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589B1 -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589B1
KR102281589B1 KR1020190115031A KR20190115031A KR102281589B1 KR 102281589 B1 KR102281589 B1 KR 102281589B1 KR 1020190115031 A KR1020190115031 A KR 1020190115031A KR 20190115031 A KR20190115031 A KR 20190115031A KR 102281589 B1 KR102281589 B1 KR 10228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leaf
composition
dark tea
obesity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602A (ko
KR102281589B9 (ko
Inventor
김종태
최원희
장승희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9011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589B1/ko
Publication of KR10228158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58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억제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실험동물을 활용한 항비만 효능 평가에 있어서도 체중, 장기무게, 혈청지질함량, 간중 지질함량,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우수한 항비만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비만의 기능성을 가진 건강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besity comprising mixture extract of dark tea and Nelumbo nucifera}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체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전세계적으로 비만 환자의 급증과 더불어 유병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생활환경의 변화와 서구화된 식습관, 내분비 장애,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만은 비만 자체로도 심각한 문제가 되지만 고혈압, 제 2형 당뇨, 고지혈증, 관절염 등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서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Albu 등, 1997; Grundy 등, 1998; Visscher과 Seidell 2001; Leung 등, 2003; Haslam 2005).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은 지방세포를 형성하는 다양한 전사인자와 호르몬에 의해 세포 내 중성지방을 축적하며 비만의 기전 등을 연구하는데 유효한 in vitro 시험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지방전구세포에 insulin, dexametasone (DEX), isobutylxanthin (IBMX)을 처리하면 지방세포의 분화가 이루어지는데 분화된 지방세포는 계속적으로 증식하여 세포 내 지방구가 축적되어 성숙한 지방세포로 성장하는 동시에 세포의 형태, 유전자 발현 변화, 중성지방량의 증가 등 복합적인 변화를 동반하게 된다.
비만에 대한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여러 전사인자 중에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 (C/EBPa)는 지방세포형성(adipogenesis)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Darlington 등, 1998; Rosen 등, 2001; Ahn 등, 2012). PPARγ는 nuclear hormone receptor 중 하나로 지방세포에서 고농도로 발현되어 지방조직의 형성과 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C/EBPa는 PPARγ와 같이 분화 초기에 발현이 유도되며 지방세포가 분화되는 동안 발현이 크게 증가한다(Tontonoz 등, 1994). 또한 이들 유전자는 fatty acid synthase (Fas), aP2, resistin과 같은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Jin 등, 2012; Jeong 등, 2013; Tzeng과 Liu 2013).
다크티(dart tea)는 중국의 후난성 (Hunan Province)에서 주로 생산되는 후발효차의 하나로, 후발효차는 일반적으로 생엽을 채집하여 위조(시들기), 살청(떡음), 유념(비비기), 쇄청(해빛 건조)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모차를 고온다습한 곳에서 미생물 발효시키는 악퇴(발효)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다크티의 발효공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균종은 금화균(Eurotium cristatum strains)으로 보이차의 균종인 Aspergillus 속 또는 Penicillium 속과 구별된다. 이러한 균종에 의해 발효된 다크티 찻잎은 노란색을 띄는 금화균의 포자에 의하여 찻잎의 표면에 금가루가 뿌려진 것처럼 보이는 특징을 갖게 된다.
연잎은 수련과 연(Nelumbo nucifera)의 잎을 말린 약재로, 하엽이라고도 한다. 맛은 약간 달면서도 쓰다. 더위와 습기를 물리치고 출혈을 멎게 하며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더위와 습기로 인한 설사가 나는 것을 멎게 하고 갈증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에 쌓인 풍과 열을 맑게 하여 어지러움을 치료한다. 각혈이나 코피, 뇨혈, 자궁출혈 등의 각종 출혈증의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구취제거, 독소 해독,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작용, 지방분해 효능이 있으며, 야뇨증, 기침, 가래, 천식, 신경통, 관절염에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 및 다크티 및 연잎 혼합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이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시너지적으로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1020030084036 “항비만 및 항콜레스테롤 효과를 나타내는 보이차 조성물” 1014454850000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 또는 지방세포가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항비만”이란 상기 “비만”상태를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는 차잎(모차)를 금화균(Eurotium cristatum strains)을 이용하여 후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크티는 보이차와 다르게 후발효 공정에 금화균(Eurotium cristatum strains; Golden flora)을 접종하여 후 발효를 한 흑차로서 노란색을 띄는 금화균의 포자에 의하여 찻잎의 표면에 금가루가 뿌려진 것처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종래에 천연식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용된 어떠한 용매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효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액을 농축할 경우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분무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다크티 및 연잎이 9:1 내지 1:9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3:7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각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식물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내지 8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이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분화억제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실험동물을 활용한 항비만 효능 평가에 있어서도 체중, 장기무게, 혈청지질함량, 간중 지질함량,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우수한 항비만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티백, 엑기스 또는 현탁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비만의 정도, 연령, 체중,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1 mg/kg 내지 1,OOO mg/kg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억제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실험동물을 활용한 항비만 효능 평가에 있어서도 체중, 장기무게, 혈청지질함량, 간중 지질함량,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우수한 항비만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비만의 기능성을 가진 건강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만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크티, 연잎 추출물을 배합비율별로 3T3-L1세포의 분화억제 효과를 비교 실험한 사진이다.
