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283B1 - 식판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판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283B1
KR101151283B1 KR1020120003845A KR20120003845A KR101151283B1 KR 101151283 B1 KR101151283 B1 KR 101151283B1 KR 1020120003845 A KR1020120003845 A KR 1020120003845A KR 20120003845 A KR20120003845 A KR 20120003845A KR 101151283 B1 KR101151283 B1 KR 10115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washing
washing machi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Priority to KR102012000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을 세척하기 위한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수평 또는 수직형태의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구조와, 상기 식판 양측을 세척하도록 노즐몸체가 다수개 형성된 세척수분사암과 세척브러쉬가 설치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에 의해 세척된 식판을 양측으로 수직 가설된 다수개의 헴굼수노즐이 설치된 헹굼수분사암이 설치된 헹굼실과, 상기 헹굼된 식판을 건조 및 살균을 하도록 열풍건조되도록 설치된 건조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식판세척기의 투입구 일측부에 국그릇을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판 세척기{A cleaner for a food plate}
본 발명은 식판을 세척하기 위한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수평 또는 수직형태의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구조와, 상기 식판 양측을 세척하도록 노즐몸체가 다수개 형성된 세척수분사암과 세척브러쉬가 설치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에 의해 세척된 식판을 양측으로 수직 가설된 다수개의 헴굼수노즐이 설치된 헹굼수분사암이 설치된 헹굼실과, 상기 헹굼된 식판을 건조 및 살균을 하도록 열풍건조되도록 설치된 건조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식판세척기의 투입구 일측부에 국그릇을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식판 세척장치는 세척통 내에 식판를 일정하게 정렬시키거나 쌓아놓고 강력한 분사 물살을 이용한다거나 물을 뿌려서 세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식판 세척장치는 식판를 일일히 정렬하고 꺼내야 함으로 연속적인 세척이 불가능하고, 접시와 같은 평면형 식판에 적합한 것이어서 다양한 크기의 홈을 갖는 식판에 대하여는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식판 세척장치는 하부에 롤러를 구비하고 상부에 세척브러쉬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식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식판 세척장치는 식판의 일면만을 세척하기 때문에 식판의 전면과 후면을 동시 세척하지 못하고 2번에 걸쳐 식판을 세척해야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의 식판 세척장치는 회전하는 세척블러쉬에 의해 식판이 급송됨으로 세척이 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존재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판투입구를 식판이송구조에 안내되어 세척, 헹굼 및 건조를 하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식판을 청결한 상태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식판 세척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식판의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송되는 이송구조, 세척구조, 세척브러쉬구조, 헹굼구조 및 건조구조를 손쉽게 변경/조립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송되는 식판에 적합한 식판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식판 투입구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과 헹굼실 및 건조실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식판 배출구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일면과 연계되어 배수통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세척수공급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이 세척실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1세척수분사암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 상부의 일면에 분배관 내부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상부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제2배출구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2세척수분사암이 구비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2세척수분사암은 양측 끝단이 밀폐되는 관형으로 양측 관로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U”형의 분사몸체와,
상기 분사몸체의 양측 관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일면에 연통되어 연결된 결속관로와,
상기 분사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의 상부을 커버하여 배출공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환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환의 중앙에 관통된 사선형의 절개홈이 형성된 제1결속판과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관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결속판과 체결되는 제2결속판으로 구성된 노즐몸체로 이루어지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식판 투입구와 식판 배출구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가 구비되는 제1, 2이송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2이송축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가 형성되는 제3이송이 설치되며, 상기 제1, 2, 3이송축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제1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1이송밸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3이송축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된 제3이송축 끝단에 제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와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동력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밸트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이송밸트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편으로 형성하되,
상기 대향하는 각각의 연결편 측면을 면접하여 체결되는 커버핀의 상면에 브러쉬형 안전모가 형성된 안내부가 상기 제1이송밸트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이송밸트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이송밸트의 하면을 면접하는 수평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이 일측단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이탈방지면 측면에 체결되어 제1이송밸트 상부를 커버하는 “ㄱ”형의 커버부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기 위해 하우징 내부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수평바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의 일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조절구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탈방지면 일면에 형성된 통공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 상면의 측단부에 등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노출홈이 형성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의 지지면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단은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이탈방지편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헹굼실에는 하우징 외부의 수도라인과 연결되어 헹굼실 상/하부에 이격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헹굼수노즐이 형성된 헹굼수분사암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세척실과 헹굼실 사이에 설치되며, 제2동력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밸트에 연계되는 회전축의 외주연에 세척브러쉬가 형성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 상면의 일면이 관통된 환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각판상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다리부가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환기공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과 하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각각 통공된 통기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사면체형의 환기통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배수통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통의 내부로 내통된 히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의 일측면 하부에 관통된 세척수배출공이 형성되어 세척수공급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통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배수통 내부의 세척수 수위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의 바닥면 일면에 강제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의 후측면 상부에 배수통 내부의 세척수가 넘침을 방지하도록 배수통 내부와 관통된 넘침방지배출구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건조실에 있어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링블러워를 통해 일단의 건조배관을 연결하여 하우징 내부로 연통되고, 상기 건조배관 타단이 상부의 일면을 통해 연통되어 연결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이 형성된 송풍분배통이 하우징 내부의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는 식판세척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 의하면, 식판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단시간에 다량의 식판을 세척할 수 있고, 식판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식당의 경우 일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판을 원활하게 순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조절하여 식판의 이송속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식판의 좌/우측면을 동시 세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무한궤도를 갖는 식판 투입구와 식판 배출구 통해 식판의 급속유입 및 급속유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식판의 공급과 배출을 유도할 수 있어 식판의 급속유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수평으로 식판이 이동되어 세척되는 식판세척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내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제1, 2세척수분사암 설치도(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제1, 2세척수분사암 설치도(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분배관-제1, 2세척수분사암 설치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분배관-제1, 2세척수분사암 설치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제1세척수분사암 사시도.
