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91B1 -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91B1
KR102289491B1 KR1020190078991A KR20190078991A KR102289491B1 KR 102289491 B1 KR102289491 B1 KR 102289491B1 KR 1020190078991 A KR1020190078991 A KR 1020190078991A KR 20190078991 A KR20190078991 A KR 20190078991A KR 102289491 B1 KR102289491 B1 KR 10228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apple
wine
sampl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999A (ko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김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규 filed Critical 김한규
Priority to KR102019007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03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by a biochem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와 생강을 와인 제조 시에 적용하되,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적용되는 숙성단계 및 생강의 당화 단계를 와인 제조 시에 적용하여 와인의 맛, 향 등의 고품질화 및 소비자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와인 제조 시에 사과와 생강의 효능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사과 시료 제조단계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를 통해 사과 및 생강의 시료를 제조하고, 숙성단계에서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숙성하여 사과와 생강 및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의 효능을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와인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Wine using apple and ging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와 생강을 와인 제조 시에 적용하되,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적용되는 숙성단계 및 생강의 당화 단계를 와인 제조 시에 적용하여 와인의 맛, 향 등의 고품질화 및 소비자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주류와는 달리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체질의 산성화 방지에 유용하며 특히 껍질과 씨를 포함시켜 발효시킨 레드 와인의 경우 혈관 노화 방지 등에 유용한 항산화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그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와인은 국제사회에서 대화와 사교의 술로서 인식되어 비즈니스 및 사교에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각국 또는 각 지방의 조건 및 특색에 맞는 각기 다른 특성의 와인이 제조되고 있다.
우선, 이러한 와인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출원번호 제 10-2002-0071199호 “머루와인의 제조방법”, 출원번호 제 10-2007-0019955호 “포도인삼와인”, 출원번호 제 10-2002-0021017호 “대추와인의 제조 방법”, 출원번호 제 10-2006-0098437호 “석류 와인 및 그 제조 방법”, 출원번호 제 10-2008-7012277호 “버섯 와인”, 출원번호 제 10-2006-0002201호 “마늘 와인과 양파와인의 제조 방법”, 등록번호 제 10-1021481호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화이트와인 제조 방법”, 등록번호 제 10-0751061호 “복숭아 와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복숭아 와인”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다양한 원료를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과와 생강 및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전무하며 상기 사과와 생강 및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의 효능을 접목한 와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와인 제조 시에 사과와 생강의 효능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사과 시료 제조단계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를 통해 사과 및 생강의 시료를 제조하고, 숙성단계에서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숙성하여 사과와 생강 및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의 효능을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와인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과를 세척, 사과 씨 제거 및 착즙 단계를 거쳐 사과 시료를 제조하는 사과 시료 제조단계; 생강을 세척, 착즙, 당화, 숙성 및 여과 단계를 거쳐 생강 시료를 제조하는 생강 시료 제조단계;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사과 시료 및 생강 시료를 혼합하는 시료 혼합단계; 상기 시료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시료 혼합물에 펙틴분해효소 0.03 ~ 0.04g/ℓ, 메타중아황산칼륨 80 ~ 100ppm을 첨가하는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 상기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에서 처리된 혼합물을 당도 조절 단계를 거쳐 당도를 조절하고, 당도가 조절된 혼합물의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을 분리한 후, 분리된 혼합물을 효모 접종 단계를 거쳐 밑술을 제조하는 밑술 제조단계; 상기 밑술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밑술을 상기 밑술 제조단계에서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이 분리된 혼합물에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숙성액을 청징하는 