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290B1 - 회전식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290B1
KR101945290B1 KR1020170105847A KR20170105847A KR101945290B1 KR 101945290 B1 KR101945290 B1 KR 101945290B1 KR 1020170105847 A KR1020170105847 A KR 1020170105847A KR 20170105847 A KR20170105847 A KR 20170105847A KR 101945290 B1 KR101945290 B1 KR 10194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food
heat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섭
Original Assignee
최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섭 filed Critical 최길섭
Priority to KR102017010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2St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된 음식을 담는 용기와,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다수의 조리팬을 상기 용기의 상부면에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조리 팬이 설치된 용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그 용기의 일측에는 조리 팬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용기의 타측에는 조리 팬의 상부를 가열하는 제2 가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조리 팬의 상부면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되는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조리할 음식물을 별도의 장소에서 조리한 후에 용기에 담게 이동하지 않아되 되며, 회전 되는 상기 조리 팬의 상부면에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 놓고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와 유도면으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중앙에는 열기홀이 구비된 열기 유도부를 상기 조리 팬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하여 제1 가열부의 열기가 조리 팬의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된 틸팅 수단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조리 장치 { Rotary cook device }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된 음식을 담는 용기와,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다수의 조리팬을 상기 용기의 상부면에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조리 팬이 설치된 용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그 용기의 일측에는 조리 팬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용기의 타측에는 조리 팬의 상부를 가열하는 제2 가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조리 팬의 상부면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되는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조리할 음식물을 별도의 장소에서 조리한 후에 용기에 담게 이동하지 않아되 되며, 회전 되는 상기 조리 팬의 상부면에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 놓고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가열부는 조리 팬의 하부를 제2 가열부를 조리 팬의 상부를 각각 가열하기 때문에 조리 팬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을 조리사가 굳이 뒤집어 조리를 하지 않아되 되며, 돌출부와 유도면으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중앙에는 열기홀이 구비된 열기 유도부를 상기 조리 팬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하여 제1 가열부의 열기가 조리 팬의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상기 열기홀은 조리 팬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 되는 기름 등이 열기홀을 통해 제1 가열부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고,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된 틸팅 수단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회전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장치란 음식물을 올려 놓고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 장치의 조리 팬에는 하나의 음식물을 올려 놓고 조리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뷰페 등과 같이 다양한 음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하는 음식점에서는 하나의 조리 팬을 이용하여 하나의 음식물만을 조리하기 때문에 이른 시간에 음식을 조리해야 하며, 조리된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에 담에 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되면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의 회전식 조리 장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과 상기 열원의 열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가 구비된 회전식 조리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에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넣게 되면, 본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열원에서 열이 공급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요리사들은 하나의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뷰페 등을 찾은 손님들은 그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열원의 열기가 용기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식 조리장치의 문제점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 팬과 상기 조리 팬을 이용하여 음식 조리를 마친 후에 담을 수 있는 용기가 각각 분리되게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음식물을 조리한 상태에서 용기에 담거나 또는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용기의 내부에 담기 위해서는 조리사가 음식물을 손으로 들고 직접 회전식 조리장치가 놓인 장소로 이동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용기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조리사가 직접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뒤집거나 조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에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열원의 열기가 직접 용기 상부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용기 하분만을 가열하므로, 음식물 조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의 하부를 가열하는 열원이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을 뒤집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무헌 ◆
