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573B1 - 자동세척기 - Google Patents

자동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73B1
KR102279573B1 KR1020210053404A KR20210053404A KR102279573B1 KR 102279573 B1 KR102279573 B1 KR 102279573B1 KR 1020210053404 A KR1020210053404 A KR 1020210053404A KR 20210053404 A KR20210053404 A KR 20210053404A KR 102279573 B1 KR102279573 B1 KR 10227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washing machine
uni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누마스타
강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마스타, 강신영 filed Critical (주)누마스타
Priority to KR102021005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8Machine starting, e.g. normal start, restart after electricity cut-off or start scheduling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물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세척수 및 헹굼수만으로 세척과 헹굼과정을 수행하면서 식판의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누름장치를 배치함으로서 보다 집중적이면서 효과적인 세척물의 세척력을 가지는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투입부 및 상부 타측에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일측에 세척수처리부 및 타측에 가동장치가 마련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가로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식판을 투입부에서 배출부로 자동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식판을 세척, 헹굼 및 건조의 순으로 수행하도록 터널형태로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세척기{AUTOMAT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물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세척수 및 헹굼수만으로 세척과 헹굼과정을 수행하면서 식판의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누름장치를 배치함으로서 보다 집중적이면서 효과적인 세척물의 세척력을 가지는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회사, 공장, 학교 등 다양한 공공시설물에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일괄적으로 식사 및 관련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급식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집단급식소는 식사품질, 서비스, 위생 등 식사에 있어 전반적인 부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런 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게 아웃소싱 형태로 위탁하여 관리되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상기 외부 전문업체의 급식업무는 일반 유통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이 먹을 식사를 제조하고 공급하는 것에 있다. 이에 공산품을 판매하는 것보다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고 남은 음식을 처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품질과 안전을 그 어느 것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특히 위생부분에 있어서는 사람의 건강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음식물의 조리시나 공동으로 사용되는 식기류의 위생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안전한 먹거리와 위생적인 장소와 식기류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적게는 수백, 많게는 수천명의 급식을 담당해야 하는 사업장에서는 인력으로 인한 공급 초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식기류의 경우에는, 대량의 상기 식기류를 빠르고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자동 식기세척기를 구비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식기세척을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사용인력의 최소화 및 많은 양의 식기류를 보다 빠르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현재의 자동 식기세척기는 브러쉬타입으로 식판 등과 같은 식기류를 세척하게 되며, 이때 브러쉬를 사용함에 있어 이물질 등이 브러쉬 내에 존재하여 시간이 흘러 부패함과 더불어 세균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자주 세척 및 교체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5151호(발명의 명칭 : 식판 걸림 현상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식판 세척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8389호(발명의 명칭 :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7470호(발명의 명칭 :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세척수 및 헹굼수만으로 세척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깨끗하고 정확하게 세척할 수 있는 목적과,
세척 및 헹굼과정 중에 세척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누름장치를 배치하여 컨베이어에 이동되는 세척물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물을 정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이동중인 세척물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부 일측에 투입부 및 상부 타측에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일측에 세척수처리부 및 타측에 가동장치가 마련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가로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식판을 투입부에서 배출부로 자동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식판을 세척, 헹굼 및 건조의 순으로 수행하도록 터널형태로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세척수처리부는 상부의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일측 하부에 연계된 저장조로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는 이동유닛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이동유닛의 하부인 제1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유닛을 따라 이동되는 식판에 세척 및 헹굼으로 인해 발생되는 세척수 및 헹굼수가 낙하되면서 흘러가도록 하여 저장조로 수집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분리조의 바닥면은 밀폐된 걸름판이 마련되며,
상기 걸름판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저장조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에 다수 개의 통공 그리고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 상부에 삼각형태의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투입부 하부에 위치한 세척수처리부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분리조와 연통된 포집조가 마련되며,
이때 포집조의 바닥면은 분리조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 일측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저장조의 벽면에 타단이 연결된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포집조 하부에 배출조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판 중앙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동유닛은 양측에 각각 반복 순환 이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식판을 안내하는 안착가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양측에 각각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양측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로 전달되면 동시에 컨베이어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각각의 컨베이어 양단에 배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기어에 컨베이어가 맞물리면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제1구동기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양측 컨베이어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기어가 구비되지 않은 회전축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위치한 제1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가로길이로 형성되도록 서로 상하 대칭형태이면서 가이드홈의 개방면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가로길이의 가이드바와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 일면에 제1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된 고정지지부와,
상기 회전축 단부에 결속되어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서포터와,
상기 회전서포터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제1결속공이 형성되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지지바의 가이드바 가이드홈으로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이동을 하는 이동가이드판과,
상기 이동가이드판의 제1결속공 중앙에 대응된 위치의 이동가이드판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지지부의 지지판 제1결합공을 통해 돌출 연장된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가 제1결합공을 통과하여 지지판 양측에 위치한 볼트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로 구성된 텐션조절체가 더 포함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은 제1판과 제2판으로 구분되어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판과 제2판의 내측단이 연결면부로 서로 이음 연결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 각각의 중앙 일면이 서로 연통된 제1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가 제1, 2판의 제1결합공을 통과하면서 제1판 및 제2판의 노출된 위치의 볼트부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양측 회전축에 이격된 한 쌍의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않고, 양측 회전축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가 연결되며, 이때 안착가이드의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가 위치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안착가이드는 양측 컨베이어 사이에 마련되면서 투입부에서 배출부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안내봉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과 상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에 이웃하는 안내봉 사이에 다수 개의 연결봉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봉에 회전봉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들 사이에 연결 또는 양측 컨베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가 포함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푸쉬바는 컨베이어의 회전궤도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들 사이에 연결되는 푸쉬바는, 중앙에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양측단에 결합바가 연결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양측 컨베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는, 일단이 컨베이어에 연결 고정된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 또는 타단 내측에 하단 또는 하단 내측이 연결 고정된 수직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의 가로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탄성체가 컨베이어의 일면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된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에 일단이 상향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된 가압봉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봉의 하향 연장된 타단이 수평봉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가 컨베이어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면에 수평봉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에 가압봉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가 양측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안착가이드의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이때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푸쉬바는 컨베이어의 일면 양측으로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는 수직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가 수평봉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수평봉 타단과 수직봉 일단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식판이 안착가이드에 안착되어 컨베이어의 회전으로 컨베이어에 결합된 푸쉬바가 식판을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 식판이 제2하우징에 입구에 진입시 제2하우징의 전단에 위치한 안착가이드의 일면에 센서바 또는 센싱부가 설치되어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된 세척, 헹굼 및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의 가동을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폭을 가진 투입부와 타측으로 투입부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배출부를 제외한 제1하우징의 상부 일부에 제2하우징이 설치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 내부의 상측에 이동되는 식판을 가압하는 제1누름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1누름장치는, 소정의 세로길이를 가진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양단에서 각각 하단이 연결되어 수직 연장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연결바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 가압봉이 제2하우징의 내부 가로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열되면서 가압봉의 연결바 타단이 제2하우징의 벽면에 결속하되, 상기 가압봉이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연결봉 타단이 제2하우징 벽면에 결속되며,