도 9는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의 “A”부위의 확대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동력수단에 의한 제1, 2, 3이송축 연결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이송밸트에 식판 이송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이송밸트상에 식판 이동 측면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이송밸트에 안내부가 설치되는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가이드부와 커버부의 설치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식판의 폭조절을 위해 수평바-커버부-가이드부 조립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가이드부와 커버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가이드부의 지지면에 이탈방지편이 설치되는 구조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헹굼수분사암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세척브러쉬 구동 구조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하우징 상부에 설치된 환기구조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하우징 상부에 설치된 환기구조 단면조립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배수통 구조도.
도 23은 도 22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배수통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건조실에 설치되는 건조설비 구조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수직으로 이송되는 식판이 세척되는 내부 구조도.
도 26은 도 25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수직으로 이송되는 식판이 세척되는 내부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수직으로 이송되는 식판의 이송구조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이송밸트에 수직형 식판의 이송구조도.
도 29는 도 25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 2세척수분사암 설치구조도.
도 30은 도 25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건조실에 설치되는 건조설비 구조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하우징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식판조절부 설치구조도.
도 32는 도 31의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식판조절부 설치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세척기에서 제1, 2이송축 일측에 연장된 이송축에 컨베어밸트 설치 구조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판세척기는 도 1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식판 투입구(21)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30)과 헹굼실(40) 및 건조실(50)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식판 배출구(22)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0)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60)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10)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60)의 일면과 연계되어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세척수공급펌프(66)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이 세척실(30)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02a)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103)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1세척수분사암(100a)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110) 상부의 일면에 분배관(110) 내부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101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101b)의 상부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제2배출구(102b)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103)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2세척수분사암(100b)이 구비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세척실(30)내에서는 상/하부에 각각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이 설치되어 세척수공급펌프(66)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제1세척수분사암(100a)은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에 의해 세척실(30) 하부에 형성된 분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02a)의 일단과 면접하는 제1세척수분사암(100a)의 일측단과의 연결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링타입의 클램프(103)가 체결된다.