한국 등록특허 제 630458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된 음식을 담는 용기와,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다수의 조리팬을 상기 용기의 상부면에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조리 팬이 설치된 용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그 용기의 일측에는 조리 팬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용기의 타측에는 조리 팬의 상부를 가열하는 제2 가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조리 팬의 상부면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되는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조리할 음식물을 별도의 장소에서 조리한 후에 용기에 담게 이동하지 않아되 되며, 회전 되는 상기 조리 팬의 상부면에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 놓고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가열부는 조리 팬의 하부를 제2 가열부를 조리 팬의 상부를 각각 가열하기 때문에 조리 팬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을 조리사가 굳이 뒤집어 조리를 하지 않아되 되며, 돌출부와 유도면으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중앙에는 열기홀이 구비된 열기 유도부를 상기 조리 팬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하여 제1 가열부의 열기가 조리 팬의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상기 열기홀은 조리 팬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 되는 기름 등이 열기홀을 통해 제1 가열부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고,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된 틸팅 수단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회전식 조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회전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용기와;
용기의 상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과;
용기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 구성되어 조리 팬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조리된 음식을 담는 용기와,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하는 다수의 조리팬을 상기 용기의 상부면에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조리 팬이 설치된 용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서, 그 용기의 일측에는 조리 팬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용기의 타측에는 조리 팬의 상부를 가열하는 제2 가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조리 팬의 상부면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되는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조리할 음식물을 별도의 장소에서 조리한 후에 용기에 담게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 되는 상기 조리 팬의 상부면에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 놓고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가열부는 조리 팬의 하부를 제2 가열부를 조리 팬의 상부를 각각 가열하기 때문에 조리 팬 위에서 조리되는 음식을 조리사가 굳이 뒤집어 조리를 하지 않아도 되며, 돌출부와 유도면으로 구성되며, 돌출부의 중앙에는 열기홀이 구비된 열기 유도부를 상기 조리 팬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하여 제1 가열부의 열기가 조리 팬의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열기홀은 조리 팬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 되는 기름 등이 열기홀을 통해 제1 가열부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은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설치된 틸팅 수단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틸팅 수단에 의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이동된 조리를 마친 음식물들은 히팅부에 의해 온열 되기 때문에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 저면에 온수관이 구비된 히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 저면에 전기 히터가 구비된 히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에 조리 팬 및 기름 받이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 팬에 열기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리 장치의 틸팅 수단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틸팅 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틸팅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틸팅 수단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리 팬의 고리부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회전되는 모터(10)와;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용기(30)와;
용기(30)의 상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50)과;
용기(3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 구성되어 조리 팬(50)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된 음식을 담는 용기(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조리할 음식물 내지 가열이 필요한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다수의 조리 팬(50)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조리 팬(50)의 상부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용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틸팅 수단(120)을 상기 조리 팬(50)의 하부에 설치 구성한 것이다.