상기 가압봉이 다수 개로 배열된 배열단위에서 상기 배열단위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를 가진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연결대가 배열단위의 수평바들을 상호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연결대가 결합된 배열단위의 수평바에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의 입구에 위치한 가압봉의 연결바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바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2하우징 외부로 돌출 연장된 연장연결바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연결바의 타단에 회전바가 결합되어 회전바의 회전으로 제1누름장치가 상향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 내부의 상측에 이동되는 식판을 가압하는 제2누름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2누름장치는, 복수 개의 제1벨트풀리가 연결된 제1샤프트 한 쌍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 각각의 수직 상부로 제1샤프트의 제1벨트풀리의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벨트풀리가 연결된 제2샤프트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 제1벨트풀리와 제2샤프트의 제2벨트풀리에 상호 연결되어 사각형태를 가진 누름벨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누름장치의 제1샤프트 양측단에 각각 일단이 결속되면서 타단이 제2샤프트의 양측단에 각각 타단이 결속되는 높이지지판이 구비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제2샤프트 단부에 제2구동기어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제2구동기어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제1, 2샤프트 전체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누름벨트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높이지지판이 상측판과 하측판으로 분리 구분되면서 서로 겹쳐진 면에 연통된 조절공이 다수 개가 수직 배열되며, 이때 하측판 상부와 상측판 하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상호 연통된 조절공에 고정수단으로 끼움 결합하여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상부세척수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세척수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측부세척수부로 구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상부세척수부의 위치는 제2하우징의 내부 상부에 배치된 누름장치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세척수부는 한 쌍의 제1가로관 및 한 쌍의 제1세로관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1지지관체와 상기 제1지지관체의 서로 마주하는 제1가로관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1가로관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분사관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분사관의 하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분사관의 하부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1분사관 하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결합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세척수부는 제1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세척수부는 한 쌍의 제2가로관 및 한 쌍의 제2세로관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2지지관체와 상기 제2지지관체의 서로 마주하는 제2가로관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2가로관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2분사관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좌우 대칭형태이면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측의 제2분사관과 상기 전측의 제1분사관의 후측으로 한 쌍의 제2분사관이 배치되되,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상기 제2분사관은 일측에 상향 경사진 경사관이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전측의 제2분사관 상부 양측에 각각 세로길이방향으로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설치 그리고 후측의 제2분사관 상부에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2분사관 상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결합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측부세척수부는 제2하우징의 양측 벽면 내측에 수직형태로 설치된 관로형태이며, 이때 상/하부세척수부의 제1, 2가로관 중앙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부세척수부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측부세척수부의 내측에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측부세척수부 내측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다수 개로 결합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상/하부세척수부 후측에 제1송풍장치에 의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에어분사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에어분사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에어분사부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1송풍장치로 발생된 에어가 분산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 출구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헹굼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헹굼수부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측 헹굼수부와 하측 헹굼수부는 상호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하측 헹굼수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측 헹굼수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하측 헹굼수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面)에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의 출구에 식판을 열풍건조방식의 제2송풍장치에 의해 열풍 분사되는 열풍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풍분사부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열풍분사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열풍분사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열풍분사부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2송풍장치로 발생된 열풍이 분산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자동세척기의 배출부에 건조된 식판이 자동 반출되도록 반출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반출장치는, 양측 제1수직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회전되도록 연결되면서 외주에 한 쌍의 타이밍기어가 구비된 전측 및 하측의 롤러축이 배치되며,
상기 롤러축 간에 서로 마주하는 타이밍기어를 상호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며,
상기 제1수직벽부 상부에 제2수직벽부가 양측에 마련되어 롤러축 간의 중앙 위치에 대응되도록 양측 제2수직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속되면서 중앙에 누름롤러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누름축이 구비되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반출장치의 제1수직벽부 외부로 돌출된 전측의 롤러축 일단부에 제3구동기어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제3구동기어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전/후측 롤러축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타이밍벨트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기는, 세척수 및 헹굼수만으로 세척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깨끗하고 정확하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세척 및 헹굼과정 중에 세척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누름장치를 배치하여 컨베이어에 이동되는 세척물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물을 정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이동중인 세척물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의 전체저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제2하우징 내부를 투과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걸름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포집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제2하우징 및 제2하우징 내부에 설치물을 제거한 상태의 제1하우징 상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컨베이어 간에 결합된 푸쉬바를 표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이동유닛의 안착가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A”부위를 확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회전축의 양단에 텐션조절체가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텐션조절체의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텐션조절체의 고정지지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컨베이어 간에 푸쉬바가 설치된 일부 확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컨베이어에 다른 형태의 푸쉬바가 설치된 구조를 표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컨베이어에 탄성체가 결합된 푸쉬바 구조를 나타낸 도면(a)과 수평봉에 탄성체가 결합된 푸쉬바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이동유닛에 하나의 컨베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푸쉬바가 결합된 도면(a)과 다른 형태의 푸쉬바가 결합된 도면(b).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제1누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제2누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상부세척수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b)과 하부세척수부를 나타낸 도면(b).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상부세척수부의 제1분사부에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확산판의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하부세척수부의 전측 제2분사부에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확산판이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하부세척수부의 후측 제2분사부에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확산판이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측부세척수부를 나타낸 도면(a)과 측부세척수부의 고정지지판과 확산판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반출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b)과 양측 수직벽부 사이에 롤러축-타이밍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기에서 가동장치를 구성 및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10)는 식판 등과 같은 세척물을 자동 이송하면서 세척, 헹굼 및 건조과정을 거쳐 세척하는 것으로서, 실시예로 식판을 세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식판 세척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투입부(21) 및 상부 타측에 배출부(22)가 형성되며, 내부의 일측에 세척수처리부(100) 및 타측에 가동장치(40)가 마련된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가로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식판을 투입부(21)에서 배출부(22)로 자동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00)과,