도 2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how: Normal, HFD: High fat diet, LL+DT: HFD + 연잎(30%)+다크티(70%) 혼합물)
도 3a 내지 3d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장기무게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d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c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간 중 지질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6b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의 제조
다크티(HUNAN TEA CO.,LTD., 중국) 및/또는 연잎(백년지기, 해남)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10%, v/w) 80℃에서 10분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filter paper(Whatman No. 2. UK)로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으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3T3-L1 세포를 활용한 항비만 활성평가
비만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분화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3T3-L1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10% FBS(Fetal Bovine Serum), Penicillin(100 u/ml), Streptomycin(100 u/ml)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de Eagle’s mddium)을 사용하였고, CO2배양기에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10% FBS, 10 ug/ml insulin, 0.5 mM IBMX(3-isobutyl-1-methyxanthine) 및 1 uM dexamethasone을 포함한 배지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10% FBS 및 10 ug/ml insulin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다크티, 연잎 추출물을 배합비율별(100:0, 75:25, 50:50, 25:75, 0:100)로 3T3-L1세로에 처리하고 48간격으로 8일간 10% FBS가 포함된 DMEM배지로 교체하여 배양하였다. 다크티, 연잎 추출물 및 3T3-L1 세포를 8일간 배양한 후 분화된 3T3-L1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사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후 10% Frmalin으로 세포를 고정하였다.
이 후 0.5 ug/ml Oil Red O solution을 이용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Oil Red O solution은 지방을 염색시키는 염색약으로 세포내에 축적된 지방을 염색하여 비만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염색된 세포를 400X 배율로 촬영하였다 (도 1 참조). 정량적 분석을 위해 Oil Red O 염색 성분을 100% isopropanol로 용출시켜 회수한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00 nm에서 O.D(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 1 참조).
Figure 112019095592464-pat00001
실험결과,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모두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크티를 단독으로 처리한 시험군이 연잎을 단독으로 처리한 시험군에 비해 세포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크티와 연잎을 50:50 및 70:30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는 다크티 또는 연잎을 단독으로 처리한 시험군에 비해 시너지적으로 세포분화를 억제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크티와 연잎을 70:30로 혼합하였을 때 세포분화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실험동물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의 항비만 효능평가
가.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조성
동물은 4주령의 C57BL/6J 마우스를 이용하고 6주간 60% fat diet로 비만을 유도한 후 45% fat diet로 식이를 변경 후 대조군과 실험식이를 공급하여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AIN-76 diet 조성에 의거하여 조제하며, 실험군은 정상군, 고지방 식이 대조군, 고지방 식이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혼합(7:3)식이군(250mg/kg)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물과 실험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며 실험기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은 주 3회 측정하고, 체중은 주 1회 일정기간에 측정하였다.
도 2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HFD(High fat diet)를 투여한 군은 정상군(Chow)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비만유도기간 중 체중의 변화가 약 10g 이상을 나타난 것을 확인되었다. 비만 유도기간 중 제공되는 60% fat diet을 45% fat diet로 변경 후 1주간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이 후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HFD와 다크티와 연잎 추출물을 섭취한 시험군은 HFD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대사관련 생화학적 지표 분석
① 혈액과 장기의 채취
실험이 종료된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복부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과 적출한 간 및 기타 장기는 무게를 측정한 후 -80℃에서 분석시까지 보관하였다.
