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185B1 -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185B1
KR100330185B1 KR1020000040286A KR20000040286A KR100330185B1 KR 100330185 B1 KR100330185 B1 KR 100330185B1 KR 1020000040286 A KR1020000040286 A KR 1020000040286A KR 20000040286 A KR20000040286 A KR 20000040286A KR 100330185 B1 KR100330185 B1 KR 10033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unmanned
winding
wind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836A (ko
Inventor
이규남
Original Assignee
정생규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생규,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생규
Priority to KR102000004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1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신,연선기의 권취기에 공스풀을 자동으로 투입하고 권취가 완료된 만권 스풀을 자동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스풀의 운반이 무인 운반차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은, 광센서의 수광소자가 장착된 무인 운반차가 스풀 스테이션과 신,연선기의 권취기 사이에 설치된 무한궤도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신,연선기의 각 권취기마다 스풀의 와이어 권취상태를 파악하여 만권 스풀의 배출시점 및 공스풀 투입시점 도달시 권취기에 구비된 광센서의 발광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의 이동중 수광소자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당해 권취기의 전방에서 무인 운반차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에 실린 공스풀을 권취기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권취기의 만권 스풀을 무인 운반차로 옮겨서 적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만권 스풀이 적재된 무인 운반차를 스풀 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 만권 스풀 적재랙으로의 배출 및 공보빈 적재랙으로부터 공보빈의 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와이어 신,연선기의 권취기로 공급되는 공보빈의 운반 및 투입과, 권취 완료된 만권 보빈의 배출과 운반이 무인 운반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종래에 상기의 작업에 필요로 하던 인력을 대폭적으로 줄이거나 아예 무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과 그 장치{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pool on or from take-up device of wire twisting and drawing machine, and its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신,연선기의 권취기에 공스풀을 자동으로 투입하고 권취가 완료된 만권 스풀을 자동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스풀의 운반이 무인 운반차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와이어 로드를 단계적으로 신선하여 길이의 증가와 함께 소정의 직경으로 연신시키는 신선기나, 여러 가닥의 신선선을 꼬아서 일정한 피치로 연선되도록 하여 고무제품 보강용 스틸코드 등을 제작하는 연선기에서 최종적으로 신선, 또는 연선되어 나오는 와이어 제품은 신선기나 연선기의 일측에 구비된 권취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스풀(또는 보빈)에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신선기의 권취기에 장착되어 신선선의 권취가 이루어지게 되는 원통형 릴은 "보빈"으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연선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신선선이 꼬여져 나온 연선을 권취하는 데 사용되는 원통형 링은 "스풀"로 구분되어 불리워지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보빈"과 "스풀"이 동의어로서 혼용되고 있기도 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신선기에서의 "보빈"과 연선기에서의 "스풀"을 따로이 구분하지 않고 이들 두 부재에 대하여 "스풀"이라는 공통된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에서 "스풀"이라함은 "보빈"과 "스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타이어, 콘베이어 벨트, 타이밍 벨트 및 고압 호스 등의 보강재로 사용되고 있는 스틸코드는 신선기를 이용하여 신선되어 나온 신선선 여러 가닥을 연선기에서 연선시킴에 의해서 제작되는 데, 이러한 신선공정 및 연선공정의 수행을 위해서는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틸코드 제조비용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스틸코드 제조업체에서는 제품의 원가절감을 위하여 한 사람의 작업자가 관리할 수 있는 신,연선기의 대수를 확대하거나 작업자를 필요로 함이 없이 자동적으로 공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스틸코드 제조라인의 성력화의 하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특허 제108997호) "신,연선기의 와이어 권취장치"가 알려지고 있는 바, 동 특허는 종래 신,연선기의 권취기에서 하나의 스풀만이 장착되어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짐에 따라 빈번한 스풀의 교체를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한 작업자가 관리할 수 있는 신,연선기의 대수가 한정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풀이 결합된 다단 스풀(또는 스풀 조립체)이 권취기에 장착되고, 그 다단 스풀 모두에 와이어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 비로서 스풀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을 두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를 바탕으로 하여 스풀 조립체의 교체시 그 공급 및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풀 조립체의 교체작업시 소요되는 인력의 대폭적인 절감과 신,연선기의 연속가동 시간의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한 "스틸코드 권취 구동 시스템"이 역시 본원인에 의해 선출원(출원번호: 1998년 특허출원 제53348호)된 바 있다.
