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67B1 -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67B1
KR102291467B1 KR1020210044028A KR20210044028A KR102291467B1 KR 102291467 B1 KR102291467 B1 KR 102291467B1 KR 1020210044028 A KR1020210044028 A KR 1020210044028A KR 20210044028 A KR20210044028 A KR 20210044028A KR 102291467 B1 KR102291467 B1 KR 10229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ehicle
parking
sensor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목
백봉순
주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Priority to KR102021004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바퀴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차공간 내에 위치된 스토퍼와 주차공간의 내부 및 외부 바닥면에 압전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주차 공간내에서의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및 주차를 위해 정지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주차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Parking facilitie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건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에서 안전한 주차 안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주차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는 차량이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 구획선이 설정되어 있고, 이 주차 구획선의 후미에는 차량이 주차 구획선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시설 보완책으로 주차장 바닥에 카 스토퍼(car stopper)를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 스토퍼는, 차량이 구획된 주차 구역에 전, 후진 시 정확한 거리 측정 없이도 서서히 진행하다 보면 이에 부딪히는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되어 주차의 편리함 혹은 용이함을 주고자 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그러나 카 스토퍼는, 주차중인 차량의 바퀴 진행을 저지하는 단순 구조여서 능동적이면서 보다 안전한 주차를 유도하고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주차하는 운전자의 경우 주차존의 구획선을 정확히 식별하면서 주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차된 차량의 각도 및 위치에 따라 주차존의 진입 및 이동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차에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주차존에 근접한 다른 차량 또는 장애물과 충돌하는 사고가 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AVM 시스템을 지원하는 차량의 경우, 주차 시 차량 측면 또는 후방이나 사방에 대한 탑 뷰 영상을 통해 차량의 주차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주차를 하면서 주변의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은 회피할 수 있지만, 목표주차위치에 차량을 주차하기까지 운전자가 가까운 시야에 있는 AVM 영상을 확인하면서 차량의 진행방향, 정지시점, 스티어링 휠 방향 및 각도 등을 결정해야하기 때문에 주차에 대한 부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0002호, ‘주차장용 카 스토퍼’, (2013.11.1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바퀴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차공간 내에 위치된 스토퍼와 주차공간의 내부 및 외부 바닥면에 압전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하기 위해 복수개로 분할된 압전면을 포함하는 압전센서부가 구성된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바퀴 접촉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가 상호 엮여진 형태의 압전면을 포함하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 시설물을 제안한다. 상기 주차 시설물은 주차 공간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차량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전면부에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센서부는 복수 개의 압전 와이어가 나열된 압전면을 포함하되, 상기 압전 와이어는 Ω 형상이 반복되어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되고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형성하며, 이웃하는 압전 와이어의 돌출부는 직전 압전 와이어의 홈부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어 압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압전센서부에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면은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3개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분할압전면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되고 분할압전면에 바퀴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면은 각각의 압전와이어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되며, 바퀴의 접촉에 따라 각 압전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전류량의 분포를 분석하여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며 차량의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면을 포함하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는 좌우 한쌍의 압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 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공간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위치하며 차량의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면을 포함하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는 좌우 한쌍의 압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센서부는, 각 압전면에 접촉되는 바퀴의 위치 및 시간차를 분석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센서부에서 감지한 바퀴의 위치, 주차 공간에 위치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주차공간 내에 위치된 스토퍼와 주차공간의 내부 및 외부 바닥면에 압전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안전한 주차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개로 분할된 압전면을 포함하는 압전센서부로 구성되어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안전한 주차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가 중첩되어 엮여진 형태의 압전면이 구성되어 차량의 바퀴 접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주차 안내 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차량의 위치를 운전자가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하게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주차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주차 공간내에서의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및 주차를 위해 정지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주차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부 및 내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와이어로 구성된 압전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면에 바퀴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통한 차량의 각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 또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통한 차량의 각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주차 공간(A)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후면 주차를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차 시설물은 차량(미도시)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100),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주차 공간(A)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토퍼(100)는 주차 공간(A)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차량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것으로,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후진 차량의 리어(rear)측 