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142B1 -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142B1
KR102282142B1 KR1020197033284A KR20197033284A KR102282142B1 KR 102282142 B1 KR102282142 B1 KR 102282142B1 KR 1020197033284 A KR1020197033284 A KR 1020197033284A KR 20197033284 A KR20197033284 A KR 20197033284A KR 102282142 B1 KR102282142 B1 KR 10228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supply circuit
diode
auxili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774A (ko
Inventor
웬동 리
Original Assignee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1Preventing or reducing no-load losses or reactive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25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formers or reactors with tapping on coil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해당 변압기 회로는 변압기 및 보조코일 회로를 포함하고, 변압기는 철심, 일차코일, 이차코일 및 보조코일을 포함하며, 보조코일 회로는 보조코일에 접속되고, 보조코일 회로는 제 1 급전회로 및 제 2 급전회로를 포함하고, 보조코일은 제 1 단, 제 2 단 및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위치하는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여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전자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idling)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변압기는 넓은 전압 출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이차 코일의 전압은 종종 비교적 큰 범위 내에서 변화한다. 보조 코일을 갖고 있는 변압기에 있어서, 보조 코일이 출력하는 전압이 변압기의 이차 코일의 전압과 정비례하기 때문에, 변압기가 출력하는 전압이 비교적 낮을 경우, 보조 코일에 결합된 전압도 비교적 낮고, 보조 코일이 출력하는 전압이 비교적 낮다. 보조 코일은 일반적으로 보조 코일 회로에 의해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보조 코일 회로 중 통상적으로 다이오드, 트라이오드 등 반도체 디바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코일이 출력하는 전압이 비교적 낮을 경우, 칩의 급전전압이 비교적 낮고, 칩의 급전전류가 비교적 커서, 칩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때문에 변압기의 출력전압이 비교적 낮을 때 칩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 중 일반적으로 보조 코일 회로에 제너 다이오드를 추가시켜, 칩의 입력전압이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보다 낮지 않도록 보장한다(예를 들어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값을 15V로 설정한다). 그러나 제너 다이오드를 마련한 후, 만약 변압기의 이차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높아지면 상응되는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도 상승하게 되고, 보조코일 회로의 입력전압이 높아지게 되며, 제너 다이오드를 마련함으로써 보조코일 회로의 출력전압이 여전히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으로 유지되고, 보조코일 회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 사이의 전압 강하가 증가되며, 보조코일 회로 중의 부속품(예를 들어 다이오드, 트라이오드 등 반도체 디바이스)상의 전압 강하도 상응하게 증가되어 무부하 전력 소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했으며,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변압기 회로에 대해 개시하였으며, 변압기 및 보조코일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는 철심(iron core), 일차코일, 이차코일 및 보조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상기 보조코일에 접속되고, 상기 일차코일, 상기 이차코일 및 상기 보조코일은 각각 상기 철심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제 1 급전회로 및 제 2 급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코일은 제 1 단, 제 2 단 및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위치하는 탭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코일의 제 1 단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코일의 탭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단 및 상기 칩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코일의 제 2 단은 접지되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제너 회로이고,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감압회로이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는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 개시된 변압기 회로에 응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상기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며,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 중의 변압기 회로는 변압기 및 보조코일 회로를 포함하고, 변압기는 철심, 일차코일, 이차코일 및 보조코일을 포함하며, 보조코일 회로는 칩을 위한 전력공급에 사용되고, 보조코일 회로는 변압기의 보조코일에 접속되고, 보조코일 회로는 제 1 급전회로 및 제 2 급전회로를 포함하고, 보조코일은 제 1 단, 제 2 단 및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위치하는 탭을 포함하며, 보조코일의 제 1 단은 제 1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보조코일의 탭은 제 2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단은 제 2 급전회로의 출력단 및 칩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보조코일의 제 2 단은 접지되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보다 작고,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보조코일은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칩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 중,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보조코일의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공되고, 즉,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전체 보조코일의 출력전압에 의해 제공되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보조코일의 탭과 제 2 단 사이의 전압에 의해 제공되고, 즉,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일부 보조코일의 출력전압에 의해 제공되며, 일부 보조코일의 권수가 전체 보조코일의 권수보다 작기 때문에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보다 작다. 