청징단계; 상기 청징단계에서 청징된 숙성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되어 제조된 와인을 포장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액에 85 ~ 90℃에서 1분간 살균된 다시팩에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1 : 1(w/w)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 ~ 10g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12 ~ 15℃에서 3개월간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식품학적 특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사과와 생강의 융합 식품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와인을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고(高)품질화 및 식품학적 가치가 향상된 와인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비자 및 생산자에게 경제적 고(高)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정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와인 제조 공정도로서 본 발명은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으로 그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인 제조 시 이용된 사과, 생강, 코코넛, 오크나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사과는 코카서스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비타민C와 무기염류의 함량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 효능으로는 정장작용, 혈당치의 정상화, 혈압 강하, 소염효과, 심장기능강화, 설사 멈춤, 활성 산소 제거, 암과 염증 알러지 등 예방과 개선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은 아시아원산의 생강과 여러해살이풀로써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등으로 추정되고 기능성 성분으로 진져론, 쇼가올 등이 있으며 전분, 당, 지질, 유기산 등의 성분이 50%를 차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효능으로는 진통 작용, 항소염 작용, 진해.진토작용, 항진 작용, 항궤양 작용, 강심 작용, 혈압 저하, 혈전 예방, 우울증 개선, 식욕 상승, 가래 줄임 ,살균, 항균작용, 메스꺼움, 딸꾹질 등을 멈추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코코넛은 원산지는 말레시아로써, 남아메리카, 인도, 하와이와 태평양 섬이 주산지이며, 녹색의 열대과일로서 즙은 과일 이다. 재배지로써 열대와 아열대 지방인 태국과 동남아시아 이다. 식품 영양성분으로는 지방 26%, 단백질 4g/100g, 철 2.5㎎/100g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효능으로는 코코넛에 함유되어 있는 중사슬지방산은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등 천연 항생제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크(Oak)나무는 참나무라고도 하며 어느 한 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여러 수종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쓰임새가 많아 유용한 나무라는 뜻이며, 이 속(屬)에 속하는 나무는 모두 도토리라고 불리는 견과를 생산하므로 ‘도토리나무’라고도 불린다. 참나무의 잎은 강력한 탈취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농촌에서는 퇴비를 발효시킬 때 떡갈나무의 잎을 덮어 발효로 인한 악취를 억제하였으며, 근래에는 냉장고의 탈취제로 사용하거나 자동차의 실내에 두어 탈취목적으로 사용하는 등 탈취효과가 있고, 강력한 항균활성이 있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며 참나무의 항산화 활성은 인체의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는 사과를 세척, 사과 씨 제거 및 착즙 단계를 거쳐 사과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사과 세척단계는, 경북 안동에서 생산된 사과 1kg을 수돗물에 3회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과 씨 제거 단계는, 애플코어러(사과 씨빼는 기기 : 쿠이지프로, 캐나다)를 이용하여 세척된 사과의 씨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착즙 단계는, 씨를 제거한 사과를 살균된 스테인리스 칼을 이용하여 4등분하고, 두께 0.5 ~ 1cm로 절단 후 진공 믹서기(서한, K-25, 한국)를 이용하여 10분간 간 후, 착즙기로 착즙하는 단계이다.
(2)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
상기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는 생강을 세척, 착즙, 당화, 숙성 및 여과 단계를 거쳐 생강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생강 세척 단계는, 경북 안동에서 생산된 생강 1kg을 수돗물에 3회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착즙 단계는, 세척된 생강을 채망에 넣어 2시간동안 물을 빼고, 살균된 스테인리스 칼을 이용하여 두께 0.5 ~ 1cm로 절단 후 진공 믹서기(서한, K-25, 한국)를 이용하여 10분간 간 후, 착즙기로 착즙하는 단계이다.
상기 당화 단계는, 상기 세척 및 착즙 단계를 거친 생강 1kg과 마이크로 버블기(대한, k-25, 한국)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함유시킨 물 5L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에 효소인 알파-아밀라제 60g, 글루코아밀라제 6g을 첨가하고, 효소가 첨가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교반한 후, 가아제천으로 여과하며, 여과된 혼합물을 고속원심분리기(한일, W-128, 한국)로 3000rpm으로 10분간 회전시켜 상층액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층액을 회전 농축기(삼일, R-25, 한국)를 이용하여 당도 45 ~ 50브릭스(Brix)로 농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 단계는, 상기 당화 단계를 거쳐 분리된 상층액을 10℃에서 7일간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 단계는, 숙성된 상층액을 살균된 3겹 가아제천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이다.