다수의 조리 팬이 설치된 용기(30)는 도 1과 같이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데, 상기 용기(30)가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모터(10)의 회전축(11) 상단에는 회전판(12)을 설치하고, 회전판(12)에 용기(20)를 결합한다.
이때,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회전축(11)에 용기(30)를 직접 결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용기(30)가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11)에 용기(30)를 직접 설치하는 방법 이외에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회전축(11)에는 구동 기어를 형성하고 용기(30)는 연결기어를 형성한 상태에서 체인 또는 밸트 등을 이용하여 용기(30)를 회전시킬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기 용기(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게 용기(30)의 바닥면(30a)에는 격벽(80)을 돌출시켜 기름 받이홈(81)을 형성하고,
기름 받이홈(81)의 바닥면에는 기름 유출홀(82)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기름 유출홀(82)을 통해 용기(30)의 하부로 유출되는 기름을 모아 외부로 버릴 수 있는 기름통(90)을 상기 용기(3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름통(90)이 용기(30)의 저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30)의 저면에는 도 2와 같이 'ㄴ'자 모양의 가이드부(100)를 상기 기름 유출홀(82)과 대응되게 형성하고, 가이드부(100)의 내측에 끼워지는 결합부(91)를 상기 기름통(90) 상단에 형성하여 결합부(91)가 가이드부(100) 내측에 끼워지도록 기름통(90)을 용기(30)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용기(30)의 상단에 결합 되는 조리 팬(50)은,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용기(30) 상단에 힌지(61)로 결합 되는 팬 몸체(60)와;
제1 가열부(160)에서 발생 되는 열기를 조리 팬(50) 상부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몸체(60)의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열기 유도부(70)로 구성하되,
상기 열기 유도부(70)는, 팬 몸체(60)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돌출면(71)과;
돌출면(71)의 상단으로부터 용기(30)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도면(72)과;
팬 몸체(6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 되게 돌출면(71)의 중앙에 형성되는 열기홀(7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용기(30) 상단에 다수의 조리 팬(50)을 각각 힌지(61)로 결합하므로, 도 2의 (a)와 같이 용기(30) 상단에 수평 상으로 설치된 조리 팬(30)은 도 7의 (a)와 같이 틸팅 수단(120)에 의해 상부로 회전되면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용기(3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틸팅 수단(120)은, 환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틸팅부(132)가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30)과;
틸팅부(132)와 연통 되게 가이드 레일(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레일 홈(131)과;
상단이 조리 팬(50)의 하부에 힌지 결합 되며, 레일 홈(131) 내부에 수직으로 결합 되는 연결봉(140)과;
연결봉(140)의 하단 양측에 결합 구성되어 레일 홈(131)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이동 바퀴(14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틸팅 수단(120)을 구성하고 있는 가이드 레일(13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봉(133)의 상단에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틸팅 수다(120)에 의해 용기(30) 내부로 담겨진 음식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리된 음식물을 온열하는 온수관(41) 또는 전기 히터(42)가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40)를 상기 용기(30)의 하부에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관(41) 또는 전기 히터(42)가 상기 용기(30)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용기(30)의 하부에는 설치부(43)가 더 형성하고, 설치부(43)의 내부에 온수관(41) 또는 전기 히터(42)가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조리 팬(30)의 상부면으로 적외선을 발산시키는 제2 가열부(170)를 상기 제1 가열부(160)와 대응되게 용기(30)의 타측에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리 팬(30)에 놓여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30)를 중심으로 가열수단(150)인 제1 가열부(160)와 제2 가열부(170)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제1 가열부(160)는 조리 팬(30)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며, 제2 가열부(170)는 조리 팬(30)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조리 팬(30)에 올려진 음식물을 굳이 조리사가 뒤집지 않더라고 상기 제1 가열부(160)와 제2 가열부(170)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 팬(30) 위에 올려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가열부(160)는 숯, 연탄, 가스 버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용기(30)에 결합 된 다수의 조리 팬(50)의 상부면에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모터(10)로 동력을 전달하여 모터(10)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모터(10)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축(11)에 축설 된 용기(30)는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용기(30)가 회전함에 따라서 용기(30)의 상단에 힌지(61)로 결합 된 조리 팬(50)은 상기 용기(3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열 수단(150)인 제1 가열부(160)와 제2 가열부(170)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이다.
