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408B1 -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408B1
KR102276408B1 KR1020200098438A KR20200098438A KR102276408B1 KR 102276408 B1 KR102276408 B1 KR 102276408B1 KR 1020200098438 A KR1020200098438 A KR 1020200098438A KR 20200098438 A KR20200098438 A KR 20200098438A KR 102276408 B1 KR102276408 B1 KR 10227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window
transfer unit
gla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정진명
한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9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408B1/ko
Priority to PCT/KR2021/004182 priority patent/WO20220307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실린더를 사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진공실린더 하부에 구비된 윈도우 지그에 면대면으로 흡착한 후, 스토퍼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한 매씩 분리하여 이송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겹침 문제 및 이동시 낙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EPARATING WINDOW GLASS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실린더를 사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진공실린더 하부에 구비된 윈도우 지그에 면대면으로 흡착한 후, 스토퍼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한 매씩 분리하여 이송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겹침 문제 및 이동시 낙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시대로 접어들면서 각종 전기적 신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휴대폰, 노트북,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에는 고밀도의 반도체 패키지를 실장하여 저전압 구동, 저소비 전력, 풀 칼라 구현 등의 특징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액정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장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용 패널 중 디스플레이 안에 터치 패널을 내장한 방식인 옥타(OCTA : on cell touch amoled) 방식을 적용한 패널의 경우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의 구동을 위하여 터치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d)을 실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함에는 그 실장방식에 따라 COG(chip on glass), FOG(film on glass), COF(chip on flex), OLB(outer lead bonding), FOF(fpcb on flex) 등과 같은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실장설비를 사용하게 되고,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장치 중에서 터치 스크린의 패널에 터치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경우 TFOG(touch film on glass)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실장설비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실장설비에 의한 공정은 패널을 비롯한 플렉서블 전자회로소자를 로딩하는 공정에서부터 ACF부착, 가압착, 본압착, 언로딩하는 공정을 기본적으로 수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모든 공정을 일괄적으로 In-line화하여 모든 공정들이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게 설비되었고, 각 공정의 모든 동작은 컴퓨터(PC)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에서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윈도우는 윈도우 글래스라고도 하며, 광학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서로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윈도우)를 하나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를 통한 윈도우 글래스 이송시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윈도우 이송 장치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101), 상기 에어 실린더(101)에 의해 동작하여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100)를 흡착하는 진공 패드(Vacuum Pad)(102), 상기 에어 실린더(101) 및 상기 진동 패드(102)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이송하는 이송부(Transfer unit)(103),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폴 형태의 다수의 매거진(Magazine)(104), 및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모터(Z-axis Motor)(105)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윈도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부(103)의 위치(예를 들어, Y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모터(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다수의 매거진(105)으로 고정되어 적층되어 있는 윈도우 글래스(100)를 상기 이송부(103)가 상기 진공 패드(102)를 이용하여 흡착하여 1매 씩 이송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윈도우 이송 장치로는, 상기 다수의 매거진(105)으로 고정되어 적층되어 있는 윈도우 글래스(100) 사이의 면압(Surface pressure)에 의해, 상기 이송부(103)가 윈도우 글래스 1매를 흡착하려고 해도, 2매 내지 3매가 겹쳐져 흡착되는 문제가 생기고, 그로 인해 이송 도중에 하부에 겹쳐 위치한 윈도우 글래스가 낙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글래스들 사이에 면압 방지를 위한 테이프 자재를 추가하여 사용하는데, 윈도우 글래스들 사이에 테이프 자재를 추가하기 위한 작업 시간이 늘어나고 테이프 자재 마련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10-0935306]에는, 패널시트가 진입 컨베이어를 통해 진입되거나 코팅이 완료된 패널시트가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될 시, 진공척으로부터 에어를 배출하여 패널시트를 미세하게 부상시킨 후,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진입 및 배출핀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는 휴대폰 윈도우용 패널시트의 코팅 및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높은 생산량 및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분리 및 이송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10-0935306](등록일자: 2009. 12. 26) 한국등록특허 [10-1173960](등록일자: 2012. 08. 08) 한국등록특허 [10-1704473](등록일자: 2017. 02. 02) 한국등록특허 [10-1786452](등록일자: 2017. 10. 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실린더를 사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진공실린더 하부에 구비된 윈도우 지그에 면대면으로 흡착한 후, 스토퍼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한 매씩 분리하여 이송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겹침 문제 및 이동시 낙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는,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300);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폴 형태의 다수의 매거진(Magazine)(301);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는 윈도우 리프트(302);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1모터(303);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래스를 흡입하여 한 매씩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304); 상기 이송부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모터(305); 상기 이송부의 Y축 방향(가로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3모터(306);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배출되는 슬라이드(307);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라스 한 매만 이송되도록 분리하는 스토퍼(308);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304)는, 