상기 본원인에 의해 선등록 또는 선출원된 기술에 의해 신,연선기의 권취기에서 스풀의 교체시 소요되는 인력이 상당히 감소되고 또한 연속작업이 가능해진 면이 있기는 하나, 이들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공스풀을 운반하여 권취기에 공급하는 과정과 권취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스풀 조립체를 대차에 실어 검사실이나 포장실 등의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과정은 여전히 인력에 의존하고 있음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특히, 권취가 완료된 스풀 또는 스풀 조립체는 상당한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작업자가 중량체로서의 만권된 스풀을 다루는 데에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 신선 설비나 연선 설비에 있어서, 각 신선기나 연선기의 권취기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는 스풀(또는 스풀 조립체)의 현재 권취 상태를 계속적으로 체크하여 적절한 시점에 권취기로 공스풀의 공급 및 만권된 스풀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기로의 공스풀 운반 및 권취기로부터 배출된 만권 스풀의 운반은 스풀 스테이션과 신,연선기 사이에 놓여진 무한궤도를 순환하는 무인 운반차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리 표현하면, 공스풀과 만권 스풀이 적재되는 스풀 스테이션과 여러 대의 신선기 또는 연선기 사이를 무인 운반차가 순환하면서 각 권취기의 스풀 권취상태를 파악해 내어 그때 그때 권취기로의 스풀 공급 및 만권 스풀의 무인 운반차로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공스풀 및 만권 스풀을 운반하거나 운반된 스풀을 권취기로 진입시키는 공정 및 권취완료된 스풀을 운반차에 적재시키는 등의 일련의 작업이 작업자 없이도 또는 최소한의 작업자만으로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성력화 내지는 무인화를 달성하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스틸코드 제조비용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데에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방법 수행에 적합하게 설계된 신,연선 설비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무인 운반차와 권취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에 대한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운반차의 정면도.
도5의 (가),(나)는 도4에 도시된 무인 운반차의 만권 스풀 적재부 받침판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가)는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나)는 일부절결 평면도이다.
도6의 (가),(나)는 도5에 도시된 받침판의 회동에 의한 스풀의 이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가)는 권취기로부터 받침판위로 스풀이 이동되어 안착되는 과정이고,
(나)는 받침판상에 안착된 만권 스풀이 스풀 스테이션으로 배출되는 과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신,연선기 2. 권취기
3. 스풀 스테이션 3a.공스풀 적재랙
3b. 만권 스풀 적재랙 4. 무한궤도
5. 무인 운반차 6. 공스풀 적재부
6a. 받침판 6c. 모터
7. 만권 스풀 적재부 7a. 받침판
7c. 모터 8,9. 실린더
8a, 9a. 스톱퍼 FS. 만권 스풀
ES. 공스풀
본 발명의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방법은, 수광소자가 장착된 무인 운반차가 스풀 스테이션과 신,연선기의 권취기 사이에 설치된 무한궤도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각 권취기마다 스풀의 와이어 권취상태를 파악하여 만권 스풀의 배출시점 도달시 발광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의 이동중 수광소자를 통해 발광소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당해 권취기의 전방에서 무인 운반차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에 실린 공스풀을 권취기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권취기의 만권 스풀을 무인 운반차에 적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만권 스풀이 적재된 무인 운반차를 스풀 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 만권 스풀의 적재랙으로의 배출 및 공보빈의 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방법 수행에 적합한 장치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 장치는, 공스풀 적재랙과 만권 스풀 적재랙이 구비된 스풀 스테이션과, 권취기가 통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신,연선기와, 상기 스풀 스테이션과 권취기 사이에 설치된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하며 광센서의 수광소자가 구비된 무인 운반차와, 신,연선기의 권취기에서의 현재 와이어 권취상태에 따라 발광되는 광센서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스풀 스테이션과 신,연선기 설치공간의 바닥통로에 설치되는 무한궤도로는 레일, 콘베이어 또는 무인차 유도용 자기 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운반차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재함은 공스풀 적재부와 만권 스풀 적재부의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각에 공스풀과 만권 스풀이 적재되도록 구성되며, 이들 적재부로의 스풀 자동 이송과 배출을 위해 적재부의 바닥판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무인 운반차의 구동제어 및 상기 적재부 바닥판의 회동제어는 무인 운반차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자동으로 수행되어진다.
