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10B1 -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10B1
KR102286510B1 KR1020140086625A KR20140086625A KR102286510B1 KR 102286510 B1 KR102286510 B1 KR 102286510B1 KR 1020140086625 A KR1020140086625 A KR 1020140086625A KR 20140086625 A KR20140086625 A KR 20140086625A KR 102286510 B1 KR102286510 B1 KR 10228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ess plating
insulating resin
plating
pretreatment
butyl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525A (ko
Inventor
요시카즈 사이조
히사미츠 야마모토
마사유키 우츠미
타쿠야 오카마치
타쿠야 고메다
Original Assignee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1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1851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surfaces of non-metallic or semiconducting in organic material
    • C23C18/187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surfaces of non-metallic or semiconducting in organic material by chemical pretreatment
    • C23C18/1875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surfaces of non-metallic or semiconducting in organic material by chemical pretreatment only one step pretreatment
    • C23C18/1882Use of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metals, e.g. activation, sensitisation wit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3Two or mor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and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2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organic surfaces, e.g. resins
    • C23C18/2006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organic surfaces, e.g. resins by other methods than those of C23C18/22 - C23C18/30
    • C23C18/2046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organic surfaces, e.g. resins by other methods than those of C23C18/22 - C23C18/30 by chemical pretreatment
    • C23C18/2073Multistep pretreatment
    • C23C18/2086Multistep pretreatment with use of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metals, firs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31Coating with metals
    • C23C18/38Coating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2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organic surfaces, e.g. resins
    • C23C18/22Roughening, e.g.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2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organic surfaces, e.g. resins
    • C23C18/28Sensitising or activating
    • C23C18/30Activating or accelerating or sensitising with palladium or other noble m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56Uses of liquids, e.g. rinsing, coating, dissolving
    • H05K2203/0776Uses of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759 - H05K2203/077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79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liquids involved
    • H05K2203/0783Using solvent, e.g. for cleaning; Regulating solvent content of pastes or coatings for adjusting the viscos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79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liquids involved
    • H05K2203/0786Using an aqueous solution, e.g. for cleaning or during drilling of holes
    • H05K2203/0789Aqueous acid solution, e.g. for cleaning or e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품의 발생을 단시간에 억제할 수 있어서 내기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도 우수한 신규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는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및/또는 C4H9-(OC3H6)n-OH(n=1∼4의 정수)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Pretreating agent for electroless plating, and method for pretre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 by using said pretreating agent for electroless pla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는 특히,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에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위한 전처리제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류 등의 분야에 범용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대부분은 무전해 도금을 사용하는 애디티브법으로 제조된다. 애디티브법은 무전해 도금만을 사용해서 배선을 형성하는 풀 애디티브법과, 무전해 도금을 한 후, 전기도금을 해서 배선을 형성하는 세미 애디티브법으로 대별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을 조화(roughening)한 후, 촉매를 부여하고, 무전해 구리도금 등의 무전해 도금처리를 가하고(이상, 풀 애디티브법), 필요에 따라서 전기 구리도금 등의 전기도금처리를 가하고(이상, 세미 애디티브법), 프린트 배선기판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수지에는 실리카계 필러가 포함되는 것이 많고, 이에 따라 절연수지의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조화처리 시의 앵커효과에 의해,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그러나, 프린트 배선기판의 고기능화, 고집적화에 따라, 절연수지 기판표면의 거칠기(앵커가 되는 요철)가 작아짐에 따라, 도금피막과의 밀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프린트 배선기판 등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으로서, 양이온 폴리머(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물에, 2불화 수소 암모늄을 함유하는 컨디셔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는 상기 조성의 컨디셔너에 절연수지 기판을 침지시키고, 무전해 구리 도금, 및 전해 구리 도금을 실시하면, 하지수지와 도금피막의 박리강도가 높아지고, 밀착성이 향상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컨디셔너는 관통홀이라 불리는 미세관통구멍이나 블라인드 비아라고 불리는 미세 비관통구멍을 가지는 프린트 배선기판에도 적용 가능하고, 관통홀 내부로의 구리의 균일 전착성이 양호한 사진도 개시되어 있다.