상기 제2모터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는 진공실린더(401); 상기 진공실린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평평한 면을 구비하고 상기 평평한 면의 일부에 상기 진공실린더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린더에 의해 흡착된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면압을 형성하는 윈도우 지그(402); 및 상기 진공실린더와 상기 윈도우 지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3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9); 이송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서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기 위한 윈도우 푸시부(310); 상기 진공실린더의 압력게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2); 및 상기 윈도우 지그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한 평평한 판 형태로, 상기 윈도우 지그 상부에 구비되어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플레이트(3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플레이트(311)는, 하부의 윈도우 지그를 밀어내어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푸쉬 포인트(501); 및 하부의 윈도우 지그를 당겨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풀 포인트(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308)는,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된 면을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404); 및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Y축으로 이송시킬 때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4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수취 하강 높이 및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상승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투과율을 센싱하여 낱장으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은, 윈도우 리프트에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를 적재하는 적재단계(S603, S604); 상기 윈도우 리프트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의 최상부면이 기설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리프트높이조절단계(S605); 이송부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리프트에 적재된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로부터 상부면의 윈도우 글래스를 진공으로 흡착하는 로딩단계(S607);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스토퍼에 의해 상기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가 분리되는 분리단계(S613); 상기 이동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분리확인단계(S614);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었음에 따라, 상기 이송부가 상기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배출하는 배출단계(S616)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단계(S607)는, 상기 이송부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는 하강단계; 진공실린더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여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는 흡착단계; 및 상기 진공실린더의 일부가 윈도우 지그를 통과하여 상승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지그 사이에 면압이 형성되는 면압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확인단계(S614)는, 유리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단계(S613) 이후,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는 푸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진공실린더를 사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진공실린더 하부에 구비된 윈도우 지그에 면대면으로 흡착한 후, 스토퍼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한 매씩 분리하여 이송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겹침 문제 및 이동시 낙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테이프 자재와 같이 추가로 필요한 자재 마련을 위한 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를 통한 윈도우 글래스 이송시 윈도우 글래스 이송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에서, 윈도우 글래스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측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플레이트(vacuum plate)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에서, 윈도우 글래스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측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플레이트(vacuum plate)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4a 내지 4f, 및 5를 들어,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는, 베이스(300), 다수의 매거진(Magazine)(301), 윈도우 리프트(302), 제1모터(303), 이송부(304), 제2모터(305), 제3모터(306), 슬라이드(307), 스토퍼(308), 및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다수의 매거진(Magazine)(301)는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폴 형태를 가진다. 도 3에는 매거진이 4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매거진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가능하다.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 상에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된다.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의 상면에는 감지센서(406)가 구비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적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1모터(303)는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서보모터이다.
상기 이송부(304)는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의 상부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래스를 흡입하여 한 매씩 분리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제2모터(305)는 상기 이송부(304)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서보모터이다.
상기 제3모터(306)는 상기 이송부(304)의 Y축 방향(가로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서보모터이다.
상기 슬라이드(307)는 상기 이송부(304)를 통해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배출되는 장소이다.
상기 스토퍼(308)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라스 한 매만 이송되도록 분리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됨)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이송부(304)는, 진공실린더(401), 윈도우 지그(402), 및 연결부재(403)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실린더(401)는 상기 제1모터(305)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한다. 도면에서는 진공실린더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윈도우 글래스의 크기 및 필요에 따라 진공실린더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진공실린더(401)에 연결되는 유압호스 및 유압액츄에이터 또는 유압펌프는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윈도우 지그(402)는 상기 진공실린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평평한 면을 구비하고 상기 평평한 면의 일부에 상기 진공실린더(401)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실린더(401)가 기설정 높이로 상승하면,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면압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403)는 상기 진공실린더(401)와 상기 윈도우 지그(402)를 연결한다.
