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79B1 - 근접 센서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79B1
KR102279479B1 KR1020170111136A KR20170111136A KR102279479B1 KR 102279479 B1 KR102279479 B1 KR 102279479B1 KR 1020170111136 A KR1020170111136 A KR 1020170111136A KR 20170111136 A KR20170111136 A KR 20170111136A KR 102279479 B1 KR102279479 B1 KR 10227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put
light
differenti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666A (ko
Inventor
유야 카와사키
나오스미 와키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486Receivers
    • G01S7/4861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01L31/1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ontrolled by the light source or sources
    • H01L31/167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ontrolled by the light source or sources the light sources and the devices sensitive to radiation all being semiconductor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173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ontrolled by the light source or sources the light sources and the devices sensitive to radiation all being semiconductor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16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Photo Coupler, Interrupter, Optical-To-Optical Conver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물체의 근접 정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
(해결 수단)
발광 펄스가 물체에 반사함으로써 도래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로서, 상기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상기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른 크기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차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동 변환 회로와, 상기 차동 변환 회로의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상승으로 샘플링한 값으로부터, 상기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하강으로 샘플링한 값을 감산하는 차동 구성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구비하는 근접 센서.

Description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근접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광 펄스가 물체에 반사함으로써 도래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당해 물체의 유무를 검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개 평6-152364호 공보
그러나 반사광에 포함되는 외란광(예를 들면, 태양광이나 조명광 등의 환경광)의 영향을 받으면 물체의 근접 정도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물체의 근접 정도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 근접 센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하나의 태양에서는
발광 펄스가 물체에 반사함으로써 도래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로서,
상기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상기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른 크기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차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동 변환 회로와,
상기 차동 변환 회로의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상승 기간에 샘플링한 값으로부터, 상기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하강 기간에 샘플링한 값을 감산하는 차동 구성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구비하는 근접 센서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태양에 의하면 물체의 근접 정도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근접 센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근접 센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에 입력되는 차동 전압과,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샘플링 페이즈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는 페이즈 1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페이즈 2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페이즈 3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페이즈 4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페이즈 5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근접 센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근접 센서(1)는 발광 펄스(12)가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사되도록 발광 소자(11)를 구동하고, 발광 소자(11)로부터 방사되는 발광 펄스(12)가 물체에서 반사함으로써 도래하는 반사광(13)을 수광 소자(10)로 수광한다. 그리고 근접 센서(1)는 수광 소자(10)로 수광한 반사광(13)의 강도에 기초하여 당해 물체의 근접을 검출한다.
근접 센서(1)가 근접을 검출하는 대상물에는 인체의 전부 또는 부분(예를 들면, 손, 손가락, 얼굴 등)이 포함된다. 근접 센서(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정보 기기에 탑재된다.
근접 센서(1)는 예를 들면 칩 상에 형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이다. 근접 센서(1)는 패키지되어 있지 않은 베어 칩이어도 되고, 수지 패키지된 모듈품이어도 된다. 또 근접 센서(1)는 조도 센서와 근접 센서가 일체화된 반도체 집적 회로 중 근접 센서의 회로 부분이어도 된다.
근접 센서(1)는 발진기(60), 클록 생성부(61), 구동부(70), 수광 소자(10), 변환 회로(20), 차동 변환 회로(30),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 AD(Analog-to-digital) 컨버터(50)를 구비한다.
발진기(60)는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클록 생성부(61)는 발진기(60)가 출력한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클록 CLK1과 제2 클록 CLK2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제2 클록 CLK2의 주파수는 제1 클록 CLK1의 2배의 주파수이다.
구동부(70)는 제1 클록 CLK1의 주파수에서 발광 소자(11)를 구동하고, 제1 클록 CLK1과 동일한 주파수에서 발광하도록 발광 소자(11)로부터 발광 펄스(12)를 방사시키는 구동 회로이다.
발광 소자(11)의 구체예로서 발광 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다. 발광 소자(11)는 예를 들면 적외광의 발광 펄스(12)를 출력한다. 도 1은 발광 소자(11)가 근접 센서(1)에 외부 부착으로 접속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데, 발광 소자(11)는 근접 센서(1)에 내장되어도 된다. 또 도 1은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구동부(70)에 접속되어, 구동부(70)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전류를 빨아들여 구동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구동부(70)에 접속되어, 구동부(70)가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흘려내어 구동하는 형태도 생각된다.