본원 출원인도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형성에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으로서, 불화 수소 등의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실리카계 필러 에칭 처리액을 특허문헌 2에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불소 화합물 함유 처리액을 사용하면, 표면의 거칠기가 작은 기판에서도, 도금피막과의 높은 밀착성이 수득되는 것임이 실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0633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70174호
그런데, 프린트 배선기판 등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에는 통상,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기포성이 강하고, 거품이 발생하기 쉽다. 처리 중에 발생한 거품이 기판표면이나 관통홀, 블라인드 비아 등의 구멍에 흡착하면, 그 후에 실시되는 무전해 도금 등의 공정에서 도금 금속의 균일 전착성이 감소하고, 도금성이 저하된다.
또,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은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이 뛰어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이 낮으면, 각종 공정에 사용되는 약액이 관통홀, 블라인드 비아 등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고, 상기 구멍으로의 도금의 균일 전착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기판에 대한 침투성 향상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본 발명자들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만으로는 절연수지 기판에 대한 침투성이 불충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에는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처리 중의 기포성이 적은 것(내기포성), 및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이 뛰어날 것도 강하게 요구되지만,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이것들의 평가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자들이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전처리액을 모의해서 기포성 시험 및 침투성 시험을 실시한 바, 기포성이 강하고, 침투성이 낮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품의 발생을 단시간에 억제할 수 있어서 내기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도 우수한 신규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프린트 배선기판 전처리방법, 및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는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및/또는 C4H9-(OC3H6)n-OH(n=1∼4의 정수)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에 요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는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의 pH는 3.1 이하이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기판 전처리방법은 상기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에 요지를 갖는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한 후, 무전해 도금을 하는 것에 요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기포성 및 침투성이 우수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제공할 수 있다. 내기포성의 향상에 의해,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이나 관통홀, 블라인드 비아 등의 구멍 내부로의 거품의 흡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금의 균일 전착성이 개선된다. 그 결과,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또, 침투성의 향상에 의해, 조화(roughening)된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에 전처리제가 충분하게 침투하고, 전처리제의 첨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특히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데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관통홀이나 블라인드 비아 등의 구멍을 가지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처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성, 내기포성, 및 절연수지 기판으로의 침투성이 모두 우수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불소 화합물 함유 처리액을 기초로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불소 화합물 함유 처리액은 도금피막과의 밀착성이 뛰어나지만, 내기포성 및 침투성이 떨어지는 것임이 밝혀졌다. 그래서, 상기 불소 화합물 함유 처리액에 있어서의 내기포성 및 침투성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상기 불소 화합물 함유 처리액에 소정의 글리콜에테르; 즉,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C4H9-(OC3H6)n-OH(n=1∼4의 정수)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의 적어도 1종을 첨가하면, 도금피막과의 높은 밀착강도를 유지하면서, 내기포성 및 침투성의 양쪽을 높일 수 있어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계 또는 프로필렌계의 글리콜부틸에테르를 단순하게 글리콜부틸에테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란 무전해 도금 전에 사용되는 처리제이다. 상세하게는, 프린트 배선기판에 사용되는 절연수지 기판을 예로 들면, 절연수지 기판에 팽윤처리, 조화처리, 필요에 따라서 조화처리에서 발생한 산화물을 환원하기 위한 중화처리를 실시한 후, 무전해 도금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사용되는 처리제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컨디셔너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절연수지는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절연수지 기판은 관통홀이나 블라인드 비아의 구멍을 가질 수도 있다. 