(3) 시료 혼합단계(S300)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는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사과 시료 및 생강 시료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사과 시료 : 생강 시료를 90 ~ 99 : 1 ~ 10(w/w)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과 시료 : 생강 시료를 99 : 1, 95 : 5, 90 : 10(w/w)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4)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
상기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는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 혼합된 시료 혼합물에 펙틴분해효소 0.03 ~ 0.04g/ℓ, 메타중아황산칼륨 80 ~ 100ppm을 첨가하는 단계이다.
(5) 밑술 제조단계(S500)
상기 밑술 제조단계(S500)는 상기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에서 처리된 혼합물을 당도 조절 단계를 거쳐 당도를 조절하고, 당도가 조절된 혼합물의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을 분리한 후, 분리된 혼합물을 효모 접종 단계를 거쳐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당도 조절단계는, 상기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에서 처리된 혼합물의 당도를 설탕으로 당도 25브릭스(Brix)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효모 접종 단계는, 본 발명에서는 당도가 조절된 혼합물의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을 분리한 후, 분리된 혼합물에 아황산염을 첨가하고 2시간 경과 후에 와인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romyces cerevisiae) 0.30 ~ 0.35g/ℓ를 접종하여 25℃에서 20 ~ 23일간 발효시켜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6) 발효단계(S600)
상기 발효단계(S600)는 상기 밑술 제조단계(S500)에서 제조된 밑술을 상기 밑술 제조단계(S500)에서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이 분리된 나머지 90 ~ 8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에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밑술을 첨가하고 20 ~ 22℃에서 20일간 알코올 발효하되, 발효 7일째 주대(여과주머니) 또는 압착여과기로 술지게미를 제거한 후, 발효탱크에 옮겨서 아황산칼륨(메타카리)를 0.05g/ℓ를 첨가하여 전체 20일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7) 숙성단계(S700)
상기 숙성단계(S700)는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는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에 85 ~ 90℃에서 1분간 살균된 다시팩에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1 : 1(w/w)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 ~ 10g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12 ~ 15℃에서 3개월간 숙성한다.
이때,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 숙성되는 발효액은 30L이며, 50L 크기의 스테인리스 용기에 상기 발효액 30L을 넣고, 85 ~ 90℃에서 1분간 살균된 다시팩에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1 : 1(w/w)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 ~ 10g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은 코코넛 껍질과 오크 나무를 200 ~ 250메쉬(Mesh)로 분쇄하여 분말화 하고, 분쇄된 분말을 121℃ 및 1.5기압으로 설정된 고압 살균기에서 15분간 살균한 후, 참외꼭지에서 분리한 유산균(Lactobacillus 속)을 2분간 분무 후에 35 ~ 38℃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전(前)처리한 것이다.
(8) 청징단계(S800)
상기 청징단계(S800)는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 숙성된 숙성액을 청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청징단계(S800)에서는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 숙성된 숙성액의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다른 용기로 옮겨 담은 다음, 벤토나이트 0.5g/ℓ를 첨가하여 6시간 후, 첨가된 벤토나이트를 걸러내어 최종적으로 청징된 숙성액만을 획득하는 단계인 것이다.
(9) 여과단계(S900)
상기 여과단계(S900)는 상기 청징단계(S800)에서 청징된 숙성액을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단계(S900)에서는 상기 청징단계(S800)에서 청징된 숙성액을 상기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의 당화 단계에서 당도 45 ~ 50브릭스(Brix)로 농축된 100℃의 상층액에 10분간 1차 침지 처리하고, 25℃의 상층액에 8시간 2차 침지 처리한 후에 60℃에서 열풍 건조한 가아제천으로 1차 여과한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여과기를 이용해 2차 여과한다.
