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675B1 -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675B1
KR102367675B1 KR1020200180214A KR20200180214A KR102367675B1 KR 102367675 B1 KR102367675 B1 KR 102367675B1 KR 1020200180214 A KR1020200180214 A KR 1020200180214A KR 20200180214 A KR20200180214 A KR 20200180214A KR 102367675 B1 KR102367675 B1 KR 10236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output signal
abnorm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김영군
이충훈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8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는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주변 정보 감지부,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객체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외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램프,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는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여전히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Communication driving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vehicle accidents and driv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외관(또는 바디)을 통해 주변의 상대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대 차량에 대한 인지 정보(예컨대, 위험성)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예 : 헤드램프) 기능, 상대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예 : DRL, 포지션, 방향(turn), 정지, 비상 등)를 구비하고 있다. 즉,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RL(Daytime Running Light : 주간 전조등)은 시동을 켜면 자동적으로 ON되었다가 전조등을 켜면 자동으로 OFF되도록 되어있다.
이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기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 및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또는 자율 주행 차량) 운행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 및 보행자와 상대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뿐만 아니라, 근처의 상대 차량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성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상대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예컨대, 해당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해당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줄 수 있는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상대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예컨대, 해당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해당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줄 수 있는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는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주변 정보 감지부;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객체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외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램프,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는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여전히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는 상대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는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는 카메라, 적외선, 라이다, 또는 레이저 등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차량의 외관으로서, 프런트(Front), 사이드(Side), 리어(Rear), 탑(Top), 및 바텀(Bottom) 중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상기 객체와 대면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바디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상기 외관의 디자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기존 차량용 램프가 수행하는 헤드 램프 기능, DRL 표시 기능, 포지션 표시 기능, 방향 지시 표시 기능, 정지 표시 기능, 및 비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분할된 일부를 통해 상기 기존 차량용 램프의 기능으로 동작하고,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분할된 다른 일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정보 출력 기능으로 동작하며, 상기 미리 지정된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정보 표시 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보다 디스플레이 밝기가 높거나, 크기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은 주변 정보 감지부가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객체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보 출력부가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여전히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보다 출력 크기가 큰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근처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예컨대, 해당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해당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줄 수 있어, 해당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또는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뿐만 아니라, 해당 자율 주행 차량의 근처에 있는 상대 차량들의 운전자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에는 근처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차량 경적이나, 안개등을 통해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경고하였지만, 이 경우 자칫 해당 차량의 탑승자가 상황을 오해하여 큰 싸움으로 치닫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자율 주행 차량의 감정을 상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으로 해당 자율 주행 차량의 위험성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근처의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주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근처의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주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제어하고 조작하지 않고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또는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운전자의 조작없이 자율 주행되는 차량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 제어부(130), 및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 이륜차, 또는 상대 차량(또는 상대 차량)일 수 있다. 상기 상대 차량(또는 상대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 반자율 주행 차량, 또는 비자율 주행 자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카메라, 적외선, 라이다, 레이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나아가, 상기 객체가 자율 주행 차량,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상기 객체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예컨대,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상대 차량일 경우,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상대 차량일 경우,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수 있다(도 2 내지 도 5에서 예시).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정도에 따라 비정상 상태를 달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왼쪽 열의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주행선의 외측(주행선보다 왼쪽에 위치)에 위치하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상대 차량의 왼쪽 열의 바퀴들이 모두 주행선을 밟고 있으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30)가 판단하는 비정상 상태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위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가 판단하는 비정상 상태는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상대 차량이 해당 자율 주행 차량의 유무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가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는 자율 주행 차량이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한 정보이므로,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객체가 정보를 잘 볼 수 있는 방향, 예컨대, 객체와 대면하는 방향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전방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프런트에 정보를 출력하고, 객체가 우측면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우측 사이드에 정보를 출력하고, 객체가 후방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리어에 정보를 출력한다.