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면부가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00)는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전면부에 압전센서부가 구성되어 차량의 주차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압전센서부에 대하여는 도 3의 (a)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는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주차 공간(A)의 내부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후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주차 공간(A)의 외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주차 공간(A)에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진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에 대하여는 도 3의 (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진입 방향은 도 1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M)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 시설물은 압전센서부가 구성된 스토퍼(100)를 통해 차량의 주차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를 더 포함하여 주차 공간(A)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 및 주차 공간(A)내에서 후진 이동 중인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운저자에게 안전한 주차를 안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승강식 주차장의 주차 공간(A)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전면 주차를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주차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승강식 주차장은 여러 층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된 주차구획에 승강기에 의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운반 이동하여 주차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주차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승강식 주차장의 주차 공간(A)이라 함은 차량이 주차되는 상기 주차구획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기계식 주차장의 주차구획을 ‘주차 공간(A)’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차량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100),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주차 공간(A)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는, 주차 공간(A)에 구성된 바퀴안착레일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100)는 주차 공간(A)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차량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것으로,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진 차량의 프런트(front)측 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면부가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00)는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전면부에 압전센서부가 구성되어 차량의 주차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압전센서부에 대하여는 도 3의 (a)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는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주차 공간(A)의 내부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전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주차 공간(A)의 외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주차 공간(A)에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포함하는 진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에 대하여는 도 3의 (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 시설물은 압전센서부가 구성된 스토퍼(100)를 통해 차량의 주차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 및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를 더 포함하여 주차 공간(A)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 및 주차 공간(A)내에서 전진 이동 중인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운저자에게 안전한 주차를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부 및 내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부는,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을 포함한다.
압전센서부는 압전체로 형성되어 바퀴의 접촉에 의한 변형을 통해 차량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압전면은 복수개로 분할된 분할압전면을 포함하며, 분할압전면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된다.
분할압전면은 스토퍼(100)의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3개가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개수가 많을수록, 분할된 크기가 작을수록 차량의 주차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00)는 압전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압전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압전면보호커버(12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전면보호커버(120)는 분할압전면의 개수에 대응하여 스토퍼(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살표(M) 방향으로 바라볼 때 나타나는 스토퍼(100)의 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좌측 스토퍼(100)는, 도 1에서는 차량의 우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는 스토퍼(100)이며, 도 2에서는 차량의 좌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는 스토퍼(100)이다. 반대로, 도 3의 (a)에 도시된 우측 스토퍼(100)는, 도 1에서는 차량의 좌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는 스토퍼(100)이며, 도 2에서는 차량의 우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는 스토퍼(100)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좌측 스토퍼(100)는 도 1 및 도 2 상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스토퍼(100)이며, 도 3의 (a) 도시된 우측 스토퍼(100)는 도 1 및 도 2 상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스토퍼(100)이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좌측 스토퍼(100)의 압전면은 우측스토퍼압전면(101a)이고, 도 3의 (b)에 도시된 우측 스토퍼(100)의 압전면은 좌측스토퍼압전면(101b)에 해당한다.
도 3의 (a)을 살펴보면, 우측스토퍼압전면(101a) 및 좌측스토퍼압전면(101b)은, 분할압전면이 각각 8개가 배치될 경우, 좌측으로부터 제1 분할압전면(a1, b1), 제2 분할압전면(a2, b2), 제3 분할압전면(a3, b3), 제4 분할압전면(a4, b4), 제5 분할압전면(a5, b5), 제6 분할압전면(a6, b6), 제7 분할압전면(a7, b7) 및 제8 분할압전면(a8, b8)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을 포함하고, 압전면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압전체로 형성되어 바퀴의 접촉에 의한 변형을 통해 차량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압전면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는 주차 공간(A)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개수가 증가할수록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가 3개가 설치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우측압전면(201a) 및 제1 내부좌측압전면(201b)으로 구성되는 제1 내부 압전면, 제2 내부우측압전면(202a) 및 제2 내부좌측압전면(202b)으로 구성되는 제2 내부 압전면, 제3 내부우측압전면(203a) 및 제3 내부좌측압전면(203b)으로 구성되는 제3 내부 압전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우측압전면(301a) 및 외부좌측압전면(301b)으로 구성되는 외부 압전면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주차 공간(A)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주차 공간(A)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된 개수가 증가할수록 차량의 진입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와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각 압전면은 복수개로 분할된 분할압전면을 포함하며, 분할압전면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된다.