이때, 조리 팬(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열기 유도부(70)에 구비된 열기홀(73)에 의해 제1 가열부(160)의 열기는 직접 음식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30)가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틸팅수단(120)을 구성하고 있는 가이드 레일(130)의 레일 홈(131)을 따라 조리 팬(50)의 하부에 힌지로 결합 된 연결 봉(140)을 레일 홈(131)을 따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일 홈(131)을 따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 봉(140)을 상기 가이드 레일(130)의 일측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틸팅부(132)에 의해 도 7과 같이 상승되면서 용기(30)이 상단에 힌지(61)로 결합 된 조리 팬(50)의 외측단을 상부인 용기(3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조리 팬(50)이 틸팅 수단(120)의 틸팅부(132)에 의해 힌지(61)를 중심으로 도 8의 (b)와 같이 상부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조리 팬(50)의 팬 몸체(60)에 올려져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자연 스럽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조리된 음식물을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도 4의 P1은 틸팅 수단(120)의 틸팅부(132)가 형성된 것으로,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용기(30)와 용기(30)의 상단에 결합 된 다수의 조리 팬(50)이 P1의 위치로 회전시 도 8의 (b)와 같이 틸팅부(132)에 의해 구름 이동되는 연결봉(140)이 틸팅부(132)의 높이만큼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61)로 결합 된 조리 팬(50)은 연결봉(140)에 의해 힌지(61)를 중심으로 위로 회전되면서 조리 팬(50)에 올려진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용기(3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된 조리를 마친 음식물들은 도 2의 (a), (b) 내지 도 3과 같이 용기(30)의 하부에 구비된 히팅부(40)의 열기에 의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용기(30)와 용기(30)의 상단에 가열 수단(150)인 제1 가열부(160)와 제2 가열부(170)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수의 조리 팬(50)을 설치 구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조리 팬을 이용하여 조리를 마친 음식물들을 용기에 담기 위해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리 팬(50)의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50)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160)와, 상기 조리 팬(50)의 상부를 가열하는 제2 가열부(170)로 인하여 음식물을 뒤집을 필요 없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팬(50)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틸팅 수단(120)에 의해 힌지(6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되기 때문에 조리 팬(50)에 올려진 조리를 마친 음식물은 자연 스럽게 용기(30) 내부로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리 팬(50)의 상부에는 돌출면(71)과 상기 돌출면(71)의 상단에 용기(30)의 내측으로 경사진 유도면(72)으로 이루어지면서 돌출면(71)의 중앙에는 열기홀(73)이 형성된 열기 유도부(70)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하므로, 제1 가열부(160)로 인해 발생 되는 열기는 열기홀(73)을 통해 조리 팬(50) 상부면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가열부(160)와 제2 가열부(170)로 인해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발생 되는 기름 등은 유도면(72)을 따라 용기(30)의 내부에 구비된 기름 받이홈(81)으로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돌출면(71)에 구비된 열기홀(73)은 도 5와 같이 팬 몸체(6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면(71)의 중앙에 형성하기 때문에 유도면(72)을 따라 흐르는 기름 등이 열기홀(73)을 통해 제1 가열부(16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틸팅 수단(12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틸팅 수단(12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9와 같이 조리 팬(50)을 구성하고 있는 팬 몸체(60) 외주면 중앙에 하단이 개구된 반 원통형의 고리부(180)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고리부(18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조리 팬(50)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되는 팬 몸체(60)의 외측단을 힌지(6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시킬 수 있게 틸팅부(132a)가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90)을 설치 구성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 레일(190)은 틸팅부(132a)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고리부(180)가 끼워지는 입구단(191)과 그 입구단(191)과 대응되게 배출단(192)이 틸팅부(132)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데, 상기 입구단(191)과 배출단(192)은 팬 몸체(60)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가이드 레일(190)이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입구단(191)과 배출단(192)의 하부에는 수직봉(193)이 설치 구성되어 조리 팬(50)의 상부면보다 입구단(191)과 출구단(192)을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190)의 중앙에 절곡 형성되는 틸팅부(132a)는 도 10의 (a), (b)와 같이 용기(30)의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틸팅 수단(120)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용기(30)와 조리 팬(50)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 레일(190)의 입구단(191) 외주면으로 고리부(180)의 내측면이 끼워진다.
이때, 가이드 레일(190)과 고리부(180)는 면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조리 팬(50)이 회전되기 때문에 고리부(180)는 가이드 레일(190)의 외주면을 따라 틸팅부(132a)로 이동되는 이동되면서 팬 몸체(60)를 도 10의 (a)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므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이 조리 팬(50)의 상부면을 따라 용기(3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190)과 고리부(180)는 상부로 절곡 형성된 틸팅부(132a)에 의해 마치 점 접촉 된다.