도 3a 내지 3d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장기무게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HFD를 섭취시킨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장기무게가 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HFD에 의해 장기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② 혈청 지질함량 분석
혈청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농도는 혈액분석용 kit를 이용하여 효소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4a 내지 4d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혈청에서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HFD를 투여하였을 때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청에서의 HDL은 HFD를 투여하였을 때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중 HDL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HFD를 투여한 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FD와 다크티와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HFD에 의하여 감소된 HDL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③ 간 중 지질함량 분석
간의 총 지질함량의 측정을 위하여 간 조직의 일부를 균질화시킨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비율이 2:1인 용액으로 지질을 추출하여 총 지질농도를 측정하고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추출한 총 지방을 이용하여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a 내지 5c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간 중 지질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HFD 투여에 따른 간 중 총 지질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총 지질함량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HFD 투여에 따른 Total glycerol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TG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HFD 투여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D 투여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④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간 및 지방조직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간과 부고환지방 조직의 일부를 적출하여 4% 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고정하고 물로 충분히 수세한 다음, 78%, 80%, 90% 및 100% 에탄올로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탈수시킨 다음 paraffin 투과과정을 거쳐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은 박절편기로 박절하여 hematoxylin-eosin(H&E)으로 염색하고, xylene으로 투명화시켜 봉입한 다음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6a 및 6b는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사진이다. 부고환 지방조직은 HFD를 투여하였을 때 정상군에 비해 세포가 비대해진 것이 확인되었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세포의 비대를 억제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간조직에서 HFD를 투여하였을 때 간조직내 지방이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HFD와 다크티 및 연잎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간조직내 지방형성을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다크티와 연잎을 7:3으로 혼합한 조성물은 3T3-L1세포의 분화를 단독투여에 비해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C57BL/6J를 활용한 동물시험을 통해서도 체중, 혈중지질 및 조직 분석 등을 통해서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증가 및 체지방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산제의 제조
통상의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 300mg, 유당 100mg, 및 탈크 10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의 제조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 5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캡슐제의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 5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다크티는 차잎을 금화균(Eurotium cristatum strains)을 이용하여 후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다크티 및 연잎이 9:1 내지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다크티 또는 연잎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억제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나며, 체중, 장기무게, 혈청지질함량, 간중 지질함량, 간 및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우수한 항비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티백, 엑기스 또는 현탁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190115031A 2019-09-18 2019-09-18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8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31A KR102281589B1 (ko) 2019-09-18 2019-09-18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31A KR102281589B1 (ko) 2019-09-18 2019-09-18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02A KR20210033602A (ko) 2021-03-29
KR102281589B1 true KR102281589B1 (ko) 2021-07-30
KR102281589B9 KR102281589B9 (ko) 2022-04-15

Family

ID=7525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031A KR102281589B1 (ko) 2019-09-18 2019-09-18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9233B (zh) * 2021-06-29 2021-11-09 北京百奥茵诺生物科技有限公司 冠突散囊菌和菌剂及它们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215A (ja) 2002-06-07 2004-01-15 Yunnan Baiyao Group Co Ltd 多機能の健康食品及びその応用
KR101558530B1 (ko) * 2014-12-24 2015-10-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인삼잎, 연잎 및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비만 기능성 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16B1 (ko) 2002-04-24 2004-08-04 한국디디에스제약 주식회사 항비만 및 항콜레스테롤 효과를 나타내는 보이차 조성물
KR101445485B1 (ko) 2013-03-29 2014-10-01 한국인스팜(주)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01233B1 (ko) * 2013-04-12 2015-03-16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흑차 에탄올 수용액 냉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215A (ja) 2002-06-07 2004-01-15 Yunnan Baiyao Group Co Ltd 多機能の健康食品及びその応用
KR101558530B1 (ko) * 2014-12-24 2015-10-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인삼잎, 연잎 및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비만 기능성 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16, 116(9), A-77*
Polyphenol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2014, pp. 135-14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02A (ko) 2021-03-29
KR102281589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740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및 컴파운드 케이 고함량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573028A (zh) 非酒精性脂肪肝疾病预防及治疗用组合物
KR100813222B1 (ko) 항비만 효능의 약용식물 추출물
CN1899501A (zh) 一种治疗咽喉炎、扁桃体炎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16234561A (zh) 一种用于冬季防治呼吸道疾病的药物组合物
KR102281589B1 (ko) 다크티 및 연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N111166731A (zh) 来源于粘委陵菜的贝壳杉烷型二萜类化合物在抑制脂肪蓄积中的应用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WO2008037222A1 (en) A hypolipidemic composition and its use
KR20130013856A (ko)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04503595A (ja) 薬草抽出物を含む関節炎治療および予防用組成物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組成物
CN109674848A (zh) 一种甘草提取物的制备方法与用途
KR20200133056A (ko) 다크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0409B1 (ko)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00116919A (ko) 산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CN111166735A (zh) 邻苯二甲酸-双-(2-乙基庚基)酯在抑制脂肪蓄积中的应用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97906B2 (ja) 代謝疾患の調節に用いるラクチカゼイバチルス・パラカゼイ発酵ウコン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37130B1 (ko) 한방 복합 재료의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9687B1 (ko)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니브의 암 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CN107375377A (zh) 一种畜禽用紫锥菊根中药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