정보 출력부(140)는 차량의 바디, 예컨대, 프런트(Front), 사이드(Side), 리어(Rear), 탑(top), 바텀(Bottom) 등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램프 및 스피커(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램프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엘이디(LED) 소자(즉,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램프는 조명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정보,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등의 출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정보 출력부(140)(즉, 디스플레이 램프)는 차량 바디의 설치 위치, 예컨대, 프런트, 사이드, 리어 등에 따라 다른 형태로 설치(또는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 출력부(140)는 차량의 외관 디자인(바디 디자인)에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또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자율 주행 차량이 매연이 없는 전기차로 적용된 경우, 통상 엔진 구동되는 차량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생략될 수 있어, 정보 출력부(140)의 위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이 매연이 없는 전기차로 적용된 경우, 정보 출력부(140)는 필요에 따라 기존 엔진 구동되는 차량의 라이데이터 그릴이 형성된 위치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는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제1 정보 출력 신호는 제어부(13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제어부(130)와 구별되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정보 출력부(140)가 예시된 디스플레이 램프인 경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해당 비정상 상태의 상황에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등 일 수 있고, 해당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디스플레이 밝기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바디에 설치되는 정보 출력부(140)는 기존의 차량용 램프(예 : 헤드램프, DRL, 포지션, 방향(turn), 정지, 비상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정보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 램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예 : 상부 라인 영역)는 기존 차량용 램프(예 : DRL, 포지션, 방향(turn), 정지, 비상 등)의 기능으로 동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예 : 하부 라이팅 패턴)는 정보(예 :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등) 출력 기능으로 동작한다.
정보 출력부(140)가 예시된 스피커인 경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해당 비정상 상태의 상황에 대응되는 음성, 또는 효과음 등일 수 있고,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출력 크기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가 음성 또는 효과음인 경우에도, 제어부(130)가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는 자율 주행 차량이 상기 객체의 비정상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한 정보이므로,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객체가 정보를 잘 들을 수 있는 방향, 예컨대, 객체와 대면하는 방향(또는 가까운 방향)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전방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프런트에 정보를 출력하고, 객체가 우측면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우측 사이드에 정보를 출력하고, 객체가 후방에 있으면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리어에 정보를 출력한다. 자율 주행 차량이 매연 없이 이동 가능한 전기차인 경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가 음성 또는 효과음이 적용되면, 효과적으로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상대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 후,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가 출력된 시간과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의 차이는 비정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된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이거나,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인 경우 등 위급한 상황에서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제1 정보 출력 신호가 출력된 후, 3초, 또는 2초, 또는 1초 이내의 시간차로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주변 정보 감지부(110)의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종류는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여전히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Off)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출력 신호는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형태는 동일하되, 출력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가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등이면, 제2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동일하되, 출력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크기는 디스플레이 밝기가 더 커지거나, 디스플레이 색상이 시인성이 더 좋은 색상으로 바뀌는 등의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출력 신호는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가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중 어느 하나이면, 제2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와 다른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객체가 상대 차량이고, 상대 차량이 자율 주행 차량, 또는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해당 상대 차량에 출력한 후, 해당 상대 차량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자율 주행 차량이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입력 신호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한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또는 음성이나 효과음 등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근처의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주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비정상 상태로서,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인 경우이고, 상대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지정된 거리 이내의 앞에 위치하는 상기 상대 차량을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오른쪽 열 바퀴들이 모두 주행선의 외측에 위치하며, 오른쪽 열 바퀴들이 모두 주행선의 외측에 위치한 것이 일정 시간 지속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는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의 프런트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램프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형태가 차량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인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 후,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주변 정보 감지부(110)의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카메라나, 적외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여전히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형태는 동일하되, 출력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형태가 차량 바디의 프런트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이므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형태도 동일하게 차량 바디의 프런트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출력 크기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출력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출력 크기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출력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보다 디스플레이 밝기가 더 커지거나, 디스플레이 색상이 시인성이 더 좋은 색상으로 바뀌거나,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가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 대비 차량 바디의 프런트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의 크기가 더 커지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형태가 상이하고,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 형태가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음성 또는 효과음의 형태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오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차량이 자율 주행 차량, 또는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해당 상대 차량에 출력한 후, 해당 상대 차량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수신하였다는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I)를 송신하고 해당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I)를 자율 주행 차량이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할 수 있다.