상기 링타입의 클램프(103)를 상기 제1배출구(102a)와 제1세척수분사암(100a)의 연결부위를 밀폐/체결하는 것은 상기 제1세척수분사암(100a)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수리/교체시 용이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세척수분사암(100b)은 상기 분배관(110)의 상부 일면에 분배관(110) 내부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101b)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관(101b)의 상부 일면으로 돌출된 수평의 제2배출구(102b)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102b)의 끝단에 면접되는 제2세척수분사암(100b)이 연결되며, 이때 상기 제2배출구(102b)와 제2세척수분사암(100b)의 상호 연결부위에 링타입의 클램프(103)를 체결하여 밀폐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은 양측 끝단이 밀폐되는 관형으로 이격된 형태의 양측 관로(121)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122)이 형성된 “U”형의 분사몸체(120)와,
상기 분사몸체(120)의 양측 관로(121)의 타단을 연결하는 일면에 연통되어 연결된 결속관로(130)와,
상기 분사몸체(120)에 형성된 배출공(122)의 상부을 커버하여 배출공(122)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환(14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환(142)의 중앙에 관통된 사선형의 절개홈(143)이 형성된 제1결속판(141a)과 상기 배출공(122)이 형성된 관로(1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결속판(141a)과 체결되는 제2결속판(141b)으로 구성된 노즐몸체(140)로 이루어지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은 각각 분사몸체(120)-결속관로(130)-노즐몸체(140)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관로(121)로 형성된 “U”형의 분사몸체(120)에서 상기 양측 관로(121)가 연결되는 중앙의 일면에 내통되어 외측으로 돌출 연결되는 결속관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관로(130)의 끝단에는 링형의 제1돌출테(1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배출구(102a, 102b)의 끝단에 형성된 링형의 제2돌출테(104)와 면접되며, 상기 면접된 제1, 2돌출테(131, 104)의 외주면을 밀착/체결하는 링타입의 클램프(103)를 체결하여 제1, 2배출구(102a, 102b) 끝단에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분사몸체(120)의 양측 관로(121)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배출공(122)의 각각에 설치되도록 상기 배출공(122)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결속판(141a)이 설치되어 상기 제1결속판(141a)의 돌출환(142)에 형성된 절개홈(143)이 배출공(122)과 대응되도록 제1결속판(141a)을 설치하며, 상기 배출공(122)이 형성된 관로(121)의 하부 즉, 상기 배출공(122) 상부에 설치된 제1결속판(141a)과 체결되도록 제1결속판(141a)과 대응되는 관로(121)의 후부에 제2결속판(141b)을 설치하여 노즐몸체(140)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1결속판(141a)의 양측과 제2결속판(141b)의 양측에 면접되어 볼트를 채워 관로(121)의 상/하면에 밀착시키며, 상기 배출공(122)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제1결속판(141a)의 돌출환(142) 내부에 충돌하여 상기 돌출환(142)의 중앙에 사선으로 내통된 절개홈(143)을 통해 충돌된 세척수 즉, 충돌로 인한 수압이 증가된 세척수가 절개홈(143)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상기 절개홈(14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사선으로 절개된 형태를 가진 절개홈(14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폭이 절개홈 5~10배의 분사폭을 가지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식판 투입구(21)와 식판 배출구(22) 사이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211)가 구비되는 제1, 2이송축(210a, 210b)이 설치되며, 상기 제2이송축(210b)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211)가 형성되는 제3이송축(210c)이 설치되며, 상기 제1, 2, 3이송축(210a, 210b, 210c)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제1기어(211)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1이송밸트(200)가 설치되고,
상기 제3이송축(210c)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된 제3이송축(210c) 끝단에 제2기어(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212)와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제1동력수단(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밸트(213)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동력수단(220)의 작동에 의해 동력이 제1회전밸트(213)로 전달되어 상기 제1회전밸트(213)에 연계된 제3이송축(210c)의 제2기어(212)에 전달되어 제3이송축(210c)을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3이송축(210c)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2, 3이송축(210a, 210b, 210c)의 상호 연결된 제1이송밸트(200)가 회전하면서 제2, 3이송축(210b, 210c)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밸트(2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회전핀(201)과 상기 회전핀(201)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편(202)으로 형성하되,
상기 대향하는 각각의 연결편(202) 측면을 면접하여 체결되는 단면이 “┌┐”형의 커버핀(231)의 상면에 브러쉬형 안전모(232)가 형성된 안내부(230)가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하우징(20)의 식판 투입구(21)를 통해 하우징(20) 내부의 양측에 설치된 제1이송밸트(200)를 통해 식판이 이동됨에 상기 식판이 제1이송밸트(200)를 통해 이동을 구속하여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식판의 이동이 식판과 식판끼리 겹치거나 이동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어 제1이송밸트(200)의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개별적인 식판의 이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상기 제1이송밸트(2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회전핀(201)과 상기 회전핀(201)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편(202)으로 구성되는 체인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대향하는 각각의 연결편(202) 측면을 면접하여 체결되는 커버핀(231)의 상면에 브러쉬형 안전모(232)가 형성된 안내부(230)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커버핀(231)의 안전모(232)가 설치되어 식판을 제1이송밸트(200)에 밀어넣을 때 브러쉬형의 안전모(232)로 인해 위험성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안전모(232)가 식판의 끝단을 면접하여 제1이송밸트(200)를 타고 식판을 이동하는 데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2,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이송밸트(200)의 하면을 면접하는 수평의 지지면(241)과 상기 지지면(241)이 일측단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면(242)이 형성되는 가이드부(240)와,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측면에 체결되어 제1이송밸트(200) 상부를 커버하는 “ㄱ”형의 커버부(250)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240)와 커버부(250)는 제1이송밸트(200)가 회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제1이송밸트(200)의 좌우/상하 흔들림(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1이송밸트(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0)로서,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하면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지지면(241)과 상기 지지면(241)이 일측단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으로 절곡되어 제1이송밸트(200)가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면(2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측면에 체결되어 제1이송밸트(200)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가이트부(240)의 