한편, 신,연선기에는 통상적으로 권취기 제어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현재 권취기의 공스풀 및 만권 스풀의 와이엉 권취상태를 인식해 내어 공스풀의 투입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는 만권 스풀의 배출시점과도 일치할 것임)에 광센서의 발광소자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같이 발광소자가 동작되어 빛을 발광하게 되면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중에 있던 무인 운반차의 수광소자에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투광되어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같이, 수광소자에 빛의 투광이 감지되면 무인 운반차는 당해 권취기 앞에 정지한 상태에서 적재부의 각 바닥판을 경사회동시켜 공스풀을 권취기로 공급함과 아울러 권취기의 만권 스풀을 적재부로 받아들인 후 스풀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방법 수행에 적합하게 설계된 신,연선 설비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 대의 신,연선기(1)가 설치된 공간의 일측으로 스풀 스테이션(3)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연선기(1)는 이들 각각에 구비된 권취기(2)가 통로측을 향하도록, 다시말하면, 통로를 중심으로 권취기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상기 스풀 스테이션(3)은 재고품 창고 또는 검사·포장실로서 공스풀이 적재된 공스풀 적재랙(3a)과 만권 스풀이 재치될 만권 스풀 적재랙(3b)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스풀 스테이션(3)과 신,연선기(1) 설치부 통로 사이에는 무한궤도(4)가 설치되며, 그 무한궤도를 따라 무인 운반차(5)가 운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한궤도(4)는 모든 신,연선기(1)의 권취기(2) 앞을 통과함과 아울러 스풀 스테이션(3)의 공스풀 적재랙(3a)과 만권 스풀 재치랙(3b) 부근도 통과하도록 설계되어진다. 무한궤도(4)는 레일, 콘베이어 또는 무인차 유도용 자기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풀 스테이션(3)의 공스풀 적재랙(3a)은 무한궤도(4)측 단부측을 향한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스풀이 항시 전방으로 쏠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만권 스풀 적재랙(3b)은 반대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 적재되는 만권 스풀은 항시 후방으로 쏠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무인 운반차와 권취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무인 운반차(5)의 후방 적재함은 아랫쪽의 공스풀 적재부(6)와 그 윗쪽의 만권 스풀 적재부(7)로 이루어진 두 영역으로 구획되어 이들 적재부(6)(7)로 공스풀(ES)과 만권 스풀(FS)이 적재되어 진다.
이때, 도3에서와 같이 상기 공스풀 적재부(6)의 받침판(6a) 높이는 권취기(2)의 공스풀 투입구 바닥면(2a) 외측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상기 만권 스풀 적재부(7)의 받침판(7a)은 권취기(2)의 상면(2b)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공스풀 투입구 바닥면(2a)은 내부를 향해 하향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곳에 실린더(8)로 구동되는 스톱퍼(8a)가 설치되어 공스풀 투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공스풀(ES)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2)의 상면(2a)은 전방 단부를 향해 약간 하향경사진 면으로 구성되며, 실린더(9)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9a)가 구비되어 권취완료된 만권 스풀(FS)이 상면(2a)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공스풀 적재부(6)와 만권 스풀 적재부(7)는 권취기 대향면이 터진 상태이고 그 이외의 면은 가로부재(6b)(7b)로 둘러싸인 구성을 취하고 있다.
한편,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운반차의 정면도이고, 도5의 (가),(나)는 도4에 도시된 무인 운반차의 받침판 구조 일부절결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공스풀 적재부(6)의 받침판(6a)과 만권 스풀 적재부(7)의 받침판(7a)은 양자 공히 소형 감속 제어용 모터(6c)(7c)의 구동에 의해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판(6a)(7a)은 원래의 수평상태로부터 모터(6c)(7c)의 구동에 의해 권취기(2)를 향하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거나 반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됨에 따라 그 위에 놓여지는 스풀은 받침판의 경사상태에 따라 이동방향이 바뀌게 된다. 도5에서 10은 모터축과 받침판 회전축(11)을 이어주는 커플링이고, 12는 베어링이며, 13은 받침판(6a)(7a)상에 놓여지는 스풀(ES, FS)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신,연선기의 각 권취기로 공스풀이 자동 투입되는 과정과 권취기에서 권취완료된 만권 스풀이 자동으로 배출되어 스풀 스테이션으로 운반,보관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인 운반차(5)는 공스풀 적재부(6)에 공스풀(ES)을 적재한 상태로 무한궤도(4)를 따라 일정하게 저속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때 신,연선기의 권취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만권 스풀(FS)의 배출시점 내지는 공스풀(ES)의 투입시점에 다다른 것으로 인식하여 광센서의 발광소자(도면 미도시)를 동작시키게 되고, 그러한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무인 운반차(5)에 설치된 광센서의 수광소자(도면 미도시)에 수광되어 감지가 이루어지게 되면 무인 운반차는 발광소자가 동작중인 권취기(2)의 앞에서 정지하게 된다.