전체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 칩은 제 1 급전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전체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높게 될 경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작동이 정지되고, 칩은 제 2 급전회로가 출력한 전압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본 발명을 실시하고, 전체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높게 될 경우, 즉시 제 1 급전회로를 차단해서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예를 들어 트라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이므로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중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중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고, 이하 도시되는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가 창조적 노동을 행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런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도 있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된 변압기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개시된 다른 변압기 회로의 구체적인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개시된 다른 변압기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개시된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플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으며,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비교적 높을 경우, 보조코일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이하, 각각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된 변압기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변압기 회로는 변압기(30)와 보조코일 회로(10)를 포함하고, 보조코일 회로(10)는 칩(20)을 위한 전력공급에 사용되며, 변압기(30)는 철심(iron core)(34), 일차코일(32), 이차코일(33) 및 보조코일(31)을 포함하며, 보조코일 회로(10)는 변압기(30)의 보조코일(3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 회로(10)는 제 1 급전회로(11) 및 제 2 급전회로(12)를 포함하고, 보조코일(31)은 제 1 단(1), 제 2 단(2) 및 제 1 단(1)과 제 2 단(2) 사이에 위치하는 탭(3)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은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단(11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31)의 탭(3)은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단(121)에 접속되며,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112)은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122) 및 칩(20)의 급전단(2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31)의 제 2 단(2)은 접지되며,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전압은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전압보다 작고, 제 1 급전회로(11)는 제너 회로이고, 제 2 급전회로(12)는 감압회로이며,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11)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 2 급전회로(12)에 의해 칩(20)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 2 급전회로(12)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 1 급전회로(11)에 의해 칩(20)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 중,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전압은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으로부터 제공되고,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전압은 보조코일(31)의 탭(3)으로부터 제공되며,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전압이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전압보다 큰 것은 명백하다. 제 1 급전회로(11)가 제너 회로이기 때문에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전압이 얼마인 것과 관계없이 제 1 급전회로(11)가 출력한 전압은 모두 고정 전압 값이고, 또한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의 전압이 고정 전압 값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11)는 접속을 차단하고, 제 1 급전회로(11)는 칩(20)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며, 이때 칩(20)은 제 2 급전회로(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이 출력한 전압이 고정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제 1 급전회로(11)가 출력한 전압은 고정 전압 값이고, 제 2 급전회로(12)는 감압회로이기 때문에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작은 것은 명백하고, 이때 제 2 급전회로(12)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 1 급전회로(11)에 의해 칩(20)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코일(31)의 제1단(1)이 출력한 전압이 해당 고정 전압 값보다 크고, 보조코일(31)의 탭(3)이 출력한 전압이 해당 