분할압전면은 도 1 내지 도 3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3개가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개수가 많을수록, 분할된 크기가 작을수록 차량의 진입 및 이동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와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각 압전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압전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압전면보호커버(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전면보호커버는 분할압전면의 개수에 대응하여 각 분할압전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살표(M) 방향으로 바라볼 때 나타나는 한 쌍의 압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압전면은, 도 1에서는 차량의 우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이며, 도 2에서는 차량의 좌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이다. 반대로, 도 3의 (b)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압전면은, 도 1에서는 차량의 좌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이며, 도 2에서는 차량의 우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는 압전면이다.
즉, 도 3의 (b)에서 좌측에 배치된 압전면은, 도 1 및 도 2의 제1 내지 제3 내부우측압전면(201a, 202a, 203a)과 외부우측압전면(301a)에 해당하고, 도 3의 (b)에서 우측에 배치된 압전면은 도 1 및 도 2의 제1 내지 제3 내부좌측압전면(201b, 202b, 203b)과 외부좌측압전면(301b)에 해당한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각 압전면의 분할압전면은 8개로 배치될 경우, 좌측으로부터 제1 분할압전면(a1, b1), 제2 분할압전면(a2, b2), 제3 분할압전면(a3, b3), 제4 분할압전면(a4, b4), 제5 분할압전면(a5, b5), 제6 분할압전면(a6, b6), 제7 분할압전면(a7, b7) 및 제8 분할압전면(a8, b8)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와이어로 구성된 압전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토퍼(100)의 압전전센서부,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각 압전면은 도 4에 도시된 압전 와이어(10)가 나열되어 구성된다.
압전 와이어(10)는 기계적 응력에 따라 분극을 일으켜 전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압전체로 구성된다.
압전 와이어(10)로 구성되는 압전면은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가 상호 엮여 일부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차량의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압전면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스토퍼(100),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에 구성된다.
압전 와이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Ω 형상이 반복되어 돌출부(11)와 홈부(12)가 반복되며,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절곡되어 형성된 돌출부(11), 돌출부(11)의 일단과 다른 돌출부(11)의 일단이 연결되어 형성된 홈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와이어(10)의 돌출부(11)의 최대폭(11’)은 홈부(12)의 내측폭(12’)보다 넓게 형성되며, 돌출부(11)의 일단과 타단 사이, 즉, 돌출부(11)의 하단의 최대폭(11’’)은 홈부(12)의 내측폭(12’)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를 돌출부(11)와 홈부(12)를 통해 상호 결합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전 와이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압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압전 와이어(10a)의 제1 홈부(12a)에 제2 압전 와이어(10b)의 하단을 삽입하여 제2 압전 와이어(10b)의 제2 돌출부(11b)가 제1 압전 와이어(10a)의 제1 홈부(12a)에 끼워지도록 한다. 제2 압전 와이어(10b)의 제2 돌출부(11b)의 하단은 제1 압전 와이어(10a)의 내측폭(11’’)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끼워짐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압전 와이어(10a)의 제1 홈부(12a)에 끼워진 제2 압전 와이어(10b)는 제2 돌출부(11b)의 최대폭(11’)이 제1 압전 와이어(10a)의 제1 홈부(12a)의 내측폭(11’’)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게 되며, 제2 압전 와이어(10b)의 제2 돌출부(11b)는 제1 압전 와이어(10a)의 제1 돌출부(11a)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압전 와이어(10a)와 제2 압전 와이어(10b)는 제1 돌출부(11a)와 제2 돌출부(11b)가 일부 겹쳐지게 되며, 제3 압전 와이어(10c)와 추가적인 압전 와이어(10)들이 더 결합될수록 적층범위와 압전면의 면적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가 중첩된 압전면은 바퀴가 접촉할 시 복수의 압전 와이어(10)에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정밀한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압전 와이어(10)간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변위량이 증가되어 더욱 정밀한 접촉 위치 판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압전면은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가 중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압전면에 접촉되는 바퀴의 세기가 동일하더라도 중심부에 위치한 압전 와이어(10)에 변위가 가중되기 때문에 가장 큰 장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5개의 압전 와이어(10)로 이루어진 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된다고 가정했을 시, 최우측 압전 와이어(10)가 우측으로 1만큼의 변위가 발생되면 2번째 우측 와이어는 1보다 a만큼 큰 변위가 발생되고, 중심지점의 압전 와이어(10)는 1+a보다 b만큼 큰 변위가 발생되게 된다. 