권취기(2)의 발광소자가 동작하게 되는 구체적인 일예로는, 도3에서와 같이 만권 스풀(FS)이 권취기(2)의 상면중 최외측에 설치된 스톱퍼(9a)에 걸려 있을 경우 권취기의 피엘씨(PLC)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권취기의 전방에 설치된 광센서의 발광소자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무인 운반차(5)가 권취기(2)의 전방에 정지하게 되면 권취기 상면(2a)의 최외측 실린더(9)가 동작하여 스톱퍼(9a)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면(2a)은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스톱퍼(9a)에의한 괘지상태로부터 해제된 만권 스풀(FS)는 경사상 상면(2a)을 따라 굴러 전방의 만권 스풀 적재부(7)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만권 스풀(FS)이 무인 운반차(5)의 만권 스풀 적재부(7)의 받침판(7a)으로 놓여지게 되면 받침판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도면 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무인 운반차 제어 프로그램으로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그 제어 프로그램은 모터(7c)로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6의 (가)에서와 같이 받침판(7a)의 권취기(2)측 단부를 향해 상향경사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받침판(7a) 위의 만권 스풀(FS)이 확실한 적재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무인 운반차(5)의 공스풀 적재부(6)에 실려서 운반되어온 공스풀(ES)은 이를 받치고 있는 받침판(6a)이 상기 만권 스풀 적재부(7)의 받침판(7a)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권취기(2)의 공스풀 투입구 바닥면(2a)과 대략 일치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모터(6c)가 동작됨에 의해 무인 운반차(5)에 실려서 운반되어온 공스풀(ES)은 권취기 내부로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권취기 내부로 투입된 공스풀은 권취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실린더(8)의 구동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권취기의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에 장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와이어의 권취가 행해지게 된다.
한편, 무인 운반차(5)에 만권 스풀(FS)의 탑재가 완료됨과 아울러 권취기(2)로의 공스풀 투입이 완료되면 무인 운반차는 스풀 스테이션(3)으로 이동하여 만권 스풀(FS)은 만권 스풀 적재랙(3b)으로 이동되어 적재되며, 무인 운반차(5)의 공스풀 적재부(6a)로는 스풀 스테이션(3)의 공스풀 적재랙(3a)으로부터 공스풀(ES)이이동되어 실려지게 된다.
이와같이 만권 스풀의 배출과 공스풀의 적재가 완료된 무인 운반차(5)는 받침판(7a)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를 통해 스풀의 배출완료를 확인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 프로그램으로 전달하여 모터(7c)를 구동시켜 받침판(7a)이 원래의 수평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다음 다시 무한궤도(4)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무인 운반차(5)에 실린 만권 스풀(FS)을 스풀 스테이션(3)의 만권 스풀 적재랙(3b)로 배출하는 과정은 도6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7c)를 동작시켜 받침판(7a)의 외측 단부가 만권 스풀 적재랙(3b)의 경사면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만권 스풀(FS)이 자중에 의해 만권 스풀 적재랙(3b)으로 굴러 내려가게 된다.
무인 운반차(5)의 공스풀 적재부(6a)에 공스풀을 적재시키는 과정이나 공스풀 적재부에 실린 공스풀(ES)을 권취기(2)로 투입할 때의 받침판(6a) 동작과정은 앞서 살펴본 도6의 (가),(나)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권취기에서 스풀의 와이어 권취상태를 인식하여 공보빈의 투입 및 만권 보빈의 배출시기를 알려주는 수단을 광센서의 발광소자로 구성하고 이를 감지하기 위해 무인 운반차에 수광소자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으로 상기 광센서 방식은 현재 알려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수단에 의해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신,연선기의 권취기로 공급되는 공보빈의 운반 및 투입과, 권취 완료된 만권 보빈의 배출과 운반이 무인 운반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종래에 상기의 작업에 필요로 하던 인력을 대폭적으로 줄이거나 아예 무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광센서의 수광소자가 장착된 무인 운반차가 스풀 스테이션과 신,연선기의 권취기 사이에 설치된 무한궤도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각 권취기마다 스풀의 와이어 권취상태를 파악하여 만권 스풀의 배출시점 및 공스풀 투입시점 도달시 권취기에 구비된 광센서의 발광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의 이동중 수광소자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당해 권취기의 전방에서 무인 운반차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무인 운반차에 실린 공스풀을 권취기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권취기의 만권 스풀을 무인 운반차로 옮겨서 적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만권 스풀이 적재된 무인 운반차를 스풀 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 만권 스풀적재랙으로의 배출 및 공보빈 적재랙으로부터 공보빈의 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방법.