어느 쪽의 절연수지 기판을 사용했을 경우라 해도, 소망하는 특성(밀착강도, 내기포성, 및 침투성)이 수득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액)를 단순하게 전처리제(액)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는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및/또는 C4H9-(OC3H6)n-OH(n=1∼4의 정수)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전처리액은 상기 성분에 물 및 pH 조정제를 첨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을 가장 특징짓는 글리콜에테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글리콜에테르는 유기용제의 1종으로, 예를 들면 도료, 잉크 등의 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글리콜에테르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을 베이스로 하는 에틸렌글리콜계(E.O.계), 프로필렌글리콜을 베이스로 하는 프로필렌글리콜계(P.O.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E.O.계 및 P.O.계의 글리콜에테르 중, 특히, 말단의 수소가 부틸기로 치환된 것;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1)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및 하기 식(2)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가 내기포성 작용 및 침투성 작용의 양쪽을 가지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C4H9-(OC2H4)n-OH(n=1 ∼4의 정수) (1)
C4H9-(OC3H6)n-OH(n=1 ∼4의 정수) (2)
상세하게는, 후기하는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식(1), (2)의 글리콜부틸에테르 이외의 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해도, 소망으로 하는 특성을 겸비시킬 수는 없었다. 예를 들면 E.O.계 글리콜에테르 중, 부틸기가 아니라 메틸기 등을 가지는 비교예(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는 내기포성이 뛰어나지만, 침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후기하는 표 1의 No.14∼18을 참조). 마찬가지로, P.O.계 글리콜에테르 중, 부틸기가 아니라 메틸기를 가지는 비교예(예를 들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내기포성이 뛰어나지만, 침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후기하는 표 1의 No.19, 20을 참조). 이들 중, 예를 들면, No.15∼19에 있어서의 침투성은 2분 이상으로 낮았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를 사용했을 경우, 침투성이 극적으로 향상하고, 예를 들면 No.1, 3∼5(발명예)에 있어서의 침투성은 1초 이하까지 개선되었다. 상기의 비교예와 비교하면, 120분의 1 이상의 저감효과가 수득된 것이 된다. 글리콜에테르 중에서도, 특히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만이 매우 뛰어난 침투성 개선작용을 갖는다는 것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리콜에테르 중에서도 특히 상기 식(1), (2)의 글리콜부틸에테르만이 불소 화합물 함유 전처리액의 높은 밀착강도를 유효하게 발휘시키면서, 내기포성 뿐만 아니라, 현저한 침투성 향상작용도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 기술적 의의를 가지는 발명으로, 소위 선택발명으로서 위치가 부여된다.
상기 식(1)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n=1),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n=2), 트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n=3), 테트라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n=4)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2)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n=1),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n=2), 트리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n=3),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n=4)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1), (2)의 글리콜부틸에테르 중의 부틸은 직쇄상일 수도, 분기상일 수도 있다.
이들 중, 침투성이 거듭되는 향상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글리콜부틸에테르는 상기 식(1)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1), (2)의 글리콜부틸에테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병용예로서는 상기 식(1)의 글리콜부틸에테르를 2종 이상 사용하는 예, 상기 식(2)의 글리콜부틸에테르를 2종 이상 사용하는 예, 상기 식(1)의 글리콜부틸에테르와 상기 식(2)의 글리콜부틸에테르를 2종 이상 사용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불소 화합물과,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계 또는 프로필렌계의 글리콜부틸에테르와, 물과, pH조정제의 합계량을 「전처리제 전량」으로 했을 때, 상기 전처리액 전량에 대한 상기 글리콜부틸에테르의 바람직한 함유량(단독으로 포함할 때는 단독의 양이고, 2종류 이상을 포함할 때는 합계량이다.)은 0.1g/ℓ 이상, 500g/ℓ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g/ℓ이상, 300g/ℓ이하이다. 상기의 하한을 하회하면, 글리콜부틸에테르의 첨가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지 않고, 내기포성이나 침투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의 상한을 넘어서 첨가해도, 글리콜부틸에테르의 첨가효과는 포화되고, 경제적으로 효과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전처리제를 가장 특징짓는 글리콜부틸에테르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추가로 불소 화합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산성 불화 나트륨, 산성 불화 암모늄,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2불화 수소 암모늄,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불소 화합물(불화 수소; 붕불화 수소산; 불화 나트륨, 불화 수소 나트륨 등의 나트륨염; 불화 수소 암모늄, 헥사플루오로 규산 암모늄, 헥사플루오로 인산 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불소 화합물은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강도 향상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은 산성 불화 나트륨 또는 산성 불화 암모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산성 불화 암모늄이다.