중심지점으로 갈수록 바퀴가 가하는 힘에 의한 변형과 더불어 이웃하는 압전 와이어(10)가 상호 당기는 힘에 의한 변위가 중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가 중첩되어 엮여진 압전면은 바퀴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주차 안내 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전면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된 분할압전면으로 구성되므로, 복수개의 분할압전면 중 인접한 적어도 2개의 분할압전면의 변형을 통해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위치 감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면에 바퀴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압전면의 분할압전면이 8개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하여 다양한 차량의 위치 감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차 공간(A)의 환경, 주요 주차 차종 등을 고려하여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가 스토퍼(100)의 압전면일 경우, 차량의 리어 바퀴는 8개로 나뉘어진 분할압전면 중 적어도 2개에 접촉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전주차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되어 기설정된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는, 제1 분할압전면(a1, b1) 내지 제8분할전면(a8, b8)의 배치정보로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주차제어부는, 제1 분할압전면(a1, b1)에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주차라인(L)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8 분할압전면(a8, b8)에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좌측 주차라인(L)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주차제어부는 위치 데이터 설정에 따라 제1 분할압전면(a1, b1) 내지 제3 분할압전면(a3, b3) 중 적어도 2개의 분할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 내에서 우측에 근접하게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6 분할압전면(a6, b6) 내지 제8 분할압전면(a8, b8) 중 적어도 2개의 분할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 내에서 좌측에 근접하게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전주차제어부는 도 6의 (b)와 같이 차량의 리어 바퀴가 제4 분할압전면(a4, b4) 및 제5 분할압전면(a5, b5)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내에 올바르게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의 설정은 배치된 분할압전면의 개수, 변위 발생하는 분할압전면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안전주차제어부는, 복수개의 분할압전면의 전류량에 비례하여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6 분할압전면(a6, b6)과 제7 분할압전면(a7, b7)에서 3:7 비율로 전류가 발생되면, 제6 분할압전면(a6, b6)과 제7 분할압전면(a7, b7)의 중심지점 사이의 공간에서 제7 분할압전면(a7, b7)측으로 70% 치우친 지점에 바퀴의 중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분할압전면 중 적어도 2개에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안전주차제어부는 복수개의 분할압전면의 전류량 분포를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가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압전면일 경우, 차량의 프런트 바퀴는 8개로 나뉘어진 분할압전면 중 적어도 2개에 접촉되게 되며, 안전주차제어부는 기설정된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는, 제1 분할압전면(a1, b1) 내지 제8 분할압전면(a8, b8)의 배치정보로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주차제어부는, 제1 분할압전면(a1, b1)에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주차 공간(A)의 우측으로 차량이 진입하고 있거나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8 분할압전면(a8, b8)에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주차 공간(A)의 좌측으로 차량이 진입하고 있거나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주차제어부는 위치 데이터 설정에 따라 제1 분할압전면(a1, b1) 내지 제3 분할압전면(a3, b3) 중 적어도 2개의 분할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6 분할압전면(a6, b6) 내지 제8 분할압전면(a8, b8) 중 적어도 2개의 분할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전주차제어부는 도 6의 (b)와 같이 차량의 프런트 바퀴가 제4 분할압전면(a4, b4) 및 제5 분할압전면(a5, b5)에 변위가 발생되면 차량이 주차 공간(A)내에 바람직하게 진입하고 있는 판단할 수 있다.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의 설정은 배치된 분할압전면의 개수, 변위 발생하는 분할압전면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안전주차제어부는, 복수개의 분할압전면의 전류량에 비례하여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6 분할압전면(a6, b6)과 제7 분할압전면(a7, b7)에서 3:7 비율로 전류가 발생되면, 제6 분할압전면(a6, b6)과 제7 분할압전면(a7, b7)의 중심지점 사이의 공간에서 제7 분할압전면(a7, b7)측으로 70% 치우친 지점에 바퀴의 중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분할압전면 중 적어도 2개에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도 2와 같이 승강식 주차장에 적용될 경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압전면의 접촉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경고부의 경고음은, 안전주차제어부에 설정된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 또는 전류랑을 기초로, 안전 주차 기준에서 벗어나는 분할압전면에서의 변위가 감지될 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바퀴의 접촉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위치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차량의 바퀴 위치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차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후진 주차가 요구되는 주차 시설물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상부에서 주차 공간(A)으로 화면이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와 같이 전면 주차가 요구되는 주차 시설물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스토퍼(100)의 하부에서 주차 공간(A)으로 화면이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400)는 LED 전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모니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400)의 일 예를 설명하면, 주차 공간(A)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감지될 경우, 안전주차기준선(410)과 현차량상태(420)를 동시에 출력하여 안내할 수 있다.
