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51B1 -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51B1
KR102275451B1 KR1020200007238A KR20200007238A KR102275451B1 KR 102275451 B1 KR102275451 B1 KR 102275451B1 KR 1020200007238 A KR1020200007238 A KR 1020200007238A KR 20200007238 A KR20200007238 A KR 20200007238A KR 102275451 B1 KR102275451 B1 KR 10227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urn
vehicle
signa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조병모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60Q1/38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with several light sources activated in sequence, e.g. to create a sweep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speed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40Several lamps activated in sequence, e.g. sweep effect, progressive acti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시그널, 좌/우회전 시그널, 유턴 시그널이 표시되는 후방 램프등;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지시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 외부로 발산한 빛에 의한 물체감지를 통해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 가능한 광 감지모듈이 마련되는 제어레버; 및 상기 제어레버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후방 램프등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유턴 의사를 인접한 차량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유턴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광 감지모듈을 통한 유턴의사 감지 구조(제어레버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없이도 비접촉 방식으로 유턴 의사 감지)를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U turn instruction system of car}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나타내는 유턴 시그널, 차량의 가속 및 감속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가속/감속 시그널을 후방 램프등에 표시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전방 차량의 운전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면 중 좌우 쪽에 설치된 복합등(Rear combination lamp)에는 제동등, 방향지시등, 후진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차량의 좌/우회전시에는 방향지시등이 좌/우측에서 점멸되어 회전방향을 인식시키고, 비상시나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는 방향지시등의 좌/우측을 동시에 점멸시켜 비상등으로 작동하며, 차량의 정차시 제동등이 자동 점등된다.
이와 같이, 후방차량에게 전방차량의 운행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해 차량의 조향핸들 및 핸들 근방의 패널 상에 설치된 등화조작레버와 비상등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조등, 방향지시등, 후진등을 점멸 작동시킨다.
한편, 차량이 도로를 주행 중에 보면 도로의 1차선에서는 좌회전만 시행되는 곳과, 좌회전 및 유턴을 동시에 시행되는 곳이 있다. 특히, 죄회전 방향지시등 만을 점멸시킨 상태에서 좌회전이나 유턴을 동시에 실시하기 때문에 후방차량은 전방차량이 좌회전이나 유턴을 시행할 것인지를 전혀 인식할 수가 없다. 단지 전방차량이 좌회전 또는 유턴을 시행하는 것을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후방차량은 전방차량과의 충분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좌회전이나 유턴을 시행해야만 전방차량과의 추동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도로에서는 신호등의 좌회전 점등시간이 그다지 길지 못한 이유로 인하여 좌회전 신호가 들어왔을 때에는 대부분의 차량은 전방차량이 좌회전을 시행할 것을 미리 짐작하여 후방차량이 좌회전을 진행하던 중 갑자기 전방차량이 유턴을 시행하기 위해 감속하고나 정지를 하게 되면 신호를 받기 위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던 후방차량은 전방차량과의 추돌사고자 자주 발생하는 등의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높았으며, 차량 흐름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654호(2019.10.1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가 유턴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을 때 후방의 자동차들에게 유턴할 것임을 분명하게 알림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의사에 반해서 의도치않게 유턴 의사가 감지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시그널, 좌/우회전 시그널, 유턴 시그널이 표시되는 후방 램프등;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지시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 외부로 발산한 빛에 의한 물체감지를 통해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 가능한 광 감지모듈이 마련되는 제어레버; 및 상기 제어레버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후방 램프등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레버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마련되고, 상기 광 감지모듈은, 상기 개방홀과 연통되도록 제어레버 내부에 마련되는 광신호 도파관; 및 상기 광신호 도파관을 따라 개방홀 측으로 광신호를 송신하고 피드백된 광신호를 수신 가능한 광송수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송수신센서에서 송신된 신호가 다시 피드백되어 다시 수신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후방 램프등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레버에는 상기 광 감지모듈 외에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터치압력이 설정압 이상인지 여부,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후방 램프등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 가속과 감속 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대적인 가속 또는 감속 상태에 따라 상기 후방 램프등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램프등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램프등의 좌측 영역은 상기 우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L1 영역과, L1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L2-1 영역, L2-2 영역, L3 영역과, 상기 L2-1 영역과 L2-2 영역에 인접하도록 L2-1 영역과 L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L5 영역과, L5 영역에 인접하면서 L1 영역과 