전처리액 전량에 대한 상기 불소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유량(단독으로 포함할 때는 단독의 양이고, 2종류이상을 포함할 때는 합계량이다.)은 0.01g/ℓ 이상, 100g/ℓ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g/ℓ이상, 50g/ℓ이하다. 상기의 하한을 하회하면, 불소 화합물의 첨가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지 않고, 밀착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상기의 상한을 넘어서 첨가해도, 불소 화합물의 첨가효과는 포화하고, 경제적으로 효과가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비이온(노니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쪽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중 비이온(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처리제의 표면장력 저감제로서 유용하다. 또, 계면활성제로서 추가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산제로서의 작용도 발휘한다.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마이너스에 대전하고 있는 절연수지 기판표면에 흡착해서 전하를 중화하는 작용을 갖는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플러스에 대전하고 있는 절연수지 기판표면에 흡착해서 전하를 중화하는 작용을 갖는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28517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는 알칼리성 영역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산성 영역에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후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처리액은 바람직하게는 pH 3.1 이하의 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양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성질이 발휘된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2011-228517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처리제 전량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함유량(단독으로 포함할 때는 단독의 양이고, 2종 이상을 포함할 때는 합계량이다.)은 0.1g/ℓ 이상, 500g/ℓ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g/ℓ이상, 100g/ℓ이하이다. 상기의 하한을 하회하면, 계면활성제의 첨가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지 않고, 글래스로의 무전해 Cu도금의 석출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의 상한을 넘어서 첨가해도, 계면활성제의 첨가효과는 포화하고, 경제적으로 효과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전처리제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제의 pH는 3.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3.1을 넘으면,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전처리제의 pH는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상기 성분에 물을 첨가하고, pH 조정제를 첨가해서 소정의 pH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의 종류는 상기의 산성영역에 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황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처리제 전량에 대한 pH 조정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바람직한 pH가 수득되록 전처리제의 조성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0.1g/ℓ이상, 100g/ℓ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g/ℓ이상, 50g/ℓ이하이다. 상기의 하한을 하회하면, 소정의 pH가 수득되지 않고,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상기의 상한을 넘어서 첨가해도 pH저하작용은 포화하고, 경제적으로 효과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전처리제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처리제로서 호적하게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빌드업 공법에 의한 고밀도 다층배선기판 이외에, 웨이퍼 레벨 CSP(Chip Siz 에폭시 Package 또는 Chip Scal 에폭시 Package), TCP(Tape Carrier Package)등의 다층배선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처리제로서도 사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기판 전처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전처리방법은 상기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 전처리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고,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 전처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세한 것은, 예를 들면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우선, 절연수지 기판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절연수지로서는 그 후의 디스미어 처리[레이저나 드릴에 의한 구멍뚫음 가공 시에 발생하는 스미어(수지잔사)를 제거하는 처리]나, 실리카계 필러의 에칭처리 등에 사용되는 용액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수지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절연수지로서 예를 들면, 전기절연수지로서 범용되고 있는 에폭시 수지 이외에, 이미드 수지나,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노볼락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실록산 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수지를 단독 또는 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수지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수득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절연수지 기판에 대하여, 팽윤처리를 실시한다. 팽윤처리는 후공정에 있어서의 조화처리 시, 기판표면을 조화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팽윤처리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팽윤처리에 통상 사용되는 용액 중에 절연수지 기판을 소정의 시간 침지처리할 수 있다. 팽윤처리에 사용되는 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ㅇㄹ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팽윤처리를 위한 침지는 예를 들면, 약 60∼90℃정도의 온도에서 10∼30분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윤처리 후, 절연수지 기판을 수세하고 나서, 수지표면을 에칭액에으로 조화시킨다. 에칭액으로서 예를 들면, 과망간산 나트륨, 과망간산 칼륨, 크롬산 나트륨, 크롬산 칼륨 등의 에칭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조화처리에 의해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에 발생한 잔류물을 용해되고 제거된다. 이 잔류물은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과망간산 나트륨이나 과망간산 칼륨 등의 에칭제를 사용했을 때는 Mn에 유래하는 망간산화물이 기판표면에 잔류한다. 그래서, 당해 산화물을 환원해서 중화하고, 용해되고 제거힐 목적으로, 환원처리액에 침지시키고, 기판표면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처리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 하이드록실아민, 차아 인산 나트륨, 아미노보란, 디메틸아민보란, 하이드로설파이트, 포르말린 등의 환원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환원처리액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환원처리액 중의 침지는 예를 들면, 약 20∼90℃정도의 온도에서 약 5∼3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전처리를 실시한 후, 무전해 도금,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전기도금을 실시한다(이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전처리제는 상기한 팽윤처리→조화처리(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환원처리)를 실시한 후, 무전해 도금 전에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환원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화처리 후; 환원처리를 실시할 때는, 환원처리와 동시에, 또는, 환원처리 후에, 본 발명의 전처리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환원처리와 동시에 본 발명의 전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환원제와, 본 발명의 전처리액을 구성하는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글리콜부틸에테르를 첨가하고, 추가로, 물 및 pH조정제를 첨가해서 pH가 예를 들면 1∼4의 범위로 조정된 처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한 후,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전기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고,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후의 무전해 도금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중,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 처리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이하에서는, 무전해 도금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전해 도금법은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사용하는 전기 도금법에 대해, 전기를 작용시키지 않는 도금방법으로, 피도금물의 금속을 용액에 침지시켜서 도금하는 치환 도금법(침지 도금법이라고도 불린다.)과, 화학적환원 반응을 이용한 환원 도금법(화학도금법이라고도 불린다.)으로 대별된다.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은 상기의 환원 도금법의 하나이다.