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O)의 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또는 음성이나 효과음 등일 수 있고,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I)의 형태 및 크기와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근처의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주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비정상 상태로서,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인 경우이고, 상대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지정된 거리 이내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대 차량을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차량의 전조등이나 후미등이 일정 시간 오프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정보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는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램프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형태가 차량의 사이드의 앞뒤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인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 후, 주변 정보 감지부(110)는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주변 정보 감지부(110)의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카메라나, 적외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여전히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형태는 동일하되, 출력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형태가 차량 사이드의 앞뒤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이므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형태도 동일하게 차량 사이드의 앞뒤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출력 크기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출력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출력 크기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출력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보다 디스플레이 밝기가 더 커지거나, 디스플레이 색상이 시인성이 더 좋은 색상으로 바뀌거나,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가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 대비 차량 사이드의 앞뒤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의 크기가 더 커지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는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와 형태가 상이하고,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의 그래픽 또는 이미지 형태가 제2 정보 출력 신호(SG2_O)의 음성 또는 효과음의 형태로 변환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주변 정보 감지부(110)가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오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차량이 자율 주행 차량, 또는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해당 상대 차량에 출력한 후, 해당 상대 차량이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O)를 수신하였다는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I)를 송신하고 해당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I)를 자율 주행 차량이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할 수 있다.
제1 정보 입력 신호(SG1_O)의 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또는 음성이나 효과음 등일 수 있고, 제1 정보 출력 신호(SG1_I)의 형태 및 크기와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에 의하면 근처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예컨대, 해당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해당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때,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알려줄 수 있어, 해당 자율 주행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또는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의 근처에 있는 상대 차량들의 운전자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에는 근처 차량이 비정상 상태에 놓여있을 때, 차량 경적이나, 안개등을 통해 해당 차량에게 위험성을 경고하였지만, 이 경우 자칫 해당 차량의 탑승자가 상황을 오해하여 큰 싸움으로 치닫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차량의 감정을 상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으로 해당 차량의 위험성을 알릴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우선, 주변 정보 감지부가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S101)한다.
삭제
주변 정보 감지부는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 이륜차, 또는 상대 차량(또는 상대 차량)일 수 있다. 상기 상대 차량(또는 상대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 반자율 주행 차량, 또는 비자율 주행 자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정보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카메라, 적외선, 라이다, 레이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객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나아가, 상기 객체가 자율 주행 차량,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상기 객체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예컨대,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가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객체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102)한다.
상기 비정상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상대 차량일 경우,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이거나,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는 해당 비정상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정도에 따라 비정상 상태를 달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가 판단하는 비정상 상태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위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가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객체를 향해 출력(S103)한다.
정보 출력부는 차량의 바디, 예컨대, 프런트(Front), 사이드(Side), 리어(Rear), 탑(top), 바텀(Bottom) 등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램프 및 스피커(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램프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엘이디(LED) 소자(즉,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램프는 조명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정보,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등의 출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가 예시된 스피커인 경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해당 비정상 상태의 상황에 대응되는 음성, 또는 효과음 등일 수 있고,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출력 크기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의 설치 위치나, 정보 출력부의 기존 차량용 램프 기능 등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주변 정보 감지부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S104)한다.