상기 이동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식판을 세척, 행굼 및 건조의 순으로 수행하도록 터널형태로 형성된 제2하우징(30)으로 구성되는 자동세척기(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10)는 식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00)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0a) 및 상기 식판을 세척, 헹굼 및 건조를 제어 수행하는 펌핑장치(40b) 및 송풍장치(40c)가 마련된 가동장치(40)가 내부 타측 그리고 식판의 세척과정 중 세척수를 공급, 가열, 회수 및 저장하도록 세척수처리부(100)가 내부 일측에 마련된 하측에 제1하우징(20)이 마련되며,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처리부(100)는 상부의 분리조(110)와 상기 분리조(110)의 일측 하부에 저장조(120)가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110)는 상술한 이동유닛(200)의 가로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분리조(110)의 바닥면인 걸름판(111)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저장조(120)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111)에 다수 개의 통공(111-1)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저장조(120)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111) 상부에 세로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이격된 복수 개의 차단턱(111-2)이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처리부(100)는 상부의 분리조(110)와 상기 분리조(110)의 일측 하부에 연계된 저장조(120)로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110)는 이동유닛(2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이동유닛(200)의 하부인 제1하우징(2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유닛(200)을 따라 이동되는 식판에 세척 및 헹굼으로 인해 발생되는 세척수 및 헹굼수가 낙하되면서 흘러가도록 하여 저장조(120)로 수집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분리조(110)의 바닥면은 밀폐된 걸름판(111)이 마련되며, 상기 걸름판(111)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저장조(120)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111)에 다수 개의 통공(111-1) 그리고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111-2)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름판(111)은 분리조(110)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조(120)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즉 제1하우징(20)의 투입부(21)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저장조(120)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111)에 상하 관통된 통공(111-1)이 다수 개로 형성되어 세척수가 통공(111-1)을 통해 저장조(120)로 유입되게 되며, 그리고 상기 저장조(120)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111) 상부에 삼각형태의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111-2)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을 통해 이물질이 걸름판(111) 상부에 세척수와 함께 유입되면서 세척수는 차단되면서 이물질은 걸름판(111) 상부의 경사진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1) 하부에 위치한 세척수처리부(100)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분리조(110)와 연통된 포집조(130)가 마련되며, 이때 포집조(130)의 바닥면은 분리조(110)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 일측의 경사판(130-1)과 상기 경사판(130-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저장조(120)의 벽면에 타단이 연결된 수평판(130-2)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투입부(21)는 작업자가 식판을 투입부(21)에 위치한 이동유닛(200)에 안착시켜 이동유닛(200)의 구동으로 식판이 소정 이동거리로 이동하여 제2하우징(30) 내부로 유입하게 되며, 이때 도 4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판을 이동유닛(200)에 안착시 식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하부에 위치한 포집조(130)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된 이물질은 포집조(130)의 경사판(130-1)을 따라 수평판(130-2)으로 포집되게 되며, 게다가 상기 포집조(130)는 세척수처리부(100) 일측에 위치하면서 분리조(110)와 연통된 배치구조를 가지어 상술한 경사진 걸름판(111)을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이 걸름판(111)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낙하되면서 포집조의 수평판(130-2)으로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집조(130) 하부에 배출조(140)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판(130-2)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30-3)를 통해 이물질이 낙하되어 배출조(140)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200)은 양측에 각각 반복 순환 이동되는 컨베이어(210)와, 상기 컨베이어(210) 사이에 배치되어 식판을 안내하는 안착가이드(220)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210)는 양측에 각각 컨베이어(210)가 배치되어 구동부(40a)의 동력이 전달되어 양측 컨베이어(210)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210)로 전달되면 동시에 컨베이어(210)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각각의 컨베이어(210) 양단에 배치된 회전축(211)과 상기 회전축(211)에 고정된 회전기어(212)에 컨베이어(210)가 맞물리면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제1구동기어(213)에 구동부(40a)의 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양측 컨베이어(210)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3과 도 4와 같이 상측에만 컨베이어(210)의 형상이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벨트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210)는 벨트형으로서 서로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이 배치되면서 서로간의 폭은 균등한 폭을 유지하며, 이때 양측 컨베이어(21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대응된 위치의 컨베이어(210)에 치합 맞물리도록 회전기어(212)가 구비된 회전축(211)이 배치되며, 이때 어느 하나의 회전축(211)에 제1구동기어(213)가 구비됨으로서 구동부(40a)의 동력이 제1구동기어(213)로 전달되면서 제1구동기어(213)가 구비된 회전축(211)이 회전되며, 동시에 컨베이어(210)가 회전되면서 다른 회전축(211)도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기어(213)가 구비되지 않은 회전축(211)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211)의 양단에 위치한 제1하우징(20)에 고정된 고정판(311)과 상기 고정판(311)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가로길이로 형성되도록 서로 상하 대칭형태이면서 가이드홈(312-1)의 개방면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가로길이의 가이드바(312)와 상기 고정판(311)의 일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 일면에 제1결합공(313-1)이 형성된 지지판(313)이 형성된 고정지지부(310)와,
상기 회전축(211) 단부에 결속되어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서포터(320)와,
상기 회전서포터(320)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제1결속공(331)이 형성되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지지바(310)의 가이드바(312) 가이드홈(312-1)으로 결합되어 가이드홈(312-1)을 따라 좌우이동을 하는 이동가이드판(330)과,
상기 이동가이드판(330)의 제1결속공(331) 중앙에 대응된 위치의 이동가이드판(330)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지지부(310)의 지지판(313) 제1결합공(313-1)을 통해 돌출 연장된 볼트부(340) 및,
상기 볼트부(340)가 제1결합공(313-1)을 통과하여 지지판(313) 양측에 위치한 볼트부(34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350)로 구성된 텐션조절체(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텐션조절체(300)는 컨베이어(210)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양측 회전축(211) 중 제1구동기어(213)가 없는 회전축(211)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310)와, 상기 회전축(211) 단부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판(330)과, 상기 이동가이드판(330)과 고정지지부(310)를 연결 결합하는 볼트부(340) 및, 상기 너트부(350)는 볼트부(34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211)에 연결된 이동가이드판(330)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축(211)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볼트부(340)는 머리부가 있는 일단이 이동가이드판(330)의 일측면 중앙에 결속 고정되면서 타단이 지지판(313)의 제1결합공(313-1)으로 삽입되며, 상기 너트부(350)는 지지판(313) 양측으로 노출된 볼트부(340)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너트부(350)의 조임과 풀림으로 회전축(211)을 이동시켜 컨베이어(210)의 텐셤을 조절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310)는 회전축(211)의 양단에 위치한 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고정판(311)과 상기 고정판(311)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가로길이로 형성되도록 서로 상하 대칭형태이면서 “ㄷ”형태의 가이드홈(312-1) 개방면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가이드바(312)와 상기 고정판(311)의 일단에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중앙 일면에 제1결합공(313-1)이 형성된 지지판(313)이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13)은 제1판(313a)과 제2판(313b)으로 구분되어 제1판(313a)과 제2판(313b)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판(313a)과 제2판(313b)의 내측단이 연결면부(313c)로 서로 이음 연결되며, 상기 제1판(313a)과 제2판(313b) 각각의 중앙 일면이 서로 연통된 제1결합공(313-1)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340)가 제1, 2판(313a)(313b)의 제1결합공(313-1)을 통과하면서 제1판(313a) 및 제2판(313b)의 노출된 위치의 볼트부(340)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판(313)이 제1판(313a)과 제2판(313b)으로 구획되어 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짐으로서 너트부(350)를 볼트부(340)에 체결시켜 컨베이어(210)의 텐션을 조절시 그리고 컨베이어(2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응력에 대한 지지판(313)의 저항력을 증대하면서 지지판(313)의 강성 및 지지력을 증대함에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양측 회전축(211)에 이격된 한 쌍의 컨베이어(210)가 배치되는 대신에 양측 회전축(211)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210)가 연결되며, 이때 안착가이드(220)의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210)가 위치하여 후술된 도 17과 같이 컨베이어(210)의 회전과 동시에 컨베이어(210)에 결합된 푸쉬바(230)가 안착가이드(220)에 안착된 식판을 가압 이동시켜 제2하우징(30) 입구(31)로 진입시켜 세척, 헹굼 및 건조과정을 거쳐 제2하우징의 출구(32)를 통해 배출부(22)로 인도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착가이드(220)는 양측 컨베이어(210) 사이에 마련되면서 투입부(21)에서 배출부(22)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컨베이어(2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안내봉(221)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221)과 상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221)에 이웃하는 안내봉(221) 사이에 다수 개의 연결봉(222)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봉(222)에 회전봉(223)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안착가이드(220)는 양측 컨베이어(210)의 수평면상과 동일선상에 배치하거나 그 하부에 배치되며, 이는 후술되는 컨베이어(210)에 설치된 푸쉬바(230)에 의해 컨베이어(210)의 가동으로 자연스럽게 식판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배치구조이다.