수광 소자(10)는 반사광(13)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의 일례이며, 물체의 근접 정도를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수광 소자(10)는 수광 소자(10) 자신과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른 크기의 전류 Ia를 출력하는 광 센서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물체가 수광 소자(10) 자신에 근접할수록 큰 전류 Ia를 출력한다. 수광 소자(10)의 구체예로서 포토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변환 회로(20)는 전류 Ia를 전압 Va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 회로의 일례이다. 변환 회로(20)는 예를 들면 싱글 엔드 출력의 TIA(트랜스 임피던스 앰프)이다. 변환 회로(20)는 수광 소자(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Ia를 트랜스 임피던스(22)로 전압 Va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며, 트랜스 임피던스(22)로 부귀환되는 오퍼 앰프(21)를 가진다. 오퍼 앰프(21)는 기준 전압(23)이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 노드와, 수광 소자(10)의 전류 출력부(도 1의 경우,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가 접속되는 반전 입력 노드를 가진다. 포토다이오드의 애노드는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차동 변환 회로(30)는 변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Va(출력 전압 Va)를 차동 전압 VIN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차동 변환 회로(30)는 예를 들면 입력 저항(32), 귀환 저항(33), 오퍼 앰프(31)를 가지는 반전 증폭 회로이다. 입력 저항(32)의 일단은 오퍼 앰프(21)의 출력 노드(전압 Va의 출력 노드)에 접속되고, 입력 저항(32)의 타단은 오퍼 앰프(31)의 반전 입력 노드에 접속된다. 오퍼 앰프(31)의 출력 노드는 귀환 저항(33)을 통하여 오퍼 앰프(31)의 반전 입력 노드에 접속된다. 오퍼 앰프(31)의 비반전 입력 노드에는 기준 전압(34)이 입력된다.
차동 변환 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차동 전압 VIN(출력 차동 전압 VIN)은 전압 VINp으로부터 전압 VINn을 감산한 전압이다. 전압 VINp은 전압 Va와 같고, 전압 VINn은 오퍼 앰프(31)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는 출력 차동 전압 VIN을 발광 펄스(12)의 상승 기간에 샘플링한 값으로부터, 출력 차동 전압 VIN을 발광 펄스(12)의 하강 기간에 샘플링한 값을 감산한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는 차동 입력-차동 출력으로 구성된 스위치드 캐패시터 회로이다. 여기서 출력 차동 전압 VIN을 발광 펄스(12)의 상승 기간에 샘플링한 값을 「상승 샘플링값 VOUTp」이라고 하고, 출력 차동 전압 VIN을 발광 펄스(12)의 하강 기간에 샘플링한 값을 「하강 샘플링값 VOUTn」이라고 한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는 상승 샘플링값 VOUTp으로부터 하강 샘플링값 VOUTn을 감산한 값을 출력 전압 VOUT으로서 출력한다(VOUT=VOUTp-VOUTn).
AD 컨버터(50)는 아날로그의 출력 전압 VOUT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AD 컨버터(50)는 근접 센서(1)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출력 전압 VOUT(또는 AD 컨버터(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은 반사광(13)의 강도에 따른 크기가 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1)는 출력 전압 VOUT(또는 AD 컨버터(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을 취득함으로써, 물체의 근접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1)는 차동 구성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반사광(13)에 포함되는 외란광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물체의 근접 정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는 차동 증폭기(41), 한 쌍의 저항(42, 43), 제1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 제1 스위치 회로 S1, 제2 스위치 회로 S2, 제3 스위치 회로 S3, 제4 스위치 회로 S4를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41)는 차동 입력-차동 출력의 구성을 가진다. 차동 증폭기(41)는 한 쌍의 입력 노드(비반전 입력 노드, 반전 입력 노드)와, 한 쌍의 출력 노드(비반전 출력 노드, 반전 출력 노드)를 가진다.
저항(42)은 전압 VINp의 출력점과 캐패시터 C1p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저항(43)은 전압 VINn의 출력점과 캐패시터 C1n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는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캐패시터 C2p는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캐패시터 C2n는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제1 스위치 회로 S1은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 사이의 접속 관계를 발광 펄스(12)의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에 각각 반전시킨다. 제1 스위치 회로 S1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 사이의 접속 관계를 발광 펄스(12)와 동일 주기의 제1 클록 CLK1에 따라 반전시킨다.