상기 이송부(304)는, 상기 윈도우 지그(402) 상부에 구비되어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플레이트(31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는, 상기 베이스(30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305) 및 상기 제3모터(30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9),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서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기 위한 윈도우 푸시부(310), 상기 진공실린더(401)의 압력게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2), 및 상기 스토퍼(308)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 조절부재(3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08)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제1센서(404)는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된 면을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304)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측정한다.
제2센서(405)는 상기 스토퍼(308)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304)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404)에서 측정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 및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의 상승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405)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투과율에 따라 반사되는 값이 다르므로 낱장으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1센서(404) 및 제2센서(405)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405)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화이버 센서(fiber sensor)를 포함한다. 윈도우 글래스가 한 장인 경우와 두 장인 경우, 윈도우 글래스로부터 반사되는 값이 다르기 때문에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가 가능하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에서, 윈도우 글래스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측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 내지 4f를 들어 윈도우 글래스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대기 상태), 윈도우 리프트(302)는 하부에 대기된 상태이고, 이송부(304)는 업(up)되고 언 로드된 상태이다.
자동실행(AUTO RUN) 상태로 변경된 후, 윈도우 리프트(302)에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고, 기설정 높이로 상승하며, 상기 이송부(304)는 윈도우 글래스를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04)가 윈도우 글래스 상부로 이동하여 진공실린더(401)의 진공패드가 윈도우 글래스를 상부에 닿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도 4b를 참고하면, 진공을 온(ON)상태로 변경 후, 상기 진공실린더(401)가 기설정 높이 상승하면, 상기 진공실린더(401)의 일부가 윈도우 지그(402)를 통과하여 상승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지그(402) 사이에 면압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304)가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상승시키는 동안, 스토퍼(308)에 구비된 제1센서(404)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후,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04)가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스토퍼(308)의 상면으로부터 윈도우 글래스가 한 매 지나갈 수 있는 높이 만큼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더 상승시킨다.
이후,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04)가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여 윈도우 글래스 한 매만 상기 스토퍼(308)의 상면을 넘어 지나가도록 한다.
이후, 도 4e 및 4f를 참고하면, 스토퍼(308)에 구비된 제2센서(405)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투과율을 감지하여, 한 매가 분리되었는지 확인한다.
이 때,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던 윈도우 글래스는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오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플레이트(vacuum plate)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진공플레이트(vacuum plate)(311)는, 윈도우 지그(402)와 연결부재(403) 사이에 위치한 평평한 판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진골플레이트(311)는 하부의 윈도우 지그(402)를 밀어내어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푸쉬 포인트(501) 및 하부의 윈도우 지그를 당겨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풀 포인트(502)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플레이트(311)에 연결되는 유압호스 및 유압액츄에이터 또는 유압펌프는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대기 상태), 윈도우 리프트(302)는 하부에 대기된 상태이고, 이송부(304)는 상승(up)되고 언로드된 대기 상태이다(S601).
제어부에 의해 자동실행(AUTO RUN) 상태로 변경되어 윈도우 글래스 분리 동작을 시작한다(S602).
윈도우 리프트(302)에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603). 여기서,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는 윈도우 리프트(302)에 구비된 감지센서(406)에 의해 알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603)의 판단 결과, 윈도우 리프트(302)에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어 있지 않으며, 윈도우 리프트(302)에 윈도우 글래스가 공급되고(S604), "S60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603)의 판단 결과, 윈도우 리프트(302)에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어 있으면,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가 기설정 높이만큼 상승된다(S605). 상세하게는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의 최상부면이 기설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된다.
이후, 이송부(304)가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였는지를 판단한다(S606).
상기 판단단계(S606)의 판단 결과, 이송부(304)가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지 않았으면,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한다(S607). 상세하게는, 이송부(304)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리프트(302)에 적재된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로부터 상부면의 윈도우 글래스를 진공으로 흡착한다.
이후,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가 적절한지 판단한다(S608).
상기 판단단계(S608)의 판단 결과,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가 적절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변경되고(S609),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 값을 변경하고(S610), "S60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608)의 판단 결과,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가 적절하면, 윈도우 글래스가 흡착되었는지 판단한다(S611).
상기 판단단계(S608)의 판단 결과, 윈도우 글래스가 흡착되지 않았으면, 이송부(304)의 흡착 압력을 조절하고(S612), "S607"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608)의 판단 결과, 윈도우 글래스가 흡착되었으면, 윈도우 글래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S613).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부(304)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스토퍼(308)에 의해 상기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가 분리된다.