고정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제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은 여전히 해당 고정 전압 값보다 작고, 제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작으면, 이때, 제2 급전회로(12)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1 급전회로(11)를 통하여 칩(2)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코일(31)의 탭(3)이 출력한 전압이 해당 고정 전압 값보다 큰 경우, 만약 제 2 급전회로(12)상의 전압 강하를 무시하면, 이때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해당 고정 전압 값보다 크고, 즉,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크며, 이때 제 1 급전회로(11)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 2 급전회로(12)에 의해 칩(20)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제 1 급전회로(11)가 차단되었기 때문에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은 명백하며,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이므로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를 실시하면, 보조코일(31)의 제 1 단이 출력한 전압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이므로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과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에 제 1 커패시터(C1)가 접속될 수 있고, 제 1 커패시터(C1)의 양극은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과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1 커패시터(C1)의 음극은 접지되며, 제 1 커패시터(C1)은 필터링에 사용될 수 있어, 제 1 급전회로(11) 또는 제 2 급전회로(12)가 칩(20)에 출력한 전압파동이 비교적 큰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칩(20)에 출력되는 전압이 안정적인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회로를 실시하면, 보조코일(31)의 제 1 출력단이 출력한 전압이 비교적 높은 경우, 제 1 급전회로(11)를 오프함으로써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가 되도록 하여,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의 기초로 하여 보다 상세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개시된 변압기 회로의 구체적인 구조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변압기 회로는 변압기(30)와 보조코일 회로(10)를 포함하고, 보조코일 회로(10)는 칩(20)을 위한 전력공급에 사용되며, 변압기(30)는 철심(34), 일차코일(32), 이차코일(33) 및 보조코일(31)을 포함하며, 보조코일 회로(10)는 변압기(30)의 보조코일(3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 회로(10)는 제 1 급전회로(11) 및 제 2 급전회로(12)를 포함하고, 보조코일(31)은 제 1 단(1), 제 2 단(2) 및 제 1 단(1)과 제 2 단(2) 사이에 위치하는 탭(3)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보조코일(31)의 입력단(1)은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단(11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31)의 탭(3)은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단(121)에 접속되며,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112)은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122) 및 칩(20)의 급전단(21)에 접속되고, 보조코일(31)의 출력단(2)은 접지되며,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전압은 제 1 급전회로(11)의 입력전압보다 작으며,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11)는 차단되고, 보조코일(31)은 제 2 급전회로(12)에 의해 칩(20)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과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에 제 1 커패시터(C1)가 접속될 수 있고, 제 1 커패시터(C1)의 양극은 제 1 급전회로(11)의 출력단과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1 커패시터(C1)의 음극은 접지되며, 제 1 커패시터(C1)는 필터링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회로(11)은 제 1 저항(R1), 제 1 다이오드(D1), 제 1 트라이오드(T1), 제 2 다이오드(D2), 제 2 저항(R2), 제너 다이오드(ZD) 및 제 2 커패시터(C2)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
제 1 트라이오드(T1)은 NPN형 트라이오드이고, 제 1 저항(R1)의 제 1 단은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에 접속되고, 제 1 저항(R1)의 제 2 단은 제 1 다이오드(D1)의 양극에 접속되며, 제 1 다이오드(D1)의 음극은 제 1 트라이오드(T1)의 콜렉터, 제 2 저항(R2)의 제 1 단 및 제 2 커패시터(C2)의 양극에 접속되고, 제 1 트라이오드(T1)의 이미터는 제 2 다이오드(D2)의 양극에 접속되며, 제 2 다이오드(D2)의 음극은 칩(20)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제 1 트라이오드(T1)의 베이스는 제 2 저항(R2)의 제 2 단 및 제너 다이오드(ZD)의 음극에 접속되며, 제너 다이오드(ZD)의 양극과 제 2 커패시터(C2)의 음극은 접지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급전회로(12)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하고, 제 3 다이오드(D3)의 양극은 보조코일(31)의 탭(3)에 접속되고, 제 3 다이오드(D3)의 음극은 제 2 다이오드(D2)의 음극에 접속된다.
본 발명 중, 만약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 값을 15V로 설정하고, 제 1 트라이오드(T1)와 제 2 다이오드(D2)상의 전압 강하가 총 1V이면, 제 1 급전회로(11)가 칩(20)에 출력한 전압은 14V이다.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이 출력한 전압이 비교적 낮은(예를 들어 14V보다 작은) 경우, 보조코일(31)은 제 1 급전회로(11)에 의해 칩(21)을 위해 전력을 출력하고, 칩(21)의 급전전압이 14V 좌우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며, 이때 제 2 급전회로(12)의 출력단의 전압도 14V 좌우로 유지되고, 제 2 급전회로(12)의 입력단의 전압이 보조코일(31)의 탭(3)(이때 탭(3)의 전압은 14V보다 작은 것이 명백하다)으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제 3 다이오드(D3)의 양극전압이 그 음극전압보다 작고, 제 3 다이오드(D3)는 오프되므로 제 2 급전회로(12)가 차단된다.