제1 스위치 회로 S1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스위치 SW1과, 한 쌍의 스위치 SW2를 가진다. 일방의 스위치 SW1은 캐패시터 C1p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타방의 스위치 SW2는 캐패시터 C1n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입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일방의 스위치 SW2는 캐패시터 C1p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입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타방의 스위치 SW2는 캐패시터 C1n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제2 스위치 회로 S2는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발광 펄스(12)의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에 각각 오프시킨다. 제2 스위치 회로 S2는 예를 들면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발광 펄스(12)의 절반의 주기의 제2 클록 CLK에 따라 오프시킨다.
제2 스위치 회로 S2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스위치 SW3을 가진다. 일방의 스위치 SW3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3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타방의 스위치 SW3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4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제3 스위치 회로 S3은 제2 스위치 회로 S2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온시킬 때,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오프시킨다. 한편 제3 스위치 회로 S3은 제2 스위치 회로 S2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오프시킬 때,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온시킨다. 제3 스위치 회로 S3은 예를 들면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와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의 온과 오프를 제2 클록 CLK2와 역위상의 제3 클록 CLK3에 따라 반전시킨다.
제3 스위치 회로 S3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스위치 SW4를 가진다. 일방의 스위치 SW4는 캐패시터 C2p와 차동 증폭기(41)의 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타방의 스위치 SW4는 캐패시터 C2n와 차동 증폭기(41)의 비반전 출력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에 직렬로 삽입된 소자이다.
제4 스위치 회로 S4는 제2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를 소정의 기준 전압을 사용하여 초기화한다. 제4 스위치 회로 S4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스위치 SW5를 가진다. 일방의 스위치 SW5는 캐패시터 C2p와 일방의 스위치 SW4 사이의 부위에 기준 전압 VREFp을 인가하는 소자이다. 타방의 스위치 SW5는 캐패시터 C2n와 타방의 스위치 SW4 사이의 부위에 기준 전압 VREFn을 인가하는 소자이다.
도 2는 근접 센서(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있어서 「발광」은 발광 펄스(12)의 발광 주기를 나타내고, 하이 레벨의 구간이 발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로우 레벨의 구간이 발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 SW1~SW4에 있어서 하이 레벨은 그 스위치가 온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내고, 로우 레벨은 그 스위치가 오프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각 스위치가 이와 같이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도시와 같은 출력 전압 VOUT이 생성된다.
도 3은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에 입력되는 차동 전압(전압 VINp, 전압 VINn)과,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의 샘플링 페이즈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은 외란광의 저주파 노이즈가 반사광(13)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에 입력되는 차동 전압(전압 VINp, 전압 VINn)을 나타낸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의 각 샘플링 페이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 1]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1
로 한다. VOS는 차동 증폭기(41)의 오프셋 전압을 나타낸다. VPULSEp는 전압 VINp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의 변동 전압을 나타낸다. VPULSEn는 전압 VINn의 하강 또는 상승 에지에서의 변동 전압을 나타낸다. VNOISE는 외란광의 저주파 노이즈를 나타낸다. 캐패시터 C1p의 캐패시턴스 C1p와, 캐패시터 C1n의 캐패시턴스 C1n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캐패시터 C2p의 캐패시턴스 C2p와, 캐패시터 C2n의 캐패시턴스 C2n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4는 페이즈 1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페이즈 2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페이즈 3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페이즈 4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페이즈 5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에 있어서 「닫힘」는 그 스위치가 닫힌 상태(온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열림」은 그 스위치가 열린 상태(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페이즈 1(초기화)>
도 4는 페이즈 1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즈 1은 물체가 근접하고 있지 않은 무신호시의 상태에 있어서 전단의 오퍼 앰프(21, 31)(도 1 참조)의 출력 오프셋 및 후단의 차동 증폭기(41)의 입력 오프셋 전압을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로 유지하는 샘플링 페이즈를 나타낸다.
페이즈 1에 있어서의 캐패시터 C1p, C1n, C2p, C2n의 전하 Q1은 각각
[수 2]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2
로 표시된다.
또한 Q 또는 V의 우상측에 붙은 숫자는 어느 페이즈인지를 나타내고, Q의 우하측에 붙은 문자는 어느 캐패시터인지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페이즈 1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에 축적된 전하 Q1 C1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 Q1 C2는 각각
[수 3]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3
로 표시된다.