우선,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의 방법으로 표면을 처리한 절연수지 기판을 청정처리하고, 클리닝한다. 이에 따라 절연수지 기판표면의 쓰레기나 유지 등이 제거된다. 또, 젖음성이 개선되고,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과의 밀착강도가 한층 더 향상된다. 청정처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청정처리에 통상 사용되는 용액 중에 절연수지 기판을 소정시간 침지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황산이나 과황산 나트륨 등의 에칭액으로 기판표면을 가볍게 조화(소프트 에칭)한 후, 표면에 잔류한 잔사를 황산 등의 산세액을 사용해서 제거한다.
다음에, 무전해 도금의 핵이 되는 촉매금속을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에 부여(흡착)한다. 촉매금속의 부여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촉매금속을 포함하는 용액에 절연수지 기판을 소정시간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촉매금속으로서, Pd(예를 들면, Pd2+), 염화 팔라듐(PdCl2·2H2O 등), 염화 제1 주석(SnCl2·2H2O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킨 것(대표적으로는 Pd-Sn 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금속에 염산(HCl) 등을 첨가하고, 물을 첨가한 것이 촉매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촉매용액에 차지하는 상기 촉매금속의 바람직한 농도는, 예를 들면, Pd농도: 100∼300mg/ℓ, Sn농도: 10∼20g/ℓ, HCl농도: 150∼250㎖/ℓ이다.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농도의 촉매용액중에 절연수지 기판을 넣고, 30 ∼40℃의 온도에서 1∼3분간 침지시키게 하는 것에 의해, Pd- Sn콜로이드가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에 흡착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흡착시킨 촉매금속을 액셀러레이터(촉진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시키고, 촉매금속을 활성화시킨다. 이 활성화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Pd-Sn 착체 중의 Sn이 제거되고, 금속 Pd가 기판표면에 생성해서 흡착한다. 최종적으로, 이 금속 Pd가 촉매가 되고, 그 후의 무전해 도금에 의한 도금 금속(대표적으로는 Cu)의 석출이 촉진된다. 액셀러레이터로서 예를 들면, 황산용액, 염산용액, 수산화 나트륨 용액, 암모니아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의 바람직한 농도는 예를 들면, 50∼100㎖/ℓ의 범위이다. 또, 바람직한 침지 조건은 상온(20∼25℃) 하에서 1∼5분 정도이다.
또, 촉매금속의 부여에 있어서는, 상기한 액셀러레이터를 사용하기 전에, 예를 들면, 프리딥, 액티베이터, 리듀서 등의 각종용액을 사용해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강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또, 절연수지 기판표면으로의 촉매의 순응성도 한층 더 양호해진다. 상기 각종용액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촉매금속을 부여한 후, 필요에 따라서,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시되는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도금피막을 석출시키는 부분 이외를 마스킹 한다. 이 레지스트 패턴은 도금처리후, 에칭처리 등에 의해 제거할 수도 있고, 도금처리 후에 제거하지 않고 솔더레지스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금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무전해 도금법에 의해 도금피막을 형성하고, 회로패턴을 형성한다. 또,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전에, 절연수지 기판의 표면에 부착된 촉매를 환원해서 활성화시키고, 도금 금속의 석출이 촉진되도록, 공지의 처리액에 침지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액으로서 예를 들면, 10% 황산용액, 리듀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듀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전해 도금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무전해 도금 배쓰에 절연수지 기판을 침지시킬 수 있다. 무전해 도금 배쓰로서 예를 들면, 구리를 포함하고, EDTA, 로셀염 등의 착화제를 포함하는 도금 배쓰를 사용할 수 있다. 무전해 도금 배쓰의 조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EDTA 함유 무전해 구리 도금 배쓰의 조성의 일례로 해서, 황산동(10g/ℓ), EDTA(30g/ℓ)를 함유하고, 수산화 나트륨에 의해 pH 12.5로 조정한 것을 들 수 있다. 무전해 도금 배쓰로의 바람직한 침지조건은 예를 들면, 60∼80℃의 온도에서 30∼600분간이다. 또, 블라인드 비아 등을 가지는 다층 배선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전해 도금 중, 도금액의 교반을 충분하게 실시하고, 블라인드 비아 내에 구리 이온이 충분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기교반이나 펌프 순환 등에 의한 교반 등을 적용 할 수 있다.