제 3 다이오드(D3)의 전압 강하가 0.7V이고, 제 1 트라이오드(T1)와 제 2 다이오드(D2)상의 전압 강하가 총 1V이며,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 값이 15V라고 가정한다. 보조코일(31)의 탭(3)이 출력한 전압이 14.7V보다 작은 경우, 제 1 급전회로(11)가 칩(20)에 출력한 전압이 14V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 3 다이오드(D3)는 도통될 수 없고, 제 2 급전회로(12)는 접속이 차단되며, 칩(20)의 급전전압은 제 1 급전회로(11)로부터 제공된다. 보조코일(31)의 탭(3)이 출력한 전압이 14.7V보다 큰 경우, 제 2 급전회로(12)가 출력한 전압이 14V보다 크고, 제 1 급전회로(11)이 칩(20)에 출력한 전압이 여전히 14V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 1 급전회로(11) 중의 제 1 트라이오드(T1)와 제 2 다이오드(D2) 상의 전압 강하가 1V보다 작고, 제 1 트라이오드(T1)와 제 2 다이오드(D2)는 도통될 수 없으며, 제 1 급전회로(11)는 접속이 차단되고, 칩(20)의 급전전압은 제 2 급전회로(12)로부터 제공되며, 이때,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이므로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회로를 실시하면, 보조코일(31)의 제 1 단(1)상에 출력된 전압이 비교적 높은 경우, 제 1 급전회로(11)를 오프시킴으로써, 제 1 급전회로(11) 중의 제 1 트라이오드(T1)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가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 1 급전회로(11)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개시된 다른 변압기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변압기 회로는 변압기(30), 보조코일 회로(10), 일차코일 회로(40), 이차코일 회로(50)을 포함하고, 변압기(30)는 철심(34), 일차코일(32), 이차코일(33) 및 보조코일(31)을 포함하며, 일차코일 회로(40)는 일차코일(32)에 접속되고, 이차코일 회로(50)은 이차코일(33)에 접속되며, 보조코일 회로(10)는 보조코일(31)에 접속되고, 일차코일(32), 이차코일(33) 및 보조코일(31)은 각각 철심(34)에 감겨져 있으며, 보조코일(31)은 제 1 단(1), 제 2 단(2) 및 제 1 단(1)과 제 2 단(2) 사이에 위치하는 탭(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코일 회로(40)는 펄스폭변조(PWM) 컨트롤러(41), MOS관(Q1), 제 3 저항(R3), 제 4 다이오드(D4), 제 3 커패시터(C3), 제 4 커패시터(C4) 및 제 4 저항(R4)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
일차코일(32)의 제 1 단(4)은 제 3 커패시터(C3)의 양극, 제 4 커패시터(C4) 의 양극 및 제 4 저항(R4)의 제 1 단에 접속되고, 제 4 커패시터(C4)의 음극은 접지되며, 제 3 커패시터(C3)의 음극 및 제 4 저항(R4)의 제 2 단은 제 4 다이오드(D4)의 음극에 접속되고, 제 4 다이오드(D4)의 양극은 일차코일(32)의 제 2 단(5) 및 MOS관(Q1)의 드레인에 접속되며, MOS관(Q1)의 소스는 제 3 저항(R3)의 제 1 단에 접속되고, 제 3 저항(R3)의 제 2 단은 접지되며, MOS관(Q1)의 게이트는 PWM 컨트롤러(41)의 제어단(411)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코일 회로(50)는 제 5 다이오드(D5), 제 6 다이오드(D6), 제 5 커패시터(C5) 및 제 6 커패시터(C6)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
이차코일(33)의 제 1 단(6)은 제 5 다이오드(D5)의 양극 및 제 6 다이오드(D6)의 양극에 접속되고, 제 5 다이오드(D5)의 음극 및 제 6 다이오드(D6)의 음극은 제 5 커패시터(C5)의 양극 및 제 6 커패시터(C6)의 양극에 접속되며, 제 5 커패시터(C5)의 음극 및 제 6 커패시터(C6)의 음극은 접지되고, 이차코일(33)의 제 2 단(7)은 접지된다.