<페이즈 2(제1 샘플링 기간)>
도 5는 페이즈 2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즈 2는 발광 펄스(12)의 상승시에 있어서의 샘플링 페이즈를 나타낸다.
페이즈 2에 있어서의 캐패시터 C1p, C1n, C2p, C2n의 전하 Q2는 각각
[수 4]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4
로 표시된다.
따라서 페이즈 2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에 축적된 전하 Q2 C1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 Q2 C2는 각각
[수 5]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5
로 표시된다.
페이즈 1로부터 페이즈 2로의 천이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를 합친 전하의 총량은 보존된다. 그 때문에
[수 6]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6
식(5)이 성립한다. 따라서 식(1)~(5)으로부터, 페이즈 2에 있어서의 출력 전압 V2 OUT은 식(6)과 같이 표시된다.
<페이즈 3(블랭크 기간)>
도 6은 페이즈 3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즈 3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의 일단을 플로팅으로 하여, 페이즈 2에서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를 유지하는 샘플링 페이즈를 나타낸다. 또 페이즈 3은 한 쌍의 스위치 SW1을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 또한 한 쌍의 스위치 SW2를 열림으로부터 닫힘으로 전환하기 전의 페이즈 3a와, 한 쌍의 스위치 SW1을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 또한 한 쌍의 스위치 SW2를 열림으로부터 닫힘드로 전환한 후의 페이즈 3b로 나뉜다. 그러나 페이즈 3 내에서의 스위치 SW1, SW2의 개폐의 전환 전후에서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의 전하는 변화하지 않는다.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압의 레벨을 반전시키기 전의 페이즈 3a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에 축적된 전하 Q3 C1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 Q3 C2는 각각
[수 7]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7
로 표시된다.
차동 증폭기(41)의 한 쌍의 입력 노드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압의 레벨을 반전시킨 후의 페이즈 3b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에 축적된 전하 Q3' C1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 Q3' C2는 각각
[수 8]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8
로 표시된다.
<페이즈 4(제2 샘플링 기간)>
도 7은 페이즈 4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즈 4는 발광 펄스(12)의 하강시에 있어서의 샘플링 페이즈를 나타낸다.
페이즈 4에 있어서의 캐패시터 C1p, C1n, C2p, C2n의 전하 Q4는 각각
[수 9]
Figure 112017084697398-pat00009
로 표시된다.
따라서 페이즈 4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에 축적된 전하 Q4 C1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 Q4 C2는 각각
[수 10]
Figure 112017084697398-pat00010
로 표시된다.
페이즈 3으로부터 페이즈 4로의 천이에 있어서, 한 쌍의 캐패시터 C1p, C1n와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를 합친 전하의 총량은 보존된다. 그 때문에
[수 11]
Figure 112017084697398-pat00011
식(13)이 성립한다. 따라서 식(6), (9)~(13)으로부터, 페이즈 4에 있어서의 출력 전압 V4 OUT은 식(14)과 같이 표시된다.
여기서 VNOISE는 외란광의 저주파 노이즈(예를 들면, 형광등, LED 조명, 백열 등 등에 포함되는 50 또는 60Hz의 교류 전원에 기인한 저주파 노이즈)가 상정된다. 외란광의 저주파 노이즈의 주파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40)의 샘플링 주파수에 대하여 충분히 작다. 그 때문에 페이즈 2와 페이즈 4의 각 샘플링에서의 VNOISE의 변화량은 식(15)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수 12]
Figure 112017084697398-pat00012
따라서 식(14), (15)으로부터, 페이즈 4에 있어서의 출력 전압 V4 OUT은 식(16)과 같이 표시된다. 즉 페이즈 1~4의 과정에서 출력 전압 VOUT으로부터 VNOISE 및 VOS가 제거된다.
<페이즈 5(블랭크 기간)>
도 8은 페이즈 5에서의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즈 5는 페이즈 3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의 일단을 플로팅으로 하여, 페이즈 4에서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에 축적된 전하를 유지하는 샘플링 페이즈를 나타낸다. 또 페이즈 5는 한 쌍의 스위치 SW1을 열림으로부터 닫힘으로 또한 한 쌍의 스위치 SW2를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 전환하기 전의 페이즈 5a와, 한 쌍의 스위치 SW1을 열림으로부터 닫힘으로 또한 한 쌍의 스위치 SW2를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 전환한 후의 페이즈 5b로 나뉜다. 페이즈 5에서는 페이즈 3에서 개폐를 일단 전환한 스위치 SW1, SW2의 개폐가 다시 전환되고, 스위치 SW1, SW2의 개폐 상태가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페이즈 5 내에서의 스위치 SW1, SW2의 개폐의 전환 전후에서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의 전하는 변화하지 않는다.