지지면(241) 상면에 회전하는 제1이송밸트(200)가 상향으로 이탈 또는 진동을 제어하는 “ㄱ”형의 커버부(250)가 설치되어 제1이송밸트(200)의 회전에 따른 진동폭을 줄여 수평상태로 회전을 하도록 유지하는 가이드부(240)와 커버부(250)를 제공한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40)가 고정되기 위해 하우징(20) 내부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수평바(27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270)의 일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조절구(271)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일면에 형성된 통공(24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회전 따라 식판을 투입시 식판 좌/우단 사이의 폭이 다양하여 식판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40)가 하우징(2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우징(20) 내부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수평바(27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270)의 일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조절구(271)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일면에 형성된 통공(24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240)를 측부로 이동시 상기 수평바(270)의 조절구(271)가 타원형을 형성함으로서 식판의 폭과 일치하는 가이드부(240)와 가이드부(240)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부(240)를 수평바(270)의 측부로 이동하여 가이드부(240)의 통공(243)과 연계된 조절구(271)를 통해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양측 가이드부(24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14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50) 상면의 측단부에 등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노출홈(251)이 형성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부(250)의 노출홈(251)이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20) 내부의 세척실(30)-헹굼실(40)-건조실(50)로 이동되는 식판의 양측단에 까지 세척수-헹굼수-건조바람이 면접되도록 노출되어 식판 전면에 완전한 세척-헹굼-건조를 이루도록 제공된다.
즉, 식판의 양측단은 제1이송밸트(200)와 커버부(250) 사이에 위치하여 제1이송밸트(200)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상기 커버부(250)가 판상으로 인해 식판의 양측단이 세척수-헹굼수-건조바람에 영향을 받지 못하여 식판의 깨끗한 세척-헹굼-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커버부(250)의 노출홈(251)을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40)의 지지면(24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단은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이탈방지편(260)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이송밸트(200)가 체인형태를 가짐으로서 가이드부(240)의 지지면(241)에 안착되는 제1이송밸트(200)가 회전함에 진동과 제1이송밸트(200)의 양측단에 진동을 완전히 없애고자 상기 가이드부(240)의 지지면(24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양측단이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이탈방지편(260)을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편(260)의 상면에 제1이송밸트(200)의 하면이 면접하여 제1이송밸트(200)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헹굼실(40)에는 하우징(20) 외부의 수도라인과 연결되어 헹굼실(40) 상/하부에 이격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헹굼수노즐(410)이 형성된 헹굼수분사암(400)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한편,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실(30)과 헹굼실(40) 사이에 설치되며, 제2동력수단(33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밸트(320)에 연계되는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세척브러쉬(300)가 형성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판이 세척실(30)을 거쳐 이동시 식판의 하면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브러쉬(300)를 설치하며, 상기 세척브러쉬(300)는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제2동력수단(330)을 통해 제2회전밸트(320)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동력전달된 제2회전밸트(320)에 연계된 회전축(310)에 회전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310) 외주연에 형성된 세척브러쉬(300)가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브러쉬(300)가 복수개 설치되어 일측 회전축(310)의 풀리(311)와 타측 회전축(310)의 풀리(311)가 연결되어 상기 제2동력수단(330)의 동력전달시 동시에 일/타측의 회전축(310)이 회전하여 상기 일/타측의 외주연에 형성된 세척브러쉬(300)가 회전을 하도록 제공된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양측의 폴리(311)는 톱니형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즉, 이동되는 식판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우징(2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 세척브러쉬(300)와는 별도로 복수개 설치되어 제2동력수단(330)에 동력발생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0과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20) 상면의 일면이 관통된 환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23)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각판상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다리부(27)가 형성되는 차단판(26)과, 상기 환기공(23)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과 하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각각 통공된 통기공(25)이 다수개 형성되는 사면체형의 환기통(24)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세척수 또는 헹굼수의 온수열 또는 건조실의 건조열풍에 따른 온수열 또는 열풍을 하우징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20) 상면의 일면이 관통된 환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23)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각판상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다리부(27)가 형성되는 차단판(26)과, 상기 환기공(23)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과 하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각각 통공된 통기공(25)이 다수개 형성되는 사면체형의 환기통(24)이 설치되어 제공되며, 상기 온수열 또는 열풍은 상기 차단판(26)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환기공(23)을 통해 환기통(24)의 양측면에 다수개 형성된 통기공(25)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한편, 도 22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통(60)의 내부로 내통된 히터부재(61)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관통된 세척수배출공(62)이 형성되어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 수위탐지센서(63)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바닥면 일면에 강제배출구(64)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후측면 상부에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가 넘침을 방지하도록 배수통(60) 내부와 관통된 넘침방지배출구(65)가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통(60)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며,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관통된 세척수배출공(62)에 연결된 세척수공급펌프(66)에 의해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분사하게 된다.