상기 안내봉(221)은 투입부(21)에서 배출부(22)까지의 가로길이로 형성되되, 다수 개의 안내봉(221)이 이격되게 배열되게 설치되면서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222)은 안착가이드(220)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안내봉(221) 중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221)과 상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221)에 이웃하는 안내봉(221)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어 다수 개의 연결봉(222)이 이격되게 연결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봉(222)에 회전봉(223)이 삽입되어 연결봉(222) 외주에 회전봉(223)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10)들 사이에 연결 또는 양측 컨베이어(210)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230)가 포함되며, 상기 푸쉬바(230)는 컨베이어(210)의 회전궤도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210)들 사이에 연결되는 푸쉬바(230)는, 중앙에 가압판(231)과 상기 가압판(231) 양측단에 결합바(232)가 연결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컨베이어(210)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컨베이어(210)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230)는, 일예로 일단이 컨베이어(210)에 연결 고정된 수평봉(233)과 상기 수평봉(233)의 타단 또는 타단 내측에 하단 또는 하단 내측이 연결 고정된 수직봉(234)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233)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233) 사이에 탄성체(235)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른 예로,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10)의 가로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탄성체(235)가 컨베이어(210)의 일면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235)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된 수평봉(233)과 상기 수평봉(233)의 타단에 일단이 상향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된 가압봉(236)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봉(236)의 하향 연장된 타단이 수평봉(233)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235)가 컨베이어(210)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일면에 수평봉(233)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에 가압봉(236)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봉(233)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233) 사이에 탄성체(235)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상술한 푸쉬바(230)는 안착가이드(220)에 안착된 식판을 푸쉬바(230)가 밀어 컨베이어(2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탄성체(235)는 식판을 푸쉬바(230)가 가압하면서 이동시킬 때 원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식판이 안착가이드(220)를 이탈하거나 정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컨베이어(210)에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회전하도록 푸쉬바(230)의 탄성체(235)가 식판의 일정 가압되는 압력이상이 되면 탄성체(235)가 가압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변형되어 푸쉬바(230)의 수평봉(233)이 탄성체(235)의 절곡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 식판을 회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10)가 양측에 배치되지 않고 안착가이드(220)의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210)가 배치되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컨베이어(210)에 설치되는 푸쉬바(230)는 컨베이어(210)의 일면 양측으로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봉(233)과 상기 수평봉(233)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는 수직봉(234)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233)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233) 사이에 탄성체(235)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235)가 수평봉(233)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수평봉(233) 타단과 수직봉(234) 일단 사이에 탄성체(235)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판이 안착가이드(220)에 안착되어 컨베이어(210)의 회전으로 푸쉬바(230)가 식판을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 식판이 제2하우징(30)에 입구(31)에 진입시 제2하우징(30)의 전단에 위치한 안착가이드(220)의 일면에 센서바(미도시) 또는 센싱부가 설치되어 제2하우징(30) 내에 배치된 세척, 헹굼 및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의 가동을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0)은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폭을 가진 투입부(21)와 타측으로 투입부(21)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배출부(22)를 제외한 제1하우징(20)의 상부 일부에 제2하우징(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 투입부(21)로부터 안착가이드(220)에 안착된 식판이 회전되는 컨베이어(210)에 결합된 푸쉬바(230)가 식판을 강제 이동시키면서 제2하우징(30)의 일측인 입구(31)로 진입되면서 제2하우징(30) 내부에 마련된 상/하부세척수부(500)(600) 및 측부세척수부(700)와 같은 세척수단, 헹굼수부(900)의 헹굼수단 및 제2송풍장치(40c-2)에 의한 열풍분사부(42)의 건조수단을 거쳐 식판을 세척 및 건조되어 제2하우징(30)의 타측인 출구(32)를 통해 식판이 인도되어 제1하우징(2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한 배출부(22)로 식판을 인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 전체에는 제1하우징(20)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의 컨베이어(210)와 안착가이드(220)로 구성된 이동유닛(2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유닛(200)에 의해 식판이 투입구(21)에서 배출부(22)로 자동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4 l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0) 내부의 상측에 이동되는 식판을 가압하는 제1누름장치(400a)가 포함되며,
상기 제1누름장치(400a)는, 소정의 세로길이를 가진 수평바(411)와 상기 수평바(411)의 양단에서 각각 하단이 연결되어 수직 연장된 수직바(412)와 상기 수직바(412)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연결바(413)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 가압봉(410)이 제2하우징(30)의 내부 가로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열되면서 가압봉(410)의 연결바(413) 타단이 제2하우징(30)의 벽면에 결속하되, 상기 가압봉(410)이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연결봉 타단이 제2하우징(30) 벽면에 결속되며,
상기 가압봉(410)이 다수 개로 배열된 배열단위에서 상기 배열단위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를 가진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연결대(420)가 배열단위의 수평바(411)들을 상호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연결대(420)가 결합된 배열단위의 수평바(411)에 회전롤러(430)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누름장치(400a)는 안착가이드(220) 상으로 식판이 이동되어 제2하우징(30)의 입구(31) 및 출구(32)까지 이동되는 식판이 안착가이드(220)에 정위치에 이탈없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하우징(30)의 상부에 제1누름장치(400a)가 설치되어 식판의 상부를 가압함과 동시에 컨베이어(210)의 푸쉬바(230)에 의해 식판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누름장치(400a)는 등간격으로 다수 개로 배열되면서 세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봉(410)과, 상기 다수 개로 배열된 가압봉(410)의 배열을 배열단위로 칭하면서 상기 배열단위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를 가지면서 배열단위의 가압봉(410)을 구성하는 수평바(411)들을 연결 결합하는 가이드연결대(420) 및, 상기 가압봉(410)의 수평바(411)에 가이드연결대(420)를 경계로 회전롤러(430)가 수평바(411)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봉(41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바(413) 타단이 제2하우징(30)의 양측 벽면에 회전구조로 연결 결합되며, 상기 식판이 제2하우징(30) 내부의 이동과정에서 가압봉(410)의 수평바(411)에 삽입된 회전롤러(430)의 외주면에 식판 상부가 면접되어 식판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은 상태로 제1누름장치(400a)의 가압봉(410)이 식판을 면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30)의 입구(31)에 위치한 가압봉(410)의 연결바(413)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바(413)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2하우징(30) 외부로 돌출 연장된 연장연결바(413-1)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연결바(413-1)의 타단에 회전바(413-2)가 결합되어 회전바(413-2)의 회전으로 제1누름장치(400a)가 상향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전바(413-2)의 조절로서 제2하우징(30)에 진입된 식판의 높이에 따라 제1누름장치(400a)와 안착가이드(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식판이 안정된 위치와 함께 자연스럽게 제2하우징(30)을 통과하도록 하는 제1누름장치(400a)의 높이조절수단이다.
상기 제2하우징(30)의 입구(31)에 위치한 가압봉(410)의 연결바(413) 타단에 연장연결바(413-1)를 연결하여 제2하우징(30) 외부로 돌출시키며, 이때 돌출된 연장연결바(413-1)의 타단에 회전바(413-2)를 고정 결합함으로서 회전바(413-2)의 회동으로 가압봉(41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연결대(420)에 의해 결합된 다수의 가압봉(410)이 동시에 회전되어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게 되어 안착가이드(220)와 제1누름장치(400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제1누름장치(400a)의 구조와 다른 구조를 가진 제2누름장치(400b)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누름장치(400b)는, 복수 개의 제1벨트풀리(441)가 연결된 제1샤프트(440) 한 쌍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440) 각각의 수직 상부로 제1샤프트(440)의 제1벨트풀리(441)의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벨트풀리(451)가 연결된 제2샤프트(450)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440) 제1벨트풀리(441)와 제2샤프트(450)의 제2벨트풀리(451)에 상호 연결되어 사각형태를 가진 누름벨트(46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제2누름장치(400b)가 포함된다.