이후,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S614).
제2센서(405)가 유리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한다.
상기 판단단계(S614)의 판단 결과,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지 않았으면, 분리 높이 값을 변경하고 스토퍼(308)의 높이를 조정하고(S615), "S61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614)의 판단 결과,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었으면, 분리된 윈도우 글래스를 슬라이드(307) 상으로 배출하고(S616), "S60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606)의 판단 결과, 이송부(304)가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였으면, "S61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분리단계(S613) 이후, 윈도우 푸시부(310)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는 푸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f를 참고하여, 윈도우 글래스 로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딩단계(S607)는, 먼저, 상기 이송부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한다(도4a 참조).
이후, 진공실린더(401)가 진공상태가 되어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고, 상기 진공실린더(401)가 기설정 높이 상승하면, 상기 진공실린더(401)의 일부가 윈도우 지그(402)를 통과하여 상승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지그(402) 사이에 면압이 형성된다(도 4b 참조).
이 때, 상기 이송부(304)가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상승시키는 동안, 스토퍼(308)에 구비된 제1센서(404)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는 상기 이송부(304)의 수취 하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송부(304)가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상기 스토퍼(308)의 상면으로부터 윈도우 글래스가 한 매 지나갈 수 있는 높이 만큼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더 상승시킨다(도4c 참조).
한편, 상기 분리단계(S613)는, 상기 이송부(304)가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여 윈도우 글래스 한 매만 상기 스토퍼(308)의 상면을 넘어 지나가도록 한다(도 4d 참조).
이후, 상기 판단단계(S614)에서는, 상기 스토퍼(308)에 구비된 제2센서(405)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투과율을 감지하여, 한 매가 분리되었는지 확인한다(도 4e 및 4f를 참조). 이 때, 상기 진공실린더(401)에 의해 흡착된 윈도우 글래스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던 윈도우 글래스는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00: 베이스 301: 매거진
302: 윈도우 리프트 303: 제1모터
304: 이송부 305: 제2모터
306: 제3모터 307: 슬라이드
308: 스토퍼 309: 지지부재
310: 윈도우 푸시부 311: 진공플레이트
312: 표시부 313: 스토퍼 조절부재
401: 진공실린더 402: 윈도우 지그
403: 연결부재 404: 제1센서
405: 제2센서 406: 감지센서

Claims (10)

  1.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300);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폴 형태의 다수의 매거진(Magazine)(301);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되는 윈도우 리프트(302);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1모터(303);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래스를 흡입하여 한 매씩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이송부(304);
    상기 이송부의 연직방향(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모터(305);
    상기 이송부의 Y축 방향(가로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3모터(306);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배출되는 슬라이드(307);
    상기 이송부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윈도우 글라스 한 매만 이송되도록 분리하는 스토퍼(308);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04)는,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는 진공실린더(401);
    상기 진공실린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평평한 면을 구비하고 상기 평평한 면의 일부에 상기 진공실린더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실린더에 의해 흡착된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면압을 형성하는 윈도우 지그(402); 및
    상기 진공실린더와 상기 윈도우 지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3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9);
    이송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서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기 위한 윈도우 푸시부(310);
    상기 진공실린더의 압력게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2); 및
    상기 윈도우 지그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한 평평한 판 형태로, 상기 윈도우 지그 상부에 구비되어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플레이트(311)
    룰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플레이트(311)는,
    하부의 윈도우 지그를 밀어내어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푸쉬 포인트(501); 및
    하부의 윈도우 지그를 당겨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평평함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풀 포인트(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8)는,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적재된 면을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404); 및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Y축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4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윈도우 글래스의 높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수취 하강 높이 및 상기 윈도우 리프트의 상승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송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투과율을 센싱하여 낱장으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7. 청구항 1의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에서의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윈도우 리프트에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를 적재하는 적재단계(S603, S604);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윈도우 리프트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의 최상부면이 기설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리프트높이조절단계(S605);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송부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리프트에 적재된 다수의 윈도우 글래스로부터 상부면의 윈도우 글래스를 진공으로 흡착하는 로딩단계(S607);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송부가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스토퍼에 의해 상기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가 분리되는 분리단계(S613);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분리확인단계(S614);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되었음에 따라, 상기 이송부가 상기 흡착한 윈도우 글래스를 배출하는 배출단계(S616)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단계(S613) 이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하부에 밀착된 윈도우 글래스를 하부로 밀어 상기 다수 적재된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 내려보내는 푸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단계(S607)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송부가 연직방향(Z축 방향)으로 하강하는 하강단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공실린더가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흡착하여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는 흡착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공실린더의 일부가 윈도우 지그를 통과하여 상승함으로써,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윈도우 지그 사이에 면압이 형성되는 면압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확인단계(S614)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리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윈도우 글래스가 낱장으로 분리된 상태인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 분리 방법.