상기 배수통(6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온도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통(60)의 내부로 내통된 히터부재(61)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를 체크할 수 있는 수위탐지센서(63)가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6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통 외부로 넘치는 것(over flow)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통(60)의 후측면 상부에 관통된 넘침방지배출구(65)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를 교체 또는 강제배출을 위해 상기 배수통(60)의 바닥면 일면에 강제배출구(64)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한편,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50)에 있어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링블러워(500)를 통해 일단의 건조배관(510)을 연결하여 하우징(20) 내부로 연통되고, 상기 건조배관(510) 타단이 상부의 일측을 통해 연통되어 연결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530)이 형성된 송풍분배통(520)이 하우징(20) 내부의 건조실(50) 상부에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 개방된 식판투입구(21)를 통해 제1이송밸트(200)에 의해 식판이 이동되면서 세척공정-브러쉬공정-헹굼공정을 거쳐 이송된 식판의 정면에 수분 또는 물기를 제거하고자 헹굼실(40) 일측 즉, 하우징(20)의 타측에 개방된 식판배출구(22) 내측에 건조실(5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링블러워(500)를 통해 일단의 건조배관(510)을 연결하여 하우징(20) 내부로 연통되고, 상기 건조배관(510) 타단이 상부의 일면을 통해 연통되어 연결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530)이 형성된 송풍분배통(520)이 하우징(20) 내부의 건조실(50)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링블러워(500)를 통해 건조바람이 건조배관(510)을 통해 유입되어 송풍분배통(520)에 전달되며, 상기 송풍분배통(520)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530)을 통해 건조바람이 배출되어 식판의 상/하면을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건조배관(510)은 건조실(5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송풍분배통(52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건조배관(510)을 통해 이동된 건조바람은 각각의 송풍분배통(520)에 전달되어 송풍분배통(520)의 일측에 절개된 송풍노즐(530)을 통해 강한 건조바람이 분산되어 식판11)의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일측에 식판 투입구(21)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30)과 헹굼실(40) 및 건조실(50)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식판 배출구(22)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0)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60)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10)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일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도홈(28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280a, 280b)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커버부재(280b)의 내측에 상부 길이방향의 제1이송밸트(200)가 내속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양측에 제1기어(211)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2이송축(210a, 21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축(210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기어(212)가 형성되어 제1동력수단(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밸트(213)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실(30)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110)에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어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수직으로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이는, 식판(11)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제1이송밸트(200)에 의해 식판(11)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커버부재(280a, 280b)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280a, 280b)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도홈(281)이 형성되어 상기 식판(11)의 상/하단부가 상기 유도홈(11)에 내속되어 식판(11)이 일/타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판(11)을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제1이송밸트(200)가 회전하도록 제1동력수단(220)을 통해 제3이송축(210c)의 일단에 형성된 제2기어(212)에 제1회전밸트(213)가 연계되어 동력을 제2이송축(210b)에 전달하고, 상기 제2이송축(210b) 일측에 제1기어(211)가 제1이송밸트(200)의 일측이 맞물려 회전을 전달하고,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타측에 맞물리는 제1기어(211)가 형성된 제1이송축(210a)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이송밸트(200)의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이 세척실(30)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어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수직으로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이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밸트(200)를 통해 이동되는 수직의 식판(11) 양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실(30)을 통과할 때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양측에 각각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식판(11)의 양측면을 분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세척실(30)을 통과한 식판(11)은 세척브러쉬(300)에 의해 식판(11)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되며, 이때 세척브러쉬(300)는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세척브러쉬(300)는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0) 하단에 풀리(311)가 제2동력수단(330)과 제2회전밸트(320)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축(310)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을 발생하게 되어 동시에 세척브러쉬(30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세척브러쉬(300)가 설치된 회전축(31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풀리(311)에 제3회전밸트(340)가 연결되고, 복수개 중 하나의 회전축(210) 하단에 형성된 풀리(311) 일측으로 회전축(310)이 더 연장되어 끝단에 풀리(311)가 형성되며, 상기 풀리(311)와 제2동력수단간에 제2회전밸트(320)가 연결되어 복수개의 세척브러쉬(300)가 설치된 회전축(31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물론, 헹굼실(40)에는 하우징(20) 외부의 수도라인과 연결되어 헹굼실(40) 의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수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헹굼수노즐(410)이 형성된 헹굼수분사암(400)이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에서의 건조바람을 방출하기 위해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링블러워(500)를 통해 일단의 건조배관(510)을 연결하여 하우징(20) 내부로 연통되고, 상기 