그리고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고리부(180)는 도 10의 (b)와 같이 가이드 레일(190)의 배출단(192)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틸팅부(132a)가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90)을 상기 조리 팬(5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19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고리부(180)를 상기 팬 몸체(60) 외주면 중앙에 형성하므로, 틸팅 수단(1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와 같이 조리 팬(5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틸팅 수단(120)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모터, 11: 회전축,
12: 회전판, 30: 용기,
40: 히팅부, 41: 온수관,
42: 전기 히터, 43: 설치부,
50: 조리 팬, 60: 팬 몸체,
61: 힌지, 70: 열기 유도부,
71: 돌출면, 72: 유도면,
73: 열기홀, 80: 격벽,
81: 기름 받이홈, 82: 기름 유출홀,
90: 기름통, 91: 결합부,
120: 틸팅 수단, 130: 가이드 레일,
131: 레일홈, 132, 132a: 틸팅부,
133: 지지봉, 140: 연결봉,
141: 이동 바퀴, 150: 가열 수단,
160: 제1 가열부, 170: 제2 가열부,
180: 고리부, 190: 가이드 레일,
191: 입구단, 192: 출구단,
193: 수직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회전되는 모터(10)와;
    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용기(30)와;
    용기(30)의 상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조리 팬(50)과;
    용기(3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 구성되어 조리 팬(50)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1 가열부(160);로 구성히고,
    상기 조리 팬(50)은,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용기(30) 상단에 힌지(61)로 결합 되는 팬 몸체(60)와;
    제1 가열부(160)에서 발생 되는 열기를 조리 팬(50) 상부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몸체(60)의 상부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열기 유도부(70)로 구성하되,
    상기 열기 유도부(70)는,
    팬 몸체(60)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돌출면(71)과;
    돌출면(71)의 상단으로부터 용기(30)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도면(72)과;
    팬 몸체(6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 되게 돌출면(71)의 중앙에 형성되는 열기홀(7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힌지(61)를 중심으로 조리 팬(50)의 외측단을 상,하로 회전시켜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용기(3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틸팅 수단(120)을 설치 구성하되,
    상기 틸팅 수단(120)은,
    조리 팬(50)의 하부로 이격되게 환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로 절곡 형성된 틸팅부(132)가 구비된 가이드 레일(130)과;
    틸팅부(132)와 연통 되게 가이드 레일(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레일 홈(131)과;
    상단이 조리 팬(50)의 하부에 힌지 결합 되며, 레일 홈(131) 내부에 수직으로 결합 되는 연결봉(140)과;
    연결봉(140)의 하단 양측에 결합 구성되어 레일 홈(131)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이동 바퀴(141);로 구성하거나 또는
    하단이 개구된 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 팬(50)의 팬 몸체(60) 외주면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고리부(180)와;
    고리부(18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조리 팬(50)의 일측에 형성되며, 힌지(61)를 중심으로 팬 몸체(60) 외측단이 상부로 회전되도록 틸팅부(132a)가 중간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9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05847A 2017-08-22 2017-08-22 회전식 조리 장치 KR10194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47A KR101945290B1 (ko) 2017-08-22 2017-08-22 회전식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47A KR101945290B1 (ko) 2017-08-22 2017-08-22 회전식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290B1 true KR101945290B1 (ko) 2019-02-08

Family

ID=6536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47A KR101945290B1 (ko) 2017-08-22 2017-08-22 회전식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66Y1 (ko) * 2015-02-27 2016-03-29 박상권 회전식 조리기
KR101712853B1 (ko) *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66Y1 (ko) * 2015-02-27 2016-03-29 박상권 회전식 조리기
KR101712853B1 (ko) *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KR102313890B1 (ko) 조리 장치 및 이의 구성 요소
CN211130735U (zh) 烹饪系统
US10149566B2 (en) Appliance for preparing food
JP2018057912A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192741B1 (ko) 회전식 탈지 구이장치
US10039417B2 (en) Oven apparatus
AU2001245013A1 (en) The multifunctional combined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US7538300B1 (en) Polygonal cooking apparatus with a pressurizable condensate jacket
US2897746A (en) Combination cooker and warmer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101945290B1 (ko) 회전식 조리 장치
EP3091292B1 (en) Cooking applian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cooking vessel
US4724825A (en) Combined cooking machine
KR102154071B1 (ko) 회전식 꼬치 구이 장치
KR100647856B1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101655892B1 (ko) 클러스터형 업소용 취반시스템
US2419261A (en) Cooker
KR20110083255A (ko) 다기능 구이기
KR102280277B1 (ko) 드럼식 조리 장치
KR102047192B1 (ko)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KR20040027704A (ko) 다단 튀김기.
JP2000254001A (ja) 自動加熱調理器
KR100809668B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JP2019181164A (ja) 油を簡単に排出するための自動回転ポットを備えているガスオーブン型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