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686B1 - 터미널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686B1
KR102276686B1 KR1020200171458A KR20200171458A KR102276686B1 KR 102276686 B1 KR102276686 B1 KR 102276686B1 KR 1020200171458 A KR1020200171458 A KR 1020200171458A KR 20200171458 A KR20200171458 A KR 20200171458A KR 102276686 B1 KR102276686 B1 KR 102276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ousing
winding
terminal
dru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석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04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involving layout of production or storage fac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1Core or mandr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5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미널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터미널 와인딩 장치는 터미널의 권취작업이 가능한 작업부재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권취작업에 사용되는 보빈이 수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며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보빈이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부재에 장착된 보빈에 상기 권취작업이 수행되도록 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인덱스 유닛 및 소정 범위의 공간 내에서 3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인덱스 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권취작업에 사용되는 보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 와인딩 장치{APPARATUS FOR WINDING FOR TERMINAL}
본 발명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방식의 터미널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의 각종 전자제품에 조립됨으로써, 그들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매우 복잡하게 형성된 회로의 전기적 신호를 총체적으로 연결하거나 그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소켓(Socket)과 플러그(Plug)로 구성된 전자커넥터(Electronic connector)가 사용됨이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각 소켓과 플러그에는 복잡한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Terminal)가 결합된다.
단자는 극히 소형의 크기여서 낱개로 생산 시 그 취급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프레스 금형에 따른 성형공정을 통해 다수의 단자들이 병렬로 이웃하도록 스탬프 형태로 연결된 단자체로서 제공되며, 단자체로부터 단자들을 떼어내 전술한 소켓이나 플러그의 각 슬롯에 끼워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자커넥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단자체는 포장을 위한 릴(보빈)에 간지와 함께 말려 권취되는 바, 이를 위한 종래의 단자체 와인더는 릴, 거치원판,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단자체 와인더를 이용한 단자체의 권취공정에 있어서, 포장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권취량이 정해진 릴에 소정 길이의 단자체와 간지가 감겨지게 되면 외부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단자체 와인더를 정지시킨 후 완성된 릴을 이송하고 나서 새로운 릴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과정에 대한 번거로움 및 작업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820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빈이 장착되는 인덱스 유닛이 회전 구동되는 위치에 따라 권취작업, 마감작업 및 테이핑작업 등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와인딩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터미널 와인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봇암 형태로 구현된 이송 유닛의 흡착형 엔드 이펙터에 의해 보빈의 자동 장착 및 자동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공정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한 터미널 와인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미널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터미널 와인딩 장치는 터미널의 와인딩작업이 가능한 작업부재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와인딩작업에 사용되는 보빈이 수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며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보빈이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부재에 장착된 보빈에 상기 와인딩작업이 수행되도록 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인덱스 유닛 및 소정 범위의 공간 내에서 3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인덱스 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와인딩작업에 사용되는 보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공보빈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이 수납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 유닛은 다수의 관절부로 이루어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덱스 유닛으로 상기 공보빈을 이송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위치인 제(1-1) 위치에서 상기 공보빈을 상기 드럼부재에 장착시키거나 상기 드럼부재로부터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을 분리하고, 상기 인덱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로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을 이송하되, 상기 제(1-1)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인 제(1-2) 위치에서 이송된 완성보빈을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럼부재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보빈이 장착된 드럼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는 위치인 제(2-1) 위치에서 상기 공보빈에 터미널의 권취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제(2-1)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위치인 제(2-2) 위치에서 상기 권취작업이 수행된 보빈의 마감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제(2-2)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위치인 제(2-3) 위치에서 상기 마감작업이 수행된 보빈의 테이핑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에는 보빈이 적재되는 적재판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판은 보빈의 적재량에 따라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빈이 장착되는 인덱스 유닛이 회전 구동되는 위치에 따라 권취작업, 마감작업 및 테이핑작업 