L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L4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램프등의 우측 영역은 상기 좌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R1 영역과, R1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R2-1 영역, R2-2 영역, R3 영역과, 상기 R2-1 영역과 R2-2 영역에 인접하도록 R2-1 영역과 R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R5 영역과, R5 영역에 인접하면서 R1 영역과 R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R4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좌회전 의사 감지시 상기 L1, L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우회전 의사 감지시 상기 R1, R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좌 유턴 의사 감지시 상기 L1, L2-1, L2-2, L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우 유턴 의사 감지시 R1, R2-1, R2-2, R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 증가가 감지된 경우 상기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1, R1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차량의 주행속도 감소가 감지된 경우 상기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3, R3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유턴 의사를 인접한 차량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유턴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광 감지모듈을 통한 유턴의사 감지 구조(제어레버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없이도 비접촉 방식으로 유턴 의사 감지)를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송수신센서의 광 신호 감지 관계를 제어하고 터치센서를 더 마련함으로써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의사에 반해서 의도치않게 유턴 의사가 감지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속도 증감 상태를 후방 램프등을 통해 후방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 주행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좌/우회전 시그널, 좌/우 유턴 시그널을 후방 램프등의 복수의 발광 영역을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발광 제어하여 표시함으로써 후방 운전자에게 더욱 식별력 높은 시그널 전달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제어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후방 램프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어레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좌/우 유턴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좌/우회전 신호 감지와 좌/우 유턴 신호 감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후방 램프등의 발광 영역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에서 제어레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은 차량의 유턴 의사를 인접한 차량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유턴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운전석 핸들의 제어레버에 운전자의 유턴 의사 감지를 위한 유턴의사 감지 구성을 마련하고 유턴의사 감지 구성의 감지값에 따라 차량 후방 램프등의 발광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유턴 시그널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후방 운전자에게 유턴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은 자동차의 후방 램프등(100),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제어레버(11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후방 램프등(100)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통상의 후미등과 같이 브레이크 시그널, 좌/우회전 시그널을 표시하고, 이외에 별도의 램프 추가 없이 유턴 시그널을 표시할 수 있다.
후방 램프등(100)의 발광영역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1, L2-1, L2-2, L3, L4, L5의 좌측 영역과 R1, R2-1, R2-2, R3, R4, R5의 우측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시그널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레버(110)는 차량의 운전석 핸들 주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지시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시명령은 미등 점등, 브레이크등 점등, 후진등 점등, 좌/우회전등 점등, 좌/우 유턴등 점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70)는 제어레버(1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출력신호에 따라 후방 램프등(100)의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후방 램프등(100)에 별도의 램프 추가 구조없이 좌/우 유턴 시그널을 표시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다양한 지시명령 중 유턴 명령을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레버(110)는 차량 핸들 구조물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어레버 몸체(111), 제어레버 몸체(111)의 일측에 마련되는 방향지시바(112), 제어레버 몸체(111)의 힌지 회전(상하 회전)에 따라 방향지시바(112)와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접접부(113)를 포함하며, 방향지시바와 접접부 간의 접촉을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후방 램프등에 좌/우회전 시그널을 표시하는 제어관계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더해, 제어레버(110)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홀(114)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감지모듈(120)은 외부로 발산한 빛에 의한 물체감지(운전자의 손 등)를 통해 운전자의 유턴의사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개방홀(114)과 연통되도록 제어레버 몸체(111) 내부에 마련되는 광신호 도파관(121)과, 광신호 도파관(121)을 따라 개방홀(114) 측으로 광신호를 송신하고 피드백된 광신호를 수신 가능한 광송수신센서(122)를 포함한다.