무전해 도금처리에 있어서, 절연수지 기판과 도금피막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2단계 도금을 실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수지 기판 상에, 우선, 하지 도금피막을 형성하는 1차 도금처리를 수행하고, 이어서, 하지 도금피막 상에, 하지 도금피막보다도 막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도금업(plating-up) 피막을 형성하는 2차 도금처리를 실시해서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소망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이 수득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무전해 도금 후,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전기도금의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기도금 전에, 클리너 등으로 세정하고, 산세할 수도 있다. 이것들 의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전ㆍ후기하는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을 첨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포함하고, pH 조정제로서 황산(5g/ℓ)과, 물을 첨가하고, pH 를 3.0으로 조정한 여러 종류의 전처리액을 사용했다. 표 1 중, 불소 화합물은 산성 불화 암모늄(Kishida Chemical Co., Ltd.의 산성 불화 암모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NOF CORPORATION의 NYMEEN S220,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SENKA corporation의 FPA1001L을 의미한다. 불소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g/ℓ이고,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종류를 막론하고 모두 4g/ℓ이다.
상기의 각종 전처리액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해서 침투성 및 내기포성을 평가했다.
(침투성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펠트침강법에 의해 전처리액의 침투성을 평가했다. 침투성 평가를 위해서 세로 20mm×가로 20mm×두께 3mm의 사이즈로 절단한 펠트(Yoneshima Felt Co., Ltd.의 JA 3t)을 준비했다.
우선, 100㎖ 비이커에 각종 전처리액을 100㎖ 붓고, 후기하는 표 2에 기재된 전처리 온도(40℃)까지 승온했다. 다음에, 전처리액의 액면에서 위 20∼30mm의 위치에서 펠트를 낙하시키고, 펠트가 전처리액의 액면에 접했을 때부터, 전처리액의 액면에서 떨어져 나가기(침강하기 시작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펠트에 전처리액이 침투하면 침강하기 때문에, 이 시간이 짧을 수록, 침투성에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내기포성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진탕법에 의해 전처리액의 내기포성을 평가했다.
우선, 100㎖의 마개가 있는 메스실린더에 각종 전처리액을 20㎖ 붓고, 표 2에 기재된 처리온도(40℃)까지 승온했다. 다음에, 메스실린더에 마개를 하고, 10 회 상하로 흔든 후, 마개를 열고, 마개를 연 직후(t=0분)에 있어서의, 액면으로부터의 거품의 높이(Ht=0분)를 측정했다. 3분간 방치하고, 거품이 사라질 때까지의 시간(초)를 측정했다. 거품이 사라질 때까지의 시간이 짧을 수록, 내기포성이 우수하다 .또, 3분간 방치 후에도 거품이 사라지지 않을 때는, 3분간 방치후(t=3분)에 있어서의, 액면으로부터의 거품의 높이(Ht=3분)를 측정하고, 그 차이(=Ht=0분-Ht=3분, 사라지지 않고 남은 거품의 높이)를 산출했다.
추가로, 도금피막과 절연수지 기판의 밀착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하의 시료를 제작했다.