등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와인딩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봇암 형태로 구현된 이송 유닛의 흡착형 엔드 이펙터에 의해 보빈의 자동 장착 및 자동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와인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적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유닛 및 인덱스 유닛에 의한 보빈의 와인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와인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적재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3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유닛(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와인딩 장치(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미널을 보빈(10)에 와인딩작업 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100), 인덱스 유닛(200) 및 이송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터미널의 와인딩작업이 가능한 작업부재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110)과 와인딩작업에 사용되는 보빈(10)이 수납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둘레를 따라 와인딩작업이 가능한 작업부재, 예컨대 보빈(10)에 터미널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재(도 5c의 "20a" 참조), 보빈(10)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도 5d의 "20b" 참조), 보빈을 테이핑하기 위한 테이핑부재(도 5e의 "20c" 참조) 및 보빈(10)에 바코드를 인쇄하기 위한 바코딩부재(도 5e의 "20c" 참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보빈이 장착되는 인덱스 유닛(200)이 구비되어 전술한 작업부재에 의해 와인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인딩작업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h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 내 인덱스 유닛(200)으로 또는 인덱스 유닛(200)으로부터 보빈(1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제1 하우징(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보빈(10)이 수납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120)은 와인딩작업이 수행되기 전의 공보빈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122) 및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이 수납되는 제2 수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122) 및 제2 수납부(124)에는 보빈(10)이 적재되는 적재판(126)이 구비될 수 있다. 적재판(126)에는 보빈(10)의 적재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재판(126)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보빈(10)의 적재량에 따라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보빈(10)의 적재량이 적을 경우 적재판(126)은 승강할 수 있고,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보빈(10)의 적재량이 많을 경우 적재판(126)은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트잭 형태의 구동장치가 결합되어 적재판(126)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잭의 구동은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력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기어 또는 회전 가능한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리프트잭에 구비되는 링크부재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적재판(126)의 승하강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수납부(122) 및 제2 수납부(124)에 구비되는 적재판(126)은 독립적으로 승하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이송 유닛(300)이 보빈(10)을 그립하기 위해 이동하는 시간을 줄여 전체적인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적재판(126)에 적재되는 보빈(10)의 적재량이 초과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로 보빈(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덱스 유닛(200)은 제1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보빈(10)이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부재는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양측에 보빈이 모두 장착되거나 일측에만 보빈이 장착될 수 있다.
인덱스 유닛(200)은 작업부재에 의해 드럼부재에 장착된 보빈(10)에 와인딩작업이 수행되도록 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부재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덱스 유닛(200)은 드럼부재의 회전 위치 별로 제1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작업부재에 의해 서로 다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드럼부재가 제2 하우징(120)과 마주하는 제1 하우징(110)의 둘레면을 회전의 시작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90도씩 회전하면서 제1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마련된 각각의 작업부재에 의해 권취작업, 마감작업 및 테이핑작업이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송 유닛(300)은 제2 하우징(120)에 마련되며 소정 범위의 공간 내에서 3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송 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절부로 이루어진 아암을 포함함으로써 로봇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송 유닛(300)은 인덱스 유닛(20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서 와인딩작업에 사용되는 보빈(10)을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유닛(300)의 아암 일측에는 보빈(10)을 그립하기 위한 엔드 이펙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유닛(300)은 제2 하우징(120)의 제1 수납부(122)에 수납된 공보빈을 그립 후 이동 및 회전하여 인덱스 유닛(200)의 드럼부재에 장착시킬 수 있고, 와인딩작업이 종료되면 인덱스 유닛(200)의 드럼부재로부터 완성보빈을 분리 후 이동 및 회전하여 제2 하우징(120)의 제2 수납부(124)에 수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인덱스 유닛(200) 및 이송 유닛(3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 와인딩 장치(1)에 별도로 마련되는 제어 유닛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터미널 와인딩 장치(1)는 도 1의 a열 및 b열을 포함하는 2열의 멀티 장치로 구성되어, 동시에 2대의 인덱스 유닛(200) 및 이송 유닛(300)을 통해 터미널 와인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h를 참조하여 이송 유닛(300) 및 인덱스 유닛(200)에 의한 보빈(10)의 와인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300)은 제1 수납부(122)에 수납된 공보빈(10a)을 그립할 수 있다. 이때, 이송 유닛(300)은 제1 하우징(110)을 향하는 위치인 제(1-1)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인 제(1-2) 위치에서 다수의 아암을 구동시켜 공보빈(10a)을 그립할 수 있다.