현차량상태(420)는, 바퀴의 위치, 차량의 각도를 포함한다.
만약, 도 6의 (a)와 같이 프런트 바퀴가 주차 공간(A)의 우측에 치우쳐 이동중인 것으로 감지될 경우, 현차량상태(420)는 안전주차기준선(410)에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안전주차기준선(410)과 현차량상태(420)의 위치를 파악하여 진입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프런트 바퀴가 안전 주차 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동중인 것으로 감지될 경우, 현차량상태(420)의 위치를 안전주차기준선(410) 내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운전석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차량의 위치를 운전자가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하게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압전면을 통해 차량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통한 차량의 각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토퍼(100)를 통한 차량의 각도는 한 쌍의 스토퍼(100)에 구성된 압전면 중 변위가 발생된 압전면을 검출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8의 (a)을 참조하여 일 예를 설명하면,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리어 바퀴가 우측 스토퍼(100)에 구성된 우측스토퍼압전면(101a)에만 접촉된 경우, 안전주차제어부는 차량의 전면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도 8의 (b)와 같이 안전주차기준선(410)과 현차량상태(420)를 동시에 출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각도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 중 어느 하나의 변위를 포함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 또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통한 차량의 각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 및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를 통한 차량의 각도는 압전면에 구성된 분할압전면의 변위를 검출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된 압전면을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의 외부우측압전면(301a)과 외부좌측압전면(301b)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의 압전면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9 (a)을 참조하여 일 예를 설명하면, 화살표(M) 방향으로 후진 중인 차량의 리어 바퀴가 기울어진 상태로 외부우측압전면(301a)과 외부좌측압전면(301b)에 접촉된 경우, 안전주차제어부는, 상술한 분할압전면 위치 데이터 및 전류량 분포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차량의 각도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우측에 위치된 외부우측압전면(301a)에는 차량의 우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고, 좌측에 위치된 외부좌측압전면(301b)에는 차량의 좌측 리어 바퀴가 접촉되게 된다.
도 9의 (a)와 같이 리어 바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후진 이동되어 제4 분할압전면(a4, b4) 및 제5 분할압전면(a5, b5)을 1차 가압한 후, 제3 분할압전면(a3, b3) 및 제4 분할압전면(a4, b4)을 2차 가압하게 될 경우, 안전주차제어부는 1차 가압에서 감지된 분할압전면의 위치와 2차 가압에서 감지된 분할압전면의 변위 순서를 검출하여 차량이 좌후방으로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1차 가압과 2차 가압에서 변화되는 전류량 분포를 통해 바퀴의 이동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즉, 후진 관점에서 볼 때, 안전주차제어부는 변위가 발생하는 분할압전면의 순서 및 전류량 비례를 통한 분포 추적을 기초로 차량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변위가 발생하는 분할압전면의 순서 및 분포 이동이 우에서 좌로 이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각도는 우측으로 기울어진(좌후방 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좌에서 우로 이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각도는 좌측으로 기울어진(우후방 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진 이동 관점에서 살펴보면, 도 9의 (a)에서 우측에 위치된 외부우측압전면(301a)에는 차량의 좌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고, 좌측에 위치된 외부좌측압전면(301b)에는 차량의 우측 프런트 바퀴가 접촉되게 된다.