우선, 글래스ㆍ에폭시기판(NEMA기호 FR-4) 상에, Ajinomoto Fine-Techno Co., Inc.의 수지필름 ABF-GXT31을 적층한 절연수지 기판을 사용하고, 표 2에 기재의 순서로, 팽윤, 조화, 환원액에 의한 중화 후, 건조하고 나서, 표 1에 기재된 각종 전처리액을 사용해서 처리했다. 이어서, 소프트 에칭, 산세를 실시하고 나서, 촉매부여 프로세스(프리딥, 액티베이터, 리듀서, 액셀러레이터)에 의해 Pd촉매를 부여한 후, 무전해 구리 도금을 실시하고, 건조해서 두께 1㎛의 도금피막을 형성했다. 추가로, 건조, 열처리, 클리너, 산세를 실시하고 나서, 2.5 A/d㎡의 조건으로 전기 구리도금을 실시한, 두께 25㎛의 구리 도금 피막을 형성했다. 그 후에 변색 방지처리, 건조, 열처리를 실시하고, 시료를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한 시료를 사용하고, 도금피막과 절연수지 기판의 밀착강도를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했다.
(도금피막과 절연수지 기판의 밀착강도의 측정)
상기 시료에 1cm폭의 칼집을 내고, JIS-C5012 「8.5 도금 밀착성」에 기재된 방법에 의거해서, 90°박리시험을 실시하고, 박리강도를 측정했다. 박리강도는 Shimadzu Corporation.의 AUTOGRAPH AGS-X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이것들의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Figure 112014064891603-pat00001
Figure 112014064891603-pat00002
표 1에서 이하와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우선, No.1∼11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를 사용한 본 발명 예이고, 에틸렌글리콜계(No.1∼7), 프로필렌글리콜계(No.8∼11)의 모두, 침투성, 내기포성, 밀착성의 전부가 우수하다. 또, 상기 효과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유효하게 발휘되었다(No.3 과 4를 참조).
이에 대해서,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처리액을 사용한 No.12∼20의 비교예는, 이하의 불량을 가지고 있다.
우선, No.13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만,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13은 침투성 및 내기포성이 우수하지만, 밀착성이 현저하게 저하했다. 따라서 도금피막과의 높은 밀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소 화합물의 첨가가 불가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No.12는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만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로서, 전술한 특허문헌 1 또는 2의 처리액을 모의한 예이다.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No.12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우수하지만,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침투성이 낮고, 또한, 기포성 시험을 실시하면 3분간 방치 후에도 거품이 남고, 내기포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No.12와 전술한 No.13의 결과로부터, 침투성과 내기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글리콜부틸에테르의 첨가가 불가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No.14∼20은 불소 화합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에서 규정하지 않는, 다른 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한 비교예이다. 어느 것이나, 밀착성 및 내기포성은 양호했지만, 침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특히 침투성에 대해서 검토하면, 이것들의 비교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를 사용한 No.1∼11에 비해서, 침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로부터, 글리콜에테르 중에서도, 특히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글리콜부틸에테르 만이, 내기포성 뿐만 아니라 침투성의 양쪽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Claims (5)

  1.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 및/또는 C4H9-(OC3H6)n-OH(n=1∼4의 정수)의 프로필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하고, pH가 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2.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C4H9-(OC2H4)n-OH(n=1∼4의 정수)의 에틸렌계 글리콜부틸에테르를 함유하고, pH가 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기판 전처리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절연수지 중에 실리카계 필러를 함유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을 처리한 후, 무전해 도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40086625A 2013-09-09 2014-07-10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2286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6687 2013-09-09
JP2013186687 2013-09-09
JP2014102712A JP6367606B2 (ja) 2013-09-09 2014-05-16 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並びに前記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の前処理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4-102712 2014-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525A KR20150029525A (ko) 2015-03-18
KR102286510B1 true KR102286510B1 (ko) 2021-08-04

Family

ID=5262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25A KR102286510B1 (ko) 2013-09-09 2014-07-10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74913B2 (ko)
JP (1) JP6367606B2 (ko)
KR (1) KR102286510B1 (ko)
CN (1) CN104419918B (ko)
TW (1) TWI6301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1392B2 (ja) 2015-02-12 2019-02-20 上村工業株式会社 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並びに前記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の前処理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82383B2 (ja) * 2016-08-10 2021-12-17 上村工業株式会社 還元処理と同時に用いられる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液、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6814028B2 (ja) 2016-11-17 2021-01-13 上村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6830596B2 (ja) * 2016-12-22 2021-02-1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メッキ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メッキ成形体