본 발명 중의 변압기 회로는 PWM 컨트롤러(41)가 출력한 PWM 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변압기의 일차코일이 입력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변압기의 이차코일이 출력하는 전압 및 보조코일이 출력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개시된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플로 개략도이고, 해당 방법은 도 1~도 3에 도시된 변압기 회로에 응용되며, 해당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401,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제 1 급전회로는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402, 보조코일은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칩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401은,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 내의 제 1 트라이오드는 오프되고, 제 1 급전회로는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402는,
제 1 급전회로가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한 후, 제 2 급전회로는 보조코일의 탭에 의해 전압을 입력하고, 탭에 의해 입력된 전압은 제 2 급전회로 중의 다이오드를 통해 칩에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방법을 실시하면,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제 1 급전회로는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며, 보조코일은 제 3 다이오드에 의해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전체 보조코일이 출력한 전압이 높게 되는 경우,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 상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 상의 전압 강하가 제로이므로 제 1 급전회로 중의 부속품 상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갖춘 자는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1)

  1. 변압기 회로로서,
    변압기 및 보조코일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는 철심(iron core), 일차코일, 이차코일 및 보조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상기 보조코일에 접속되고, 상기 일차코일, 상기 이차코일 및 상기 보조코일은 각각 상기 철심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코일 회로는 제 1 급전회로 및 제 2 급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코일은 제 1 단, 제 2 단 및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위치하는 탭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코일의 제 1 단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코일의 탭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단 및 상기 칩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코일의 제 2 단은 접지되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입력전압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입력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제너 회로이고,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감압회로이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제 1 저항, 제 1 다이오드, 제 1 트라이오드, 제 2 다이오드, 제 2 저항, 제너 다이오드 및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저항의 제 1 단은 상기 보조코일의 제 1 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저항의 제 2 단은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양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다이오드의 음극은 상기 제 1 트라이오드의 콜렉터, 상기 제 2 저항의 제 1 단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양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라이오드의 이미터는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양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다이오드의 음극은 상기 칩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라이오드의 베이스는 상기 제 2 저항의 제 2 단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양극과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음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다이오드의 양극은 상기 보조코일의 탭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다이오드의 음극은 상기 칩의 급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변압기 회로는 일차코일 회로 및 이차코일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차코일 회로는 상기 일차코일에 접속되고, 상기 이차코일 회로는 상기 이차코일에 접속되며,
    상기 일차코일 회로는 펄스폭변조(PWM) 컨트롤러, MOS관, 제 3 저항, 제 4 다이오드, 제 3 커패시터, 제 4 커패시터 및 제 4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일차코일의 제 1 단은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양극, 상기 제 4 커패시터 의 양극 및 상기 제 4 저항의 제 1 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커패시터의 음극은 접지되며,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음극 및 상기 제 4 저항의 제 2 단은 상기 제 4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다이오드의 양극은 상기 일차코일의 제 2 단 및 상기 MOS관의 드레인에 접속되며, 상기 MOS관의 소스는 상기 제 3 저항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MOS관의 게이트는 상기 PWM 컨트롤러의 제어단에 접속되고,
    상기 이차코일 회로는 제 5 다이오드, 제 6 다이오드, 제 5 커패시터 및 제 6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코일의 제 1 단은 상기 제 5 다이오드의 양극 및 상기 제 6 다이오드의 양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5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제 6 다이오드의 음극은 상기 제 5 커패시터의 양극 및 제 6 커패시터의 양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5 커패시터의 음극 및 제 6 커패시터의 음극은 접지되고, 상기 이차코일의 제 2 단은 접지되는
    변압기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회로는 제 1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양극은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음극은 접지되는
    변압기 회로.
  10.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변압기 회로에 응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상기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차단되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상기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급전회로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 1 급전회로의 출력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급전회로 내의 제 1 트라이오드가 오프되고, 상기 제 1 급전회로는 상기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제 2 급전회로에 의해 상기 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급전회로가 상기 칩을 위한 전력공급을 정지한 후, 상기 제 2 급전회로는 상기 보조코일의 탭에 의해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탭에 의해 입력된 전압은 상기 제 2 급전회로 중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칩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97033284A 2017-04-11 2017-04-28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2282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32828.3 2017-04-11