상기 제2누름장치(400b)는 제2하우징(30)의 내부 상부에 고정 설치된 구조에서 하부에 이격되면서 수평상으로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제1벨트풀리(441)가 연결된 한 쌍의 제1샤프트(440)와, 상기 제1샤프트(440) 수직 상부로 이격되면서 수평상으로 배치되면서 제1샤프트(440)의 제1벨트풀리(441)의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벨트풀리(451)가 연결된 한 쌍의 제2샤프트(450)와, 상기 제1, 2샤프트(440)(450) 전체 사각 둘레를 연결하도록 제1, 2벨트풀리(441)(451)에 연결되는 누름벨트(46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누름벨트(460)는 제1샤프트(440) 또는 제2샤프트(450)의 제1, 2벨트풀리(441)(451)의 수(數)에 대응되는 수(數)의 누름벨트(460)가 마련되며, 상기 제2누름장치(400b)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2샤프트(440)(450)가 사각형태로 배치되며, 이때 하나의 누름벨트(460)가 한 쌍의 제1, 2샤프트(440)(450)가 사각형태 둘레를 감아진 형태를 가지도록 제1, 2샤프트(440)(450) 상에 서로 대응된 위치에 연결된 제1, 2벨트풀리(441)(451)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장치(400b)의 제1샤프트(440) 양측단에 각각 일단이 결속되면서 타단이 제2샤프트(450)의 양측단에 각각 타단이 결속되는 높이지지판(470)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제2누름장치(400b)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한 쌍의 높이지지판(470)이 마련되며, 상기 높이지지판(470)은 수직형태를 가지어 일단이 제1샤프트(440)의 단부에 결속되면서 제1샤프트(440)의 단부 수직 위치에 대응된 제2샤프트(450)의 단부에 타단이 결속되어 제1샤프트(440)와 제2샤프트(450) 가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장치(400b)의 상부에 위치한 제2샤프트(450) 중 어느 하나의 제2샤프트(450) 단부에 제2구동기어(452)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제2구동기어(452)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제1, 2샤프트(440)(450)전체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누름벨트(460)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누름벨트(460)의 회전방향은 컨베이어(210)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회전방향을 가지게 되며, 이는 제2하우징(30)에 이송되는 식판의 이동방향에 대응된 컨베이어(210)의 회전방향이 정방향이라면 누름벨트(460)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야 식판이 제2하우징(30)의 출구(22)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1)의 제1구동기어(213)로 전달된 동력이 제2샤프트(450)의 제2구동기어(452)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자동세척기(10)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동부(40a)에 의해 컨베이어(210)의 회전 및 누름벨트(460)의 회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11)의 제1구동기어(213)로 전달된 회전축(211)과 제2샤프트(450)의 제2구동기어(452) 사이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상호 연결되면서 회전축(211)의 회전방향을 반대회전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베벨기어 등의 방향전환수단(미도시)이 설치됨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장치(400b)의 제2샤프트(450)는 제2하우징(30)의 측벽에 결합된 상태이면서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때 제1샤프트(440)는 제2샤프트(450)와 결합된 높이지지판(470)에 의해 구속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후술되는 높이지지판(470)의 구분된 분리 결합구조에 의해 제1샤프트(440)와 제2샤프트(4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며, 이는 식판의 두께에 따라 제1샤프트(440) 사이의 누름벨트(460)가 식판 상부를 면접되도록 제1샤프트(440)와 안착가이드(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높이지지판(470)이 상측판(471)과 하측판(472)으로 분리 구분되면서 서로 겹쳐진 면에 연통된 조절공(473)이 다수 개가 수직 배열되며, 이때 하측판(472) 상부와 상측판(471) 하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상호 연통된 조절공(473)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끼움 결합하여 제1샤프트(440)와 제2샤프트(4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며, 이때 제2샤프트(450)는 제2하우징(30)의 벽면에 결속된 상태라면 하부에 위치한 제1샤프트(440)는 상하 이동되는 구조로 결속되며, 이에 상기 높이지지판(470)을 구성하는 상측판(471)과 하측판(472)의 수직 길이 조절을 통해 제1샤프트(440)의 상하이동을 조절하게 되며, 동시에 안착가이드(220)와 제1샤프트(4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샤프트(44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누름벨트(460) 하부가 제2하우징(30) 내부에 이동되는 식판 상부를 면접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상부세척수부(500),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5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세척수부(600) 및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측부세척수부(700)로 구성되어 제2하우징(30)의 내부로 진입된 식판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판의 세척과정을 가진다.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세척수부(500)의 위치는 보다 상세하게는 제2하우징(30)의 내부 상부에 배치된 제1, 2누름장치(400a)(400b)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세척수부(500)는 한 쌍의 제1가로관(520) 및 한 쌍의 제1세로관(530)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1지지관체(510)와 상기 제1지지관체(510)의 서로 마주하는 제1가로관(520)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1가로관(520)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분사관(540)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분사관(540)의 하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54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지지관체(510)는 한 쌍의 제1가로관(520) 서로 마주하면서 한 쌍의 제1세로관(530)이 서로 마주하여 사각형태로 서로 이음연결되며, 상기 제1가로관(520)과 제1세로관(530)은 서로 연통된 관로형태를 가지며, 상술한 가동장치(40)를 구성하는 세척수처리부(100)의 저장조(120)에 수용된 세척수를 가동장치(40)를 구성하는 펌핑장치(40b)에 의해 제1가로관(520) 또는 제1세로관(530) 일면에 세척수이동라인(미도시)을 연계하여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하기에 서술된 하부세척ㅅ수(600)의 제2가로관(620)과 상부세척수부(500)의 제1가로관(520) 사이를 가로질러 상호 연결 연통된 연결관(570)을 통해 하부세척수부(600)로 공급된 세척수가 연결관(570)을 통해 상부세척수부(500)로 공급하게 되며, 이때 공급된 세척수는 재1분사관(540)의 노즐공(541)을 통해 하향 분사된다.
상기 컨베이어(210)의 가로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가로관(520)은 가로방향 그리고 제1세로관(530)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분사관(540)은 제1가로관(520)과 제1가로관(520) 사이를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제1가로관(520) 내부로 연통된 관로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관(54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노즐공(54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범위를 보다 집중면적에 분사되면서 분사범위를 보다 크게 확산시키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도 20의 (a)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사관(540)의 하부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1분사관(540) 하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551)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550)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 각각의 결합홈(551)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확산판(560)은 제1분사관(540)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분사관(540)의 하면과 들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면서 노즐공(541)의 위치에 다수 개의 확산판(560) 중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대응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지지판(550)은 확산판(560)을 지지 고정하도록 제1분사관(540) 하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인 하단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이때 다수 개의 결합홈(551) 중 중앙의 결합홈(551)은 수직형태를 가진다면 중앙의 결합홈(551)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551)은 사선형태인 경사지게 형성하되, 중앙의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의 결합홈(551)이 상호 좌우대칭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551) 배열이 부채살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각각의 고정지지판(550)에 형성된 결합홈(551)의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의 상단이 끼움 고정되며, 이때 제1분사관(540) 하부에 배치된 다수 개의 확산판(560) 단면배열이 부채살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예로 각각의 고정지지판(550) 타단에 형성된 중앙의 결합홈(551)으로 확산판(560)을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서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세척수부(600)는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5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세척수부(600)는 한 쌍의 제2가로관(620) 및 한 쌍의 제2세로관(630)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2지지관체(610)와 상기 제2지지관체(610)의 서로 마주하는 제2가로관(620)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2가로관(620)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2분사관(640a)(640b)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좌우 대칭형태이면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측의 제2분사관(640a)과 상기 전측의 제1분사관의 후측으로 한 쌍의 제2분사관(640b)이 배치되되,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상기 제2분사관(640b)은 일측에 상향 경사진 경사관(642)이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640a)(640b)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64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지지관체(610)는 한 쌍의 제2가로관(620) 서로 마주하면서 한 쌍의 제2세로관(630)이 서로 마주하여 사각형태로 서로 이음연결되며, 상기 제2가로관(620)과 제2세로관(630)은 서로 연통된 관로형태를 가지며, 상술한 가동장치(40)를 구성하는 세척수처리부(100)의 저장조(120)에 수용된 세척수를 가동장치(40)를 구성하는 펌핑장치(40b)에 의해 제2가로관(620) 또는 제2세로관(630) 일면에 연결된 세척수이동라인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며, 이때 공급된 세척수는 재2분사관(640a)(640b)의 노즐공(641)을 통해 하향 분사된다.
상기 컨베이어(210)의 가로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2가로관(620)은 가로방향 그리고 제2세로관(630)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분사관(640a)(640b)은 제2가로관(620)과 제2가로관(620) 사이를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제2가로관(620) 내부로 연통된 관로형태를 가진다.