WO2018194414A1 (ko) *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US11839855B2 (en) 2017-06-09 2023-12-12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including same
US10787743B2 (en) * 2017-08-28 2020-09-29 The Boeing Company Depositing a structurally hard, wear resistant metal coating onto a substrate
WO2019098701A1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WO2019102701A1 (ja) * 2017-11-21 2019-05-31 株式会社クオルテック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
JP7228468B2 (ja) 2019-05-28 2023-02-24 上村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2305877B1 (ko) * 2020-04-13 2021-09-30 주식회사 디에이피 약품 탱크
CN112095110B (zh) * 2020-11-18 2021-03-12 苏州天承化工有限公司 一种abf表面处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242157A1 (en) * 2022-06-14 2023-12-21 Atotech Deutschland GmbH & Co. KG Method for cleaning a nonconductive surface and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4667A1 (en) * 2003-04-18 2005-01-20 Tetsuo Aoyama Aqueous fluoride compositions for cleaning semiconductor devices
JP2011162806A (ja) * 2010-02-04 2011-08-25 Rohm & Haas Denshi Zairyo Kk 無電解めっきを行うための前処理液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5829A (en) * 1983-10-14 1985-05-07 Shipley Company Inc. Through-hole plating
US4891069A (en) * 1986-06-06 1990-01-02 Techno Instruments Investments 1983 Ltd. Composition for the electrolytic coating of circuit boards without an electroless metal coating
CA1335703C (en) * 1987-09-25 1995-05-30 Barry Sydney James Pre-etch treatment for preparing a plastics substrate for plating with a metal
US5308387A (en) * 1987-09-25 1994-05-03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Pre-etch treatment of a plastic substrate
US5250105A (en) * 1991-02-08 1993-10-05 Eid-Empresa De Investigacao E Desenvolvimento De Electronica S.A. Selective process for printing circuit board manufacturing
EP1138726B1 (en) * 2000-03-27 2005-01-12 Shipley Company LLC Polymer remover
US7405189B2 (en) * 2001-07-25 2008-07-29 Cheon Young Chemical Co., Ltd.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i component and reduced metal salt produced on the aluminum die cast material in etching process
JP2004133384A (ja) * 2002-08-14 2004-04-30 Sony Corp レジスト用剥離剤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917841B2 (ja) * 2006-06-09 2012-04-18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エル.エル.シー. 樹脂表面への無電解めっき方法
KR20090021429A (ko) * 2007-08-27 2009-03-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세정액 조성물
JP2009270174A (ja) * 2008-05-09 2009-11-19 C Uyemura & Co Ltd プリント配線基板を形成するための表面処理方法及びその表面処理方法に用いられるエッチング処理液
JP5715748B2 (ja) * 2008-10-31 2015-05-13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無電解めっき用コンディショナー
JP2011179085A (ja) * 2010-03-02 2011-09-15 C Uyemura & Co Ltd 電気めっき用前処理剤、電気めっきの前処理方法及び電気めっき方法
JP5676908B2 (ja) 2010-04-21 2015-02-25 上村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剤
KR101114502B1 (ko) * 2010-06-28 2012-02-24 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턴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4667A1 (en) * 2003-04-18 2005-01-20 Tetsuo Aoyama Aqueous fluoride compositions for cleaning semiconductor devices
JP2011162806A (ja) * 2010-02-04 2011-08-25 Rohm & Haas Denshi Zairyo Kk 無電解めっきを行うための前処理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9918A (zh) 2015-03-18
US9374913B2 (en) 2016-06-21
JP6367606B2 (ja) 2018-08-01
JP2015071821A (ja) 2015-04-16
TW201509812A (zh) 2015-03-16
KR20150029525A (ko) 2015-03-18
CN104419918B (zh) 2018-08-28
TWI630176B (zh) 2018-07-21
US20150072070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510B1 (ko)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 및 상기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제를 사용한 프린트 배선기판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531B1 (ko) 환원 처리와 동시에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용 전처리액, 및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440121B1 (ko)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JP2010106337A (ja) 無電解めっき用コンディショナー
TWI680205B (zh) 無電解鍍敷用前處理劑、以及使用前述無電解鍍敷用前處理劑之印刷電路基板的前處理方法及其製造方法
JP6176841B2 (ja) 無電解銅めっき液
WO2020126145A1 (en) Aqueous alkaline pre-treatment solution for use prior to deposition of a palladium activation layer, method and use thereof
JP2001247973A (ja) 洗浄・調整剤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無電解銅めっき方法
JP2010236025A (ja) 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及びこれを用いた無電解めっ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