이후, 도 5b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300)은 제(1-2) 위치에서 제(1-1) 위치로 이동 및 회전하여 제1 수납부(122)로부터 인덱스 유닛(200)으로 공보빈(10a)을 이송하되, 제(1-1) 위치에서 공보빈(10a)을 드럼부재의 일측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5c를 참조하면, 일측에 공보빈(10a)이 장착된 드럼부재가 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여 제1 하우징(110)의 일측인 제1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1) 위치를 향하게 되며, 제(2-1) 위치에서 공보빈(10a)에 대한 터미널의 권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1)위치와 대응하는 제1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권취부재(2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후, 도 5d를 참조하면, 드럼부재가 다시 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여 제1 하우징(110)의 제2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2) 위치를 향하게 되며, 제(2-2) 위치에서 권취작업이 완료된 보빈(10b)의 마감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2)위치와 대응하는 제1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마감부재(20b)가 마련될 수 있다.
이후, 도 5e를 참조하면, 드럼부재가 다시 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여 제1 하우징(110)의 제3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3) 위치를 향하게 되며, 제(2-3) 위치에서 마감작업이 완료된 보빈(10c)의 테이핑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제(2-3) 위치에서는 테이핑작업 이외에 보빈의 라벨링작업 또는 바코딩작업 등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3)위치와 대응하는 제1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테이핑부재(20c), 라벨링부재(20c) 및 바코딩부재(20c)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이후, 도 5f를 참조하면, 드럼부재가 다시 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여 테이핑작업이 완료된 보빈(10d)이 제1 하우징(110)의 제4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4) 위치를 향하면서 와인딩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2-4) 위치는 제(1-1) 위치와 평행할 수 있다.
이후, 도 5g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300)은 제(1-1) 위치에서 드럼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10d)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도 5h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300)은 제(1-1) 위치에서 제(1-2) 위치로 이동 및 회전하여 제2 수납부(124)로 완성보빈(10d)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부재의 일측에 보빈이 장착된 상태에서 한 바퀴 회전하여 와인딩작업이 1회 완료된 후 새로운 보빈이 드럼부재의 일측에 다시 장착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드럼부재의 양측에 보빈을 장착시켜 진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d의 과정에서 드럼부재의 일측이 제1 하우징(110)의 제2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2) 위치에서 마감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드럼부재의 타측은 제1 하우징(110)의 제4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4) 위치를 향할 수 있다.
이때, 이송 유닛(300)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보빈을 드럼부재의 타측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후, 드럼부재가 90도 회전하면 드럼부재의 일측은 제1 하우징(110)의 제3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3) 위치에서 테이핑작업이 수행되고, 드럼부재의 타측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둘레면을 향하는 위치인 제(2-1) 위치에서 권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부재의 양측에 보빈을 모두 장착하여 와인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2열의 와인딩장치 모두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총 4개의 보빈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빈이 장착되는 인덱스 유닛이 회전 구동되는 위치에 따라 권취작업, 마감작업 및 테이핑작업 등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와인딩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봇암 형태로 구현된 이송 유닛의 흡착형 엔드 이펙터에 의해 보빈의 자동 장착 및 자동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터미널 와인딩 장치
10 : 보빈
10a : 공보빈
10b : 권취작업이 완료된 보빈
10c : 마감작업이 완료된 보빈
10d : 테이핑작업이 완료된 보빈, 완성보빈
20a : 권취부재
20b : 마감부재
20c : 테이핑부재, 라벨링부재, 바코딩부재
100 : 하우징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22 : 제1 수납부
124 : 제2 수납부
126 : 적재판
200 : 인덱스 유닛
300 : 이송 유닛

Claims (5)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미널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터미널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터미널의 와인딩작업이 가능한 작업부재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와인딩작업에 사용되는 보빈이 수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며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보빈이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부재에 장착된 보빈에 상기 와인딩작업이 수행되도록 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인덱스 유닛; 및
    소정 범위의 공간 내에서 3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인덱스 유닛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보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공보빈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이 수납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다수의 관절부로 이루어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덱스 유닛으로 상기 공보빈을 이송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위치인 제(1-1) 위치에서 상기 공보빈을 상기 드럼부재에 장착시키거나 상기 드럼부재로부터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을 분리하고,
    상기 인덱스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수납부로 상기 와인딩작업이 완료된 완성보빈을 이송하되, 상기 제(1-1)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인 제(1-2) 위치에서 이송된 완성보빈을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와인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재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보빈이 장착된 드럼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는 위치인 제(2-1) 위치에서 상기 공보빈에 터미널의 권취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제(2-1)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위치인 제(2-2) 위치에서 상기 권취작업이 수행된 보빈의 마감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제(2-2)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위치인 제(2-3) 위치에서 상기 마감작업이 수행된 보빈의 테이핑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와인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에는 보빈이 적재되는 적재판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판은 보빈의 적재량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와인딩 장치.