<페이즈 2' 이후의 페이즈>
페이즈 2' 이후의 페이즈는 페이즈 2~5를 1세트(1샘플링 주기)로 하여, 발광 펄스(12)의 지정된 펄스수와 동일한 횟수 반복된다. 발광 펄스(12)의 지정된 펄스수를 n으로 한 경우, 최종적인 n회째의 출력 전압 VOUT
[수 13]
Figure 112017084697398-pat00013
로 표시된다.
이상, 근접 센서를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와의 조합이나 치환 등의 각종 변형 및 개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광 소자는 포토다이오드 이외의 다른 광전 소자여도 되고, 예를 들면 포토트랜지스터여도 된다.
또 근접 센서가 탑재되는 제품은 휴대형 정보 기기 이외의 다른 제품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자동차나 가전 기기 등이어도 된다.
또 감지 대상의 물체는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인체의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봉 또는 터치펜 등의 조작 입력 보조구여도 된다.
1…근접 센서
10…수광 소자
11…발광 소자
12…발광 펄스
13…반사광
20…변환 회로
30…차동 변환 회로
40…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41…차동 증폭기
C1p, C1n…제1 한 쌍의 캐패시터
C2p, C2n…제2 한 쌍의 캐패시터
S1…제1 스위치 회로
S2…제2 스위치 회로
S3…제3 스위치 회로
S4…제4 스위치 회로

Claims (6)

  1. 발광 펄스가 물체에 반사함으로써 도래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로서,
    상기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상기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른 크기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차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동 변환 회로와,
    상기 차동 변환 회로의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상승 기간에 샘플링한 값으로부터, 상기 출력 차동 전압을 상기 발광 펄스의 하강 기간에 샘플링한 값을 감산하는 차동 구성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구비하는 근접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는
    차동 증폭기와,
    제1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차동 증폭기의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상기 차동 증폭기의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제2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제1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를 서로 각각 접속하는 제1 스위치 회로로서, 상기 제1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 사이의 접속 관계를 상기 발광 펄스의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에 각각 반전시키는 제1 스위치 회로와,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를 서로 각각 접속하는 제2 스위치 회로로서,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상기 발광 펄스의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에 각각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회로가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온시킬 때, 상기 제2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 회로가 상기 한 쌍의 입력 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오프시킬 때, 상기 제2 한 쌍의 캐패시터와 상기 한 쌍의 출력 노드 사이의 접속을 온시키는 제3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한 쌍의 캐패시터를 초기화하는 제4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펄스는 적외광의 펄스이며,
    상기 수광 소자는 포토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펄스를 출력하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KR1020170111136A 2016-09-29 2017-08-31 근접 센서 KR102279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2281A JP6908819B2 (ja) 2016-09-29 2016-09-29 近接センサ
JPJP-P-2016-192281 201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66A KR20180035666A (ko) 2018-04-06
KR102279479B1 true KR102279479B1 (ko) 2021-07-20

Family

ID=6168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36A KR102279479B1 (ko) 2016-09-29 2017-08-31 근접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6414B2 (ko)
JP (1) JP6908819B2 (ko)
KR (1) KR102279479B1 (ko)
CN (1) CN107888176B (ko)
TW (1) TWI735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1447B2 (en) 2018-01-29 2021-02-16 Rohm Co., Ltd. Control circuit of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KR102523383B1 (ko) 2018-11-16 2023-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 센서가 내장된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9632266B (zh) * 2019-01-28 2021-04-16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靠近接近开关的检测方法及相关装置
US11116059B2 (en) 2019-04-30 2021-09-07 Sensortek Technology Corp. Proximity sensor operating method and proximity sensor applying the method
CN110376568A (zh) * 2019-08-13 2019-10-25 北京雷瑟瑞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激光雷达的接收组件及系统
KR102489362B1 (ko) * 2021-04-12 2023-0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접 센싱을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439A (ja) 2008-05-28 2009-12-10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相関二重サンプリング回路
US20160079447A1 (en) 2014-09-11 2016-03-17 Ams Ag Optical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nalog output signal
