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277B1 - 드럼식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식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277B1
KR102280277B1 KR1020180168621A KR20180168621A KR102280277B1 KR 102280277 B1 KR102280277 B1 KR 102280277B1 KR 1020180168621 A KR1020180168621 A KR 1020180168621A KR 20180168621 A KR20180168621 A KR 20180168621A KR 102280277 B1 KR102280277 B1 KR 10228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ub
lid
gea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386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8016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식 조리 장치{DRUM TYPED COOKER}
본 발명은 옆으로 누운 조리통이 회전하는 드럼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는 조리기를 수용하는 상면 개방형 수용공과 수용공의 바닥이나 측벽을 가열하는 히터를 내장한 하우징과, 하우징 내의 수용공에 안치되어 조리하는 조리팬과, 조리팬의 상면을 덮는 뚜껑을 필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조리기(압력밥솥, 전기밥솥 등)는 하우징과 조리팬을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 내벽이나 바닥에 히터를 설치하여 조리팬을 하우징 내부 공간에 안치시켜 동축 상태로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음식물의 가열이 히터부위에 집중되어 조리시 타지거나 조리가 균일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기름이 배출되는 조리물의 경우는 바닥에 망체를 놓고 조리하여야하나 배출되는 기름이 타지거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기구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뻥튀기 같은 조리기구가 존재하나, 이는 단지 수평으로 놓여서 조리하는 것이어서 조리 대상이 한정적이고 일반적인 사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1289호에는 조리팬이 경사지게 회전하는 조리기가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1289호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잔고장이 적은 드럼식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통의 뚜껑에 구동축이 연결되고, 구동축과 아이들 롤러가 함께 조리통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과 롤러가 마련된 받침대에 대한 조리통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구동축을 뚜껑의 손잡이에 링크시키는 구조를 통해 조리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손잡이의 단부가 구동축 뭉치에 걸리도록, 손잡이에 형성된 기어와 단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으로 인해 손잡이의 측면에는 구동축 뭉치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해당 홈에 기어치차를 결합시켜 기울어진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열원의 열 영향을 적게 받는 뒤쪽(후면)에 롤러를 설치해 롤러의 열화를 방지하고,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부가되는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
조리통의 바닥면에 조리 기름 등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조리통 바닥면의 중앙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방지부에 따르면,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이 가이드되는 롤링부가 조리통 내부로부터 배출된 각종 액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조리통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원통인 곡면 가열의 약점인 열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뚜껑 내면 가장자리에 석쇠 걸이를 형성해 석쇠의 유동을 방지하며, 석쇠 미사용시 조리통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리통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조리통에 형성된 배출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석쇠 걸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조리 장치는 조리통(100) 및 받침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통(100)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통 또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200)는 지면 또는 열원에 지지되는 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조리통(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조리통(100) 또는 받침대(200)에 히터 등의 열원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별도의 외부 열원을 통해 조리통(100)이 가열될 수 있다.
자체 열원을 이용해 조리통(100)이 가열되는 경우, 받침대(200)는 바닥에 놓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열원을 이용해 조리통(100)이 가열되는 경우, 받침대(200)는 외부 열원 상에 놓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대(200)에는 가스 레인지의 불꽃 또는 열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열 구멍(209)이 마련될 수 있다. 받침대(200)에는 열 구멍(209)을 감싸는 열막이판(215)이 형성될 수 있다. 열막이판(215)은 열원의 열이 열 구멍(209)을 벗어나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막이판(215)에 의해 회전부(230) 또는 지지부(259)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받침대(200)에 대해 조리통(1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239)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9)에 대한 외부 전력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회전부(230)는 조리통(100) 및 받침대(200)와 별개로 형성되거나, 지면에 설치된 받침대(200)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열원에 대해 조리통(100)은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조리통(100)은 열원의 열을 받는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열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열원에 대면되는 조리통(100)의 외벽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면, 열원에 대면되는 외벽면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열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통(100)은 지면 및 중력 방향에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는 소위 드럼식 회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지면 및 중력 방향에 기울어지도록, 받침대(200)에는 스탠딩 수단 및 지지부(259)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통(100)의 바닥 중앙으로부터 조리통(100)의 입구 중앙를 향하는 방향을 조리통(100)의 높이 방향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높이 방향 상으로 스탠딩 수단은 조리통(100)의 상부를 지지하고, 지지부(259)는 조리통(1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탠딩 수단은 조리통(100)을 덮는 뚜껑(130)의 손잡이(1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50)는 뚜껑(130)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9)는 조리통(100)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스탠딩 수단 및 지지부(259)에 의해 조리통(100)은 받침대(200)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딩 수단 및 지지부(259)는 조리통(100)에 체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조리통(100)이 단순 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200)에는 외부 열원의 불꽃, 열기, 화기 등이 통과하는 열 구멍(209)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통(10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스탠딩 수단과 지지부(259)는 열 구멍(20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리 대상물, 조리통(100) 및 받침대(200)를 포함한 조리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열 구멍(209)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회전부(230)는 스탠딩 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모터(239) 및 각종 기어 뭉치(231, 232)가 포함된 회전부(230)는 조리 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 중 무게가 많이 나가는 편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3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조리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달라질 수 있다. 조리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조리 중에 조리통(100)이 넘어지기 쉬우며, 뜨겁게 데워진 조리 대상물의 유출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가 우려된다. 결국, 조리 대상물을 포함한 조리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을 받침대(200)의 가운데 또는 열 구멍(209)에 추종시킬 필요가 있다.