일예로서, 제2지지관체(610)에 3개의 제2분사관(640a)(640b)이 마련되며, 상기 제2하우징(30)의 입구(31)에 근접한 전측의 제2분사관(640a)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좌우 대칭형태이면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분사관(640a)의 돌출된 중앙이 제2지지관체(610)의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측의 제2분사관(640a) 후측으로 서로 좌우 대칭형으로 전후 배열되도록 한 쌍의 후측 제2분사관(640b)이 설치되며, 이때 제2분사관(640b)은 일측에 노즐공(641)이 없는 상향 경사진 경사관(642)이 형성되면서 노즐공(641)이 형성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며, 즉 제2분사관(640b)은 일측에 경사관(642) 그리고 경사관(642)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진 제2분사관(640b)으로 구분되는 일몸체의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진 다수 개의 제2분사관(640a)(640b)이 형성됨으로서 음식물을 담는 식판의 전면에 요철형태에 보다 강한 세척수가 집중 분사됨과 아울러 이동되는 식판에 미세 진동을 발생시켜 식판에 묻은 음식물이 제거함과 동시에 식판에 묻은 음식물의 부착범위로 세척수 분사 방향성 및 분사력을 달리하여 음식물이 보다 쉽게 제거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사관(640a)(640b)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노즐공(64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범위를 보다 집중면적에 분사되면서 분사범위를 보다 크게 확산시키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되며, 상술한 상부세척수부(500)에 구비된 고정지지판(550)과 확산판(560)과 동일한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2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측의 제2분사관(640a) 상부 양측에 각각 세로길이방향으로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설치 그리고 후측의 제2분사관(640b) 상부에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2분사관(640a)(640b) 상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551)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550)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 각각의 결합홈(551)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확산판(560)은 제2분사관(640a)(640b)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사관(640a)(640b)의 상면과 들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면서 노즐공(641)의 위치에 다수 개의 확산판(560) 중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대응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지지판(550)은 확산판(560)을 지지 고정하도록 제2분사관(640a)(640b) 상부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인 하단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이때 다수 개의 결합홈(551) 중 중앙의 결합홈(551)은 수직형태를 가진다면 중앙의 결합홈(551)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551)은 사선형태인 경사지게 형성하되, 중앙의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의 결합홈(551)이 상호 좌우대칭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551) 배열이 부채살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각각의 고정지지판(550)에 형성된 결합홈(551)의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의 상단이 끼움 고정되며, 이때 제2분사관(640a)(640b) 상부에 배치된 다수 개의 확산판(560) 단면배열이 부채살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예로 각각의 고정지지판(550) 타단에 형성된 중앙의 결합홈(551)으로 확산판(560)을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서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3과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부세척수부(700)는 제2하우징(30)의 양측 벽면 내측에 수직형태로 설치된 관로형태이며, 이때 상/하부세척수부(500)(600)의 제1, 2가로관(520)(620) 중앙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부세척수부(700)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노즐공(70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세척수부(600)로 공급된 세척수가 측부세척수부(700)로 공급되면서 노즐공(701)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게다가, 상술한 상술한 상/하부세척수부(500)(600)에 구비된 고정지지판(550)과 확산판(560)과 동일한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부세척수부(700)의 내측에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측부세척수부(700) 내측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551)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550)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 각각의 결합홈(551)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이 다수 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확산판(560)은 측부세척수부(700)의 수직길이방향에 대응된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세척수부(700)의 내측면과 들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면서 노즐공(701)의 위치에 다수 개의 확산판(560) 중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대응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지지판(550)은 확산판(560)을 지지 고정하도록 측부세척수부(700)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인 하단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551)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이때 다수 개의 결합홈(551) 중 중앙의 결합홈(551)은 수직형태를 가진다면 중앙의 결합홈(551)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551)은 사선형태인 경사지게 형성하되, 중앙의 결합홈(551)을 기준으로 양측의 결합홈(551)이 상호 좌우대칭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고정지지판(55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551) 배열이 부채살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각각의 고정지지판(550)에 형성된 결합홈(551)의 대응위치로 확산판(560)의 상단이 끼움 고정되며, 이때 측부세척수부(700) 내측에 배치된 다수 개의 확산판(560) 단면배열이 부채살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예로 각각의 고정지지판(550) 타단에 형성된 중앙의 결합홈(551)으로 확산판(560)을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서 중앙에 위치한 확산판(56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상/하부세척수부(500)(600) 후측에 제1송풍장치(40c-1)에 의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부(41)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에어분사부(41)는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에어분사부(41)는 제1, 2누름장치(400a)(400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에어분사부(41)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1송풍장치(40c-1)로 발생된 에어가 분산되어 식판에 묻은 세척수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0) 출구(22)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헹굼수부(900)가 설치되며, 상기 헹굼수부(900)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세척되거나 에어분사된 식판을 헹굼수부(900)를 통과시 헹굼수부(900)로 분사되는 헹굼수로 세척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측 헹굼수부(900)와 하측 헹굼수부(900)는 상호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하측 헹굼수부(900)는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측 헹굼수부(900)는 제1, 2누름장치(400a)(400b)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하측 헹굼수부(900)가 서로 마주하는 면(面)에 다수 개의 노즐공(901)이 형성되어 헹굼수를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헹굼수부(900) 위치한 후측 즉 제2하우징(300의 출구(32)에 식판을 열풍건조방식의 제2송풍장치(40c-2)에 의해 열풍 분사되는 열풍분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열풍분사부(42)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열풍분사부(42)는 이동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열풍분사부(42)는 제1, 2누름장치(400a)(400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열풍분사부(42)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2송풍장치(40c-2)로 발생된 열풍이 분산되어 식판에 묻은 헹굼수를 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풍분사부(42)는 제2하우징(30)의 출구(32) 후측에 별도로 제작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세척기(10)의 배출부(22)에 건조된 식판이 자동 반출되도록 반출장치(800)가 더 포함되며, 양측 제1수직벽부(810) 사이를 가로질러 회전되도록 연결되면서 외주에 한 쌍의 타이밍기어(821)가 구비된 전측 및 하측의 롤러축(820)이 배치되며,
상기 롤러축(820) 간에 서로 마주하는 타이밍기어(821)를 상호 타이밍벨트(미도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수직벽부(810) 상부에 제2수직벽부(830)가 양측에 마련되어 롤러축(820) 간의 중앙 위치에 대응되도록 양측 제2수직벽부(83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속되면서 중앙에 누름롤러(841)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누름축(840)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수직벽부(810) 외부로 돌출된 전측의 롤러축(820) 일단에 제3구동기어(823)가 구비되어 롤러축(820)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이때 전측 롤러축(820)의 회전으로 타이밍벨트(미도시)가 회전과 동시에 후측 롤러축(820)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타이밍벨트(미도시)는 전측 롤러축(820)과 후측 롤러축(820)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타이밍기어(821) 간을 연결하며, 이때 제3구동기어(823)의 구동으로 전측 롤러축(820)이 회전되면서 동시에 타이밍벨트(미도시)의 회전으로 후측 롤러축(820)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상기 회전축(211)의 제1구동기어(213)로 전달된 동력이 롤러축(820)의 제3구동기어(823)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자동세척기(10)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동부(40a)에 의해 컨베이어(210)의 회전, 누름벨트(460)의 회전 및 롤러축(820)의 회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축(840) 양단이 제2수직벽부(830)에 형성된 제2결속공(831)에 결속되되, 상기 제2결속공(831)이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곡선형태로 절개된 형태를 가지며, 이는 식판이 이동되면서 누름롤러(841)와 면접하면서 곡선형의 제2결속공(831)을 따라 누름축(840)이 자동 이동되거나 식판의 두께에 대응된 간격으로 조절후 누름축(840)을 제2결속공(83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조절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벽부(830)의 외부로 돌출된 누름축(840) 양단에 가이드롤러(842)를 구비함으로서, 회전되는 타이밍벨트(미도시)를 통해 식판이 이동하면서 누름축(840) 하부에 식판이 접근시 누름축(840)이 구속없이 자유롭게 제2결속공(83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하우징(30)의 상부에 상측 이동유닛(200)과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하측 이동유닛(200)이 각각 마련되며, 이때 상측 이동유닛(200)의 컨베이어(210) 회전방향이 하측 이동유닛(200)의 컨베이어(210)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일측부에 반입부가 형성된다면 상기 반입부의 위치에 이웃하는 하측 이동유닛(200)의 일측부에 반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상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로 인도되도록 상측 이동유닛(200)의 타측 및 하측 이동유닛(200)의 타측을 커버하면서 내측에 낙하공간을 형성하는 낙하제어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에 배치된 하측 이동유닛(200)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의 상부에 제1하우징(20)에 배치된 하측 이동유닛(2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상측 