(10) 포장단계(S1000)
상기 포장단계(S1000)는 상기 여과단계(S900)에서 여과되어 제조된 와인을 포장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 혼합되는 사과 시료와 생강 시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의 pH, 당도 및 알콜도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67424704-pat00001
여기서, 주어진 pH, 당도 및 알콜도수는 상기 발효단계(S600)를 거쳐 20일간 발효된 발효액의 pH, 당도 및 알콜도수이며, 그 값은 측정 2회의 평균값이다.
pH 측정은 pH meter(Thermo Orion 720,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도 측정은 굴절당도계(Atago 2T, Japan)를 상요하여 측정하였으며, 먼저 증류수를 이용하여 당도계의 영점을 정확히 보정한 다음 발효액의 당도를 측정하여 브릭스(Brix)로 표시하였다.
알콜도수 측정은 발효액 100mL와 증류수 100mL를 취하여 증류장치의 수기에 넣은 다음, 70mL를 증류하여 받고, 여기에 증류수를 가하여 최종 용량이 100mL이 되도록 조절한 후, 알콜비중계로 알콜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알콜도수는 발효액의 온도를 측정한 다음 알콜도수 보정표를 이용하여 환산한 후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pH는 모든 처리구의 경우 3.2 ~ 3.4였고, 당도는 10.0 ~ 10.2브릭스(brix)였으며, 알콜도수는 12.5 ~ 12.7%로, 처리구 사이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하,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 혼합되는 사과 시료와 생강 시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67424704-pat00002
여기서, 주어진 pH, 당도 및 알콜도수는 상기 발효단계(S600)를 거쳐 20일간 발효된 발효액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이며, 그 값은 측정 2회의 평균값이다.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의 측정은 일정량의 발효액을 취한 다음 색도계차계(Minolta CR 300, Japan)을 이용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는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하,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이 첨가되지 않은 무처리 와인과 첨가된 와인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9067424704-pat00003
표 3을 참고하면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색상, 맛, 향기, 전체적 기호도를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이 2.5% 첨가된 와인의 색상, 맛, 향기, 전체적 기호도가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이 첨가되지 않은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식품학적 특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사과와 생강의 융합 식품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와인을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고(高)품질화 및 식품학적 가치가 향상된 와인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비자 및 생산자에게 경제적 고(高)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S100 : 사과 시료 제조단계
S200 : 생강 시료 제조단계
S300 : 시료 혼합단계
S400 :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
S500 : 밑술 제조단계
S600 : 발효단계
S700 : 숙성단계
S800 : 청징단계
S900 : 여과단계
S1000 : 포장단계

Claims (7)

  1. 와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과를 세척, 사과 씨 제거 및 착즙 단계를 거쳐 사과 시료를 제조하는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생강을 세척, 착즙, 당화, 숙성 및 여과 단계를 거쳐 생강 시료를 제조하는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사과 시료 및 생강 시료를 혼합하는 시료 혼합단계(S300);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 혼합된 시료 혼합물에 펙틴분해효소 0.03 ~ 0.04g/ℓ, 메타중아황산칼륨 80 ~ 100ppm을 첨가하는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
    상기 효소제 및 살균제 처리단계(S400)에서 처리된 혼합물을 당도 조절 단계를 거쳐 당도를 조절하고, 당도가 조절된 혼합물의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을 분리한 후, 분리된 혼합물을 효모 접종 단계를 거쳐 밑술을 제조하는 밑술 제조단계(S500);
    상기 밑술 제조단계(S500)에서 제조된 밑술을 상기 밑술 제조단계(S500)에서 10 ~ 15%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물이 분리된 혼합물에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600);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700);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 숙성된 숙성액을 청징하는 청징단계(S800);
    상기 청징단계(S800)에서 청징된 숙성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900);