주변 정보 감지부가 재차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주변 정보 감지부의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가 여전히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보다 출력 크기가 크거나 출력 형태가 다른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S104)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대 차량이 자율 주행 차량, 또는 반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해당 상대 차량에 출력한 후, 해당 상대 차량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자율 주행 차량이 수신하면 제어부는 정보 출력부를 통해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주변 정보 감지부 130: 제어부
140: 정보 출력부 SG1_O: 제1 정보 출력 신호
SG2_O: 제2 정보 출력 신호 SG1_I: 제1 정보 입력 신호

Claims (4)

  1.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상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주변 정보 감지부;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상대 차량의 상태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차량이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대 차량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외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램프,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는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여전히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출력 크기 또는 출력의 형태가 상이한 제2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오프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는 상기 상대 차량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켜지 않은 상태거나 상기 상대 차량이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감지부는 카메라, 적외선, 또는 라이다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차량의 외관으로서, 프런트(Front), 사이드(Side), 리어(Rear), 탑(Top), 및 바텀(Bottom) 중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상기 상대 차량과 대면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상기 외관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상기 외관의 디자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기존 차량용 램프가 수행하는 헤드 램프 기능, DRL 표시 기능, 포지션 표시 기능, 방향 지시 표시 기능, 정지 표시 기능, 및 비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분할된 일부를 통해 상기 기존 차량용 램프의 기능으로 동작하고,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분할된 다른 일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정보 출력 기능으로 동작하며,
    상기 상대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정보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제1 정보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를 오프하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주행선을 침범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주행선을 침범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비정상 상태를 달리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의 왼쪽 열의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주행선의 외측(주행선보다 왼쪽에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상대 차량의 왼쪽 열의 바퀴들이 모두 상기 주행선을 밟고 있으면 상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신호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이 상기 상대 차량의 비정상 상태를 인지시키기 위한 정보이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상대 차량과 대면하는 방향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상대 차량이 전방에 있으면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프런트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상대 차량이 우측면에 있으면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우측 사이드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상대 차량이 후방에 있으면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바디의 리어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가 출력된 시간과 재차 상기 상대 차량이 상기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의 차이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제2 정보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와 형태가 상이하고,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가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제2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는 상기 제1 정보 출력 신호의 형태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정보 입력 신호의 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픽토그램, 그래픽, 숫자, 또는 음성이나 효과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80214A 2020-12-21 2020-12-21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KR10236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14A KR102367675B1 (ko) 2020-12-21 2020-12-21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14A KR102367675B1 (ko) 2020-12-21 2020-12-21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675B1 true KR102367675B1 (ko) 2022-02-25

Family

ID=8049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14A KR102367675B1 (ko) 2020-12-21 2020-12-21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6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965A (ja) * 2007-02-14 2008-08-28 Denso Corp 車両間情報伝達システム
KR20170016174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57865A (ko) * 2018-11-16 2020-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965A (ja) * 2007-02-14 2008-08-28 Denso Corp 車両間情報伝達システム
KR20170016174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57865A (ko) * 2018-11-16 2020-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7177B2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and autonomous vehicles using same
JP6650250B2 (ja) 伝達を用いる予測的運転者支援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KR102587258B1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US10137827B2 (en) Position lighting device
CN107107818B (zh) 方向指示灯装置以及防撞系统
US7710243B2 (en) Driver-assistance vehicle
US8648535B2 (en)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EP2789504A2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s
US10137823B2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US10220901B2 (en) Positio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US9165460B2 (en)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JP6851018B2 (ja) 車内照明装置及び自動車
KR101460724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US10071680B2 (en) Evacuation travelling control device and evacuation travelling control method
EP3342643A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KR2020001352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09120147A (ja) 車両用ランプ制御システム
JP3205778U (ja) ヘッドランプの色温度制御モジュール
JP5542501B2 (ja) 車両ランプシステム
JP2003291689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102338375B1 (ko) 전기차의 인접 차량 및/또는 보행자에게 정보전달을 위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US20240109478A1 (en) Vehicle state-based light projection communication system
KR102367675B1 (ko) 전기차의 사고 방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의 구동 방법
KR20190054262A (ko) 후방 차량 전조등 점등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74481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