건조배관(510)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양측 분리된 건조배관(510) 끝단의 각각에 연통되어 연결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530)이 형성된 송풍분배통(520)이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식판세척기(10)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이송밸트(200)에 의해 이동되는 식판(11)이 건조실(50)에 도달되면, 건조실 내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송풍분배통(520)의 송풍노즐(530)을 통해 건조바람이 분사되어 식판(11)의 양면을 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일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도홈(28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280)에 있어, 도 31과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8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식판조절부(70)가 설치되며, 상기 식판조절부(70)는 하우징(20) 내측에 고정되는 조절몸체(71)의 하부로 연장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조절볼트(72)와, 상기 조절볼트(72) 외주에 내속되는 압축스프링(74)과, 상기 조절볼트(72) 끝단이 커버부재(280a)의 상면에 형성된 제2통공(283)을 통해 노출되어 너트(73)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재(280a)의 제2통공(283)을 통해 돌출된 조절볼트(72)에 너트(73)를 채워 수직형 식판(11)의 높이에 알맞게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너트(73)를 조절하여 조절볼트(7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며, 이때 상기 조절볼트(72) 외주연에 내속된 완충스프링(74)이 커버부재(280a)의 상면을 압박하여 너트(73)의 조절에 의해 커버부재(280a)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한하며, 결국 완충스프링(74)은 쉽게 커버부재(280a)가 상/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며, 너트(73)에 의해서만 커버부재(280a)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설치된 커버부재(280) 각각의 상/하면 즉, 유도홈(281)의 양측면에 등간격으로 노출홈(282)이 형성되어 세척수, 헹굼수 또는 건조바람이 상기 노출홈(282)으로 분사되어 식판(11)의 상/하단부까지 세척, 헹굼 및 건조되도록 제공된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동력수단(220)의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2이송축(210b) 일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축(210a)도 일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력을 제2이송축(210b)으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일측으로 연장된 제1, 2이송축(210a, 210b)을 연결하여 회동하는 컨베어벨트(29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상기 컨베어벨트(290) 상부에 국그릇이나 접시를 놓아 상기 컨베어벨트(290) 상/하부에 각각 세척봉(미도시)과 헹굼봉(미도시)이 설치되어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상기 국그릇이나 접시와 같은 용기를 투입하는 입구는 식판 투입구(100) 일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나의 제1동력수단(2220)에 의해 식판 투입구(21)에 식판(11)을 제1이송밸트(200) 상에 이송하는 것과, 상기 제1이송밸트(200)에 의해 식판(11)을 이동시키는 것 및 국그릇을 이동하는 컨베어벨트(290)의 작동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하나의 동력을 분산하여 능률적인 식판세척을 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판 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식판세척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식판세척기 : 10, 하우징 : 20, 식판투입구 : 21, 식판배출구 : 22, 환기공 : 23, 환기통 : 24, 통기공 : 25, 차단판 : 26, 다리부 : 27, 세척실 : 30, 헹굼실 : 40, 건조실 : 50, 배수통 : 60, 히터부재 : 61, 세척수배출공 : 62, 수위탐지센서 : 63, 강제배출구 : 64, 넘침방지배출구 : 65, 세척수공급펌프 : 66, 식판조절부 : 70, 조절몸체 : 71, 조절볼트 : 72, 너트 : 73, 완충스프링 : 74, 제1세척수분사암 : 100a, 제2세척수분사암 : 100b, 제1연결관 : 101a, 제2연결관 : 101b, 제1배출구 : 102a, 제2배출구 : 102b, 클램프 : 103, 제2돌출테 : 104, 분배관 : 110, 분사몸체 : 120, 관로 : 121, 배출공 : 122, 결속관로 : 130, 제1돌출테 : 131, 노즐몸체 : 140, 제1결속판 : 141a, 제2결속판 : 141b, 돌출환 : 142, 절개홈 : 143, 제1이송밸트 : 200, 회전핀 :201, 연결편 : 202, 제1이송축 : 210a, 제2이송축 : 210b, 제3이송축 : 210c, 제1기어 : 211, 제2기어 : 212, 제1회전밸트 : 213, 제1동력수단 : 220, 안내부 : 230, 커버핀 : 231, 안전모 : 232, 가이드부 : 240, 지지면 : 241, 이탈방지면 : 242, 제1통공 : 243, 커버부 : 250, 노출홈 : 251, 이탈방지편 : 260, 수평바 : 270, 조절구 : 271, 커버부재 : 280, 유도홈 : 281, 노출홈 : 282, 제2통공 : 283, 컨베어밸트 : 290, 세척브러쉬 : 300, 회전축 : 310, 폴리 : 311, 제2회전밸트 : 320, 제2동력수단 : 330, 헹굼수분사암 : 400, 헹굼수노즐 : 410, 링블러워 : 500, 건조배관 : 510, 송풍분배통 : 520, 송풍노즐 : 530

Claims (17)

  1. 일측에 식판 투입구(21)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30)과 헹굼실(40) 및 건조실(50)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식판 배출구(22)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0)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60)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10)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60)의 일면과 연계되어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세척수공급펌프(66)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이 세척실(30)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102a)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103)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1세척수분사암(100a)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110) 상부의 일면에 분배관(110) 내부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101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101b)의 상부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제2배출구(102b) 단부에 일단면이 면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103)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2세척수분사암(100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은 양측 끝단이 밀폐되는 관형으로 이격된 형태의 양측 관로(121)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122)이 형성된 “U”형의 분사몸체(120)와,
    상기 분사몸체(120)의 양측 관로(121)의 타단을 연결하는 일면에 연통되어 연결된 결속관로(130)와,
    상기 분사몸체(120)에 형성된 배출공(122)의 상부를 커버하여 배출공(122)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환(14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환(142)의 중앙에 관통된 사선형의 절개홈(143)이 형성된 제1결속판(141a)과 상기 배출공(122)이 형성된 관로(1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결속판(141a)과 체결되는 제2결속판(141b)으로 구성된 노즐몸체(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식판 투입구(21)와 식판 배출구(22) 사이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211)가 구비되는 제1, 2이송축(210a, 210b)이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축(210b)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양측단에 제1기어(211)가 형성되는 제3이송축(210c)이 설치되고,