이동유닛(200)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하우징(3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도록 상측 이동유닛(200)의 가로길이를 가지며, 이때 하측 이동유닛(200)의 가로길이에 비해 작은 가로길이를 가진 상측 이동유닛(20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컨베이어(210)와 하측 이동유닛(200)의 컨베이어(210)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일측부가 세척물을 유입하는 반입부라면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반입부 위치에 이웃하는 하측 이동유닛(200)의 일측부가 세척물이 배출되는 반출부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와 하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를 함께 커버하도록 낙하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낙하제어부는 상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로부터 세척물이 자유 낙하되면서 하측 이동유닛(200)의 타측부로 이동되도록 세척물을 정위치로 유도하는 역할 및 세척물을 외부로 이탈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낙하제어부의 내측에는 세척물이 이동할 수 있는 낙하공간을 형성하면서 낙하공간의 내측면이 곡면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제2하우징(30)을 회동시켜 제2하우징(30) 일측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힌지구조로 제1하우징(20)에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하우징(30)의 하단부 일측단 및 상기 일측단에 대응되는 제1하우징(20)의 상부 일면과 힌지구조로 연결 결합되거나 제2하우징(30)의 하단부 양측단이 제1하우징(20)과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됨으로서 제2하우징(30)의 일부를 상향 회전 또는 전체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자동세척기 10 제1하우징 20 제2하우징 30
가동장치 40 세척수처리부 100 분리조 110
걸름판 111 차단턱 111-2 저장조 120
포집조 130 배출조 140 이동유닛 200
컨베이어 210 회전축 211 제1구동기어 213
안착가이드 220 안내봉 221 연결봉 222
회전봉 223 푸쉬바 230 가압판 231
결합바 232 수평봉 233 수직봉 234
탄성체 235 가압봉 236 텐션조절체 300
고정지지부 310 고정판 311 가이드바 312
가이드홈 312-1 지지판 313 제1판 313a
제2판 313b 연결면부 313c 제1결합공 313-1
회전서포터 320 이동가이드판 330 제1결속공 331
볼트부 340 너트부 350 제1누름장치 400a
제2누름장치 400b 가압봉 410 수평바 411
수직바 412 연결바 413 연장연결바 413-1
회전바 413-2 가이드연결대 420 회전롤러 430
제1샤프트 440 제1벨트풀리 441 제2샤프트 450
제2벨트풀리 451 누름벨트 460 높이지지판 470
상부세척수부 500 제1지지관체 510 제1가로관 520
제2세로관 530 제1분사관 540 고정지지판 550
결합홈 551 확산판 560 하부세척수부 600
제2지지관체 610 제2가로관 620 제2세로관 630
제2분사관 640a, 640b 경사관 642 측부세척수부 700
반출장치 800 제1수직벽부 810 롤러축 820
타이밍기어 821 제3구동기어 823 제2수직벽부 830
누름축 840 누름롤러 841 가이드롤러 842
헹굼분사부 900

Claims (39)

  1. 상부 일측에 투입부 및 상부 타측에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일측 하부에 연계된 저장조로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는 이동유닛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이동유닛의 하부인 제1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유닛을 따라 이동되는 식판에 세척 및 헹굼으로 인해 발생되는 세척수 및 헹굼수가 낙하되면서 흘러가도록 하여 저장조로 수집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분리조의 바닥면은 밀폐된 걸름판이 마련되며, 상기 걸름판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저장조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에 다수 개의 통공 그리고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 내부의 일측에 세척수처리부가 마련되며, 그리고 내부의 타측에 가동장치가 마련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가로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식판을 투입부에서 배출부로 자동 이동시키도록 양측에 각각 반복 순환 이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식판을 안내하는 안착가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양측에 각각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양측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로 전달되면 동시에 컨베이어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각각의 컨베이어 양단에 배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기어에 컨베이어가 맞물리면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제1구동기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양측 컨베이어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식판을 세척, 헹굼 및 건조의 순으로 수행하도록 터널형태로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위치한 걸름판 상부에 삼각형태의 세로길이로 돌출된 차단턱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하부에 위치한 세척수처리부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분리조와 연통된 포집조가 마련되며,
    이때 포집조의 바닥면은 분리조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 일측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저장조의 벽면에 타단이 연결된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조 하부에 배출조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판 중앙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가 구비되지 않은 회전축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위치한 제1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가로길이로 형성되도록 서로 상하 대칭형태이면서 가이드홈의 개방면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가로길이의 가이드바와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 일면에 제1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된 고정지지부와,
    상기 회전축 단부에 결속되어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서포터와,
    상기 회전서포터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제1결속공이 형성되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지지바의 가이드바 가이드홈으로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이동을 하는 이동가이드판과,
    상기 이동가이드판의 제1결속공 중앙에 대응된 위치의 이동가이드판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지지부의 지지판 제1결합공을 통해 돌출 연장된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가 제1결합공을 통과하여 지지판 양측에 위치한 볼트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로 구성된 텐션조절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제1판과 제2판으로 구분되어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판과 제2판의 내측단이 연결면부로 서로 이음 연결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 각각의 중앙 일면이 서로 연통된 제1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가 제1, 2판의 제1결합공을 통과하면서 제1판 및 제2판의 노출된 위치의 볼트부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가이드는 양측 컨베이어 사이에 마련되면서 투입부에서 배출부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안내봉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과 상기 양측단 각각의 안내봉에 이웃하는 안내봉 사이에 다수 개의 연결봉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봉에 회전봉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들 사이에 연결 또는 양측 컨베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는 컨베이어의 회전궤도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들 사이에 연결되는 푸쉬바는, 중앙에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양측단에 결합바가 연결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컨베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형태로 연결되어 식판을 이동시키는 푸쉬바는, 일단이 컨베이어에 연결 고정된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 또는 타단 내측에 하단 또는 하단 내측이 연결 고정된 수직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가로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탄성체가 컨베이어의 일면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된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에 일단이 상향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된 가압봉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봉의 하향 연장된 타단이 수평봉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컨베이어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면에 수평봉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에 가압봉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양측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안착가이드의 중앙에 하나의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이때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푸쉬바는 컨베이어의 일면 양측으로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는 수직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봉 중앙이 절단되면서 절단된 양측 수평봉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수평봉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수평봉 타단과 수직봉 일단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이 안착가이드에 안착되어 컨베이어의 회전으로 컨베이어에 결합된 푸쉬바가 식판을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 식판이 제2하우징에 입구에 진입시 제2하우징의 전단에 위치한 안착가이드의 일면에 센서바 또는 센싱부가 설치되어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된 세척, 헹굼 및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의 가동을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폭을 가진 투입부와 타측으로 투입부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배출부를 제외한 제1하우징의 상부 일부에 제2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 내부의 상측에 이동되는 식판을 가압하는 제1누름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1누름장치는, 소정의 세로길이를 가진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양단에서 각각 하단이 연결되어 수직 연장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는 연결바로 구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 가압봉이 제2하우징의 내부 가로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열되면서 가압봉의 연결바 타단이 제2하우징의 벽면에 결속하되, 상기 가압봉이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연결봉 타단이 제2하우징 벽면에 결속되며,