조리 대상물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통(100)은 입구 중심 O1이 바닥 중심 O2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입구 중심 O1과 바닥 중심 O2를 가로지르는 가상선 L이 조리통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뚜껑에 형성된 손잡이는 가상선 L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딩 수단 및 지지부(259)에 의해 조리통(100)은 조리 대상물을 포함해서 무게 중심이 바닥에 치우치게 기울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조리통(100)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은 조리통(100)의 바닥 쪽에 쏠리게 된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이 포함된 조리통(100)의 무게 중심은 바닥 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여기에 더해, 회전부(230)가 조리통(100)의 바닥 측에 배치된다면, 조리통(100)을 지지하는 받침대(200)의 무게 중심 역시 조리통(100)의 바닥 측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조리통(100)의 바닥 측에 치우친 무게 중심으로 조리통(100)의 입구 측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회전부(230)는 스탠딩 수단 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 회전부(230)는 스탠딩 수단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뚜껑(130)에 형성된 손잡이(150)는 회전부(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239), 모터(239)에 맞물린 기어 뭉치, 모터(239)와 기어 뭉치를 지지하며 베이스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2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50)에는 회전부(230)에 맞물리는 기어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50)에는 뚜껑(130)의 가운데로부터 돌출된 걸림부(153)가 마련될 수 있다.
기어부(151)는 걸림부(153)와 뚜껑(1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어부(151)는 걸림부(153)와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부(153)의 측면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151)와 걸림부(153)의 사이에는 회전부(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림부(153)는 기어부(15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3)와 기어부(151)의 직경 차이로 인해 손잡이(150)에는 회전부(230), 구체적으로 기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홈의 바닥면에는 회전부(230)의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지면에 기울어지게 배치된 조리통(100)은 걸림부(153)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현재 위치에 머무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230)에 맞물린 손잡이(150)가 회전부(2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150)의 회전을 통해 조리통(100) 전체를 움직이도록 록킹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록킹 수단은 조리통(100)을 덮는 뚜껑(130)과 조리통(100) 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 수단은 뚜껑(130)과 조리통(100)에 각각 설치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요철이 서로 맞물리면, 회전 방향 상으로 뚜껑(130)과 조리통(100)은 서로 구속되고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또는 록킹 수단은 뚜껑(130)과 조리통(100) 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 수단은 뚜껑(130) 또는 조리통(1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쇠,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통(100)에 뚜껑(130)을 덮은 후 걸림쇠에 걸쇠를 걸면, 해당 잠금이 풀리기 전까지 뚜껑(130)과 조리통(100) 간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뚜껑(130)의 손잡이(150)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150)에 연결된 뚜껑(130)은 손잡이(1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조리통(100)은 록킹 수단에 의해 뚜껑(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50)가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회전부(230)에는 제1 기어(231) 및 제2 기어(2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어(231)는 모터(23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기어(232)는 모터(239)의 회전축에 맞물릴 수 있다.
제2 기어(232)는 제1 기어(23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231)와 제2 기어(232)는 서로 간의 최단 거리가 기어부(151)의 직경보다 작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 기어(231)와 제2 기어(232)의 사이에 손잡이(150)가 놓이면, 기어부는 제1 기어(231)와 제2 기어(232)의 사이에 끼이면서 2점 지지되므로,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50)의 둘레(외주면)를 따라 형성된 기어부(151)의 일측은 제1 기어(231)에 맞물릴 수 있다. 해당 기어부(151)의 타측은 제2 기어(232)에 맞물릴 수 있다.