    상기 제1, 2, 3이송축(210a, 210b, 210c)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제1기어(211)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1이송밸트(200)가 설치되고,
    상기 제3이송축(210c)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된 제3이송축(210c) 끝단에 제2기어(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어(212)와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제1동력수단(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밸트(2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밸트(2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회전핀(201)과 상기 회전핀(201)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편(202)으로 형성하되,
    상기 대향하는 각각의 연결편(202) 측면을 면접하여 체결되는 단면이 “┌┐”형의 커버핀(231)의 상면에 브러쉬형 안전모(232)가 형성된 안내부(230)가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이송밸트(200)의 하면을 면접하는 수평의 지지면(241)과 상기 지지면(241)이 일측단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면(242)이 형성되는 가이드부(240)와,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측면에 체결되어 제1이송밸트(200) 상부를 커버하는 “ㄱ”형의 커버부(2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40)가 고정되기 위해 하우징(20) 내부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수평바(27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270)의 일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조절구(271)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이탈방지면(242) 일면에 형성된 통공(24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50) 상면의 측단부에 등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노출홈(2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40)의 지지면(24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단은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이탈방지편(2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실(40)에는 하우징(20) 외부의 수도라인과 연결되어 헹굼실(40) 상/하부에 이격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헹굼수노즐(410)이 형성된 헹굼수분사암(4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30)과 헹굼실(40) 사이에 설치되며, 제2동력수단(33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밸트(320)에 연계되는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세척브러쉬(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20) 상면의 일면이 관통된 환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23)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각판상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다리부(27)가 형성되는 차단판(26)과,
    상기 환기공(23)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과 하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각각 통공된 통기공(25)이 다수개 형성되는 사면체형의 환기통(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통(60)의 내부로 내통된 히터부재(61)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하부에 관통된 세척수배출공(62)이 형성되어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통(60)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 수위탐지센서(63)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바닥면 일면에 강제배출구(64)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60)의 후측면 상부에 배수통(60) 내부의 세척수가 넘침을 방지하도록 배수통(60) 내부와 관통된 넘침방지배출구(6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50)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20) 하부에 설치된 링블러워(500)를 통해 일단의 건조배관(510)을 연결하여 하우징(20) 내부로 연통되고,
    상기 건조배관(510) 타단이 상부의 일측을 통해 연통되어 연결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송풍노즐(530)이 형성된 송풍분배통(520)이 하우징(20) 내부의 건조실(5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4. 일측에 식판 투입구(21)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30)과 헹굼실(40) 및 건조실(50)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식판 배출구(22)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0)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60)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일면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도홈(28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280a, 280b)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커버부재(280b)의 내측에 상부 길이방향의 제1이송밸트(200)가 내속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밸트(200)의 양측에 제1기어(211)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 2이송축(210a, 21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축(210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기어(212)가 형성되어 제1동력수단(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밸트(213)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실(30)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110)에 세척수공급펌프(66)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01a)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110)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배출구(102a)가 형성되어 제1이송밸트(200) 양측에 이격되게 수직으로 제1, 2세척수분사암(100a, 10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8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식판조절부(70)가 설치되고,
    상기 식판조절부(70)는 하우징(20) 내측에 고정되는 조절몸체(71)의 하부로 연장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조절볼트(72)와,
    상기 조절볼트(72) 외주에 내속되는 압축스프링(74)과,
    상기 조절볼트(72) 끝단이 커버부재(280a)의 상면에 형성된 제2통공(283)을 통해 노출되어 너트(73)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하측에 설치된 커버부재(280) 각각의 상/하면에 형성된 유도홈(281)의 양측면에 등간격으로 노출홈(28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수단(220)의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2이송축(210b) 일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축(210a)도 일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력을 제2이송축(210b)으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일측으로 연장된 제1, 2이송축(210a, 210b)을 연결하여 회동하는 컨베어벨트(2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세척기.