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ⅰ) 방향지시바(112)와 접접부(113) 간의 접촉이 1차적으로 감지되고, ⅱ) 광송수신센서(122)에서 출력된 광 신호가 운전자의 손가락에 부딪힌 후 반사되어 다시 수신된 신호가 2차적으로 감지된 경우, 운전자의 유턴 의사가 있음을 판단하여 후방 램프등(100)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2차 감지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유턴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전자의 손가락 등이 반드시 개방홀(114) 주변의 제어레버 몸체(111) 표면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손가락이 개방홀(114)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면 광송수신센서(122)는 손가락을 충분히 감지하여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비접촉 방식을 통해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레버(110)의 개방홀(114) 주변은 운전자의 손이나 팔이 빈번하게 지나갈 수 있는 영역인바, 운전자는 유턴이 아닌 좌/우 회전 의사만을 전달하도록 제어레버(110)를 상/하 힌지 회전시킬때 의도치 않게 손이나 팔이 개방홀(114) 주변에 위치하여 광 신호의 수신 감지가 이루어져 후방 램프등(100)이 좌/우 유턴 시그널이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 운전자에게 의사 표시의 잘못된 전달로 인해 심각한 교통사고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즉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보다 확실히 감지하기 위한 감지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광송수신센서(122)에서 송신된 신호가 다시 피드백되어 수신되는 시간(즉, 광 신호 수신감지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운전자의 확실한 유턴의사 표시로 판단하여 후방 램프등(100)에 유턴 시그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레버 몸체(111)의 개방홀(114)을 폐쇄하는 운전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확실히) 감지하기 위해, 부연하자면 광송수신센서(122)에서 송신된 광 신호가 최대한 손실없이 외측으로 전달되고 피드백되어 오는 광 신호 또한 최대한 손실없이 광송수신센서(122)로 수신되도록, 광신호 도파관(121)은 광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광의 반사가 용이한 재질(광반사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그 내면이 그러한 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본체에 마련되어 차량의 주행 가속과 감속 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3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대적인 가속 또는 감속 상태에 따라 후방 램프등(100)의 발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가속도 센서(130)의 가속도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차량의 상대적 가속도를 측정하며, 예를 들어 상대적 가속도 변화에 따른 후방 램프등(100)의 표시 주기를 1초 정도로 설정하고 상대적인 가속도의 증감이 현재 속도 기준 5% 정도 변경시 이를 후방 램프등(100)에 표시하여 후방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 차량의 가속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대적인 가속도 증감에 따른 후방 램프등 발광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좌/우회전 시그널, 좌/우 유턴 시그널, 차량의 주행 가속도 증감에 따른 시그널을 후방 램프등(100)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방 램프등(100)의 발광영역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1, L2-1, L2-2, L3, L4, L5의 좌측 영역과 R1, R2-1, R2-2, R3, R4, R5의 우측 영역을 포함하며, 제어부(170)는 상기 다수 영역의 발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후방 램프등(100)의 좌측 영역은 상기 우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L1 영역과, L1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L2-1 영역, L2-2 영역, L3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후방 램프등(100)의 좌측 영역은 L2-1 영역과 L2-2 영역에 인접하도록 L2-1 영역과 L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L5 영역과, L5 영역에 인접하면서 L1 영역과 L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L4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방 램프등(100)의 우측 영역은 상기 좌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R1 영역과, R1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우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R2-1 영역, R2-2 영역, R3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후방 램프등(100)의 우측 영역은 R2-1 영역과 R2-2 영역에 인접하도록 R2-1 영역과 R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R5 영역과, R5 영역에 인접하면서 R1 영역과 R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R4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등 점등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L1, L2-1, L2-2, L3, R1, R2-1, R2-2, R3 영역이 점등되도록 하고, 브레이크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미등 점등 영역과 동일 영역이 점등되되 좀 더 밝게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후진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L1, L2-1, L2-2, L3, R1, R2-1, R2-2, R3 영역이 브레이크시와 동일 밝기로 점등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L4, R4 영역이 흰색으로 발광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회전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L1, L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전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R1, R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유턴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L1, L2-1, L2-2, L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 유턴 시그널 표시를 위해서는 R1, R2-1, R2-2, R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 증감 시그널을 표시하기 위해서, 주행 속도의 증가시에는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1, R1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하고, 주행속도 감소시에는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3, R3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주행속도 100km/h에서 105km/h로 속도가 5% 정도 증가시 L4, R4, L1, R1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고, 100km/h에서 95km/h로 속도가 5% 정도 감소시 L4, R4, L3, R3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고, 가속도센싱 기준 5% 이내의 속도 변화 발생시에는 L4, R4 영역만 점등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레버(210)에는 광 감지모듈(220) 외에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250)가 더 마련된다.