  10. 삭제
KR1020200098438A 2020-08-06 2020-08-06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38A KR102276408B1 (ko) 2020-08-06 2020-08-06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1/004182 WO2022030721A1 (ko) 2020-08-06 2021-04-05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38A KR102276408B1 (ko) 2020-08-06 2020-08-06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408B1 true KR102276408B1 (ko) 2021-07-12

Family

ID=7685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438A KR102276408B1 (ko) 2020-08-06 2020-08-06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6408B1 (ko)
WO (1) WO2022030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6187A (zh) * 2022-11-23 2023-03-17 成都芯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ai芯片的智能转运装置及其转运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869A (ja) * 1996-03-11 1997-09-16 Toshiba Corp 板材の1枚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80015916A (ko) * 2008-02-01 2008-02-20 (주)피엔티 휴대폰 윈도우용 패널시트의 코팅 및 이송장치
KR20080054098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한샘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KR101173960B1 (ko) 2012-01-11 2012-08-2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704473B1 (ko) 2015-06-16 2017-02-09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검사장치
KR101786452B1 (ko) 2016-09-08 2017-10-18 (주)이티에스 윈도우글라스 비전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5111B2 (en) * 2002-11-05 2010-01-12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System for putting glass plates to target positions
KR200378286Y1 (ko) * 2004-12-16 2005-03-11 (주)대하강업 플레이트 정렬 및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869A (ja) * 1996-03-11 1997-09-16 Toshiba Corp 板材の1枚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80054098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한샘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KR20080015916A (ko) * 2008-02-01 2008-02-20 (주)피엔티 휴대폰 윈도우용 패널시트의 코팅 및 이송장치
KR100935306B1 (ko) 2008-02-01 2010-01-06 (주)피엔티 휴대폰 윈도우용 패널시트의 코팅 및 이송장치
KR101173960B1 (ko) 2012-01-11 2012-08-2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704473B1 (ko) 2015-06-16 2017-02-09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검사장치
KR101786452B1 (ko) 2016-09-08 2017-10-18 (주)이티에스 윈도우글라스 비전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6187A (zh) * 2022-11-23 2023-03-17 成都芯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ai芯片的智能转运装置及其转运方法
CN115806187B (zh) * 2022-11-23 2024-04-23 成都芯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ai芯片的智能转运装置及其转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721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72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자동 합착 장치
KR101771094B1 (ko) 글라스패널의 얼라인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패널의 적재방법
KR101311855B1 (ko)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KR10133187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진공 합착 장치
KR102276408B1 (ko) 윈도우 글래스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13199B1 (ko) 터치패널용 기판 진공 부착 시스템
US20050011606A1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73190B1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및 기판 이송용 로봇, 그리고 그것들을구비한 기판 이송용 카세트 시스템
KR20190001940A (ko) 유지 장치, 위치 결정 장치 및 접합 장치
JP4614807B2 (ja) 容器溝へのガラス板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JP4293150B2 (ja) 基板移載装置、基板移載方法、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5512259B2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貼り付け装置
CN106313858B (zh) 贴合设备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US9519165B2 (en) Automated detection method
KR102023576B1 (ko) 진공 챔버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용 ocr 합착 장치
TW502346B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recognition apparatus for component mount panel,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panel,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panel
JP5877264B1 (ja) 貼合デバイ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781536B1 (ko)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763990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710227B (zh) 液晶面板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100594639B1 (ko) 평판표시장치의 프로브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963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합착장치 및 합착기판 제조방법
KR20110129267A (ko) 터치스크린 패널 제조장치
KR20060136000A (ko) 카세트 자동 반송 장치 및 카세트 반송 방법
KR20070000030A (ko) 카세트 자동 반송 장치 및 카세트 반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