지지부(259)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통(100)의 바닥에는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에 걸쳐지는 고리 형상의 롤링부(1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롤링부(160)의 일면은 제1 롤러(251)의 측면 및 제2 롤러(252)의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조리통(100)의 바닥은 열 구멍(209)으로 도피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통(100)의 바닥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 역시 열 구멍(209)으로부터 도피되므로, 열원에 의해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는 열원에 기인한 열 변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조리통(100)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제1 롤러(251)와 제2 롤러(252)의 사이에 롤링부(160)가 놓일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에 대해 롤링부(160)의 외측면이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에 대해 롤링부(160) 및 조리통(100)을 들어올리는데 어떠한 제약도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지부(259)에 대한 조리통(100)의 착탈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통(100)의 무게가 제1 롤러(251) 및 제2 롤러(252)에 분산되므로, 각 롤러의 기구적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조리통(100)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배출구(108)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08)는 조리통(100) 내부에서 생성된 국물 등의 각종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조리통(10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조리통(100)의 바닥을 타고 롤링부(160), 제1 롤러(251), 제2 롤러(252)를 향해 흘러낼 수 있다. 각 롤러와 롤링부(160) 사이에 기름 등의 액체가 유입되면, 각 롤러의 정상 동작이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각 롤러의 세척이 어려우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구(108)와 롤링부(160)의 사이에는 연속된 고리 형상의 방지부(1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08)에 대면되는 방지부(180)의 일면 가운데에는 배출구(108)를 통해 유출된 액체가 방지부(180)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골 형상의 트렌치(trench)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롤링부(160)와 배출구(108) 사이에 형성된 방지부(180)로 인해 롤링부(160)로 접근하지 못한다. 또한, 해당 액체는 트렌치를 따라 흘러내려 방지부(180)의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방지부(180)는 롤링부(160)를 감싸는 형태가 되므로, 해당 액체는 롤링부(160)에 접근하지 못하고 방지부(180)의 하부에 집중되고, 결국 자유 낙하할 수 있다.
자유 낙하되는 액체를 보관하기 위해 받침대(200)에는 액체통(217)이 마련될 수 있다.
액체통(217)은 배출구(108)를 통해 흘러나온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액체의 처리 및 세척의 편의를 위해 액체통(217)은 받침대(2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리통(100)에 대면되는 뚜껑(130)의 일면에는 석쇠(10)를 걸 수 있는 석쇠 걸이(193)가 마련될 수 있다.
석쇠 걸이(193)는 뚜껑(130)과 함께 조리통(100)에 착탈될 수 있다. 뚜껑(130)이 조리통(100)에 고정되면, 석쇠 걸이(193) 역시 조리통(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석쇠(10)의 미사용시, 조리통(100) 내부에 고정된 석쇠 걸이(193)는 조리통(10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1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뚜껑(13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뚜껑(130)의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191)가 마련될 수 있다.
석쇠(10)를 지지하기 위해 석쇠 걸이(193)는 가이드부(19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석쇠 걸이(193)는 조리통(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석쇠(10)는 스프링(30)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연결될 수 있다. 해당 스프링(30)의 가운데가 막대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 대상물을 2개의 석쇠(10) 사이에 넣으면,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조리 대상물이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은 석쇠(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리통(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조리통(100)과 함께 회전하는 조리 대상물은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점진적인 승온 속도로 가열될 수 있다.
뚜껑(130)에 대면되는 석쇠(10)의 일면에는 가이드부(191)에 걸리는 제1 걸림 수단(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수단(14)은 2개의 석쇠(10) 사이를 가로지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수단(14)은 뚜껑(130)과 가이드부(1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 수단(14)에 의해 2개의 석쇠(10)는 뚜껑(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탈되지 못하고 가이드부(191)에 지지될 수 있다.
석쇠(10)의 양 측면에는 제2 걸림 수단(16)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걸림 수단(16)은 석쇠 걸이(193)의 외측면에 대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수단(16)에 따르면, 석쇠 걸이(193)에 대한 석쇠(10)의 자유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손잡이에는 뚜껑(130)에 결합되는 결합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는 걸림부, 기어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70)는 뚜껑(130)의 내면으로부터 조여지는 나사(179)에 의해 뚜껑(130)의 외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91)는 해당 나사(17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석쇠 14...제1 걸림 수단
16...제2 걸림 수단 30...스프링
100...조리통 108...배출구
110...몸체부 130...뚜껑
150...손잡이 151...기어부
153...걸림부 160...롤링부
170...결합부 179...나사
180...방지부 191...가이드부
193...석쇠 걸이 200...받침대
209...열 구멍 210...베이스
215...열막이판 217...액체통
230...회전부 231...제1 기어
232...제2 기어 238...연결 수단
239...모터 251...제1 롤러
252...제2 롤러 259...지지부

Claims (16)

  1.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에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회전부에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의 손잡이를 지지하는 스탠딩 수단, 상기 조리통의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탠딩 수단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조리통은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한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외부 열원의 화기가 통과하는 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딩 수단과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열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스탠딩 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의 손잡이를 지지하는 스탠딩 수단, 상기 조리통의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탠딩 수단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조리통은 상기 조리 대상물을 포함해서 무게 중심이 상기 바닥에 치우치게 기울어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스탠딩 수단 측에 형성된 조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뚜껑의 가운데로부터 돌출된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뚜껑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와 상기 걸림부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된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과 상기 조리통 간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뚜껑의 손잡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상기 뚜껑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조리통은 상기 록킹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과 함께 회전하는 조리 장치.