터치센서(250)는 제어레버 몸체(211) 외면상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운전중에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제어부(270)는 터치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터치압력이 설정압 이상인지 여부,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할 시 후방 램프등(200)에 유턴 시그널 이미지를 표시한다. 유턴 시그널 이미지 표시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램프 영역 표시방법을 적용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ⅰ) 방향지시바와 접접부 간의 접촉이 1차적으로 감지되고, ⅱ) 광송수신센서(222)에서 출력된 광 신호가 운전자의 손가락에 부딪힌 후 반사되어 다시 수신된 신호가 2차적으로 감지되고, ⅲ) 터치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터치압력이 설정압 이상이거나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거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운전자의 유턴 의사가 있음을 판단하여 후방 램프등(200)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70)가 다양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를 감지하여 최종적으로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부주의에 의해 유턴 의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유턴 의사 표시로 판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200: 후방 램프등 110,210: 제어레버
114,214: 개방홀 120,220: 광 감지모듈
121,221: 광신호 도파관 122,222: 광송수신센서
130,230: 가속도 센서 170,270: 제어부
250: 터치센서

Claims (6)

  1.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시그널, 좌/우회전 시그널, 유턴 시그널이 표시되는 후방 램프등(100,200);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지시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 외부로 발산한 빛에 의한 물체감지를 통해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 가능한 광 감지모듈(120,220)이 마련되는 제어레버(110,210);
    상기 차량의 주행 가속과 감속 상태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30,230); 및,
    상기 제어레버(110,2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후방 램프등(100,200)의 발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130,23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대적인 가속 또는 감속 상태에 따라 상기 후방 램프등(100,200)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270);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램프등(100)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램프등(100)의 좌측 영역은 상기 우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L1 영역과, L1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L2-1 영역, L2-2 영역, L3 영역과, 상기 L2-1 영역과 L2-2 영역에 인접하도록 L2-1 영역과 L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L5 영역과, L5 영역에 인접하면서 L1 영역과 L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L4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램프등(100)의 우측 영역은 상기 좌측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R1 영역과, R1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R2-1 영역, R2-2 영역, R3 영역과, 상기 R2-1 영역과 R2-2 영역에 인접하도록 R2-1 영역과 R2-2영역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R5 영역과, R5 영역에 인접하면서 R1 영역과 R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R4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좌회전 의사 감지시 상기 L1, L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우회전 의사 감지시 상기 R1, R2-1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좌 유턴 의사 감지시 상기 L1, L2-1, L2-2, L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우 유턴 의사 감지시 R1, R2-1, R2-2, R3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고 설정 시간 후 발광이 중지된 후 다시 재반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130,230)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 증가가 감지된 경우 상기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1, R1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하며, 차량의 주행속도 감소가 감지된 경우 상기 L4, R4 영역을 기준으로 이와 동시에 L3, R3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레버(110,210)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홀(114,214)이 마련되고,
    상기 광 감지모듈(120,220)은,
    상기 개방홀(114,214)과 연통되도록 제어레버(110,210) 내부에 마련되는 광신호 도파관(121,221); 및
    상기 광신호 도파관(121,221)을 따라 개방홀 측으로 광신호를 송신하고 피드백된 광신호를 수신 가능한 광송수신센서(122,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0,270)는 상기 광송수신센서(122,222)에서 송신된 신호가 다시 피드백되어 다시 수신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후방 램프등(100,200)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레버(210)에는 상기 광 감지모듈(220) 외에 운전자의 유턴 의사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250)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터치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터치압력이 설정압 이상인지 여부,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후방 램프등(200)에 유턴 시그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7238A 2020-01-20 2020-01-20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KR10227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38A KR102275451B1 (ko) 2020-01-20 2020-01-20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38A KR102275451B1 (ko) 2020-01-20 2020-01-20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51B1 true KR102275451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38A KR102275451B1 (ko) 2020-01-20 2020-01-20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027A (ko) * 2011-12-24 2014-08-29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용 터치-감지 작동 장치 및 자동차
JP2017171277A (ja) * 2016-03-23 2017-09-28 ハーレー−ダビッドソン・モーター・カンパニー・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光学センサを備えるオートバイ手動制御装置
KR101843326B1 (ko) * 2017-10-26 2018-03-28 남주연 U턴표시 리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방법
KR102033654B1 (ko) 2018-12-05 2019-10-17 이규대 차량 유턴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027A (ko) * 2011-12-24 2014-08-29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용 터치-감지 작동 장치 및 자동차
JP2017171277A (ja) * 2016-03-23 2017-09-28 ハーレー−ダビッドソン・モーター・カンパニー・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光学センサを備えるオートバイ手動制御装置
KR101843326B1 (ko) * 2017-10-26 2018-03-28 남주연 U턴표시 리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방법
KR102033654B1 (ko) 2018-12-05 2019-10-17 이규대 차량 유턴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0002B2 (en) In-vehicle lighting apparatus having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in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parts thereof
US6914521B2 (en) Visual display for vehicle
KR102587258B1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JP2005504677A (ja) 表示装置を有する速度制御器
KR102275451B1 (ko) 자동차의 유턴 지시 시스템
US20060192665A1 (en) System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vehicle during reduced visibility conditions
JPH0950582A (ja) 自動車用表示装置
WO2010079716A1 (ja) 表示装置
KR20110049295A (ko) 차량용 후방램프 및 차량용 후방램프의 점등시스템
JP3224121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JPH0776244A (ja) 車両用意志伝達装置
JP2005219566A (ja) 車両の挙動表示装置
KR0161827B1 (ko) 자동차의 제동상태 표시장치
JP3224312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JP5770687B2 (ja) セフティーランプ
KR20010066431A (ko) 차량의 운행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367675B1 (ko)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KR20170013560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224969Y1 (ko) 자동차 방향지시등의 유턴 표시장치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KR20210108183A (ko)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향지시등 점등 전환 방법
JPH08339480A (ja) フェンダマーカ表示装置
KR2014014492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200241941Y1 (ko) 차량의 브레이크 레벨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