KR1020120003845A 2012-01-12 2012-01-12 식판 세척기 KR10115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45A KR101151283B1 (ko) 2012-01-12 2012-01-12 식판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45A KR101151283B1 (ko) 2012-01-12 2012-01-12 식판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283B1 true KR101151283B1 (ko) 2012-06-08

Family

ID=4668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45A KR101151283B1 (ko) 2012-01-12 2012-01-12 식판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2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06B1 (ko) 2012-10-23 2013-01-15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세척기
KR101343895B1 (ko) 2012-08-27 2013-12-20 류창환 식판 세척장치
KR101545987B1 (ko) 2014-01-02 2015-08-2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식판 세척용 세척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 세척장치
KR200481134Y1 (ko) * 2016-03-08 2016-08-19 정규설 다양한 형태의 식기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KR102279573B1 (ko) * 2021-04-26 2021-07-20 (주)누마스타 자동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76B1 (ko) 2001-04-19 2003-10-17 주식회사 고려에프앤디 식판 및 불판 세척기
KR200357288Y1 (ko) 2004-04-20 2004-07-27 김성부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100920336B1 (ko) 2007-12-06 2009-10-08 안희곤 식판자동세척기
KR101018662B1 (ko) 2008-05-13 2011-03-04 (주)굿모닝 케미칼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76B1 (ko) 2001-04-19 2003-10-17 주식회사 고려에프앤디 식판 및 불판 세척기
KR200357288Y1 (ko) 2004-04-20 2004-07-27 김성부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100920336B1 (ko) 2007-12-06 2009-10-08 안희곤 식판자동세척기
KR101018662B1 (ko) 2008-05-13 2011-03-04 (주)굿모닝 케미칼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세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95B1 (ko) 2012-08-27 2013-12-20 류창환 식판 세척장치
KR101220906B1 (ko) 2012-10-23 2013-01-15 주식회사 누마스타세척기 식판세척기
KR101545987B1 (ko) 2014-01-02 2015-08-2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식판 세척용 세척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 세척장치
KR200481134Y1 (ko) * 2016-03-08 2016-08-19 정규설 다양한 형태의 식기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KR102279573B1 (ko) * 2021-04-26 2021-07-20 (주)누마스타 자동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283B1 (ko) 식판 세척기
KR200449276Y1 (ko) 다기능 식품 세척기
CN109316138B (zh) 一种能感应自动喷水的清洗机
CN203841071U (zh) 刷辊式干果清洗装置
KR10157084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CN201005002Y (zh) 干果气泡清洗机
KR20150020443A (ko) 벨트 스크린식 제진기
US20190320700A1 (en) Produce washer
CN205072810U (zh) 一种全自动餐具收集清洗装置
CN111977320A (zh) 一种酥类成品自动传送装置
KR101070659B1 (ko)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CN106073686A (zh) 一种多功能自动洗鞋机
KR101732846B1 (ko) 만두 증숙장치
KR20090000690U (ko) 고추세척장치
KR100759328B1 (ko) 배추세척장치
CN205686700U (zh) 清洗设备
CN207872679U (zh) 超声波清洗机
CN201847648U (zh) 一种用于餐具清洗设备的垃圾回收装置
KR20090012744U (ko) 농산물세척기
CN105478395A (zh) 转动式清洗装置
KR20130036821A (ko) 식판 애벌세척장치
CN111772210A (zh) 大豆的全自动清洗、烘干加工工艺
CN205183282U (zh) 清洗机
CN111387876B (zh) 一种生猪养殖用猪舍清洗设备
CN212629807U (zh) 一种槽式连续食品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