  8.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에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사이에 상기 손잡이가 놓이면,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사이에 끼이면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기어부의 일측은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기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기어에 맞물리는 조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의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의 바닥에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걸쳐지는 고리 형상의 롤링부가 돌출 형성된 조리 장치.
  10.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의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의 바닥에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걸쳐지는 고리 형상의 롤링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리통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롤링부의 사이에는 연속된 고리 형상의 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조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대면되는 상기 방지부의 일면 가운데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출된 액체가 상기 방지부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골 형상의 트렌치가 형성된 조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흘러나온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통이 마련된 조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의 외벽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조리 장치.
  14.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뚜껑;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손잡이에는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뚜껑과 함께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통에 대면되는 상기 뚜껑의 일면에는 석쇠를 걸 거나 또는 상기 조리통 내부의 조리 대상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석쇠 걸이가 마련되고,
    상기 석쇠 걸이는 상기 뚜껑과 함께 상기 조리통에 착탈되는 조리 장치.
  15.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이 마련되고,
    상기 조리통에 대면되는 상기 뚜껑의 일면에는 석쇠를 걸 수 있는 석쇠 걸이가 마련되며,
    상기 석쇠 걸이는 상기 뚜껑과 함께 상기 조리통에 착탈되고,
    상기 석쇠 걸이는 상기 조리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석쇠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가운데가 상기 막대에 설치되는 조리 장치.
  16.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조리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리통을 덮는 뚜껑이 마련되고,
    상기 조리통에 대면되는 상기 뚜껑의 일면에는 석쇠를 걸 수 있는 석쇠 걸이가 마련되며,
    상기 석쇠 걸이는 상기 뚜껑과 함께 상기 조리통에 착탈되고,
    상기 뚜껑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뚜껑의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석쇠 걸이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조리 장치.
KR1020180168621A 2018-12-24 2018-12-24 드럼식 조리 장치 KR10228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21A KR102280277B1 (ko) 2018-12-24 2018-12-24 드럼식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21A KR102280277B1 (ko) 2018-12-24 2018-12-24 드럼식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386A KR20200079386A (ko) 2020-07-03
KR102280277B1 true KR102280277B1 (ko) 2021-07-22

Family

ID=7157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621A KR102280277B1 (ko) 2018-12-24 2018-12-24 드럼식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02B1 (ko) * 2020-07-23 2022-02-25 정상선 간접 가열식 구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96Y1 (ko) * 2005-01-21 2005-04-27 나도은 구이기
KR101640493B1 (ko) *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JP2016195645A (ja) 2015-04-02 2016-11-2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回転調理部材、回転式調理器および入れ子型回転体セット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CN108852022A (zh) 2018-09-27 2018-11-23 何廷贵 一种转筒式烧烤烹饪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96Y1 (ko) * 2005-01-21 2005-04-27 나도은 구이기
JP2016195645A (ja) 2015-04-02 2016-11-2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回転調理部材、回転式調理器および入れ子型回転体セット
KR101640493B1 (ko) *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CN108852022A (zh) 2018-09-27 2018-11-23 何廷贵 一种转筒式烧烤烹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386A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0473A1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JP2018057912A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553198B1 (ko) 슬라이드 로스터
EP3141167A1 (en) Multi-purpose heating device
US10039417B2 (en) Oven apparatus
KR101732455B1 (ko) 다단 취사기
KR102280277B1 (ko) 드럼식 조리 장치
KR20150117416A (ko) 양방향조리기구
KR20120111642A (ko) 튀김기
KR20170085398A (ko) 인덕션 회전식 국솥
KR200453312Y1 (ko) 고기구이 장치
KR102030312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101945290B1 (ko) 회전식 조리 장치
KR20120017341A (ko) 전기 그릴
KR101507277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1430550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EP3446043B1 (en) Boiler
KR200492414Y1 (ko) 전기 구이용 화로
JP5396194B2 (ja) 加熱調理器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