  2. 공스풀 적재대와 만권 스풀 적재대가 구비된 스풀 스테이션과, 권취기가 통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신,연선기와, 상기 스풀 스테이션과 권취기들 사이에 설치된 무한궤도와, 공스풀 적재부와 만권스풀 적재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광센서의 수광소자가 구비되며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무인 운반차와, 현재 와이어 권취상태를 파악하여 만권 보빈의 배출시점에서 발광되는 광센서의 발광소자가 구비된 권취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스테이션은 무한궤도측으로 상향경사진 만권 스풀 적재랙과, 무한궤도측으로 하향경사진 공스풀 적재랙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레일, 콘베이어 또는 유도용 자기 테이프 중의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운반차의 공스풀 적재부와 만권 스풀 적재부의 각 바닥판은 장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무인 운반차의 공스풀 적재부 바닥판과 동등한 높이의 내부를 향해 하향경사진 바닥면을 갖는 공스풀 투입구가 구비되고, 권취기의 상면은 무인 자동차의 만권 스풀 적재부 바닥판과 동등한 높이로서 외측단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스풀 투입구의 바닥면과 경사상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그 실린더는 권취기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자동 스풀 투입 및 배출 장치.
KR1020000040286A 2000-07-13 2000-07-13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KR10033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86A KR100330185B1 (ko) 2000-07-13 2000-07-13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86A KR100330185B1 (ko) 2000-07-13 2000-07-13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36A KR20020006836A (ko) 2002-01-26
KR100330185B1 true KR100330185B1 (ko) 2002-03-28

Family

ID=1967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86A KR100330185B1 (ko) 2000-07-13 2000-07-13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86B1 (ko) * 2020-12-09 2021-07-13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터미널 와인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4820A (en) * 1980-04-15 1981-11-11 Toyama Giken:Kk Automatic coiler
JPH0890059A (ja) * 1994-09-16 1996-04-09 Fukuchiyama Jukogyo Kk 溶接用ワイヤの整列巻取装置
KR19990001179A (ko) * 1997-06-12 1999-01-15 배순훈 선박 척(chuck)장치의 하부드럼 중심축 회전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4820A (en) * 1980-04-15 1981-11-11 Toyama Giken:Kk Automatic coiler
JPH0890059A (ja) * 1994-09-16 1996-04-09 Fukuchiyama Jukogyo Kk 溶接用ワイヤの整列巻取装置
KR19990001179A (ko) * 1997-06-12 1999-01-15 배순훈 선박 척(chuck)장치의 하부드럼 중심축 회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86B1 (ko) * 2020-12-09 2021-07-13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터미널 와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36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2104A (ja) 包装機に包装材料を供給する装置
KR930006201A (ko) 방사설비
JP2501816B2 (ja) ヤ−ンパツケ−ジ運搬装置
JPH05208783A (ja) 巻管をローディングする装置
JPH0470228B2 (ko)
US4863112A (en) Method for storing coils of wound band-like blank material and for charging a processing machine, and an installation for this purpose
US41449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group of yarn packages
CN108750818B (zh) 一种织造车间智能落布与搬运系统
JPH08157144A (ja) 紡機におけるボビン搬送システム
KR100330185B1 (ko) 와이어 신,연선기 권취기의 스풀 자동 투입 및 배출방법과 그 장치
SK287358B6 (sk) Podávacie zariadenie na konfekčný bubon na výrobu plášťov pneumatík
JPS6117743B2 (ko)
EP02765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US6250059B1 (en) Filament spool or doff handling system
US5066190A (en) Device to palletize yarn packages
JPH03505760A (ja) パッケージ搬送システム
US6431809B1 (en) Method for storing spools, and storage device
US3973906A (en) Cheese handling method
KR100187621B1 (ko) 타이어용 인너라이너를 권취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인너라이너 권취장치
EP0560278A1 (en) A method for transporting a wound package from a winding machine and an apparatus for effecting the same
US5575142A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rvicing winding apparatus in multi-station textile machines
JP4308355B2 (ja) 遠心紡績/巻取機
US5328110A (en) Automatic multi-station textile strand handling machine
JPH0738297Y2 (ja) 自動ワインダーにおける玉揚パッケージの処理装置
JPS62263332A (ja) 粗紡・精紡工程間の粗糸巻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