US20160133668A1 (en) 2014-08-08 2016-05-12 Quantum-Si Incorporated Integrated device for temporal binning of received phot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5395A (ja) * 1991-11-21 1993-06-11 Omron Corp 光電スイツチ
JP3381282B2 (ja) * 1992-11-06 2003-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スイッチ
JP2008306405A (ja) * 2007-06-06 2008-12-1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486386B1 (en) * 2007-09-21 2009-02-03 Silison Laboratories Inc. Optical reflectance proximity sensor
JP2009229302A (ja) * 2008-03-24 2009-10-08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センサ回路
DE102008018718B4 (de) * 2008-04-14 2010-02-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Optischer Abstandsmesser und Verfahren zur optischen Abstandsmessung
JP2010049608A (ja) * 2008-08-25 2010-03-04 Seiko Instruments Inc 近接検出装置および近接検出方法
JP2011089966A (ja) * 2009-10-26 2011-05-06 Sharp Corp 光パルス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US8502153B2 (en) * 2009-11-20 2013-08-0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rosstalk measurement and cancellation in optical proximity sensors
CN102297688A (zh) * 2010-06-25 2011-12-28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交叉采样电荷二次求和的全差分电容读出电路
JP2012037439A (ja) * 2010-08-10 2012-02-23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静電容量検出回路
US8599053B2 (en) * 2010-12-22 2013-12-0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witched-capacitance gain amplifier with improved input impedance
JP5901889B2 (ja) * 2011-04-26 2016-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センサ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話ならびにデジタルカメラ
KR101318447B1 (ko) * 2012-03-20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와 그 더블 샘플링 방법
KR101659789B1 (ko) * 2013-11-26 2016-09-26 셈테크 코포레이션 근접 검출을 위한 용량성 감지 인터페이스
JP2015141555A (ja) * 2014-01-29 2015-08-03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合同会社 タッチ検出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半導体集積回路
US9733731B2 (en) * 2014-05-12 2017-08-15 Atmel Corporation Timing synchronization of active stylus and touch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439A (ja) 2008-05-28 2009-12-10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相関二重サンプリング回路
US20160133668A1 (en) 2014-08-08 2016-05-12 Quantum-Si Incorporated Integrated device for temporal binning of received photons
US20160079447A1 (en) 2014-09-11 2016-03-17 Ams Ag Optical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nalog output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66A (ko) 2018-04-06
TW201814323A (zh) 2018-04-16
CN107888176B (zh) 2023-07-28
US20180088217A1 (en) 2018-03-29
JP6908819B2 (ja) 2021-07-28
CN107888176A (zh) 2018-04-06
US10126414B2 (en) 2018-11-13
TWI735657B (zh) 2021-08-11
JP2018056852A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479B1 (ko) 근접 센서
US8692200B2 (en) Optical proximity sensor with improved dynamic range and sensitivity
US9608132B2 (en) Optical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nalog output signal
JP5209066B2 (ja) センサ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99604B1 (ko) 오프셋 보상을 갖는 광학 근접 센서
JP5823624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センサ装置、携帯電話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KR20140106586A (ko) 정전용량 센서 인터페이스 및 방법
JP2013502787A (ja) 光を受光するための受光器および光電子測定装置
US10758134B2 (en) Sensor, sensor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22256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11464416B2 (en) Measurement circuit,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instrument
CN113597716A (zh) 温度传感器、激光电路、光检测和测距系统及方法
KR101800205B1 (ko) 광화학 센서 리드아웃을 위한 아날로그 연산증폭기 기반의 펄스폭변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화학 센서 시스템
CN117083804A (zh) 光学接近传感器
CN113228516A (zh) 用于暗计数消除的传感器装置和方法
WO2000033038A1 (fr) Photodetecteur
JP2007228054A (ja) 光学式反射型センサ用受光回路
US20220255536A1 (en) Differential current-to-voltage conversion
US11996818B2 (en) Differential current-to-voltage conversion
KR101295795B1 (ko) 광원의 광량 증감을 검출하는 센서
US8624666B2 (en) Interleaved noise reduction circuit and method
CN115708000A (zh) 接近传感器及电子机器
KR20160028620A (ko) 전위 레벨 쉬프터를 갖는 셀프 커패시턴스 리드아웃 프론트엔드 장치
EP1951858A1 (en) Test strip reade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