화살표(M)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 차량의 프런트 바퀴가 제4 분할압전면(a4, b4) 및 제5 분할압전면(a5, b5)을 1차 가압한 후, 제3 분할압전면(a3, b3) 및 제4 분할압전면(a4, b4)을 2차 가압하게 되면, 안전주차제어부는 1차 가압에서 감지된 분할압전면의 위치와 2차 가압에서 감지된 분할압전면의 변위 순서를 비교하여 차량이 우전방으로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1차 가압과 2차 가압에서 변화되는 전류량 분포를 통해 바퀴의 이동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즉, 전진 관점에서 볼 때, 안전주차제어부는 변위가 발생하는 분할압전면의 순서 및 분포 이동이 우에서 좌로 이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각도는 좌측으로 기울어진(좌전방 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좌에서 우로 이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각도는 우측으로 기울어진(우전방 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시간차를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200)가 3개가 설치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우측압전면(201a) 및 제1 내부좌측압전면(201b)으로 구성되는 제1 내부 압전면, 제2 내부우측압전면(202a) 및 제2 내부좌측압전면(202b)으로 구성되는 제2 내부 압전면, 제3 내부우측압전면(203a) 및 제3 내부좌측압전면(203b)으로으로 구성되는 제3 내부 압전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우측압전면(301a) 및 제1 외부좌측압전면(301b)으로 구성되는 외부 압전면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주차 공간(A)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시설물이 구성된 경우, 시간차를 이용한 각도 감지는, 제1 내부 압전면, 제2 내부 압전면, 제3 내부 압전면 및 제1 외부 압전면에 각각 구성된 한 쌍의 압전면 중 하나의 변위가 감지되고, 일정 시간 후 다른 하나의 변위가 감지될 경우, 차량의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설명하면, 도 1을 살펴볼 때, 제1 내부좌측압전면(201b)에서 변위가 발생하고, 일정 시간 후 제1 내부우측압전면(201a)에서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안전주차제어부는, 차량의 전면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내부우측압전면(201a)에서 변위가 발생하고, 일정 시간 후 제1 내부좌측압전면(201b)에서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안전주차제어부는, 차량의 전면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설물은, 차량의 진입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입속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입속도센서가 구성될 경우, 차량의 진입 시간 동안의 차량의 이동 거리가 측정되므로 차량의 진입 각도에 대한 수치 또한 계산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을 살펴볼 때, 주차 공간(A)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와 각 압전면에서 발생된 변위 발생 정보를 산출하여 차량의 각도 계산이 가능하다.
변위 발생 정보는 상술한 압전면에 구성된 분할압전면에 변위가 발생된 시점 및 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위 발생 정보와 차량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여 차량의 이동 각도를 수치화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시설물은, 주차 공간(A)에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주차 공간(A)내에서의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 및 주차를 위해 정지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주차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복수개의 압전 와이어(10)로 엮여진 분할압전면이 복수개로 구성된 압전면을 통해 정확한 바퀴의 위치 및 각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어 정밀한 주차 안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압전 와이어: 10 돌출부: 11
홈부: 12
스토퍼: 100 우측스토퍼압전면: 101a
좌측스토퍼압전면: 101b
압전면보호커버: 120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 200 제1 내부우측압전면: 201a
제1 내부좌측압전면: 201b 제2 내부우측압전면(202a): 202a
제2 내부좌측압전면: 202b 제3 내부우측압전면: 203a
제3 내부좌측압전면: 203b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 300 외부우측압전면: 301a
외부좌측압전면: 301b
디스플레이부: 400 안전주차기준선: 410
현차량상태: 420

Claims (7)

  1. 주차 공간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차량의 과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주차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차량의 바퀴가 접촉되는 전면부에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센서부는
    복수 개의 압전 와이어가 나열된 압전면을 포함하되,
    상기 압전 와이어는 Ω 형상이 반복되어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되고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형성하며, 이웃하는 압전 와이어의 돌출부는 직전 압전 와이어의 홈부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어 압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압전센서부에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하는, 주차 시설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면은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3개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분할압전면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되고 분할압전면에 바퀴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하는, 주차 시설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면은 각각의 압전와이어가 하나의 독립된 압전체로 형성되며, 바퀴의 접촉에 따라 각 압전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전류량의 분포를 분석하여 접촉된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를 안내하는, 주차 시설물.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며 차량의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면을 포함하는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는 좌우 한쌍의 압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 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가 마련되는, 주차 시설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의 입구측 외부 바닥면에 위치하며 차량의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면을 포함하는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그라운드 압전센서부는 좌우 한쌍의 압전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 시설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부는,
    각 압전면에 접촉되는 바퀴의 위치 및 시간차를 분석하여 주차 공간 내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안내하는, 주차 시설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부에서 감지한 바퀴의 위치, 주차 공간에 위치한 차량의 위치 및 각도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시설물.