    상기 여과단계(S900)에서 여과되어 제조된 와인을 포장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S100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숙성단계(S700)에서는 상기 발효단계(S600)에서 발효된 발효액에 85 ~ 90℃에서 1분간 살균된 다시팩에 전(前)처리된 코코넛 껍질 분말과 오크 분말이 1 : 1(w/w)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 ~ 10g이 충진된 다시팩을 침지하여 12 ~ 15℃에서 3개월간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에서 당화 단계는,
    세척 및 착즙 단계를 거친 생강 1kg과 마이크로 버블을 함유한 물 5L를 혼합한 혼합물에 효소인 알파-아밀라제 60g, 글루코아밀라제 6g을 첨가하고, 효소가 첨가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교반한 후, 가아제천으로 여과하며, 여과된 혼합물을 고속원심분리기로 3000rpm으로 10분간 회전시켜 상층액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층액을 회전 농축기를 이용하여 당도 45 ~ 50브릭스(Brix)로 농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혼합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과 시료 제조단계(S100) 및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에서 제조된 사과 시료 : 생강 시료를 90 ~ 99 : 1 ~ 10(w/w)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S900)에서는 상기 청징단계(S800)에서 청징된 숙성액을 상기 생강 시료 제조단계(S200)의 당화 단계에서 당도 45 ~ 50브릭스(Brix)로 농축된 100℃의 상층액에 10분간 1차 침지 처리하고, 25℃의 상층액에 8시간 2차 침지 처리한 후에 60℃에서 열풍 건조한 가아제천으로 1차 여과한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여과기를 이용해 2차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제조방법.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KR1020190078991A 2019-07-01 2019-07-01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91A KR102289491B1 (ko) 2019-07-01 2019-07-01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91A KR102289491B1 (ko) 2019-07-01 2019-07-01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99A KR20210002999A (ko) 2021-01-11
KR102289491B1 true KR102289491B1 (ko) 2021-08-11

Family

ID=7412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991A KR102289491B1 (ko) 2019-07-01 2019-07-01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834B1 (ko) * 2021-09-01 2023-12-11 농업회사법인 안동반가 주식회사 생강 발효주의 제조방법
CN114164073A (zh) * 2021-10-29 2022-03-11 山东姜公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姜香型蒸馏酒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204A (ja) * 2007-11-30 2009-06-18 Sakata Nobuo Shoten:Kk 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59B1 (ko) * 2009-07-06 2012-03-23 신현길 대추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417B1 (ko) * 2012-03-05 2013-09-24 김형호 사과 와인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사과 와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204A (ja) * 2007-11-30 2009-06-18 Sakata Nobuo Shoten:Kk 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99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4815B (zh) 猕猴桃酒的酿造方法
CN106520451A (zh) 一种红曲果酒及其制备方法
KR101127659B1 (ko) 대추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CN104651192A (zh) 一种双籽酒的酿造工艺
KR102289491B1 (ko)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 및 그 제조방법
CN101671614B (zh) 猕猴桃绿色益健酒的制备方法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08531335B (zh) 一种增加蓝莓酒发酵香的酿造方法
KR20120124860A (ko) 멸치액젓 및 복분자를 포함한 양념 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1715B1 (ko) 오디를 이용한 전통주 및 식초 제조방법
JP2008194040A (ja) 山参培養根を利用した酒類の製造方法
CN104223221A (zh) 一种蓝莓饮料的制备方法
KR102389194B1 (ko) 수박 발효농축액을 이용한 술 제조 방법
KR102621242B1 (ko) 복분자 함유 콤부차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5931B1 (ko) 파프리카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CN104726302B (zh) 一种柿子果酒及其制备方法
KR102131362B1 (ko) 아로니아 효소가 함유된 된장 제조방법
KR101764491B1 (ko) 고구마 첨가 증류주 제조 방법
CN113831987A (zh) 一种脐橙sod果酒的制备方法
CN103289865A (zh) 一种葛仙米黄酒的加工方法
KR102311050B1 (ko) 사과와 생강을 이용한 와인식초 및 그 제조방법
CN112143600A (zh) 一种草本莲花酒及其酿造方法
KR101685199B1 (ko) 홍마늘 와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