CN201710232828.3A CN106849339B (zh) 2017-04-11 2017-04-11 一种变压器电路以及降低空载功耗的方法
PCT/CN2017/082631 WO2018188132A1 (zh) 2017-04-11 2017-04-28 一种变压器电路以及降低空载功耗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774A KR20190134774A (ko) 2019-12-04
KR102282142B1 true KR102282142B1 (ko) 2021-07-26

Family

ID=5914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84A KR102282142B1 (ko) 2017-04-11 2017-04-28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11819A4 (ko)
JP (1) JP6886527B2 (ko)
KR (1) KR102282142B1 (ko)
CN (1) CN106849339B (ko)
WO (1) WO2018188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5252A (zh) * 2019-04-22 2019-07-09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稳压电路及开关电源电路
CN110572021B (zh) * 2019-10-18 2021-04-0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过压保护电路、方法和用电设备
CN114244077A (zh) * 2022-02-24 2022-03-25 深圳市暗能量电源有限公司 一种适应宽电压输出的供电电路及供电方法
CN114864240B (zh) * 2022-05-25 2023-10-17 东科半导体(安徽)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辅助绕组干扰对消法抑制共模干扰的平面变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5773A (ja) * 2010-01-27 2011-08-11 Funa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機器
US20140239829A1 (en) * 2013-02-27 2014-08-28 Delta Electronics, Inc. Led driver
JP2017042005A (ja) * 2015-08-21 2017-02-23 ニチコン株式会社 直流安定化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43A (ja) * 1993-06-18 1995-01-10 Murata Mfg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328992B (en) * 1997-03-17 1998-04-01 Acer Peripherals Inc Improved low power consumption electric power supply
JPH11235027A (ja) * 1998-02-12 1999-08-27 Hitachi Metals Ltd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0152626A (ja) * 1998-11-05 2000-05-30 Omron Corp 安定化電源
JP2010068638A (ja) * 2008-09-11 2010-03-25 Seiko Epson Corp Acアダプタ
CN202231914U (zh) * 2011-09-09 2012-05-23 深圳市澳磁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启动电路、led驱动电源及led照明装置
KR102116705B1 (ko) * 2013-10-16 2020-06-05 온세미컨덕터코리아 주식회사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CN104660022B (zh) * 2015-02-02 2017-06-13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为电源变换器提供过流保护的系统和方法
CN204408206U (zh) * 2015-02-10 2015-06-17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开关电源的自供电电路
JP6531424B2 (ja) * 2015-02-25 2019-06-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CN204578876U (zh) * 2015-05-27 2015-08-19 长沙晖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交直流两用的电源驱动电路
CN204993067U (zh) * 2015-08-07 2016-01-20 深圳市创芯技术有限公司 一种5w无y电容的高能效开关电源
CN205960752U (zh) * 2016-07-12 2017-02-15 耐思电气(嘉兴)有限公司 一种交流宽电压输入小功率自适应充电器
CN106655824B (zh) * 2016-11-07 2024-01-30 深圳欧陆通电子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电路及开关电源
CN106953533A (zh) * 2017-03-22 2017-07-14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反激式电源电路和用电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5773A (ja) * 2010-01-27 2011-08-11 Funa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機器
US20140239829A1 (en) * 2013-02-27 2014-08-28 Delta Electronics, Inc. Led driver
JP2017042005A (ja) * 2015-08-21 2017-02-23 ニチコン株式会社 直流安定化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6527B2 (ja) 2021-06-16
JP2020517223A (ja) 2020-06-11
KR20190134774A (ko) 2019-12-04
CN106849339B (zh) 2020-02-18
WO2018188132A1 (zh) 2018-10-18
CN106849339A (zh) 2017-06-13
EP3611819A4 (en) 2021-01-20
EP3611819A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142B1 (ko) 변압기 회로 및 무부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CN203536942U (zh) 新型反激变换器输出过压保护电路
JP2016539465A (ja) オープン出力保護を備えるドライバ
WO2020024111A1 (en) Voltage supply for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ler during low voltage output conditions
JP2007215359A (ja) 冷蔵庫のdc電源装置
CN103457472A (zh) 一种开关电源及使用该开关电源的灯具
WO2019085544A1 (zh) 一种开关电源输出软启动电路
US10199857B2 (en) Transformer circuit and method of reducing idling power consumption
KR20190109547A (ko) 보호 회로 및 led 구동 회로
US10311803B2 (en) Backlight driving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211670787U (zh) 一种反激式变换器
CN109314465B (zh) 开关电源装置
US9775208B2 (en) LED current balancing circuit and method therefor
JP2016010236A (ja) 制御装置
CN220570463U (zh) 一种负载可调电路、电源电路、电路板及电子设备
CN219227421U (zh) 一种应用于高频开关电源的辅助电源的启动电路
CN210157081U (zh) 一种超宽范围输入的开关电源
CN211107280U (zh) 一种汽车安全电源及汽车系统
KR20130014970A (ko) 과전압 보호회로
JP200921326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9586559B (zh) 一种离线开关电源的启动电路及开关电源
US10439567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amplification device
EP2704531A2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driver comprising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JPH10108462A (ja)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340481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ampl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