KR1020210044028A 2021-04-05 2021-04-05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KR10229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8A KR102291467B1 (ko) 2021-04-05 2021-04-05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8A KR102291467B1 (ko) 2021-04-05 2021-04-05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67B1 true KR102291467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28A KR102291467B1 (ko) 2021-04-05 2021-04-05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4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02Y1 (ko) 2012-02-03 2013-11-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차장용 카 스토퍼
JP2020084663A (ja) * 2018-11-29 2020-06-04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CN212317605U (zh) * 2019-11-29 2021-01-08 上海豫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车位引导装置
CN112258889A (zh) * 2020-10-26 2021-01-22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基于车位监控传感器的停车场车位监控系统
CN112324207A (zh) * 2020-10-23 2021-02-05 吴红光 一种新型夹取车搬运机器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02Y1 (ko) 2012-02-03 2013-11-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차장용 카 스토퍼
JP2020084663A (ja) * 2018-11-29 2020-06-04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CN212317605U (zh) * 2019-11-29 2021-01-08 上海豫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车位引导装置
CN112324207A (zh) * 2020-10-23 2021-02-05 吴红光 一种新型夹取车搬运机器人
CN112258889A (zh) * 2020-10-26 2021-01-22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基于车位监控传感器的停车场车位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425B2 (ja) 超音波センサによって自動車両の周辺区域内における少なくとも1つの物体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運転者支援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両
CN1755331B (zh) 用于汽车停车辅助的方法
CN106760813A (zh) 一种立体车库入库口车辆检测提示方法及其实现装置
KR102291467B1 (ko) 건축물의 주차 시설물
US11572064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surrounding area of a motor vehicle, sensor control unit,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CA2919562C (en) Method and devices for checking the correct rail position of a guided vehicle
KR102291468B1 (ko) 건축물의 승강식 차량 주차 시스템
CN102428019B (zh) 电梯的异常检测装置
CN107990831B (zh) 车辆长度测量装置及车辆外轮廓测量系统
CN108674442A (zh) 列车轴距检测方法及系统
US20220402531A1 (en) Track travelling device
CN205706503U (zh) 车辆及其障碍物检测装置
JP6391240B2 (ja) 自動車の車両乗員安全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ならびにこれに対応する車両乗員安全装置
WO2017134951A1 (ja) 充電装置および位置ずれ検出方法
JP2010257184A (ja) 無人搬送車の交差点制御装置及び交差点制御方法
KR100913831B1 (ko) 열차 장애물 감지시스템과 열차 탈선 감지시스템 및 이들을구비한 시스템
KR102344184B1 (ko) 송전선로 점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9244B1 (ko) 자가 길이측정수단이 장착된 타이로드
CN102730536B (zh) 乘客传送设备用梯级的检查方法
KR101957104B1 (ko) 주차 가이드시스템
JP6684149B2 (ja) 洗車装置
JP4965814B2 (ja)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滑り量検出装置
CN208602495U (zh) 列车轴距检测系统
JP2005189152A (ja) 最低地上高検出装置
CN219016585U (zh) Agv小车安全防护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