) 2021-09-28
CN113442989B (zh)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700B2 (en) Stroller with a reclining mechanism
US8322745B2 (en) Tandem stroller frame
CN103251248B (zh) 幼儿载具
US9010857B2 (en) Child safety seat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TWI680073B (zh) 折疊式嬰兒車
EP2001728A2 (en)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JP6349000B2 (ja) ベビーキャリッジ
TWI648184B (zh) Baby carriage
US20170251828A1 (en) Folding elevated sleeper
US20020093177A1 (en) Stroller capable of carrying a baby basket
TWI308538B (en) Stroller
JP2007099000A (ja) ベビーカー
NL1028346C2 (nl) Wandelwagen alsmede koppelstuk.
US6464244B1 (en) Stroller assembly having a foldable frame
JP6735195B2 (ja) ベビーカー
TW201628902A (zh) 嬰兒車
KR102291498B1 (ko) 폴딩 가능한 유모차
US10532759B2 (en) Child support apparatus
KR102001741B1 (ko) 어린이 지지 장치
KR20200138014A (ko) 유모차
US2179275A (en) Collapsible baby walker and carriage
GB2446389A (en) Reconfigurable pushchair
JP2946411B1 (ja) 乳母車兼用背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