KR1020200171458A 2020-12-09 2020-12-09 터미널 와인딩 장치 KR10227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58A KR102276686B1 (ko) 2020-12-09 2020-12-09 터미널 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58A KR102276686B1 (ko) 2020-12-09 2020-12-09 터미널 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86B1 true KR102276686B1 (ko) 2021-07-13

Family

ID=7685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458A KR102276686B1 (ko) 2020-12-09 2020-12-09 터미널 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6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185B1 (ko) * 2000-07-13 2002-03-28 정생규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KR100878204B1 (ko) 2008-08-05 2009-01-13 주식회사 월드비씨 동선 압연기의 권취장치
KR20160148018A (ko) * 2014-05-26 2016-12-23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스트립 재료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KR102093868B1 (ko) * 2019-08-30 2020-03-26 (주)제이아이티 높이 조절형 가공 철근 다단 적재 리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 철근 가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185B1 (ko) * 2000-07-13 2002-03-28 정생규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KR100878204B1 (ko) 2008-08-05 2009-01-13 주식회사 월드비씨 동선 압연기의 권취장치
KR20160148018A (ko) * 2014-05-26 2016-12-23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스트립 재료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KR102093868B1 (ko) * 2019-08-30 2020-03-26 (주)제이아이티 높이 조절형 가공 철근 다단 적재 리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 철근 가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5219B1 (en) Automatic component loading system
CN107924862B (zh) 基板移载装置
US5740602A (en) Wire harness assembly system
WO2021025019A1 (ja)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US20150016927A1 (en) Bobbin Changing Device
US11984332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charging substrate-like sensor
JP2020523780A (ja) 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ハンドリング装置のためのハンドリング方法
KR102276686B1 (ko) 터미널 와인딩 장치
JP2022502843A (ja) 真空把持器、供給ユニット及び平面的構成部品を移送する方法
CN115366158A (zh)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机械手及控制方法
US202400511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 rotor stack for an electric motor
CN110977378B (zh) 供料机构和点胶装置
CN116116732B (zh) 一种光模块自动测试设备及其检测方法
KR20090099731A (ko) 반도체 모듈 핸들링 시스템
KR102441451B1 (ko) 반송 시스템, 반송 장치 및 모듈
KR20200061114A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운반 로봇
CN113939461A (zh) 利用无线通信的升降架
CN100431131C (zh) 被处理体的输送系统和被处理体的输送方法
EP1072516A1 (en) Unit for transferring packing material, e.g. stacks of blanks, to a cigarette packaging machine
JPH1053332A (ja) 板状部材搬送装置
TW201931683A (zh) 用於使用一匣之自動機器人線纜連接器總成之系統及方法
CN220329334U (zh) 转盘式多工位镜头检测设备
CN219859453U (zh) 一种自动转板机
EP3774617B1 (en) Device for handling reels
TWI835042B (zh) 用以更換捲盤的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