    상기 가압봉이 다수 개로 배열된 배열단위에서 상기 배열단위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를 가진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연결대가 배열단위의 수평바들을 상호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연결대가 결합된 배열단위의 수평바에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입구에 위치한 가압봉의 연결바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바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2하우징 외부로 돌출 연장된 연장연결바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연결바의 타단에 회전바가 결합되어 회전바의 회전으로 제1누름장치가 상향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 내부의 상측에 이동되는 식판을 가압하는 제2누름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제2누름장치는, 복수 개의 제1벨트풀리가 연결된 제1샤프트 한 쌍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 각각의 수직 상부로 제1샤프트의 제1벨트풀리의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제2벨트풀리가 연결된 제2샤프트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 제1벨트풀리와 제2샤프트의 제2벨트풀리에 상호 연결되어 사각형태를 가진 누름벨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름장치의 제1샤프트 양측단에 각각 일단이 결속되면서 타단이 제2샤프트의 양측단에 각각 타단이 결속되는 높이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제2샤프트 단부에 제2구동기어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제2구동기어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제1, 2샤프트 전체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누름벨트가 회전되며, 상기 누름벨트의 회전방향은 컨베이어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회전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지지판이 상측판과 하측판으로 분리 구분되면서 서로 겹쳐진 면에 연통된 조절공이 다수 개가 수직 배열되며, 이때 하측판 상부와 상측판 하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상호 연통된 조절공에 고정수단으로 끼움 결합하여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상부세척수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세척수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측부세척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세척수부의 위치는 제2하우징의 내부 상부에 배치된 누름장치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세척수부는 한 쌍의 제1가로관 및 한 쌍의 제1세로관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1지지관체와 상기 제1지지관체의 서로 마주하는 제1가로관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1가로관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분사관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분사관의 하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관의 하부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1분사관 하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세척수부는 제1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세척수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세척수부는 한 쌍의 제2가로관 및 한 쌍의 제2세로관이 서로 이음 연결된 사각형태의 제2지지관체와 상기 제2지지관체의 서로 마주하는 제2가로관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2가로관 내부로 내통하도록 이격된 다수 개의 제2분사관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좌우 대칭형태이면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측의 제2분사관과 상기 전측의 제1분사관의 후측으로 한 쌍의 제2분사관이 배치되되,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상기 제2분사관은 일측에 상향 경사진 경사관이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분사관의 상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의 제2분사관 상부 양측에 각각 세로길이방향으로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설치 그리고 후측의 제2분사관 상부에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세로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제2분사관 상부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세척수부는 제2하우징의 양측 벽면 내측에 수직형태로 설치된 관로형태이며, 이때 상/하부세척수부의 제1, 2가로관 중앙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부세척수부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세척수부의 내측에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이 측부세척수부 내측 일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된 수직형 결합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형 결합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고정지지판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지판 각각의 결합홈 대응위치로 확산판이 다수 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세척수부 후측에 제1송풍장치에 의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에어분사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에어분사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에어분사부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1송풍장치로 발생된 에어가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 출구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헹굼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헹굼수부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측 헹굼수부와 하측 헹굼수부는 상호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하측 헹굼수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측 헹굼수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하측 헹굼수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面)에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출구에 식판을 열풍건조방식의 제2송풍장치에 의해 열풍 분사되는 열풍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풍분사부는 세로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주하면서 연계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측 열풍분사부는 이동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면서 상측 열풍분사부는 누름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 열풍분사부가 상호 마주하는 면(面)이 개방되어 제2송풍장치로 발생된 열풍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기의 배출부에 건조된 식판이 자동 반출되도록 반출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반출장치는, 양측 제1수직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회전되도록 연결되면서 외주에 한 쌍의 타이밍기어가 구비된 전측 및 하측의 롤러축이 배치되며,
    상기 롤러축 간에 서로 마주하는 타이밍기어를 상호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며,
    상기 제1수직벽부 상부에 제2수직벽부가 양측에 마련되어 롤러축 간의 중앙 위치에 대응되도록 양측 제2수직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속되면서 중앙에 누름롤러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누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장치의 제1수직벽부 외부로 돌출된 전측의 롤러축 일단부에 제3구동기어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제3구동기어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전/후측 롤러축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타이밍벨트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축 양단이 제2수직벽부에 형성된 제2결속공에 결속되되, 상기 제2결속공이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곡선형태로 절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에 상측 이동유닛과 제1하우징의 상부에 하측 이동유닛이 각각 마련되며, 이때 상측 이동유닛의 컨베이어 회전방향이 하측 이동유닛의 컨베이어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측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반입부가 형성된다면 상기 반입부의 위치에 이웃하는 하측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반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이동유닛의 타측부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상측 이동유닛의 타측부로 인도되도록 상측 이동유닛의 타측 및 하측 이동유닛의 타측을 커버하면서 내측에 낙하공간을 형성하는 낙하제어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기.
KR1020210053404A 2021-04-26 2021-04-26 자동세척기 KR10227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04A KR102279573B1 (ko) 2021-04-26 2021-04-26 자동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04A KR102279573B1 (ko) 2021-04-26 2021-04-26 자동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573B1 true KR102279573B1 (ko) 2021-07-20

Family

ID=7712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404A KR102279573B1 (ko) 2021-04-26 2021-04-26 자동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187B1 (ko) 2022-08-09 2022-10-20 서명수 용기용 열풍순환식 터널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283B1 (ko) * 2012-01-12 2012-06-08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 세척기
KR101305923B1 (ko) * 2012-06-12 2013-09-17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초벌 세척기
KR101458980B1 (ko) * 2013-06-24 2014-11-07 김응진 자동 식기 세척장치
KR101575151B1 (ko) 2015-05-28 2015-12-07 정규설 식판 걸림 현상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식판 세척기
KR101688389B1 (ko) 2015-07-23 2016-12-22 조태억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101857540B1 (ko) * 2018-01-22 2018-05-14 주식회사 에스디텍 식판 세척기
KR101957470B1 (ko) 2018-11-09 2019-03-12 주식회사프라임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283B1 (ko) * 2012-01-12 2012-06-08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 세척기
KR101305923B1 (ko) * 2012-06-12 2013-09-17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초벌 세척기
KR101458980B1 (ko) * 2013-06-24 2014-11-07 김응진 자동 식기 세척장치
KR101575151B1 (ko) 2015-05-28 2015-12-07 정규설 식판 걸림 현상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식판 세척기
KR101688389B1 (ko) 2015-07-23 2016-12-22 조태억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101857540B1 (ko) * 2018-01-22 2018-05-14 주식회사 에스디텍 식판 세척기
KR101957470B1 (ko) 2018-11-09 2019-03-12 주식회사프라임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187B1 (ko) 2022-08-09 2022-10-20 서명수 용기용 열풍순환식 터널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4097A (en) Dishwashing apparatus
EP2648595B1 (en) Conveyor dishwasher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KR102279573B1 (ko) 자동세척기
EP0603885A1 (de) Geschirrspülanlage für mit Geschirrteilen beladene Tabletts
DE102010062457A1 (de) Beladevorrichtung für eine Transportspülmaschine
KR101425645B1 (ko) 조립식 컨베이어이송형 자동세척장치
CN109867250A (zh) 一种桶装水全自动灌装系统
KR101630417B1 (ko) 자동 컵 세척장치
US11178854B2 (en) Vertical egg washer and dryer such as integrated into an egg processing line
KR20180076484A (ko) 식판용 식기 세척기
DE102012203839B4 (de) Abstapelsystem für Transportspülmaschinen
KR101151283B1 (ko) 식판 세척기
US2881463A (en) Apparatus for washing conveyors and the like
KR102374097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CN112773297B (zh) 一种自动收餐装置
CN212325344U (zh) 一种鲜桃自动清洁物流系统
KR102337301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US4821755A (en) Continuous-flow type dishwashing apparatus
DE3915801A1 (de) Kleinteile-trommel-reinigungs-, spuel- und trocknungsanlage
KR102138805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EP2799372A1 (en) A method and a processing station for processing shell eggs
CN112330883A (zh) 一种鲜榨果汁自动制造、供给设备
JP2001191038A (ja) 根菜等の洗浄機
KR102193605B1 (ko) 테이블 일체형 작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